호소카와 유사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소카와 유사이는 무가 출신으로, 아시카가 쇼군 가문을 섬기다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이 되었으며, 도요토미 히데요시 시대를 거쳐,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다나베성을 지킨 인물이다. 1534년 교토에서 태어나, 아시카가 요시테루를 섬기며 그의 옹립에 기여했고,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이 되어 단고국을 평정했다. 혼노지의 변 이후에는 출가하여 다나베성에 은거하며,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500명의 병력으로 15000명의 적을 맞아 농성전을 벌였다. 뛰어난 무예와 다재다능한 문화적 소양을 갖춘 인물로, 검술, 궁술, 와카, 다도 등 다양한 분야에 능통했으며, 고요제이 천황의 칙명을 받기도 했다. 1610년 교토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가인 - 기노시타 가쓰토시
기노시타 가쓰토시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이자 가인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측근이었으나 세키가하라 전투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처벌을 받았고, 이후 교토에서 가인으로 활동하며 고미즈노오 천황에게 인정받고 고보리 마사카즈, 다테 마사무네 등과 교류하며 와카 작품을 남겼다.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가인 - 하치조노미야 도시히토 친왕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유자였던 하치조노미야 도시히토 친왕은 하치조노미야 가문을 창설하고, 고미즈노오 천황에게 고킨덴주를 전수하여 고쇼덴주의 길을 열었으며, 가쓰라 이궁을 조성하여 가쓰라노미야로도 불린 학문과 예술에 능한 인물이다. - 오슈 호소카와씨 - 호소카와 가라샤
호소카와 가라샤는 아케치 미쓰히데의 딸로 태어나 호소카와 다다오키와 결혼하였으며, 혼노지의 변 이후 남편의 보호 아래 신앙을 지키다 이시다 미쓰나리의 인질이 되려 하자 가신에게 죽임을 당했다. - 오슈 호소카와씨 - 호소카와 오키모토
호소카와 오키모토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 활약한 무장이자 다이묘로, 호소카와 후지타카의 차남으로 태어나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겼으며 세키가하라 전투에서의 공로로 야타베 번의 다이묘가 되었다.
호소카와 유사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호소카와 후지타카 |
다른 이름 | 호소카와 유사이 |
일본어 이름 | 細川 藤孝 |
일본어 다른 이름 | 細川 幽斎 |
출생일 | 1534년 6월 3일 |
사망일 | 1610년 10월 6일 |
출생지 | 교토 |
사망지 | 교토 |
![]() | |
가문 정보 | |
가문 | 호소카와 씨 (구마모토 호소카와 가문) |
씨족 | 미부치 씨 (이설 있음) → 호소카와 씨 (호소카와 형부 가문, 사사키 겐지 오하라 씨로부터 입양) → 나가오카 씨 |
아버지 | 미부치 하루카즈?, 어머니: 지케이인 (기요하라 노부카타 딸) |
양아버지 | 호소카와 하루히로 |
형제자매 | 미야가와 니, 미부치 후지히데, 사사키 엣추노카미 실, 교쿠호 쇼소, 바이인 겐추, 나가오카 요시시게, 쓰치미카도 히사스에 실 |
배우자 | 누마타 자코 (고주인) |
자녀 | 호소카와 다다오키 (산사이), 호소카와 오키모토, 이야 (잇시키 요시사다 실), 호소카와 유키타카, 센, 호소카와 다카유키, 가가, 구리 |
관직 정보 | |
직위 | 구마모토-호소카와 가문 수장 |
임기 시작 | 1563년 |
임기 종료 | 1582년 |
직위 1 | 다나베 성주 |
임기 시작 1 | 1579년 |
임기 종료 1 | 1582년 |
관위 | 종5위 하·병부대보, 종4위 하·시종, 대장경법인, 증정2위 |
군사 정보 | |
소속 | 아시카가 쇼군 가문 |
소속 1 | 오다 씨 |
소속 2 | 도요토미 씨 |
소속 3 | 동군 |
부대 | 호소카와 씨호소카와 씨 |
지휘 | 다나베 성 |
전투 정보 | |
전투 | 쇼류지 성 공방전 |
전투 1 | 혼코쿠지 전투 |
전투 2 | 덴노지 전투 |
전투 3 | 시기산 공방전 |
전투 4 | 야다 성 공방전 |
전투 5 | 단고 전역 |
전투 6 | 네고로지 공방전 |
전투 7 | 규슈 전역 |
전투 8 | 다나베 성 공방전 |
기타 정보 | |
별명 | 호소카와 유사이 |
계명 | 태승원전전병부철종현지유사이대거사 |
묘소 | 구마모토 현구마모토 시의 다쓰다 자연공원 (태승사 터) |
묘소 1 | 교토 부교토 시의 난젠지 |
묘소 2 | 교토 부교토 시의 다이토쿠지 고토인 |
통칭 | 요이치로 |
아호 | 유사이 겐시 |
섬기는 주군 | 아시카가 요시테루 → 요시아키 → 오다 노부나가 → 도요토미 히데요시 → 도쿠가와 이에야스 |
2. 막부 가신 시대
덴분 3년(1534년) 4월 12일, 교토에서 미부치 하루카즈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호소카와 하루히로의 양자가 되었다. 덴분 15년(1546년), 13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테루를 섬겼으며, 덴분 21년(1552년)에는 종5위하 효부대보에 임명되었다.[9]
에이로쿠 8년(1565년), 아시카가 요시테루가 미요시 삼인중에게 암살당하자(에이로쿠의 변), 동생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옹립하기 위해 노력했다. 1568년, 오다 노부나가가 교토를 점령한 후 오다 가문에 합류, 시바타 가쓰이에 등과 함께 이와나리 도모미치를 쇼류지성에서 공격하여 죽였다. 1569년에는 아케치 미쓰히데와 함께 혼코쿠지성에서 쇼군 요시아키를 방어하고 미요시 씨(三好氏)를 격퇴했다.
1576년, 이시야마 혼간지 전쟁에 참전했고, 1577년에는 시기가미성 전투에서 마쓰나가 히사히데를 공격하여 공을 세웠다. 1579년, 오다 노부나가의 명으로 단고국을 정복하고 다나베성을 건설했다. 1580년에는 아케치 미쓰히데의 도움으로 단고 평정에 성공했다.
1582년, 혼노지의 변 이후 출가하여 '유사이'라 칭하고 아들 호소카와 타다오키에게 가독을 물려주었으나,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문화인으로서 정치에 참여했다. 1585년 네고로지 공격, 1587년 규슈 정벌에 참전했다.
1598년 히데요시 사후, 후쿠시마 마사노리 등 7명의 장군이 이시다 미쓰나리를 제거하려는 음모에 가담했다. 이들은 임진왜란에서 미쓰나리의 보고가 미흡하다고 불만을 품었다.[4] 미쓰나리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중재로 은퇴하고, 울산성 전투에 대한 평가가 재검토되었다.[6] 이 사건은 도쿠가와 파벌과 반(反) 도쿠가와 파벌 간의 정치적 경쟁의 일부로, 이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미쓰나리와 대립했던 군사 인물들은 이에야스를 지지했다.[4][7]
1600년, 이시다 미쓰나리가 서군 합류를 요청했으나, 가라샤의 죽음에 대한 책임 등을 이유로 거절했다. 동군 장군으로서 다나베성을 지키다 서군에 포위되었으나, 고요제이 천황의 칙령으로 세키가하라 전투 직전에 성을 넘겨주었다.
2. 1. 아시카가 요시아키 옹립과 몰락
에이로쿠 8년(1565년) 5월, 아시카가 요시테루가 미요시 삼인중에게 살해당하고(에이로쿠의 변), 그 동생인 아시카가 요시아키가 고후쿠지에 유폐되자, 형 미후치 후지히데를 시작으로 잇시키 후지나가, 와다 코레마사, 니키 요시마사, 요네다 모토마사 등과 협력하여 요시아키를 구출하였다. 이후 오미국의 로쿠카쿠 요시카타, 와카사국의 타케다 요시무네, 에치젠국의 아사쿠라 요시카게 등을 의지하여 요시아키를 옹립하는데 힘썼다. 당시 후지타카는 빈궁하여 등롱의 기름조차 없을 정도여서, 어쩔 수 없이 사찰에서 기름을 얻어올 정도였다고 한다.그 후, 아케치 미츠히데를 통해, 오와리국의 오다 노부나가에게 도움을 요청하였다.
에이로쿠 11년(1568년) 9월, 노부나가가 요시아키를 받들어 입경하자 후지타카도 이에 따랐다. 요시아키가 정이대장군으로 임명된 후, 후지타카는 이와나리 도모미치로부터 탈환한 야마시로국쇼류지성을 하사받았다.
3. 오다 노부나가 가신 시대
1568년, 후지타카는 오다 노부나가가 교토를 점령한 후 오다 씨(織田氏)에 합류했다. 그 해 후지타카는 시바타 가쓰이에, 하치야 요리타카, 모리 요시나리, 사카이 마사히사와 함께 이와나리 도모미치를 쇼류지성에서 공격하여 전사시켰다.
1569년, 미요시 씨(三好氏)가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혼코쿠지성에서 공격했을 때, 후지타카는 아케치 미쓰히데와 함께 쇼군을 방어하고 미요시 씨를 격퇴했다.
겐키(元亀) 4년(1573년) 3월, 오다 노부나가에게 역심을 품고 있던 아시카가 요시아키가 군사를 일으켜 상경하자, 노부나가를 맞이하여 공순한 자세를 보였다. 요시아키가 추방된 후, 후지타카는 가쓰라 강 서쪽의 한 관할권을 허가받고 '''나가오카 후지타카'''로 개명했다.
같은 해 8월, 이케다 가쓰마사(池田勝正), 미쓰부치 후지히데(三淵藤英)와 함께 이와나리 도모미치(岩成友通)를 야마시로 요도 성 전투(제2차 요도 고성 전투)에서 멸망시키는 공을 세웠다. 이후 노부나가의 무장으로서 다카야 성 전투, 에치젠 잇코 잇키 정벌, 이시야마 전투, 기슈 정벌 등 기나이 각지를 전전하며 활약했다.
1576년, 이시야마 혼간지 전쟁 중 이코잇키에 대항하는 10년간의 캠페인에 하라다 나오마사, 아케치 미쓰히데, 아라키 무라시게와 함께 참여했다.
1577년, 아케치 미쓰히데, 쓰쓰이 준케이와 함께 마쓰나가 히사히데가 일으킨 모반을 진압, 시기가미성 전투에서 큰 공을 세웠다.
덴쇼 6년(1578년), 노부나가의 권유로 아들 다다오키와 미쓰히데의 딸 타마(가라샤)의 혼례가 성사되었다.
같은 해 1월 12일, 노부나가는 오와리 국 지타 반도에서 잡힌 고래 고기를 조정에 헌상한 뒤, 후지타카에게도 나눠주었다.
3. 1. 단고 평정과 잇시키 가문과의 전투
1579년, 후지타카는 오다 노부나가의 명을 받아 단고국을 공격했다. 다나베성을 거점으로 삼아 잇시키 요시미치가 이끄는 야다성을 공격, 함락시켰고 요시미치는 할복했다.[3] 1580년, 후지타카는 단고 국 전체를 공격했으나 잇시키 가문의 반격으로 초반에는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아케치 미쓰히데의 지원을 받아 단고 국 남부를 평정하고, 미야즈성을 새로운 거점으로 삼았다. 이후 단고 국 북부의 잇시키 가문과 계속 대립하였다.4. 혼노지의 변 이후
1582년 혼노지의 변이 일어나자, 후지타카는 주군이자 친척이었던 아케치 미쓰히데의 거듭된 요청을 거절하고 출가하여 '''유사이 겐시'''(幽斎玄旨)라 칭하고 다나베성에 은거하며 아들 타다오키에게 가독을 양도했다. 미쓰히데는 쓰쓰이 준케이에게도 참전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고, 결국 야마자키 전투에서 패배했다.[10]
이후 후지타카는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기며 1585년 기슈 정벌, 1587년 규슈 평정 등에 참여했다. 1595년에는 오스미국에 3000석을 추가로 받았다.
히데요시 사후, 후지타카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접근했다. 1600년 아들 타다오키가 이에야스의 아이즈 정벌에 참여하면서, 후지타카는 500명도 안 되는 병력으로 다나베성을 지켰다.
이시다 미쓰나리 등이 이에야스 토벌군을 일으키자, 오사카에 있던 타다오키의 부인 가라샤는 자결했다. 오노기 시게카쓰, 마에다 시게카쓰 등이 이끄는 1만 5000명의 군대가 다나베성을 포위했지만, 후지타카는 뛰어난 지휘와 가도(歌道) 제자들의 소극적인 태도 덕분에 장기간 농성했다(다나베성 전투).
하치조노미야 도모히토 친왕의 중재와 고요제이 천황의 칙명으로 세키가하라 전투 이틀 전 강화가 성립되었고, 후지타카는 2개월 만에 성을 넘겨주고 단바 가메야마성으로 들어갔다. 후지타카의 저항은 이에야스의 통치권 대행 정당성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10]
타다오키는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워 부젠국 고쿠라번 39만 9000석을 얻었고, 후지타카는 교토에서 만년을 보냈다. 1610년 후지타카는 교토에서 77세로 사망했다.
4. 1. 도요토미 히데요시 시대
1582년 혼노지의 변으로 오다 노부나가가 사망한 후, 호소카와 후지타카는 아들 호소카와 타다오키가 아케치 미쓰히데의 딸 호소카와 가라샤와 결혼했음에도 불구하고 야마자키 전투에서 미쓰히데와 함께 싸우는 것을 거부했다.[3] 이후 승려로 삭발하고 "유사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며, 다이묘 지위를 타다오키에게 물려주었다. 그러나 그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이에야스 모두 아래에서 문화 고문으로서 정치에 계속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585년, 후지타카는 네고로지 공격에 참여했다. 1586년에는 히데요시로부터 야마시로국에서 3,000곡 상당의 은퇴 영지를 받았다.
1587년, 규슈 정벌에서 히데요시의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시마즈 요시히사와 협상했다.[3] 1595년에는 히데요시로부터 오스미국에서 추가로 3,000곡을 받았다.
1598년 히데요시 사후, 후쿠시마 마사노리, 가토 요시아키, 이케다 테루마사, 구로다 나가마사, 아사노 요시나가, 가토 기요마사 등 7명의 무장이 이시다 미쓰나리를 살해하려는 음모를 꾸몄다. 이들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과 중국에 대한 미쓰나리의 보고가 미흡하다고 불만을 품었다.[4] 이 사건은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중재하여 미쓰나리가 은퇴하고 울산성 전투에 대한 평가를 재검토하는 것으로 일단락되었지만,[6] 결국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파벌(동군)과 반도쿠가와 파벌(서군)의 대립으로 이어졌다.[4][7]
5. 세키가하라 전투 전후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유사이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지지하는 동군에 가담했다. 다다오키(충흥)가 이에야스의 아이즈 정벌에 참가하여 호소카와 가문 병력 대부분이 단고 지역을 비운 사이, 유사이와 적은 수의 병사만이 다나베성에 남아있었다. 이시다 미쓰나리가 이끄는 서군은 다나베성을 포위 공격했지만, 유사이의 뛰어난 지휘와 서군에 속한 유사이의 제자들이 적극적으로 싸우지 않아 전투는 장기화되었다.
하치조노미야 도모히토 친왕의 중재와 고요제이 천황의 칙령으로 강화가 성립되면서, 유사이(후지타카)는 전투를 중단하고 성을 넘겨주었다.[10]
전후, 아들 다다오키가 부젠국 고쿠라번 39만 석을 받아, 후지타카는 은거 생활을 하였다.
5. 1. 다나베 성 전투와 고요제이 천황의 중재
게이초 5년(1600년) 6월, 호소카와 다다오키(충흥)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아이즈 정벌에 호소카와 가문의 군세를 이끌고 참가하면서, 호소카와 후지타카(유사이)는 셋째 아들 호소카와 유키타카와 함께 500명도 안 되는 병력으로 단고 다나베성을 지켰다.[10]7월, 이시다 미쓰나리 등이 이에야스 토벌 군사를 일으켰다. 오사카에 있던 다다오키의 부인 가라샤는 포위된 저택에 불을 지르고 자결했다. 오노기 시게카쓰, 마에다 시게카쓰 등이 이끄는 1만 5000명의 대군이 다나베성을 포위했지만, 후지타카가 지휘하는 농성군은 격렬하게 저항했다. 포위군 중에는 후지타카의 가도(歌道) 제자도 많아 전투 의욕이 부족했던 점도 있어, 전투는 장기전이 되었다(다나베성 전투).[10]
후지타카의 제자 중 한 명이었던 하치조노미야 도모히토 친왕은 7월과 8월 두 차례에 걸쳐 강화 교섭을 시도했지만, 후지타카는 이를 거절하고 농성전을 지속했다. 후지타카는 사자를 통해 『고금집 증명장』을 하치조노미야에게 보내고, 『겐지초』와 『21대 화가집』을 조정에 헌상했다. 마침내 하치조노미야가 형인 고요제이 천황에게 주청하여 산조니시 사네토, 나카인 미치카쓰, 가라스마루 미쓰히로가 칙사로서 다나베성에 내려왔고, 세키가하라 전투 이틀 전인 9월 12일, 칙명에 의한 강화가 맺어졌다.[10]
9월 18일, 후지타카는 2개월에 걸친 농성전을 마치고 성을 나와, 적장인 마에다 시게카쓰의 단바 가메야마성에 들어갔다. 후지타카의 저항을 통해, 이에야스의 통치권 대행의 정당성이 조정뿐만 아니라 각 방면에 주지되었다는 점은, 이시다 미쓰나리에게 큰 타격이 되었다.[10]
6. 죽음
호소카와 후지타카는 1610년 10월 6일에 사망했다.[1] 그는 교토에 묻혔지만, 손자인 호소카와 타다토시가 통치했던 구마모토에도 두 번째 묘가 있다.[1]
7. 인물
호소카와 후지타카(細川藤孝, 1534년 6월 3일 ~ 1610년 10월 6일)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 활약한 무장이자 다이묘이다. 무로마치 막부의 쇼군 아시카가 요시테루와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섬겼으며,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 등 당대 최고 권력자들을 섬기며 중용되었다.
1582년 혼노지의 변이 일어나자 주군이자 친척이었던 아케치 미쓰히데의 요청을 거절하고 삭발, 아호를 유사이 겐시(幽斎玄旨)라 칭하고 다나베 성에 은거하며 아들 다다오키에게 가독을 물려주었다.[10] 히데요시 사후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접근했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당시, 다다오키가 이에야스를 따라 아이즈 정벌에 참전하면서, 후지타카는 불과 500명의 병력으로 단고 다나베 성을 지켰다. 이시다 미쓰나리 측의 1만 5천 대군에 포위되었으나, 후지타카의 명성과 고킨와카슈 전승자로서의 지위를 존중한 고요제이 천황의 칙명으로 강화가 성립, 전투는 중지되었다.[10]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후지타카는 교토에서 유유자적한 만년을 보냈다. 1610년 77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묘는 교토 시 난젠지와 구마모토 현 다쓰다 산에 있다.
아시카가 요시아키가 사망한 후 장례를 치르는 이가 없자, 후지타카가 이를 주관하기도 했다.
7. 1. 다재다능한 문화인
쓰카하라 보쿠덴에게 검술을 배우고, 하하베 사다히로, 요시다 세쓰카로부터 궁술의 인가를, 궁마고실 (다케다류)을 다케다 노부토요로부터 사사받는 등 무예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11] 완력도 강해, 교토의 길거리에서 돌진해 온 소의 뿔을 잡아 던져 넘어뜨렸다는 일화도 있다. 또한 아들 다다오키와 함께 수영술에도 뛰어났다고 한다.와카, 다도, 렌가, 축구 등의 문예를 익혔으며, 더 나아가 바둑, 요리, 사루가쿠 등에도 조예가 깊어[11] 당대 제일의 교양인이었다.
산조니시 사네다로부터 덴쇼 2년 (1574년) 6월에 쇼류지성의 천수에서 고킨덴주를 받고, 그의 아들 산조니시 긴쿠니와 더 나아가 그의 아들 (사네다의 손자) 산조니시 사네토에게 돌려 전수할 때까지 니조파 정통을 한때 계승했다. 당시 유일한 고킨덴주의 전승자였으며, 세키가하라 전투 때 고요제이 천황이 칙명으로 후지타카를 도운 것도, 고킨덴주가 끊어지는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후지타카의 문인으로는 고요제이 천황의 동생 하치조노미야 도시히토 친왕, 공가 나카인 미치카쓰, 가라스마 미쓰히로 등이 있었으며, 또한 마쓰나가 데이토쿠, 기노시타 조쇼시 등도 후지타카의 지도를 받았다. 시마즈 요시히사는 후지타카로부터 직접 고킨덴주를 받으려 한 인물 중 한 명으로, 후지타카가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섬기던 시절부터 교류가 있었다.
하치조노미야가 후지타카로부터 고킨덴주를 받은 "고킨덴주의 방"은, 에도 시대에 하치조노미야가의 영지였던 나가오카텐만구에 "가이다 오차야"로 이전되어, 메이지 4년 (1871년)에 가쓰라노미야가에서 호소카와 가문에 하사될 때까지 나가오카텐만구 경내에 있었다.[12] 그 후, 후지타카의 손자로 구마모토번주가 된 호소카와 다다토시가 조성한 스이젠지조주엔 (구마모토시)에 다이쇼 원년 (1912년)에 이전되었으며, 헤이세이 22년 (2010년)에는 구마모토에서 후지타카 서거 400주년제가 개최되었다. 또한, 이듬해 헤이세이 23년 (2011년)에는, 후지타카의 동상이 스이젠지조주엔 내에 세워졌다.[13]
8. 가계
관계 | 내용 |
---|---|
양부 | 호소카와 모토쓰네 (혹은 호소카와 하루히로라는 설도 있음)[17] |
부친 | 미부치 하루카즈 |
모친 | 지케이인 (기요하라 노리타카의 딸) |
정실 | 누마타 자코 (누마타 미쓰카네의 딸) |
장남 | 호소카와 다다오키 |
차남 | 호소카와 오키모토 |
3남 | 호소카와 유키타카 |
9. 평가
호소카와 후지타카는 센고쿠 시대의 혼란 속에서 여러 주군을 섬기며 살아남은 뛰어난 무장이자 정치가였다. 혼노지의 변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기며 기슈 정벌, 규슈 평정 등에 참여했고, 시마즈 가문의 개혁을 이끌기도 했다.[10] 그는 센노 리큐 등과 함께 히데요시 측근의 문화인으로 활동했으며, 도쿠가와 이에야스와도 친분을 쌓았다.
하지만,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 침략에 적극적으로 가담한 점은 한국인의 입장에서 부정적으로 평가될 수밖에 없다. 그는 문화적으로 뛰어난 인물이었지만, 시대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10. 관련 작품
구분 | 작품명 | 연도 | 국가 | 출연 |
---|---|---|---|---|
영화 | 전국자위대 | 1979년 | 일본 | 이시바시 마사시 |
텔레비전 드라마 | 국도 이야기 | 1973년 | NHK대하드라마 | 이부키 고로 |
여태합기 | 1981년 | NHK 대하드라마 | 카도노 타쿠조 | |
카스가노 쓰보네 | 1989년 | NHK 대하드라마 | 코가네이 노리오 | |
노부나가 KING OF ZIPANGU | 1992년 | NHK 대하드라마 | 카츠노 히로시 | |
히데요시 | 1996년 | NHK 대하드라마 | 하마하타 켄키치 | |
공명의 갈림길 | 2006년 | NHK 대하드라마 | 콘도 마사오미 | |
노부나가 콘체르토 | 2014년 | 후지 TV | 이치카와 토모히로 | |
기린이 온다 | 2020년 | NHK 대하드라마 | 마지마 히데카즈 |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Harva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細川藤孝
http://kotobank.jp/w[...]
2013-05-29
[3]
웹사이트
https://kotobank.jp/[...]
Kotobank
2023-01-29
[4]
논문
前田利家の死と石田三成襲撃事件
https://cir.nii.ac.j[...]
2013
[5]
논문
豊臣七将の石田三成襲撃事件―歴史認識形成のメカニズムとその陥穽―
2000
[6]
논문
徳川家康の人情と決断―三成"隠匿"の顚末とその意義―
2000
[7]
서적
戦国史の俗説を覆す
柏書房
2016
[8]
문서
『鹿苑日録』
[9]
문서
小川剛生「細川幽斎--人と時代」森正人、鈴木元編『細川幽斎 戦塵の中の学芸』(笠間書院、2010年)
[10]
논문
石田三成
[11]
문서
『戴恩記』ほか。
[12]
웹사이트
長岡天満宮【三思一言】つれづれに長岡天満宮
https://chidori-jyuk[...]
元京都西山短期大学非常勤講師 百瀬ちどり
2020-08-09
[13]
블로그
細川藤孝公銅像除幕式(熊本・水前寺公園)
http://www.habiro-ar[...]
2011-03-07
[14]
문서
金子拓「室町幕府最末期の奉公衆三淵藤英」『東京大学史料編纂所研究紀要』12号、2002年。/所収:金子拓『織田信長権力論』(吉川弘文館、2015年)
[15]
문서
小川剛生「細川幽斎--人と時代」森正人、鈴木元編『細川幽斎 戦塵の中の学芸』(笠間書院、2010年)
[16]
서적
戦国期畿内の政治社会構造
和泉書院
[17]
논문
細川幽斎の養父について
[18]
논문
室町幕府・織田政権における細川藤孝の地位 : 書札礼を中心に
[19]
문서
山田貴司「和泉上守護細川家ゆかりの文化財と肥後細川家の系譜認識」森正人・稲葉継陽編『細川家の歴史資料と書籍』(吉川弘文館、2013年3月)
[20]
문서
小川剛生「細川幽斎--人と時代」森正人、鈴木元編『細川幽斎 戦塵の中の学芸』(笠間書院、2010年)
[21]
논문
将軍足利義晴の嗣立と大館常興の登場
[22]
논문
"「藤原惺窩伝補遺」続貂(日本文化史特集号)"
https://dl.ndl.go.jp[...]
國學院大學
2023-11-13
[23]
웹사이트
『福井県史』-武田氏の文芸 小浜文芸の一支柱
http://www.archives.[...]
福井県
2021-04-06
[24]
서적
若狭武田氏
戒光祥出版
[25]
서적
戦国期室町幕府と在地領主
八木書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