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야미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야미역은 1988년 10월 25일 안산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역으로, 경기도 군포시에 위치해 있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선하역사로 운영되며, 4호선과 안산선 열차가 정차한다. 북쪽으로는 당고개 방면, 남쪽으로는 오이도 방면으로 운행하며, 주변에는 군포시보건소, 대야동 행정복지센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포시의 전철역 - 군포역
- 군포시의 전철역 - 금정역
금정역은 1988년에 개통하여 수도권 전철 1호선과 4호선이 지나는 환승역이며, 안산선, 과천선, 경부선이 지나가고, 4호선 및 1호선 급행과 완행 열차가 정차하며, 2019년 12월 30일부터 1호선 급행열차가 추가 정차한다. -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 신용산역
신용산역은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용산역 인근에 위치한 지하철역이다. - 1988년 개업한 철도역 - 양원역 (봉화)
양원역은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한 영동선 철도역으로, 지역 주민들의 노력으로 설치된 임시승강장에서 시작하여 백두대간협곡열차 등이 정차하는 지상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마을 이름에서 유래했고, 2021년에는 역 설치 과정을 다룬 영화가 제작되기도 했다. - 1988년 개업한 철도역 - 금정역
금정역은 1988년에 개통하여 수도권 전철 1호선과 4호선이 지나는 환승역이며, 안산선, 과천선, 경부선이 지나가고, 4호선 및 1호선 급행과 완행 열차가 정차하며, 2019년 12월 30일부터 1호선 급행열차가 추가 정차한다.
대야미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경기도 군포시 대야미동 233-4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승강장 | 2 |
선로 수 | 2 |
구조 | 지상 |
개업일 | 1988년 10월 25일 |
역사 | 개통 |
한국어 역명 | |
로마자 표기 | Daeyami-yeok |
한자 표기 | 밤 |
한글 표기 | 대야미역 |
노선 정보 | |
노선 | 안산선 |
이전 역 | 수리산역 |
다음 역 | 반월역 |
역간 거리 | 수리산역 2.6km, 반월역 2.0km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금정역 기점 6.0 km, 진접역 기점 65.7km |
기타 정보 | |
역 종류 | 을종 위탁 판매소 (산본역 관리) |
승차 인원 (2009년) | 3,502명 |
전보 약호 | (정보 없음) |
인접 역 | |
2. 역사
1988년 10월 25일 : 안산선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7]
대야미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가진 선하역사이다. 원래는 쌍섬식 승강장으로 계획되었으나, 양쪽 승강장 외측에 마련되어 있었던 대피선 노반 자리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사실상 상대식 승강장으로 운용되고 있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993년 1월 15일 : 과천선 개통과 함께 안산선과 직결 운행 시작
1994년 4월 1일 : 남태령역까지 연장 개통과 함께 서울 지하철 4호선과 직결 운행 시작
3. 역 구조
출입구는 1번과 2번, 총 2곳이 있다.
3. 1.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갖춘 고가역이다.
4. 역 주변
- 군포시보건소
- 대야동 행정복지센터
- 대야초등학교
- 둔대초등학교
- 반월저수지
- 월광사
- 군포 대야미 도서관
- 대야미 센트럴 아이파크 아파트
- e편한세상 아파트
- 서해안고속도로 둔대JCT
- 영동고속도로 군포IC
반월호는 대야동의 가장 아랫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1957년에 완공되었으며, 북서쪽 물줄기, 세미몰, 그리고 도립 은행의 암석들이 남동쪽 방향으로 흘러 반월호로 유입된다.[4] 역 주변에는 약간의 맨션이 들어서 있지만, 주택은 그리 많지 않으며, 옆의 반월역에 걸쳐 한적한 전원 지대가 펼쳐져 있다.
5. 이용 현황
노선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주석 |
---|---|---|---|---|---|---|---|---|---|---|---|---|---|---|---|---|---|---|---|---|---|---|---|---|
4호선 | 1911 | 2376 | 2275 | 4128 | 9804 | 7770 | 9072 | 9296 | 9856 | 9877 | 9792 | 9639 | 6885 | 7735 | 8736 | 9744 | 4115 | 4163 | 4439 | 4809 | 4147 | 4212 | 4600 | [8] |
안산선 | 1944 | 2050 | 2304 | 2456 | 2066 | 2114 | 2210 | 2416 | 3138 | 3502 | [5] |
6. 인접한 역
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