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대약진 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대약진 운동은 1958년부터 1962년까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진행된 경제 및 사회 개혁 운동으로, 급격한 산업화와 농업 생산량 증대를 목표로 추진되었다. 마오쩌둥의 주도로 시작되었으며, 고전 마르크스주의 이론에 기반하여 사회주의 건설을 가속화하려 했다. 주요 정책으로는 인민공사 설립, 토법고로를 이용한 철강 생산, 참새 박멸 운동 등이 있었으나, 비현실적인 목표 설정, 과장된 생산 보고, 그리고 과학적 근거 없는 정책 추진으로 인해 심각한 식량 부족과 대기근을 초래했다. 그 결과, 수천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했고, 중국 경제는 파탄에 이르렀으며, 마오쩌둥의 권위는 크게 실추되었다. 대약진 운동의 실패는 중국의 경제 정책 변화와 개혁 개방의 계기가 되었으며, 중국 사회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대약진 운동
대약진 운동
1958년 중국에서 밤에 제철하는 농촌 노동자들
로마자 표기Dàyuèjìn
한자 (간체)大跃进
한자 (번체)大躍進
타이완어 발음Tuā io̍k tsìn
웨이드-자일스 표기Ta4 yüeh4 chin4
영어 명칭Great Leap Forward
다른 이름제2차 5개년 계획
중국어 명칭大跃进运动
영어 명칭Great Leap Forward, Second Five Year Plan
발생 기간
기간1958년–1962년
위치
장소중국
원인
원인중앙 계획, 집단화 정책
목적
목표농업의 경제적 집단화, 사회주의 실현
피해 규모
사망자 수1500만–5500만 명
관련 인물
주요 인물마오쩌둥

2. 배경

고전 마르크스주의 이론은 상대적으로 선형적인 발전 과정과 가장 발전된 국가부터 시작되는 세계 혁명을 가정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당시,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였다. 대약진 운동은 경제 발전에 필요한 시간에 대한 당시의 통념에 도전하고, 급속한 산업화를 통해 중국의 발전 단계와 정치적 열망 간의 격차를 해소하고자 했다.[11]

1957년 11월 6일, 소련의 니키타 흐루쇼프 제1서기는 “소련은 철강, 석유, 시멘트 등 공업 생산과 농업 생산에서 15년 이내에 미국을 앞지를 것이다”라고 선언했다.

1950년대 후반, 중국의 사회 정치적 환경은 개인주의보다는 집산주의를 목표로 한 이전 정책의 여파와 상당한 농촌 개혁을 경험했다. 대약진 운동 이전에 중국 정부는 지주로부터 농민에게 토지를 재분배하는 토지개혁을 시작했지만, 이러한 개혁은 여전히 기대되는 농업 생산성을 달성해야 했다.[11] 1950년대 초에는 농업 협동조합이 설립되었지만, 이러한 변화는 혼재된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급속한 산업화 추진과 농촌 지역에 인민공사 설립은 대약진 운동의 중심이었으며, 정부는 집산주의와 대규모 프로젝트가 농업 및 산업 생산량을 증대시킬 것이라고 믿었다. 인민공사는 농업과 노동을 중앙 집중화하여 효율성과 생산량을 증가시키려는 의도였지만, 현실에서는 이러한 조치가 종종 전통적인 농업 관행을 방해하고 생산성 감소로 이어졌다.

1959년 뤄산 회의에서 펑더화이 국방부장(원수)가 대약진 운동의 문제점을 지적하자, 마오쩌둥은 이를 사회주의에 대한 배신이라고 거부하며 펑더화이를 실각시켰다. 이 결과, 정책에 대해 의견을 말하는 사람이 없어지면서 더욱 무리한 할당량이 부과되었고, 현장 지도자들은 과장된 성과를 보고했다. 마오쩌둥은 실태를 파악하지 못한 채 더욱 증산을 명령하는 악순환에 빠져들었다.

당시 중국 공산당 지도층은 고등 교육을 받은 사람이 적어 수요, 유통, 수출입, 인프라를 포함한 거시경제, 미시경제 메커니즘은 물론 생태계 전체 시스템도 완전히 무시하고, 단순히 숫자상의 생산 목표 달성만을 목적으로 하는 단순하고 일면적인 계획을 강요했다. 이는 경제 시스템과 자연을 매우 단순한 합리적 사고로 개조하고 조작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며, 막대한 피해를 초래한 원인 중 하나이다.

2. 1. 사회주의 건설 초기 단계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중국은 소련식 사회주의 모델을 따라 경제 발전을 추진했다. 초기에는 토지개혁과 중공업 육성 정책을 통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으나, 여전히 농업 중심의 빈곤한 국가였다. 한국 전쟁 이후,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과의 관계가 악화되면서 중국은 자력갱생의 필요성을 절감했다.[13]

마오쩌둥은 농업에 대한 국가 독점을 통해 산업화를 재정적으로 지원하려 했으나, 이는 농민들에게 인기가 없었다. 그래서 농업 집단농장을 설립하여 농민들을 당의 통제하에 두려 했다.[13]

이 정책은 1949년부터 1958년까지 점진적으로 추진되었다. 처음에는 5~15가구의 "상호 원조 팀"을 설립하고, 1953년에는 20~40가구의 "초급 농업 협동조합"을, 1956년부터는 100~300가구의 "고급 협동조합"을 설립했다. 1954년부터 농민들은 집단 농장 협회에 가입하도록 장려받았다.[13]

1958년에는 사유재산이 폐지되었고 모든 가구는 국가 운영 공동체에 강제로 편입되었다. 마오쩌둥은 공동체가 도시에 식량을 공급하고 수출을 통해 외화를 벌어들일 것을 요구했다. 그는 중국이 소련과는 다른 사회주의의 길을 따라야 한다고 말했다.[12][13]

주은래를 포함한 당 내 온건파는 집단화의 역전을 주장했지만, 마오쩌둥1957년 백화제방운동을 시작하여 비판 세력을 드러나게 하려는 책략을 폈다.[13]

1957년 제1차 5개년 경제계획이 완료될 무렵, 마오쩌둥소련의 사회주의 길이 중국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믿게 되었다. 그는 니키타 흐루쇼프스탈린주의 정책 폐기에 비판적이었고, 동독, 폴란드, 헝가리에서 발생한 봉기에도 우려를 표했다. 또한 소련이 서방 세력과 "평화 공존"을 추구한다는 인식에도 불안감을 느꼈다. 조너선 미르스키에 따르면, 중국의 세계 대부분으로부터의 고립과 한국 전쟁은 마오쩌둥의 국내 적에 대한 공격을 가속화했다.[13]

반우경운동은 1957년 6월 8일에 시작되었다. 주요 목표는 중국공산당과 중국 전체에서 "우경분자"를 제거하는 것이었다.[14]

소련 공산당 니키타 흐루쇼프 제1서기(우)와 중국 공산당 마오쩌둥 주석


1957년 11월, 소련니키타 흐루쇼프소련이 15년 안에 미국을 앞지를 것이라고 선언했다. 중소 분쟁이 심화되던 중, 마오쩌둥1958년 5월 제2차 5개년 계획에서 영국을 15년 안에 앞서고 미국을 따라잡겠다는 계획(초영감미)을 세웠다.[84]

하지만 시장 원리를 무시하고 무리한 증산을 지시했기 때문에 오히려 생산력 저하를 초래했다. 1959년 뤄산 회의에서 펑더화이가 문제점을 지적했지만, 마오쩌둥은 이를 거부하고 펑더화이를 실각시켰다. 이 결과, 정책에 대해 의견을 말하는 사람이 없어지면서 더욱 무리한 할당량이 부과되었고, 현장 지도자들은 과장된 성과를 보고했다. 마오쩌둥은 실태를 파악하지 못한 채 더욱 증산을 명령하는 악순환에 빠져들었다.

2. 2. 마오쩌둥의 구상과 흐루쇼프의 영향

1957년 11월, 소련 공산당 제1서기 니키타 흐루쇼프는 평화적인 경쟁을 통해 향후 15년 안에 미국의 산업 생산량을 따라잡고 넘어서자는 제안을 하였다.[84] 중소 분쟁이 뚜렷해지던 중, 마오쩌둥 주석은 이에 큰 영감을 받아, 1958년 5월 제2차 5개년 계획에서 중국 공산당 지도부는 당시 세계 2위 경제 대국이었던 영국을 15년 안에 농공업 생산 지표에서 앞서고 미국을 따라잡겠다는 장대한 계획을 세웠다.(초영감미)[84]

농업과 관련하여 중국 정부는 급증하는 인구를 부양하면서 농업에 대한 상당한 자본 투자를 할 수 없는 국가적 딜레마를 인식했다. 정부는 생산 요소로서의 인적 자원이 활용되지 않고 있다고 판단하고, 농업 생산량 증대를 위해 대규모 인력 동원을 강화했다.[13] 마오쩌둥은 흐루쇼프스탈린주의 정책 폐기에 비판적이었으며, 동독, 폴란드, 헝가리에서 발생한 봉기에도 우려를 표했다. 또한 소련이 서방 세력과 "평화 공존"을 추구한다는 인식에도 불안감을 느꼈다. 마오쩌둥은 중국이 공산주의로 가는 자체의 길을 따라야 한다고 확신하게 되었다.

2. 3. 백화제방 운동과 반우파 투쟁

1956년 마오쩌둥은 백화제방 운동을 통해 지식인들에게 공산당에 대한 비판을 장려했다. 그러나 예상보다 거센 비판이 나오자, 1957년 반우파 투쟁을 일으켜 비판적인 지식인들을 숙청했다.[15] 이는 대약진 운동 추진 과정에서 비판적인 목소리를 억누르는 결과를 초래했다.

3. 주요 운동

대약진 정책은 여러 "운동(運動)"을 총칭한다. 주요 운동으로는 인민공사 설립, 소규모 제철소 건설, 과도한 생산 목표 설정과 허위 보고, 제사해 운동 등이 있다.


  • 인민공사 설립: 농촌 지역의 대규모 집단 농장으로, 농민들의 사유재산을 몰수하고 공동 생산, 공동 분배를 강요했다.
  • 소규모 제철소(토법고로) 건설: 농촌 곳곳에 소규모 제철소를 건설하여 농민들이 직접 철강 생산에 참여하도록 했지만, 기술 및 원료 부족으로 비효율적이었다.
  • 당시 영국, 미국에 비해 전기화가 늦었던 탓에, 농촌을 비롯한 대부분 지역은 숯을 연료로 사용했다. 자연스럽게 토법고로의 환원제에도 을 사용했다. 이는 숯 생산을 위해 전국적으로 대규모 나무 벌채를 시작하게 만들었다. 벌채는 무차별적이었으며, 과수원의 과수와 원예관목도 예외가 아니었다. 철광석은 석탄과 마찬가지로 산지가 한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급 부족 상태였다. 도시에서는 철로 만든 각종 설비와 건축물을 해체했고, 농촌에서는 인민공사에서 농업과 식량을 집약화한다는 명목으로 각 가정의 철로 된 농기구와 취사 도구를 헌납하게 했다.[85] 이렇게 헌납된 고철토법고로에 투입하는, 철제 기구로 고철을 생산하는 비상식적인 상황에 빠졌다. 결과적으로 1117만 톤의 철 생산량 중 60%가 전혀 쓸모없는 불량품(선철)이었다. 무리한 증산 계획으로 만들어진 불량품을 포함한 철의 용도, 더 나아가 판매 유통도 전혀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에, 산업 생산에서 유통까지 장기간에 걸쳐 나쁜 영향을 미쳤다.
  • 과도한 생산 목표: 중앙 정부는 농업 생산량을 극대화하기 위해 비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했고, 농민들은 실제보다 과장된 생산량을 보고했다.[16][17]
  • 제사해 운동(참새 박멸 운동): 1958년 2월부터 파리, 모기, 쥐, 그리고 농작물을 먹는 참새를 포함한 네 가지 해충(사해(四害))을 없애는 작전이 시작되었다.[16] 이 운동은 중국어로 "제사해 운동(除四害運動)"이라고 불렸지만, 특히 참새를 대량으로 없앤 사건 때문에 "타마작 운동(打麻雀運動)" 또는 "소멸마작 운동(消滅麻雀運動)"이라고도 불렸다.[16] 그러나 이러한 참새 박멸은 오히려 파리, 모기, 메뚜기(메뚜기 재앙), 멸구와 같은 해충이 엄청나게 늘어나는 결과를 가져왔고, 이는 농업 생산에 큰 피해를 입혔다. 당시 지도층은 먹이사슬의 생태계 균형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고, 이는 큰 문제로 이어졌다.


원시적인 방법으로 철을 대량 생산하는 농민


푸젠성 난징현 서양진 오경료촌에 있는 제강로 유적. 현존하는 "대약진" 유적 가운데 귀중한 것이다


이러한 운동들은 마오쩌둥이 1958년 1월 난징 회의에서 발표하면서 시작되었다.[16][17] 마오쩌둥과 당은 장정 이후 연안에서 사용했던 전략, 즉 "대중 동원, 사회 평준화, 관료주의 타파, 물질적 장애에 대한 무시"를 재현하려고 했다.

3. 1. 인민공사 설립

마오쩌둥은 중국의 현실과 맞지 않는 과도한 경제성장률 목표와 속도전을 강조하며 인민공사를 설립했다.[104] 인민공사는 농업 생산력 증대를 위한 농촌 지역의 대규모 집단 농장으로, 농민들의 사유재산을 몰수하고 공동 생산, 공동 분배를 강요했다. 1958년에는 사유재산이 폐지되었고 모든 가구는 국가 운영 공동체에 강제로 편입되었다.[12][13]

1958년 4월 허난성(河南省) 차야산(查牙山)에 실험적인 공사가 설립되었고, 여기서 처음으로 사유지가 완전히 폐지되고 공동 취사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같은 해 8월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회의에서 이러한 인민공사가 중국 전역 농촌 지역의 새로운 경제 및 정치 조직 형태가 될 것이라고 결정되었다. 연말까지 약 2만 5천 개의 공사가 설립되었으며, 평균적으로 각 공사에는 5천 가구가 있었다. 공사는 임금과 화폐 대신 노동 점수로 운영되는 상대적으로 자급자족적인 협동조합이었다.

1958년 인민공사의 식당


인민공사 제도는 도시에 식량을 공급하고 도시 거주 노동자, 간부 및 공무원을 위한 사무실, 공장, 학교 및 사회 보험 시스템을 건설하기 위한 생산 극대화를 목표로 했다. 이 제도를 비판한 농촌 주민들은 "위험 인물"로 낙인찍혔다. 인민공사에 가입하기를 거부한 일부 부유한 가족은 우익으로 낙인찍힐 수도 있었다.[19]

농업 외에도 공사는 일부 경공업 및 건설 프로젝트를 통합했다. 초기에는 수확량이 증가했지만, 이는 농민들의 노력의 결과가 아니라 예외적인 날씨 때문이었고, 많은 관리들은 이를 잘못 해석하여 더 많은 문제를 야기했다.

농촌의 공동체화를 강력하게 추진한 결과, 생산 의욕이 크게 떨어졌다.

3. 2. 소규모 제철소 건설 (토법고로)

마오쩌둥은 산업 발전을 빠르게 하기 위해 농촌 곳곳에 소규모 제철소(토법고로)를 건설하도록 지시했다. 농민들이 직접 철강 생산에 참여하도록 했지만, 대부분의 제철소는 기술 부족과 원료 부족으로 인해 품질이 낮고 비효율적이었다.[20] 1958년 9월, 마오쩌둥은 안후이성 허페이에서 성 서기 증희생으로부터 뒷마당 용광로(토법고로)의 사례를 보았는데, 이 용광로는 고품질 강철을 생산한다고 주장되었다.[21]

1958년 시골의 뒷마당 용광로


그러나 백화운동 이후 지식인들은 이러한 계획의 어리석음을 알고도 침묵해야 했다. 마오쩌둥의 주치의 리즈수이에 따르면, 마오쩌둥과 그의 수행원들은 1959년 1월 만주의 전통적인 제철소를 방문하여 고품질 강철은 석탄과 같은 안정적인 연료를 사용하는 대규모 공장에서만 생산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마오쩌둥은 대중의 혁명적 열정을 꺾지 않기 위해 토법고로 중단 명령을 내리지 않았다. 이 프로그램은 그해 훨씬 후에 조용히 폐기되었다.

당시 영국이나 미국에 비해 전기화가 늦었던 탓에, 농촌 지역을 비롯한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숯을 연료로 사용했고, 자연스럽게 토법고로의 환원제에도 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는 숯 생산을 위해 전국적으로 대규모 나무 벌채가 시작되었음을 의미한다. 벌채 대상은 사실상 무차별적이었으며, 과수원의 과수와 원예관목도 예외가 아니었다.

철광석은 석탄과 마찬가지로 산지가 한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급 부족 상태였으며, 많은 지역에서는 모래철을 구하기조차 어려웠다. 이 때문에 도시에서는 철로 만든 각종 설비와 건축물을 해체했다. 농촌에서는 인민공사에서 농업과 식량을 집약화한다는 명목으로 각 가정의 철로 된 농기구와 취사 도구를 헌납하게 했다.[85] 이렇게 헌납된 고철토법고로에 투입하는, 철제 기구로 고철을 생산하는 비상식적인 상황에 빠졌다.

결과적으로 1117만 톤의 철 생산량 중 60%가 전혀 쓸모없는 불량품(선철)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증산 계획에 따라 생산을 계속했기 때문에 자원을 대량으로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더욱이 이러한 무리한 증산 계획으로 만들어진 불량품을 포함한 철의 용도, 더 나아가 판매 유통도 전혀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에, 산업 생산에서 유통까지 장기간에 걸쳐 나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 당시 제철 사업으로 인해 대량의 목재가 벌채되었기 때문에, 2010년대에 이르기까지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매년 홍수가 발생하고 있다. 게다가 농민들이 대량으로 동원되었기 때문에 관리가 부실해진 농지는 황폐해졌고, 생산량 목표 달성을 위해 농민들이 소유한 솥과 냄비, 농기구까지 징발되었기 때문에 지역 농업과 생활의 기반이 파괴되었다.

3. 3. 과도한 생산 목표 설정과 허위 보고

중앙 정부는 농업 생산량을 극대화하기 위해 비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하였다. 농민들은 실제보다 과장된 생산량을 보고하였고, 이는 자원의 오남용으로 이어졌다.[16][17]

마오쩌둥1958년 1월 난징 회의에서 대약진 운동을 발표하면서 곡물과 강철 생산을 경제 발전의 핵심 축으로 보았다. 그는 대약진 운동 시작 15년 안에 중국의 산업 생산량이 영국을 넘어설 것이라고 예측했다. 1958년 8월 정치국 회의에서는 그 해 안에 강철 생산량을 두 배로 늘리기로 결정했다.[20]

이러한 산업 투자의 결과, 수백만 명의 중국인이 국영 기업 근로자가 되었다. 1958년 비농업 공공 부문 고용이 2,100만 명 증가했고, 1960년에는 공공 부문 고용 총계가 5,044만 명으로 정점을 찍어 1957년 수준의 두 배가 넘었다. 도시 인구는 3,124만 명 증가했다. 이러한 신규 근로자들은 중국의 식량 배급 제도에 큰 부담을 주었고, 농촌 식량 생산에 대한 수요 증가와 지속 불가능성으로 이어졌다.

백화운동 이후 지식인 계급은 이러한 계획의 어리석음을 알고 있었음에도 침묵했다. 마오쩌둥의 주치의 리즈수이에 따르면, 마오쩌둥과 그의 수행원들은 1959년 1월 만주의 전통적인 제철소를 방문하여 고품질 강철은 석탄과 같은 안정적인 연료를 사용하는 대규모 공장에서만 생산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지만, 대중의 혁명적 열정을 꺾지 않기 위해 뒷마당 용광로 중단 명령을 내리지 않았다.

한편, 지역 지도자들은 상급자에게 계속해서 과장된 곡물 생산량을 보고하도록 압력을 받았다. 상급자의 환심을 사고 칭찬을 받기 위한 경쟁—마오쩌둥을 직접 만날 기회를 얻는 것—이 치열해짐에 따라 정치 회의 참가자들은 실제 생산량보다 최대 10배까지 생산량이 부풀려진 것을 보고했다. 국가는 나중에 이러한 허위 생산량 수치를 근거로 많은 생산 집단에게 여유분 이상의 곡물을 판매하도록 강제했다.

1,117만 톤의 철 생산량 중 60%는 전혀 쓸모없는 불량품(선철)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증산 계획에 따라 생산을 계속했기 때문에 자원을 대량으로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더욱이 이러한 무리한 증산 계획으로 만들어진 불량품을 포함한 철의 용도, 더 나아가 판매 유통도 전혀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에, 산업 생산에서 유통까지 장기간에 걸쳐 악영향을 미쳤다.

3. 4. 제사해 운동 (참새 박멸 운동)

1958년 2월부터 파리, 모기, 쥐, 그리고 농작물을 먹는 참새를 포함한 네 가지 해충(사해(四害))을 없애는 대규모 작전이 시작되었다. 이 운동은 중국어로 "제사해 운동(除四害運動)"이라고 불렸지만, 특히 참새를 대량으로 없앤 사건 때문에 "타마작 운동(打麻雀運動)" 또는 "소멸마작 운동(消滅麻雀運動)"이라고도 불렸다.[16] 베이징시에서만 300만 명이 동원되어 3일 만에 40만 마리의 참새를 제거했다.[16]

그러나 이러한 참새 박멸은 오히려 파리, 모기, 메뚜기(메뚜기 재앙), 멸구와 같은 해충이 엄청나게 늘어나는 결과를 가져왔고, 이는 농업 생산에 큰 피해를 입혔다. 참새는 농작물을 먹기도 하지만, 해충이 되는 곤충도 잡아먹으며, 특히 번식기에는 새끼에게 먹이기 위해 많은 양의 곤충을 잡아먹는다. 당시 지도층은 이러한 먹이사슬의 생태계 균형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고, 이는 큰 문제로 이어졌다. 이후 해충 제거 대상은 참새에서 빈대로 바뀌었고, 소련에서 대량의 참새를 들여왔다고 전해진다.

4. 결과

대약진 운동은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 비극적인 결과를 초래했다. 마오쩌둥의 급진적인 정책은 인민공사 설립, 뒷마당 용광로 사업 추진 등 무리한 산업화를 유도했지만, 이는 결국 농업 생산량 급감과 대기근 발생으로 이어졌다.

1958년 4월, 허난성에서 처음으로 사유지가 완전히 폐지되고 공동 취사 시스템이 도입된 실험적인 공사가 설립되었다. 이후 인민공사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으며, 이는 농민들의 생산 의욕을 저하시키고 농업 생산량 감소를 초래했다. 또한, 무리한 철강 생산 정책으로 인해 농민들은 농사 대신 뒷마당 용광로 작업에 동원되었고, 이는 농업 생산에 필요한 노동력 부족을 야기했다.

마오쩌둥은 곡물과 강철 생산을 경제 발전의 핵심으로 보았고, 1958년에는 철강 생산량을 두 배로 늘리겠다는 무리한 목표를 설정했다.[20] 이 과정에서 대규모 국영 기업 투자가 이루어졌고, 수백만 명의 중국인이 국영 기업 노동자가 되었다. 1960년 공공 부문 고용 총계는 5,044만 명으로 정점을 찍었는데, 이는 1957년의 두 배가 넘는 수치였다.[20] 그러나 이러한 급격한 산업화는 조정 부족과 자재 부족을 야기했고, 결국 정부는 1960년부터 1962년까지 산업 투자를 대폭 삭감해야 했다.[20]

백화제방운동 이후 지식인들은 이러한 계획의 문제점을 알고 있었음에도 침묵해야 했다.[21] 리즈수이에 따르면, 마오쩌둥은 1959년 1월 만주의 전통적인 제철소를 방문한 후에야 고품질 강철 생산의 어려움을 인지했지만, 대중의 혁명적 열정을 꺾지 않기 위해 뒷마당 용광로 중단 명령을 내리지 않았다.[21]

트로핌 리센코유사과학적 농업 이론에 기반한 밀식 재배와 심경 등의 정책은 오히려 농업 생산량을 감소시켰다. 또한, 지역 지도자들은 상부에 과장된 곡물 생산량을 보고하도록 압력을 받았고, 이는 농민들에게 식량이 거의 남지 않는 결과를 초래했다.

사유재산 금지와 공동체 시스템은 농민들의 삶을 파괴했다. 전통적인 생계 수단이 박탈되었고, 충분한 식량을 확보할 수 없었다.[13] 공개적인 투쟁 회의는 농민들을 위협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는 기근 사망률을 증가시켰다.[23]

1959년 뤄산 회의에서 펑더화이가 대약진 운동의 문제점을 지적했지만, 마오쩌둥은 펑더화이를 비판하고 숙청했다. 이는 다른 사람들이 정책에 대해 의견을 말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결과적으로 대약진 운동은 인류 역사상 최악의 기근 중 하나를 초래했다. 농업 생산량 급감, 노동력의 산업 전환, 자연재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수천만 명이 사망했다.

4. 1. 대기근 발생

1958년부터 시작된 대약진 운동은 농업 생산량 감소, 농민들의 산업 현장 동원, 기상 악화 등이 겹치면서 심각한 식량 부족 사태를 초래했다.[26][38] 애국 위생 운동으로 인한 의료 기술 발전과 영아 사망률 감소, 평균 수명 증가[38]는 식량 수요를 더욱 폭증시켰다.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으로 인해 수백만 명이 극심한 기근으로 사망했으며, 내전 이후 개선되었던 경제는 파탄나고, 대중들은 극심한 상황에 저항했다.

정부의 대응은 복합적이었다. 1959년 마오쩌둥은 국방부장 펑더화이를 숙청하고, 린뱌오, 류샤오치, 덩샤오핑을 일시적으로 승진시켰다. 1962년 7000명 간부 회의 이후, 마오쩌둥은 대약진 운동으로 인해 권력과 명성을 일부 잃었고, 이는 1966년 문화 대혁명의 원인이 되었다.[27][28]

대약진 운동 기간 동안 모든 사망자가 기아로 인한 것은 아니었다. 양지생의 기록에 따르면, 정부에 반항, 실제 수확량 보고, 경고, 남은 식량 제출 거부, 기근 지역 탈출 시도, 구걸, 음식 찌꺼기 절도, 관리들을 화나게 하는 행위 등으로 인해 구타당하거나 살해당한 사람들도 있었다.

''무덤비석''에는 대약진 운동 기간 중 기근과 폭력의 악순환이 기록되어 있다.

정확한 희생자 수는 여러 설이 있지만, 2017년판 중국통계년감에서도 1,625만 명의 인구 감소가 확인될 정도[94]의 대기근이었다. 중국 공산당 내부 문서에는 1958년부터 1965년 사이에 4,500만 명이 대기근으로 사망했다고 기록되어 있다.[95] 사뮤엘 존슨상을 수상한 프랭크 디케이터[96]는 대약진 운동으로 인한 중국인 사망자 수가 7,000만 명을 넘는다고 지적했다.[95] 국내 혼란과 기아로 인해 태어나지 못한 사람까지 포함하면 7,600만 명이라는 분석도 있다. [98] 농촌 지역에서는 영양실조가 잇따랐고, 심지어 식인 행위가 횡행할 정도였다.[99] 결국, 대약진 운동은 수천만 명의 아사자를 낳은 비극적인 실패로 끝났다.

4. 2. 경제 파탄

마오쩌둥이 추진한 대약진 운동은 중국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입혔다. 마오쩌둥은 노동집약적인 산업화 방안을 내세웠지만, 이는 비효율적인 방식이었다.[104] 인민공사가 수립되어 농민들을 농사일에 동원했지만, 실제 공업생산은 도시인민공사가 대부분을 차지하여 농민을 공업화에 동원한다는 본래의 목표는 실패했다.[105]

1958년에는 제사해 운동으로 인해 참새 개체수가 급감하면서 해충이 창궐하여 대흉년이 발생했다.[108] 1960년에는 중국 농경지의 절반 가량이 가뭄, 태풍, 수해 등의 피해를 입어 농산물을 전부 잃었다.[108] 이로 인해 2,500만 명에서 5,000만 명 이상이 굶주림과 기아로 사망하는 비극적인 결과가 초래되었다.[109][110]

결국 마오쩌둥은 1962년 대약진 운동의 실패를 인정하고 국가주석직에서 사임했다. 이후 중국은 1963년부터 1965년까지 조정기를 거쳐 초공업화를 통해 다시 산업화 궤도에 진입했다.[106]

대약진 운동 기간 동안 농업 생산량은 급감했다. 뒷마당 용광로 사업 등으로 인해 농업 노동력이 산업 현장으로 전환되면서 농업 생산량이 급감했고, 이는 식량 부족으로 이어졌다.

대약진 운동 기간 동안의 곡물 생산량 변화[40]
연도생산량 변화
1960~61년25% 이상 감소



사대 해충 박멸 운동으로 인해 천적이 제거되면서 메뚜기 떼가 창궐하여 농작물 피해가 더욱 심각해졌다. 지방 관리들은 중앙 정부의 압력으로 인해 실제 수확량보다 과장된 결과를 보고했고, 이는 국가의 곡물 징발량을 결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되었다. 이로 인해 농민들에게는 식량이 거의 남지 않았고, 일부 지역에서는 기아가 발생했다.

1959년 황하 홍수와 가뭄도 기근에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마오쩌둥은 체면을 유지하기 위해 외국 원조를 거부하고 곡물 수출을 계속했다.[29]

안후이성, 간쑤성, 허난성 등 마오쩌둥의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지역에서 기근 피해가 특히 심각했다. 쓰촨성은 곡창지대임에도 불구하고 지도자 리징촨의 정책 추진으로 인해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다. 기근으로 인해 식인 행위까지 벌어졌다는 보고도 있다.[30]

중국 공산당 8기 9중전회에서 대약진 정책을 철회하고 농업 생산 회복을 시작하면서 곡물 수출이 중단되고, 캐나다와 호주로부터의 곡물 수입으로 식량 부족 문제가 다소 완화되었다.

대약진 운동으로 인한 경제 파탄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이룩한 경제 성과를 크게 후퇴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4. 3. 사회 혼란

1958년 제사해 운동으로 참새 개체수가 급락하여 해충이 창궐, 대흉년이 들었다.[108] 1960년에는 중국 전체 농경지의 절반 가량이 가뭄, 태풍, 수해 등의 피해를 입었으며, 그 중 절반 이상은 농작물에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108]

대약진 운동의 실패와 자연재해가 겹치면서, 중국 전역에서 굶어 죽는 사람이 속출했다. 당시 5천만 명 이상이 아사한 것으로 알려졌으며,[110] 사람들은 진흙과 잡초를 섞어 먹으며 허기를 달랠 정도로 비참한 상황이었다.[110]

인민공사에 가입하지 않은 일부 부유한 농민들은 우익으로 몰리기도 했으며,[19] 탈출 시도는 "당에 의해 조직된 공개 투쟁"을 초래하여 생존을 더욱 위태롭게 했다.[19]

사유재산 금지로 농민들은 기본적인 생계 수단을 잃었고, 공동체 시스템은 전통적인 토지 임대, 매매, 담보 대출을 통한 생계 유지 수단을 박탈했다.[13] 마을 주민들은 충분한 식량을 확보할 수 없었다.[13]

공개적인 투쟁 회의는 농민들을 위협하여 명령에 복종하도록 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는 기근 사망률을 높였다.[23] 농민이 공동 밭에서 배추 두 개를 훔쳤다는 이유로 반나절 동안 공개 비판을 받고 쓰러져 회복하지 못한 사례도 있었다.[23] 노동 수용소로 보내진 사람들도 있었다.[23]

대약진 운동 중 사망자의 약 7%는 고문으로 사망하거나 즉결 처형되었다.[24] 공산당 관리들은 곡물 할당량을 채우지 못한 사람들을 고문하고 살해하기도 했다.[24]

농업 정책 실패, 농민들의 산업 이동, 기상 조건 악화로 식량 공급이 감소했다. 의학 발전으로 영아 사망률이 감소하고 평균 수명이 증가하면서[38] 식량 수요는 급증했다. 공급 부족과 수요 폭증으로 수백만 명이 기근으로 사망했다. 내전 종식 이후 개선되었던 경제는 파탄났고, 대중의 저항이 일어났다.

기근의 심각성은 지역에 따라 달랐다. 간쑤성, 쓰촨성, 귀주성, 호남성, 광서성, 안후이성이 가장 큰 피해를 입었으며, 흑룡강성, 내몽골 자치구, 신장 위구르 자치구, 톈진, 상하이는 사망률 증가가 가장 낮았다.[36] 일부 지역에서는 나무껍질과 흙을 먹거나, 식인 행위가 발생하기도 했다.[36] 도시 지역의 사망률 증가는 농촌 지역의 절반 수준이었다.[36]

대약진 운동에 대한 저항은 여러 형태로 나타났다. 여러 성에서 무장 반란이 일어났지만, 중앙 정부에 큰 위협은 되지 못했다. 허난성, 산둥성, 칭하이성, 감숙성, 쓰촨성, 푸젠성, 윈난성, 티베트 자치구에서 반란이 기록되었으며, 허난성, 산둥성, 칭하이성, 감숙성, 쓰촨성에서는 1년 이상 지속되었다. 간부에 대한 폭력, 창고 습격, 방화, 열차 강도, 인근 마을 습격도 빈번했다.

마을 사람들은 민요를 통해 정권에 대한 반항을 표현하기도 했다. 대약진 운동 당시 "뻔뻔하게 아첨하라 – 진미를 먹어라… 아첨하지 않으면 – 틀림없이 굶어 죽는다."라는 노래가 불렸다.[23]

5. 영향

대약진 운동은 단순한 기근과 인명 피해를 넘어, 중국 사회와 통치 방식에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농촌 지역의 교육과 여성의 노동 역할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농업 생산 시스템과 공동체 구조의 붕괴는 이후 수십 년 동안 경제 전략을 다시 평가하게 만들었다. 달리 양(Dali Yang)은 "대약진 운동의 실패는 중국의 경제 개혁에서 더 실용적인 접근 방식으로 이끄는 중요한 정책 변화를 필요로 했다"고 설명한다.[111][112][113]

5. 1. 정치적 영향

대약진 운동의 실패는 마오쩌둥의 권위를 크게 실추시켰다.[111][112][113] 1959년 루산 회의에서 펑더화이가 대약진 운동의 문제점을 지적하자, 마오쩌둥은 펑더화이와 그의 지지자들을 실각시켰다. 이 사건은 대약진 운동에 대한 반대 의견을 억누르는 동시에, 더욱 무리한 생산 목표량을 부과하게 만들었다.[121] 현장 지도자들은 달성 불가능한 생산 목표를 맞추기 위해 성과를 부풀려 보고했고, 마오쩌둥은 이를 믿고 더 많은 생산을 명령하는 악순환이 반복되었다.

루산 회의 이후, 대약진 운동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인 펑더화이는 마오쩌둥에 의해 숙청되었다. 이후 펑더화이는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심한 박해를 받아 건강이 악화되었다.

결국, 마오쩌둥은 1959년 4월 27일 국가주석 자리에서 물러났지만, 중국 공산당 주석직은 유지했다. 류사오치덩샤오핑이 경제 회복을 위한 정책 변경을 주도하게 되었다.

대약진 운동의 실패는 당내 분열을 초래했다. 1962년 '7000명 간부 회의'에서 마오쩌둥은 자아비판을 하고 민주집중제에 대한 헌신을 재확인했다. 그러나 마오쩌둥은 1966년 문화 대혁명을 일으켜 권력 회복을 시도하면서, 중국 사회는 다시 한번 혼란에 빠져들게 되었다.[92]

5. 2. 경제 정책의 변화

마오쩌둥의 대약진 운동이 실패로 끝난 후, 중국은 보다 현실적인 경제 정책을 채택하게 되었다. 1960년대 초, 류사오치덩샤오핑은 조정 정책을 통해 경제 회복을 추진했다. 이들은 1963년에서 1965년 사이의 조정기를 통해 농민을 농장으로, 노동자를 공장으로 되돌려 보내고, 생산 수단을 축적하는 초공업화를 통해 다시 산업화의 본궤도로 돌아갔다.[106]

마오쩌둥이 인민공사를 통해 농촌 중심의 산업화를 추진했던 것과 달리, 류사오치와 덩샤오핑은 대공장을 건설하고 도급제를 통해 빈농을 프롤레타리아로 전환시키는 제1차 5개년 계획으로 복귀했다. 이는 소련코시긴 개혁과 유사하게 중앙집중경제를 강화하는 방향이었다.

이후 1970년대 말, 덩샤오핑은 흑묘백묘론을 바탕으로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했다. 가정연산승포책임제를 도입하여 사유지와 농기구를 농민에게 돌려주고, 인민공사 조직을 폐지했다. 이러한 정책 변화는 대약진 운동의 실패를 교훈 삼아, 농업과 산업의 균형 발전을 추구하고 보다 실용적인 경제 정책을 채택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111][112][113]

5. 3. 장기적인 사회경제적 영향

대약진 운동은 중국 사회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기근 생존자들은 장기적인 건강 문제와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으며, 농촌 지역의 발전은 크게 지체되었다.[77][78]

달리 양(Dali Yang)은 "대약진 운동의 실패는 중국의 경제 개혁에서 더 실용적인 접근 방식으로 이끄는 중요한 정책 변화를 필요로 했다"고 설명한다.[111][112][113] 농촌 지역에서는 교육과 여성의 노동 역할에 대한 영향이 컸다. 농업 생산 시스템의 붕괴와 공동체 구조의 몰락은 이후 수십 년 동안 경제 전략을 다시 평가하게 만들었다. 혼란으로 인해 농촌 교육은 피해를 보았고, 여성들은 처음에는 노동력으로 동원되었지만, 뒤이은 혼란은 종종 이러한 진전을 무효화했다.

5. 4. 국제 관계

대약진 운동의 장기적인 영향은 즉각적인 기근과 인명 피해를 넘어 확대되었다. 이 정책과 그 참혹한 결과는 중국 사회와 통치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달리 양(Dali Yang)은 "대약진 운동의 실패는 중국의 경제 개혁에서 더 실용적인 접근 방식으로 이끄는 중요한 정책 변화를 필요로 했다"고 설명한다.[106]

6. 평가

대약진 운동은 마오쩌둥의 과도한 이상주의와 독단적인 정책 추진이 초래한 비극적인 실패로 평가된다. 이는 경제 정책에서 과학적인 근거, 전문가 의견, 민주적인 절차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교훈을 남겼다.

1959년 루산 회의에서 펑더화이는 대약진 운동의 문제점을 지적했지만, 마오쩌둥은 이를 묵살하고 펑더화이와 그의 지지자들을 실각시켰다.[84] 펑더화이는 린뱌오로 대체되었고, 린뱌오는 군부에서 펑더화이의 지지자들을 체계적으로 제거했다. 이로 인해 대약진 운동에 대한 반대 의견은 사라지고, 현장 지도자들은 부풀린 성과를 보고했으며, 마오쩌둥은 이러한 보고를 믿고 더 많은 증산을 명령하는 악순환을 초래했다.

1962년 7000명 간부 회의에서 류샤오치는 "[경제] 재난은 자연의 잘못이 30%, 인적 오류가 70%였다"고 말했다.[65] 2017년 경제학자들의 논문에 따르면, 마오쩌둥의 급진적 정책은 인적 자본 축적을 악화시키고, 마오쩌둥 사후 수십 년 동안 정책 영향 지역의 경제 발전을 늦췄다.[66]

대약진 운동의 실패 이후, 중국 지도부는 산업화 속도를 늦추고, 개혁 개방을 통해 사회주의 시장 경제를 통한 고도 경제 성장을 실현시켰다.

6. 1. 한국에 대한 시사점

대약진 운동의 실패는 경제 발전 과정에서 균형 잡힌 발전과 민주적인 의사 결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는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대약진 운동은 농촌 지역의 교육과 여성의 노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38] 농업 생산 시스템과 공동체 구조가 붕괴되면서, 중국은 이후 수십 년 동안 경제 전략을 다시 평가해야 했다. 달리 양(Dali Yang)은 "대약진 운동의 실패는 중국의 경제 개혁에서 더 실용적인 접근 방식으로 이끄는 중요한 정책 변화를 필요로 했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실패에도 불구하고, 대약진 운동은 중국의 산업화에 기여한 측면도 있다. 공식 통계에 따르면, 1962년 대약진 운동 종료 후 산업 생산량은 두 배로 증가했고, 농업 생산 총액은 35% 증가했다. 또한, 철강, 광업, 섬유 기업을 중심으로 상당한 자본 건설이 이루어져 중국의 산업화에 기여했다.[69] 다칭 유전 건설은 이념적 동기 부여를 통해 노동자들을 동원하여 빠른 산업화 프로젝트를 완료한 사례로, 중대한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주었다.

더불어민주당은 대약진 운동의 교훈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 사회 통합, 민주주의 강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경제 발전 과정에서 소외되는 계층이 없도록 균형 잡힌 발전을 추구하고, 정책 결정 과정에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민주적인 절차를 강화해야 한다.

참조

[1] 서적 Chinese Famine (1907) https://sk.sagepub.c[...] Sage
[2] 논문 China's great famine: 40 years later 1999-12-18
[3] 논문 The Institutional Causes of China's Great Famine, 1959–1961 https://www0.gsb.col[...] 2020-04-22
[4] 논문 Famines https://ourworldinda[...] 2020-04-22
[5] 논문 The Study of China's Great Leap Forward Famine in the West https://web.archive.[...] 2020-07-29
[6] 웹사이트 Timeline https://web.archive.[...] Wilson Center 2020-06-21
[7] 웹사이트 Three Chinese Leaders: Mao Zedong, Zhou Enlai, and Deng Xiaoping http://afe.easia.col[...] Columbia University 2020-06-22
[8] 논문 The Road to the Cultural Revolution 1996-07-01
[9]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China Energy News 2020-03-25
[10] 웹사이트 Reflections on Banqiao https://www.thechemi[...] Institution of Chemical Engineers 2020-03-25
[11] 논문 Formate assay in body fluids: application in methanol poisoning https://pubmed.ncbi.[...] 1975-06-01
[12] 웹사이트 https://alphahistory[...]
[13] 잡지 The China We Don't Know http://www.nybooks.c[...] 2009-02-26
[14] 웹사이트 China's Great Leap Forward https://www.asianstu[...]
[15] 서적 East Asia. A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Cengage 2013-01-01
[16] 서적 A glossary of political term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17] 서적 Mao's crusade: politics and policy implementation in China's great leap forwar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10-20
[18] 웹사이트 Political Economy of the Great Leap Forward: Permanent Revolution and State Feudal Communes https://web.archive.[...] 2021-12-15
[19] 논문 Collectivisation, paradox and resistance: The architecture of people's commune in china
[20] 서적 Mao's Crusade: Politics and Policy Implementation in China's Great Leap Forwar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11-15
[21] 서적 The Private Life of Chairman Mao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15-11-15
[22] 서적 Revolution, Resistance, and Reform in Village China Yale University Press
[23] 잡지 China: The Shame of the Villages http://www.nybooks.c[...] 2006-05-11
[24] 잡지 Systematic genocide http://www.spectator[...] 2010-09-25
[25] Book review Ralph A. Thaxton, Jr., ''Catastrophe and Contention in Rural China: Mao's Great Leap Forward, Famine and the Origins of Righteous Resistance in Da Fo Village'' Springer
[26] 논문 An exploration of China's mortality decline under Mao: A provincial analysis, 1950–80.
[27] 서적 The Origins of the Cultural Revolution: Volume III, the Coming of the Cataclysm 1961–1966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8] 웹사이트 Three Chinese Leaders: Mao Zedong, Zhou Enlai, and Deng Xiaoping http://afe.easia.col[...] Columbia University 2020-06-22
[29] 웹사이트 News conference 34, May 23, 1962 https://www.jfklibra[...] 2023-06-04
[30] 웹사이트 Horror of a Hidden Chinese Famine https://query.nytime[...] 1997-02-05
[31] 잡지 Yan Lianke's Forbidden Satires of China https://www.newyorke[...] 2018-10-31
[32] 웹사이트 La Chine creuse ses trous de mémoire http://www.liberatio[...] 2016-11-24
[33] 논문 Democracy as a universal value
[34] 서적 The Universal Almanac Banta
[35] 보고서 Communist China's Domestic Crisis: the Road to 1964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964-07-31
[36] 웹사이트 Great Leap Forward: What it was, goals, and impact https://www.investop[...] 2022-09-16
[37] 서적 Forgotten Voices of Mao's Great Famine, 1958–1962: An Oral History
[38]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specific mortality and life expectancy, 1950–2017: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7
[39] 논문 A Note on the Causal Factors of China's Famine in 1959–1961
[40] 서적
[41] 서적
[42] 논문 Mao: The Unknown Story
[43] 블로그 Reevaluating China's Democide to 73,000,000 http://democraticpea[...] 2013-02-12
[44] 서적
[45] 뉴스 45 million died in Mao's Great Leap Forward, Hong Kong historian says in new book http://www.scmp.com/[...] 2016-12-02
[46] 서적
[47] 서적 Da Yuejin Kurezi Shidai chaoliu chubanshe
[48] 웹사이트 Ideological Statistics: Inflated Death Rates of China's Famine, the Russian one Ignored http://www.socialist[...] 2018-11-09
[49] 논문 Population Change during China's 'Three Years of Hardship' (1959 to 1961) https://rpb115.nsysu[...] 2016-04-01
[50] 서적 Telling the Truth: China's Great Leap Forward, Household Registration and the Famine Death Tally Springer
[51] 웹사이트 Reevaluated democide totals for 20th C. and China http://www.ciolek.co[...] 2016-10-22
[52] 논문 Frank Dikötter, Mao's Great Famine, ''The History of China's most devastating catastrophe, 1958–62'' 2011-07-30
[53] 서적 Mao and Markets: The Communist Roots of Chinese Enterprise Yale University Press 2022-11-15
[54] 뉴스 Chinese author of book on famine braves risks to inform new generations https://www.nytimes.[...] 2008-11-18
[55] 뉴스 When China Starved https://www.washingt[...] 2008-08-12
[56] 간행물 China: From Famine to Oslo http://www.nybooks.c[...] 2011-01-13
[57] 뉴스 Unnatural Disaster https://www.nytimes.[...] 2022-05-12
[58] 서적 Tombstone: The Great Chinese Famine 1958–1962, by Yang Jisheng, New York: Farrar, Straus & Giroux, 2012, 629 pp. https://digitalcommo[...]
[59] 서적 Red Holocaust Routledge
[60] 웹사이트 A hunger for the truth: A new book, banned on the mainland, is becoming the definitive account of the Great Famine http://en.chinaelect[...] 2012-02-10
[61] 웹사이트 Finding the Facts About Mao's Victims http://www.nybooks.c[...] 2010-12-20
[62] 서적 Genocide: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Routledge
[63] 웹사이트 China: a country with 5,000-year-long civilization http://english.gov.c[...] Chinese Government's Official Web Portal (English) 2011-09-03
[64] 웹사이트 The Political Ecology of Famine: The North Korean Catastrophe and Its Lessons http://www.adbi.org/[...] 2006-03-13
[65] 서적 Twentieth Century China: Third Volume
[66] 논문 Radical Target Setting and China's Great Famine 2021-01-07
[67] 웹사이트 Did Mao Really Kill Millions in the Great Leap Forward? https://mronline.org[...] 2006-09-21
[68] 서적 People's Republic of China Yearbook https://books.google[...] Xinhua
[69] 논문 A Tragedy of Good Intentions: Post-Mao Views of the Great Leap Forward
[70] 논문 The Great Leap Forward Reconsidered
[71] 서적 People's Diplomacy: How Americans and Chinese Transformed US-China Relations during the Cold War Cornell University Press
[72] 웹사이트 https://culture.ifen[...] Shaanxi People's Publishing House 2009-08-13
[73] 학술지 The Educational Experiment of the Great Leap Forward, 1958-1959: Its Inherent Contradictions
[74] 서적 Chinese Village, Socialist State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75] 학술지 China's Third Five-Year Plan 1966-01-01
[76] 학술지 Mao's "Cultural Revolution": Origin and Development
[77] 학술지 The long-term health and economic consequences of the 1959–1961 famine in China https://www.scienced[...] 2024-04-22
[78] 학술지 Mortality consequences of the 1959–1961 Great Leap Forward famine in China: Debilitation, selection, and mortality crossovers https://www.scienced[...]
[79] 서적 One and All: The Logic of Chinese Sovereignty Stanford University Press
[80] 웹사이트 反右派闘争とは https://kotobank.jp/[...]
[81] 웹사이트 https://www.theguard[...]
[82] 웹사이트 中国の出生数、建国以来最少に 今年から人口減少が始まる可能性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83] 서적 Mao's Great Famine: The History of China's Most Devastating Catastrophe, 1958–62 Walker
[84] 웹사이트 アリババ凋落とトップIT経営者サークル「泰山会」解散が暗示する中国市場「習近平一強」時代の変貌 https://www.fsight.j[...] フォーサイト 2021-03-22
[85] 간행물 プロレタリア文化大革命と中国空軍-秘められた「文革」と「戦闘機」の関係 文林堂 2017-12
[86] 연구논문
[87] 서적 パンチェン・ラマの意見書(「七万言上書」)概要 ランダムハウス講談社
[88] 서적 パンチェン・ラマ伝 平河出版社
[89] 웹사이트 Secret Report by the Panchen Lama Criticises China http://www.tibet.to/[...] TIN News Update 1996-10-05
[90] 서적 (제목 없음)
[91] 서적 餓鬼
[92] 웹사이트 文化大革命とは 毛沢東の権力闘争 https://www.nikkei.c[...] 2021-09-08
[93] 블로그 毛沢東の大飢饉
[94] 웹사이트 中国統計年鑑 2017年版 https://web.archive.[...] honkawa2.sakura.ne.jp
[95] 서적 毛沢東の大飢饉 史上最も悲惨で破壊的な人災 1958-1962 草思社 2011-07-23
[96] 웹사이트 フランク ディケーター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97] 뉴스 毛沢東時代の大飢饉暴いた中国人記者が出国禁止に https://www.zakzak.c[...] 夕刊フジ 2016-04-09
[98] 서적 毛沢東 大躍進秘録 文藝春秋
[99] 웹사이트 毛沢東は「南京大虐殺」とは一度も言わなかった 中国共産党に「歴史認識」を問う資格はない! https://web.archive.[...] www.dailyshincho.jp
[100] 뉴스 この一冊「毛沢東の大飢饉」 日本経済新聞 2011-10-02
[101] 뉴스 歴史的悲劇の裏で進められた「子供たちの洗脳」 https://headlines.ya[...]
[102] 웹사이트 福岡県弁護士会 弁護士会の読書:中国・朝鮮 http://www.asahi.com[...] 2022-01-17
[103] 웹사이트 [オピニオン]「セマウル」と「千里馬」 https://www.donga.co[...] 2006-01-20
[104] 서적 요강
[105] 서적 中国社会主義経済問題研究 蒔暮橋
[106] 서적 『中国年覧』 (출판사 정보 없음) 1986
[107] 서적 『한국은행』 한국은행 1998
[108] 뉴스 中共에 百年來天災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2010-05-01 # 확인날짜
[109] 웹사이트 Twentieth Century Atlas - Death Tolls http://users.erols.c[...]
[110] 뉴스 대약진운동에서 문화대혁명까지, 중국에게 마오란? 2022-10-11
[111] 웹사이트 중국 대약진운동은 어떻게 시작됐나 [홍기훈의 슬기로운 금융생활] http://www.hankyung.[...] The pen 2024-09-18 # 확인날짜
[112] 웹사이트 대약진운동 https://terms.naver.[...] 2024-09-18 # 확인날짜
[113] 뉴스 문화혁명①…참새 잡다 인민 죽인 대약진운동 http://www.atlasnews[...] 아틀라스 2024-09-18 # 확인날짜
[114] 논문 Demographic Consequences of the Great Leap Forward in China's Provinces 1987-12
[115] 서적 Rapid Population Change in China, 1952 - 1982 National Academy Press 1984
[116] 서적 #추정 1991
[117] 논문 Famine in China, 1958-61 1984-12
[118] 서적 China's Changing Popula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7
[119] 서적 Hungry Ghosts: Mao's Secret Famine Holt Paperbacks 1998
[120] 서적 Mao's Great Famine: The History of China's Most Devastating Catastrophe, 1958-62 Walker & Company 2010
[121] 논문 The Fatal Politics of the PRC's Great Leap Famine: The Preface to ''Tombstone'' http://www.tandfonli[...] 2010
[122] 서적 # 추정 Mao: The Unknown Story 2007-10-07
[123] 서적 Mao's Great Famine: The History of China's Most Devastating Catastrophe, 1958-62 Walker & Company 2010
[124] 서적 반조류의 중국 돌베개
[125] 뉴스 "中 대약진운동·문화대혁명, 경제 혼란 가중" [홍기훈의 슬기로운 금융생활] 2023-09-1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