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대전 도시철도 2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대전 도시철도 2호선은 대전광역시 5개 자치구를 순환하는 총 연장 38.8km의 노면전차(트램) 노선으로, 2024년 9월 착공하여 2028년 12월 개통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2001년부터 논의되었으나, 건설 방식 및 예산 문제로 인해 여러 차례 변경을 거쳤다. 2024년 3월 기본계획 변경이 승인되었으며, 수소 트램 34편성을 도입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 도시철도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은 대전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판암역부터 반석역까지 22개 역으로 구성되어 대전 시민의 주요 교통수단이며, 향후 세종시까지 노선이 확장될 계획이다.
  • 대전 도시철도 - 대전 도시철도 3호선
    대전 도시철도 3호선은 신탄진에서 산내동까지 29km를 연결하는 대전광역시 도시철도망 확장 계획 노선으로, 1·2호선 미경유 지역을 포함하며 3·4·5호선 계획 중 가장 많은 이용 수요가 예상된다.
  • 대한민국의 노면전차 - 부산 도시철도 오륙도선
    부산 도시철도 오륙도선은 부산 남구 용호동 일대를 연결할 도시철도 노선으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공모사업 선정 후 2021년 착공 예정이었으나 개통 시기는 미정이다.
  • 대한민국의 노면전차 - 서울 경전철 위례선
    서울 경전철 위례선은 송파구 마천역에서 성남시 복정역을 잇는 본선과 위례역사공원역에서 남위례역을 잇는 지선으로 구성될 예정인 노선으로, 위례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의 일환으로 계획되어 2021년 12월 착공에 들어가 2024년 9월 역명이 확정되었으며, 주변 지역의 대중교통 접근성 향상과 강남 접근성 개선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요즘 화제 -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는 2024년 12월 14일 국회에서 가결된 탄핵소추안으로, 국회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을 거쳐 헌법재판소의 심판을 통해 최종 결정된다.
  • 요즘 화제 - 시리아 내전
    시리아 내전은 2011년 아사드 정권에 대한 반정부 시위에서 시작되어 무력 분쟁으로 확대, 다수 국가 개입과 극단주의 세력 부상으로 국제적인 대리 전쟁 양상을 띠며 수많은 인명 피해와 난민을 발생시켰으나, 2024년 반군 공세로 아사드 정권이 붕괴되며 종식되었다.
대전 도시철도 2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개요
2024년 베를린 이노트란스 박람회에 전시된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
2024년 베를린 이노트란스 박람회에 전시된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
노선 종류도시 철도
운행 상태계획 중
관할대전광역시
운영 기관대전교통공사
개통 예정2029년
노선 번호2
기점서대전역
종점서대전역 (순환선)
노선 색상미정
노선 정보
노선 길이37.4 km
역 수34개
궤간1,435 mm (표준궤)
복선 유무복선
전철화 방식직류 750V 가공 전차선 방식
사용 차량미정 (트램)
신호 방식미정
운영
운영 주체대전교통공사
소유 주체대전광역시
기타 정보
웹사이트미정

2. 노선 개요

2012년 기획재정부한국개발연구원(KDI)에 의뢰한 대전 도시철도 2호선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가 통과되었으나, 기종이 노면전차로 변경되면서 착공이 지연되었다. 2019년에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받았으며, 2024년 9월에 착공하여 2028년 12월 개통 예정이다.

항목내용
사업성격신설
건설기관대전광역시청 대중교통혁신단
차량시스템노면전차(트램)
노선길이38.8km
총사업비1조 5,069억 원



대전 5개 자치구를 순환하는 순환선과 정거장 45개소, 차량기지 1개소로 건설될 예정이다.

2. 1. 사업 개요

2012년 11월 21일 기획재정부한국개발연구원(KDI)에 의뢰한 대전 도시철도 2호선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가 통과되어 대전광역시는 설계를 끝낸 뒤 착공해 2020년부터 2호선을 운행한다는 구상이었으나, 기종이 노면전차로 변경되면서 착공시기가 늦춰지게 되었다. 2019년에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받았다. 2024년 9월에 착공했고, 2028년 12월 개통 예정이다.

항목내용
사업성격신설
건설기관대전광역시청 대중교통혁신단
차량시스템노면전차(트램)
노선길이38.8km
총사업비1조 5,069억 원



대전 5개 자치구를 순환하는 순환선과 정거장 45개소, 차량기지 1개소로 건설될 예정이다.

2. 2. 특징

2호선은 총 연장 38.8km로 대전의 5개 자치구(동구, 중구, 서구, 유성구, 대덕구)를 순환하는 노선이며, 세계에서 가장 긴 노면전차(트램) 노선이다.[12]

3. 연혁

2012년 11월 21일 기획재정부한국개발연구원(KDI)에 의뢰한 대전 도시철도 2호선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가 통과되었으나, 기종이 노면전차로 변경되면서 착공 시기가 늦춰졌다.[13] 2019년에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받았고,[16] 2024년 9월에 착공,[23] 2028년 12월 개통 예정이다.

대전 도시철도 2호선은 대전 5개 자치구를 순환하는 노선으로, 정거장 45개소, 차량기지 1개소로 건설될 예정이다.

구분내용
사업 성격신설
건설 기관대전광역시청 대중교통혁신단
차량 시스템노면전차(트램)
노선 길이38.8km
총 사업비15.069조


3. 1. 초기 계획 (2001년 ~ 2013년)


  • 2001년 9월: "제1차 대전권 광역교통 5개년 계획수립" 공청회에서 교통개발연구원이 대전 도시철도 2호선(순환선) 건설을 제안하였다.
  • 2001년 12월: 제1차 지방5대도시권 광역교통5개년계획(2001/12, 건설교통부)에 완공목표 미정으로 포함되었다.
  • 2003년 6월 22일: 건설교통부 고시에 의거, 2호선 경전철 건설사업 예비 타당성 조사를 신청하였다.
  • 2003년 11월: 기획예산처가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으로 선정하였다.
  • 2003년 12월: 한국개발연구원 의뢰로 예비타당성 조사가 착수되었다.
  • 2003년 12월 15일: 대전시청에서 대전 도시철도 2호선 기본계획 및 노선 재검토가 결정되었다.
  • 2006년 12월: 기획예산처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B/C(비용대비편익) = 0.73, AHP(종합분석) = 0.312로 경제성이 낮게 평가되었다.
  • 2011년: 1호선과 X축으로 건설하려던 2호선은 신탄진을 통과하는 충청권 광역철도 구축사업 확정으로 순환형 재검토가 이루어졌다.
  • 2012년 11월 21일: 한국개발연구원은 대전 도시철도 2호선에 대한 예비타당성 분석 결과 B/C(비용대비편익) 0.91, AHP(종합분석) 0.508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13]
  • 2013년: 민관정위원회에서 자기부상열차로 추진하기로 결정되었고, 지상고가 방식과 노면 방식 모두 반대 의견이 있어 여론 수렴을 하기로 하였다.

3. 2. 기종 변경 및 사업 추진 (2014년 ~ 현재)

2014년 4월 16일, 염홍철 시장은 자기부상열차를 기종으로 발표하고 자양로 등 일부 구간은 지하화하기로 확정했다.[14] 그러나 2014년 12월 4일, 민선 6기 권선택 시장이 취임하면서 공약에 따라 노면전차(트램)로 기종을 변경했다.[5]

2016년 4월 28일, 대전광역시는 스마트트램 시범노선 건설 계획과 노선 계획을 발표했다.[15] 2019년 1월에는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대상에 포함되어 사업 추진에 탄력을 받았다.[16]

2020년 12월, 기본 및 실시설계가 발주 및 착수되었다. 2021년 5월 26일에는 대전역을 경유하도록 노선이 변경되었으며,[17] 2021년 12월 13일에는 갑천변 정류장들을 광장 형태로 건설하는 방안이 연구되기 시작했다.[18]

2022년 2월 21일, 대전교도소 이전을 위한 협상이 진행될 예정이었다. 2022년 2월 28일에는 가선+배터리 방식으로 급전 방식이 확정되고, 정류장 10곳이 추가될 예정임이 발표되었다.[19] 2022년 6월 17일, 사업비 증가로 인해 기본계획 변경 및 총사업비 조정이 추진되면서 개통이 2027년에서 2028년으로 연기되었다.[20]

2023년 4월 23일, 수정 보완된 트램 건설 계획 예산이 중앙부처 심의를 통과했다.[21] 2023년 9월 11일, 실시설계 용역을 구간별로 분할할 계획이 발표되었다.[22]

2024년 2월 1일, 대전광역시는 "2호선 지선" 추진을 요청했고, 2024년 2월 4일에는 3월에 차량 제작을, 5월에 철도 노선, 정류장, 차량기지 건설을 발주한다고 발표했다. 2024년 3월 5일, 기획재정부는 예산 증액, 노선 변경, 정거장 추가, 일부 구간 지하화, 수소트램 선정 등을 포함한 대전시의 기본계획 변경을 승인했다. 2024년 4월 1일, 도시철도 2호선 트램 지선(연축지구~회덕역, 진잠네거리~교촌삼거리) 추진이 발표되었다.

2024년 7월 1일, 대전광역시는 구간을 14개로 분리 발주하여 지역 업체 참여를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2024년 7월 25일, 현대로템과 수소트램 34편성 차량제작 계약이 체결되었다. 2024년 9월 착공 예정이다.[23]

4. 상세 노선

대전광역시 누리집에서 제공하는 정거장 위치 자료[24]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역 위치는 대전 도시철도 2호선 건설공사 사업계획 기준이다.[25]

4. 1. 본선

대전광역시 누리집에서 제공하는 정거장 위치 자료[24]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역 위치는 대전도시철도 2호선 건설공사 사업계획 기준.[25]

대전 도시철도 2호선 본선
역 번호역명연계 교통영업 거리 (km)위치비고
201서대전역서대전역: 호남선 (KTX,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충청권 광역철도)0km중구오류동지하역
202서대전41호선0.48km
203대사1.09km대사동
204대흥2.285km
205인동3.34km동구인동
206대전역(중앙시장)대전역: 경부고속선, 경부선 (KTX, SRT,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충청권 광역철도 옥천 방면), 1호선4.168km원동
207대전역(혁신도시)5.085km신안동
208대동1호선5.885km대동
209자양6.625km자양동
210가양7.815km가양동
211동부대전복합터미널8.8km용전동
212중리연축지선9.43km
213한남대10.14km대덕구중리동
214오정충청권 광역철도 본선, 옥천지선10.725km
215농수산물시장11.83km오정동
216둔산12.815km서구둔산동
217샘머리공원13.59km
218정부청사1호선14.215km
219월평14.874km월평동
220만년15.608km만년동
221엑스포과학공원16.39km유성구가정동
222카이스트18.016km구성동
223유성구청19.229km어은동
224충남대20.144km궁동
225유성온천1호선21.149km봉명동
226상대21.822km상대동
227원골22.378km
228시립박물관23.234km
229목원대23.845km용계동
230용계24.673km
231대정25.416km대정동
232원앙26.244km서구관저동
233관저4진잠지선27.099km
234관저27.746km
235가수원28.505km가수원동
236정림29.81km정림동
237복수충청권 광역철도30.81km도마동
238도마31.5km
239유천대전서남부터미널32.26km중구유천동
240유천432.79km
201서대전역서대전역: 호남선 (KTX,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충청권 광역철도)33.737km오류동지하역


  • 미개통 역명은 가칭이다.

4. 2. 연축지선

Daejeon Metro Line 2영어 연축지선은 동구 용전동에 있는 중리역에서 대덕구 연축동 연축역까지를 잇는 대전 도시철도 2호선의 지선 구간이다.

Daejeon Metro Line 2영어 연축지선
역번호역명연계 교통영업 거리 (km)위치비고
212중리본선0km동구용전동
241법동0.88km대덕구중리동
242동부여성가족원1.7km법동
243읍내2.17km읍내동
244연축3.784km연축동


  • 미개통 역명은 가칭이다.

4. 3. 진잠지선

본선과의 분기점인 관저4역(233)을 포함하여 진잠지선의 역 정보는 다음과 같다.

역번호역명연계 교통영업 거리 (km)위치비고
233관저4본선0.000서구관저동
245진잠1.143


  • 미개통 역명은 가칭이다.

5. 차량

현대로템이 제작하는 수소 트램이 사용될 예정이다. 한 번 충전으로 200km 이상 주행이 가능하며, 완전 무가선 방식으로 건설되어 도심 내 전력 공급선 설치가 필요 없다.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운행 과정에서 미세먼지를 정화하고 대기 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12] 현대로템은 2026년 하반기에 최초 1편성을 시작으로 2028년 상반기까지 순차적으로 총 34편성을 제작, 납품할 예정이다.[26]

2024년 12월 11일 착공식에서 수소트램 디자인 초안이 공개되었다. 전문가 자문, 시민 선호도 조사 등을 거쳐 최종 디자인은 2025년 2월경 확정될 예정이다.[27]

6. 논란

대전 도시철도 2호선은 차종 선정 과정에서 여러 논란을 겪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인 '차종 선정 과정 논란'을 참조하면 된다.

6. 1. 차종 선정 과정 논란

대전 시민들은 1호선처럼 지하철로 건설할 것을 요구하였지만, 지하철은 건설 비용이 많이 들고 대전시가 충분한 국비를 확보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지상고가 방식으로 잠정 결정되어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를 받았고 통과되었다.

그러나 일부 시민단체 등에서 지상고가 방식이 도시 미관을 훼손할 수 있다고 보아 트램 방식을 주장하였고, 권선택 시장은 2014년 12월 4일 기존 자기부상열차 대신 트램으로 기종을 변경하겠다고 시민들에게 발표하였다. 노면 트램 방식으로 변경하려면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를 다시 통과해야 하며, 이를 위한 대전 도시철도 2호선 기본계획도 국토교통부 사업 승인을 다시 받아야 한다.

2019년에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대상에 포함되었다.

7. 기타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호선 건설 사업을 추진하면 생산 유발 효과 2.459조, 부가가치 유발 효과 9.808조, 고용 유발 효과 11,698명, 취업 유발 효과 16,190명 등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하였다.[12]

참조

[1] 웹사이트 [지방면톱] 대전 지하철 5개노선 101km 확정 https://www.hankyung[...] 1995-01-26
[2] 웹사이트 대전도시철도 2호선 자기부상열차 주목 http://www.mcnews.co[...] 2014-04-14
[3] 웹사이트 [2012년 10대뉴스/1위] 대전도시철도 2호선 건설사업 예비타당성 통과 https://daejeonstory[...] 2012-12-18
[4] 웹사이트 대전도시철도 2호선 https://www.kdi.re.k[...] 2012-10-31
[5] 웹사이트 대전도시철도 2호선, 노면 트램으로 최종 결정 https://www.daejeon.[...] 2014-12-04
[6] 웹사이트 도시의 틀 바꿀 트램! 시범노선 2020년까지 완공한다 https://www.daejeon.[...]
[7] 웹사이트 대전도시철도 2호선 차질 빚나…예비타당성조사 유효기간 만료 https://www.yna.co.k[...] 2018-04-27
[8] 웹사이트 대전지하철 2호선 트램 신규 예타 대신 타당성재조사 받는다 http://cnews.co.kr/m[...] 2018-01-04
[9] 웹사이트 정부, 국가균형발전 위해 24조원대 23개 사업 예타면제(종합) https://www.yna.co.k[...] 2019-01-29
[10] 웹사이트 대전도시철도2호선, KDI 적정성 검토 통과 http://www.gisulin.k[...] 2019-08-26
[11] 뉴스 대전 ‘트램’ 타당성 재조사 결과 발표… ‘모락모락’ http://m.cctoday.co.[...]
[12] 뉴스인용 '세계 최장 대전 트램(38.8㎞)'...2028년 개통한다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4-12-11
[13] 뉴스 대전도시철도 2호선 예타 통과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12-11-21
[14] 뉴스 대전도시철도2호선 '고가 자기부상열차' 확정 https://news.naver.c[...] 뉴스1 2014-04-16
[15] 뉴스 대전에 '노면전차' 놓인다…2개 시범노선 발표(종합)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04-28
[16] 뉴스 [예타면제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 표류 마침표…본궤도 올라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2019-01-29
[17] 뉴스 도시철도 2호선 '대전역 경유' 노선 개선 https://www.daejeon.[...] 대전광역시청 2021-05-26
[18] 뉴스 대전시 트램 정거장 특화 시도하나… 유동인구 고려한 대규모 광장형 정거장 ‘계획중’ https://www.joongdo.[...] 중도일보 2021-12-12
[19] 뉴스 대전 도시철 2호선 트램 '유·무선 혼용' 추진 https://m.hankookilb[...] 한국일보 2022-02-28
[20] 뉴스 ‘백지화 위기’ 대전 트램, 첫 단추부터 잘못 뀄다 https://www.cctoday.[...] 충청투데이 2022-06-20
[21] 뉴스 대전 트램, 내년 상반기 착공… 계획보다 6개월 빨라진다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23-04-24
[22] 뉴스 대전 트램 발주, 공구 세분화 관심 집중 https://www.daejonil[...] 대전일보 2023-09-11
[23] 뉴스인용 대전도시철도 2호선 9월 첫삽…총사업비 1조5천69억원(종합)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4-08-29
[24] 웹사이트 대전도시철도 2호선 정거장 상세 위치 https://www.daejeon.[...]
[25] 간행물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고시 제2024-11호 https://gwanbo.go.kr[...] 대한민국관보 2024-11-29
[26] 뉴스인용 대전 수소트램 사업 본격화…"2028년 개통 목표 10월 첫삽" https://www.hankyung[...] 한국경제 2024-08-26
[27] 뉴스인용 대전 숙원 도시철도2호선 수소트램, 28년 만에 첫 삽…3개 공구 순차적 착공 https://www.segye.co[...] 세계일보 2024-12-1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