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고속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부고속선은 대한민국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고속철도 노선으로, 1992년 착공하여 2004년 1단계 구간(시흥연결선~대구북연결선) 개통을 시작으로 2010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후 건천연결선, 대전·대구 도심 구간이 추가 개통되었으며, 2022년 서대구역이 영업을 시작했다. 2023년에는 신경주역이 경주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고, 평택역~오송역 구간의 복선화가 추진 중이다. 노선은 표준궤를 사용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주식회사 SR이 운영하며, KTX, SRT 등 다양한 열차가 운행된다. 경부고속선은 시흥연결선, 대전남연결선, 대구북연결선, 건천연결선 등 4개의 연결선을 포함한 8개의 지선 철도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고속철도 노선 - 호남고속선
호남고속선은 오송역에서 광주송정역을 연결하는 고속철도 노선으로, 2015년 오송~광주송정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현재 KTX와 SRT가 운행되고, 2025년 광주송정~목포 구간 개통을 목표로 건설 중이다. - 200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부고속철도
경부고속철도는 서울과 부산을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90년 건설 계획 결정 후 3단계에 걸쳐 건설되어 2015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프랑스 TGV 기술 도입으로 서울-부산 간 소요시간을 단축하고 KTX 열차 운행을 통해 전국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핵심 교통망이 되었다. - 200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대불선
대불선은 2004년 대불국가산업단지 개발 계획에 의해 건설되어 일로역과 대불역을 운영하며 총 12.0km 구간을 한국철도공사에서 관리하는 철도 노선이다. - 철도 정보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철도 정보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경부고속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종류 | 간선철도 (고속철도) |
상태 | 영업 중 |
기점 | 시흥연결선 (경부고속선) (서울특별시 금천구) |
종점 | 부산역 (부산광역시 동구) |
역 수 | 9 |
노선 번호 | 101 |
개통일 | 1단계(서울 ~ 동대구): 2004년 4월 1일 2단계(동대구 ~ 부산): 2010년 11월 1일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SR |
영업 거리 | 본선: 346.4 km 시흥연결선: 1.5 km 대전남연결선: 4.2 km 대구북연결선: 3.5 km 건천연결선: 3.3 km |
궤간 | 1,435 mm |
선로 | 2 (쌍단선) |
전철화 |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
신호 | TVM430 |
영업 최고 속도 | ATS/ATP 구간 300 km/h |
설계 최고 속도 | 430 km/h (동대구~부산 350 km/h) |
2. 연혁
- 1992년 6월 30일: 경부고속철도 기공식이 열렸다.[2]
- 1999년 12월 16일: 시험선 34km 구간이 개통되었다.[3]
- 2004년 4월 1일: 1단계 사업 구간인 시흥연결선~대구북연결선 구간이 개통되었다.[4]
- 2010년 8월 26일: 2단계 사업 구간인 대구북연결선~부산연결선 구간 및 오송역, 김천(구미)역이 철도거리표에 등재되었다.[5]
- 2010년 11월 1일: 대구북연결선~부산연결선 구간 및 오송역, 김천(구미)역이 개통되었다.[6]
- 2015년 2월 24일: 건천연결선 사용개시가 고시되었다.[7]
- 2015년 4월 2일: 건천연결선이 개통되었다.
- 2015년 7월 6일: 대전·대구도심구간 사용개시가 고시되었다.[8]
- 2015년 8월 1일: 대전·대구도심구간이 개통되었다.
- 2021년 11월 24일: 대전북연결선이 착공되었다.[9]
- 2022년 3월 31일: 서대구역 영업이 개시되었다.[10]
- 2023년 2월 5일: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역명심의위원회 심의 결과 '''신경주역 → 경주역'''으로 역명 변경이 확정되었다.[11]
- 2023년 6월 1일: 평택역 ∼ 오송역 구간 2복선화가 착공되었다.
- 2028년: 평택역 ∼ 오송역 구간 2복선화가 개통될 예정이다.
2. 1. 건설 과정
1992년 6월 30일, 경부고속철도 기공식이 열렸다.[2] 1999년 12월 16일에는 시험선 34km 구간이 개통되었다.[3] 2004년 4월 1일에는 1단계 사업 구간인 시흥연결선~대구북연결선 구간이 개통되었다.[4]2010년 8월 26일에는 2단계 사업 구간인 대구북연결선~부산연결선 구간과 오송역, 김천(구미)역이 철도거리표에 등재되었으며,[5] 같은 해 11월 1일에 개통되었다.[6]
2015년 2월 24일에는 건천연결선 사용개시가 고시되었고,[7] 같은 해 4월 2일에 개통되었다. 2015년 7월 6일에는 대전·대구도심구간 사용개시가 고시되었으며,[8] 8월 1일에 개통되었다.
2021년 11월 24일에는 대전북연결선이 착공되었고,[9] 2022년 3월 31일에는 서대구역이 영업을 개시했다.[10] 2023년 2월 5일,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역명심의위원회 심의 결과 '''신경주역 → 경주역'''으로 역명 변경이 확정되었다.[11]
2023년 6월 1일에는 평택역 ∼ 오송역 구간 2복선화가 착공되었으며, 2028년에 개통될 예정이다.
2. 2. 1단계 개통 (서울-대구)
1992년 6월 30일 경부고속철도 기공식이 열렸다.[2] 1999년 12월 16일에는 시험선 34km 구간이 개통되었고,[3] 2004년 4월 1일에는 1단계 사업 구간인 시흥연결선~대구북연결선 구간이 개통되었다.[4]2. 3. 2단계 개통 (대구-부산)
2010년 8월 26일 2단계 사업구간인 대구북연결선~부산연결선 구간과 오송역, 김천(구미)역이 철도거리표에 등재되었고,[5] 2010년 11월 1일에는 해당 구간과 역들이 개통되었다.[6]2. 4. 추가 개통 및 변경
- 1992년 6월 30일 : 경부고속철도 기공식[2]
- 1999년 12월 16일 : 시험선 34km 구간 개통[3]
- 2004년 4월 1일 : 1단계 사업구간인 시흥연결선~대구북연결선 구간 개통[4]
- 2010년 8월 26일 : 2단계 사업구간인 대구북연결선~부산연결선 구간 및 오송역, 김천(구미)역 철도거리표 등재[5]
- 2010년 11월 1일 : 대구북연결선~부산연결선 구간 및 오송역, 김천(구미)역 개통[6]
- 2015년 2월 24일 : 건천연결선 사용개시 고시[7]
- 2015년 4월 2일 : 건천연결선 개통
- 2015년 7월 6일 : 대전·대구도심구간 사용개시 고시[8]
- 2015년 8월 1일 : 대전·대구도심구간 개통
- 2021년 11월 24일 : 대전북연결선 착공[9]
- 2022년 3월 31일 : 서대구역 영업 개시.[10]
- 2023년 2월 5일 :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역명심의위원회 심의 결과 '''신경주역 → 경주역'''으로 역명 변경 확정[11]
- 2023년 6월 1일 : 평택역 ∼ 오송역 구간 2복선화 착공.
- 2028년 : 평택역 ∼ 오송역 구간 2복선화 개통 예정.
2. 5. 향후 계획
2023년 6월 1일: 평택역~오송역 구간 2복선화 착공.2028년: 평택역~오송역 구간 2복선화 개통 예정.
3. 운영
경부고속선에는 KTX가 운행된다.
3. 1. 운행
경부고속선에는 KTX가 운행된다.3. 2. 차량
경부고속선에는 다음과 같은 차량이 운행된다.4. 노선 정보
경부고속선은 국가철도공단이 소유하고 한국철도공사, 주식회사 SR이 운영하는 고속철도 노선이다. 영업거리는 398.2km, 노선번호는 101번이며,[12] 궤간은 1,435mm (표준궤)이다. 역 수는 9개[12], 선로는 단선병렬(T1, T2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철화 구간은 교류 25,000V 60Hz이며, 신호보안장치는 TVM430 / ATP, ATS (연결선에 한함)를 사용한다.
5. 지선 노선
경부고속선에는 시흥연결선, 대전남연결선, 대구북연결선[13], 건천연결선을 포함해 총 8개의 지선 철도가 있으며, 이들은 경부고속본선과 같은 규격으로 주변 철도를 연결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번호 | 노선 명칭 | 기점 | 종점 | 연장(km) | 비고 |
---|---|---|---|---|---|
10101 | 시흥연결선 | 금천구청역 | 광명역 | 1.5 | |
10102 | 대전남연결선 | (경부선) | (경부고속선) | 4.2 | 경부선 옥천역 부근에서 분기 |
10103 | 대구북연결선 | (경부선) | (경부고속선) | 3.5 | 경부선 신동역 부근에서 분기 |
10104 | 광명주박기지선 | 광명역 | 광명기지 | 1.4 | |
10105 | 오송정비기지선 | 오송역 | 오송기지 | 0.3 | |
10106 | 영동정비기지선 | (경부고속선) | 영동기지 | 0.1 | 경부선 심천역 부근에서 분기 |
10107 | 건천연결선 | (경부고속선) | 모량역 | 3.3 | 동해선 모량역 부근에서 분기 |
5. 1. 개요
경부고속선에는 시흥연결선, 대전남연결선, 대구북연결선[13], 건천연결선 등 4개의 연결선을 포함해 총 8개의 지선철도가 있다. 이들은 경부고속본선과 같은 규격으로 주변 철도를 연결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2015년 8월 1일 대전/대구도심구간 개통과 함께 대전북연결선, 대구남연결선, 부산연결선은 경부고속본선에 통합되었고, 대전남연결선과 대구북연결선은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2022년 3월 31일 서대구역이 개통하면서 서대구역에 정차하는 KTX, SRT 열차가 대구북연결선을 경유하게 되었다. 대전남연결선은 영구 폐선 대신 레일바이크 운용 사업이 추진될 예정이었으나, 옥천군 주민들의 거센 항의로 계획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전체 지선 목록은 다음과 같다.
노선 명칭 | 기점 | 종점 | 연장(km) | 비고 |
---|---|---|---|---|
시흥연결선 | 금천구청역 | 광명역 | 1.5 | |
대전남연결선 | (경부선) | (경부고속선) | 4.2 | 경부선 옥천역 부근에서 분기 |
대구북연결선 | (경부선) | (경부고속선) | 3.5 | 경부선 신동역 부근에서 분기 |
광명주박기지선 | 광명역 | 광명기지 | 1.4 | |
오송정비기지선 | 오송역 | 오송기지 | 0.3 | |
영동정비기지선 | (경부고속선) | 영동기지 | 0.1 | 경부선 심천역 부근에서 분기 |
건천연결선 | (경부고속선) | 모량역 | 3.3 | 동해선 모량역 부근에서 분기 |
5. 2. 목록
경부고속선에는 '''시흥연결선''', '''대전남연결선''', '''대구북연결선'''[13], '''건천연결선'''을 포함해 총 8개의 지선철도가 있으며, 이들은 경부고속본선과 같은 규격이고 주변 철도를 연결하기 위해 설치된 구간이다. 2015년 8월 1일 대전/대구도심구간 개통과 함께 대전북연결선, 대구남연결선, 부산연결선은 경부고속본선에 통합되었고 대전남연결선과 대구북연결선은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2022년 3월 31일 서대구역 개통으로 서대구역에 정차하는 KTX, SRT 열차가 대구북연결선을 경유하게 되었다. 대전남연결선은 영구 폐선 대신 레일바이크 운용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옥천군 주민들의 항의로 계획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전체 지선 목록은 다음과 같다.
번호 | 노선 명칭 | 기점 | 종점 | 연장(km) | 비고 |
---|---|---|---|---|---|
10101 | 시흥연결선 | 금천구청역 | 광명역 | 1.5 | |
10102 | 대전남연결선 | (경부선) | (경부고속선) | 4.2 | 경부선 옥천역 부근에서 분기 |
10103 | 대구북연결선 | (경부선) | (경부고속선) | 3.5 | 경부선 신동역 부근에서 분기 |
10104 | 광명주박기지선 | 광명역 | 광명기지 | 1.4 | |
10105 | 오송정비기지선 | 오송역 | 오송기지 | 0.3 | |
10106 | 영동정비기지선 | (경부고속선) | 영동기지 | 0.1 | 경부선 심천역 부근에서 분기 |
10107 | 건천연결선 | (경부고속선) | 모량역 | 3.3 | 동해선 모량역 부근에서 분기 |
5. 3. 각 연결선 상세 정보
경부고속선은 '''시흥연결선''', '''대전남연결선''', '''대구북연결선'''[13], '''건천연결선'''의 4개 연결선을 포함한다. 이들은 경부고속본선과 같은 규격으로 주변 철도를 연결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2015년 8월 1일 대전·대구 도심 구간 개통과 함께 대전북연결선, 대구남연결선, 부산연결선은 경부고속본선에 통합되었고, 대전남연결선과 대구북연결선은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2022년 3월 31일 서대구역 개통으로 서대구역에 정차하는 KTX, SRT 열차가 대구북연결선을 경유하게 되었다. 대전남연결선은 영구 폐선 대신 레일바이크 운용 사업이 추진 중이나, 옥천군 주민들의 반대로 계획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전체 지선 목록은 다음과 같다.
번호 | 노선 명칭 | 기점 | 종점 | 연장(km) | 비고 |
---|---|---|---|---|---|
10101 | 시흥연결선 | 금천구청역 | 광명역 | 1.5 | |
10102 | 대전남연결선 | (경부선) | (경부고속선) | 4.2 | 경부선 옥천역 부근에서 분기 |
10103 | 대구북연결선 | (경부선) | (경부고속선) | 3.5 | 경부선 신동역 부근에서 분기 |
10107 | 건천연결선 | (경부고속선) | 모량역 | 3.3 | 동해선 모량역 부근에서 분기 |
'''시흥연결선'''은 금천구청역과 광명역 사이의 연결선이다. 국토교통부 한국철도영업거리표상 노선 번호는 10101이다.
'''대전남연결선'''은 충청북도 옥천군에 있는 연결선이다. 옥천역 동측에서 경부본선과 경부고속본선을 연결하기 위해 설치되었으나, 2015년 8월 1일 대전 도심 고속선 개통 이후 사용하지 않는다. 2024년 정부 예산에 철거비 70억원이 반영되어 철거될 예정이다.[14] 국토교통부 한국철도영업거리표상 노선 번호는 10102이다.
'''대구북연결선'''은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에 있는 연결선이다. 신동역 남측에서 경부본선과 경부고속본선을 동대구역까지 연결하기 위해 설치되어, 모든 고속열차가 대구 도심 구간 전용선 개통 이전까지 이 연결선을 이용했다. 2015년 8월 1일 대구 도심 구간 고속 전용선 개통으로 고속열차가 서대구역 부지 지하로 진입해 방천터널을 통과하도록 변경되면서 한동안 이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2022년 3월 31일 서대구역 개통으로 일부 KTX 및 SRT가 배선 문제로 방천터널에 진입할 수 없어 해당 연결선을 다시 이용한다. 국토교통부 한국철도영업거리표상 노선 번호는 10103이다.
'''건천연결선'''은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연결선이다. 국토교통부 한국철도영업거리표상 노선 번호는 10107이며, 포항행 고속열차가 이 선로를 이용한다.
6. 역 목록
거리
거리
(온양온천)
(溫陽溫泉)
(Onyangonch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