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전선은 대전역과 서대전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으로, 경부선과 호남선을 연결한다. 대전광역시를 지나며, 2004년 호남선에서 분리되었다. 과거에는 오정선, (구)대전선으로 불리기도 했다. 2019년 4월 17일 철도 노선번호가 30209로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선 - 서대전역
1936년 개업한 서대전역은 호남선의 분기점으로서, 대전시 성장과 함께 발전하여 호남선 복선화 이후 주요 경유지가 되었고, KTX 개통 후 신축되어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거점역이 되었으며, 현재는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열차의 주요 연결 역할을 수행하고 대전 도시철도 1호선과도 인접해 있다. - 191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원선
경원선은 일제강점기에 개통된 서울과 원산을 잇는 철도 간선으로, 광복 후 남북 분단으로 인해 현재는 남한 구간만 운행 중이며, 남북 관계 개선에 따라 북한 구간 운행 재개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 191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우에쓰 본선
우에쓰 본선은 니가타현 니쓰역에서 아키타현 아키타역까지 총 274.4km를 운행하는 동일본 여객철도 노선으로, 특급 열차 등을 포함한 다양한 열차가 운행하며, 1912년부터 1924년 사이에 개통되어 1972년에 전철화되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경원선
경원선은 일제강점기에 개통된 서울과 원산을 잇는 철도 간선으로, 광복 후 남북 분단으로 인해 현재는 남한 구간만 운행 중이며, 남북 관계 개선에 따라 북한 구간 운행 재개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병점기지선
병점기지선은 경기도 화성시 병점역과 오산시 서동탄역을 잇는 2.2km의 한국철도공사 노선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되며, 향후 동탄인덕원선 및 수도권고속철도와의 연결이 추진 중이다.
대전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 이름 | 대전선 |
로마자 표기 | Daejeon Seon |
한글 표기 | 대전선 |
한자 표기 | 大田線 |
일본어 표기 | たいでんせん |
영어 표기 | Daejeon Line |
종류 | 지선 철도 |
국가 | 대한민국 |
상태 | 운행 중지 |
기점 | 대전역 (대전광역시 동구) |
종점 | 서대전역 (대전광역시 중구) |
역 수 | 2 |
노선 번호 | 30209 |
개통일 | 1911년 7월 10일 |
소유자 | 국가철도공단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
실 거리 | 5.7 km |
궤간 | 1,435 mm |
선로 | 단선 |
전철화 |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볼트 60 Hz |
신호 | ATS |
노선도 | |
역 목록 (대전역 - 서대전역) | |
역 이름 | 대전역 |
역 이름 | 서대전역 |
2. 역사
대전선은 원래 호남선의 일부였으나, 운행 효율성을 위해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대전역에서 출발하여 호남선 광주로 가는 무궁화호 열차 1왕복과 경부선 방면에서 호남, 전라선 방면으로 가는 정기 화물열차 4왕복이 이 노선을 운행했었다. 그러나 2013년 1월부터 2014년 2월까지 경부고속철도 대전도심구간 공사로 운행이 중지되었고, 이후 서대전역에서 시종착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2017년 7월부터 홍도육교 철거 및 지하차도 재시공으로 선로가 폐쇄되었다.[2] 2019년 4월 17일 철도 노선번호 전면 개편에 따라 '''30209'''로 변경되었다.[2] 현재 대전선을 통과하는 정기 여객 열차는 운행되지 않는다.
2. 1. 호남선 건설과 오정선
호남선 건설 당시에는 대전역에서 분기되었기 때문에, 이 노선은 원래 호남선의 일부였다. 경부선을 통해 대전역으로 온 열차가 서울 방향으로 올라가려면 대전역에서 기관차를 돌려야 했다. 따라서 지금은 없어진 오정역[1]-서대전역 간을 이어주는 단선 노선 '''오정선'''을 건설하였다. 1978년 1월 호남선 복선화 공사의 준공과 함께 오정선은 폐선되고, 대전조차장에서 분기하는 (구)대전선이 신설되었다. 그러나 호남선·전라선으로 가는 대부분의 열차가 경부선에서 오정선(이후 (구)대전선)을 경유하는 운행 실태를 반영하여 2004년 4월 1일 대전-서대전 간을 현재의 대전선으로 분리하고 (구)대전선을 호남선에 편입시켰다. 그리고 호남선에 전철화 공사를 할 때 같이 전철화가 되었다.2. 2. (구)대전선 건설과 호남선 복선화
1978년 1월 호남선 복선화 공사가 완료되면서 기존 오정선은 폐지되고, 대전조차장에서 분기하는 (구)대전선이 새로 건설되었다.[1] 이는 경부선을 통해 대전역으로 온 열차가 서울 방향으로 올라갈 때 기관차를 돌려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한 조치였다. 이후 호남선과 전라선으로 가는 대부분의 열차가 경부선에서 (구)대전선을 경유하는 운행 형태가 굳어졌다.2. 3. 대전선 분리와 전철화
2004년 4월 1일 KTX 개통에 맞춰, 노선명과 운행 형태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대전-서대전 간을 현재의 대전선으로 분리하고 (구)대전선을 호남선에 편입시켰다.[2] 호남선 전철화 공사 때 함께 전철화가 이루어졌다.원래 호남선의 시점은 개업 이래로 대전역이었으며, 대전 - 서대전 간은 호남선의 일부였다. 그러나 경성(현재의 서울)과 목포를 잇는 직통 열차는 대전역에서 운행 방향을 바꿔야 했기 때문에 기관차를 교체하는 작업이 필요하여 불편했다. 이 때문에 1944년에 오정역(현재는 폐지)과 서대전역 사이에 단선의 단락선인 오정선이 건설되었다. 1978년 1월, 호남선의 복선화 공사 준공에 따라 오정선은 폐지되었고, 대신 대전차량기지 - 서대전역 간이 개통되어 (구)'''대전선'''이라 불렸다. (구) 대전선 개통 이후에는 대부분의 열차가 대전 - 서대전 간(호남선)을 경유하지 않고 대전차량기지 - 서대전역 간(대전선)을 통과하는 운행 형태가 고정되었다.
이후 2004년 4월 1일 KTX 개통에 맞춰, 노선명과 운행 형태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노선명을 바꾸는 형태로 변경이 이루어졌다. 호남선의 시점은 대전차량기지가 되었고, 대전차량기지 - 서대전역 간의 (구) 대전선이 호남선에 편입되는 한편, 호남선의 일부였던 대전 - 서대전 간이 '''대전선'''으로 되었다. 또한, 같은 시기에 호남선과 함께 전철화가 이루어졌다.
2. 4. 운행 중단과 재개
대전역에서 착발하는 호남선 광주행 무궁화호 열차 1왕복과 경부선 방면과 호남, 전라선 방면을 오가는 정기 화물열차 4왕복이 이 노선을 운행하고 있었으나, 2013년 1월부터 2014년 2월까지 14개월간 경부고속철도 대전도심구간 공사로 이 노선으로의 운행이 중지되었다. 이 기간 동안 화물열차는 대전조차장역으로 우회하여 운행하였으며 여객열차는 서대전역에서 시종착하였다. 2015년 4월 2일부터는 서대전역에서 다시 시종착한다.2017년 7월부터 홍도육교 철거 및 지하차도 재시공으로 선로가 폐쇄되었다.[2]
2. 5. 노선 번호 변경
2019년 4월 17일 철도 노선번호 전면 개편에 따라 대전선은 '''30209'''로 변경되었다.[2]3. 역 목록
거리(km)
거리(km)
경부고속선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대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