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광주광역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 광주광역시에서는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후보가 97.28%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승리했다. 김대중 후보는 광주광역시 모든 지역구에서 95%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는 1%대, 국민신당 이인제 후보는 0%대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이러한 결과는 5.18 민주화운동의 정신을 계승하고 민주주의를 향한 광주 시민들의 열망이 김대중 후보에게 집중된 것으로 해석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광역시의 대통령 선거 결과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광주광역시
2017년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광주광역시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59.89%의 압도적인 지지율로 1위를 차지했으며, 이는 최순실 게이트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광주시민들의 개혁 요구가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 광주광역시의 대통령 선거 결과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광주직할시
1987년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광주직할시에서는 김대중 후보가 94.41%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며 광주 민주화 운동 이후 호남, 특히 광주에서의 높은 지지율을 입증했고 노태우, 김영삼, 김종필 후보가 그 뒤를 이었다.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결과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대전광역시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대전광역시 선거에서 김대중 후보가 45.02%를 얻어 1위를 차지하며 대전광역시에서 처음으로 승리했다.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결과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강원도
강원도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김대중 후보가 46.4%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으며 동해시, 태백시 등 14개 시군에서, 이회창 후보는 횡성군에서 높은 득표율을 보였다.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 DJP연합
DJP연합은 1997년 대선을 앞두고 김대중, 김종필 두 총재가 대통령 후보 단일화와 공동 정부 구성을 목표로 추진한 정치적 연합으로, 내각제 개헌을 약속했으나 불이행과 정책 갈등으로 2001년 파기되었으며, 지역주의 극복과 정권 교체에 기여했다는 평가와 함께 정략적 결합이라는 비판도 받는다.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 이인제
이인제는 충남 논산 출신으로 서울대 법대를 졸업하고 판사, 변호사, 6선 국회의원, 노동부 장관, 경기도지사 등을 역임하며 다양한 정당을 거쳐 '피닉제'라는 별명을 얻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광주광역시 | |
---|---|
선거 정보 | |
선거명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광주광역시 |
국가 | 대한민국 |
유형 | 대통령 |
정당명 | no |
정당색 | yes |
이전 선거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광주직할시 |
이전 선거 연도 | 1992년 |
선거일 | 1997년 12월 18일 |
차기 선거 |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 광주광역시 |
차기 선거 연도 | 2002년 |
후보 정보 | |
![]() | |
후보 | 김대중 |
정당 | 새정치국민회의 |
득표수 | 754,159 |
득표율 | 97.28% |
선거 결과 | |
직책 | 대통령 |
선거 전 | 김영삼 |
선거 전 정당 | 무소속 |
선거 후 | 김대중 |
선거 후 정당 | 새정치국민회의 |
2. 광주광역시 개표 결과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후보가 광주광역시 모든 지역에서 97% 이상의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하였다.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는 1%대, 국민신당 이인제 후보는 0%대의 득표율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2. 1. 전체 결과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대중 | 새정치국민회의 | 754,159 | 97.28 |
이회창 | 한나라당 | 13,294 | 1.71 |
이인제 | 국민신당 | 5,181 | 0.66 |
권영길 | 국민승리21 | 1,478 | 0.19 |
김한식 | 바른나라정치연합 | 660 | 0.08 |
신정일 | 통일한국당 | 273 | 0.03 |
허경영 | 공화당 | 154 | 0.01 |
합계 | 775,199 | 100 |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후보가 광주광역시에서 97.28%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승리하였다. 이는 지난 두 번의 대선보다도 더 높은 득표율이다.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는 1%대, 국민신당 이인제 후보는 0%대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참패했다.
2. 2. 동구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대중 | 새정치국민회의 | 84,226 | 97.00 |
이회창 | 한나라당 | 1,776 | 2.04 |
이인제 | 국민신당 | 512 | 0.58 |
권영길 | 건설국민승리21 | 160 | 0.18 |
김한식 | 바른나라정치연합 | 87 | 0.10 |
신정일 | 통일한국당 | 42 | 0.04 |
허경영 | 공화당 | 22 | 0.02 |
총합 | 86,825 | - |
2. 3. 서구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대중 | 새정치국민회의 | 136,603 | 97.48 |
이회창 | 한나라당 | 2,297 | 1.63 |
이인제 | 국민신당 | 814 | 0.58 |
권영길 | 건설국민승리21 | 254 | 0.18 |
김한식 | 바른나라정치연합 | 104 | 0.07 |
신정일 | 통일한국당 | 28 | 0.01 |
허경영 | 공화당 | 24 | 0.01 |
총 투표수 | 140,124 | ||
유권자 수 | 156,805 |
2. 4. 남구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대중 | 새정치국민회의 | 142,353 | 97.41 |
이회창 | 한나라당 | 2,501 | 1.71 |
이인제 | 국민신당 | 795 | 0.54 |
권영길 | 건설국민승리21 | 259 | 0.17 |
김한식 | 바른나라정치연합 | 135 | 0.09 |
신정일 | 통일한국당 | 58 | 0.03 |
허경영 | 공화당 | 30 | 0.02 |
총 유권자 수 | 164,829 | 해당 선거구 유권자 수 | |
총 투표 수 | 146,131 | 해당 선거구 총 투표수 |
2. 5. 북구 갑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대중 | 새정치국민회의 | 121,960 | 97.57 |
이회창 | 한나라당 | 1,989 | 1.59 |
이인제 | 국민신당 | 662 | 0.52 |
권영길 | 국민승리21 | 252 | 0.20 |
김한식 | 바른나라정치연합 | 80 | 0.06 |
신정일 | 통일한국당 | 32 | 0.02 |
허경영 | 공화당 | 21 | 0.01 |
합계 | 124,996 | - |
2. 6. 북구 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대중 | 새정치국민회의 | 141,592 | 97.40 |
이회창 | 한나라당 | 2,369 | 1.62 |
이인제 | 국민신당 | 946 | 0.65 |
권영길 | 건설국민승리21 | 292 | 0.20 |
김한식 | 바른나라정치연합 | 91 | 0.06 |
신정일 | 통일한국당 | 45 | 0.03 |
허경영 | 공화당1997 | 22 | 0.01 |
합계 | 145,357 | 100.00 |
2. 7. 광산구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대중 | 새정치국민회의 | 127,425 | 96.70 |
이회창 | 한나라당 | 2,362 | 1.79 |
이인제 | 국민신당 | 1,452 | 1.10 |
권영길 | 건설국민승리21 | 261 | 0.19 |
김한식 | 바른나라정치연합 | 163 | 0.12 |
신정일 | 통일한국당 | 68 | 0.05 |
허경영 | 공화당 | 35 | 0.02 |
총합 | 131,766 | 100 |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후보가 광주광역시에서 97.28%의 득표율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이는 지난 두 번의 대선보다 더 높은 득표율이다.
3. 주요 후보 결과 분석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는 1%대 득표율, 국민신당 이인제 후보는 0%대 득표율을 기록하며 광주광역시에서 참패했다.지역 이회창 김대중 이인제 동구 1,776 (2.04%) 84,226 (97.00%) 512 (0.58%) 서구 2,297 (1.63%) 136,603 (97.48%) 814 (0.58%) 남구 2,501 (1.71%) 142,353 (97.41%) 795 (0.54%) 북구 갑 1,989 (1.59%) 121,960 (97.57%) 662 (0.52%) 북구 을 2,369 (1.62%) 141,592 (97.40%) 946 (0.65%) 광산구 2,362 (1.79%) 127,425 (96.70%) 1,452 (1.10%)
김대중 후보는 모든 지역에서 95% 이상의 몰표를 받으며 압승했다.
이회창 후보와 이인제 후보는 대부분 지역에서 각각 1%대, 0%대의 득표율에 그쳤다. 이러한 결과는 5.18 민주화운동의 정신을 계승하고 민주주의를 향한 광주 시민들의 열망이 김대중 후보에게 집중되었음을 보여준다. 반면, 보수 정당 후보들은 광주에서 지역주의의 벽을 넘지 못하고 참패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