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개표 결과는 신민당 윤보선 후보가 51.28%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45.19%를 얻어 2위를 차지했다. 윤보선 후보는 종로구, 중구, 동대문구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승리했으며, 박정희 후보는 영등포구 갑에서 승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결과 -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부산시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부산시에서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64.21%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승리했으며, 신민당 윤보선 후보와의 큰 격차를 보였다. -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결과 -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강원도
1967년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에서 강원도는 박정희 후보가 55.9% 득표율로 승리했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윤보선 후보가 우세를 보이는 등 보수적 성향과 야당 지지, 부정선거 의혹이 나타났다. - 서울특별시의 대통령 선거 결과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개표 결과,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32.62%로 1위를 차지했으며, 민주당 계열 정당의 지지 기반을 확인했다. - 서울특별시의 대통령 선거 결과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지역에서 김대중 후보가 37.74%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으며, 김영삼 후보, 정주영 후보, 박찬종 후보가 그 뒤를 이었다. -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정의당 후보 선출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정의당 후보 선출은 1967년 3월 30일 정민회가 정의당으로 당명을 변경하고 이세진을 대통령 후보로 추대하며 이루어졌다. -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부산시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부산시에서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64.21%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승리했으며, 신민당 윤보선 후보와의 큰 격차를 보였다.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 |
---|---|
선거 정보 | |
선거명 |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
국가 | 대한민국 |
유형 | 대통령 |
정당명 | no |
정당색 | yes |
이전 선거 |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
이전 선거 연도 | 1963년 |
선거일 | 1967년 5월 3일 |
차기 선거 |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
차기 선거 연도 | 1971년 |
후보 1 | |
![]() | |
색 | 신민당 |
후보 | 윤보선 |
정당 | 신민당 |
득표수 | 675,716 |
득표율 | 51.28% |
후보 2 | |
![]() | |
색 | 민주공화당 |
후보 | 박정희 |
정당 | 민주공화당 |
득표수 | 595,513 |
득표율 | 45.19% |
기타 정보 | |
직책 | 대통령 |
선거 이전 | 박정희 |
선거 이전 정당 | 민주공화당 |
선거 이후 | 박정희 |
선거 이후 정당 | 민주공화당 |
2. 서울특별시 개표 결과
2. 1. 전체 결과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에서 서울특별시의 총 유권자 수는 2,043,573명이었다. 신민당 윤보선 후보는 675,716표(51.28%)를 얻어 서울특별시에서 승리했다. 그러나 윤보선 후보의 득표율은 지난 대선에 비해 하락했다.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595,513표(45.19%)를 얻어 2위를 차지했다. 박정희 후보는 지난 대선에 비해 서울특별시에서 더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선전했다.
한국독립당 전진한 후보는 14,242표(1.08%), 민중당 김준연 후보는 13,142표(0.99%), 통한당 오재영 후보는 11,447표(0.86%), 정의당 이세진 후보는 7,635표(0.57%)를 얻었다.
서울특별시에 출마한 모든 후보들의 총 득표수는 1,317,695표였다.
2. 2. 주요 후보 결과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에서 서울특별시의 주요 후보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민당 윤보선 후보는 종로구, 중구, 동대문구, 성동구, 성북구, 서대문구, 마포구, 용산구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승리했다. 특히, 동대문구 갑, 서대문구 갑 등에서는 10%p 이상의 격차로 크게 이겼으며, 접전 지역이었던 중구에서도 승리했다.반면,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영등포구 갑에서 승리했다. 박정희 후보는 지난 대선에서 서울특별시 전 지역에서 크게 패배했지만, 이번 대선에서는 모든 지역에서 득표율을 끌어올리며 선전했다.
지역 | 윤보선 | 박정희 |
---|---|---|
종로구 | 42,488 (50.47%) | 39,435 (46.85%) |
중구 | 28,061 (49.18%) | 27,540 (48.27%) |
동대문구 갑 | 45,345 (56.01%) | 32,927 (40.67%) |
동대문구 을 | 48,537 (51.85%) | 41,600 (44.44%) |
성동구 갑 | 47,052 (51.60%) | 40,956 (44.91%) |
성동구 을 | 53,924 (52.15%) | 44,527 (43.06%) |
성북구 갑 | 35,409 (50.09%) | 33,194 (46.96%) |
성북구 을 | 51,817 (49.93%) | 48,008 (46.26%) |
서대문구 갑 | 40,854 (56.78%) | 28,909 (40.18%) |
서대문구 을 | 51,881 (50.54%) | 47,049 (45.83%) |
마포구 | 54,901 (52.71%) | 45,607 (43.79%) |
용산구 | 56,541 (51.61%) | 50,043 (45.68%) |
영등포구 갑 | 62,058 (47.22%) | 64,103 (48.77%) |
영등포구 을 | 56,848 (50.21%) | 51,615 (45.59%) |
2. 3. 구별 개표 결과
2. 3. 1. 종로구
wikitable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윤보선 | 신민당 | 42,488 | 50.47% |
박정희 | 민주공화당 | 39,435 | 46.85% |
전진한 | 한국독립당 | 723 | 0.85% |
김준연 | 민중당1967 | 611 | 0.72% |
오재영 | 통한당 | 519 | 0.61% |
이세진 | 정의당1967 | 393 | 0.46% |
합계 | 84,169 |
2. 3. 2. 중구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중구의 개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윤보선 | 신민당 | 28,061 | 49.18% |
박정희 | 민주공화당 | 27,540 | 48.27% |
전진한 | 한국독립당 | 447 | 0.78% |
김준연 | 민중당1967 | 390 | 0.68% |
오재영 | 통한당 | 367 | 0.64% |
이세진 | 정의당1967 | 246 | 0.43% |
합계 | 57,051 |
신민당 윤보선 후보가 49.18%의 득표율로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를 근소한 차이로 누르고 중구에서 승리하였다. 박정희 후보는 48.27%를 기록하며 선전했지만, 윤보선 후보의 벽을 넘지 못했다. 군소정당 후보들은 모두 1%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2. 3. 3. 동대문구 갑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갑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20,741명이었다. 신민당 윤보선 후보가 45,345표(56.01%)를 얻어 당선되었다.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32,927표(40.67%)를 얻었다. 한국독립당 전진한 후보는 883표(1.09%), 민중당1967 김준연 후보는 759표(0.93%), 통한당 오재영 후보는 639표(0.78%), 정의당1967 이세진 후보는 404표(0.49%)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80,957표였다.2. 3. 4. 동대문구 을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을 지역 개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윤보선 | 신민당 | 48,537 | 51.85% |
박정희 | 민주공화당 | 41,600 | 44.44% |
전진한 | 한국독립당 | 1,154 | 1.23% |
김준연 | 민중당1967 | 935 | 0.99% |
오재영 | 통한당 | 817 | 0.87% |
이세진 | 정의당1967 | 561 | 0.59% |
합계 | 93,604 |
신민당 윤보선 후보가 51.8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44.44%를 기록하며 2위를 차지했다. 군소정당 후보들은 모두 1%대의 낮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특히, 한국독립당 전진한 후보는 1.23%, 민중당 김준연 후보는 0.99%를 얻는데 그쳤다.
2. 3. 5. 성동구 갑
wikitable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윤보선 | 신민당 | 47,052 | 51.60% |
박정희 | 민주공화당 | 40,956 | 44.91% |
전진한 | 한국독립당 | 987 | 1.08% |
김준연 | 민중당 | 868 | 0.95% |
오재영 | 통한당 | 817 | 0.89% |
이세진 | 정의당 | 497 | 0.54% |
합계 | 91,177 |
2. 3. 6. 성동구 을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성동구 을 지역의 개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민당 윤보선 후보가 52.15%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고,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43.06%로 2위를 기록했다. 두 후보 간의 득표율 차이는 9.09%p였다. 한국독립당 전진한 후보는 1.47%, 민중당 김준연 후보는 1.38%를 득표했다. 통한당 오재영 후보는 1.11%, 정의당 이세진 후보는 0.80%를 얻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윤보선 | 신민당 | 53,924 | 52.15 |
박정희 | 민주공화당 | 44,527 | 43.06 |
전진한 | 한국독립당 | 1,526 | 1.47 |
김준연 | 민중당 | 1,428 | 1.38 |
오재영 | 통한당 | 1,148 | 1.11 |
이세진 | 정의당 | 832 | 0.80 |
합계 | 103,385 |
2. 3. 7. 성북구 갑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성북구 갑 선거구에서는 신민당 윤보선 후보가 50.09%의 득표율로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46.96%)를 누르고 1위를 차지하였다. 한국독립당 전진한 후보는 0.96%, 민중당 김준연 후보는 0.80%, 통한당 오재영 후보는 0.69%, 정의당 이세진 후보는 0.48%를 득표했다.2. 3. 8. 성북구 을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성북구 을 지역구 개표 결과, 신민당 윤보선 후보가 51,817표(49.93%)를 얻어 1위를 기록하였다.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48,008표(46.26%)로 2위를 차지했다. 민중당1967 김준연 후보는 1,181표(1.13%), 한국독립당 전진한 후보는 1,082표(1.04%), 통한당 오재영 후보는 1,043표(1.00%), 정의당1967 이세진 후보는 646표(0.62%)를 각각 얻었다. 총 유효표는 103,777표였다.2. 3. 9. 서대문구 갑
wikitext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윤보선 | 신민당 | 40,854 | 56.78% |
박정희 | 민주공화당 | 28,909 | 40.18% |
전진한 | 한국독립당 | 731 | 1.01% |
김준연 | 민중당 | 615 | 0.85% |
오재영 | 통한당 | 530 | 0.73% |
이세진 | 정의당 | 305 | 0.42% |
합계 | 71,944 |
2. 3. 10. 서대문구 을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을 지역 개표 결과, 신민당 윤보선 후보가 50.54%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45.83%로 2위를 기록했다. 한국독립당 전진한 후보는 1.06%, 민중당 김준연 후보는 1.02%를 얻었다. 통한당 오재영 후보는 0.90%, 정의당 이세진 후보는 0.61%의 득표율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윤보선 | 신민당 | 51,881 | 50.54 |
박정희 | 민주공화당 | 47,049 | 45.83 |
전진한 | 한국독립당 | 1,094 | 1.06 |
김준연 | 민중당 | 1,057 | 1.02 |
오재영 | 통한당 | 930 | 0.90 |
이세진 | 정의당 | 629 | 0.61 |
합계 | 102,640 |
2. 3. 11. 마포구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마포구의 개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민당 윤보선 후보가 54,901표(52.71%)를 얻어 1위를 차지했으며,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45,607표(43.79%)로 2위를 기록했다. 한국독립당 전진한 후보는 1,083표(1.03%), 통한당 오재영 후보는 992표(0.95%), 민중당1967 김준연 후보는 990표(0.95%), 정의당1967 이세진 후보는 568표(0.54%)를 얻었다. 총 유권자 수는 157,461명이었고, 총 투표수는 104,141표였다.2. 3. 12. 용산구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용산구 개표 결과, 신민당 윤보선 후보가 56,541표(51.61%)를 얻어 50,043표(45.68%)를 얻은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를 누르고 1위를 차지했다. 한국독립당 전진한 후보는 940표(0.85%), 민중당 김준연 후보는 881표(0.80%), 통한당 오재영 후보는 639표(0.58%), 정의당 이세진 후보는 504표(0.46%)를 얻었다. 총 유효표는 109,548표였다.2. 3. 13. 영등포구 갑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갑 선거구의 개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박정희 | 민주공화당 | 64,103 | 48.77% |
윤보선 | 신민당 | 62,058 | 47.22% |
전진한 | 한국독립당 | 1,529 | 1.16% |
김준연 | 민중당 | 1,457 | 1.10% |
오재영 | 통한당 | 1,386 | 1.05% |
이세진 | 정의당 | 885 | 0.67% |
합계 | 131,418 |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48.7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신민당 윤보선 후보는 47.22%로 2위를 기록, 근소한 차이로 낙선했다. 이는 당시 박정희 정권에 대한 서울 시민들의 높은 지지와, 동시에 윤보선 후보를 중심으로 한 야권의 저항 역시 만만치 않았음을 보여준다.
2. 3. 14. 영등포구 을
wikitable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윤보선 | 신민당 | 56,848 | 50.21% |
박정희 | 민주공화당 | 51,615 | 45.59% |
김준연 | 민중당1967 | 1,404 | 1.24% |
전진한 | 한국독립당 | 1,383 | 1.22% |
오재영 | 통한당 | 1,127 | 0.99% |
이세진 | 정의당1967 | 822 | 0.72% |
합계 | 113,199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