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개표 결과,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32.62%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29.95%로 2위,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는 29.14%로 3위를 기록했다. 김대중 후보는 서울특별시 대부분 지역에서 승리하며, 민주당 계열 정당의 지지 기반을 확인했다. 노태우 후보는 군사정권의 후예로 조직력을 바탕으로 득표했으나, 김대중 후보에게 밀렸다. 김영삼 후보는 강남구에서 높은 지지를 받았지만, 전반적으로는 고전했다.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후보는 구로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의 대통령 선거 결과 -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1967년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에서 서울특별시의 지역별 개표 결과는 윤보선과 박정희 주요 후보 간의 경쟁 양상을 보여주며, 각 구별 득표율과 득표수가 기록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대통령 선거 결과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지역에서 김대중 후보가 37.74%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으며, 김영삼 후보, 정주영 후보, 박찬종 후보가 그 뒤를 이었다.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결과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광주직할시
    1987년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광주직할시에서는 김대중 후보가 94.41%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며 광주 민주화 운동 이후 호남, 특히 광주에서의 높은 지지율을 입증했고 노태우, 김영삼, 김종필 후보가 그 뒤를 이었다.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결과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대구직할시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대구직할시 개표 결과는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가 70% 이상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승리했으며, 김영삼 후보가 2위를 차지했다.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 6월 민주 항쟁
    1987년 대한민국에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4·13 호헌 조치, 이한열 사망 사건 등을 계기로 대통령 직선제 개헌과 민주화를 요구하는 전국적인 시위가 발생하여 전두환 정권의 6·29 선언을 이끌어내고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 4·13 호헌 조치
    4·13 호헌 조치는 1987년 전두환 대통령이 대통령 직선제 개헌 논의를 금지하고 대통령 간선제 유지를 발표한 조치로, 국민적 분노를 일으켜 6월 민주 항쟁의 기폭제가 되어 6.29 선언과 대통령 직선제 개헌으로 이어져 제5공화국 종식에 영향을 미쳤다.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김대중 대통령 초상
김대중
정당평화민주당
득표수1,833,010
득표율32.62%
노태우
노태우
정당민주정의당
득표수1,682,824
득표율29.95%
김영삼 대통령 초상
김영삼
정당통일민주당
득표수1,637,347
득표율29.14%
김종필
김종필
정당신민주공화당
득표수460,988
득표율8.20%
선거 정보
선거명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국가대한민국
유형대통령
선거일1987년 12월 16일
이전 선거대한민국 제12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차기 선거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직책
직책대통령
선거전 대통령전두환
선거전 대통령 소속 정당민주정의당
선거후 대통령노태우
선거후 대통령 소속 정당민주정의당

2. 서울특별시 개표 결과

1987년 12월 16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의 서울특별시 개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32.62%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으며,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29.95%),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29.14%),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후보(8.20%)가 그 뒤를 이었다.

김대중 후보는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에 이어 서울에서 다시 승리하며, 더불어민주당 계열 정당의 서울 지역 지지 기반을 확고히 했다. 노태우 후보는 근소한 차이로 김영삼 후보를 제쳤지만, 30%의 득표율을 달성하지는 못했다.

2. 1. 전체 결과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서울특별시의 총 유권자 수는 6,486,710명이었다. 투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대중평화민주당1,833,01032.62%
노태우민주정의당1,682,82429.95%
김영삼통일민주당1,637,34729.14%
김종필신민주공화당460,9888.20%
신정일한주의통일한국당4,5600.08%
합계5,618,729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32.62%의 득표율로 서울특별시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이로써 김대중 후보는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에 이어 다시 한번 서울에서 승리하며, 더불어민주당 계열 정당의 서울 지역 지지 기반을 확고히 했다.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29.95%의 득표율로 2위를 차지했다. 근소한 차이로 김영삼 후보를 제쳤지만, 30%의 득표율을 달성하지는 못했다.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는 김대중 후보와 노태우 후보에게 밀려 29.14%의 득표율로 3위를 차지했다.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후보는 8.20%의 득표율로 4위를 기록했다.

2. 2. 지역구별 결과

(평화민주당)노태우
(민주정의당)김영삼
(통일민주당)김종필
(신민주공화당)신정일
(한주의통일한국당)종로구173,14951,748
(34.70%)46,142
(30.94%)40,485
(27.15%)10,604
(7.11%)134
(0.08%)중구136,24642,049
(36.07%)35,760
(30.67%)29,805
(25.56%)8,834
(7.57%)117
(0.10%)마포구296,56382,814
(32.22%)77,074
(29.98%)77,081
(29.99%)19,846
(7.72%)206
(0.08%)용산구211,52957,897
(32.03%)56,863
(31.46%)52,208
(28.88%)13,609
(7.52%)158
(0.08%)성동구 갑193,94562,353
(37.14%)49,426
(29.44%)43,012
(25.62%)12,946
(7.71%)140
(0.08%)성동구 을294,29485,172
(33.27%)76,989
(30.07%)72,072
(28.15%)21,542
(8.41%)202
(0.07%)동대문구 갑331,68795,437
(33.12%)87,692
(30.43%)81,941
(28.32%)22,752
(7.89%)319
(0.11%)동대문구 을272,32674,423
(31.36%)73,511
(30.98%)68,955
(29.05%)20,181
(8.50%)215
(0.09%)성북구 갑205,47461,041
(34.51%)53,840
(30.44%)48,124
(27.21%)13,677
(7.73%)172
(0.09%)성북구 을173,54955,860
(37.00%)44,465
(29.45%)38,295
(25.36%)12,226
(8.09%)116
(0.07%)도봉구 갑325,24194,850
(33.59%)81,778
(28.96%)81,502
(28.86%)23,976
(8.49%)221
(0.07%)도봉구 을259,01474,851
(33.45%)69,107
(30.88%)61,562
(27.51%)18,000
(8.04%)209
(0.09%)서대문구269,52684,244
(36.12%)67,447
(28.92%)64,618
(27.70%)16,723
(7.17%)177
(0.07%)은평구291,22081,478
(32.27%)75,630
(29.95%)76,566
(30.32%)18,609
(7.37%)196
(0.07%)강서구498,912135,335
(31.04%)129,044
(29.59%)132,770
(30.45%)38,515
(8.83%)332
(0.07%)구로구 갑231,27863,813
(32.71%)56,783
(29.10%)53,398
(27.37%)20,901
(10.71%)169
(0.08%)구로구 을217,35266,204
(35.66%)52,076
(28.05%)47,078
(25.36%)20,101
(10.82%)150
(0.08%)영등포구298,22281,165
(31.35%)79,942
(30.88%)73,333
(28.32%)24,251
(9.36%)185
(0.07%)동작구266,64679,535
(34.22%)65,966
(28.38%)66,912
(28.79%)19,767
(8.50%)215
(0.09%)관악구364,222122,063
(38.19%)84,782
(26.52%)83,275
(26.05%)29,214
(9.14%)250
(0.07%)강남구537,067116,759
(25.19%)150,220
(32.41%)163,656
(35.31%)32,511
(7.01%)287
(0.06%)강동구639,248164,831
(29.67%)167,375
(30.13%)180,699
(32.52%)42,203
(7.59%)390
(0.07%)


2. 2. 1. 종로구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대중평화민주당51,74834.70
노태우민주정의당46,14230.94
김영삼통일민주당40,48527.15
김종필신민주공화당10,6047.11
신정일한주의통일한국당1340.08
합계149,113100


2. 2. 2. 중구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대중평화민주당42,04936.07%
노태우민주정의당35,76030.67%
김영삼통일민주당29,80525.56%
김종필신민주공화당8,8347.57%
신정일한주의통일한국당1170.10%
합계116,565


2. 2. 3. 마포구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대중평화민주당82,81432.22
김영삼통일민주당77,08129.99
노태우민주정의당77,07429.98
김종필신민주공화당19,8467.72
신정일한주의통일한국당2060.08
합계257,021-


2. 2. 4. 용산구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대중평화민주당57,89732.03
노태우민주정의당56,86331.46
김영삼통일민주당52,20828.88
김종필신민주공화당13,6097.52
신정일한주의통일한국당1580.08
합계180,735100.00


2. 2. 5. 성동구 갑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대중평화민주당62,35337.14%
노태우민주정의당49,42629.44%
김영삼통일민주당43,01225.62%
김종필신민주공화당12,9467.71%
신정일한주의통일한국당1400.08%
합계167,877100%


2. 2. 6. 성동구 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대중평화민주당85,17233.27%
노태우민주정의당76,98930.07%
김영삼통일민주당72,07228.15%
김종필신민주공화당21,5428.41%
신정일한주의통일한국당2020.07%
합계255,977100%


2. 2. 7. 동대문구 갑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대중평화민주당95,437표33.12%
노태우민주정의당87,692표30.43%
김영삼통일민주당81,941표28.32%
김종필신민주공화당22,752표7.89%
신정일한주의통일한국당319표0.11%
합계288,141표


2. 2. 8. 동대문구 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노태우민주정의당74,42331.36%
김대중평화민주당73,51130.98%
김영삼통일민주당68,95529.05%
김종필신민주공화당20,181
신정일한주의통일한국당2150.09%
합계237,285


2. 2. 9. 성북구 갑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대중평화민주당61,04134.51%
노태우민주정의당53,84030.44%
김영삼통일민주당48,12427.21%
김종필신민주공화당13,6777.73%
신정일한주의통일한국당1720.09%
합계176,854100.00%


2. 2. 10. 성북구 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대중평화민주당55,86037.00%
노태우민주정의당44,46529.45%
김영삼통일민주당38,29525.36%
김종필신민주공화당12,2268.09%
신정일한주의통일한국당1160.07%
합계150,962100%


2. 2. 11. 도봉구 갑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대중평화민주당94,85033.59%
노태우민주정의당81,77828.96%
김영삼통일민주당81,50228.86%
김종필신민주공화당23,9768.49%
신정일한주의통일한국당2210.07%
합계282,327100%


2. 2. 12. 도봉구 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대중평화민주당74,85133.45%
노태우민주정의당69,10730.88%
김영삼통일민주당61,56227.51%
김종필신민주공화당18,0008.04%
신정일한주의통일한국당2090.09%
합계223,729100%


2. 2. 13. 서대문구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대중평화민주당84,24436.12%
노태우민주정의당67,44728.92%
김영삼통일민주당64,61827.70%
김종필신민주공화당16,7237.17%
신정일한주의통일한국당1770.07%
합계233,209-


2. 2. 14. 은평구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당시 서울특별시 은평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대중평화민주당81,47832.27%
김영삼통일민주당76,56630.32%
노태우민주정의당75,63029.95%
김종필신민주공화당18,6097.37%
신정일한주의통일한국당1960.07%
합계252,479100%


2. 2. 15. 강서구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대중평화민주당135,33531.04%
김영삼통일민주당132,77030.45%
노태우민주정의당129,04429.59%
김종필신민주공화당38,5158.83%
신정일한주의통일한국당3320.07%
총합435,996100%


2. 2. 16. 구로구 갑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대중평화민주당63,81332.71
노태우민주정의당56,78329.10
김영삼통일민주당53,39827.37
김종필신민주공화당20,90110.71
신정일한주의통일한국당1690.08
합계195,064100


2. 2. 17. 구로구 을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당시 서울특별시 구로구 을 지역의 결과이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대중평화민주당66,20435.66
노태우민주정의당52,07628.05
김영삼통일민주당47,07825.36
김종필신민주공화당20,10110.82
신정일한주의통일한국당1500.08
합계185,609-


2. 2. 18. 영등포구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대중평화민주당81,16531.35%
노태우민주정의당79,94230.88%
김영삼통일민주당73,33328.32%
김종필신민주공화당24,2519.36%
신정일한주의통일한국당1850.07%
합계258,876100%


2. 2. 19. 동작구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대중평화민주당79,53534.22%
김영삼통일민주당66,91228.79%
노태우민주정의당65,96628.38%
김종필신민주공화당19,767
신정일한주의통일한국당2150.09%
합계232,395100%


2. 2. 20. 관악구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대중평화민주당122,06338.19
노태우민주정의당84,78226.52
김영삼통일민주당83,27526.05
김종필신민주공화당29,2149.14
신정일한주의통일한국당2500.07
합계319,584100


2. 2. 21. 강남구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영삼통일민주당163,65635.31%
노태우민주정의당150,22032.41%
김대중평화민주당116,75925.19%
김종필신민주공화당32,5117.01%
신정일한주의통일한국당2870.06%
합계463,433100%


2. 2. 22. 강동구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영삼통일민주당180,69932.52%
노태우민주정의당167,37530.13%
김대중평화민주당164,83129.67%
김종필신민주공화당42,2037.59%
신정일한주의통일한국당3900.07%
합계555,498


3. 주요 후보별 결과 분석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서울특별시 대부분 지역에서 승리했으나, 민주정의당 노태우,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와 접전을 펼쳤다. 특히 관악구에서 38.19%의 득표율로 크게 앞섰다.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동대문구 을에서 31.36%로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지만, 대부분 지역에서 김영삼 후보를 제치고 2위를 차지했다. 관악구에서는 26.52%로 가장 낮은 득표율을 보였다.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는 강남구(35.31%)와 강동구(32.52%)에서 1위를 차지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3위에 머물렀다. 관악구에서는 26.05%로 가장 낮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후보는 구로구 갑(10.71%), 을(10.82%)에서 10%가 넘는 득표율을 기록하며 선전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7~9%대의 득표율을 보였다.

지역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종로구30.94%27.15%34.70%7.11%
중구30.67%25.56%36.07%7.57%
마포구29.98%29.99%32.22%7.72%
용산구31.46%28.88%32.03%7.52%
성동구29.44%25.62%37.14%7.71%
성동구30.07%28.15%33.27%8.41%
동대문구30.43%28.32%33.12%7.89%
동대문구31.36%29.05%30.98%8.50%
성북구30.44%27.21%34.51%7.73%
성북구29.45%25.36%37.00%8.09%
도봉구28.96%28.86%33.59%8.49%
도봉구30.88%27.51%33.45%8.04%
서대문구28.92%27.70%36.12%7.17%
은평구29.95%30.32%32.27%7.37%
강서구29.59%30.45%31.04%8.83%
구로구29.10%27.37%32.71%10.71%
구로구28.05%25.36%35.66%10.82%
영등포구30.88%28.32%31.35%9.36%
동작구28.38%28.79%34.22%8.50%
관악구26.52%26.05%38.19%9.14%
강남구32.41%35.31%25.19%7.01%
강동구30.13%32.52%29.67%7.59%


3. 1.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서울특별시 내 대부분의 지역에서 승리했지만, 민주정의당 노태우,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와 상당수 지역에서 접전을 펼쳤다. 김대중 후보는 관악구에서 38.19%로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다른 두 후보와 12%p 이상의 격차를 보였다.

김대중 후보는 종로구(34.70%), 중구(36.07%), 마포구(32.22%), 용산구(32.03%), 성동구 갑(37.14%), 성동구 을(33.27%), 동대문구 갑(33.12%), 성북구 갑(34.51%), 성북구 을(37.00%), 도봉구 갑(33.59%), 도봉구 을(33.45%), 서대문구(36.12%), 은평구(32.27%), 강서구(31.04%), 구로구 갑(32.71%), 구로구 을(35.66%), 영등포구(31.35%), 동작구(34.22%) 등에서 30% 이상 득표율로 승리했다.

반면, 강남구에서는 25.19%로 가장 낮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이는 전통적인 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지역에서 높은 득표율을 기록한 것으로, 이후 더불어민주당으로 이어지는 민주당 계열 정당의 굳건한 지지 기반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3. 2.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동대문구 을에서 가장 높은 31.36%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관악구에서 가장 낮은 26.52%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노태우 후보는 군사정권의 후예로서, 당시 여당의 조직력을 바탕으로 서울에서도 상당한 득표율을 얻었지만, 30%를 넘기지 못하며 군사정권에 대한 거부감을 가진 유권자들의 표심을 얻는 데는 실패했다.

지역득표율
동대문구 을31.36%
관악구26.52%


3. 3.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는 서울특별시 내 대부분의 지역에서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와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에게 뒤지는 3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강남구에서는 35.31%, 강동구에서는 32.52%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는 등 강남 지역에서 높은 지지를 얻었다.

지역득표율
강남구35.31%
강동구32.52%



반면, 관악구에서는 26.05%로 가장 낮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지역득표율
관악구26.05%



김영삼 후보는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던 대표적인 인물이었으나, 민주화 세력의 분열로 인해 노태우, 김대중 후보에게 밀리는 결과를 보였다.

3. 4.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후보

후보는 박정희 정권에서 주요 직책을 역임했던 인물로, 보수층의 표심을 일부 흡수했으나, 서울 전역에서는 10% 미만의 득표율에 그쳤다. 구로구 갑, 을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득표율(10% 이상)을 기록했다.

지역김종필 후보 득표율
종로구7.11%
중구7.57%
마포구7.72%
용산구7.52%
성동구7.71%
성동구8.41%
동대문구7.89%
동대문구8.50%
성북구7.73%
성북구8.09%
도봉구8.49%
도봉구8.04%
서대문구7.17%
은평구7.37%
강서구8.83%
구로구10.71%
구로구10.82%
영등포구9.36%
동작구8.50%
관악구9.14%
강남구7.01%
강동구7.5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