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돈 카를로 (오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돈 카를로》(Don Carlos)는 16세기 프랑스와 스페인을 배경으로 한 주세페 베르디의 그랜드 오페라이다. 1867년 파리 오페라 극장에서 프랑스어 5막 버전으로 초연되었으나, 외제니 황후의 불쾌감으로 인해 실패했다. 이후 이탈리아어 번역본이 제작되어 런던과 이탈리아에서 공연되었으며, 베르디는 여러 차례 수정을 거쳐 4막 및 5막 버전을 만들었다. 오페라는 종교적 갈등, 정치 권력과 개인적 갈등을 다루며, 돈 카를로, 엘리자베타, 로드리고, 에볼리 공녀, 펠리페 2세 등 주요 등장인물의 드라마틱한 이야기를 펼쳐낸다. 현재는 다양한 버전으로 녹음 및 영상물로 제작되어 공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리드리히 실러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 작품 - 빌헬름 텔 (오페라)
    조아키노 로시니가 작곡한 오페라 빌헬름 텔은 14세기 스위스를 배경으로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의 압제에 저항하는 빌헬름 텔의 전설을 그린 작품이며, 긴 상연 시간과 높은 음역대 요구에도 불구하고 그랜드 오페라의 대표작이자 서곡이 독립적으로 자주 연주되는 작품이다.
  • 프리드리히 실러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 작품 - 루이자 밀러
    루이자 밀러는 주세페 베르디가 작곡하고 살바토레 캄마라노가 대본을 쓴 3막 오페라로, 17세기 초 티롤을 배경으로 신분 차이와 음모 속에서 피어나는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를 그린다.
돈 카를로 (오페라)
기본 정보
카를로 코르날리아의 1884년 라 스칼라 프로덕션 4막(원래 5막) 묘사
카를로 코르날리아의 1884년 라 스칼라 프로덕션 4막(원래 5막) 묘사
장르그랜드 오페라
작곡가주세페 베르디
대본가조제프 메리
카미유 뒤 로클
언어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번역본도 있음
원작프리드리히 실러의 희곡 돈 카를로스 (그리고 외젠 코르몽의 현대극에서 차용한 사건들)
초연일1867년 3월 11일
초연 장소살 르 펠레티에 (파리 오페라)

2. 역사

16세기 스페인을 배경으로 하는 이 오페라는, 프랑스의 그랜드 오페라 형식으로 쓰여져 설정이 대규모이고 많은 출연자를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현대에는 제작비 문제로 축제 기간 등 특별한 시기가 아니면 상연이 어려워, 베르디의 다른 작품에 비해 상연 기회가 많지 않다. 하지만 중후한 음악으로 베르디 중기 걸작으로 높게 평가받고 있다.

원래는 프랑스어로 작곡되었지만, 초연과 같은 해 6월 런던에서 이탈리아어로 초연되어 성공했으며, 같은 해 10월에는 볼로냐에서 이탈리아 초연이 이루어져 이 또한 성공을 거두었다. 그 후에도 여러 차례 이탈리아어로 상연되었으며, 베르디는 그 과정에서 여러 번 곡을 개정하여 더욱 훌륭한 상연을 목표로 했기 때문에, 현재는 이탈리아어 버전 『돈 카를로』가 더 많이 상연된다.[4][5][6]

테너가 주제 역을 맡지만, 필리포, 로드리고, 에볼리 등 저성악가들이 활약하는 오페라로 알려져 있다. 이들에게는 난곡이면서도 매력적인 아리아와 깊은 내면을 표현하는 음악이 주어져, 저성악가들의 연주가 상연 전체의 성패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각 배역은 이탈리아 오페라를 레퍼토리로 하는 저성악가에게 목표가 되는 중요한 역할이다.

2. 1. 초연과 판본

베르디는 오페라를 완성한 후 발레를 작곡하기 전에 작품이 너무 길어진다는 이유로 1866년에 여러 부분을 삭제했다.[4] 삭제된 부분은 4막 1장의 엘리자베스와 에볼리의 이중창, 4막 2장에서 포사의 죽음 이후 카를로스와 국왕의 이중창,[5] 그리고 같은 장면에서 반란 중 엘리자베스와 에볼리 사이의 대화였다.

발레가 작곡된 후, 1867년 리허설 기간 동안 더 이상의 삭제 없이 오페라가 자정 전에 끝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베르디는 그 후 몇 가지 추가적인 삭제를 허가했는데, 첫째는 1막의 도입부(나무꾼과 그들의 아내들의 합창, 그리고 엘리자베스의 첫 등장 포함), 둘째는 2막 1장에서 포사의 짧은 등장 솔로(''J'étais en Flandres''), 그리고 셋째는 2막 2장 마지막 부분에서 국왕과 포사 사이의 대화의 일부였다.[6]

오페라는 초연 시에 제공된 형태로 처음 출판되었으며, 베르디의 원래 구상대로 위에서 언급한 삭제된 음악은 제외되었지만 발레는 포함되었다.

16세기 스페인을 배경으로 하는 이 오페라는, 프랑스의 그랜드 오페라 형식으로 쓰여진 탓에 설정이 대규모이며, 충실한 출연자를 다수 필요로 한다. 때문에 현대에는 채산상의 문제로 축제 기간 등 특별한 시기가 아니면 상연이 어려우며, 베르디의 다른 작품에 비해 상연 기회가 많지 않지만, 중후한 음악으로 베르디 중기 걸작으로 높게 평가받고 있다.

원래는 프랑스어이지만, 초연과 같은 해 6월, 런던에서 이탈리아어로 초연되어 성공했으며, 같은 해 10월에는 볼로냐에서 이탈리아 초연이 이루어져 이 또한 성공을 거두었다. 그 후에도 여러 차례 이탈리아어로 상연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베르디도 여러 번 곡을 개정하여 더욱 훌륭한 상연을 목표로 했기 때문에, 현재는 이탈리아어 버전 『돈 카를로』가 더 많이 상연된다.

1865년 오페라 극장의 의뢰는 1867년 파리에서 개최가 결정된 만국 박람회에 맞춰 상연하기 위한 그랜드 오페라였다. 오페라 극장의 운영 방식 등에 불만을 품고 있던 베르디는 처음에는 제안을 거절했지만, 오페라 극장 총감독 에밀 페랭은 베르디에게 다양한 소재를 끈기 있게 제공하며 작곡을 타진했고, 결국 베르디는 페랭이 후보로 올린 것 중 하나인 '돈 카를로'의 작곡에 동의하여 1866년 6월까지 완성한다는 조건으로 계약에 응했다.

베르디는 이미 1847년에 '예루살렘'('십자군의 롬바르디아 인'의 개정판), 1855년에 '시칠리아 섬의 만종'을 각각 오페라 극장의 의뢰로 작곡했지만, 어느 작품도 결정적인 성공을 거두지 못했고, 파리에서의 결정적인 성공을 바랐던 베르디의 마음도 이 계약에 관여했던 것으로 보인다.

대본은 카미유 뒤 로클이 완성했다. 대본 완성 후, 베르디는 자택에서 작곡에 힘썼지만, 목의 병 악화 등으로 인해 완성이 늦어져 계약 기한을 맞추지 못했고, 결국 전곡 완성은 1866년 12월이었다. 그 후, 초연에 앞서 통상 상연 시간이 약 4시간에 달한다는 것이 밝혀져 너무 길다는 이유로 결국 베르디는 약 20분 분량의 음악을 잘라냈다.

이러한 일들을 거쳐 '돈 카를로'는 1867년 3월 11일, 프랑스 황제 나폴레옹 3세 부부를 맞이하여 오페라 극장에서 초연을 맞이했지만, 외제니 황후 (스페인 출신)가 내용에 불쾌감을 느껴 도중에 자리를 떠버린 일도 있어, 초연은 실패로 끝나버렸고, 이 작품에서도 베르디가 파리에서 결정적인 성공을 거두는 것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베르디가 이 오페라의 작곡가로서 평가받는 것은 3개월 후 런던 상연의 성공까지 기다려야 했다.

2. 2. 한국어 초연

東京芸術劇場일본어에서 2014년 9월 6일 연주회 형식으로 5막 파리 초연판이 일본어로 번역되어 상연되었다.

3. 등장인물

3. 1. 주요 배역

(1867년 3월 11일)[54][55]
지휘: 프랑수아 조르주-헨르개정판 초연 배역
(1884년 1월 10일)[54]
지휘: 프랑코 파치오[56]필리포 2세
("스페인 국왕이자 카를 5세의 아들이자 돈 카를로의 아버지")베이스루이-앙리 오뱅알레산드로 실베스트리돈 카를로
("스페인 왕자이자 국왕의 아들, 왕위 계승자")테너장 모레르프란체스코 타마뇨로디리고(Rodrigo)
("포사 후작, 왕자 돈 카를로의 친구")바리톤장-밥티스트 포르폴 레리대심문관[57]베이스조제프 다비드프란체스코 나바리니발루아의 엘리자베트
("원래 돈 카를로와 약혼했지만 필리포 왕과 결혼한 프랑스 공주")소프라노마리 콘스탕스 사스아비게일 브루스키-키아티에볼리 공주
("궁정 귀족")메조소프라노폴린 귈마르-로테르스지우세피나 파스콰수도승
(5막 마지막에 죽은 것으로 여겨지는 카를 5세로 나타난다.)[58]베이스아르망 카스텔마리레오폴도 크롬베르크티보(Tebaldo)
("엘리자베트의 시종")소프라노 (남장 배역)레오니아 레비엘리아멜리아 가르텐천상의 목소리소프라노  레르마 백작
("프랑스에 파견된 스페인 대표")테너가스파르안젤로 피오렌티니왕실 전령관테너메르망안젤로 피오렌티니아렘베르크 백작 부인
("엘리자베트의 시녀")무성도미니크안젤리나 피롤라플랑드르 사절, 심문관, 스페인 궁정의 귀부인과 신사, 사람들, 시동, 경비병, 수도승, 군인 – 합창


3. 2. 조연 및 기타

4. 줄거리

오페라 《돈 카를로》의 줄거리는 16세기 중반, 프랑스와 에스파냐를 배경으로 한다.

20세기 전반에는 공연이 드물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어 버전, 특히 1884년 4막 '밀라노 버전'이 정기적으로 공연되었다. 1950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는 유시 비외를링 등이 출연한 4막 버전이 공연되었고[26][27],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리카르도 무티 등도 이탈리아어 4막 버전을 지휘했다.[28][29][30][31]

1958년 로열 오페라에서는 루키노 비스콘티 연출,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지휘로 이탈리아어 5막 '모데나 버전'이 공연되었다. 존 비커스 등이 출연한 이 버전은 게오르그 솔티, 줄리니 등에 의해 녹음되었다.[32]

초연 전 삭제된 악보가 발견된 후, 여러 지휘자들이 5막 버전을 공연하기 시작했다. 1973년 라 페니체 극장에서 조르주 프레트르는 이탈리아어 5막 버전을 지휘했고,[33] 1975년 찰스 매케라스는 영어 번역으로 확장된 5막 버전을, 1978년 클라우디오 아바도는 라 스칼라 극장에서 확장된 이탈리아어 5막 버전을 무대에 올렸다.[34] 1979년 제임스 레바인은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확장된 이탈리아어 5막 버전을 지휘했다.[35][36][37]

오늘날 이탈리아어 4막 및 5막 버전은 표준 레퍼토리로 자리 잡았다.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에는 프랑스어 5막 버전의 상연도 늘었다. 1973년 보스턴 오페라단은 거의 완전한 5막 프랑스어 버전을 선보였고,[7][38] 같은 해 존 매티슨 지휘의 BBC 콘서트 오케스트라도 프랑스어 버전을 방송했다.[39]

최근에는 라 모네 극장(1983),[40] 파리 샤틀레 극장과 로열 오페라 하우스 공동 제작(1996),[26][41] 빈 국립 오페라(2004),[44][45] 웨일스 국립 오페라와 캐나다 오페라단 공동 제작(2005),[46] 파리 국립 오페라(2017)[52] 등에서 5막 프랑스어 버전이 공연되었다. 메트로폴리탄 오페라는 2022년 모데나 버전으로 프랑스어 초연을 선보였다.[53]

'''프랑스어 원본(5막)을 바탕으로 한 줄거리'''

퐁텐블로 숲에서 스페인 황태자 돈 카를로스는 약혼녀 엘리자베트를 몰래 만난다. 그러나 엘리자베트는 프랑스와 스페인의 평화를 위해 카를로스의 아버지 펠리페 2세와 결혼하게 된다.

4. 1. 1막



퐁텐블로 숲, 겨울이다. 멀리 궁전이 보인다. 무대 오른쪽에는 큰 바위가 있어 피난처처럼 보인다. 나무꾼들과 그들의 아내, 아이들 몇 명이 쓰러진 참나무를 작게 자르고 있다. 그들은 "겨울은 길고, 생활은 어렵고, 빵은 비싸고, 전쟁은 언제 끝나는가"라며 궁핍함을 한탄한다. 오늘은 왕실 사냥일로, 무대 뒤에서 팡파르 소리와 사냥감을 쫓는 사냥꾼들의 외침과 함께 프랑스 공주 엘리자베트가 나타난다. 사냥꾼들은 나무꾼들에게 사냥감을 주고 떠난다. 이 광경을 스페인 황태자 돈 카를로스가 그림자 속에서 엿보고 있다. 돈 카를로스는 신분을 숨기고 약혼녀 엘리자베트를 한 번이라도 보기 위해 이 숲에 잠입한 것이다. 이때 엘리자베트는 전쟁으로 빈곤에 시달리는 민중의 모습을 본다. 카를로스는 이때 처음으로 약혼녀를 보고 아리아 "저 사람을 봐요"를 부른다.[52] 엘리자베트의 뒤를 쫓아가자 왕비 일행은 길을 잃어버린다. 뿔피리가 밤을 알리자 카를로스는 엘리자베트 및 시동 티보와 대면한다. 카를로스는 스페인 대사의 수행원이라고 밝히며 도움을 요청한다. 시동 티보가 더 많은 도움을 구하러 떠나자 이중창 "도대체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를 부른다. 엘리자베트가 자신의 약혼자 카를로스 왕자에 대해 집요하게 질문하면서 감정이 고조된다. 카를로스는 마침내 왕비에게 왕자의 초상화를 보여주고, 엘리자베트는 그가 바로 왕자임을 알아챈다. 엘리자베트는 기뻐하며 장래의 남편에게 사랑을 고백하고 카발레타풍 이중창 "가슴을 찌르는 듯한 격렬한 생각에"에서 격렬하게 고조된다. 이 두 사람이 부르는 선율은 두 사람의 사랑의 상징으로 전편에서 회상된다. 잠시 후, 갑자기 축포가 울려 퍼지고, 사랑을 속삭이는 두 사람에게 시동 티보가 전령으로 와서 프랑스 왕 앙리 2세가 엘리자베트는 왕자 돈 카를로스의 결혼 상대가 아니라 스페인의 펠리페 2세의 왕비로 결정되었다고 알린다. 이로 인해 스페인과 프랑스 간의 전쟁이 종결되고 평화가 실현될 것이라고 전한다. 황태자비가 될 뻔했지만 왕비로 변경되었기에 엘리자베트는 경악하고 비탄에 잠기며 아리아 "아, 축제와 환희의 노래여"를 부른다. 한편, 무대 뒤에서는 환희의 합창이 대치된다. 레르마 백작이 나타나 결혼 승낙을 요구한다. 국가의 결정에 거스를 방법은 없다. 사람들의 환희와 축복의 합창과는 반대로 엘리자베트는 실망하고, 카를로스는 자신의 저주받은 운명에 짓눌린다.

:1883년 개정판에서 이 막은 생략되었다.[53]

4. 2. 2막

4개의 호른에 의한 장엄한 도입부에 무대 뒤의 합창이 부르는 카를 5세의 장송가 "카를 5세, 신성한 황제는"이 흐른다. 뒤에는 묘가 있고, 수도승들이 기도를 드리고 있다. 기도하던 수도승 중 한 명이 다가와 카를 5세는 존대함과 어리석음의 죄를 범했다고 중얼거린다. 마음의 안식을 구하던 카를로스는 "아들아, 지상의 고민은,"이라고 장중하게 읊조리는 소리를 듣는다. 이 신성한 장소에도 속세의 고통이 밀려오고 있음을 카를로스에게 시사하는 것이었다. 그 목소리가 카를로스에게 할아버지 카를 5세를 떠올리게 했다.

궁정에서의 유일한 이해자이자 친우인 포사 후작 로드리고가 나타난다. 로드리고는 억압받는 플랑드르 백성을 구하기 위해 카를로스를 분발시킨다. 카를로스는 아버지인 국왕의 왕비가 되어버린 엘리자베스에 대한 사랑에 괴로워하며, 로드리고에게 죄 깊은 사랑을 고백한다. 로드리고는 플랑드르에서의 싸움에 참여함으로써 사랑의 고뇌를 잊을 것을 충고한다. 두 사람은 의형제의 맹세를 맺고, "신이여, 당신은 우리들의 가슴에"라는 이중창을 부른다. 그 사이에 국왕 펠리페 2세와 왕비 엘리자베스가 뜰을 지나 수도원으로 들어간다.

4. 3. 3막

Don Carloit 3막은 두 개의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면 1:''' 마드리드 왕비의 정원. 엘리자베스는 다음 날 있을 국왕 대관식에 집중하기 위해, 저녁에 예정된 여흥을 피하고자 에볼리 공녀와 가면을 바꿔 쓰고 떠난다.

밤이 되자 돈 카를로스는 밀회를 갖자는 쪽지를 받고 정원에 나타난다. 그는 엘리자베스가 보낸 것이라 생각하지만, 사실 에볼리가 보낸 편지였다. 에볼리가 등장하자 카를로스는 그녀를 엘리자베스로 착각하고 열정적으로 사랑을 고백한다. 그러나 곧 자신의 실수를 깨닫고, 에볼리는 카를로스가 왕비를 사랑하고 있음을 눈치챈다. 질투심에 불탄 에볼리는 복수를 결심하고, 카를로스와 엘리자베스의 관계를 국왕에게 폭로하겠다고 위협한다. 이때 로드리고가 나타나 에볼리를 저지하려 하지만, 에볼리는 자신이 강력한 힘을 가진 위험한 적임을 암시한다.[32] 로드리고는 카를로스에게 정치적으로 민감한 문서를 자신에게 맡기라고 조언하고, 두 사람은 우정을 재확인한다.

'''장면 2:''' 바야돌리드 대성당 앞에서 화형식 준비가 한창이다. 수도사들이 정죄된 이단자들을 장작더미로 이끌고, 왕실 행렬이 이어진다. 국왕은 백성들에게 불과 칼로 그들을 보호하겠다고 약속한다. 이때 돈 카를로스는 플랑드르 사절들과 함께 나타나 국왕에게 그들의 자유를 간청한다. 백성과 궁정은 동정하지만, 국왕은 수도사들의 지지를 받으며 사절들을 체포하라고 명령한다. 카를로스는 국왕에게 플랑드르 통치권을 요구하며 칼을 뽑지만, 로드리고가 나서서 카를로스의 칼을 빼앗아 위기를 모면한다.[32] 국왕은 로드리고를 공작으로 임명하고, 경비병들은 카를로스를 체포한다. 장작더미에 불이 붙고, 하늘에서는 천국의 평화를 약속하는 목소리가 들려온다.

4. 4. 4막

필리포 2세는 엘리자베스가 자신을 사랑하지 않으며, 아들 카를로스와의 관계를 의심하며 고뇌한다. ("Elle ne m'aime pas" / "Ella giammai m'amòit").[59] 대심문관은 카를로스의 처형에 동의하고, 로드리고 또한 자신의 손에 넘길 것을 요구한다. 필리포 2세는 교권에 굴복해야 하는 왕권의 무력함에 비통해한다.

엘리자베스는 보석 상자를 도난당하고, 필리포 2세는 상자 안에서 카를로스의 초상화를 발견하고 엘리자베스를 간통으로 비난한다. 엘리자베스는 결백을 주장하며 기절하고, 에볼리와 로드리고가 도움을 주러 온다. 필리포 2세는 자신의 의심이 잘못되었음을 깨닫고 후회한다(사중창: "Maudit soit le soupçon infâme" / "Ah, sia maledetto, il rio sospetto").[60] 로드리고는 카를로스를 구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기로 결심하고, 에볼리는 엘리자베스를 배신한 것을 후회한다.

에볼리는 엘리자베스에게 자신이 카를로스를 모함했고, 필리포 2세의 정부였다고 고백한다. 엘리자베스는 에볼리에게 추방 또는 수녀원행을 명령한다.[62] 혼자 남은 에볼리는 자신의 아름다움과 자만을 저주하며 카를로스를 구하기로 결심한다(아리아: "O don fatal" / "O don fataleit").[65]

바릴 게데옹, "일 마에스트로 베르디", ''르 하네론''의 만화, 1867년 3월 14일 (파리 오페라 박물관)


감옥에서 로드리고는 카를로스에게 자신이 죄를 뒤집어써 카를로스를 구할 것이라고 말한다(아리아, 1부: "C'est mon jour suprême" / "Per me giunto è il dì supremoit"). 대심문관의 암살자가 로드리고에게 총을 쏘고, 로드리고는 죽어가면서 카를로스에게 엘리자베스가 생 쥐스트에서 기다릴 것이며, 플랑드르를 구원하라고 말한다(아리아, 2부: "Ah, je meurs, l'âme joyeuse" / "Io morrò, ma lieto in coreit"). 필리포 2세는 카를로스에게 자유를 주려 하지만, 카를로스는 로드리고를 죽인 필리포 2세를 거부한다.

종이 울리고, 군중이 감옥으로 몰려와 카를로스의 석방을 요구한다. 에볼리는 카를로스를 탈출시키고, 대심문관은 군중을 진압한다.

:[초연 이후, 일부 프로덕션에서는 봉기 장면을 생략하고 로드리고의 죽음으로 4막을 끝냈다. 1883년, 베르디는 봉기 장면을 축약했다.][64]

4. 5. 5막

엘리자베스는 돈 카를로를 기다리며 황제의 무덤에서 기도한다. 돈 카를로가 나타나자, 로드리고가 플랑드르에서 자유를 위해 부탁한 것을 계속하도록 설득한다. 그들은 자신들의 사랑이 천국에서 보답받기를 맹세한다.[67] 필립 왕이 대심문관의 수행원들과 함께 나타나 둘 사이를 방해한다. 필립 왕과 대심문관은 죽은 황제(카를 5세)의 목소리를 들었다고 생각한다. 신비스러운 수도승이 문을 열어 돈 카를로를 보호하며 수도원의 어둠 속으로 인도한다.[68]

1883년 개정판에서는 결말이 수정되었다. 수도사는 한 음 더 높게 노래하며, 왕의 로브와 왕관을 쓴 카를 5세임이 명시된다. 수도사들의 노래는 더 이상 불리지 않고 금관 악기 합창으로 대체된다.[70][71]

5. 주제와 갈등

이 오페라는 종교적 대립, 정치적 권력 다툼, 개인적 갈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종교적으로는 가톨릭 세력(필리포 2세와 대심문관)과 개신교 세력(플랑드르, 로드리고, 돈 카를로)이 대립한다. 정치적으로는 국왕 필리포 2세와 대심문관으로 대표되는 종교 권력이 암투를 벌이는데, 당시에는 종교 권력이 더 우세했다. 개인적으로는 카를로스와 엘리자베타의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에볼리 공작부인의 질투, 필리포 2세와 아내의 불화, 필리포 2세와 에볼리 공작부인의 불륜, 카를로스와 로드리고의 우정 등이 얽혀 깊은 갈등을 보여준다.[74]

바야돌리드 대성당 앞 광장에서는 국왕을 찬양하는 합창과 함께 종교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이단자들이 화형대로 끌려간다. 국왕이 이단자 처형을 선고하자, 플랑드르 대표단은 자비를 간청하지만 국왕은 이들을 반역자로 규정한다. 카를로스는 칼을 뽑아 플랑드르 구제를 선언하고, 로드리고의 중재로 칼을 국왕에게 바친다. 국왕은 로드리고에게 공작 지위를 수여하고, 화형식이 거행되는 가운데 천상의 구원 목소리가 들려온다.

이러한 갈등 구조는 베르디의 『오텔로』와 비슷하지만, 『돈 카를로』에서는 등장인물 모두가 각자의 고뇌를 안고, 남성은 영웅으로서 좌절하고 여성은 사랑을 위해 희생하는 모습을 보인다.[74]

5. 1. 공적 갈등

이 오페라는 종교적 대립과 정치적 권력 다툼, 그리고 여러 개인적 갈등을 다룬다. 종교적으로는 구교인 가톨릭 세력(필리포 2세와 대심문관)과 개신교 세력(플랑드르, 로드리고, 돈 카를로) 간의 갈등이 나타난다. 정치적으로는 국왕 필리포 2세와 대심문관으로 대표되는 종교 권력 간의 암투가 벌어지는데, 당시에는 종교 권력이 더 우세했다.

바야돌리드 대성당 앞 광장에서 국왕을 찬양하는 합창이 울려 퍼지는 가운데, 종교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이단자들이 화형대로 끌려간다. 국왕이 이단자 처형을 선고하자, 플랑드르 대표단이 자비를 간청하지만, 국왕은 이들을 반역자로 규정한다. 카를로스는 칼을 뽑아 플랑드르 구제를 선언하고, 로드리고의 중재로 칼을 국왕에게 바친다. 국왕은 로드리고에게 공작 지위를 수여하고, 화형식이 거행되는 가운데 천상의 구원 목소리가 들려온다.

왕궁 서재에서 필리포 2세는 아리아 「쓸쓸히 잠들리라」를 부르며 고독과 슬픔을 토로한다. 대심문관은 카를로스와 로드리고의 처형을 요구하지만, 왕은 로드리고의 목숨을 거부한다. 대심문관은 분노하며 왕조차 법정에 세울 수 있다고 경고한다. 왕비 엘리자베트는 보석함을 도난당했다고 알리고, 왕은 보석함 속 카를로스의 초상화를 빌미로 왕비의 불륜을 추궁한다. 왕비는 결백을 주장하며 실신하고, 에볼리와 로드리고가 달려온다. 에볼리는 왕비에게 카를로스를 사랑한 질투심에 보석함을 훔쳤고, 국왕과 불륜 관계였다고 고백한다. 왕비는 에볼리에게 추방령을 내리고, 에볼리는 아리아 「저주받은 아름다움」을 부른다.

5. 2. 개인적 갈등

이 오페라는 종교적 대립과 정치적 권력 다툼, 그리고 여러 개인적 갈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종교적으로는 가톨릭교를 대표하는 필리포 2세와 대심문관, 개신교를 옹호하는 돈 카를로와 로드리고가 대립한다. 정치적으로는 필리포 2세와 종교 재판장이 권력을 두고 다투는데, 당시에는 종교 권력이 더 강했다. 개인적으로는 카를로스와 엘리자베타의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에볼리 공작부인의 질투, 필리포 2세와 아내의 불화, 필리포 2세와 에볼리 공작부인의 불륜, 카를로스와 로드리고의 우정 등이 얽혀 깊은 갈등을 보여준다.[74] 이러한 갈등 구조는 베르디의 『오텔로』와 비슷하지만, 『돈 카를로』에서는 등장인물 모두가 각자의 고뇌를 안고, 남성은 영웅으로서 좌절하고 여성은 사랑을 위해 희생하는 모습을 보인다.[74]

6. 한국적 관점

오페라 돈 카를로에서 억압받는 플랑드르 백성들의 자유를 위한 투쟁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민주화 운동을 연상시킨다. 종교적 갈등은 한국 사회의 다양한 종교 간의 갈등과 화합의 문제를 생각하게 한다. 권력과 개인의 자유, 사랑의 문제는 시대를 초월하는 보편적인 주제로서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74]

오페라에서 나타나는 구교와 개신교의 대립은, 가톨릭교 세력인 필리포 2세와 대심문관, 그리고 개신교도가 많은 플랑드르 지방을 대표하는 포자 후작 로드리고와 돈 카를로 간의 갈등으로 나타난다. 이는 한국 사회의 다양한 종교 간의 갈등과 화합을 연상시킨다.[74]

정치 권력과 종교 권력의 대립, 그리고 카를로와 엘리자베타의 숙명적인 사랑, 에볼리 공작부인의 질투 등 개인적인 갈등은 권력, 개인의 자유, 사랑이라는 보편적인 주제를 다루며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74]

7. 악기 편성

악기 종류상세 편성
목관악기플루트 3개, 피콜로, 오보에 2개, 잉글리시 호른, 클라리넷 2개, 바순 4개, 콘트라바순
금관악기호른 4개, 코넷 2개, 트럼펫 2개, 트롬본 3개, 오피클레이드
타악기팀파니, 베이스 드럼, 트라이앵글, 튜블러 벨, 대포, 탬버린, 캐스터네츠
기타하프, 하모니엄
무대 밴드[73]무대 밖 호른(왼쪽 및 오른쪽)은 E-플랫과 B-플랫, D 클라리넷, A조 클라리넷 2개, 플루겔호른 2개, D조 트럼펫 2개, D조 호른 4개, 튜바 2개, 트롬본 2개, 베이스 튜바 2개
현악기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 베이스


8. 연주 시간

판본에 따라 연주 시간이 다르다. 작곡가가 생전에 전혀 들을 수 없었던 프랑스어 5막 원전판은 4시간 5분, 작곡가가 참여한 프랑스어 5막 초연판과 1886년 이탈리아어 5막판은 3시간 25분, 제1막을 제외한 전 4막판은 2시간 50분이다. 옛 독일어판도 이탈리아어판의 연주 시간에 준하지만 무수한 컷이 존재한다.[9]

9. 녹음 및 영상

돈 카를로는 다양한 판본의 음반과 영상 자료가 존재한다. 다음은 그 중 일부이다.

연도배역
돈 카를로,
엘리자베트,
로드리고,
에볼리 공녀,
필리포 2세,
대심문관,
수도사
지휘자,
관현악단 및 합창단
레이블
1972앙드레 튀르프,
에디트 트랑블레,
로베르 사보와,
미셸 빌마,
조제프 루로,
리처드 반 알렌,
로버트 로이드
존 매시슨,
BBC 콘서트 오케스트라
BBC 싱어즈
CD: GALA ORCV-305
완전 전곡에 의한 역사적 방송 녹음.
1983~1984플라시도 도밍고,
카티아 리치아렐리,
레오 누치,
루치아 발렌티니 테라니,
루지에로 라이몬디,
니콜라이 갸우로프,
니키타 스트로예프
클라우디오 아바도,
밀라노 스칼라좌 관현악단
밀라노 스칼라좌 합창단
CD: DG No:4791919
모데나 초연의 5막판을 프랑스어로 되돌린 판
1996로베르토 알라냐,
카리타 맷틸라,
토마스 햄슨,
발트라우트 마이어,
조제 반담,
에릭 하프바르손,
차바 엘리제
안토니오 파파노,
파리 관현악단
샤틀레 극장 합창단
연출: 뤽 봉디
DVD: 워너 뮤직 재팬
No:109181
CD: EMI Classics 7243 5 56152
귄터와 페타초니가 교정한 판을 참고한 것
2004라몬 바르가스,
이아노 타마르,
보 스코푸스,
나디아 미하엘,
알래스테어 마일스,
사이먼 얀,
단 파울 드미트레스쿠
베르트랑 드 빌리,
빈 국립 오페라 극장 관현악단
빈 국립 오페라 극장 합창단
DVD: 일본 콜롬비아 No:COBO6015
연출: 페터 콘비츠니
5막 프랑스어 오리지널판, 1867년
CD:ORFEO DOR *CL* No:ORFEOR648054



이탈리아어판 음반 및 영상 자료도 다수 존재한다.

참조

[1] 문서 In the title of the opera and the play, "Don" is used as the Spanish honorific
[2] 서적 Kimbell 2001, in Holden p. 1002; Budden 1981, pp. 15–16 (includes details of Cormon's play).
[3] 서적 Verdi; Günther 1986, pp. XX–XXI.
[4] 서적 Budden 1981, pp. 23–25.
[5] 서적 Kimbell 2001, p. 1002, notes that "some of the deleted material from this served as the seed for the 'Lacrymosa' in the Requiem".
[6] 서적 Budden 1981, p. 25.
[7] 뉴스 Musical Events: Proper Bostonian https://www.newyorke[...] The New Yorker 1973-06-02
[8] 서적 Porter 1982.
[9] 서적 Verdi; Günther 1986.
[10] 서적 Budden 1981, p. 25–26.
[11] 서적 Kimbell 2001, in Holden, p. 1003.
[12] 서적 Budden 1981, p. 156.
[13] 서적 Budden 1981, p. 26; for the Italian translation by Achille de Lauzières, see
[14] 서적 Quoted and translated in Budden 1981, p. 27.
[15] 서적 Budden 1981, p. 27.
[16] 서적 Budden 1981, p. 28.
[17] 서적 Walker 1962, p. 326.
[18] 서적 Walker 1962, p. 417.
[19] 서적 Porter 1982, p. 368.
[20] 서적 Verdi; Günther 1986, pp. XX, 263–276 (a), 623 (b). Budden 1981, pp. 28–29. Porter 1982, p. 362.
[21] 서적 Budden 1981, p. 29.
[22] 서적 Porter 1982, pp. 362–363.
[23] 서적 Budden 1981, pp. 31–38.
[24] 웹사이트 Notice de spectacle http://catalogue.bnf[...] BnF 1884
[25] 서적 Budden 1981, p. 39.
[26] 뉴스 'Don Carlos,' Early and Lat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6-03-06
[27] 웹사이트 "''Don Carlo'' (6 November 1950) Telecast" https://archives.met[...] Met Opera Archive 1950-11-06
[28] 간행물 Don Carlo, Opera in 4 acts; originally in 5, Music CD https://www.operadis[...]
[29] 간행물 Don Carlos: opera in four acts, DVD video https://www.operadis[...]
[30] 간행물 'The Gramophone Classical Music Guide' https://www.operadis[...] 2008
[31] 간행물 The Penguin Guide to Recorded Classical Music 2008
[32] 웹사이트 Don Carlos, 9 May 1958, Evening http://www.rohcollec[...] Royal Opera House Collections Online, Performance Database 2013-10-01
[33] 웹사이트 https://www.operadis[...]
[34] 서적 Kobbé 1997, p. 901.
[35] 뉴스 Music View: 'Don Carlo'—Great But Difficul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79-02-04
[36] 뉴스 Opera: New Production Of ‘Don Carlo’ at the Me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79-02-06
[37] 웹사이트 Met performance of 5 February 1979 https://archives.met[...]
[38] 서적 2008
[39] 서적 1981
[40] 웹사이트 "#108" https://www.operadis[...]
[41] 웹사이트 Don Carlos https://web.archive.[...] 2018-03-27
[42] 뉴스 Recordings, Video. Verdi: Don Carlos, Théâtre du Châtelet https://www.operanew[...] Opera News 2004-01
[43] 간행물 Don Carlos Kultur Bluray video 2014
[44] 간행물 Verdi, Don Carlos. Verdi's music gets respect but visually this 'complete' Carlos is incomplete... Gramophone 2008-01
[45] 간행물 Don Carlos TDK 2007
[45] 간행물 Don Carlos Arthaus Musik 2010
[46] 웹사이트 Archive copy of "Don Carlos, Grand opera in 5 Acts" https://web.archive.[...]
[47] 뉴스 HGO rises to the occasion with 'Don Carlos' https://www.chron.co[...] chron.com 2012-04-17
[48] 웹사이트 Review: Brandon Jovanovich Triumphant in Historic “Don Carlos” Production – Houston Grand Opera, April 13, 2012 https://operawarhors[...] 2012-04-17
[49] 뉴스 "Don Carlos, Houston Grand Opera, 4/13/12" https://www.operanew[...] Opera News 2012-04-13
[50] 뉴스 A less-cut operatic 'Don Carlos' in Houston https://www.deseret.[...] Deseret News 2012-04-23
[51] 뉴스 Soprano Showdown in Houston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2012-04-24
[52] 웹사이트 Don Carlos https://web.archive.[...] 2018-03-27
[53] 웹사이트 MOoD Detail Page https://www.metopera[...] 2024-03-04
[54] 서적 1981
[55] 웹사이트 Don Carlos https://web.archive.[...] Instituto Nazionale di Studi Verdiani 2010-11-05
[56] Almanacco
[57] 문서 Diego, Cardinal de Espinosa
[58] 문서 p. 357 of the 1867 Escudier piano-vocal score https://commons.wiki[...]
[59] 문서 For the premiere, the second eight measures of the orchestral introduction to Elisabeth's entry were omitted and the first half of the ninth measure slightly revised (Verdi; Günther 1986, p. 454–455). This change was retained in the 1883 revision (Verdi; Günther 1986, p. 504).
[60] 서적 1986
[61] 서적 1986
[62] 서적 1986
[63] 서적 1986
[64] 서적 1986
[65] 서적 The orchestral introduction to the aria 'O don fatal' was slightly revised in the 1883 version (Verdi; Günther 1986, p. 527). The rest of the aria is essentially unchanged, but printed again (on pp. 527–532 in the 1986 edition), as Andrew Porter mentions in his review of the 1980 edition (Porter 1982, p. 367). 1986
[66] 서적 Don Carlos https://books.google[...] 1867
[67] 서적 Mon fils, les douleurs de la terre nous suivent encor dans ce lieu, la paix que votre coeur espère ne se trouve qu'auprès de Dieu! These words differ from those in the printed libretto. 1986
[68] 서적 Charles Quint, l'auguste Empereur n'est plus que cendre et que poussière. These words differ from those in the printed libretto. 1986
[69] 서적 1986
[70] 서적 1981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最新名曲解説全集第19巻
[75] 문서 配役は録音・録画の項のリストを参照。
[76] 웹사이트 http://archive.sfope[...]
[77] 문서 詳細は録音・録画の項のリストを参照
[78] 웹사이트 https://www.wiener-s[...]
[79] 웹사이트 http://www.geigeki.j[...]
[80] 웹사이트 昭和音楽大学オペラ研究所 オペラ情報センター http://opera.tosei-s[...]
[81] 웹사이트 https://www.operadep[...]
[82] 뉴스 https://mainichi.jp/[...]
[83] 웹사이트 https://www.operanew[...]
[84] 웹사이트 https://www.opera-ly[...]
[85] 웹사이트 https://www.staatso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