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스키 미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스키 미르"는 러시아와 역사적, 문화적, 영적인 연관성이 있는 공동체를 지칭하는 모호한 개념으로, 러시아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이데올로기로 여겨진다. 이 용어는 11세기부터 사용되었지만, 21세기 초 크렘린 선전에서 부활했다. 블라디미르 푸틴은 '루스키 미르' 개념을 적극적으로 채택하여 러시아 정부의 정책으로 활용했고, 러시아 정교회 지도부도 이를 지지한다. 이 개념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었으며, 서방의 자유주의 문화에 대한 반대와 결합되어 비판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철학 - 러시아 마흐주의
러시아 마흐주의는 20세기 초 러시아에서 관념론 및 레닌의 유물론에 대립하며 나타난 사상 및 운동으로, 블라디미르 바자로프, 알렉산드르 보그다노프, 세르게이 수보로프 등이 주요 인물이며 당시 러시아 지식인 사회에 영향을 미쳤다. - 러시아 철학 - 유라시아주의
유라시아주의는 1920년대 러시아 혁명 후 망명자 공동체에서 발생한 정치 운동으로, 러시아를 유럽과 아시아에 속하지 않는 독립된 문명으로 보고 러시아 중심의 유라시아 통합을 지향하며, 소련 붕괴 후 신유라시아주의로 부활하여 러시아 외교에 영향을 주고 신제국주의 이념으로 비판받는다. - 러시아 국민주의 - 러시아화
러시아화는 러시아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과정으로, 역사적으로 러시아 제국과 소련 시대를 거치며 소수 민족 문화 약화 시도와 러시아어 보급 등의 형태로 나타났고, 소련 붕괴 이후에도 러시아 연방 내에서 지속되며 논쟁을 야기한다. - 러시아 국민주의 - 러시아 백군
러시아 백군은 러시아 내전 당시 볼셰비키 정권에 대항했던 반혁명 세력의 연합체로, 다양한 이념을 추구하며 알렉산드르 콜차크와 안톤 데니킨 등의 지도자 아래 적군에 맞섰으나 내전에서 패배하여 많은 구성원이 해외로 망명했다. - 러시아의 정치 - 통합 러시아
통합 러시아는 푸틴의 부상과 옐친의 인기 하락 속에 크렘린의 지원으로 결성되어 여러 정당과의 합당을 거쳐 출범한 러시아의 거대 여당으로, 푸틴 집권 후 압도적인 지지율로 정치를 장악했으나 선거 부정, 부패, 연금 개혁 등으로 이미지에 타격을 입었고 우크라이나 침공 후 지지율을 유지하고 있으나 내부 균열과 국제 제재에 직면해 있으며, 중도주의, 보수주의, 러시아 보수주의를 표방하면서 푸틴 정권의 정책을 지지하는 포괄적 성격을 띤다. - 러시아의 정치 - 러시아 자유민주당
러시아 자유민주당은 1990년 소련 자유민주당으로 설립되어 1992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블라디미르 지리노프스키가 이끌던 극우 성향의 정당으로 구 소련 영토 회복 등을 주장하며 푸틴 정권 하에서 체제 내 야당으로 활동하고 있고, 2022년 이후 레오니드 슬루츠키가 당 대표를 맡고 있다.
루스키 미르 |
---|
2. 역사
(내용 없음)
2. 1. 러시아 제국 이전과 제정 시기
"루스키 미르"라는 용어의 가장 초기 사용 중 하나는 11세기의 키예프 대공 이랴슬라프 1세가 남긴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는 교황 클레멘스 1세를 칭찬하며, "그의 주인의 달란트를 늘린 충실한 종에게 감사를 담아 - 로마에서뿐만 아니라, 어떤 곳에서도: 헤르소네스에서도, 그리고 러시아 세계에서도 (с благодарностью тому верному рабу, который умножил талант своего господина - не только в Риме, но и повсюду: и в Херсоне, и еще в Русском миреru)"라고 언급했다.[53][54]16세기에 이르러 러시아는 자기 완결적인 세계로 모습을 갖추었다. 이 시기 러시아 세계는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서양과 동양(오리엔트)의 영향을 흡수했지만, 이러한 외부 영향은 러시아 자체의 발전 맥락 속에서는 상대적으로 미미한 수준이었다. 차르 정권이 의도적으로 러시아를 유럽화하려는 시도는 17세기와 18세기에 들어서야 본격화되었다.[55]
러시아 제국 시기, '루스키 미르' 사상은 보수주의적이고 민족주의적인 성격을 강하게 띠었다. 루스키 미르 재단의 대표인 뱌체슬라프 니코노프는, 러시아 세계는 러시아 고유의 것을 넘어서지 않았다고 말했다. 니코노프는 이 시대에 세계 인구의 7분의 1이 러시아 제국에 살았지만, 현재는 50분의 1이라고 한탄했다.[56]
언어학자 안드레이 데스니츠키는 러시아어 국립 코퍼스 분석을 통해 "루스키 미르"라는 표현이 1930년대 이전에는 드물게 사용되었음을 밝혀냈다. 그는 이 용어가 "같은 민족 국가 내의 사람들(또는 독일의 경우처럼 그러한 국가를 갈망하는 사람들)이 민족성과 문화를 기반으로 공통된 정체성을 찾기 시작했던 시기의 낭만적인 유럽 민족주의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고 썼다. 독일의 ''Deutschheit''나 스페인의 ''Hispanidad''와 같은 개념이 다른 언어에서도 발견된다. 이후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이 용어는 흔하게 사용되었으며, 주로 다른 민족에 대한 보충어로 사용되었고 "대개 맹목적인 애국심 없이" 사용되었다. 러시아 혁명 이후 이 표현은 거의 사용되지 않다가 21세기 초부터 크렘린의 선전에서 다시 나타났다.
2. 2. 1990년대
소련 붕괴 이후 수립된 러시아 연방에서는 '루스키 미르' 개념을 부활시키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이러한 논의를 주도한 인물로는 표트르 셰드로비츠키(Щедровицкий, Пётр Георгиевич (младший)ru), 예핌 오스트로프스키, 발레리 티슈코프(Valery Tishkov영어), 비탈리 스크리니크, 타티야나 폴로스코바, 나탈리아 나로치니츠카야(Natalya Narochnitskaya영어) 등이 있다. 당시 러시아는 소련 시절부터 이어져 온 다민족적, 다문화적 특성을 가지고 있었기에, 국가 통합을 위한 새로운 러시아 사상 정립이 필요했다. 이는 과거 러시아 제국 말기의 자민족 중심적인 정교, 전제, 민족성 원리만으로는 달성하기 어려운 과제였다.이러한 배경 속에서 2000년, 셰드로비츠키는 『러시아 세계와 국경을 넘는 러시아성』이라는 논문을 통해 '루스키 미르' 개념의 주요 구상을 제시했다. 그는 특히 러시아어를 '루스키 미르'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로 강조했다. 우드로 윌슨 국제 센터의 연구원 앤디스 쿠도르스는 셰드로비츠키의 주장이 18세기 철학자 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가 처음 제시한 언어 상대성 이론, 즉 언어가 사고에 영향을 미친다는 생각과 연결된다고 분석했다. 이는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러시아 방식으로 생각하고 행동하게 된다는 시각으로 이어질 수 있다.
2. 3. 푸틴 시대
결국, "루스키 미르"라는 개념은 블라디미르 푸틴 치하의 러시아 정부에 의해 채택되었다. 2001년, 푸틴은 "러시아 세계라는 개념은 러시아의 지리적 경계를 훨씬 넘어, 심지어 러시아 민족의 경계도 훨씬 넘어선다"라고 말했다.[13]푸틴은 2005년 신타슈타 문화의 아르카임 유적지를 방문하여 수석 고고학자 겐나디 즈다노비치를 만났다. 이 방문은 러시아 언론에서 광범위하게 보도되었으며, 아르카임을 "아시아와 일부 유럽의 현대인 대다수의 고향"으로 묘사했다. 민족주의자들은 아르카임을 "러시아 영광의 도시"와 "가장 오래된 슬라브-아리아 도시"라고 불렀다. 즈다노비치는 대통령에게 아르카임을 "러시아의 국가적 이념"으로 제시했다고 전해지며, 빅토르 슈니렐만은 이를 "러시아적 이념"이라고 부른다.
푸틴은 2007년 해외에서 "러시아 세계"의 개념을 육성하기 위해 정부 지원 루스키 미르 재단의 설립을 칙령으로 공포했다. 이 재단은 "구소련 국가에서 러시아 중심의 의제를 추진하는 수단으로 주로 사용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13] 많은 관측통들은 "루스키 미르" 개념의 진흥을 러시아의 부흥 또는 그 영향력을 소비에트 연방 및 러시아 제국의 판도까지 되돌리려는 복수주의적 사고의 한 요소로 간주하고 있다.[59][60][61]
다른 관측통들은 이 개념을 러시아의 소프트 파워를 전달하기 위한 도구로 설명하기도 한다.[62][58] 특히 우크라이나에서는 "루스키 미르"의 진흥이 우크라이나에서의 러시아의 군사 개입과 강하게 결부되게 되었다.[63][64] 통신사 Русская линия|루스카야 리니야rus의 공동 편집자 파벨 티호미로프에 따르면, 수가 끊임없이 증가하는 정치적 관심이 높은 우크라이나인에게 "루스키 미르"는 오늘날 "단순히 새로운 이름으로 덮여진 '신소비에트주의'"이다. 티호미로프는 이것을 러시아 사회 그 자체 내부의 "루스키 미르"와 소비에트 연방의 융합과 일치시켰다.[65]
3. 개념
"루스키 미르"(Русский мир, 러시아 세계)는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은 용어로, 주로 러시아와 역사적, 문화적, 언어적, 또는 정신적 연관성을 가진 공동체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5] 여기에는 러시아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모든 러시아인과 러시아어 사용자는 물론, 러시아 정교회 신자까지 포함될 수 있다.[6][13] 루스키 미르를 지지하는 이들은 러시아를 "독특한 문명"으로 여기며, 전통적 가치와 민족 보수주의를 수호하는 보루라고 믿는다.[13]
"루스키 미르" 사상은 러시아 신제국주의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7] 국립 전략 연구소의 제프리 맹코프는 이 개념이 "러시아 연방의 국경을 초월하는 러시아 제국 국가라는 생각"을 구체화하며, "자신만의 시민 국가를 건설하고 역사를 러시아로부터 분리하려는 인접 국가들의 노력을 방해한다"고 지적했다.[7] 많은 전문가들은 "루스키 미르" 개념을 러시아의 국경이나 영향력을 과거 소련이나 러시아 제국 시절 수준으로 되돌리려는 복수주의적 목표를 가진 것으로 해석한다.[14][15][16]
"루스키 미르"라는 표현 자체는 11세기 키예프 루스의 대공 이랴슬라프 1세가 사용한 기록이 있을 정도로 오래되었다.[53][54] 언어학자 안드레이 데스니츠키에 따르면 이 용어는 1930년대 이전에는 드물게 쓰였으며, 제1차 세계 대전 무렵까지는 주로 다른 민족과 구별하는 의미로, "맹목적인 애국심 없이" 사용되다가 러시아 혁명 이후 거의 사라졌다. 16세기 러시아는 서양과 동양의 영향을 일부 흡수하며 독자적인 세계를 형성했고, 17-18세기 차르 정권은 의식적인 유럽화를 시도했다.[55] 러시아 제국 시기에는 보수적 민족주의와 연결되었으나, 그 범위는 러시아 고유의 영역을 넘지 못했다는 평가도 있다.[56]
이 용어는 21세기 초 크렘린의 선전 활동과 함께 다시 부상했다. 1990년대 알렉산드르 두긴과 같은 네오 파시스트 철학자들이 러시아를 독특한 유라시아 문명으로 묘사하며 개념의 부활에 영향을 미쳤고,[13] 이후 표트르 셰드로비츠키 등 여러 학자들이 개념을 발전시켰다.[17][18] 러시아 정부와 러시아 정교회는 이 개념을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확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이는 러시아의 소프트 파워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되기도 한다.[18][62]
그러나 우크라이나 등 주변국에서는 "루스키 미르"가 신소련주의나 러시아의 팽창주의적 의도를 드러내는 것으로 받아들여지며 강한 경계심을 낳고 있다.[19][63][64] ''파이낸셜 타임스''는 "루스키 미르"를 "푸틴의 창조물"로 묘사하며, 차르 시대 정교회 과거에 대한 존경과 제2차 세계 대전 승리에 대한 경외심을 결합한 것이라고 분석했다.[20] ''이코노미스트''는 이 개념이 서방의 "자유주의" 문화에 대한 성전의 기반이 되고 "새로운 러시아 전쟁 숭배"를 조장했으며, 푸틴 정권이 흑암주의, 정교회 교리, 반서방 정서, 민족주의, 음모론, 스탈린주의적 요소를 혼합하여 개념을 변질시켰다고 비판했다.[21]
3. 1. 러시아 정부
"루스키 미르" 개념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집권 이후 러시아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푸틴 대통령은 2001년에 "러시아 세계라는 개념은 러시아의 지리적 경계를 훨씬 넘어, 심지어 러시아 민족의 경계도 훨씬 넘어선다"고 말하며 이 개념의 확장 가능성을 시사했다.[13]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에서 '루스키 미르' 개념을 다시 주목받게 한 주요 인물로는 Пётр Георгиевич Щедровицкий|표트르 게오르기예비치 셰드로비츠키rus, 예핌 오스트로프스키, Valery Tishkov|발레리 티슈코프eng, 비탈리 스크리니크, 타티야나 폴로스코바, Natalya Narochnitskaya|나탈리아 나로치니츠카야eng 등이 있다. 러시아는 소련 시절부터 다민족 국가였기 때문에, 국가 통합을 위한 Russian Idea|러시아 사상eng은 자민족 중심주의를 넘어서야 했다. 이는 러시아 제국 말기의 Orthodoxy, Autocracy, and Nationality|정교, 전제, 민족성eng 원칙과는 다른 접근 방식이었다. 2000년, 셰드로비츠키는 『러시아 세계와 국경을 넘는 러시아성』이라는 논문에서 '루스키 미르' 개념의 핵심 사상을 제시했는데, 그중 하나가 러시아어의 중요성이었다. 우드로 윌슨 센터의 연구자 앤디스 쿠도르스는 셰드로비츠키의 주장이 18세기 철학자 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가 처음 제시한 언어 상대성 이론, 즉 언어가 사고에 영향을 미친다는 생각과 연결된다고 분석했다. 이는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러시아 방식으로 생각하고 행동하게 된다는 논리로 이어진다.
푸틴 대통령은 2005년 신타슈타 문화의 고대 유적지인 아르카임을 방문하여 수석 고고학자 겐나디 즈다노비치를 만났다. 이 방문은 러시아 언론에서 크게 다루어졌으며, 아르카임은 "아시아와 일부 유럽 현대인의 조상의 고향"으로 묘사되었다. 일부 민족주의자들은 아르카임을 "러시아 영광의 도시", "가장 오래된 슬라브-아리아 도시" 등으로 칭송했다. 즈다노비치는 푸틴에게 아르카임을 "러시아의 국가적 이념"으로 발전시킬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알려졌으며, Victor Schnirelmann|빅토르 슈니렐만eng은 이를 새로운 문명 이념으로서의 "러시아 사상"이라고 평가했다.
결국 러시아 정부는 '루스키 미르' 사상을 받아들였고, 2007년 푸틴 대통령은 해외에서 러시아 문화와 언어를 홍보하고 러시아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부 지원 기구인 루스키 미르 재단 설립을 명하는 대통령령을 발표했다. 이 재단은 주로 구소련 국가들에서 러시아 중심의 의제를 추진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13]
많은 관측통들은 '루스키 미르' 개념의 확산을 러시아가 과거 소련이나 러시아 제국 시대의 영향력을 회복하려는 복고적 민족주의, 즉 복수주의적 시도의 일환으로 해석한다.[59][60][61] 다른 한편에서는 이를 러시아의 소프트 파워를 전파하기 위한 전략으로 보기도 한다.[62][58] 특히 우크라이나에서는 '루스키 미르' 개념이 러시아의 군사 개입과 밀접하게 연관되면서 부정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63][64] 러시아 통신사 루스카야 리니야(Русская линия)의 공동 편집자 파벨 티호미로프는 정치적으로 민감한 많은 우크라이나인들에게 '루스키 미르'는 사실상 '신소비에트주의'와 다름없는 것으로 인식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러한 인식이 러시아 사회 내부에서도 '루스키 미르'와 소비에트 연방을 동일시하는 경향과 관련이 있다고 분석했다.[65]
3. 2. 러시아 정교회
"루스키 미르" 개념은 러시아 정교회 지도부의 많은 인사들에 의해 적극적으로 홍보되고 있다. 2009년 11월 3일, 제3회 루스키 미르 총회에서 당시 새로 즉위한 모스크바 총대주교 키릴은 "루스키 미르"를 "동방 정교회, 러시아 문화(특히 언어), 그리고 공통의 역사적 기억이라는 세 가지 기둥에 기초한 공통의 문명 공간"으로 정의했다.[22][67][23][68]러시아 정교회는 "루스키 미르"를 키예프 루스의 기독교화를 통해 신이 루스인들에게 "거룩한 루스"를 건설하는 임무를 부여했다는 것을 상기시키는 영적인 개념으로 간주한다.[24][69]

2019년 1월 31일, 키릴 총대주교는 러시아 정교회와 우크라이나 간의 관계에 대해 언급하며, "우크라이나는 우리 교회의 변경에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키예프를 '모든 러시아 도시의 어머니'라고 부른다. 우리에게 키예프는 예루살렘과 같은 종교적 중요성을 지닌다. 러시아 정교회는 거기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어떤 상황 하에서도 우리는 이 역사적 및 정신적 연결을 버릴 수 없다. 우리 교회의 전체적인 통일성은 이러한 정신적 연대에 기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70][71] 이는 우크라이나의 독립적인 정체성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시각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루스키 미르" 개념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로 이용되었으며, 키릴 총대주교 역시 침공을 지지하는 입장을 보였다.[50] 이러한 행보는 우크라이나 내에서 러시아에 대한 강한 반감을 불러일으켰고, 결국 우크라이나 정교회 (모스크바 총대주교청)가 2022년 5월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으로부터의 완전한 독립을 선언하는 계기가 되었다.[50]
3. 2. 1. 정교회의 비판
우크라이나 총리의 고문이었던 올레 메드베데프는 모스크바 총대주교 키릴의 2009년 우크라이나 방문 당시, 이를 "신제국주의적 루스키 미르 교리를 설파하는 제국주의자의 방문"이라고 비판한 바 있다.[25]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된 후, 동방 정교회 소속의 신학자 및 성직자 1,600여 명은 '러시아 세계' 교리에 관한 선언, 일명 볼로스 선언을 발표했다. 이 선언은 "러시아 세계" 이념이 정교회 신앙에서 벗어난 이단적 가르침이라고 명확히 규정했다.[26][27][28] 선언문은 "러시아 세계"가 "전체주의적" 성격을 지닌 이단이라고 지적하며,[29] 이 개념이 가진 여섯 가지 "잘못된 신학적 측면"을 비판했다. 비판 내용은 다음과 같다.[30]
- 하느님 나라를 현세의 왕국으로 대체하려는 시도
- 신정 정치와 황제교황주의를 통해 국가를 신격화하여, 교회가 불의에 맞설 자유를 박탈하는 것
- 특정 문화를 신성시하는 태도
- 마니교적 관점에서 서방 세계를 악마화하는 것
- 진실을 외면하고 "살인적인 의도와 죄책감"을 인정하지 않는 것
이후 오방교구에 속한 동방 정교회의 주요 총대주교 중 두 곳에서도 루스키 미르 이념을 예수의 가르침에 어긋나는 것으로 규탄했다. 이들은 해당 이념이 1872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열린 공의회에서 이미 이단으로 규정된 민족주의와 연관되어 있다고 지적했다.[31] 가장 먼저 이러한 입장을 밝힌 곳은 알렉산드리아 정교회와 그 수장인 총대주교 알렉산드리아의 테오도로스 2세였다.[32][33][34] 명예와 서열상 첫 번째 위치에 있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 역시 이러한 비판적 입장을 지지했다.[35][36]
2023년 초,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바르톨로메오스 1세와 키프로스의 대주교 키프로스의 게오르기우스 3세는 서신 교환을 통해 이 문제에 대해 심도 깊게 논의하기도 했다.[37][38]
4. 우크라이나 전쟁과의 연관성
우크라이나에서 "루스키 미르"의 홍보는 2014년 이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강하게 연관되어 왔다.[63][64][39][40] 많은 관측통들은 "루스키 미르" 개념의 확산을 러시아의 영향력을 과거 소비에트 연방이나 러시아 제국 시절로 되돌리려는 복수주의적 시도의 일부로 간주한다.[59][60][61] 다른 한편으로는 러시아의 소프트 파워를 전파하기 위한 도구로 보기도 한다.[62][58] 우크라이나 내에서는 "루스키 미르"가 점차 '신소비에트주의'와 동일시되는 경향이 나타났는데, 이는 러시아 사회 내부에서 나타나는 "루스키 미르"와 소비에트 연방을 동일시하는 흐름과도 관련이 있다.[65]
러시아 정교회 지도부는 "루스키 미르" 이데올로기를 적극적으로 전파해왔다. 2009년 모스크바 총대주교 키릴 1세는 루스키 미르를 동방 정교회, 러시아 문화와 언어, 공통의 역사적 기억이라는 세 기둥 위에 세워진 문명 공간으로 정의했다.[67][68] 러시아 정교회에게 루스키 미르는 키예프 루스의 기독교화를 통해 신이 루스인에게 부여한 "거룩한 루스"를 건설하라는 소명을 상기시키는 영적인 개념이기도 하다.[69] 키릴 1세는 2019년, 키예프를 '모든 러시아 도시의 어머니'이자 예루살렘과 같은 종교적 중요성을 지닌 곳으로 언급하며, 러시아 정교회와 우크라이나의 역사적, 정신적 연결을 포기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70][71]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루스키 미르" 사상을 현실화하려는 시도로 해석되기도 한다.[41][42][43]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2007년 정부 지원을 받는 루스키 미르 재단 설립을 지시했으며,[59][60][61] 침공 이후 러시아의 목표가 단일 국가 내에서 "러시아 민족을 통합"하는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밝혔다.[44] 그는 러시아 해군의 수호성인인 표도르 우샤코프 제독의 "전쟁의 폭풍이 러시아를 빛낼 것이다"라는 말을 인용하기도 했다.[21] 2023년 6월에는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사망한 러시아 군인들이 "노보로시야(신 러시아)와 루스키 미르의 통일을 위해 목숨을 바쳤다"고 말했다.[45]
키릴 총대주교 역시 침공을 지지하며, 전쟁이 서방의 퇴폐적인 동성애 문화를 막고 세상을 "악마적인 감염"으로부터 정화하는 데 기여한다고 주장했다.[21][50] 이러한 "루스키 미르" 이데올로기의 활용과 침공은 우크라이나 내에서 강력한 반러 감정을 불러일으켰고, 결국 2022년 5월 우크라이나 정교회(모스크바 총대주교청)가 러시아 정교회로부터의 완전한 독립을 선언하는 배경이 되었다.[50]
역사학자 올랜도 파이게스는 이 침공을 "제국주의적 팽창주의"로 규정하며, 러시아인들의 우월감이 민간인 학살, 성폭행 등 잔혹 행위의 배경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러한 행위가 러시아로부터의 독립과 유럽 편입을 추구하는 우크라이나인들을 '루스키 미르'의 신민으로 만들지 못한 데 대한 복수심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지적했다.[46]
5. 비판
"루스키 미르"는 그 정의가 모호하여 비판의 대상이 되곤 한다. 이 개념은 주로 러시아와 역사적, 문화적, 또는 영적인 연관성이 있는 공동체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데 사용되며[5], 여기에는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모든 러시아인과 러시아어 사용자, 심지어 러시아 정교회에 속한 사람들까지 포함될 수 있다.[6][13] 이러한 포괄성은 러시아가 "독특한 문명"이며 "전통적 가치"와 민족 보수주의의 보루라는 지지자들의 믿음[13]과 맞물려, 러시아 신제국주의적 성격을 띤다는 비판으로 이어진다.[7] 국립 전략 연구소의 제프리 맹코프는 "루스키 미르"가 "러시아 연방의 국경을 초월하는 러시아 제국 국가라는 아이디어"를 구현하며, 주변국들이 자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러시아로부터 독립적인 역사를 구축하려는 노력을 저해한다고 분석했다.[7]
많은 관찰자들은 "루스키 미르" 개념을 러시아의 영향력을 과거 소련이나 러시아 제국 시대 수준으로 되돌리려는 복수주의적 사고의 발현으로 해석한다.[14][15][16][59][60][61] 또한 이 개념은 러시아의 소프트 파워를 전파하기 위한 도구로 간주되기도 한다.[18][62][58] 특히 언어 상대성 원리를 바탕으로,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결국 "러시아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게 된다"는 주장은[18][58] (18세기 철학자 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의 아이디어에 기반[18][58]) 비판적인 시각에서 검토될 필요가 있다.
우크라이나에서는 "루스키 미르"가 신소련주의의 다른 이름으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으며[19][65], 특히 러시아의 군사 개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부정적으로 인식된다.[63][64]
서방 언론 역시 비판적인 시각을 보인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루스키 미르"를 푸틴이 만들어낸 개념으로, 제정 러시아 시대의 정교회적 과거에 대한 존경심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파시즘을 물리친 소련에 대한 경외심을 결합한 것이라고 분석했다.[20] ''이코노미스트''는 이 개념이 서방의 자유주의 문화에 대한 일종의 성전(聖戰)의 기초가 되었으며, "새로운 러시아 전쟁 숭배"를 조장한다고 비판했다. 또한 푸틴 정권이 흑암주의, 정교회 교리, 반서방 정서, 민족주의, 음모론, 그리고 스탈린주의적 요소를 혼합하여 "루스키 미르" 개념을 변질시켰다고 지적했다.[21]
참조
[1]
서적
The Guardians of Traditional Values: Russia and the Russian Orthodox Church in the Quest for Status
German Marshall Fund of the United States
2015
[2]
웹사이트
The 'Russian World': Russia's Soft Power and Geopolitical Imagination
http://globalinteres[...]
Center on Global Interests
2019-01-19
[3]
간행물
The Russian World—Changing Meanings and Strategies
https://carnegieendo[...]
Carnegie Papers
2008-08
[4]
간행물
The «Russian World»: the blurred notion of protecting Russians abroad
https://czasopisma.u[...]
Uniwersytet Kardynała S. Wyszyńskiego
2015
[5]
학술지
The War in Ukraine and Eurasia's New Imperial Moment
https://doi.org/10.1[...]
2022
[6]
서적
Beyond Crimea: The New Russian Empire
Yale University Press
2016
[7]
서적
Empires of Eurasia: How Imperial Legacies Shape International Security
Yale University Press
2022
[8]
웹사이트
Pax Russica: Russia's Monroe Doctrine (WHP 21)
https://rusi.org/exp[...]
[9]
학술지
Pax Russica
https://www.jstor.or[...]
2013
[10]
Youtube
Pax Russica: Will Russia's Defeat Lead to More Wars?
https://www.youtube.[...]
[11]
학술지
Pax Russica: For a Eurasian Alliance Against America
https://onlinelibrar[...]
2008
[12]
간행물
The “Russian World”: The Birth of a Mythologeme
https://freeuniversi[...]
[13]
웹사이트
Putin Has a Grimly Absolute Vision of the ‘Russian World’
https://foreignpolic[...]
2022-03-06
[14]
뉴스
'Русский мир', бессмысленный и беспощадный
http://www.svoboda.o[...]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19-05-21
[15]
웹사이트
Putin seeking to create new world order with 'rogue states' amid coronavirus crisis, report claims
https://www.cnbc.com[...]
2020-09-13
[16]
학술지
Russia and the question of world order
2019-03-15
[17]
웹사이트
Русский мир и Транснациональное русское
http://old.russ.ru/p[...]
2019-05-21
[18]
학술지
'Russian World'—Russia's Soft Power Approach to Compatriots Policy
http://e-collection.[...]
Research Centre for East European Studies
2010-06-16
[19]
웹사이트
Claims That Many Ukrainians 'Will Never Attend A Moscow Patriarchate Church' – OpEd
https://www.eurasiar[...]
2019-06-20
[20]
뉴스
The Kremlin's 'holy war' against Ukraine
https://www.ft.com/c[...]
2022-05-12
[21]
뉴스
The new Russian cult of war
https://www.economis[...]
2022-03-26
[22]
서적
The Public Role of the Church in Contemporary Ukrainian Society: The Contribution of the Ukrainian Greek-Catholic Church to Peace and Reconciliation
Nomos Verlag
2015-06-24
[23]
웹사이트
Выступление Святейшего Патриарха Кирилла на торжественном открытии III Ассамблеи Русского мира / Патриарх / Патриархия.ru
http://www.patriarch[...]
2019-12-30
[24]
웹사이트
Russia's Orthodox Soft Power
https://www.carnegie[...]
Carnegie Council for Ethics in International Affairs
2018-12-06
[25]
서적
Putin's Wars: The Rise of Russia's New Imperialism
Rowman & Littlefield
2015
[26]
웹사이트
A Declaration on the "Russian World" (Russkii mir) Teaching
https://publicorthod[...]
2023-01-23
[27]
웹사이트
University of Exeter
https://www.exeter.a[...]
2023-01-23
[28]
웹사이트
A Declaration on the "Russian World" (Russkii mir) Teaching
https://www.acadimia[...]
2023-01-23
[29]
간행물
A Declaration on the ‘Russian World’ Teaching
https://digitalcommo[...]
2022
[30]
웹사이트
An Orthodox Awakening
https://www.firstthi[...]
2022-05-15
[31]
웹사이트
1872 Archives
https://orthodoxhist[...]
2023-01-23
[32]
웹사이트
Ανδρείες αποφάσεις Πατριαρχείου Αλεξανδρείας: Παύει μνημόνευση Κυρίλλου, καθαιρεί Λεωνίδα, καταδικάζει "ρωσικό κόσμο"
http://www.nyxthimer[...]
2022-11-23
[33]
웹사이트
Καθαίρεση Μητροπολίτη και διακοπή της μνημόνευσης του Πατριάρχη Μόσχας
https://poimin.gr/ka[...]
2022-11-23
[34]
웹사이트
Patriarch Theodoros stops commemorating Patriarch Kirill, Russian Exarch declared defrocked by Alexandria
https://theparadise.[...]
2022-11-24
[35]
웹사이트
Bartholomew: Russian Church has sided with Putin, promotes actively the ideology of Rousskii Mir
https://orthodoxtime[...]
2023-01-23
[36]
웹사이트
The doctrine of the "Russian world" is a dualistic political religion
https://www.european[...]
2023-01-17
[37]
웹사이트
Βαρθολομαίος προς Κύπρου Γεώργιο: Δίκαιη χαρά για την εκλογή Σας
https://churchofcypr[...]
2022-12-28
[38]
웹사이트
Assurance of the Archbishop of Cyprus for the support to the Phanar
https://orthodoxtime[...]
2022-12-27
[39]
웹사이트
'Русский мир' в Украине отступает, но есть серьезные угрозы
https://apostrophe.u[...]
2018-01-09
[40]
웹사이트
Путин надеется на возвращение Украины в так называемый 'русский мир' – Полторак
https://nv.ua/ukrain[...]
2018-04-05
[41]
간행물
The War in Ukraine Launches a New Battle for the Russian Soul
https://www.newyorke[...]
2022-10-09
[42]
논문
Russia's War in Ukraine: Identity, History, and Conflict
https://www.csis.org[...]
2022-04-22
[43]
웹사이트
What Caused the Ukraine War?
https://www.project-[...]
2022-10-04
[44]
뉴스
Putin Says West Aiming to Tear Apart Russia
https://www.voanews.[...]
Voice of America
2022-12-25
[45]
뉴스
'Internal betrayal': Transcript of Vladimir Putin's address
https://www.aljazeer[...]
2023-06-24
[46]
간행물
Putin sees himself as part of the history of Russia's tsars—including their imperialism
https://time.com/621[...]
2022-09-30
[47]
웹사이트
About
https://russkiymir.r[...]
2020-08-10
[48]
웹사이트
Putin seeking to create new world order with 'rogue states' amid coronavirus crisis, report claims
https://www.cnbc.com[...]
2020-04-02
[49]
논문
Russia and the question of world order
2019-03-15
[50]
뉴스
【TOPICS】「ルースキー・ミール」思想:政権と正教会「一体」に ロシアのウクライナ侵攻で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2-06-30
[51]
간행물
The Russian World—Changing Meanings and Strategies
https://carnegieendo[...]
Carnegie Papers
2008-08
[52]
간행물
The «Russian World»: the blurred notion of protecting Russians abroad
https://czasopisma.u[...]
Polski Przegląd Stosunków Międzynarodowych, Warszaw, Uniwersytet Kardynała S. Wyszyńskiego
2015
[53]
서적
Patrologia slavica
[54]
웹사이트
The "Russian World:" Russia's Soft Power and Geopolitical Imagination
http://globalinteres[...]
Center on Global Interests
2015-05
[55]
서적
Zwischen Ost und West - Russische Geistesgeschichte II
Rowohlt Verlag
[56]
인터뷰
Влиять по-русски
http://www.itogi.ru/[...]
2008-04-22
[57]
웹사이트
Русский мир и Транснациональное русское
http://old.russ.ru/p[...]
2000-03-02
[58]
논문
"Russian World"—Russia's Soft Power Approach to Compatriots Policy
http://e-collection.[...]
Research Centre for East European Studies
2010-06-16
[59]
웹사이트
"Русский мир", бессмысленный и беспощадный
http://www.svoboda.o[...]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15-02-18
[60]
웹사이트
"פוטין מהלך אימים עם תפיסת "העולם הרוסי
http://www.nrg.co.il[...]
2015-08-21
[61]
웹사이트
Екс-радник Путіна назвав країни, на які Росія може напасти після України
https://www.obozreva[...]
2014-12-25
[62]
웹사이트
How to Strengthen Soft Power?
http://www.russkiymi[...]
Russkiy Mir Foundation
2011-03-02
[63]
웹사이트
"Русский мир" в Украине отступает, но есть серьезные угрозы
https://apostrophe.u[...]
2018-01-09
[64]
웹사이트
Путин надеется на возвращение Украины в так называемый "русский мир" - Полторак
https://nv.ua/ukrain[...]
2018-04-05
[65]
웹사이트
Claims That Many Ukrainians 'Will Never Attend A Moscow Patriarchate Church' – OpEd
https://www.eurasiar[...]
2018-09-10
[66]
서적
Moskowia.
Kiepenheuer
[67]
서적
The Public Role of the Church in Contemporary Ukrainian Society: The Contribution of the Ukrainian Greek-Catholic Church to Peace and Reconciliation
Nomos Verlag
2015-06-24
[68]
웹사이트
Выступление Святейшего Патриарха Кирилла на торжественном открытии III Ассамблеи Русского мира / Патриарх / Патриархия.ru
http://www.patriarch[...]
[69]
웹사이트
Russia's Orthodox Soft Power
https://www.carnegie[...]
2015-03-23
[70]
웹사이트
Russian patriarch likens Kiev for Russian Orthodoxy to Jerusalem for global Christianity
http://tass.com/soci[...]
2019-01-31
[71]
웹사이트
Слово Святейшего Патриарха Кирилла на встрече с делегациями Поместных Православных Церквей 31 января 2019 года {{!}} Русская Православная Церковь
https://mospat.ru/ru[...]
2019-0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