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라시아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라시아주의는 1920년대 백계 러시아인들 사이에서 러시아 혁명과 볼셰비키 정권에 대한 반발로 등장한 사상이다. 이들은 러시아 문명을 유럽과 아시아가 아닌 '구세계 내 제3의 대륙'으로 규정하며, 비유럽적이고 러시아 정교회를 중심으로 한 문명 재건을 추구했다. 소련 붕괴 이후 신유라시아주의가 등장하여 러시아를 서구보다는 아시아에 가까운 유라시아 국가로 간주하며, 지정학적 통합을 강조했다. 유라시아주의는 러시아의 외교 정책과 지정학적 전략에 영향을 미쳐 유라시아 경제 연합, 집단 안보 조약 기구 등의 구성을 이끌었다. 하지만 러시아 신제국주의, 팽창주의 이념이라는 비판도 존재하며, 파시즘의 한 형태로 간주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민볼셰비즘 - 레히
레히는 아브라함 슈테른이 창설한 팔레스타인 지역의 유대인 지하 군사 조직으로, 영국 위임통치에 맞서 무장 투쟁을 벌였으며, 극단적 민족주의 성향과 과격한 활동으로 논란이 되었으나 이스라엘 독립에 기여했다는 평가도 있다. - 국민볼셰비즘 - 지정학의 기초
《지정학의 기초》는 알렉산드르 두긴의 저서로, 러시아 중심의 유라시아 질서 구축과 미국의 영향력 약화를 위한 지정학적 전략과 미래 구상을 담고 있으며, 러시아의 합병 및 동맹, 특수부대 주도 체제 전복, 자원 압박 외교 등을 옹호하며 러시아 대외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우크라이나 침략적 태도를 보여 국제 사회의 우려를 낳고 있다. - 러시아 철학 - 러시아 마흐주의
러시아 마흐주의는 20세기 초 러시아에서 관념론 및 레닌의 유물론에 대립하며 나타난 사상 및 운동으로, 블라디미르 바자로프, 알렉산드르 보그다노프, 세르게이 수보로프 등이 주요 인물이며 당시 러시아 지식인 사회에 영향을 미쳤다. - 러시아 철학 - 루스키 미르
루스키 미르는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를 위한 이데올로기로, 러시아와 역사적, 문화적, 영적 연관성이 있는 공동체를 지칭하며, 블라디미르 푸틴에 의해 정책으로 활용되어 우크라이나 침공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었다.
유라시아주의 | |
---|---|
개요 | |
명칭 | 유라시아주의 |
주요 이념 | 반서구주의, 러시아 중심주의, 전통주의, 전체주의, 제국주의, 권위주의, 민족주의, 보수주의 |
존속 기간 | 1920년대 ~ 현재 |
발원지 | 러시아 |
영향 | 러시아의 정치 외교 군사 |
![]() | |
역사 | |
기원 | 러시아 백군 망명자 |
주요 인물 | 니콜라이 트루베츠코이 표트르 사비츠키 니콜라스 티마셰프 로만 야콥슨 블라디미르 이바노프 알렉산드르 두긴 |
특징 | |
정치적 입장 | 극우 |
관련 이념 | 국가 볼셰비즘 전통주의 학파 러시아 세계 신유라시아주의 반세계화 운동 제4의 정치 이론 탈근대주의 보수주의 혁명 파시즘 |
관련 단체 | |
주요 단체 | 유라시아당 유라시아 청년 연맹 국제 유라시아 운동 |
연관 단체 | 이즈보르스크 클럽 |
기타 | |
관련 정보 | 슬라브주의 투란주의 범튀르크주의 러시아 제국주의 대러시아 민족주의 러시아의 파시즘 |
2. 역사
19세기 러시아 제국은 서쪽의 유럽 열강과 끊임없이 전쟁을 벌였다. 이 시기 많은 철학자, 지식인, 전략가들은 유럽에 환멸을 느꼈고, 유럽화가 러시아의 국가 정체성에 위협이 된다고 생각했다. 표트르 차다예프는 1829년에 "우리는 인류의 어떤 위대한 가족에도 속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서양도 아니고 동양도 아니며, 어느 쪽의 전통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라고 말했다.[10]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는 1881년에 "우리는 유럽에서 타타르인이었지만, 아시아에서도 우리는 유럽인이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크림 전쟁과 1878년 베를린 조약 이후, 동쪽 확장을 옹호하는 새로운 부류의 군주제 엘리트들이 등장했는데, 이들을 ''보스토치니키''(동방주의자)라고 불렀다. ''보스토치니키''는 러시아 제국을 서유럽의 "지적 식민주의"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아시아성"을 강조했다. 콘스탄틴 레온티예프와 같은 철학자는 스스로를 슬라브족이 아닌 "투란족"이라고 규정하기도 했다. 그러나 ''보스토치니키''의 사상은 러시아 제국주의의 틀 안에서 작용했으며, 볼셰비키 혁명 이후 등장한 유라시아주의 운동의 전조가 되었다.[11]
소련 붕괴 이후 1990년대에는 레프 구밀료프 등의 영향으로 신유라시아주의가 탄생했다. 신유라시아주의는 러시아가 서구보다 아시아에 더 가까운 유라시아 국가라는 주장을 펼쳤다. 이와 반대로, 러시아가 튀르크족이나 몽골보다는 비잔티움 제국에 가깝다는 '비잔틴주의'도 주장되었다.
알렉산드르 두긴으로 대표되는 신유라시아주의는 스탈린주의 러시아 보수주의를 도입하고, 유럽 신우파의 개념과 얽혀있다. 두긴은 러시아 민족을 "가장 우선적인 유라시아 민족"으로 간주하며, 미국과 앵글로스피어를 "대서양주의"라고 부르며 주요 위협으로 선언한다. 그는 러시아 파시스트 독재와 사회에 대한 완전한 이념적 통제를 가진 전체주의 국가를 가장 선호하는 정부 형태로 보았다.[30]
현대 유라시아주의는 러시아의 신제국주의[5][45]이자 팽창주의 이념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안톤 셰호프초프는 두긴의 신유라시아주의를 파시즘 이념의 한 형태로 정의했다.[47]
21세기 초, 유라시아주의는 러시아에서 유행하는 것처럼 보였다. 한 논평가는 푸틴의 말년에 유라시아주의가 "당대의 가장 잘 알려지고 가장 자주 언급되는 정치 운동 중 하나"였다고 언급했다.[52]
2. 1. 20세기 초 유라시아주의
1920년대에 백계 러시아인(비소련계 망명 러시아인)들 사이에서 러시아 혁명·볼셰비키 정권에 대한 반응으로써 유라시아주의가 등장하였다. 일부 백계 러시아인들은 이후 '비유럽'과 '러시아 정교회'를 주축으로 한 러시아 문명의 재구축을 구상하면서, 러시아 혁명·볼셰비키 정권 (소련 정권)을 그에 이르는 필요한 일과 정도로 긍정적으로 재평가하였다. 대표적 인물로서 니콜라이 트루베츠코이 등이 있다.[12]유라시아주의의 기원은 19세기 러시아 제국이 서쪽의 유럽 열강과 끊임없이 전쟁을 벌이던 시기였다. 많은 철학자, 지식인, 전략가들이 유럽에 환멸을 느끼고 유럽화가 러시아의 국가 정체성에 위협이 된다고 느꼈다. 러시아 시인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는 1881년에 "우리는 유럽에서 타타르인이었지만, 아시아에서도 우리는 유럽인이다."라고 말했다. 크림 전쟁과 러시아에서 국가적 굴욕으로 널리 비난받았던 1878년 베를린 조약과 같은 사건 이후, 동쪽 확장을 옹호하는 새로운 부류의 군주제 엘리트들이 등장했는데, 이들을 ''보스토치니키''(동방주의자)라고 불렀다. 많은 ''보스토치니키''는 러시아 제국을 서유럽의 "지적 식민주의"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자신들의 "아시아성"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차르 시대의 철학자 콘스탄틴 레온티예프와 같은 ''보스토치니키''는 슬라브족이라기보다는 "투란족"이라고 스스로를 규정하며, 일반적인 유라시아주의 문화적 변화를 알렸다. 심지어 범슬라브주의 지식인들조차 유럽에 반대하여, 로마 가톨릭교보다는 이슬람교와 불교를, 라틴족보다는 튀르크족을 선호한다고 밝히기 시작했다. 그러나 ''보스토치니키''가 사용한 용어는 대부분 모호하게 남아 있었고, 그들의 사상은 구조적인 이념적 특징을 얻지 못했으며, 러시아 제국주의의 틀 안에서 작용했다. 그러나 군주주의적 ''보스토치니키''의 사상은 볼셰비키 혁명 이후 등장하여 국가 형성을 옹호한 유라시아주의 운동의 전조가 되었다.[11]
유라시아주의는 러시아 문명이 "유럽"이나 "아시아" 범주에 속하지 않으며 "구세계 내의 제3의 대륙"을 구성한다고 주장했다. 반군주주의자이자 권위주의 공화국 지지자인 유라시아주의자들은 10월 혁명의 많은 측면을 칭찬했으며, 볼셰비키 운동을 러시아 사회의 급속한 근대화에 대한 필요한 반작용으로 묘사했다. 유라시아주의는 제3세계주의, 서구화에 대한 저항, 서구 세계보다 동양의 "문화적 우월성"을 옹호하는 것의 조합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러시아인-튀르크계 유산을 공유하는 지리적 용어로 유라시아를 정의했다.[12]
스탈린의 "일국 사회주의" 정책은 많은 유라시아 활동가들의 눈에 소련의 정당성을 입증하는 역할을 했다. 이러한 유라시아주의자들은 ROVS와 같은 조직의 반볼셰비키 활동을 비판하며, 망명자 공동체의 에너지가 이러한 진화 과정을 준비하는 데 더 집중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반대로 망명자 중 반대자들은 유라시아주의자들이 소련 정권과의 타협, 심지어 지지를 요구하는 동시에 그 잔혹한 정책(예: 박해)을 정당화한다고 주장했다. 러시아 정교회와 교회 파괴)을 혁명 과정의 불가피한 결과인 단순한 "일시적인 문제"로 치부했다. 공산주의 유라시아주의 파벌은 표트르 수브친스키가 이끌었으며, 1920년대에 반소련 비평가들을 "부르주아"로 비난하면서 세력을 얻었다.[13]
유라시아주의의 주요 지도자들은 니콜라이 트루베츠코이 공작, 표트르 수브친스키, D.S. 미르스키, 콘스탄틴 츠케이드제, 표트르 아라포프, 레프 카르사빈, 세르게이 에프론이었다. 철학자 게오르기 플로롭스키는 처음에는 지지자였지만, "올바른 질문을 제기"하지만 "잘못된 답을 제시"한다고 주장하며 조직에서 탈퇴했다. 니콜라이 베르자예프는 자신이 볼셰비키 혁명을 사실로 받아들이는 유라시아주의자들에게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썼지만, 몇몇 핵심 유라시아주의 강령이 그에게 완전히 이질적이고 적대적이었다고 지적했다. 그들은 그가 그랬던 것처럼 자유를 사랑하지 않았고, 국가주의자들이었고, 베르자예프가 그렇지 않았던 방식으로 서구 문화에 적대적이었으며, 형식적으로 정교회를 받아들였다.[14]
1925년 10월 프라하에서 세미나를 만들 목적으로 회의가 열렸다.[1] 참가자 중 한 명은 키이우 출신의 철학자, 신학자, 작곡가인 블라디미르 니콜라예비치 일린(1890-1974)으로, 문헌에서 이반 A. 일린과 관련된 인물로 묘사되기도 한다.[1][15]
유라시아주의자들 중 여러 명이 소련의 도발적인 TREST 작전에 영향을 받았는데, 이 작전은 1926년 유라시아주의 지도자 P.N. 사비츠키가 참석한 러시아에서 유라시아주의자들의 가짜 회의를 개최했다(2년 전 유라시아주의자 멤버 P. 아라포프가 여러 차례 여행을 하기도 했다). TREST가 소련의 도발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유라시아주의자들의 사기가 심각하게 떨어지고 대중 이미지가 실추되었다.[20]
1920년대 후반, 유라시아주의자들은 양극화되어 점점 더 친소련적이고 친공산주의적이 되어가는 좌파 유라시아주의자들과 확고하게 반공산주의적이고 반소련적인 고전적 우파 유라시아주의자들로 나뉘었다.[16] 파리에서 "좌파 유라시아주의"가 등장한 후, 이 운동의 지도자 중 일부가 친소련적이 되자, 확고한 반공산주의자였던 트루베츠코이는 그들을 강력하게 비판했고 결국 유라시아주의 운동과 결별했다.[17] 유라시아주의자들은 러시아 망명자 공동체에서 빠르게 사라졌다.[18][19] 1929년까지 유라시아주의자들은 정기 간행물 발행을 중단했다. 비슷한 시기에 망명자 공동체에서는 친군주주의자 믈라도로시와 스메노베홉치와 같은 유라시아주의와 유사한 정신을 가진 여러 조직이 등장했다.
1930년대 중반, 소련에 정착한 유라시아주의 운동의 대표자들은 스탈린주의 대숙청 동안 탄압을 받았고, 망명 유라시아주의자들은 대부분 유럽 전역으로 흩어졌다. 1938년까지 조직적인 유라시아주의 운동은 모두 사라졌다.[20][21]
서구의 초기 유라시아주의 주제 지지자들은 유라시아 하트랜드를 장악하는 것이 지정학적 지배의 핵심이라고 주장했다.[22] 이는 오스발트 슈펭글러와 다양한 극우 극단주의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여기에는 미국의 백인 민족주의자이자 네오 나치인 프란시스 파커 요키,[23] 벨기에 나치 협력자 장-프랑수아 티리아르, 그리고 전간기 독일 국가 볼셰비키가 포함되었다.[24]
2. 2. 신유라시아주의
소련 붕괴 후 1990년대에 레프 구밀료프 등의 영향으로 신유라시아주의가 탄생했다. 신유라시아주의는 러시아가 서구보다는 아시아에 더 가까운 유라시아 국가라는 주장을 펼쳤다. 이와는 반대로, 러시아가 튀르크족이나 몽골보다는 비잔티움 제국에 가깝다는 '비잔틴주의'도 주장되었다.
-- |
유라시아주의는 1920년대 러시아 망명자 공동체에서 시작된 정치 운동으로, 러시아 문명이 "유럽"이나 "아시아"에 속하지 않고 구세계 내의 제3의 대륙을 구성한다고 주장했다.[12] 반군주주의와 권위주의 공화국을 지지한 유라시아주의자들은 10월 혁명의 여러 측면을 칭찬하며, 볼셰비키 운동을 러시아 사회의 급속한 근대화에 대한 필요한 반작용으로 묘사했다.[12]
유라시아주의는 1920년대 러시아 망명자 공동체에서 시작된 정치 운동으로, 볼셰비키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러시아를 탈출하여 전간기의 사회 정치적 격변을 목격한 이들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들은 러시아 문명이 "유럽"이나 "아시아" 범주에 속하지 않으며 "구세계 내의 제3의 대륙"을 구성한다고 주장했다. 반군주주의자이자 권위주의 공화국 지지자인 유라시아주의자들은 10월 혁명의 여러 측면을 칭찬했으며, 볼셰비키 운동을 러시아 사회의 급속한 근대화에 대한 필요한 반작용으로 묘사했다. 유라시아주의는 제3세계주의, 서구화에 대한 저항, 서구 세계보다 동양의 "문화적 우월성"을 옹호하는 것의 조합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러시아인-튀르크계 유산을 공유하는 지리적 용어로 유라시아를 정의했다.[12]
신유라시아주의는 제3세계주의, 서구화에 대한 저항, 서구 세계보다 동양의 "문화적 우월성"을 옹호하는 것의 조합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러시아인-튀르크계 유산을 공유하는 지리적 용어로 유라시아를 정의했다.[12]
알렉산드르 두긴으로 대표되는 신유라시아주의는 스탈린주의 러시아 보수주의를 도입하고, 유럽 신우파의 개념과 얽혀있다. 두긴은 러시아 민족을 "가장 우선적인 유라시아 민족"으로 간주하며, 미국과 앵글로스피어를 "대서양주의"라고 부르며 주요 위협으로 선언한다. 그는 러시아 파시스트 독재와 사회에 대한 완전한 이념적 통제를 가진 전체주의 국가를 가장 선호하는 정부 형태로 보았다.[30]
현대 유라시아주의는 러시아의 신제국주의[5][45]이자 팽창주의 이념으로, 현대 러시아의 영향권 내 비러시아 소수 민족에 대한 러시아 민족 패권을 유지하려는 시도로 비판받고 있다. 유라시아주의의 반서방 지향성은 푸틴 시대 러시아에서 무기화되었다.[46] 정치학자 안톤 셰호프초프는 두긴의 신유라시아주의 버전을 파시즘 이념의 한 형태로 정의했다.[47]
3. 주요 특징
유라시아주의는 제3세계주의, 서구화에 대한 저항, 서구 세계보다 동양의 "문화적 우월성"을 옹호하는 것의 조합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러시아인-튀르크계 유산을 공유하는 지리적 용어로 유라시아를 정의했다.[12]
스탈린의 "일국 사회주의" 정책은 많은 유라시아 활동가들에게 소련의 정당성을 입증하는 역할을 했다. 이들은 ROVS와 같은 조직의 반볼셰비키 활동을 비판하며 망명자 공동체의 에너지가 이러한 진화 과정을 준비하는 데 더 집중되어야 한다고 믿었다.[13] 반면, 망명자 중 반대자들은 유라시아주의자들이 소련 정권과의 타협, 심지어 지지를 요구하는 동시에 박해, 러시아 정교회와 교회 파괴와 같은 잔혹한 정책을 혁명 과정의 불가피한 결과인 단순한 "일시적인 문제"로 치부한다고 주장했다.[13]
유라시아주의의 주요 지도자들은 니콜라이 트루베츠코이 공작, Савицкий,_Пётр_Николаевич|표트르 사비츠키ru, 표트르 수브친스키, D.S. 미르스키, 콘스탄틴 츠케이드제, 표트르 아라포프, 레프 카르사빈, 세르게이 에프론이었다. 철학자 게오르기 플로롭스키는 처음에는 지지자였지만, "올바른 질문을 제기"하지만 "잘못된 답을 제시"한다고 주장하며 조직에서 탈퇴했다.[14]
유라시아주의자들은 역사, 지리, 민족지학, 언어학, 문화 및 종교 연구를 바탕으로 러시아 제국과 소련의 영토가 자연스러운 통일체를 형성한다고 주장했다. 초기 유라시아주의자들은 대부분 망명자, 평화주의자였으며 그들의 미래에 대한 비전은 낭만주의와 유토피아주의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유라시아주의자들의 목표는 러시아 정교회의 지도 아래 주요 기독교 교회를 통합하는 것이었다.[29]
유라시아주의의 핵심 특징은 범슬라브주의 국가를 추구하는 러시아 민족주의를 거부하는 것이다. 유라시아주의자들은 혁명과 내전 이후 러시아 제국의 영토 분열에 강력히 반대했으며, 지정학적 이론을 사용하여 러시아 국가를 통일된 유라시아 강대국으로 재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1] 많은 백계 러시아인들과 달리, 유라시아주의자들은 군주제 복원에 대한 모든 희망을 거부했다.[3] 민주주의에 대한 혐오는 유라시아주의의 중요한 특징이다. 유라시아주의자들은 통치 이념이 올바르다면 관념 통치를 좋은 것으로 여겼다.[32]
4. 유라시아주의와 지정학
스탈린의 "일국 사회주의" 정책은 많은 유라시아 활동가들에게 소련의 정당성을 입증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이들은 ROVS와 같은 조직의 반볼셰비키 활동을 비판하며 망명자 공동체의 에너지가 이러한 진화 과정을 준비하는 데 더 집중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반면, 망명자 중 반대자들은 유라시아주의자들이 소련 정권과의 타협, 심지어 지지를 요구하는 동시에 박해와 같은 잔혹한 정책을 정당화한다고 주장했다.[13] 공산주의 유라시아주의 파벌은 표트르 수브친스키가 이끌었으며, 1920년대에 반소련 비평가들을 "부르주아"로 비난하면서 세력을 얻었다.[13]
유라시아주의의 주요 지도자들은 니콜라이 트루베츠코이, Савицкий,_Пётр_Николаевич|표트르 사비츠키ru, 표트르 수브친스키, D.S. 미르스키, 콘스탄틴 츠케이드제, 표트르 아라포프, 레프 카르사빈, 세르게이 에프론 등이었다. 철학자 게오르기 플로롭스키는 처음에는 지지자였지만, "올바른 질문을 제기"하지만 "잘못된 답을 제시"한다고 주장하며 조직에서 탈퇴했다.[14]
1920년대 후반, 유라시아주의자들은 친소련적이고 친공산주의적인 좌파와 반공산주의적이고 반소련적인 고전적 우파 유라시아주의자들로 나뉘었다.[16] 파리에서 "좌파 유라시아주의"가 등장한 후, 이 운동의 지도자 중 일부가 친소련적이 되자, 반공산주의자였던 트루베츠코이는 그들을 강력하게 비판했고 결국 유라시아주의 운동과 결별했다.[17] 1930년대 중반, 소련에 정착한 유라시아주의 운동의 대표자들은 스탈린주의 대숙청 동안 탄압을 받았고, 망명 유라시아주의자들은 대부분 유럽 전역으로 흩어졌다. 1938년까지 조직적인 유라시아주의 운동은 모두 사라졌다.[20][21]
서구의 초기 유라시아주의 주제 지지자들은 유라시아 하트랜드를 장악하는 것이 지정학적 지배의 핵심이라고 주장했다.[22] 이는 오스발트 슈펭글러와 다양한 극우 극단주의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유라시아주의자들은 역사, 지리, 민족지학, 언어학, 문화 및 종교 연구를 바탕으로 러시아 제국, 그리고 소련의 영토가 자연스러운 통일체를 형성한다고 주장했다. 초기 유라시아주의자들은 대부분 망명자, 평화주의자였으며 그들의 미래에 대한 비전은 낭만주의와 유토피아주의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유라시아주의자들의 목표는 러시아 정교회의 지도 아래 주요 기독교 교회를 통합하는 것이었다.[29] 말렌 라루엘에 따르면, 초기 유라시아주의 지식인들은 유럽 파시스트 운동의 측면을 존경했지만 폭력, 군국주의, 극단주의, 인종차별 등을 찬양하는 데 반감을 느꼈다.[30]
유라시아주의의 핵심 특징은 범슬라브주의 국가를 추구하는 러시아의 민족주의를 거부하는 것이다. 유라시아주의자들은 혁명과 내전 이후 러시아 제국의 영토 분열에 강력히 반대했으며, 지정학적 이론을 사용하여 러시아 국가를 통일된 유라시아 강대국으로 재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1] 민주주의에 대한 혐오는 유라시아주의의 중요한 특징이며, 유라시아주의자들은 통치 이념이 올바르다면 관념 통치를 좋은 것으로 여겼다.[32]
현대 유라시아주의는 러시아 신제국주의[5][45]이자 팽창주의 이념으로, 차르 시대의 "러시아 예외주의" 개념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현대 러시아의 영향권 내 비러시아 소수 민족에 대한 러시아 민족 패권을 유지하려는 시도로 비판받고 있다. 유라시아주의의 반서방 지향성은 푸틴 시대 러시아에서 무기화되었다.[46] 정치학자 안톤 셰호프초프는 알렉산드르 두긴의 신유라시아주의 버전을 파시즘 이념의 한 형태로 정의했다.[47]
폴 딥은 블라디미르 푸틴이 "러시아-아시아의 위대함 이념을 홍보하는 지적 운동인 '유라시아주의'라고 부르는 것의 지정학을 강조하기 시작했다"고 지적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서구화된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심장을 겨냥한 창"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48] 유라시아주의는 발트 3국[49]과 폴란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50]
이고르 토르바코프는 2022년 6월 "크렘린의 지정학적 관점에 따르면 러시아는 지역 블록의 리더 역할을 할 경우에만 미국, 중국 또는 유럽 연합과 성공적으로 경쟁할 수 있다."라고 주장했다.[51]
클로버에 따르면 유라시아주의는 21세기 초 러시아에서 유행하는 것처럼 보였다. 한 논평가는 푸틴의 말년에 그것이 "당대의 가장 잘 알려지고 가장 자주 언급되는 정치 운동 중 하나"였다고 언급했다.[52]
4. 1. 유라시아 경제 연합 (EAEU)
카자흐스탄 대통령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는 1994년 3월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에서 연설하면서 실용적인 유라시아주의 구현의 시작을 알렸다. 그는 경제 통합과 공동 방위를 기반으로 하는 유라시아 연합으로 나아가는, 당시로서는 근본적으로 새로운 지역 통합 모델을 제안했다.[53] 이 비전은 이후 유라시아 경제 연합과 집단 안보 조약 기구에서 구체화되었다. 나자르바예프가 이해하는 유라시아주의는 철학이 아닌 외교 정책, 경제적 아이디어 및 우선순위의 체계로 간주되며, 이러한 유형의 유라시아주의는 외부 세계에 명확하게 개방되어 있다.
유라시아 경제 연합은 2015년 1월에 설립되었으며, 아르메니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러시아와 옵서버 회원국인 몰도바, 우즈베키스탄, 쿠바로 구성되어 있다. 쿠바를 제외한 모든 국가는 소련의 이전 회원국이었다. 회원국은 유럽과 아시아 양쪽에 위치해 있으며, 이 연합은 회원국 간의 정치적, 경제적 협력을 증진한다.
4. 2. 집단 안보 조약 기구 (CSTO)
집단 안보 조약 기구는 1992년 5월 15일에 서명된 정부간 군사 동맹이다. 1992년 독립 국가 연합 소속 6개 구소련 국가(러시아, 아르메니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이 '''타슈켄트 조약'''(또는 '''타슈켄트 협정''')에 서명했다.[54] 아제르바이잔, 벨라루스, 조지아는 이듬해에 서명하여 1994년에 조약이 발효되었다. 5년 후, 9개국 중 6개국(아제르바이잔, 조지아, 우즈베키스탄 제외)은 조약을 5년 더 연장하기로 합의했고, 2002년에는 이 6개국이 군사 동맹으로서 집단안보조약기구를 창설하기로 합의했다. 우즈베키스탄은 2006년에 CSTO에 재가입했지만 2012년에 탈퇴했다.
4. 3. 러시아의 유라시아주의 외교 정책
일부 러시아 내에서는 범(汎) 러시아 민족주의와 미수복주의를 바탕으로 "대(大) 러시아"를 추구하는 정치적 열망이 존재한다. 이들은 이전 소련의 다른 공화국들, 러시아 제국의 영토,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영토를 러시아 국가로 통합하려 한다. 1991년부터 1993년까지 러시아 연방 부통령을 역임한 알렉산드르 루츠코이는 에스토니아의 나르바, 우크라이나의 크림 반도, 카자흐스탄의 우스치카메노고르스크 등에 대한 미수복주의적 주장을 펼쳤다.[25]
2008년 러시아-조지아 전쟁 발발 전, 러시아 정치 이론가 알렉산드르 두긴은 남오세티야를 방문하여 러시아 군이 조지아 수도 트빌리시, 조지아 전체, 그리고 역사적으로 러시아의 일부였던 우크라이나와 크림 반도까지 점령할 것이라고 예측했다.[26] 에두아르트 코코이티 전 남오세티야 대통령은 유라시아주의자로서 남오세티야가 러시아 제국을 떠난 적이 없으며 러시아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27]
2022년 3월, 미국 언론인 마이클 허쉬는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이 메시아적인 러시아 민족주의자이자 유라시아주의자이며, 키예프 루스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역사를 언급하며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세력권에 속해야 한다는 그의 견해를 드러냈다고 평가했다.[28]
데이비드 루이스에 따르면, "러시아 세계", "유라시아 통합", "대 유라시아"와 같은 공간 프로젝트를 통해 서방 주도의 세계 질서에 반대하는 공간을 개척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영향력 있는 러시아 외교 정책 사상가들은 21세기 국제 질서를 세계 거버넌스 기구가 아닌 몇몇 주요 강대국이 지배하는 세력권 정치로 회귀할 것으로 본다. 이들은 러시아가 유라시아에서 강대국으로서 중심 역할을 하는 '대 공간'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주장한다.[35]
러시아 외무부 외교 아카데미의 수장 이고르 파나린과 모스크바 국립 경제 대학교 세계 경제 및 국제 관계 학부의 수장 세르게이 카라가노프는 유라시아주의자이다. 나탈리아 나로치니츠카야, 예고르 홀모고로프, 바딤 짐부르스키와 같은 학자들은 동방 정교회 신학과 결합된 메시아적 유라시아주의를 옹호한다.[50][36]
유라시아 운동은 작가 에두아르드 리모노프와 정치 철학자 알렉산드르 두긴이 2001년에 창립한 국가 볼셰비즘 러시아 정치 운동이다.[37][38][39][40][41] 이 조직은 러시아 애국심, 동방 정교 신학, 반근대화, 볼셰비키 사상을 혼합한 신유라시아주의 이념을 따르며, 자유주의, 자본주의, 근대주의와 같은 "미국"의 가치에 반대한다.[42]
알렉산드르 두긴은 신유라시아주의 지지자로서, 국가 볼셰비즘 이념에 제3의 위치(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결합), 지정학(유라시아주의를 미국과 NATO의 해양국가에 반대하는 대지국가로 봄), 스탈린주의 러시아 보수주의(주요 유라시아 강대국으로서의 소련) 개념을 도입했다. 그는 러시아 민족을 "가장 우선적인 유라시아 민족"으로 간주하며, 유라시아 제국을 형성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신자유주의 이념 하의 미국과 앵글로스피어를 "대서양주의"라 부르며 주요 위협으로 규정하고, 러시아 파시스트 독재와 전체주의 국가를 선호한다. 두긴은 푸틴주의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으며,[43][44] 2023년 러시아 인문학 국립 대학교에 이반 일린 정치 고등 학교를 설립했다.
러시아 사회에서는 블라디미르 푸틴 집권 이후 유라시아주의적 정서가 고조되고 있다. 2021년 레바다 센터 여론 조사에 따르면, 러시아 시민의 64%가 러시아를 비유럽 국가로, 29%만이 유럽의 일부로 인식했다.[55]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안전 보장 이사회 부의장 겸 전 러시아 대통령은 2022년 자신의 텔레그램 채널을 통해 "리스본에서 블라디보스토크까지 유라시아를 건설하는 것"을 국가 목표로 선언했다.[56]
2023년 러시아는 블라디미르 푸틴이 승인한 "''러시아 연방 외교 정책 개념''" 문서를 통해 유라시아주의적 반서방 정서 외교 정책 전략을 채택했다. 이 문서는 러시아를 "대유라시아 파트너십"을 구축하려는 "독특한 국가-문명이며 광대한 유라시아 및 유로태평양 강국"으로 정의했다. 이 정책은 미국과 영어권 국가를 "반러시아 정책의 주요 영감 제공자"로 규정하고, 미국 패권 종식을 추구한다. 또한 신소비에트주의 입장을 채택하여 러시아를 소련의 승계 국가로 규정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질서와 유엔을 형성하는 데 있어 "소련의 결정적인 기여"를 확산할 것을 요구한다.[57][58][59]
5. 터키의 유라시아주의
1990년대 후반부터 유라시아주의는 터키에서 신민족주의(''울루살즈'') 계열 사이에서 어느 정도 추종자를 얻었다. 애국당(바탄 파르티시)의 지도자인 도우 페린체크는 드구인과 연관된 가장 저명한 인물이다.[60]
6. 비판
유라시아주의는 러시아 제국과 소련의 영토가 자연스럽게 하나로 통합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29] 초기 유라시아주의자들은 유럽 파시스트 운동의 일부 측면을 존경했지만, 폭력, 군국주의, 극단주의, 인종차별 등은 반대했다.[30]
유라시아주의는 범슬라브주의를 추구하는 러시아 민족주의를 거부한다. 혁명과 내전 이후 러시아 제국의 영토 분열에 반대하며, 통일된 유라시아 강대국으로 재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1] 민주주의에 대한 혐오는 유라시아주의의 중요한 특징이며, 통치 이념이 올바르다면 관념 통치를 좋은 것으로 여겼다.[32]
알렉산드르 두긴과 같은 신유라시아주의 사상가들은 요시프 스탈린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33][34] 러시아의 영향력 있는 외교 정책 사상가들은 21세기의 국제 질서가 몇몇 주요 강대국이 지배하는 세력권 정치로 회귀할 것이라고 보며, 러시아가 유라시아에서 중심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35]
유라시아 운동은 국가 볼셰비즘 러시아 정치 운동으로, 러시아의 애국심, 동방 정교 신학, 반근대화, 볼셰비키 사상 일부를 혼합한 신유라시아주의 이념을 따른다. 이들은 자유주의, 자본주의 등 "미국"의 가치에 반대한다.[42]
알렉산드르 두긴은 신유라시아주의를 통해 러시아 민족이 "가장 우선적인 유라시아 민족"이며, 유라시아 제국을 형성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미국과 앵글로스피어를 주요 위협으로 보며, 전체주의 국가와 같은 러시아 파시스트 독재를 선호한다. 두긴은 이탈리아 파시즘과 독일 나치즘을 비판하기도 했지만, 연구자들은 그의 사상을 제4 정치 이론이라 불리는 파시즘의 변종으로 보기도 한다.[30]
현대 유라시아주의는 러시아 신제국주의[5][45]이자 팽창주의 이념으로 비판받으며, 현대 러시아의 영향권 내 비러시아 소수 민족에 대한 러시아 민족 패권을 유지하려는 시도로 평가받는다. 유라시아주의의 반서방 지향성은 푸틴 시대 러시아에서 반대 의견을 막는 데 사용되었다.[46] 안톤 셰호프초프는 두긴의 신유라시아주의를 파시즘 이념의 한 형태로 정의했다.[47]
유라시아주의는 발트 3국[49]과 폴란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50] 러시아는 지역 블록의 리더 역할을 할 경우에만 미국, 중국, 유럽 연합과 경쟁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옛 소련 국가들과의 통합을 통해 세계 및 지역 거버넌스의 주요 중심지가 될 수 있다고 본다.[51]
7. 문학 속 유라시아
조지 오웰의 소설 ''1984''에서 묘사된 미래에는 소련이 세계를 지배하는 세 개의 초강대국 중 하나인 유라시아로 변모한다. 로버트 하인라인의 단편 소설 "만족스럽지 못한 해결책"에서도 소련이 "유라시아 연합"으로 변모하는 미래를 그리고 있다. "유라시아"라는 용어의 이러한 사용과 유라시아주의의 지정학적 이념 사이에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참조
[1]
웹사이트
Die Lehre der Eurasier: ein Beitrag zur russischen Ideengeschichte des 20. Jahrhunderts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1961-01-14
[2]
웹사이트
Re-imagining World Spaces: The New Relevance of Eurasia
https://humanitiesfu[...]
2016-07-31
[3]
간행물
Russian Eurasianism: An Ideology of Empire
Woodrow Wilson Center Press
2008
[4]
학술 논문
Neo-Eurasianism in Russian Foreign Policy: Echoes from the Past or Compromise with the Future?
2018-02
[5]
웹사이트
Putin's Thousand-Year War
https://foreignpolic[...]
2022-03-12
[6]
학술 논문
The Masks of Proteus: Russia, Geopolitical Shift and the New Eurasianism
https://www.jstor.or[...]
1999
[7]
뉴스
Russia adopts new anti-West foreign policy strategy
https://www.dw.com/e[...]
2023-03-31
[8]
웹사이트
Russia's new foreign-policy concept: the impact of war
https://www.iiss.org[...]
2023-04-06
[9]
웹사이트
The Concept of the Foreign Policy of the Russian Federation
https://russiaeu.ru/[...]
2023-03-01
[10]
서적
Russian Eurasianism: An Ideology of Empi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1]
서적
Russian Eurasianism: An Ideology of Empi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2]
서적
Russian Eurasianism: An Ideology of Empi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3]
서적
Russian Eurasianism: An Ideology of Empi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4]
웹사이트
Samopoznanie
http://yakov.works/l[...]
[15]
웹사이트
ИЛЬИН
https://www.pravenc.[...]
[16]
웹사이트
Николай Смирнов. Левое евразийство и постколониальная теория
https://syg.ma/@geog[...]
2022-06-23
[17]
웹사이트
Николай Смирнов. Левое евразийство и постколониальная теория
https://syg.ma/@geog[...]
2022-05-11
[18]
웹사이트
Иван Ильин: Война учит нас жить, любя нечто высшее · Родина на Неве
https://rodinananeve[...]
2022-08-03
[19]
웹사이트
Ильин Владимир Николаевич: Русская философия : Руниверс
https://runivers.ru/[...]
[20]
학술 논문
Евразийство в зеркале ОГПУ-НКВД-КГБ
https://istina.ipmne[...]
1996
[21]
웹사이트
ЕВРАЗИЙСТВО • Большая россий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 электронная версия
https://bigenc.ru/ph[...]
2022-05-07
[22]
서적
A World after Liberalism: Philosophers of the Radical Right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3]
서적
British Fascism After the Holocaust: From the Birth of Denial to the Notting Hill Riots 1939–1958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4]
서적
The Russian Question: Nationalism, Modernization and Post-Communist Russia
Rowman and Littlefield
1998
[25]
학술 논문
Partition as a Solution to Wars of Nationalism: The Importance of Institutions
2007-11
[26]
뉴스
Road to War in Georgia: The Chronicle of a Caucasian Tragedy
http://www.spiegel.d[...]
Spiegel
2008-08-25
[27]
뉴스
Neo-Eurasianist Aleksandr Dugin on the Russia-Georgia Conflict
http://www.cacianaly[...]
CACI Analyst
2008-09-03
[28]
뉴스
Putin's Thousand-Year War
https://foreignpolic[...]
2022-03-12
[29]
웹사이트
Die Lehre der Eurasier: ein Beitrag zur russischen Ideengeschichte des 20. Jahrhunderts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1961-01-14
[30]
Interview
Transcript: Russian Nationalism
https://srbpodcast.o[...]
2019-03-08
[31]
웹사이트
Re-imagining World Spaces: The New Relevance of Eurasia
https://humanitiesfu[...]
2016-07-31
[32]
웹사이트
The Jewish Eurasianism of Yakov Bromberg
http://stephenshenfi[...]
[33]
뉴스
Neo-Eurasianism – placing Russia on a path of collision with the West
https://www.defencec[...]
2022-05-26
[34]
학술 논문
Triumphant memory of the perpetrators: Putin's politics of re-Stalinization
https://online.ucpre[...]
2016-02-04
[35]
서적
Russia's New Authoritarianism
http://dx.doi.org/10[...]
[36]
논문
Recent Scholarship on Russian Orthodoxy: A Critique
http://muse.jhu.edu/[...]
Kritika: Explorations in Russian and Eurasian History
2008
[37]
학술지
Aleksandr Dugin and the ideology of national revival: Geopolitics, Eurasianism and the conservative revolution
2002-09
[38]
뉴스
Alexander Dugin – A Russian scarecrow
http://neweasterneur[...]
Polish Ministry of Culture and National Heritage
2022-08-24
[39]
뉴스
Russian nationalist thinker Dugin sees war with Ukraine
https://www.bbc.com/[...]
BBC
2022-08-24
[40]
학술지
Aleksandr Dugin's Neo-Eurasianism: The New Right à la Russe
https://www.mod-lang[...]
2022-08-24
[41]
뉴스
Russian Nationalist Dugin Says Greece Briefly Detained Him At Border
https://www.rferl.or[...]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22-08-24
[42]
뉴스
The Grand Theory Driving Putin to War
https://www.nytimes.[...]
2022-03-23
[43]
학술지
Putin's Brain: Alexander Dugin and the Philosophy Behind Putin's Invasion of Crimea
https://www.foreigna[...]
2024-06-27
[44]
뉴스
The far-right mystical writer who helped shape Putin's view of Russia
https://www.washingt[...]
2024-06-27
[45]
뉴스
The far-right mystical writer who helped shape Putin's view of Russia
https://www.washingt[...]
2024-06-27
[46]
학술지
From decolonisation to authoritarianism: the co-option of the decolonial agenda in higher education by right-wing nationalist elites in Russia and India
2023-07-04
[47]
서적
Russia and the Western Far Right
Routledge
2018
[48]
뉴스
The geopolitical implications of Russia's invasion of Ukraine
https://www.aspi.org[...]
Australian Strategic Policy Institute
2022-09-07
[49]
학술지
The Kremlin's Information Influence Campaigns in Estonia and Estonian Response in the Context of Russian-Western Relations
2022-05
[50]
학술지
Messianic Narrations in Contemporary Russian Statecraft and Foreign Policy
https://www.cejiss.o[...]
2019-03
[51]
뉴스
No empire without end
https://www.eurozine[...]
Eurozine
2022-07-11
[52]
서적
'Middle Continent' or 'Island Russia': Eurasianist Legacy and Vadim Tsymburskii's Revisionist Geopolitics
https://www.jstor.or[...]
Brill
2019
[53]
웹사이트
Eurasian Union: Ideas, Practice, Perspectives 1994–1997
https://presidentlib[...]
Fund for cooperation and development in social and political science
2020-04-12
[54]
서적
Russia and the West : the 21st century security environment
https://books.google[...]
Sharpe
2015-02-25
[55]
웹사이트
Russia and Europe
https://www.levada.r[...]
2021-03-22
[56]
뉴스
Уничтожить Украину и ее историю. Медведев выдал «наполеоновские» планы Кремля
https://apostrophe.u[...]
Apostroph
2022-09-05
[57]
뉴스
Russia adopts new anti-West foreign policy strategy
https://www.dw.com/e[...]
2023-03-31
[58]
웹사이트
Russia's new foreign-policy concept: the impact of war
https://www.iiss.org[...]
2023-04-06
[59]
웹사이트
The Concept of the Foreign Policy of the Russian Federation
https://russiaeu.ru/[...]
2023-03-01
[60]
간행물
"Rusya, Dugin ve‚ Türkiye'nin Avrasyacılık stratejisi"
Aydınlık
2004-12-05
[61]
간행물
ソヴェト・ロシア辞典
ロシア問題研究所
1928
[62]
간행물
世界現狀大觀 VII
新潮出版社
1931
[63]
웹사이트
Post-Soviet Neo-Eurasianism, the Putin System, and the Contemporary European Extreme Right
https://web.archive.[...]
foreignpolicyblogs.com
2019-05-08
[64]
웹사이트
Eurasianism is the New Fascism
https://web.archive.[...]
stanfordpolitics.org
2019-05-11
[65]
뉴스
【地球を読む】ロシア歴史の教訓「ユーラシア国家」の挫折
2022-05-15
[66]
웹인용
Die Lehre der Eurasier: ein Beitrag zur russischen Ideengeschichte des 20. Jahrhunderts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1961-0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