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화는 러시아 제국, 소련, 그리고 현대 러시아 연방에서 비러시아 민족 집단에 러시아어, 러시아 문화, 러시아 정교회 등을 강요하여 동화하려는 정책을 의미한다. 16세기 카잔 칸국 정복 이후 타타르 지역에서 시작되어, 동슬라브족의 동진과 함께 우랄어족 민족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19세기에는 소수 민족의 자결주의를 억제하기 위해 강화되었으며,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에도 적용되었다. 소련 시대에는 코레니자치야 정책과 러시아어 강조 정책이 번갈아 나타났고, 소련 붕괴 이후에도 러시아 내 소수 민족의 언어와 문화는 위협받았다. 이 정책은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핀란드, 폴란드, 리투아니아 등 다양한 지역에서 시행되었으며, 일본에서는 북방 영토 문제와 관련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러시아화 | |
---|---|
개요 | |
정의 | 특정 문화 또는 언어 공동체 외부의 사람들에게 러시아 문화와 언어를 확산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문화적 동화의 한 형태이다. |
목표 | 러시아 문화와 언어의 지배력 강화 특정 지역 또는 국가 내에서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 |
역사적 배경 | |
기원 | 러시아 제국 시대로 거슬러 올라감. 러시아 정부는 제국 내에서 러시아 문화와 언어를 장려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했다. |
소련 시대 | 러시아화 정책은 소련 전역에서 더욱 강화되었다. 러시아어는 모든 공화국의 공용어로 지정되었고, 러시아 문화는 다른 문화보다 우위에 놓였다. |
소련 붕괴 이후 | 일부 구소련 국가에서 러시아화 정책에 대한 반발이 나타났다. 자국 문화와 언어를 되살리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었다. |
특징 | |
언어 정책 | 러시아어 사용 장려 소수 민족 언어 사용 제한 |
교육 | 러시아어 교육 강화 러시아 역사 및 문화 교육 강조 |
문화 | 러시아 문화 행사 장려 러시아 예술 및 문학 보급 |
행정 | 러시아어 사용 의무화 러시아 관료 임명 |
영향 | |
긍정적 영향 | 러시아 문화와 언어에 대한 이해 증진 러시아와 다른 국가 간의 문화 교류 활성화 |
부정적 영향 | 소수 민족 문화와 언어의 소멸 위협 민족 간 갈등 심화 문화적 다양성 감소 |
사례 | |
우크라이나 | 러시아어 사용 장려 정책으로 인해 우크라이나어 사용이 위축되었다. |
벨라루스 | 러시아어는 벨라루스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
카자흐스탄 | 러시아어는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카자흐어와 함께 공식적으로 사용된다. |
논란 | |
비판 | 문화 제국주의라는 비판이 있다. 소수 민족의 권리를 침해한다는 비판이 있다. |
옹호 | 러시아 문화와 언어의 보존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는 주장이 있다. 러시아와 다른 국가 간의 관계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 있다. |
2. 역사
16세기 카잔 칸국(옛 볼가강 불가리아의 영토를 차지한 중세 타타르 지역) 정복 이후 타타르 지역에서 러시아화가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기독교화와 러시아어를 유일한 행정 언어로 사용하도록 강제하였다.[170]
우랄어족을 사용하는 민족들(베프스인, 모르도바인, 마리인, 그리고 페름인 등)이 거주하는 서부 및 중부 러시아의 광대한 지역에 대한 러시아화는 이미 동슬라브족의 최초 동진과 함께 시작되었다. 지명 증거는[3][4][5] 이 확장이 다양한 볼가 핀족을 희생하여 이루어졌음을 나타낸다. 이들은 점차 러시아인에게 동화되었으며, 서기 2천년 초에 메리야인과 무로마인이 그 시작이었다.
13세기에서 14세기에 걸쳐 코미인의 러시아화가 시작되었지만, 18세기까지 코미인의 중심지에는 침투하지 못했다. 그러나 19세기에는 코미-러시아어 이중 언어 사용이 일반화되었고 코미어에 대한 러시아의 영향력이 증가했다.[6]
1856년 크림 전쟁에서 러시아가 패배하고 1863년 1월 봉기가 발생한 후, 알렉산드르 2세는 소수 민족의 자결주의 및 분리주의를 억제하기 위해 러시아화를 강화했다.[7] 19세기에는 러시아 정착민들이 카자흐스탄 땅(당시에는 키르기스인으로 잘못 인식됨)으로 이주하면서 많은 카자흐인들이 국경을 넘어 중국으로 이주하게 되었다.[7]
러시아화는 이전 키예프 루스를 구성했던 비 모스크바 민족 집단, 즉 우크라이나인과 벨라루스인에게 확대되었다. 이들의 고유 언어와 문화는 키예프 루스가 분할된 후 모스크바와 분리되면서 다르게 발전했다.[8][9] 이 집단에 적용된 러시아화의 사고방식은 다른 집단에 적용된 것과 달랐는데, 러시아 제국 정부와 러시아 애호가들은 이들을 전러시아 또는 삼위일체 러시아 민족의 일부라고 주장했기 때문이다.[10][11] 러시아화는 19세기에 발전하고 있던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에서 동시대의 민족주의 운동과 경쟁했다.[8][12] 러시아 제국 당국뿐만 아니라 현대 러시아 민족주의자들은 러시아화가 자신들이 생각하는 러시아 민족을 동질화하고 폴란드화의 영향을 되돌리는 목표를 달성하는 유기적인 민족 통합 과정이라고 주장했다.[13][14][15][16][17]
2. 1. 초기 러시아화 (16세기 ~ 19세기)
16세기 카잔 칸국(옛 볼가강 불가리아의 영토를 차지한 중세 타타르 지역) 정복 이후 타타르 지역에서 러시아화가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기독교화와 러시아어를 유일한 행정 언어로 사용하도록 강제하였다.[170]1856년 크림 전쟁에서 러시아가 패배하고 1863년 폴란드 반란이 일어난 후, 차르 알렉산드르 2세는 소수 민족의 자결주의 및 분리주의를 억제하기 위해 러시아화를 강화했다.[170] 19세기에는 러시아 정착민들이 카자흐스탄 땅으로 이주하면서 많은 카자흐인들이 국경을 넘어 중국으로 이주하게 되었다.[170]
2. 2. 소비에트 연방 시대 (1917년 ~ 1991년)
소비에트 연방 시대의 러시아화는 여러 단계를 거치며 진행되었다. 1920년대부터 1930년대 중반까지는 코레니자치야 정책을 통해 비러시아 문화와 언어가 장려되었다. 이 시기에는 지역 행정 단위가 구성되고, 비러시아인들이 지도적 지위에 채용되었으며, 정부 행정, 법원, 학교, 대중 매체에서 비러시아 언어가 장려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소련의 정치, 경제, 사회 생활 전반에 대한 공산당의 통제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범이슬람주의와 범튀르크주의[25]와 같은 민족 기반의 대안적인 정치 운동 형성을 막는 수단이기도 했다.[25]1930년대 후반, 이오시프 스탈린 시대에는 러시아어가 더욱 강조되었다. 1938년, 러시아어는 모든 소련 학교에서 필수 과목이 되었고, 1939년에는 1920년대 후반에 라틴 문자를 부여받았던 비러시아어는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문자를 부여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스탈린은 볼가 독일인, 크림 타타르족, 체첸인 등 여러 민족을 중앙 아시아와 시베리아로 강제 이주시켰다.[29] 전쟁 후, 스탈린은 러시아 민족의 주도적인 역할을 강조하는 연설을 하였고, 이는 새로운 소련 국가에 반영되었다.[31]
니키타 흐루쇼프 시대인 1950년대 후반에는 교육 개혁이 시행되어 '자발적인 부모의 선택'이라는 명목 하에 비러시아 학교를 러시아 학교로 대체하는 과정이 가속화되었다.[36] 1970년대 초까지 비러시아어를 주요 교육 매체로 사용하는 학교는 45개 언어로 운영되었으며, 이는 1930년대 초의 절반 수준이었다.[35]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시대에는 '접근-단결' 정책을 통해 러시아화 완화를 시도했다. 1971년 제24차 당 대회에서는 소비에트 인이라는 새로운 공동체가 형성되고 있으며, 이 공동체의 공통 언어는 러시아어라고 선언했다. 1978년에는 러시아어 교육을 더욱 강화하는 칙령이 제정되었다.[41]
미하일 고르바초프 시대에는 민족 간 소통 수단으로 러시아어 학습을 강조했다. 1986년 제27차 당 대회에서는 민족의 완전한 단결을 목표로 하면서도, 모든 시민이 모국어를 사용할 권리를 보장하고 러시아어를 자발적으로 학습하는 것을 장려했다.

소련 시대에 상당수의 러시아인과 우크라이나인이 다른 소련 공화국으로 이주하여 정착했다. 1989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비러시아 소련 공화국에 있는 러시아 '디아스포라'는 2,500만 명에 달했다.[43] 러시아어를 제2 언어로 보급하고 다른 언어를 점진적으로 대체하는 과정은 소비에트 인구 조사를 통해 감시되었다.[44] 거의 모든 소비에트 공화국에서 러시아어/현지어 이중 언어 사용은 "비대칭적"이었는데, 지배 민족은 러시아어를 배웠지만 이주 러시아인들은 일반적으로 현지어를 배우지 않았다.
2. 3. 러시아 연방 시대 (1991년 ~ 현재)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내 소수 민족에 대한 강제적인 러시아화가 계속되었다.[48] 특히 도시화와 인구 감소로 인해 러시아의 여러 원주민 언어와 문화가 멸종 위기 언어로 전락했다.[48] 1989년과 2002년 사이 모르도바인의 동화 인구는 10만 명이 넘는 큰 감소를 보였다.[48]2018년 6월 19일, 러시아 국가 두마는 러시아어를 제외한 모든 언어 교육을 선택 사항으로 만들고, 소수 민족 언어 교육 시간을 주당 2시간으로 줄이는 법안을 통과시켰다.[49][50][51] 이는 소수 민족의 언어와 문화를 위협한다는 비판을 받았으며,[51][52] 타타르스탄,[53] 추바시야,[51] 마리엘,[51] 북오세티야,[53][54] 카바르디노-발카리아,[53][55] 카라차이인,[53] 쿠미크족,[53][56] 아바르인,[53][57] 체첸,[49][58] 잉구셰티야 등에서 반대 시위와 청원이 이어졌다.[59][49]
2019년 9월 10일, 우드무르트 활동가 알베르트 라진은 이제브스크의 지역 정부 청사 앞에서 우드무르트어의 지위를 축소하는 법안에 항의하며 분신 자살했다.[62] 2002년에서 2010년 사이에 우드무르트어 사용자는 463,000명에서 324,000명으로, 마리어 사용자는 254,000명에서 204,000명으로,[52] 추바시어 사용자는 21.6% 감소했다.[64]
북캅카스에서는 원주민 언어 교육 기회가 50% 이상 감소했으며,[49][53] 오세트어, 쿠미크어, 아바르어 사용자가 각각 43,000명, 63,000명, 80,000명 감소했다.[53]
2020년 러시아 헌법 개정에서는 러시아 민족을 "국가 형성 민족"으로, 러시아어를 "국가 형성 민족의 언어"로 명시하여[68] 소수 민족의 비판을 받았다.[69][70]
2021년 인구 조사 결과, 볼가 지역 민족들의 수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과 2022년 사이에 마리인은 22.6%,[75] 추바시인과 우드무르트인은 각각 25%와 30% 감소했다.[76] 모르도바인과 코미-페르미악은 각각 35%와 40% 감소했다.[77]
3. 국가/지역별
3. 1. 벨라루스
러시아 제국은 1772년 폴란드 분할 이후 벨라루스를 러시아 제국에 편입시키면서 러시아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예카테리나 2세는 러시아어 사용을 강요하고, 벨라루스인을 노예화했다.[176][177] 1840년에는 니콜라이 1세가 '벨라루스'라는 명칭 사용을 금지하고 '북서부 영토'로 개칭했다.[185] 19세기에는 벨라루스어와 문화가 탄압받고 러시아 정교회가 강요되었다.[183] 미하일 무라비요프 빌렌스키는 "러시아 총검이 완료하지 못한 것은 러시아 학교와 교회가 완료할 것이다."[188][189][190][184][191]라는 말로 러시아화를 강력하게 밀어붙였다.소련 시대에는 1920년대 벨라루스화 정책으로 잠시 주춤했으나, 이후 러시아화가 재개되었다.[89] 1930년대에는 벨라루스 지식인들이 탄압받고, 건축물들이 파괴되었다.[196][197][198]
1995년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집권 이후 러시아화가 강화되어, 벨라루스어는 멸종 위기에 처했다.[202] 루카셴코는 벨라루스의 국가 상징을 소련 시절의 상징으로 되돌리고 러시아어를 제2 공용어로 지정했다.[202]




3. 2. 우크라이나
17세기 후반부터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화 정책을 시행했다.[203][109] 1686년 우크라이나 정교회의 자치제가 폐지되고, 키예프 관구는 모스크바 총대주교로 이관되었다.[114] 러시아 차르국은 코사크 국가의 교육 기관을 감시하고,[114] 1687년에는 코사크 정부에 우크라이나인과 러시아인의 결혼을 장려하도록 명령했다.(콜로마크 조약)[114]18세기에는 표트르 1세가 1720년 우크라이나어로 쓰인 신서 출판을 금지하고 고서를 러시아어로 고쳐 쓰도록 칙령을 내렸다.[114][205] 1729년에는 표트르 2세가 우크라이나어 고문서를 러시아어로 고쳐 쓰도록 명령했다.[114] 예카테리나 2세는 1764년 우크라이나, 리보니아, 핀란드 등의 러시아화 정책 강화를 비밀 지령하고,[206][116] 같은 해 우크라이나의 헤트만 및 코사크 정부를 폐지했다.[116][117] 1775년에는 자포로지예의 세치를 폐지하고 우크라이나에 있는 코사크 연대의 여러 학교가 폐쇄되었다.[116][206] 1783년에는 우크라이나에 농노 제도를 도입했다.[116]
19세기에는 1863년 발루예프 칙령으로 문학 작품을 제외한 모든 우크라이나어 출판물이 금지되었고,[118][120][207] 1876년 엠스 칙령으로 우크라이나어 출판물, 연극 각본, 악보, 학술서, 문학서 등이 금지되고 우크라이나어 출판물 수입이 금지되었다.[118][121] 1888년 알렉산드르 3세는 제국의 관저나 관청 등에서 우크라이나어 사용을 금지하는 명령을 내렸다.[122]
소련 시대에는 1920년대 코레니자치야 정책으로 러시아화가 일시 중단되었으나, 이후 다시 강화되었다. 1932년-1933년 홀로도모르로 수백만 명이 굶어 죽었고,[124] 1933년 우크라이나화 정책 실행이 중단되었다.[124] 1938년에는 우크라이나 학교에서 러시아어가 필수 과목이 되었다.[125]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독립한 우크라이나는 우크라이나화 정책을 시행했다. 그러나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과 우크라이나 동부에서 러시아의 지원을 받는 미승인 단체가 등장한 이후, 점령 지역에서는 러시아화가 다시 시작되었다.[109][110][203] 2016년에는 크림반도에 우크라이나어 학교가 단 하나만 남았고,[135] 2019년에는 마지막 우크라이나어 학교가 폐쇄되었다.[136] 2022년 러시아군 점령 지역에서는 우크라이나 문학과 역사 교과서를 몰수·파괴하고, 학교 교육 과정을 러시아어로만 하도록 강요했다.[137]
3. 3. 핀란드
핀란드의 러시아화(1899년~ 1905년, 1908년~1917년)는 핀란드 대공국의 자치권 종식을 목표로 한 러시아 제국의 정부 정책이었다. ''sortokaudet'' ("압제의 시대" 핀란드어)라고도 불렸다. 러시아화에 대한 핀란드인들의 반대는 결국 1917년 핀란드 독립선언을 이끈 주요 요인 중 하나였다.
3. 4. 폴란드, 리투아니아
19세기 러시아 제국은 폴란드 분할(1772년-1795년)과 빈 회의(1815년) 이후 병합된 지역에서 폴란드어, 리투아니아어 등을 러시아어로 대체하려 했다.[101] 콩그레스 폴란드에서의 러시아화는 1831년 11월 봉기 이후, 특히 1863년 1월 봉기 이후 더욱 심화되었다.[102] 1864년에는 폴란드어와 벨라루스어가 공공 장소에서 금지되었고, 1880년대에는 폴란드어가 학교, 교내, 콩그레스 폴란드의 사무실에서 금지되었다.[103] 폴란드어 연구, 교육, 폴란드 역사, 가톨릭 관련 연구와 교육이 금지되면서 문맹률이 증가했다.[103] 이에 비행 대학교를 포함한 폴란드 지하 교육 네트워크가 형성되었다.[103][104]
리투아니아에서도 비슷한 전개가 일어났다.[102] 리투아니아 총독 미하일 니콜라예비치 무라비요프-빌렌스키(1863년-1865년 재임)는 구두 폴란드어와 리투아니아어의 공공 사용을 금지하고 폴란드어 및 리투아니아어 학교를 폐쇄했다. 무라비요프는 출판물에서 라틴 문자와 고딕체의 사용을 금지했다.[102] 이 금지는 1904년에야 해제되었지만, 크니그네시이라고 불리는 리투아니아 밀수업자들은 리투아니아어 출판물을 리투아니아 소(小) 지역과 미국에서 러시아 제국의 리투아니아어 사용 지역으로 가져왔다.

러시아화 운동은 가톨릭보다 러시아 정교회 신앙을 장려했다. 가톨릭 수도원 폐쇄, 가톨릭 학교 금지, 그레고리력에서 율리우스력으로 변경 등이 이루어졌다.[106] 1863년 1월 봉기 이후, 봉기를 도운 혐의로 기소된 폴란드 및 리투아니아 출신 귀족으로부터 많은 영지와 토지가 몰수되었다. 빌뉴스 대학교는 1832년에 폐쇄되었다가, 러시아가 1919년 도시의 통제권을 잃은 후에야 다시 문을 열었다.
3. 5. 기타 지역
러시아 제국은 19세기 전반 굴리스탄 조약(1813년)과 투르크멘차이 조약(1828년)을 통해 가자르 왕조로부터 남 코카서스 지역을 할양받아 식민지화했다.[79] 1830년까지 슈샤, 바쿠, 옐리자베트폴(간자), 셰마히 시에 러시아어 학교가 설립되었고, 이후 구바, 오르두바드, 자카탈라에도 설립되었다.[79] 1887년 하비브 베이 마흐무드베요프와 술탄 마지드 가니자데는 바쿠에 최초의 러시아-아제르바이잔 학교를 설립하여 무슬림 인구의 문화적 가치와 전통에 맞춘 교육 과정을 제공했다.[80] 1901년 여자 대학을 포함, 남녀 공학 240개 학교가 설립되었고,[81] 1894년 최초의 러시아-아제르바이잔 참고 도서관이 개관했다.[82] 1918년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은 아제리어를 공식 언어로 선포했지만, 정부 문서에는 러시아어 사용이 허용되었다.[83]소련 시대 바쿠는 러시아인, 아제르바이잔인, 아르메니아인, 유대인 등이 통합된 초민족 도시 하위 문화가 형성되어 세계주의적이고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특징을 보였다.[84][85][86] 1970년, 57,500명의 아제르인(1.3%)이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했다.[8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동프로이센 북부는 소련에 병합되어 칼리닌그라드주가 되었고, 독일인들은 추방되거나 강제 노동을 위해 소련으로 강제 이주되었다.[94] 러시아인, 벨라루스인, 우크라이나인들이 체계적으로 정착했으며, 독일 문화 유산은 파괴되거나 방치되었고, 모든 정착지는 러시아어로 이름이 부여되었다.[94]
1885년 러시아 제국의 알렉산드르 3세는 칙령을 통해 발트 지방 총독부 공무원의 러시아어 사용을 의무화했고, 1889년에는 발트 지방 자치 정부의 공식 절차에도 적용되었다.[95] 1890년대 초, 러시아어는 발트 지방 총독부 학교의 교육 언어로 강제되었다.[96] 1944년 라트비아 재점령 이후, 러시아어는 국가 업무의 언어가 되었고, 도시를 러시아어 사용의 주요 중심지로 만들었다.[97] 1957년 라트비아 민족 공산주의 분파는 라트비아어와 러시아어 모두를 의무적으로 알아야 한다는 법안을 통과시켰으나,[98] 1958년 소련 공산당의 교육 개혁으로 러시아 SFSR을 제외한 모든 소련 공화국에서 부모에게 자녀가 공립학교에서 공화국의 주민족 또는 러시아어, 그리고 한 개의 외국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98] 라트비아는 명제 19를 채택하지 않아 1959년에서 1962년 사이에 라트비아 민족 공산주의자들이 공산당에서 숙청되었다.[98] 라트비아에 이중 언어 학교 시스템이 설립되어 러시아어와 라트비아어로 병행 수업이 진행되었고,[98] 1964-1965년에는 라트비아 학교에서 러시아어 수업 시간이 라트비아어 수업 시간보다 더 많았다.[98] 1972년, 17명의 라트비아 공산주의자들의 편지는 소련 공산당을 "대러시아 민족주의"와 "라트비아의 모든 삶의 점진적인 러시아화" 혐의로 고발했다.[99]
베사라비아는 1812년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었고, 1829년 행정에서 루마니아어 사용이 금지되었으며, 1833년에는 교회, 1842년에는 중등 학교, 1860년에는 초등학교에서 루마니아어 사용이 금지되었다. 러시아 당국은 몰도바인의 이주를 장려하고, 외국 민족 집단의 이주를 장려했다. 1897년 몰도바인 인구 비율은 1817년에 비해 30% 감소했다.[107] 1940년 베사라비아의 소련 점령 이후, 베사라비아의 루마니아인들은 박해를 받았고, 러시아화 법이 부과되었다. 몰도바어는 루마니아어였지만, 러시아 문자에서 파생된 키릴 문자를 사용했다.[108]
이 외에도 외만주, 강동 육십사둔, 동청 철도, 다롄 등 다양한 지역에서 러시아화가 진행되었다.
4. 일본
일본어에서 "러시아화"라는 단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된 최근 사례는 북방 영토 문제에 대한 매스 미디어의 보도이다. 일본국 정부가 고유 영토라고 주장하는 북방 영토는 1945년 이후 소비에트 연방(소련)이 실효 지배했으며, 소련 붕괴 후에는 러시아 연방의 실효 지배하에 있다.[111][112][113] 2010년대에 들어서 러시아 연방 정부는 극동 개발의 일환으로 북방 영토의 산업 진흥 추진과 군사 시설 설치에 따른 방위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111][112][113] 일본 측에서는 이를 실효 지배의 기정 사실 강화, 러시아 영토로의 명실상부한 완전 편입으로 보고 있으며, 일본의 언론은 이를 "러시아화"라고 불렀다.[111][112][113]
1952년에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이 발효됨으로써 일본 정부는 남사할린과 우루프 섬 이북의 북쿠릴 열도의 주권을 포기했기 때문에 문제시되는 경우는 적지만, 남사할린과 북쿠릴 열도의 일본 영유화를 목표로 하는 입장에서는 남사할린과 북쿠릴 열도에서의 러시아화가 문제시되고 있다.
참조
[1]
서적
"The Non-Russian Peoples," in Allen Kassof, Ed., ''Prospects for Soviet Society''
Praeger
[2]
간행물
"Demographic Sources of the Changing Ethnic Composition of the Soviet Union"
1989-12
[3]
서적
Substrata Uralica: Studies on the Finno-Ugrian substrate in Northern Russian dialects
Tartu University Press
[4]
간행물
The "Northwestern" Group of Finno-Ugric Languages and its Heritage in the Place Names and Substratum Vocabulary of the Russian North
http://www.helsinki.[...]
2014-08-10
[5]
간행물
Finno-Ugrian hydronyms of the river Volkhov and Luga catchment areas
http://www.sgr.fi/su[...]
2014-08-10
[6]
간행물
The Russification of Komi
https://blogs.helsin[...]
2014-08-10
[7]
서적
Unknown Mongolia: a record of travel and exploration in north-west Mongolia and Dzungaria, Volume 2
https://books.google[...]
Lippincott
2011-05-29
[8]
서적
The Russian empire 1801-1917
Clarendon Press
1967
[9]
웹사이트
Russia and Ukraine: the tangled history that connects—and divides—them
https://www.national[...]
2023-02-24
[10]
웹사이트
Russophiles
https://www.encyclop[...]
2023-12-28
[11]
간행물
Ukrainians and Russians as 'One People': An Ideologeme and its Genesis
2023-08-23
[12]
서적
The Russian empire 1801-1917
Clarendon Press
1967
[13]
서적
Ukraine: a history
Univ. of Toronto Press
2012
[14]
서적
The reconstruction of nations: Poland, Ukraine, Lithuania, Belarus, 1569–1999
Yale University Press
2003
[15]
서적
Religion and nationality in Western Ukraine: the Greek catholic church and the Ruthenian national movement in Galicia, 1867–1900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1999
[16]
서적
К Украинско-белорусские исторические и историографические параллели // Україна—Білорусь. Політичні, екомомчіні та культурні аспекти взаємин.
[17]
웹사이트
Белорусы: становление этноса и «национальная идея
http://vln.by/node/4[...]
[18]
서적
Language Policy in the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6-04-11
[19]
서적
Struggle Over Identity: The Official and the Alternative "Belarusianness"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10-01-01
[20]
서적
[22]
간행물
The USSR as a Communal Apartment, Or How a Socialist State Promoted Ethnic Particularism
1994
[23]
간행물
Nationhood and the National Question in the Soviet Union and Post-Soviet Eurasia: An Institutionalist Account
1994-02
[25]
서적
Language Aspects of Ethnic Patterns and Processes in the North Caucasus
University of Chicago Geography Research Series
[26]
간행물
"The Soviet Union as a Work in Progress: Ethnographers and Category Nationality in the 1926, 1937, and 1939 Censuses
1997
[27]
서적
Crimean Tatars
Academic International Press
[28]
서적
Nationalism and Internationalism. How did the Bolsheviks Cope with National Sentiments?
[29]
서적
The Nation Killers: The Soviet Deportation of Nationalities
MacMillan
[31]
웹사이트
Lyrics: The Soviet National Anthem
https://www.marxists[...]
2017-10-29
[32]
웹사이트
Исторический нарратив государственных гимнов и политика национальной памяти
https://cyberleninka[...]
2023-09-04
[33]
서적
Сто тридцать равноправных; о языках народов СССР.
Nauka
[34]
서적
Равитие языков народов СССР в советскую эпоху
Prosveshchenie
[35]
간행물
Equality, Efficiency, and Politics in Soviet Bilingual Education Policy: 1934–1980
1984-12
[36]
논문
"The Soviet Education Laws of 1958–59 and Soviet Nationality Policy"
1962-10
[37]
논문
"The Status of National Minority Languages in Soviet Education: An Assessment of Recent Changes"
1974-01
[38]
문서
1974
[39]
문서
1962
[40]
문서
[41]
서적
Linguistic Minoritie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Multilingual Matters
1998
[42]
문서
[43]
웹사이트
"Political construction sites: Nation-building in Russia and the post-Soviet States"
https://folk.uio.no/[...]
Westview press
2000
[44]
서적
"The Ethnic and Language Dimensions in Russian and Soviet Censuses"
Cornell Univ. Press
1986
[45]
서적
"Some Factors in the Linguistic and Ethnic Russification of Soviet Nationalities: Is Everyone Becoming Russian?"
Westview
1990
[46]
서적
Ethnic Relations in the USSR: The Perspective from Below
Allen & Unwin
1986
[47]
논문
"Social Mobilization and the Russification of Soviet Nationalities"
1974-03
[48]
서적
Murros: Suomalais-ugrilaiset kielet ja kulttuurit globalisaation paineessa
http://www.sgr.fi/uh[...]
2014-08-10
[49]
뉴스
Putin's Plan to Russify the Caucasus
https://www.foreigna[...]
2018-08-01
[50]
뉴스
Госдума приняла в первом чтении законопроект об изучении родных языков
https://ria.ru/socie[...]
2018-06-19
[51]
뉴스
Russian minorities fear for languages amid new restrictions
https://www.dw.com/e[...]
2017-12-05
[52]
웹사이트
A Common Language: Russia's 'Ethnic' Republics See Language Bill As Existential Threat
https://www.rferl.or[...]
2018-06-20
[53]
웹사이트
How Russian state pressure on regional languages is sparking civic activism in the North Caucasus
https://www.opendemo[...]
2018-05-31
[54]
뉴스
Тамерлан Камболов попросит Путина защитить осетинский язык
http://gradus.pro/ta[...]
2018-08-03
[55]
웹사이트
Кабардино-Балкария против законопроекта о добровольном обучении родным языкам.
http://zapravakbr.co[...]
2018-04-23
[56]
뉴스
Кумыки потребовали снять с повестки дня Госдумы законопроект о добровольном изучении языков
https://www.idelreal[...]
2018-05-10
[57]
뉴스
В Хасавюрте прошёл митинг в поддержку преподавания родного языка
https://www.idelreal[...]
2018-05-15
[58]
뉴스
Чеченские педагоги назвали факультативное изучение родного языка неприемлемым
http://www.kavkaz-uz[...]
2018-07-30
[59]
뉴스
Общественники Ингушетии: законопроект о языках – "циничная дискриминация народов"
https://www.kavkazr.[...]
2018-06-12
[60]
뉴스
Международная черкесская ассоциация призвала заблокировать закон о родных языках
http://www.kavkaz-uz[...]
2018-07-05
[61]
뉴스
Представители нацреспублик России назвали закон о родных языках антиконституционным
http://www.kavkaz-uz[...]
2018-07-01
[62]
웹사이트
Russian Scholar Dies From Self-Immolation While Protesting to Save Native Language
https://www.themosco[...]
2019-09-10
[63]
웹사이트
Man Dies After Self-Immolation Protest Over Language Policies in Russia's Udmurtia
https://www.rferl.or[...]
2019-09-10
[64]
웹사이트
Alexander Blinov: "In state structures, the Chuvash language most often performs a symbolic function"
https://m.realnoevre[...]
2022-06-10
[65]
뉴스
Живой на бумаге
https://www.kavkazr.[...]
[66]
웹사이트
Kremlin denies Russia constitution rewrite is Putin power grab
https://www.ft.com/c[...]
2020-03-10
[67]
웹사이트
Russian Lawmakers Adopt Putin's Sweeping Constitutional Amendments
https://www.themosco[...]
2020-03-11
[68]
웹사이트
Putin proposes gay marriage constitutional ban in Russia
https://thehill.com/[...]
2020-03-03
[69]
웹사이트
Amendment to state-forming people faces criticism in the North Caucasus
https://www.kavkaz-u[...]
2020-03-11
[70]
웹사이트
"We are again foreigners, but now officially." Amendment to the constituent people
https://www.idelreal[...]
2020-03-10
[71]
웹사이트
Who to benefit from 'Russian article' in the Constitution?
https://realnoevremy[...]
2020-03-05
[72]
웹사이트
Малофеев объяснил, что такое государствообразующий народ
https://360tv.ru/new[...]
2020-03-04
[73]
웹사이트
Почему русские — государствообразующий народ
https://nstarikov.ru[...]
2020-06-26
[74]
간행물
ГОСУДАРСТВООБРАЗУЮЩИЙ НАРОД: ПРАВОВЫЕ И НРАВСТВЕННЫЕ АСПЕКТЫ КОНСТИТУЦИОННОЙ ТЕРМИНОЛОГИИ
https://vestnik-muiv[...]
2021
[75]
웹사이트
There are almost a quarter fewer Maris in Russia
https://mariuver.com[...]
2023-01-04
[76]
웹사이트
Since 2010, the number of Chuvash in Russia has decreased by 25%, and the number of Udmurts has decreased by 30%.
https://www.idelreal[...]
2023-01-03
[77]
웹사이트
In Russia, there are 40% fewer Komi-Permyaks, 35% fewer Mordovians (Erzya and Moksha), 30% fewer Udmurts, and more than 20% fewer Chuvash and Mari
https://www.idelreal[...]
2023-01-05
[78]
웹사이트
Rosstat: From 2010 to 2021, There are One Million Fewer Ukrainians in Russia.
https://nazaccent.ru[...]
2023-01-05
[79]
서적
Russia at War: From the Mongol Conquest to Afghanistan, Chechnya, and Beyond ...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12-02
[80]
웹사이트
Baku and the Germans: 1885–1887 years
http://www.window2ba[...]
[81]
웹사이트
education system in Azerbaijan
http://revolution.al[...]
[82]
웹사이트
Azerbaijan in the second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http://www.azerbemba[...]
[83]
문서
«A Year of Rule by the Popular Front of Azerbaijan». Yaacov Ro'i (ed.). Muslim Eurasia: Conflicting Legaies. Routledge, 1995; p. 153
[84]
문서
capital, a city or village. Results of urbanization in a separate taken in the South Caucasus republic.
http://demoscope.ru/[...]
[85]
문서
«The solar plexus" of Eurasia.
http://dergachev.ru/[...]
[86]
문서
Azerbaijan lost Nasiba Zeynalova
http://www.bakupages[...]
[87]
문서
Ethnic and migration processes in the post-Soviet Azerbaijan
http://chairs.stavsu[...]
[88]
문서
Muslims of the Soviet Empire
https://books.google[...]
[89]
웹사이트
О русском языке в Белоруссии
https://cyberleninka[...]
[90]
뉴스
Belarus has an identity crisis
https://www.opendemo[...]
openDemocracy
[91]
문서
Belarusian Identity: the Impact of Lukashenka’s Rule
https://belarusdiges[...]
[92]
뉴스
Галоўная бяда беларусаў у Беларусі — мова
http://novychas.by/h[...]
Novy Chas
[93]
뉴스
Аляксандар Русіфікатар
https://nn.by/?c=ar&[...]
Nasha Niva
[94]
문서
About the process of Sovietization/Russification, see Andreas Kossert: 'Ostpreußen: Geschichte und Mythos' (East Prussia: History and Myth). Siedler, Munich 2005, ISBN 3-88680-808-4, pp. 331–348.
[95]
서적
Russification in the Baltic Provinces and Finlan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96]
서적
Russification in the Baltic Provinces and Finlan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97]
서적
Language Policy in the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3
[98]
간행물
The Rebellious Republic: The 1958 Education Reform and Soviet Latvia
https://www.lvi.lu.l[...]
University of Latvia
2016
[99]
뉴스
Protest on Soviet laid to Latvians
https://www.nytimes.[...]
1972-02-27
[100]
웹사이트
The 17 Latvian Communist Protest Letter
http://www.letton.ch[...]
[101]
서적
Poland: a history
https://books.google[...]
Harper Press
2009
[102]
서적
The History of the Baltic State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103]
서적
When Nationalism Began to Hate: Imagining Modern Politics in Nineteenth-Century Poland
http://history.lsa.u[...]
Oxford University Press
[104]
서적
A History of Eastern Europe: Crisis and Change
Routledge
1998
[10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aboutbook[...]
[106]
서적
'"Rosyjski Ulster". Kwestia chełmska w polityce imperialnej Rosji w latach 1863–1915'
https://www.academia[...]
KUL
2013
[107]
서적
Ion Nistor / Istoria Basarabiei. Editie si studiu bio-bibliografic de Stelian Neagoe / Bucuresti, Editura HUMANITAS, 1991
[108]
웹사이트
Short History of the Cyrillic Alphabet – Ivan G. Iliev – IJORS International Journal of Russian Studies
http://www.ijors.net[...]
[109]
웹사이트
Rights Group: Ukrainian Language Near Banished In Donbas Schools
https://www.rferl.or[...]
2019-09-15
[110]
웹사이트
Портрет электоратов Ющенко и Януковича
http://www.analitik.[...]
2019-09-15
[111]
웹사이트
島名のロシア化に反対 北方領土住民「クナシルで育った」
https://web.archive.[...]
[112]
웹사이트
時論公論 「ロシア化進む北方領土」
http://www.nhk.or.jp[...]
[113]
웹사이트
北方領土のロシア化を止めよ
https://www.nikkei.c[...]
[114]
문서
Півторак 2001:134
[115]
웹사이트
Сон
http://users.i.com.u[...]
Тарас Шевченко. Зібрання творів: У 6 т. — К., 2003. — Т. 1: Поезія 1837-1847
[116]
문서
Півторак 2001:135
[117]
웹사이트
Сборник русского исторического общества. — 1871. — Выпуск 7. — С. 348.
http://yakovkrotov.i[...]
[118]
문서
Півторак 2001:136
[119]
문서
中井 1998:234-236
[120]
문서
中井 1998:239-240
[121]
문서
中井 1998:240-242
[122]
문서
Півторак 2001:137
[123]
문서
Півторак 2001:140
[124]
문서
Півторак 2001:141
[125]
문서
Півторак 2001:142
[126]
문서
Півторак 2001:143
[127]
문서
Півторак 2001:144
[128]
문서
Півторак 2001:145
[129]
문서
Півторак 2001:146
[130]
문서
Півторак 2001:146
[131]
문서
Півторак 2001:147
[132]
문서
Півторак 2001:148
[133]
문서
Півторак 2001:149
[134]
웹사이트
Школы "ДНР": как изучают украинскую историю и язык?
https://web.archive.[...]
[135]
웹사이트
Искоренить идентичность: как из крымских школ выдавливают украинский язык
https://web.archive.[...]
[136]
웹사이트
В Крыму не осталось ни одной школы с обучением на украинском языке – правозащитники
https://web.archive.[...]
[137]
웹사이트
Лінгвоцидна стратегія Кремля: у Росії хочуть «регулювати норми української мови» аж до злиття
https://language-pol[...]
[138]
웹사이트
Росіяни хочуть скасувати українську мову, літературу та історію у школах під окупацією
https://web.archive.[...]
[139]
웹사이트
Змушують вчити російською». На півдні України військові РФ полюють на освітян
https://web.archive.[...]
[140]
웹사이트
В Мелітополі окупанти нищать книги з історії України
https://m.censor.net[...]
[141]
웹사이트
Окупанти спалюють на ТОТ українські книги в котельнях
https://sprotyv.mod.[...]
[142]
웹사이트
Собственноручное наставление Екатерины II князю Вяземскому при вступлении им в должность генерал-прокурора (1764 года)
https://archive.org/[...]
[143]
문헌
Краіна Беларусь. Вялікае Княства Літоўскае (2012)
[144]
문헌
Гістарычны шлях беларускай нацыі і дзяржавы
[145]
문서
Дакументы і матэрыялы па гісторыі Беларусі
Менск
1940
[146]
웹사이트
Нацыянальнае пытанне і палітыка царскага ўраду ў Беларусі (канец XVIII — першая палова ХIХ ст.)
https://web.archive.[...]
2000
[147]
웹사이트
Эвалюцыя расейскай урадавай палітыкі адносна земляў Беларусі (1772—1863 г.)
https://web.archive.[...]
2002
[148]
뉴스
Жывая крыніца ты, родная мова
https://web.archive.[...]
Народная Воля
2008-05-01
[149]
서적
"«Украинский вопрос» в политике властей и русском общественном мнении (вторая половина XIХ века)"
Алетейя
[150]
문헌
Як беларусы змагаліся супраць расейскага панавання?
[151]
웹사이트
Дзесяць вякоў беларускай гісторыі (862―1918): Падзеі. Даты. Ілюстрацыі.
http://knihi.com/Ula[...]
Наша Будучыня
1999
[152]
문헌
Гісторыя Беларусі (у кантэксьце сусьветных цывілізацыяў)
[153]
웹사이트
Дзесяць вякоў беларускай гісторыі (862―1918): Падзеі. Даты. Ілюстрацыі.
http://knihi.com/Ula[...]
Наша Будучыня
1999
[154]
문헌
Гісторыя Беларусі (у кантэксьце сусьветных цывілізацыяў)
[155]
문헌
Гісторыя Беларусі (у кантэксьце сусьветных цывілізацыяў)
[156]
뉴스
У менскім праваслаўным храме маліліся за Мураўёва-вешальніка — упершыню за сто гадоў
https://www.svaboda.[...]
Радыё Свабода
2016-11-23
[157]
문헌
Гістарыяграфія гісторыі Беларусі
[158]
문헌
Гісторыя Беларусі (у кантэксьце сусьветных цывілізацыяў)
[159]
문헌
Краіна Беларусь. Вялікае Княства Літоўскае (2012)
[160]
문헌
Русіфікацыя: царская, савецкая, прэзыдэнцкая (2010)
[161]
웹사이트
Прадмова да «літоўскага» нумару
https://web.archive.[...]
2009
[162]
문헌
Даведнік Маракова
[163]
웹사이트
Занядбаная старонка правапісу: прапановы пісаньня прыназоўніка у/ў перад словамі, што пачынаюцца з галоснай
https://web.archive.[...]
2003
[164]
웹사이트
Тэрапія альтэрнатывай, або Беларусь, уяўленая інакш
https://web.archive.[...]
2004
[165]
간행물
Старадаўняя пісьменнасць і палескія гаворкі
http://mowaznaustwa.[...]
2001
[166]
웹사이트
Нельга забі(ы)ць
https://zviazda.by/b[...]
[167]
웹사이트
Памерла беларуская патрыётка Алеся Фурс. У маладосці яна атрымала 25 гадоў лагера за "Пагоню"281
https://web.archive.[...]
[168]
뉴스
Местные бабушки плакали: "Оставьте нам церковь". Деревянные храмы Беларуси, которые нужно увидеть
https://web.archive.[...]
TUT.BY
2018-03-12
[169]
문헌
Дзевяноста пяты (2015)
[170]
서적
Unknown Mongolia: a record of travel and exploration in north-west Mongolia and Dzungaria, Volume 2
https://books.google[...]
Lippincott
2011-05-29
[171]
웹사이트
Belarus has an identity crisis
https://www.opendemo[...]
openDemocracy
[172]
웹사이트
Belarusian Identity: the Impact of Lukashenka’s Rule
https://belarusdiges[...]
Ostrogorski Centre, BelarusDigest
2013-12-09
[173]
웹사이트
Галоўная бяда беларусаў у Беларусі — мова
http://novychas.by/h[...]
Novy Chas
[174]
웹사이트
Аляксандар Русіфікатар
https://nn.by/?c=ar&[...]
Nasha Niva
[175]
뉴스
«Беларусь паўстала, і цяпер беларусы самі пад акупацыяй»
https://novychas.onl[...]
Новы час
2022-02-25
[176]
서적
Краіна Беларусь. Вялікае Княства Літоўскае (2012)
[177]
서적
Гістарычны шлях беларускай нацыі і дзяржавы
[178]
문서
Дакументы і матэрыялы па гісторыі Беларусі
Менск
1940
[179]
간행물
Нацыянальнае пытанне і палітыка царскага ўраду ў Беларусі (канец XVIII — першая палова ХIХ ст.)
https://web.archive.[...]
Беларускі Гістарычны Агляд
2000
[180]
간행물
Эвалюцыя расейскай урадавай палітыкі адносна земляў Беларусі (1772—1863 г.)
https://web.archive.[...]
Гістарычны Альманах
2002
[181]
뉴스
Жывая крыніца ты, родная мова
https://web.archive.[...]
Народная Воля
2008-05-01
[182]
서적
Як беларусы змагаліся супраць расейскага панавання?
[183]
서적
Дзесяць вякоў беларускай гісторыі
http://knihi.com/Ula[...]
«Наша Будучыня»
1999
[184]
서적
Гісторыя Беларусі (у кантэксьце сусьветных цывілізацыяў)
[185]
서적
Гісторыя Беларусі (у кантэксьце сусьветных цывілізацыяў)
[186]
서적
Мова ў гісторыі беларускага пісьменства
http://pawet.net/lib[...]
Клыўлэнд
1978
[187]
서적
Дзесяць вякоў беларускай гісторыі (1997)
[188]
서적
Гісторыя Беларусі (у кантэксьце сусьветных цывілізацыяў)
[189]
뉴스
У менскім праваслаўным храме маліліся за Мураўёва-вешальніка — упершыню за сто гадоў
https://www.svaboda.[...]
Радыё Свабода
2016-11-23
[190]
서적
Гістарыяграфія гісторыі Беларусі
[191]
서적
Гісторыя Беларусі (у кантэксьце сусьветных цывілізацыяў)
[192]
서적
Краіна Беларусь. Вялікае Княства Літоўскае (2012)
[193]
서적
Русіфікацыя: царская, савецкая, прэзыдэнцкая (2010)
[194]
간행물
Прадмова да «літоўскага» нумару
https://web.archive.[...]
Arche
2009
[195]
서적
Даведнік Маракова
[196]
간행물
Занядбаная старонка правапісу: прапановы пісаньня прыназоўніка у/ў перад словамі, што пачынаюцца з галоснай
https://web.archive.[...]
Arche
2003
[197]
간행물
Тэрапія альтэрнатывай, або Беларусь, уяўленая інакш
https://web.archive.[...]
Arche
2004
[198]
간행물
Старадаўняя пісьменнасць і палескія гаворкі
http://mowaznaustwa.[...]
Беларуская лінгвістыка
2001
[199]
웹사이트
Нельга забі(ы)ць
https://zviazda.by/b[...]
[200]
웹사이트
Памерла беларуская патрыётка Алеся Фурс. У маладосці яна атрымала 25 гадоў лагера за "Пагоню"281
https://web.archive.[...]
[201]
뉴스
Местные бабушки плакали: "Оставьте нам церковь". Деревянные храмы Беларуси, которые нужно увидеть
https://web.archive.[...]
TUT.BY
2018-03-12
[202]
서적
Дзевяноста пяты (2015)
[203]
웹인용
Rights Group: Ukrainian Language Near Banished In Donbas Schools
https://www.rferl.or[...]
2019-09-15
[204]
웹사이트
XVII ст
https://web.archive.[...]
[205]
웹사이트
XIVЯК МОСКВА ЗНИЩИЛА ВОЛЮ ДРУКУ КИЄВО-ПЕЧЕРСЬКОЇ ЛАВРИ
http://litopys.org.u[...]
[206]
웹사이트
Собственноручное наставление Екатерины II князю Вяземскому при вступлении им в должность генерал-прокурора (1764 года)
https://archive.org/[...]
[207]
웹사이트
ВАЛУЄВСЬКИЙ ЦИРКУЛЯР
http://resource.hist[...]
[208]
웹사이트
Ювілей Т.Г. Шевченка і студентські заворушення в Києві 100 років тому
https://kpi.ua/shevc[...]
[209]
서적
Українська література ХХ століття: навч.-метод. посіб. для студентів 2-го курсу, які навчаються за спец. 035 — Філологія (заоч. форма)
Вид-во НУА
2018
[210]
영상
Червоний ренесанс. Фільм третій: Безодня (1930—1934)
Кіностудія «Контакт»
2004
[211]
서적
Розстріляне відродження: Антологія 1917—1933
http://fmm51.org.ua/[...]
Смолоскип
2004
[212]
웹사이트
Безодня української печалі…
http://www.sbu.gov.u[...]
Жулинський Микола Григорович
[213]
기타
'"Червоний ренесанс". Фільм третій: Безодня (1930—1934)'
Кіностудія «Контакт»
2004
[214]
웹사이트
…З порога смерті…: Письменники України — жертви сталінських репресій.
http://ukrlife.org/m[...]
Київ
1991
[215]
웹사이트
Школы "ДНР": как изучают украинскую историю и язык?
https://web.archive.[...]
[216]
웹사이트
Искоренить идентичность: как из крымских школ выдавливают украинский язык
https://web.archive.[...]
[217]
웹사이트
В Крыму не осталось ни одной школы с обучением на украинском языке – правозащитники
https://web.archive.[...]
[218]
웹사이트
Лінгвоцидна стратегія Кремля: у Росії хочуть «регулювати норми української мови» аж до злиття
https://language-pol[...]
[219]
웹사이트
Росіяни хочуть скасувати українську мову, літературу та історію у школах під окупацією
https://web.archive.[...]
[220]
웹사이트
Змушують вчити російською». На півдні України військові РФ полюють на освітян
https://web.archive.[...]
[221]
웹사이트
В Мелітополі окупанти нищать книги з історії України
https://m.censor.net[...]
[222]
웹사이트
Окупанти спалюють на ТОТ українські книги в котельнях
https://sprotyv.mo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