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치 격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치 격자는 24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 정의되는 독특한 격자이다. 이 격자는 유니모듈러 격자, 짝 유니모듈러 격자이며, 모든 0이 아닌 벡터의 길이가 2 이상이라는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리치 격자는 196,560개의 이웃에 접하는 단위 구의 최대 개수를 가지는 배열을 형성하며, 이는 구 덮개 문제와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리치 격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자기동형군은 콘웨이 군 Co0이다. 리치 격자는 오류 정정 부호, 신호 처리, 끈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재군 - 괴물군 (수학)
    괴물군은 1970년대에 예측되고 1980년에 증명된 유한 단순군으로, 26개의 산재 단순군 중 20개를 부분 몫으로 포함하며 196,883차원의 복소수 표현을 갖는다.
  • 산재군 - 마티외 군
    마티외 군은 슈타이너 계를 통해 정의되며, 대칭군의 부분군으로 나타낼 수 있고 다중 추이 순열군의 중요한 예시이며, 에밀 마티외에 의해 발견된 산재군 중 최초의 군이다.
  • 격자점 - 역격자
    역격자는 브라베 격자의 쌍대 개념으로, 해당 격자의 모든 벡터와의 내적이 정수가 되는 벡터들의 집합으로 정의되며, 결정 구조 분석 및 블로흐 정리와 관련된 브릴루앙 영역 연구에 활용되는 또 다른 브라베 격자이다.
  • 격자점 - 아이젠슈타인 정수
    아이젠슈타인 정수는 1의 원시 세제곱근 ω를 사용하여 a + bω 꼴로 나타낼 수 있는 대수적 정수이며, 유클리드 정역을 이루어 유일 소인수분해를 갖는다.
  • 이차 형식 - 밀너 환
    밀너 환은 체 위의 가역원군으로 정의되는 등급환으로, 각 등급 성분인 밀너 K군은 대수적 K-이론, 고차 류체론, 갈루아 코호몰로지, 에탈 코호몰로지, 이차 형식 등 여러 수학 분야와 연결되는 심오한 추측들과 연관된다.
  • 이차 형식 - 클리퍼드 대수
    클리퍼드 대수는 가환환 위의 가군과 이차 형식으로부터 정의되는 단위 결합 대수로서, 보편 성질이나 텐서 대수의 몫대수를 통해 정의 및 구성되며, 물리학, 컴퓨터 비전, K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는 대수적 구조이다.
리치 격자
리치 격자 정보
유형격자
차원24차원
속성짝수 유니모듈러 격자
대칭군Co1 (콘웨이 그룹)
최소 제곱 길이4
킬링 넘버0
키스 넘버196,560
역사
명명 유래존 리치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설명
특징24차원 공간에서 가장 촘촘하게 채워진 격자 중 하나임
관련성구 패킹 문제와 관련됨
응용
활용 분야암호학
부호 이론
수학
물리학

2. 특성화

리치 격자 Λ24는 24차원 유클리드 공간 '''R'''24에서 다음 세 가지 성질을 만족하는 유일한 격자이다.


  • 유니모듈러 격자이다. 즉, 행렬식이 1인 24 × 24 행렬의 열벡터로 생성될 수 있다.
  • 짝 유니모듈러 격자이다. 즉, Λ24에 속한 각 벡터 길이의 제곱은 짝수이다.
  • Λ24의 0이 아닌 모든 벡터의 길이는 2 이상이다.


마지막 조건은 Λ24의 각 점을 중심으로 하는 단위구가 서로 겹치지 않는다는 조건과 같다. 콘웨이(1983)는 리치 격자가 26차원 짝수 로렌츠 유니모듈러 격자 II25,1의 단순 근(또는 Dynkin diagram) 집합과 등거리임을 보였다.

2. 1. 추가 특성

리치 격자는 24차원에서 단위 구의 가장 조밀한 배열을 나타낸다. 각 단위 구는 196,560개의 다른 단위 구와 접촉하며, 이는 24차원에서 가능한 최대 접촉 수이다. 이 배열은 매우 효율적이어서 구를 움직일 공간이 없을 정도이다. 이 구성과 그 거울상은 196,560개의 단위구가 동시에 서로 접촉하는 유일한 24차원 배열이다. 이러한 성질은 정수 격자, 육각형 타일링, E8 격자를 기반으로 하는 1, 2, 8차원에서도 각각 2, 6, 240개의 단위구가 접촉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리치 격자는 근(root)이 없는 최초의 유니모듈러 격자이다. 즉, 노름이 4 미만인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다.[1]

3. 구성

리치 격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모든 격자와 마찬가지로, 행렬식이 1인 24 × 24 생성 행렬의 열벡터의 정수 생성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2]

이진 골레이 부호를 사용하거나, 26차원 짝수 유니모듈 격자 II25,1의 바일 벡터를 이용하는 방법도 존재한다.[2] 니마이어 격자나 E8 격자 세 개의 복사본을 사용하는 튜린(Turyn) 구성 등, 다른 격자들을 기반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2] 아이젠슈타인 정수에 대한 12차원 격자로 구성하여 '''복소 리치 격자'''를 만들 수도 있는데, 이 때는 삼진 골레이 부호와 마티외 군 M12를 사용한다.[2]

그 외에도, 아이코시안 고리, 아다마르 행렬, 페일리 행렬, Z_4 링에 대한 고차 멱잉여 코드, 팔원수 등을 이용한 구성 방법이 있다.[2]

3. 1. 생성 행렬

리치 격자는 모든 격자와 마찬가지로 행렬식이 1인 24×24 생성 행렬의 열벡터의 정수 생성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2] 리치 격자의 24×24 생성 행렬(행 표기법)은 다음 행렬을 \sqrt{8}로 나눈 것이다.

800000000000000000000000
440000000000000000000000
404000000000000000000000
400400000000000000000000
400040000000000000000000
400004000000000000000000
400000400000000000000000
222222220000000000000000
400000004000000000000000
400000000400000000000000
400000000040000000000000
222200002222000000000000
400000000000400000000000
220022002200220000000000
202020202020202000000000
200220022002200200000000
400000000000000040000000
202020022200000022000000
200222002020000020200000
220020202002000020020000
022220002000200020002000
000000002200220022002200
000000002020202020202020
-311111111111111111111111


3. 2. 이진 골레이 부호

이진 골레이 부호를 사용하여 리치 격자를 구성할 수 있다.[2] 이 방법은 리치 격자의 최소 벡터 196,560개를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리치 격자(L mod 8)는 다음 세 집합의 조합으로 직접 구성할 수 있다.

L = (4B + C) \otimes {1_{2^{12}}} + {1_{2^{24}}} \otimes 2G ({1_{n}}은 크기가 n인 1 벡터이다)

  • G: 24비트 골레이 코드
  • B: 이진 정수 시퀀스
  • C: 투에-모르스 수열 또는 정수 비트 패리티 합 (격자의 키랄성을 제공)


24비트 골레이 코드 (G)24비트 정수 (B)패리티 (C)리치 격자 (L)
00000000 00000000 0000000000000000 00000000 00000000000000000 00000000 00000000
11111111 00000000 0000000010000000 00000000 00000000122222222 00000000 00000000
11110000 11110000 0000000001000000 00000000 00000000122220000 22220000 00000000
00001111 11110000 0000000011000000 00000000 000000000...
11001100 11001100 0000000000100000 00000000 00000000151111111 11111111 11111111
00110011 11001100 0000000010100000 00000000 00000000073333333 11111111 11111111
00111100 00111100 0000000001100000 00000000 000000000...
11000011 00111100 0000000011100000 00000000 00000000115111111 11111111 11111111
10101010 10101010 0000000000010000 00000000 00000000137333333 11111111 11111111
01010101 10101010 0000000010010000 00000000 000000000...
01011010 01011010 0000000001010000 00000000 00000000044000000 00000000 00000000
10100101 01011010 0000000011010000 00000000 00000000166222222 00000000 00000000
............
11111111 11111111 1111111111111111 11111111 11111111066666666 66666666 66666666


3. 3. 로렌츠 격자 II25,1

26차원 짝수 유니모듈 격자 II25,1의 바일 벡터를 이용하여 리치 격자를 구성할 수 있다.[2] 이 구성에서 사용되는 바일 벡터 ''w''는 다음과 같다.

:(0,1,2,3,\dots,22,23,24; 70)

이 벡터는 로렌츠 노름이 0인 정수 벡터인데, 이는 12 + 22 + ... + 242가 완전 제곱수 (702)라는 사실 덕분이다. 24는 이러한 속성을 가진 1보다 큰 유일한 정수이다(대포알 문제 참조). 이 사실은 에두아르 루카스에 의해 추측되었지만, 증명은 훨씬 나중에 타원 함수를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이 구성에서의 벡터 (0,1,2,3,\dots,22,23,24)는 실제로 홀수 유니모듈 격자 ''I''25의 짝수 부분 격자 ''D''24의 바일 벡터이다.

3. 4. 다른 격자 기반 구성

니마이어 격자나 E8 격자 세 개의 복사본을 사용하는 튜린(Turyn) 구성 등, 다른 격자들을 기반으로 리치 격자를 구성하는 방법도 존재한다.[2] 이러한 구성 방법들은 컨웨이와 슬론이 1982년에 발표한 연구에서 찾을 수 있다.

3. 5. 복소 격자

리치 격자는 아이젠슈타인 정수에 대한 12차원 격자로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복소 리치 격자'''라고 한다.[2] 이 경우 이진 골레이 부호 대신 삼진 골레이 부호를, 마티외 군 M24 대신 마티외 군 M12를 사용한다.

3. 6. 기타 구성 방법

리치 격자는 행렬식이 1인 24 × 24 생성 행렬의 열벡터의 정수 생성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2] 이 외에도, 아이코시안 고리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데, 아이코시안 고리는 추상적으로 E8 격자와 동형이며, 그 사본 3개를 터린 구성을 사용하여 리치 격자를 구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1972년 비트는 ''H''가 ''n'' x ''n'' 아다마르 행렬이고, 여기서 ''n''=4''ab''라고 가정한 후, 행렬 \begin{pmatrix} Ia&H/2\\H/2&Ib\end{pmatrix}는 2''n'' 차원에서 쌍선형 형식을 정의하며, 이 형식의 커널은 ''n'' 차원을 갖는다는 구성을 제시하였다. 이 형식은 지수 2인 3개의 부분 격자를 가지며, 이 부분 격자들은 정수 쌍선형 형식이다. 비트는 ''a''=2, ''b''=3으로 놓고, ''H''를 Χ(''m''+''n'') 항목을 가진 24 x 24 행렬('''Z'''/23'''Z''' ∪ ∞에 의해 인덱싱)로 설정하여 이 세 개의 부분 격자 중 하나로 리치 격자를 얻었다. 여기서 Χ(∞)=1, Χ(0)=−1, Χ(''n'')은 0이 아닌 ''n''에 대한 23을 법으로 하는 2차 잔여 기호이다. 이 행렬 ''H''는 약간의 사소한 부호 변화가 있는 페일리 행렬이다.

채프먼은 팔레이 형의 비대칭 하다마르 행렬을 사용한 구성을 설명했다.

근계가 D_{24}인 니마이어 격자는 체 \mathbb{Q}(\sqrt{-23})의 정수환에 대한 모듈로 만들 수 있다. 이 니마이어 격자에 정수환의 비주요 아이디얼을 곱하면 리치 격자가 생성된다.

라지는 링 Z_4에 대한 고차 멱잉여 코드를 사용하여 리치 격자를 구성했다. 유사한 구성을 사용하여 랭크 24의 다른 격자 중 일부를 구성한다.

만약 ''L''이 E_8 E8 격자의 좌표를 가진 팔원수 집합이라면, 리치 격자는 다음과 같은 세 쌍 (x,y,z)의 집합이다.

:x,y,z \in L

:x+y, y+z, x+z \in L\bar{s}

:x+y+z \in Ls

여기서 s= \frac 1 2 (-e_1 + e_2 + e_3 + e_4 + e_5 + e_6 + e_7)이다. 이 구성은 윌슨에 의해 제시되었다.

4. 대칭

리치 격자는 매우 높은 대칭성을 갖는다. 그 자기동형군은 콘웨이 군 Co0이다.

4. 1. 자기동형군

리치 격자의 자기동형군은 콘웨이 군 Co0이며, 그 위수는 8,315,553,613,086,720,000이다. Co0의 중심은 크기가 2인 부분군이며, Co0를 이 중심 부분군으로 나눈 몫군은 유한 단순군인 콘웨이 군 Co1이다. 나머지 콘웨이 군 및 마티외 군 등 많은 산재군은 리치 격자의 다양한 부분집합의 안정자로서 구성될 수 있다.

리치 격자는 높은 회전 대칭군을 가지지만, 반사 대칭의 초평면은 가지고 있지 않아 키랄하다.[1] 또한 24차원 초입방체와 단체, 또는 세 개의 E8 격자 복사본의 데카르트 곱보다 훨씬 적은 대칭을 가지고 있다.

존 콘웨이가 처음 자기동형군을 설명했다.[1] 노름 8의 398,034,000개의 벡터는 48개의 벡터로 이루어진 8,292,375개의 '십자'로 나뉜다.[1] 각 십자에는 24개의 서로 직교하는 벡터와 그 반대 벡터가 포함되어 있으며, 24차원 정교포체의 꼭짓점을 설명한다. 각 십자는 격자의 좌표계로 간주될 수 있으며, 골레이 부호와 동일한 대칭(212 × |M24|)을 가진다. 따라서 리치 격자의 전체 자기동형군의 차수는 8,292,375 × 4,096 × 244,823,040, 즉 8,315,553,613,086,720,000이다.[1]

4. 2. 산재군

콘웨이 군 Co0, Co1마티외 군 등 많은 산재군은 리치 격자의 다양한 부분집합의 안정자로 구성될 수 있다.

4. 3. 키랄성

리치 격자는 반사 대칭을 갖지 않는다. 즉, 리치 격자는 키랄하다. 또한 24차원 초입방체단체보다 훨씬 적은 대칭을 가지고 있다.

5. 기하학

콘웨이, 파커, 슬론은 리치 격자의 커버링 반경이 \sqrt 2임을 보였다. 즉, 각 격자점을 중심으로 반지름 \sqrt 2인 닫힌 공들을 놓으면 24차원 유클리드 공간 전체를 덮는다. 모든 격자점에서 거리가 최소 \sqrt 2인 점을 리치 격자의 '''''딥 홀'''''이라고 부른다. 딥 홀은 리치 격자를 제외한 23개의 니마이어 격자와 관련되어 있다. 딥 홀의 정점 집합은 해당 니마이어 격자의 아핀 딩킨 다이어그램과 등거리이다.

리치 격자의 밀도는 \tfrac{\pi^{12}}{12!}\approx 0.001930이다. 콘, 쿠마르는 2009년에 리치 격자가 24차원 공간에서 가장 조밀한 격자 공 덮개를 제공한다는 것을 보였고, 2017년에는 비격자 덮개에서도 가장 조밀한 구 덮개임을 보였다.

5. 1. 최소 벡터

Leech lattice영어는 196,560개의 최소 벡터를 가지며, 이들은 다음 세 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형태개수
(42,022)1104 = \binom {24}{2} \cdot 2^2 (모든 순열과 부호 선택 가능)
(28,016)97152 = 759 \cdot 2^8 \cdot \frac {1}{2} (2는 골레이 코드의 옥타드에 해당, 음수 부호는 짝수 개)
(∓3,±123)98304 = 2^{12} \cdot 24 (아래쪽 부호는 골레이 코드의 모든 부호어의 1에 사용, ∓3은 어느 위치에든 가능)


6. 세타 함수

리치 격자 Λ에는 다음의 세타 함수를 연관시킬 수 있다.

:\Theta_\Lambda(\tau) = \sum_{x\in\Lambda} e^{i\pi\tau\|x\|^2} \qquad \operatorname{Im} \tau > 0.

격자의 세타 함수는 상반평면에서 정칙 함수이다. 랭크가 ''n''인 짝수 유니모듈러 격자의 세타 함수는 가중치 ''n''/2의 모듈러 형식이다. 정수 격자의 세타 함수는 종종 q = e^{2i\pi\tau}의 거듭제곱 급수로 작성되며, ''q''''n''의 계수는 제곱 노름이 2''n''인 격자 벡터의 개수를 나타낸다. 리치 격자에는 제곱 노름이 4인 벡터가 196560개, 제곱 노름이 6인 벡터가 16773120개, 제곱 노름이 8인 벡터가 398034000개 등이 있다.

리치 격자의 세타 급수는 다음과 같다.

:

\begin{align}

\Theta_{\Lambda_{24}}(\tau) & = E_{12}(\tau)-\frac{65520}{691} \Delta(\tau) \\[5pt]

& = 1 + \sum_{m=1}^\infty \frac{65520}{691} \left(\sigma_{11} (m) - \tau (m) \right) q^m \\[5pt]

& = 1 + 196560q^2 + 16773120q^3 + 398034000q^4 + \cdots,

\end{align}



여기서 E_{12}(\tau)는 가중치 12의 정규화된 아이젠슈타인 급수이고, \Delta(\tau)는 모듈러 판별식이며, \sigma_{11}(n)는 지수 11에 대한 약수 함수이고, \tau(n)라마누잔 타우 함수이다. 따라서 ''m''≥1에 대해 제곱 노름이 2''m''인 벡터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 \frac{65520}{691} \left(\sigma_{11} (m) - \tau (m) \right)

7. 응용

이진 골레이 부호는 1949년에 개발된 부호 이론의 응용 분야 중 하나로, 보이저 탐사선과의 통신에 사용되었다.

양자화기, 즉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격자를 사용하여 평균 제곱근 평균 제곱 오차를 최소화하는데, 리치 격자는 보로노이 셀의 2차 모멘트가 낮아 이 문제에 대한 좋은 해결책이 된다.

24차원 토러스 '''R'''2424로 압축되고 2원소 반사 그룹으로 오비폴드된 보존적 끈 이론을 설명하는 2차원 컨포멀 장론의 정점 대수는 몬스터군을 자기 동형 그룹으로 갖는 그리스 대수의 명시적인 구성을 제공하며, 몬스트러스 문샤인 추측을 증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7. 1. 오류 정정 부호

1949년에 독자적으로 개발된 이진 골레 부호는 각 24비트 단어에서 최대 3개의 오류를 정정하고 4번째 워드를 검출할 수 있는 오류 정정 부호이다.[1] 이진 골레 부호는 이전에 사용된 아다마르 부호보다 훨씬 더 간결하기 때문에 보이저 탐사선과의 통신에 사용되었다.[1]

7. 2. 신호 처리

양자화기 또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는 격자를 사용하여 평균 제곱 평균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1] 대부분의 양자화기는 1차원 정수 격자를 기반으로 하지만, 다차원 격자를 사용하면 제곱 평균 오차가 줄어든다.[1] 리치 격자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의 두 번째 모멘트가 낮기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한 좋은 해이다.[1]

7. 3. 끈 이론

24차원 토러스(원환면) '''R'''2424로 압축되고 2원소 반사 그룹으로 오비폴드된 보존적 끈 이론을 설명하는 2차원 컨포멀 장론(등각장론)의 정점 대수(꼭짓점 대수)는 몬스터군을 자기 동형 그룹으로 갖는 그리스 대수의 명시적인 구성을 제공한다. 이 '''몬스터 정점 대수'''는 몬스트러스 문샤인(가공할 헛소리) 추측을 증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8. 역사

콕세터-토드 격자와 12차원 및 16차원의 바네스-월 격자는 리치 격자보다 훨씬 이전에 발견되었다.[1] 1944년에는 24차원에서 관련된 홀수 단일 모듈 격자인 "홀수 리치 격자"가 발견되었는데, 이 격자의 두 짝수 이웃 중 하나가 리치 격자이다.[1] 리치 격자는 1965년 존 리치가 발견했으며, 그는 이전에 발견한 구체 포장 방식을 개선했다.[1]

존 호턴 콘웨이는 리치 격자의 자기 동형 사상군의 차수를 계산했고, 존 G. 톰슨과 함께 작업하여 세 개의 새로운 산재군(콘웨이 군 Co1, Co2, Co3)을 발견했다.[2] 또한 하이그만-심스, 스즈키, 맥라플린, 얀코 군 J2가 리치 격자의 기하학을 사용하여 콘웨이 군 내에서 발견될 수 있음을 보였다.[2]

1941년에 24차원에서 10개 이상의 짝수 단일 모듈 격자를 발견했다는 언급이 있었지만, 더 자세한 내용은 밝혀지지 않았다. 1938년에 이 격자 중 9개를 먼저 발견했고, 1940년에 A241 근계가 있는 니에마이어 격자와 리치 격자(그리고 홀수 리치 격자)를 두 개 더 발견했다.

참조

[1] 서적 Sphere packings, lattices and groups https://archive.org/[...] Springer-Verlag
[2] 서적 Sphere packings, lattices and groups https://archive.org/[...] Springer-Verla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