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산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산선은 삼랑진과 마산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으로, 1904년 공사를 시작하여 1905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군용 철도로 부설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노선 통합 및 개칭 과정을 거쳐 경전선으로 편입되었다. 주요 역으로는 삼랑진역, 진영역, 창원역, 마산역 등이 있으며, 현재는 경전선 일부 구간으로 운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합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중앙선
    수도권 전철 중앙선은 경원선, 중앙선을 이용하여 용산에서 용문 구간을 운행했던 수도권 광역철도 노선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분리되어 독립 운행하다가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직결되면서 경의·중앙선으로 통합되었다.
  • 통합된 철도 노선 - 동해남부선
    일제강점기에 시작된 동해남부선은 부전에서 포항까지 이어지는 철도 노선으로, 표준궤로 개궤 및 동해본선으로 편입, 복선 전철화 사업을 통해 통근 교통 개선 및 화물 운송 기능이 강화되었다.
  • 190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190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용산선
    용산선은 1929년 용산역-가좌역 구간을 시작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일부로 운행되고 있으며, 용산역은 KTX 등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경원선
    경원선은 일제강점기에 개통된 서울과 원산을 잇는 철도 간선으로, 광복 후 남북 분단으로 인해 현재는 남한 구간만 운행 중이며, 남북 관계 개선에 따라 북한 구간 운행 재개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병점기지선
    병점기지선은 경기도 화성시 병점역과 오산시 서동탄역을 잇는 2.2km의 한국철도공사 노선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되며, 향후 동탄인덕원선 및 수도권고속철도와의 연결이 추진 중이다.
마산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명마산선
노선 종류간선 철도
노선 상태영업 중
노선경전선
노선 정보
기점마산역 (경상남도 창원시)
종점삼랑진역 (경상남도 밀양시)
역 수8개
개통일1905년 5월 26일
소유자한국철도시설공단
운영자한국철도공사
영업 거리42.1 km
궤간1435 mm(표준궤)
선로2개
전철화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신호ATS
영업 최고 속도150 km/h
기타 정보
낙동강철교 건설 장면 (1905년)
낙동강철교 건설 장면 (1905년)

2. 역사

1931년 4월 1일 경남선 마산-진주 구간이 국철에 매수되고 마산선과 통합되어 삼랑진-진주 구간이 경전남부선으로 개칭되기 전까지 마산선의 역사는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1902년~1903년영남지선철도회사에서 삼마철도(삼랑진-마산포) 부설권을 확보하였으나 일본에 의해 경부철도주식회사로 매도.
1904년 1월 3일경부철도주식회사 마산선 삼랑진 ∼ 마산포 공사 착수.
1904년 3월 12일마산선 노반공사 착공.
1904년 10월일제, 마산선을 군용철도로 부설 착수.
1905년 5월 13일진영역 개업.
1905년 5월 25일마산선 낙동강교(목교) 준공.
1905년 5월 26일마산선 삼랑진 - 마산포 간 직통 운행 개시.
1905년 10월마산선 전 구간 개통.
1910년 7월 1일구마산역 개업[1]
1918년 11월 16일한림정역 개업.
1922년 10월 16일덕산역 개업.
1927년 4월 1일마산역 개업.
1931년 4월 1일경남선 마산 ∼ 진주 구간이 국철에 매수되고 마산선과 통합되어 삼랑진 - 진주 구간이 경전남부선으로 개칭.



1956년 6월 14일 경전남부선은 진주선으로 개칭되었다.[2] 1968년 2월 7일 진주선, 광주선경전선에 편입되어 삼랑진~송정리 구간이 경전선으로 명명되었다.[2]

2. 1. 일제강점기

2. 2. 해방 이후

1931년 4월 1일 경남선 마산-진주 구간이 국철에 매수되고 마산선과 통합되어 삼랑진-진주 구간이 경전남부선으로 개칭되었다.[1] 1956년 6월 14일 경전남부선은 진주선으로 개칭되었다.[2] 1968년 2월 7일 진주선, 광주선경전선에 편입되어 삼랑진~송정리 구간이 경전선으로 명명되었다.[2]

3. 역 목록

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KTX새마을호무궁화호역간거리 (km)영업거리 (km)접속 노선소재지비고
삼랑진Samnangjin三浪津0.00.0경부선경상남도밀양시삼랑진읍
낙동강Nakdonggang洛東江1.71.7미전선무인역
한림정Hallimjeong翰林亭8.19.8김해시한림면
진영Jinyeong進永4.314.1진영읍
진례Jillye進禮3.918.0부산신항선진례면
창원중앙Changwonjungang昌原中央10.228.2창원시의창구 용동
창원Changwon昌原10.338.5진해선, 덕산선의창구 동정동
마산Masan馬山3.642.1마산임항선, 경남선마산회원구 석전동


4. 문제점 및 개선 방향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지시사항에 맞춰 수정하여 출력하겠습니다.)

참조

[1] 간행물 일본국관보 철도원 고시 제54호 http://dl.ndl.go.jp/[...] 1910-06-11
[2]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5호 대한민국 철도청 1968-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