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쓰다이라 노부쓰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쓰다이라 노부쓰나는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측근인 오코치 히사쓰나의 아들로 태어났다. 이에야스의 손자인 도쿠가와 이에미쓰를 섬기며 그의 신임을 얻었고, 뛰어난 정치적 능력으로 로주와 로주 수좌를 역임했다. 시마바라의 난 진압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가와고에번 번주를 거쳐 도쿠가와 이에쓰나를 보좌하며 에도 막부의 안정에 기여했다. 그는 행정 능력과 정치적 수완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인망은 부족했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코치씨 - 마쓰다이라 마사쓰나
    마쓰다이라 마사쓰나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긴 무장, 다이묘로, 재정 관리에 능력을 발휘하여 막부의 재정을 담당하고 닛코 도쇼구 조영에 헌신하며 닛코 삼나무 가로수길 조성에 기여했다.
  • 오코치씨 - 오코치 히데쓰나
    오코치 히데쓰나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 활약한 무장으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미카와, 토토미의 조세 관련 사무를 담당하고 무사시 고마군에서 대관으로 활약하다가 73세로 사망했다.
  • 오시번주 - 마쓰다이라 다다타카 (1801년)
    마쓰다이라 다다타카는 구와나번 번주의 장남으로 태어나 아버지 사후 번주가 되었고, 시노부번으로 전봉된 후 시지주에 임관했으며, 동생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한 에도 시대의 다이묘이다.
  • 오시번주 - 아베 다다아키
    아베 다다아키는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이자 다이묘, 막부의 로주로서 게이안의 변 이후 낭인 문제 해결과 사회 혼란 진정에 기여하고 마쓰다이라 노부츠나와 함께 막부 안정에 힘썼으며, 세키가하라 전투에 관한 역사서 『세키가하라 일기』를 편찬하여 사후 "호소카와 요리유키 이래의 집권"이라는 평을 받았다.
  • 가와고에번주 - 홋타 마사모리
    홋타 마사모리는 하급 무사 출신으로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유모 가스가노츠보네와의 인척 관계를 통해 로쥬까지 오른 다이묘로, 이에미쓰 사망 후 순사하여 충절의 상징으로 여겨지지만 출신 배경에 대한 논쟁 또한 존재하는 인물이다.
  • 가와고에번주 - 마쓰이 야스히데
    마쓰이 야스히데는 에도 시대 말기의 일본 무사로, 다나쿠라 번과 가와고에 번의 다이묘를 역임하고 외국 봉행, 유럽 사절단 참여 등 막부의 요직을 거쳐 로주에 임명되었으며, 보신 전쟁 이후 은퇴했다.
마쓰다이라 노부쓰나
기본 정보
이름마쓰다이라 노부쓰나
별명지혜 이즈
로마자 표기Matsudaira Nobutsuna
출생1596년12월 19일
사망1662년5월 4일
묘소사이타마현니자시노비토메의 헤이린지
계명쇼린인덴 간토쿠젠료 다이코지
관직
관위종5위 하, 이즈노카미, 종4위 하, 지주
막부에도 막부고쇼 → 고쇼구미 반가시라 → 로쿠닌슈 → 로주카쿠 → 로주 → 로주 수좌 → 로주
주군도쿠가와 이에미쓰이에쓰나
사가미국 내 → 무사시오시번 번주 → 무사시 가와고에번 번주
가문
씨족오코치 씨 → 나가사와 마쓰다이라 가문(오코치 마쓰다이라 가문)
부모아버지: 오코치 히사쓰나, 어머니: 후카이 요시히데의 딸, 양아버지: 마쓰다이라 마사쓰나
형제노부쓰나, 시게쓰나 (의제)
배우자정실: 이노우에 마사나리의 장녀
자녀데루쓰나, 요시쓰나, 이오리, 노부사다, 노부오키, 가타쓰나, 센만 (사카이 다다토모실), 가메 (도이 도시타카실), 히사미쓰 (아키모토 다다토모실), 타아, 모모 (마쓰우라 무네실), 하치
기타
개명초시로, 산주로 (유명) → 마사나가 → 노부쓰나

2. 일생

마쓰다이라 노부쓰나는 1596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측근인 오코치 히사쓰나의 아들로 태어나, 1601년 삼촌 마쓰다이라 마사쓰나의 양자가 되었다. 이후 도쿠가와 히데타다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소개된 후, 이에야스의 손자인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시종으로 발탁되어 그의 신임을 얻었으며, 지혜로운 인물로 평가받았다.

초기에는 하타모토였으나 점차 승진하여 1623년에는 伊豆守|이즈노카미일본어라는 관직을 받았고, 1633년에는 다이묘가 되어 오시 번의 영주가 되었다.

1637년부터 1638년까지 이어진 시마바라의 난에서는 초기 진압 책임자였던 이타쿠라 시게마사가 전사하자, 노부쓰나가 총지휘를 맡아 하라 성을 함락시키고 반란을 성공적으로 진압했다.

말년에는 호시나 마사유키 등 막부의 다른 고위 관리들과 함께 어린 나이에 즉위한 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쓰나를 보좌하며 막부 안정에 기여했다.

2. 1. 출생과 가계

게이초 원년(1596년) 10월 3일,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가신인 오코치 히사쓰나(오코치 히데쓰나의 아들)의 장남으로 무사시 국[42][2]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히사쓰나는 이나 다다쓰구 휘하의 대관으로서 고무로 진야(小室陣屋) 부근(사이타마현 기타아다치군 이나정 고무로)에 거주하고 있었기에, 이곳에서 태어났다는 설이 유력하다. 생모인 후카이씨는 시라이 나가오씨의 후예이며, 외할아버지 후카이 요시히데는 나가오 가게하루의 현손이다.

1601년에는 삼촌인 마쓰다이라 마사쓰나양자가 되었다.

2. 2. 양자 입적

게이초 6년(1601년)에 숙부인 마쓰다이라 우에몬노다이후 마사쓰나(松平右衛門大夫正綱)의 양자가 되었다.[3][43] 어느 날, 마사쓰나가 혼자 있을 때 당시 산주로(三十郎)라고 불리던 노부쓰나가 찾아와 "저는 대관의 아들이라는 신분이 아쉽습니다. 부디 저에게 성씨를 주시어 양자로 받아 주십시오."라고 간청했다.[43] 마사쓰나가 웃으며 "너는 아직 어린데 어째서 본명을 버리고 내 성씨를 원하는 것이냐?"라고 묻자, 노부쓰나는 "제 본명으로는 윗분(도쿠가와 이에야스)을 가까이 모시기 어렵습니다. 양자가 될 수 있다면 가까이 모실 기회가 생길지도 모릅니다."라고 대답했다.[43] 그의 비범함을 알아본 마사쓰나는 "네 바람대로 양자로 삼아 주겠다. 다만 네 친부모님께 먼저 말씀드리고 나서 이름을 받도록 해라."라고 허락했다.[43] 이 일이 성사되자 노부쓰나는 크게 기뻐하며 "오늘부터 나는 마쓰다이라 산주로(松平三十郎)다!"라고 외쳤다고 전해진다.[43]

2. 3.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측근

게이초 8년(1603년) 9월 3일, 도쿠가와 히데타다에게 봉사하게 되었고, 같은 해 11월 15일에는 양부 마사쓰나(正綱)를 따라 후시미성으로 가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처음으로 알현하였다.[4] 게이초 9년(1604년) 7월 17일, 히데타다의 적장자이자 후계자인 도쿠가와 이에미쓰가 태어나자, 노부쓰나는 7월 25일 이에미쓰의 시종(小姓)으로 임명되어 가까이서 그를 모시게 되었다.[4] 그는 이에미쓰의 큰 존경을 받았으며, 도쿠가와 정권 내에서 그의 현명함으로 명성이 높았다.

1623년에는 이에미쓰의 에도 상경을 수행하였고, 그 공으로 종3위하 이즈노카미(伊豆守)라는 관직명을 받았다.

2. 4. 로주 취임과 시마바라의 난 진압

간에이 10년(1633년) 5월 5일, 아베 타다아키, 홋타 마사모리 등과 함께 이에미쓰로부터 로주에 임명되었다.[11] 동시에 1만 5,000석을 추가로 받아 총 3만 석의 영주로서 무사시국 시노부 번으로 이봉되었고, 시노부 성 수비를 위한 병력도 받았다. 같은 해 5월부터 이노우에 마사시게 등과 함께 오미국, 오사카, 나라 등을 순시하며 행정 상황을 점검했다. 11월에는 도쿠가와 타다나가의 유배지를 정하기 위해 가즈사국 사누키를 순시하기도 했다. 로주로서 노부쓰나는 막부의 행정 체계 정비에 힘썼다. 간에이 11년(1634년)에는 '로주 직무 규칙'과 '와카도시요리 직무 규칙'을 제정했고, 간에이 12년(1635년)에는 지샤부교, 간조부교, 루스이 등의 직제를 정비하고 월번제를 도입하여 쇼군 중심의 효율적인 행정 체계를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간에이 13년(1636년)에는 조선통신사의 닛코 참배 시 총 책임자 역할을 수행했다.

간에이 14년(1637년) 10월 말, 히젠국 시마바라히고국 아마쿠사 지역에서 기리시탄들이 중심이 된 대규모 봉기(시마바라의 난)가 발생했다. 막부는 초기에 이타쿠라 시게마사[13]와 이시타니 사다키요를 파견하고 규슈 지역 다이묘들에게 진압을 명령했으나, 봉기군은 하라 성에 들어가 완강히 저항하며 전투는 장기화되었다.

당초 막부군 총사령관은 이타쿠라 시게마사였으며,[14] 노부쓰나는 도다 우지카네와 함께 파견되어 봉기 진압 후의 처벌, 즉 봉기가 진정된 후의 처분을 명령받기 위해 파견되었다. 그러나 간에이 15년(1638년) 1월 1일, 시게마사가 전투 중 사망했다. 이시타니 사다키요도 중상을 입었기 때문에, 그를 대신하여 노부쓰나가 막부군 총사령관에 취임하게 되었다.

총사령관이 된 노부쓰나는 전황을 타개하기 위해 적극적인 조치를 취했다. 1월 11일에는 네덜란드 상관에 요청하여 데 레이프 호(De Rijp)의 함포 사격을 지원받아 하라 성을 공격했다.[15] 봉기군의 저항도 거세어 1월 28일에는 부장 격인 도다 우지카네가 부상을 입기도 했으나, 노부쓰나는 다치바나 무네시게, 미즈노 가쓰나리, 구로다 가즈나리 등 경험 많은 노장들과 협의하여 병량 공격, 즉 성을 포위하여 식량이 떨어지기를 기다리는 작전으로 전환했다. 그 결과, 2월 하순에는 성안의 식량이 거의 바닥났고, 마침내 2월 28일 하라 성을 함락시켰다. 노부쓰나는 봉기군의 지도자 아마쿠사 시로의 목을 확인하고 효수하도록 명했다. 이때 노부쓰나의 가신 중 6명이 전사[16]했고, 부상자는 103명이었다. 3월 1일에는 하라 성을 완전히 파괴하고, 사로잡힌 포로들을 처형하여 효수했다. 또한 봉기 발생의 책임이 있다고 판단된 마쓰쿠라 가쓰이에데라자와 가타타카 두 다이묘에게도 처벌을 내렸다. 이로써 시마바라의 난은 막부군의 승리로 종결되었고, 노부쓰나의 지휘 능력과 결단력이 높이 평가받는 계기가 되었다.

2. 5. 도쿠가와 이에쓰나 보좌

말년에는 호시나 마사유키 등 도쿠가와 막부의 고위 관리들과 함께 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 사후 그의 아들이자 어린 나이에 즉위한 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쓰나를 보좌했다.[17] 게이안 4년(1651년) 4월 이에미쓰가 사망한 직후 발생한 게이안의 변을 같은 해 7월에 신속히 진압하였다. 이듬해인 조오 원년(1652년) 9월에는 로주 암살을 목적으로 한 조오의 변 역시 진압하였다. 또한 메이레키 3년(1657년) 1월에 발생한 메이레키 대화재 당시 혼란 수습과 복구 작업에 대응하는 등 막부 안정에 기여하였다.

2. 6. 사망

寛文|간분일본어 2년(1662년) 1월 18일, 병으로 쓰러져 출근하지 못하게 되자 적장자 輝綱가 대신 출근하였다. 1월 19일에는 잠시 차도를 보였다.[18] 1월 21일에는 쇼군의 사자로 大久保 忠朝가 파견되었다. 1월 26일 병이 재발하여 죽음을 직감한 노부쓰나는 다른 로주들에게 작별 인사를 하고 유언을 남겼다.[19] 1월 27일에는 久世 広之, 1월 29일에는 本多 忠隆|혼다 타다타카일본어 등이 쇼군이 하사한 차, 과자, 약을 가지고 문병왔다. 이 때문에 문병객이 크게 늘었다.[20] 3월이 되자 병세가 위독해졌고, 3월 15일에는 동료 로주 阿部 忠秋에게 아들 테루쓰나를 부탁했다고 전해진다.

3월 16일 저녁, 로주 재직 중에 사망하였다. 향년 67세(만 65세)였다. 장남 테루쓰나가 뒤를 이었다.

3. 호코지 대불 재건 관여

240px


간분(寛文) 2년(1662년) 5월 1일(양력 6월 16일) 발생한 간분 오미·와카사 지진으로 교토가 큰 피해를 입었으며, 이 지진으로 도요토미 히데요리가 세운 호코지(方広寺)의 거대한 동(銅) 대불(교토의 대불(京の大仏))이 손상되었다.[22] 다만, 지진 발생 이전부터 이미 노후화 등으로 대불이 손상되어 있었다는 설도 있다.[23][24] 당시 호코지 대불은 높이가 약 19m에 달해, 나라 도다이지(東大寺) 대불(약 14m)보다 커 일본 최대 크기를 자랑했다. (이 시기 도다이지 대불은 마쓰나가 히사히데의 방화로 소실된 상태였고 아직 재건되지 않았다.)

대불이 손상되자 에도 막부 주도로 재건이 이루어졌다. 호코지를 관리하던 묘호인(妙法院) 문주 교쇼 호신왕(尭恕法親王)의 일기에는 막부 측에서 대불을 기존의 동상 대신 목조로 만들라는 지시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25] 결국 손상된 기존 동상은 해체되었고, 그 자리에 목조 대불이 새로 세워졌다.

이 과정에 대해, 도요토미 가문의 유산인 동상 대불을 탐탁지 않게 여긴 에도 막부가 의도적으로 수리 대신 해체를 결정하고 목조로 격을 낮춰 재건했으며[26], 해체된 동상의 구리 자재는 가메이도(亀戸)의 화폐 주조소로 보내져 간에이쓰호(寛永通宝)(문전, 文銭) 주조에 사용되었다는 소문이 퍼졌다. 특히 "대불의 구리를 화폐로 만들자"는 아이디어를 마쓰다이라 노부쓰나가 발안했으며, 당시 부족했던 통화량을 늘리기 위한 공익적 조치라고 도쿠가와 이에쓰나 쇼군에게 건의하여 승인받았다는 이야기가 덧붙여졌다.[27][28]

그러나 이 '노부쓰나 건의설'은 그가 대불이 손상된 간분 2년(1662년) 5월 1일보다 앞선 같은 해 3월에 이미 사망했기 때문에 사실로 보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다. 물론, 앞서 언급된 것처럼 지진 발생 이전에 이미 대불이 손상되어 5월 이전에 재건이 결정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23][24]

호코지 대불 재건의 정확한 경위는 불분명한 점이 많지만, 에도 막부가 관여한 것은 사실이다. 묘호인이 남긴 기록 『낙동대불전수복병석가대상조영기(洛東大仏殿修覆並釈迦大像造営記)』에 따르면, 당시 교토 쇼시다이였던 마키노 지카시게(牧野親成)의 지휘 아래 불사(佛師) 현신(玄信)이 대불 재건 작업을 맡았다고 한다.[29]

4. 인물 및 평가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노부쓰나의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옛날부터 많은 쇼군이 있었지만, 나만큼 운이 좋은 자는 없다. 오른손은 사누키(사카이 다다카쓰), 왼손은 이즈"라고 칭찬하며, 사카이 다다카쓰와 함께 노부쓰나가 막부 성립에 크게 기여했음을 인정했다(『공인언행록』). 또한 소년 미요시 마사모리에게 "이즈노카미(노부쓰나)와 같은 인물을 지금 한 명 더 가지고 있다면 걱정이 없을 텐데"라고 말하기도 했다.[30] 노부쓰나는 야규 무네토, 카스가노츠보네와 더불어 도쿠가와 이에미쓰를 보좌한 핵심 인물로 "(鼎)의 세 다리" 중 한 명으로 꼽혔다.

동시대 인물들 역시 그의 비범함을 인정했다. 사카이 다다카쓰는 아베 다다아키에게 "노부쓰나와 결코 지혜를 겨루어서는 안 된다. 그는 사람이 아니다"라고 경고했으며,[31] 아베 다다아키 자신도 "무슨 일이든 노부쓰나가 말하는 것은 빠르다. 나는 뒤늦게 말하는 편이고, 판단력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두세 가지 중 어느 것을 선택할까 망설이고 있는 동안 노부쓰나의 말은 이미 판단이 끝난 상태이다"라며 그의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력을 높이 평가했다(『사고계지록』).[32]

노부쓰나는 뛰어난 행정가이자 정치가로, 특히 민정(民政)에 능숙하여 그가 활동하던 시기에 막번 체제가 완전히 확립되었다고 평가받는다. 경안의 변이나 메이레키 대화재와 같은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보여준 탁월한 대처 능력은 그를 '정치의 천재'로 불리게 했다. 막부 정치뿐만 아니라 자신이 영주로 있던 가와고에번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여, 가와고에가 '작은 에도'로 불릴 정도의 기초를 닦았고, 이는 훗날 다이쇼 11년(1922년) 사이타마현 최초의 시(市) 승격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오늘날에도 노부쓰나는 가와고에 시민들에게 가장 인상 깊은 번주로 기억되고 있다.[33] 정치 단속에 대해서는 "도시락 상자를 삿갓으로 씻는 것과 같이 하는 것이 좋다. 삿갓으로는 구석구석까지 씻을 수 없고, 구석구석까지 단속하면 좋은 결과는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라고 말하며 지나치게 엄격한 통치를 경계했다. 또한 세상의 법도가 너무 자주 바뀐다는 한탄에 "그것은 이틀도 길다"고 응수했다는 일화는 그의 현실적인 정치 감각을 보여준다(『명장언행록』).[34]

그러나 뛰어난 능력에도 불구하고 인망은 부족하여 "재능은 있지만 덕이 없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로주 수좌 시절에는 동료였던 호리타 마사모리의 아들 호리타 마사노부로부터 막부 정치를 비판받는 일도 있었다. 이는 노부쓰나가 다도나 가회(歌会), 무용, 바둑, 장기 등 당시 고위층들이 즐기던 풍류를 멀리하고 오직 정무에만 몰두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술을 좋아하지 않았던 점도 인망 부족의 한 원인으로 지목된다. 그는 한가할 때 마음 맞는 소수의 사람들과 모여 정치 등에 대해 논하는 것을 유일한 낙으로 삼았다고 전해진다.[32]

메이레키 대화재 당시 그의 결단력과 지혜를 보여주는 일화가 많다. 노부쓰나는 로주 수좌의 권한으로 마쓰다이라 미쓰나가 등 17명 다이묘의 참근교대를 독단적으로 면제했다. 도쿠가와 요리노부가 이를 비난하자, 노부쓰나는 "이런 긴급 상황에서 여러 사람과 의논하면 시간만 낭비하게 된다. 나중에 벌을 받더라도 나 혼자 책임질 각오로 처리했다. 이번 화재로 다이묘들의 저택이 소실되어 거처가 없고 에도의 식량 창고도 불탔다. 이때 다이묘들이 대규모로 에도에 머무르면 식량 부족과 기근이 심화될 것이다. 에도 인구를 줄여 백성을 구제하는 것이 우선이다. 만약 이 혼란을 틈타 반란이 일어난다 해도, 에도보다는 지방에서 일어나는 편이 대처하기 쉽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고, 이에 요리노부는 감탄했다고 한다. 또한 기근을 막기 위해 막부의 자금을 풀어 깃본들에게 시가의 두 배에 해당하는 구제금을 지급했다. 이는 에도에서 큰 이익을 볼 수 있다는 소문을 퍼뜨려 지방 상인들이 자발적으로 쌀을 에도로 운송하게 만들었고, 결과적으로 막대한 운송 비용 없이 에도의 쌀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쌀값을 안정시키는 효과를 거두었다.[35] 화재 당시 오오쿠(大奥, 쇼군의 처첩과 시녀들이 거처하는 곳)의 여인들이 혼란 속에서 길을 잃을 것을 우려하여, 다다미 한 장을 뒤집어 길바닥에 깔아 퇴로를 표시하게 한 뒤 "쇼군(이에쓰나)께서는 니시노마루로 피신하셨으니, 모든 짐은 버리고 뒤집힌 다다미를 따라 피난하라"고 명하여 무사히 대피시켰다는 일화도 전해진다(『명장언행록』).[36]

경안의 변 때 주모자 중 한 명인 마루하시 다다야를 체포할 당시, 창의 명수인 그를 상대하다가 체포조에 사상자가 발생할 것을 우려한 노부쓰나는 계책을 내었다. 밤중에 마루하시의 숙소 밖에서 "불이야!"라고 외치게 하여, 놀란 마루하시가 상황을 살피러 2층으로 올라간 사이 체포대가 숙소 안으로 들이닥쳐 그를 사로잡았다고 한다(『명장언행록』).[37]

4. 1. 충의

게이안 4년(1651년) 이에미쓰가 사망했을 때, 노부쓰나는 순사(殉死)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에도 시민들은 “이즈(伊豆) 콩은 두부로 만들면 좋지만, 쓸모없는 것은 버리는 것이 좋다”거나 “벌을 주지 않아도 시대는 평화롭고, 이즈에서도 순사할 필요는 없다”는 등의 말로 비난하며 조롱했다. 그러나 노부쓰나가 순사하지 않은 것은 어린 이에쓰나의 보좌를 이에미쓰로부터 직접 위임받았기 때문이었다. 그는 "'두 군주를 섬기지 않는다'는 것은 다른 가문을 섬기는 것을 의미하며, 전대에 은혜를 입은 자가 모두 순사하면 누가 도쿠가와 가문을 지탱할 것인가"라고 반론하며 자신의 입장을 분명히 했다.[38]

노부쓰나는 어린 시절부터 이에미쓰에 대한 깊은 충성심을 보였다. 이에미쓰가 소년이었을 때, 다른 시동들은 직무를 게을리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노부쓰나는 항상 숙직소에 머물며 주군의 일에 소홀함이 없었다고 전해진다. 이에미쓰가 다케치요(竹千代)라고 불리던 시절의 일화는 그의 충성심을 잘 보여준다. 당시 쇼군 히데타다의 침소 처마 밑에 참새가 둥지를 틀었는데, 11살이었던 노부쓰나(당시 이름 산주로)는 이에미쓰로부터 "둥지를 가져오라"는 명령을 받고 밤에 몰래 처마 밑으로 들어갔다. 둥지를 따려다 실수로 안뜰에 떨어져 히데타다에게 발각되었는데, 히데타다가 칼을 뽑고 누구의 명령인지 추궁했지만 노부쓰나는 끝까지 "제가 참새 둥지를 원했을 뿐입니다"라고만 답했다. 히데타다는 사정을 짐작했지만, 노부쓰나의 강직함과 대담함에 감탄하며 풀어주었다. 이후 히데타다는 부인 오에에게 "(노부쓰나가) 지금처럼 자란다면 다케치요의 둘도 없는 충신이 될 것"이라며 기뻐했다고 한다.[41]

또한 노부쓰나는 이에야스를 매우 존경했다. 갑주류 군학을 가르치던 오바타 가게노리와 학문에 대해 논할 때, 노부쓰나는 "다케다 신겐은 명장이지만 천하를 얻을 사람은 아니었다. 이에야스 공이야말로 고금의 명장이다. 그러므로 신겐의 병법을 배우기보다는 곤겐権現일본어의 무략(武略)을 듣고, 사서오경을 배우는 것보다 역대의 법도(法度)를 아는 사람에게 듣는 것이 자신의 덕을 쌓는 길"이라고 말했다.[39] 이는 노부쓰나가 도쿠가와 가문의 정통성과 이에야스의 업적을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했는지 보여주는 대목이다.

5. 대중문화 속의 노부쓰나

(내용 없음)

5. 1. 소재로 한 작품

만화 시리즈 신 고즈레 오카미에서는 마쓰다이라 노부쓰나가 주요 악당 중 한 명으로 등장한다. 작품 속에서 그는 매우 추한 외모로 그려지며, 쇼군 이에쓰나조차 "두꺼비만큼 추하다"고 평할 정도이다. 노부쓰나는 사쓰마 번이 장차 막부를 위협할 세력으로 성장할 것을 우려하고, 동시에 사쓰마의 막대한 부를 막부의 금고로 가져오기 위해 사쓰마 번을 파멸시키려 한다. 이를 위해 비열한 수단도 서슴지 않으며, 심지어 자신의 죽음을 위장하고 외모를 훼손하여 사쓰마의 유력 귀족으로 위장하기도 한다.

  • '''서적'''
  • * 시바타 렌자부로 『도쿠가와 삼국지』(슈에이샤 문고・분슌 문고)
  • * 나카무라 아키히코 『지혜 이즈에 묻다』(지쓰교노니혼샤, 2003년) ISBN 4408534390
  • * 몬나이 케이키 『에도 일신』(추오코론신샤, 2022년)

  • '''텔레비전 드라마'''
  • * 『도쿠가와 삼국지』(NET(현재의 테레비 아사히), 1975년, 배우: 마쓰카타 코쥬)
  • * 『관영풍운록 격돌! 지혜 이즈 대 유비 마사유키』(일본 텔레비전), 1991년, 배우: 사토미 코타로)

  • '''기타 작품'''
  • * 만화
  • ** 요시나가 후미대오』(하쿠센샤)
  • ** 시라토 산페이카무이전 제2부』(쇼가쿠칸)
  • * 텔레비전 드라마
  • ** 『그 후의 무사시』(마이니치 방송, 1964년-1965년, 배우: 코시바 칸지)
  • ** 『류생 무예장』(NET, 1965년, 배우: 키타 류지)
  • ** 『대오 (1968년판)』(간사이 텔레비전 방송, 1968년, 배우: 나카무라 킨지)
  • ** 『류생 주베이』(후지테레비, 1970년, 배우: 나카야마 진)
  • ** 『봄의 언덕』(NHK), 1971년, 배우: 오이데 슌)
  • ** 『일심태조』(후지테레비, 1971년, 배우: 히가시 치요노스케(제1화))
  • ** 『인법 가게로우 자르기』(간사이 텔레비전, 1972년, 배우: 다카하시 에쓰시)
  • ** 『에도를 벤다 아즈사 우콘 암밀장』(TBS), 1973년, 배우: 칸야마 시게루)
  • ** 『야규 일족의 음모』(간사이 텔레비전, 1978년, 배우: 다카하시 에쓰시)
  • ** 『나가시치로 천하 금지!』(테레비 아사히), 1979년, 배우: 탄바 테쓰로)
  • ** 『도쿠가와의 여인들』(후지테레비, 1980년, 배우: 미키모토 신스케)
  • ** 『그 후의 무사시』(테레비 도쿄), 1981년, 배우: 히라타 아키히코)
  • ** 『류생 신음류』(테레비 도쿄, 1982년, 배우: 카와즈 유스케)
  • ** 『대오(1983년판)』(간사이 텔레비전, 1983년, 배우: 히라 간지로)
  • ** 『나가시치로 에도 일기』(NTV, 1983년, 배우: 미키모토 신스케)
  • ** 『풍운 류생 무예장』(테레비 도쿄, 1985년, 배우: 무라이 쿠니오)
  • ** 『춘일국』(NHK, 1989년, 배우: 사와토 신이치(유년기: 세키네 노부유키, 소년기: 아라이 노부히코))
  • ** 『아라키 마타에몬 결전・가게야의 辻』(NHK, 1990년, 배우: 하야시 요이치)
  • ** 『장군 가미쓰나 닌자 여행』(테레비 아사히, 1990년, 배우: 타무라 료)
  • ** 『류생 무예장』(NTV, 1990년, 배우: 아오이 테루히코)
  • ** 『류생 무예장 류생 주베이 오십인 베기』(NTV, 1990년, 배우: 아오이 테루히코)
  • ** 『류생 무예장 교토에 소용돌이치는 대음모! 주베이와 수수께끼의 숙녀』(NTV, 1991년, 배우: 아오이 테루히코)
  • ** 『류생 무예장 주베이 날뛰는 여행』(NTV, 1991년, 배우: 아오이 테루히코)
  • ** 『류생 무예장 주베이 날뛰는 여행 이다테 육십이만 석의 음모』(NTV, 1992년, 배우: 아오이 테루히코)
  • ** 『도쿠가와 무예장』(테레비 도쿄, 1992년, 배우: 나카야마 쇼지)
  • ** 『도쿠가와 무예장 류생 삼대의 검』(테레비 도쿄, 1993년, 배우: 카츠베 엔지)
  • ** 『도쿠가와 검호전 그 후의 무사시』(테레비 도쿄, 1996년, 배우: 이시하라 요스미)
  • ** 『아오이 도쿠가와 삼대』(NHK, 2000년, 배우: 토비타 코우스케(유년기: 미야모토 다이키→야마모토 카즈키))
  • ** 『천하소란 도쿠가와 삼대의 음모』(테레비 도쿄, 2006년, 배우: 모리오카 유타카)
  • ** 『류생 주베이 칠번 승부 시마바라의 난』(NHK, 2006년, 배우: 사이고 기히코)
  • ** 『류생 주베이 칠번 승부 마지막 싸움』(NHK, 2007년, 배우: 사이고 기히코)
  • ** 『야규 일족의 음모』(테레비 아사히, 2008년, 배우: 쿠니히로 토미유키)
  • ** 『류생 무예장』(테레비 도쿄, 2010년, 배우: 카자마 토오루)
  • ** 『대오 탄생[유공・가미쓰나편]』(TBS, 2012년, 배우: 단다 야스노리)
  • ** 『야규 일족의 음모』(NHK, 2020년, 배우: 야마다 준타)
  • * 게임 작품
  • ** 『페이트/그랜드 오더』(TYPE-MOON, 2015년)
  • * 무대 작품
  • ** 타카라즈카 가극 『Messiah—이문・아마쿠사 시로』(다카라즈카 가극단, 하나구미, 2018년, 배우: 미즈미 마이토)

5. 2. 기타 작품

만화 《신 고즈레 오카미》(신 외로운 늑대와 아들)에서는 두 명의 주요 악역 중 한 명으로 등장한다. 작품 속에서 그는 매우 추한 외모로 묘사되며, 쇼군 이에쓰나조차 그를 "두꺼비처럼 추하다"고 말할 정도이다. 그는 사쓰마번이 미래에 강력해져 에도 막부에 대항할 것을 우려하고, 또한 사쓰마의 막대한 부를 막부 재정으로 흡수하기 위해 사쓰마 번을 파멸시키려 한다. 이를 위해 비열한 수단도 서슴지 않으며, 자신의 죽음을 위장하고 외모를 일부러 훼손하여 강력한 사쓰마 귀족으로 변장하기도 한다.

마쓰다이라 노부쓰나가 등장하는 기타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분야작품명제작/출판/방송사연도배우 / 작가
만화대오하쿠센샤요시나가 후미
카무이전 제2부쇼가쿠칸시라토 산페이
텔레비전 드라마그 후의 무사시마이니치 방송1964년-1965년코시바 칸지
류생 무예장NET1965년기타 류지
대오 (1968년판)간사이 텔레비전 방송1968년나카무라 긴키
류생 주베이후지테레비1970년나카야마 진
봄의 언덕NHK1971년오이데 슌
일심 타스케후지테레비1971년아즈마 지요노스케(제1화)
인법 카게로키리간사이 텔레비전1972년다카하시 에쓰시
에도오 키루 아즈사 우콘 비밀 수첩TBS1973년간야마 시게루
야규 일족의 음모간사이 텔레비전1978년다카하시 에쓰시
나가시치로 천하 고멘!TV 아사히1979년단바 데쓰로
도쿠가와의 여인들후지테레비1980년미키모토 신스케
그 후의 무사시TV 도쿄1981년히라타 아키히코
야규 신고류TV 도쿄1982년가와즈 유스케
대오(1983년판)간사이 텔레비전1983년히라 미키지로
나가시치로 에도 일기NTV1983년미키모토 신스케
풍운 야규 무예장TV 도쿄1985년무라이 구니오
카스가노츠보네NHK1989년사와토 신이치(유년기: 세키네 노부유키, 소년기: 아라이 노부히코)
아라키 마타에몬 결투・카기야노츠지NHK1990년하야시 요이치
장군 이에미쓰 몰래하는 여행TV 아사히1990년다무라 료
야규 무예장NTV1990년아오이 데루히코
야규 무예장 야규 주베이 50인 베기NTV1990년아오이 데루히코
야규 무예장 교토에 소용돌이치는 대음모! 주베이와 수수께끼의 숙녀NTV1991년아오이 데루히코
야규 무예장 주베이 날뛰는 여행NTV1991년아오이 데루히코
야규 무예장 주베이 날뛰는 여행 이다테 62만석의 음모NTV1992년아오이 데루히코
도쿠가와 부게이초 야규 삼대의 검TV 도쿄1992년나카야마 쇼지
도쿠가와 부게이초 야규 삼대의 검TV 도쿄1993년가쓰베 노부유키
도쿠가와 검호전 그 후의 무사시TV 도쿄1996년이시바시 요시오
아오이 도쿠가와 삼대NHK2000년도비타 미쓰오(유년기: 미야모토 히로키→야마모토 가즈키)
천하소란〜도쿠가와 삼대의 음모TV 도쿄2006년모리오카 유타카
야규 주베이 칠번 승부 시마바라의 난NHK2006년사이고 데루히코
야규 주베이 칠번 승부 마지막 싸움NHK2007년사이고 데루히코
야규 일족의 음모TV 아사히2008년구니히로 도미유키
야규 무예장TV 도쿄2010년가자마 도루
대오~탄생[아리고토・이에미쓰 편]TBS2012년단타 야스노리
야규 일족의 음모NHK2020년야마다 준다이
게임페이트/그랜드 오더TYPE-MOON2015년
무대타카라즈카 가극 『Messiah—이문・아마쿠사 시로』다카라즈카 가극단 하나구미2018년미나미 마이토


참조

[1] 서적 信綱記 改訂史籍集覧
[2] 서적 大河内家譜
[3] 서적 松平信綱 吉川弘文館 2010
[4] 서적 豊橋市史
[4] 서적 大河内家譜
[5] 문서 없음
[6] 서적 信綱記
[6] 서적 明良洪範
[6] 서적 家乗附録
[7] 서적 寛政重修諸家譜
[7] 서적 神奈川県史 1633
[8] 서적 徳川実紀
[9] 문서 없음
[10] 문서 없음
[11] 서적 江戸幕府日記
[12] 문서 없음
[13] 문서 없음
[14] 서적 下総結城水野家文書 11-28
[15] 서적 通航一覧
[16] 문서 없음
[17] 서적 徳川実紀
[18] 서적 山内忠直書状
[19] 서적 忠直書状 01-26
[20] 서적 忠直書状 02-06
[21] 서적 ケンペルと徳川綱吉 ドイツ人医師と将軍との交流 中央公論社 1994
[22] 서적 없음 2003
[23] 서적 新編日本古典文学全集64 仮名草子集 1999
[24] 서적 京は大火!大地震‼そのとき京人は、どうふるまったのか 2019
[25] 서적 妙法院史料
[26] 서적 없음 1996
[27] 서적 新収日本地震史料補遺 東京大学地震研究所
[28] 서적 甲子夜話 三篇5 平凡社(東洋文庫) 1983
[29] 서적 없음 2003
[30] 서적 松平信綱 吉川弘文館 2010
[31] 서적 松平信綱 吉川弘文館 2010
[32] 서적 松平信綱 吉川弘文館 2010
[33] 서적 松平信綱 吉川弘文館 2010
[34] 서적 世界人物逸話大事典 角川書店 1996
[35] 서적 松平信綱 吉川弘文館 2010
[36] 서적 세계인물일화대사전 角川書店 1996-02-00 # 平成8년 2월을 YYYY-MM-DD 형식으로 변환. 일 정보가 없으므로 00으로 표기
[37] 서적 세계인물일화대사전 角川書店 1996-02-00 # 平成8년 2월을 YYYY-MM-DD 형식으로 변환. 일 정보가 없으므로 00으로 표기
[38] 서적 松平信綱 吉川弘文館 2010-00-00 # 월, 일 정보가 없으므로 00으로 표기
[39] 서적 松平信綱 吉川弘文館 2010-00-00 # 월, 일 정보가 없으므로 00으로 표기
[40] 서적 명장언행록 角川書店 1996-02-00 # 平成8년 2월을 YYYY-MM-DD 형식으로 변환. 일 정보가 없으므로 00으로 표기
[41] 서적 명장언행록 角川書店 1996-02-00 # 平成8년 2월을 YYYY-MM-DD 형식으로 변환. 일 정보가 없으므로 00으로 표기
[42] 서적 大河内家譜
[43] 서적 松平信綱 吉川弘文館 2010-00-00 # 월, 일 정보가 없으므로 00으로 표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