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모래시계 (드라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모래시계》는 1995년 방영된 SBS 드라마로, 1970년대부터 1990년대 초까지의 한국 현대사를 배경으로, 격동의 시대를 살아가는 인물들의 갈등과 사랑을 그렸다. 최민수, 고현정, 박상원, 이정재 등 주요 배우들이 출연하여 큰 인기를 얻었으며,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삼청교육대, YH 사건 등 역사적 사건들을 다루며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다. 최고 시청률 64.5%를 기록하며 "귀가시계"라는 별칭을 얻을 정도로 사회적 영향력이 컸고, 삽입곡 "주라블리" 또한 큰 인기를 얻었다. 제31회 백상예술대상에서 대상을 포함하여 6관왕을 차지하는 등 많은 시상식에서 작품성과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소재로 한 드라마 - 제4공화국 (드라마)
    《제4공화국》은 박정희 정권의 유신 체제 하 주요 사건들을 다룬 드라마로, 박정희 대통령 암살 사건부터 5·18 광주 민주화 운동까지 다루며 주요 인물들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소재로 한 드라마 - 오월의 청춘
    《오월의 청춘》은 1980년 5월 광주 민주화 운동 시대를 배경으로 의대생 황희태와 간호사 김명희가 사랑에 빠지는 레트로 휴먼 멜로 드라마로, 격동의 시대 속 청춘들의 사랑과 우정, 삶의 애환을 그린 작품이다.
  • 송지나 시나리오 작품 - 여명의 눈동자
    김성종의 소설을 원작으로 송지나가 극본을 쓰고 김종학 PD가 연출한 드라마 《여명의 눈동자》는 일제 강점기부터 한국 전쟁까지의 격동기를 배경으로 세 남녀의 엇갈린 운명과 사랑을 그린 작품이다.
  • 송지나 시나리오 작품 - 우리 읍내
    1988년 KBS 1TV에서 방영된 KBS 특선 드라마 우리 읍내는 김정애 극본, 김진원 연출, 이정길, 박상원, 전운, 오지명, 변희봉, 김영옥, 임현식, 송경철, 이종남 등 다양한 배우들이 출연하여 읍내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소재로 한 작품 - 제4공화국 (드라마)
    《제4공화국》은 박정희 정권의 유신 체제 하 주요 사건들을 다룬 드라마로, 박정희 대통령 암살 사건부터 5·18 광주 민주화 운동까지 다루며 주요 인물들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소재로 한 작품 - 26년 (영화)
    2012년 개봉한 영화 《26년》은 강풀의 웹툰을 원작으로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계엄군과 학살 책임자에게 복수하려는 사람들의 이야기이며, 진구, 한혜진, 임슬옹 등이 출연, 크라우드 펀딩으로 제작되어 복수와 정의, 개인적 복수와 역사적 정의 사이의 관계를 조명한다.
모래시계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모래시계 1995 TV 시리즈 DVD 커버
DVD 커버
원제모래시계
로마자 표기Moraesigye
영어 제목Sandglass, The Hourglass
장르드라마
극본송지나
연출김종학
출연최민수
고현정
박상원
이정재
음악최경식
국가대한민국
언어한국어
에피소드 수24
제작사제이콤
SBS 프로덕션
방송 채널SBS TV
방송 기간1995년 1월 10일 ~ 1995년 2월 16일
제작 정보
기획SBS 드라마본부
제작사제이콤, SBS프로덕션
조연출박창식, 김인수, 신윤섭, 정순애
촬영서득원
조명송문섭
미술서상정
편집조인형
관련 정보
관련 사건광주 민주화 운동

2. 역사적 배경

모래시계》는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격동의 대한민국 현대사를 배경으로, 세 주인공의 삶을 통해 당시의 주요 사건들을 그려내고 있다.

드라마에서는 5·18 광주민주화운동, 삼청교육대, YH 사건, 신민당 전당대회 각목 난동사건 등 실제 사건들이 주요 소재로 등장한다. 이 외에도 박정희 대통령 암살, 전두환의 군사 정권 장악 등 굵직한 역사적 사건들이 배경으로 나타난다.[16][17][6]

2. 1. 5·18 광주민주화운동

이 드라마는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5·18 광주민주화운동은 박정희 대통령 암살 이후 대한민국을 장악한 전두환을 수장으로 하는 신군부 세력이 폭동을 진압한다는 명목으로 광주에 공수부대를 투입하여 수백 명의 민간인을 학살한 사건이다. 드라마 방영 당시에는 금기시되었던 이 사건의 폭력적인 장면들(개인의 증언을 바탕으로 함)은 당시 한국인들에게 충격과 슬픔을 안겨주었다. (90년대 중반, 대한민국은 정부가 언론의 자유를 억압한 후 벌어진 일들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했다.) 드라마 방영 후, 이 주제를 다룬 ''꽃잎''(1996)과 ''박하사탕''(2000) 등의 영화들이 제작되었다. 심지어 학살의 책임자인 전두환 전 대통령의 기소에도 영향을 미쳤다(그는 사건 발생 수십 년 만에 결국 투옥되었다).[6]

2. 2. 삼청교육대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격동의 대한민국 현대사를 세 명의 주인공의 삶으로 그려낸 드라마 《모래시계》는 5·18 광주민주화운동, YH 사건, 신민당 전당대회 각목 난동사건 등 실제 사건들과 함께 삼청교육대를 주요 소재로 다루었다.[16] 이 드라마에서 주인공 박태수는 삼청교육대에 끌려가 혹독한 고초를 겪는 장면을 통해 국가 폭력의 야만성을 고발한다.

2. 3. YH 사건

YH무역 사건은 1979년 YH무역 여공들이 신민당사에서 농성하다 강제 해산된 사건이다.

2. 4. 신민당 전당대회 각목 난동사건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격동의 대한민국 현대사를 세 명의 주인공의 삶으로 그려낸 드라마로, YH 사건과 함께 신민당 전당대회 각목 난동사건 등의 실제 사건들을 잘 조화시킨 대본과 뛰어난 연출력으로 대한민국 근현대사를 극적으로 그려낸 드라마라는 평을 받았다.[16][17]

2. 5. 기타 주요 사건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격동의 대한민국 현대사를 세 명의 주인공의 삶으로 그려낸 이 드라마는 5·18 광주민주화운동, 삼청교육대, YH 사건, 신민당 전당대회 각목 난동사건 등 실제 사건들과 인물들을 잘 조화시켜 대한민국 근현대사를 극적으로 그려냈다는 평가를 받았다.[16][17] 특히 박정희 대통령 암살 이후 대한민국을 장악한 군사 정권의 수장인 전두환이 폭동을 진압하기 위해 광주에 공수부대를 투입하여 수백 명의 민간인을 학살한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다루었는데, 이는 당시 한국인들에게 큰 충격과 슬픔을 안겨주었다.[6]

3. 주요 등장인물


  • 최민수 - 박태수 역
  • 고현정 - 윤혜린 역
  • 박상원 - 강우석 역
  • 이정재 - 백재희 역
  • 박근형 - 윤 회장(혜린의 아버지) 역
  • 정성모 - 이종도 역
  • 조민수 - 우석의 아내 역
  • 이승연 - 신 기자 역
  • 김종결 - 민 변호사 역
  • 조경환 - 검사장 역
  • 김병기 - 강동환 역
  • 조형기
  • 김인문 - 태수의 아버지 역
  • 장항선
  • 김영애 - 태수의 어머니 역
  • 임현식 - 오계장(검사보) 역
  • 김정현
  • 홍경인
  • 이희도 - 박성범 역
  • 맹상훈
  • 이두일
  • 박영지
  • 손현주
  • 정명환
  • 김정학
  • 한경선
  • 최재호
  • 김명국
  • 도용구
  • 박상조


태수와 우석은 고등학교 시절부터 친구이다. 태수는 아버지의 좌익 활동 때문에 육군사관학교 진학이 좌절되어 야쿠자가 되고, 우석은 사법시험을 준비하는 대학생이 된다. 혜린은 카지노를 경영하는 아버지와 함께 살고 있으며, 어린 시절 아버지의 사업 때문에 유괴당한다. 이때 백재희가 혜린을 구해주고, 이후 혜린의 경호원이 된다. 우석과 혜린은 대학에서 만나게 된다.

3. 1. 박태수 (최민수 扮)

광주 출신 폭력조직 중간 보스. 암흑가에 발을 들인 후 광주 민주화 운동, 삼청교육대 등 현대사의 굴곡을 헤쳐나간다. 윤혜린과 연인 관계이며, 육군사관학교를 지망했으나 아버지의 좌익 행적(지리산 빨치산)으로 인해 좌절된다.[18] 숙명적으로 암흑가에 발을 들였다가 박성범의 눈에 들어 중간보스가 된다.

하지만 박성범이 조직을 떠나고 조직을 식구들에게 물려주자 불만을 품은 친구 이종도의 공작에 의해 누명을 쓰게 되고, 삼청교육대로 끌려가 생사를 넘나들다 제대한다. 박성범으로부터 성범을 감옥에 가게 한 것은 물론이고 태수 자신마저 삼청교육대로 끌고 간 장본인이 종도임을 알게 되자 종도에 맞서 카지노 이권과 슬롯머신 사업에 개입하여 대부가 되지만, 또다시 종도의 계략에 빠져 거짓 누명을 쓰고 교도소에 가게 된다.

교도소 이감 도중 부하들의 도움으로 탈출하여 종도를 죽이고, 담당 검사였던 친구 강우석의 사형 구형에 의해 형이 확정된 후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다.

전라도 광주 출신으로 전국구 폭력조직 양은이파 보스 조양은을 기본적 모델로 만든 인물이다.

3. 2. 윤혜린 (고현정 扮)

카지노 대부 윤재용 회장의 외동딸이자 후계자이다.[4] 카지노 사업을 경영하며, 강우석과는 대학교 동창이다.[4] 박태수와 사랑에 빠진다.[5] 어린 시절 아버지의 사업 때문에 유괴당하기도 하는데, 이때 자신을 구해준 백재희가 이후 자신의 경호원으로 살아가는 계기가 된다.

3. 3. 강우석 (박상원 扮)

박상원은 서울중앙지검 검사로, 박태수의 고향 친구이자 윤혜린의 대학 동창이다. 정의로운 외유내강형 인물로, 군사정권의 부당한 압력에 굴하지 않고 신념을 지킨다.[4]

3. 4. 백재희 (이정재 扮)

이정재가 연기한 백재희는 윤혜린의 보디가드이다. 본래 윤재용 회장과 대립하는 폭력조직 소속의 건달이었으나, 납치당한 혜린을 구해준 인연으로 윤 회장의 눈에 들어 혜린의 보디가드로 발탁된다. 뛰어난 검도 실력으로 늘 혜린의 곁을 지키며, 학생 운동 시절에는 연행되는 혜린을 자주 구해내곤 했다. 3회 대본에 따르면 고등학생 시절 검도 선수였다는 설정이다. 평생 혜린을 가슴 속에 담아두고 살지만, 태수와 우석의 사랑을 받는 혜린을 보며 남모르게 가슴 아파한다. 종도에게 납치당한 혜린을 구하려다 종도 부하들에 의해 사망한다.[4]

모래시계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인물처럼 돈이나 명예를 쫓지 않고, 묵묵히 한 사람만 바라보다 마침내 사랑하는 여인의 품에서 죽음을 맞는 인물이다.[4]

4. 조연


  • 정성모: 이종도 역. 태수의 동료이자 박성범의 부하였다. 태수와 어릴 적부터 암흑가에서 함께 했지만, 욕심과 야망 때문에 박성범에게 내쳐진 후 그에게 불만을 품고 거짓 누명을 씌워 감옥으로 보낸다. 태수가 자신의 세력에 대항하자, 온갖 비열한 수단을 동원해 태수를 방해하고, 윤혜린의 아버지 윤 회장을 죽게 만든다. 결국 태수에게 복수당해 비참한 죽음을 맞는다.[18] 이종도는 전라도 광주 출신의 폭력조직 서방파 두목이었던 김태촌을 모델로 했다.
  • 김종결: 민 변호사 역. 윤재용 회장과 윤혜린의 고문 변호사로, 윤 회장이 죽은 후 혜린의 뒤처리를 도맡으며 끝까지 윤 회장 가를 모셨다.
  • 조형기
  • 김인문: 태수의 아버지 역.
  • 장항선
  • 김영애: 태수의 어머니 역.
  • 임현식: 검사보 역.
  • 김정현
  • 홍경인
  • 맹상훈
  • 이두일
  • 박영지
  • 손현주
  • 정명환
  • 김정학
  • 한경선
  • 최재호
  • 김명국
  • 도용구
  • 박상조

4. 1. 윤재용 (박근형 扮)

윤재용은 카지노 대부이자 윤혜린의 아버지이다. 대한민국 카지노 재벌로 정치권과 유착해 더 큰 권력을 바랐으며, 정치 핵심부와 일찌감치 거래하고 여러 사업에 개입하며 승승장구했다. 계산과 거래에 능하고 인간을 꿰뚫어보는 통찰력과 눈치가 빠르다.[29] 이종도가 덤벼들자 박태수를 영입해 종도를 견제하지만, 오히려 종도의 계략에 의해 몰락하고 사망한다.[29] 1993년 벌어진 슬롯머신 사건의 주범 정덕진, 정덕일 형제와 카지노 황제라 불리었던 파라다이스 그룹 전낙원 회장을 기본적인 모델로 한 인물이다.[29]

4. 2. 이종도 (정성모 扮)

태수의 동료이자 박성범의 부하. 태수와 어릴 적부터 암흑가에서 동고동락하며 친형제처럼 지냈지만, 욕심과 야망이 커 박성범에게 내쳐진 후 그에게 불만을 품고 거짓 누명을 씌워 감옥으로 보낸다. 태수가 자신에게 불만을 품고 큰 견제 세력으로 다가오자 태수에게도 거짓 누명을 씌워 삼청교육대로 보내고, 그 사이 태수가 이끌던 조직을 와해시키며 구역을 접수한다.

태수가 제대한 후 자신의 세력에 대항하며 흩어진 세력을 규합하자, 온갖 비열한 수단을 동원해 태수가 개입한 카지노 사업과 슬롯머신 사업권을 빼앗으려 한다. 이 과정에서 혜린의 아버지 윤 회장을 죽게 만들고 태수에게 또다시 누명을 씌워 감옥으로 보낸다.

하지만 태수가 정치권의 도움으로 누명을 벗고 대부로 성장하자 광주로 귀향, 건설폭력배를 모아 이권 사업에 개입하여 승승장구한 후 힘을 키운다. 자신의 앞길에 방해가 되는 태수를 먼저 감옥으로 보내고 장도식의 명령으로 혜린을 제거하려 하지만 실패한다. 태수가 부하들의 도움으로 탈주하는 상황에 외국으로 도피하려다가 태수에 의해 비참한 죽음을 맞는다.[18]

이종도의 모델은 전라도 광주 출신의 전국구 폭력조직 서방파 보스였던 김태촌이다.

4. 3. 장도식 (남성훈 扮)

강동환 실장의 수하로, 국가안전기획부 부장이다. 강 실장의 밑에서 비자금을 운반하고 강 실장과 윤 회장의 메신저가 되어 지령을 전달하는 통신 역할을 한다. 종도를 이용해 윤 회장을 견제하지만, 종도가 박 회장 살해사건의 용의자로 체포되자 그 대리인으로 태수를 지목해 태수를 대부로 키운다.[29] (1993년 슬롯머신 사건 때 국가안전기획부 기획조정실장으로 근무하며 거액의 로비자금을 박철언 장관에게 운반하고 자금을 챙긴 엄삼탁을 기본 모델로 한 인물)[29]

4. 4. 강동환 (김병기 扮)

국가안전기획부 실장. 카지노와 슬롯머신 허가권을 쥐고 윤재용 회장과 거래하였으나 윤 회장의 권력이 커지자 그를 견제하기 위해 박태수를 영입하여 윤 회장을 파멸시킨다.[29] 하지만 이종도의 공작으로 인해 박태수가 잡혀 들어가고 박태수가 탈주하여 이종도를 죽이고 강우석에 의해 체포되어 자신의 모든 비리사실이 밝혀지자 자멸한다. '6공 황태자'라는 별칭이 있던 제6공화국 정책보좌관 박철언을 모델로 한 인물이다.[30][31]

4. 5. 박성범 (이희도 扮)

전국구 건달 보스. 이희도는 전라도에서 상경하여 명동 충무로에 자리를 잡고 있던 노주명파의 기세를 잡은 후 장도식의 손을 잡아 정치 테러 사건에 가담하고 박태수이종도 등 수하들의 도움으로 세를 크게 확장해 전국구 건달보스로서 거듭난다.[18] 하지만 검경의 추적으로 인해 모든 조직자산을 부하들에게 분배하지만 자신이 원하는 구역을 태수한테 물려준 데 앙심을 품은 종도의 계략에 의해 경찰에 체포되어 감옥살이를 한다.[18]

4. 6. 조연 기타


: 윤혜린의 보디가드. 윤재용 회장과 대립하는 폭력조직 소속이었으나 납치당한 혜린을 구해준 인연으로 보디가드가 된다. 뛰어난 검도 실력으로 혜린의 곁을 지킨다. 학생 운동 시절에는 연행되는 혜린을 자주 구해냈다. 3회 대본에 따르면 고등학생 시절 검도 선수였다. 평생 혜린을 마음에 담아두고 살지만, 태수와 우석의 사랑을 받는 혜린을 보며 남모르게 가슴 아파한다. 종도에게 납치당한 혜린을 구하려다 종도 부하들에 의해 사망한다. 돈이나 명예를 쫓지 않고, 묵묵히 한 사람만 바라보다 사랑하는 여인의 품에서 죽음을 맞는 인물.[29][30][31][32]
: 카지노 대부이자 윤혜린의 아버지. 대한민국 카지노 재벌이며 정치권과 유착해 더 큰 권력을 바라는 인물. 정치 등 여러 사업에 개입하며 승승장구한다. 계산과 거래에 능하고 인간을 꿰뚫어보는 통찰력과 눈치가 빠르다. 이종도가 덤벼들자 박태수를 영입해 견제하지만, 오히려 종도의 계략에 의해 몰락하고 사망한다. (1993년 슬롯머신사건의 주범 정덕진, 정덕일 형제와 카지노 황제라 불리었던 파라다이스 그룹 전낙원 회장을 모델로 한 인물)
: 강동환 실장의 수하로, 국가안전기획부 부장. 강 실장의 밑에서 비자금을 운반하고 강 실장과 윤 회장의 메신저가 되어 지령을 전달한다. 종도를 이용해 윤 회장을 견제하지만, 종도가 박 회장 살해사건의 용의자로 체포되자 그 대리인으로 태수를 지목해 대부로 키운다.(1993년 슬롯머신 사건 때 국가안전기획부 기획조정실장으로 근무하며 거액의 로비자금을 박철언 장관에게 운반하고 자금을 챙긴 엄삼탁을 기본 모델로 한 인물)
: 태수의 동료이자 박성범의 부하. 태수와 어릴 적부터 암흑가에서 동고동락한 사이였지만 욕심과 야망이 큰 인물. 박성범에게 내쳐진 이후 그에게 거짓 누명을 씌워 감옥으로 보낸다. 태수가 큰 견제세력으로 다가오자 태수에게도 거짓 누명을 씌워 삼청교육대로 보내고, 그 사이 태수의 조직을 와해시키며 구역을 접수한다. 태수가 제대하고 자신의 세력에 대항하며 흩어진 세력을 규합하자 온갖 비열한 수단을 동원하여 카지노 사업과 슬롯머신 사업권을 빼앗으려 한다. 그 과정에서 윤 회장을 죽게 만들고 태수에게도 누명을 씌워 감옥으로 보낸다. 하지만 태수가 정치권의 도움으로 누명을 벗고 대부로 성장하자 광주로 귀향, 건설폭력배를 모아 이권사업에 개입하여 승승장구한 후 힘을 키워 자신의 앞길에 방해가 되는 태수를 먼저 감옥으로 보내고 장도식의 명령으로 혜린을 제거하려 하지만 실패한다. 태수가 부하들의 도움으로 탈주하는 상황에 외국으로 도피하려다가 태수에 의해 비참한 죽음을 맞게 된다. 트레일러 위에서 태수에게 지고 바닷물에 빠져 사망한다.(전라도 광주 출신 전국구 폭력조직 서방파 보스였던 김태촌을 모델로 삼은 인물)
: 윤재용 회장과 윤혜린의 고문변호사. 이종도에 의해 윤 회장이 죽고 혜린이 방황할 때 모든 뒤처리를 도맡으며 그의 뒤를 지켰다. 끝까지 윤 회장 가를 모신 몇 안 되는 가신이다.
: 국가안전기획부 실장. 카지노와 슬롯머신 허가권을 가지고 있는 인물로 윤재용 회장과 거래하였으나 윤 회장의 권력이 커지자 그 권력을 견제하기 위해 박태수를 영입하여 윤 회장을 파멸시킨다. 하지만 이종도의 공작으로 인해 박태수가 잡혀 들어가고 박태수가 탈주하여 이종도를 죽이고 강우석에 의해 체포되어 자신의 모든 비리사실이 밝혀지자 자멸한다.('6공 황태자'라는 별칭이 있던 제6공화국 정책보좌관 박철언을 모델로 한 인물)
: 강우석의 배우자. 결혼 전에는 우석이 세들어 살고 있는 하숙집 주인 딸이었다. 우석이 사법고시를 합격하고 검사가 되고 여기저기 정혼이 들어오자 우석을 사랑하고 있던 자신의 마음을 접으려 하지만 우석의 마음이 굳건하자 그와 결혼한다.
: 사회부 기자로 양심있는 언론기자이다. 강우석 세력에서 가장 큰 축을 담당하며 정치권과 암흑가가 유착한 진실을 파헤치는 데 앞장선다.
: 전국구 건달보스. 전라도에서 상경한 후 명동, 충무로에 자리를 잡고 있던 노주명파의 기세를 잡은 후 장도식의 손을 잡아 정치 테러 사건에 가담하고 태수와 종도 등 수하들의 도움으로 세를 크게 확장해 전국구 건달보스로서 거듭난다. 하지만 검경의 추적으로 인해 모든 조직자산을 부하들에게 분배하지만 자신이 원하는 구역을 태수한테 물려준 데 앙심을 품은 종도의 계략에 의해 경찰에 체포되어 감옥살이를 한다.
: 일명 백곰. 박성범의 부하이며 박태수-이종도의 형님이다. 성범의 지시로 신당 창당 정치 테러 사건에 앞장선 행동대장이며, 노주명이 장악한 카지노를 기습할 때 종도가 태수의 지시였다고 둘러대자 바로 옷을 챙겨 입고 뛰쳐나갈 만큼 태수를 신뢰한다. 후일 성범이 조직자산을 분배할 때 카지노를 배정받지만 종도의 계략으로 구속된다.
: 박성범의 부하이며 박태수-이종도의 형님. 박성범을 수행하던 수행원이면서 신당 창당 정치 테러 사건에도 앞장선 행동대장이다. 동생뻘이지만 의리가 깊은 태수를 깊이 신뢰하고 있다. 조직 자산 분배에서 주류 도매상을 책임지게 되지만 이종도의 계략으로 구속된다.

5. 사회적 영향

모래시계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격동의 대한민국 현대사를 세 명의 주인공의 삶을 통해 그려낸 드라마로,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5·18 광주민주화운동, 삼청교육대, YH 사건, 신민당 전당대회 각목 난동사건 등 실제 사건들과 인물들을 잘 조화시켜 대한민국 근현대사를 극적으로 그려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 드라마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귀가시계'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인기를 끌었으며, 이는 "귀가시계 신드롬" 부분에서 더 자세히 다루고 있다. 또한, 지역 민방 개국을 촉진하고, 5·18 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한 정치·사회적 논의를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다.

드라마에 삽입된 러시아 노래 주라블리 ("두루미")는 드라마의 인기와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비극적인 내용을 잘 표현하여 많은 사랑을 받았다.[7]

5. 1. "귀가시계" 신드롬

모래시계한국어는 방영 당시 "귀가시계"라는 별칭으로 불릴 정도로 높은 인기를 얻었다. 드라마가 방영될 시간에는 사람들이 모두 귀가하여 TV를 시청했기 때문에 거리가 한산해질 정도였다.[1]

1995년 1월 9일 첫 방송 시청률은 전국 기준 29.8%, 수도권 기준 30.7%를 기록했다.[1] 이후 시청률이 꾸준히 상승하여 2월 13일 방영된 21회는 전국 기준 65.7%의 최고 시청률을 기록했다.[1] 평균 시청률은 전국 기준 50.8%, 수도권 기준 50.5%였다.[1]

상세한 시청률은 아래 표와 같다.

회차서울전국
130.7%29.8%
232.5%34.1%
336.6%35.9%
437.8%36.9%
540.3%40.1%
641.5%41.7%
743.2%43.3%
843.8%43.9%
944.1%44.0%
1045.9%46.5%
1147.0%47.9%
1248.3%48.7%
1348.5%48.9%
1456.6%55.7%
1559.1%59.6%
1660.0%60.3%
1760.1%60.2%
1860.2%60.1%
1960.3%61.6%
2060.6%64.1%
2163.4%65.7%
2263.3%64.4%
2363.9%62.1%
2464.5%64.3%
평균50.5%50.8%


5. 2. 지역 민방 개국 촉진

이 드라마의 영향으로, 프로그램 제작국(키국)인 SBS(수도권 단독 방송)는 7개 지역 민방(PSB 부산방송(현 부산경남방송), TBC 대구방송, TJB 대전방송, kbc 광주방송, ubc 울산방송, JTV 전주방송, CJB 청주방송)을 개국하게 되었다.[16][17]

5. 3. 정치·사회적 논의 확산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다룬 점이 주목할 만하다. 드라마 방영 당시 금기시되었던 이 사건의 폭력적인 장면들(개인의 증언을 바탕으로 함)은 당시 한국인들에게 충격과 슬픔을 안겨주었다.[6] 드라마 방영 후, ''꽃잎''(1996)과 ''박하사탕''(2000)과 같이 이 주제를 다룬 영화들이 눈에 띄게 제작되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의 기소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그는 사건 발생 수십 년 만에 결국 투옥되었다.[6]

5. 4. 대중문화 영향

드라마 방영 당시 "모래시계"를 보기 위해 사람들이 일찍 귀가하여 거리가 한산해질 정도였기 때문에 '귀가시계'라는 별명이 붙었다.[16][17] 정부 관료, 학생, 회사원 등 많은 사람들이 "모래시계"를 보기 위해 귀가하면서 교통량이 줄고 술집 손님이 줄었다는 보고도 있었다.

"모래시계"는 한국 TV 드라마 역사상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드라마 중 하나로, 단일 에피소드 기준 64.5%의 시청률을 기록했다.[16][17]

순위제목시청률방영 날짜방송사
4모래시계64.5%1995년 2월 6일SBS



러시아 가수 이오시프 코브존의 노래 "주라블리"("두루미")가 드라마에 삽입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7] 많은 한국인들이 가사를 이해하지 못했지만, 이 노래는 드라마의 인기와 더불어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희생자들을 기리는 내용과 잘 어우러져 한국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노래 중 하나가 되었다.[7]

6. 평가 및 수상

《모래시계》는 1995년 방영 당시부터 뛰어난 작품성과 높은 인기를 바탕으로 다양한 상을 받았다.

연도시상식부문수상자결과
1995제31회 백상예술대상대상모래시계수상
드라마 작품상모래시계수상
연출상김종학수상
극본상송지나수상
남자 최우수 연기상최민수수상
남자 신인 연기상이정재수상
제22회 한국방송대상드라마 작품상모래시계수상
작가상송지나수상
연기자상최민수수상
제3회 SBS 연기대상대상최민수수상
남자 최우수 연기상박상원수상
남자 신인상이정재수상
1996제8회 한국PD대상대상모래시계수상
작품상모래시계수상


6. 1. 긍정적 평가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격동의 대한민국 현대사를 세 명의 주인공의 삶으로 그려냈으며, 5·18 광주민주화운동, 삼청교육대, YH 사건, 신민당 전당대회 각목 난동사건 등 실제 사건들과 인물들을 잘 조화시킨 대본과 뛰어난 연출력으로 대한민국 근현대사를 극적으로 그려낸 드라마라는 평을 받았다.[16][17] 방영 당시 평균 시청률 50.8%를 기록할 정도로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으며, '귀가시계'라고 불릴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모래시계》는 한국 방송 역사상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TV 드라마 중 하나로, 역대 시청률 순위는 다음과 같다.

순위드라마 제목시청률방영 날짜방송사
1그대 그리고 나66.9%1998-04-26MBC
2첫사랑65.8%1997-04-20KBS2
3사랑이 뭐길래64.9%1992-05-24MBC
4모래시계64.5%1995-02-06SBS
5허준63.5%2000-06-27MBC
6젊은이의 양지62.7%1995-11-12KBS2
7아들과 딸61.1%1993-03-21MBC
8태조 왕건60.2%2001-05-20KBS1
9여명의 눈동자58.4%1992-02-06MBC
10대장금57.8%2004-03-23MBC



드라마에 삽입된 러시아 가수 이오시프 코브존의 "주라블리" ("두루미")는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희생자들을 기리는 내용과 잘 어울린다는 평가를 받으며 큰 인기를 얻었다.[7]

6. 2. 비판적 평가

여명의 눈동자에서 연출과 극본을 맡았던 김종학 PD와 송지나 작가가 다시 제작한 드라마이다.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격동의 대한민국 현대사를 세 명의 주인공의 삶으로 그려내었다.

5·18 광주민주화운동, 삼청교육대, YH 사건, 신민당 전당대회 각목 난동사건 등 실제 사건들과 인물들을 잘 조화시킨 대본과 뛰어난 연출력으로 대한민국 근현대사를 극적으로 그려낸 드라마라는 평을 받았다. 방영 당시 평균 시청률 50.8%를 기록할 정도로 방영 기간 내내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당시 모래시계가 방영되는 시간이 되면 사람들이 이 드라마를 보기 위해 일찍 귀가해 거리가 한산할 정도여서 모래시계를 '귀가시계'라고 부르기도 했다.[16][17]

하지만, 폭력적인 장면 묘사가 지나치게 많고 폭력을 미화한다는 비판적인 평가도 있었다.

6. 3. 수상 내역

연도시상식부문수상자결과
1995제31회 백상예술대상대상모래시계수상
드라마 작품상모래시계수상
연출상김종학수상
극본상송지나수상
남자 최우수 연기상최민수수상
남자 신인 연기상이정재수상
제22회 한국방송대상드라마 작품상모래시계수상
작가상송지나수상
연기자상최민수수상
제3회 SBS 연기대상대상최민수수상
남자 최우수 연기상박상원수상
남자 신인상이정재수상
1996제8회 한국PD대상대상모래시계수상
작품상모래시계수상


참조

[1] 웹사이트 'The Sandglass' Voted Best Korean Soap Since 1980 http://english.chosu[...] 2009-02-11
[2] 웹사이트 History Cast Ashore http://asiapacificar[...] 2006-10-28
[3] 웹사이트 SBS: The Dawn of a New Golden Age http://www.yesasia.c[...] 2006-09-09
[4] 웹사이트 The fate of ''sandglass prosecutors'' http://english.donga[...] 2011-06-04
[5] 웹사이트 Sandglass (1995, SBS miniseries) http://www.koreanfil[...]
[6] 웹사이트 Sandglass (SBS TV Series) http://www.dvdtalk.c[...] 2006-10-19
[7] 웹사이트 러시아 음악 감상 / 'Crane(백학,두루미)' http://blog.joins.co[...] 2007-04-07
[8] 웹사이트 Director of ''Hourglass'' commits suicide https://www.koreatim[...] 2013-07-23
[9] 웹사이트 SBSplus,김종학 추모 '모래시계' 재방송 http://www.dailymail[...] 2013-07-29
[10] 뉴스 光州事件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 2008-07-15
[11] 웹사이트 砂時計 (1995) https://www.allcinem[...] スティングレイ
[12] 문서 李泳釆、韓興鉄、114頁
[13] 문서 「光州民衆抗争を、実際の記録映像を使って描いた」(李泳釆、韓興鉄、113頁)
[14] 문서 김종학 PD와 송지나 작가가 공동 설립한 드라마 제작사.
[15] 문서 수도권 방송으로, 비수도권 지역에선, 비디오 대여점에서 녹화 테이프를 빌려보기도 했었다.
[16] 뉴스인용 `모래시계` 다시본다...SBS 14일부터 재방송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1998-01-08
[17] 문서 강원도와 제주도는 2001년과 2002년에 개국하였기 때문에, 프로그램 제작국(키국)인 SBS 본사 프로그램을 볼 수 없었다. GTB(현 G1)와 JIBS 등 3차 지역 민방 개국 이전에 방영시기이다.
[18] 뉴스인용 신세대 장희빈 선보인다-SBS,신은경 캐스팅 추진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1994-12-06
[19] 뉴스인용 "모래시계" MBC"아들의 여자"맞서 주4회 연속편성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1995-01-19
[20] 뉴스인용 최재성 "'모래시계' 최민수 배역, 사실 내 것이었다" 깜짝 고백 http://entertain.nav[...] 엑스포츠뉴스 2014-08-02
[21] 뉴스인용 [김갑식의 오늘과 내일]배우 김영애의 모래시계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17-04-19
[22] 뉴스인용 ['핫(HOT)'한 생활체육을 찾아서] ⑥ 부산검도연합회 http://sports.news.n[...] 부산일보 2013-12-20
[23] 뉴스인용 <제재> 방송위, <토요일은 즐거워>에 경고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5-01-18
[24] 뉴스인용 폭풍의 6週(주)… 「모래시계」멎다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5-02-16
[25] 뉴스인용 '모래시계' 안방서 다시본다 http://news.chol.com[...] 일간스포츠 1997-03-19
[26] 뉴스인용 한류스타 없는 '모래시계', 11년만에 日진출 http://entertain.nav[...] 스타뉴스 2006-03-28
[27] 뉴스인용 `아는 형님` 블랙핑크 제니 "어머니, 이정재 좋아해... 모래시계 재희 때문에 제니 돼" https://www.mk.co.kr[...] 매일경제 2020-10-17
[28] 뉴스인용 제니 “이정재 때문에 이름 `제니` 됐다”...특별한 인연 https://www.mk.co.kr[...] 매일경제 2021-11-14
[29] 뉴스인용 [방송단신]SBS 금모으기 행사 外 http://www.joongang.[...] 중앙일보 1998-01-20
[30] 뉴스인용 <방송가 소식>...다시 인기끄는「모래시계」…시청률 30%대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1998-01-19
[31] 문서 수도권망 시청률은 30%, 지역망 시청률은 40%
[32] 뉴스인용 뮤지컬 '모래시계' 연출자, 24부작 압축 "솔직히 죽을 지경" https://entertain.na[...] 스타뉴스 2017-10-30
[33] 뉴스인용 SBS '아름다운 죄'(TV평) https://www.hankooki[...] 한국일보 1997-11-25
[34] 뉴스인용 조기종영…연장…사연많은 KBS2 드라마 '아씨'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998-03-11
[35] 뉴스인용 [방송] KBS2 드라마 <아씨>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1998-01-31
[36] 뉴스 드라마「아씨」KBS2 오후 9:05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98-01-11
[37] 뉴스 [방송] KBS2 드라마 <아씨>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1998-01-31
[38] 뉴스 '49세' 정혜영, 이런 얼굴로 '노안 고백' 이라니 https://entertain.na[...] 한국경제TV 2021-11-24
[39] 뉴스 [인터뷰on] 이승신 "늦게 발견한 '끼'…연기로 살려야죠" https://entertain.na[...] 세계일보 2009-10-16
[40] 뉴스 방송가 https://newslibrary.[...] 한겨레신문 1997-04-21
[41] 뉴스 <방송>SBS「미아리 일번지」,딸파는 장면 파문일듯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7-06-25
[42] 뉴스 <방송>SBS, 새 시트콤 3월2일 방영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8-02-2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