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스크바 지하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스크바 지하철은 1875년 최초 계획이 수립된 이후 여러 차례의 시도를 거쳐 1935년 개통되었다. 현재 13개의 지하철 노선과 4개의 기타 철도 노선을 운영하며, 총 250개의 역과 598.8km의 노선을 갖춘 대규모 지하철 시스템이다. 스탈린 시대의 건축 양식과 현대적인 디자인이 공존하며, 05:25부터 01:00까지 운행한다. 2017년 기준 하루 평균 699만 명이 이용하며, 트로이카 카드, 생체 인식 결제 등 다양한 요금 지불 방식을 지원한다. 1977년, 2000년, 2010년 등 여러 차례 테러 사건과 1982년 에스컬레이터 붕괴 사고, 2014년 열차 탈선 사고 등 사건 사고가 있었으며, 음모론적으로는 핵 공격 시 대피를 위한 비밀 지하철 시스템인 메트로-2의 존재가 거론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스크바주의 교통 - 사라토프 항공 703편 추락 사고
    사라토프 항공 703편 추락 사고는 2018년 2월 11일 모스크바에서 오르스크로 향하던 여객기가 이륙 6분 만에 추락하여 탑승자 71명 전원이 사망했으며, 조종사의 실수로 인한 피토 튜브 결빙이 사고 원인으로 밝혀졌다.
  • 모스크바 지하철 - 2010년 모스크바 지하철 폭탄 테러
    2010년 3월 29일 모스크바 지하철 소콜니체스카야 선의 루뱐카 역과 파르크 쿨투리 역에서 발생한 연쇄 자살 폭탄 테러로 41명이 사망하고 88명이 부상당했으며, 캅카스 에미레이트가 배후로 지목되었다.
  • 모스크바 지하철 - 메트로-2
    메트로-2는 냉전 시대 소련에서 주요 정부 기관과 벙커를 연결하기 위해 건설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비밀 지하철 시스템으로, 러시아 정부는 공식적으로 존재를 인정하지 않지만, 정황 증거와 일부 정부 관계자 증언 등을 통해 그 실체가 일부 확인되었다.
모스크바 지하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모스크바 지하철
로마자 표기Moskovskiy Metropoliten
원어 이름Московский метрополитен
운영 기관모스크바 메트로 공사
운영 도시모스크바, 코텔니키, 크라스노고르스크, 류베르치, 레우토프
개통일1935년 5월 15일
노선 수19개 (모스크바 모노레일 및 모스크바 중앙 순환선 포함)
역 수297개
총 연장519.4km
궤간1520mm
전철화 방식825 V DC 제3궤조 방식, 3 kV DC 가공 전차선
평균 속도39.54km/h
최고 속도80km/h
1일 평균 이용객 수750만 명
1일 최대 이용객 수971만 5천 명 (2014년 12월 26일)
연간 이용객 수25억 명 (2018년)
웹사이트모스크바 지하철 공식 웹사이트
모스크바 지하철 로고
로고
콤소몰스카야 역 중앙 홀
소콜니키 역 중앙 홀
루먄체보 역 중앙 홀
아르바츠카야 역 (4호선) 지상 대합실
크로폿킨스카야 역 지상 대합실
아르바츠카야 역 (3호선) 중앙 홀
파르크 쿨투리 역 중앙 홀
플로샤디 레볼류치 역 중앙 홀
트로파료보 역 지상 대합실
크라스니예 보로타 역 지상 대합실
비블리오테카 이메니 레니나 역 중앙 홀
트로파료보 역 중앙 홀
소콜 역 중앙 홀
마야콥스카야 역
운영 정보
최고 경영자빅토르 코즐로프스키
배차 간격출퇴근 시간: 1.3 - 1.7분
비출퇴근 시간: 2.5 - 10분
추가 정보
모스크바 메트로의 특징러시아 최대의 지하철 시스템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지하철 시스템 중 하나
예술적인 디자인으로 유명한 역들이 많음
모스크바 모노레일
총 연장4.7 km
역 수6개
전철화 방식600 V 제3궤조 방식
최고 속도60 km/h
모스크바 중앙 순환선
총 연장54 km
역 수31개
전철화 방식3500 V 가공 전차선
최고 속도120 km/h

2. 역사

누렇게 변색된 종이에 타이핑된 문서, 손으로 쓴 메모가 있다
소비에트 정부의 모스크바 지하철 건설 결의안


1935년 모스크바 지하철 1호선 개통을 기념하는 소비에트 우표


모스크바 지하철 확장(1935~2019) GIF 애니메이션


바움스카야 역에 있는 소비에트 노동자를 상징하는 조각상


1944년 파르티잔스카야 역에 있는 소비에트 파르티잔 조야 코스모데먄스카야 기념비


키예프스카야(3호선)(1954년)는 당시 소련의 일부였던 우크라이나의 삶을 묘사하는 여러 예술가들의 모자이크로 장식되어 있다.


모스크바 지하철의 정식 명칭은 1955년부터 '''레닌 훈장과 노동 적색기 훈장 수훈 모스크바 V.I. 레닌 지하철'''(Московский ордена Ленина и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метрополитен имени В.И. Ленинаru)이었으며, '''V.I. 레닌 지하철'''(Метрополитен им. В.И. Ленинаru)로 줄여서 사용되었다. 1990년대와 2000년대에는 새로 건설되거나 재건축된 역의 표지판에서 레닌의 이름이 제외되었지만, 2016년 지하철 대표는 레닌의 이름이 회사의 공식 명칭과 일치하기 때문에 역 이름판에 남아있을 것이라고 밝혔다.[6]

지하철의 첫 번째 공식 명칭은 라자르 카가노비치를 기념하여 '''L. M. 카가노비치 지하철'''(Метрополитен им. Л.М. Кагановичаru)이었다.[7] 1947년 지하철이 레닌 훈장을 받으면서 '''레닌 훈장 수훈 모스크바 L. M. 카가노비치 지하철'''(Московский ордена Ленина Метрополитен им. Л. М. Кагановичаru)로 개명되었다. 1955년 지하철이 개명되었을 때, 오호트니 랴드 역은 라자르 카가노비치를 기념하여 "이메니 카가노비차"로 개명되었다가 1957년 원래 이름으로 복원되었다.[8]

모스크바 지하철 1호선이 1935년 개통되었을 당시 'МЕТРО'라는 글자와 함께 대문자 M을 쌍으로 사용하는 최초의 로고가 등장했다. 1935년 개통 당시 로고의 M자는 명확한 형태를 갖추고 있지 않았다.[9] 2014년, 모스크바 지하철은 모스크바 교통의 광범위한 리브랜딩의 일환으로 네트워크 표준 로고를 채택했다.[10]

모스크바 지하철 시스템에 대한 최초의 계획은 러시아 제국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제1차 세계 대전, 10월 혁명, 러시아 내전으로 인해 연기되었다.

2. 1. 초기 계획 (러시아 제국 시대)

러시아 제국 시대에 모스크바 지하철 시스템에 대한 최초의 계획이 나왔지만, 제1차 세계 대전, 10월 혁명, 러시아 내전으로 인해 연기되었다.

1875년에 쿨스카야 역에서 루뱌얀카 광장과 트루브나야 광장을 거쳐 마리나 로샤에 이르는 노선 계획이 제안되었으나 실현되지 않았다.

1902년에는 기술자 표트르 바린스키와 예브게니 크누레가 자모스크보레치예-트베르스카야 구간을 지하철로 연결하는 계획을 제안했다. 그러나 시의회는 계획의 미비와 모스크바 트램 단체의 영향으로 이 제안을 거절했다.

같은 해, 철도 기술자 A. I. 안토노비치, N. I. 고리네비치, N. P. 드미트리예프에 의해 모스크바 시 철도 계획이 수립되었다. 이 계획에서는 도시 중심부를 달리는 지하선과 교외를 달리는 지상선 또는 고가선이 제안되었다.

1913년, 모스크바 시 정부는 3개의 방사형 지하철 노선으로 구성된 독자적인 지하철 건설 계획을 작성했다. 1914년 봄, 칼리트니키에서 첫 차고 건설이 시작되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계획은 중단되었다.

1916년에는 전기 기술자 M. K. 폴리바노프에 의해 3개의 방사형 지하철 터널이 주요 노선에 연결되고, 교외를 달리는 노선은 전철화된다는 상세한 계획이 제안되었다.

1923년, 모스크바 지하철 건설 계획은 외국 기업인 지멘스에 발주되었다. 80km의 터널과 86개의 역 건설을 포함하는 지멘스의 계획은 1925년에 완성되었으나 자금 부족으로 실현되지 못했다. 같은 해에 밐니츠키 방사형 노선 계획도 수립되었지만, 역시 실현되지 못했다.

1923년, 모스크바 시 의회는 모스크바 도시 철도 위원회에 지하철 설계 사무소를 설립했다. 이 사무소는 예비 연구를 수행했고, 1928년까지 소콜니키에서 시내 중심부까지 이어지는 첫 번째 노선에 대한 프로젝트를 개발했다. 1931년 6월,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모스크바 지하철 건설을 시작하기로 결정했다. 1932년 1월 첫 노선 계획이 승인되었고, 1933년 3월 21일 소비에트 정부는 총 길이 80km의 10개 노선 계획을 승인했다.

최초의 노선들은 라자르 카가노비치가 설계한 모스크바 일반 계획을 사용하여 건설되었으며, 지하철은 1955년까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7] 모스크바 지하철 건설 기술자들은 런던 지하철의 기술자들과 협의했다. 특히, 찰스 홀든과 프랭크 픽을 모스크바 지하철 시스템의 자문으로 고용했다.[24] 이러한 연관성 덕분에, 1947년에 완공된 건츠 힐 역의 디자인은 모스크바 지하철역을 연상시킨다.[25][26]

소련 노동자들이 노동과 예술 작품을 담당했지만, 주요 엔지니어링 설계, 노선 및 건설 계획은 런던 지하철에서 영입한 전문가들이 담당했다. 영국 측은 "개착 공법" 대신 터널링, 엘리베이터 대신 에스컬레이터 사용, 노선 및 차량 설계를 요구했다.[27] 그러나 NKVD의 편집증으로 인해 비밀 경찰이 수많은 영국 엔지니어를 간첩죄로 체포하고 사법 모의 재판을 통해 1933년 추방하면서 소련에서의 영국 기업의 역할은 종식되었다.[28]

A. I. 안토노비치, N. I. 고리네비치, N. P. 드미트리예프 등에 의한 1902년 모스크바 도시철도 계획


지하철 1호선 건설


모스크바 지하철 70주년 기념 러시아의 소형 시트(2005년)

2. 2. 소비에트 연방 시대

1935년 5월 15일 모스크바 지하철이 처음 개통되었을 때, 노선은 11.5km에 13개 역을 포함했으며 14대의 열차가 운행되었다.[29] 첫 노선은 소콜니키에서 오호트니 랴드를 거쳐 파르크 쿨투리까지 이어졌고, 스몰렌스카야로 가는 지선이 있었다.[32] 이 지선은 1937년 키예프스카야까지 서쪽으로 연장되어 스몰렌스크 지하철 다리를 통해 모스크바 강을 건너는 첫 번째 지하철 노선이 되었다.

독소전쟁 발발 전, 1938년 3월에는 아르바츠코 포크롭스카야 선이 쿠르스카야 역까지 연장되었고, 1938년 9월에는 자모스크보레츠카야 선이 소콜과 테아트랄나야 사이에 개통되었다. 이 시기에는 마야코프스카야 역과 같이 인기 있는 아르데코 양식을 사회주의적 주제와 결합한 역들이 건설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모스크바 지하철은 독일군의 공습을 피하기 위한 대피소로 사용되었다. 1941년 10월, 독일군이 모스크바 근처까지 진격하자 지하철 책임자 카가노비치는 지하철 폭파 명령을 내렸지만, 다음날 저녁 독일군의 진격이 멈추면서 명령은 취소되고 지하철 운행이 재개되었다.

전쟁 중에도 지하철 건설은 계속되어, 1943년 1월에는 테아트랄나야에서 아브토자보드스카야 구간이, 1943년 11월에는 파벨레츠카야 역과 노보쿠즈네츠카야 역이 개통되었다. 1944년 1월에는 쿠르스카야 역에서 파르티잔스카야 역을 잇는 구간이 완성되었다. 이 역들의 건축 디자인에는 전쟁 모티브가 사용되었다.

전쟁 후, 콜체바야 선과 플로샤치 레볼류치 역에서 키예프스카야 역까지의 공사가 재개되었다. 콜체바야 선은 1950년 쿠르스카야 역에서 벨로루스카야 역 구간이 개통되었고, 1954년에 현재와 같은 순환선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냉전 시기에는 아르바츠코-포크로프스카야 선의 깊은 구간이 건설되었는데, 이는 핵전쟁 발생 시 대피소로 사용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1953년 이 구간이 완공된 후, 기존 구간은 폐쇄되었다가 1958년 필룝스카야 선의 일부로 다시 개장되었다.

모스크바 지하철의 초기 역들은 사회주의 리얼리즘 양식을 반영하여 화려하게 장식되었으며, "빛"과 "밝은 미래"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스탈린주의 건축 양식은 지하 구조물의 강도를 보여주는 데에도 유용했다.

1950년대 후반부터 니키타 흐루쇼프의 지시에 따라 새로운 지하철역은 실용적인 "미니멀리즘" 디자인으로 건설되었으며, 대부분 동일한 정사각형 세라믹 타일로 덮여 있어 역들이 서로 비슷하게 보였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부터 건축적 화려함이 부분적으로 회복되어, 다양한 디자인의 역들이 다시 등장하기 시작했다.

2. 3. 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붕괴 직전인 1990년 류블린스카야 선 건설이 시작되었다.[93]

2009년 12월, 아르바츠코 포크롭스카야 선은 키옙스카야역에서 미티노역까지 연장되었다. 같은 해, 류블린스코 드미트롭스카야 선은 츠칼롭스카야역에서 마리나 로샤역까지 노선을 확장했다. 2010년 5월 15일 모스크바 지하철은 개통 75주년을 맞아 모든 역에 해당 역이 건설된 날짜와 건축가의 이름이 새겨진 청동 기념판을 세웠다.[94]

1969년 8월 11일부터 2019년 10월 26일까지 모스크바 지하철에는 3개 역을 포함한 길이의 카호프스카야 선이 있었으나, 장기간의 재건축으로 폐쇄되었다. 2021년 12월 7일, 카호프스카야역이 볼샤야 콜체바야 선의 일부로 재건축 후 재개통되었다. 새롭게 단장된 바르샤프스카야역과 카시르스카야역은 볼샤야 콜체바야 선의 일부로 재개통되었으며, 볼샤야 콜체바야 선은 2023년 3월 1일에 완전 개통되었다. 새로운 역으로는 페차트니키, 나가친스키 자톤, 클레노비 불바르 역이 포함된다.[23]

3. 노선

모스크바 지하철은 현재 총 13개의 지하철 노선(경전철 노선 1개 포함)과 1개의 모노레일 노선, 그리고 4개의 기타 철도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노선은 이름, 번호(또는 문자), 색상으로 구분된다.[16]

대부분의 노선은 모스크바 중심부에서 외곽으로 뻗어 나가는 방사형 구조이며, 콜체바야 선(5호선)은 이러한 방사형 노선들을 연결하는 19.3km 길이의 순환선이다. 모스크바 중앙 순환선(14호선)과 볼샤야 콜체바야 선(11호선)은 각각 54km와 71km 길이의 순환선으로, 중간 외곽 지역에서 방사형 노선들을 연결한다.[13]

필룝스카야 선, 부톱스카야 선, 모스크바 중앙 순환선은 대부분 지상 구간을 운행한다.

모스크바 지하철은 궤간을 사용하며, 대부분의 노선은 825V 직류 제3궤조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받는다. 13호선(모노레일)과 14호선은 예외이다.[14]

역 간 평균 거리는 1.7km이며, 델로보이 센터와 메즈두나로드나야 역 사이가 502m로 가장 짧고, 크릴라츠코예와 스트로기노 역 사이가 6.62km로 가장 길다. 역 간 거리가 길어 평균 41.7km/h의 속도로 운행한다.

개통 시간은 오전 5시 25분, 운행 종료 시간은 다음날 오전 1시이다.[14] 출퇴근 시간에는 최소 90초 간격으로 열차가 운행된다.[1]

2014년 12월부터 모든 노선에서 무료 Wi-Fi를 이용할 수 있다.[15]

방사형 노선에서는 도심 방향 열차는 남성, 외곽 방향 열차는 여성의 목소리로 안내 방송을 한다. 순환선에서는 시계 방향은 남성, 반시계 방향은 여성의 목소리로 안내한다.[16]

3. 1. 노선 목록

노선노선명러시아어첫 개장마지막 건설거리
소콜니체스카야 선Сокольническая|Sokolnicheskayaru1935년2019년44.5km26
자모스크보레츠카야 선Замоскворецкая|Zamoskvoretskayaru1938년2017년42.8km24
아르바츠코 포크롭스카야 선Арбатско-Покровская|Arbatsko-Pokrovskayaru1938년2012년45.1km22
필룝스카야 선Филёвская|Filyovskayaru1958년2006년14.9km13
콜체바야 선(순환선)Кольцевая|Koltsevayaru1950년1954년19.3km12
칼루시스코 리시스카야 선Калужско-Рижская|Kaluzhsko-Rizhskayaru1958년1990년37.8km24
타간스코 크라스노프레스넨스카야 선Таганско-Краснопресненская|Tagansko-Krasnopresnenskayaru1966년2015년42.2km23
칼리닌스코 솔른쳅스카야 선Калининско-Солнцевская линия|Kalininsko-Solntsevskaya liniyaru1979년2012년16.5km8
솔른쳅스카야 선Солнцевская линия|Solntsevskaya liniyaru2014년2018년24.9km12
세르푸홉스코 티미랴젭스카야 선Серпуховско-Тимирязевская|Serpukhovsko-Timiryazevskayaru1983년2002년41.5km25
류블린스코 드미트롭스카야 선Люблинско-Дмитровская|Lyublinsko-Dmitrovskayaru1995년2023년38.3km26
볼샤야 콜체바야 선(대순환선)Большая кольцевая|Bolshaya koltsevayaru2018년2023년71km31
부톱스카야 선*Бутовская|Butovskayaru2003년2014년10km7
모스크바 모노레일Монорельс|Monorel'sru2004년2004년4.7km6
모스크바 중앙 순환선Московское центральное кольцо|Moskovskoye tsentralnoye koltsoru2016년2016년54km31
네크라솝스카야 선Некрасовская|Nekrasovskayaru2019년2020년22.3km8
트로이츠카야 선Троицкая|Troitskayaru2024년8.3km4
모스크바 광역전철 D1선МЦД-1 Белорусско-Савёловский диаметр|MTsD-1 Belorussko-Savyolovskiy diametrru2019년2020년52km24
모스크바 광역전철 D2선МЦД-2 Курско-Рижский диаметр|MTsD-2 Kursko-Rizhskiy diametrru2019년2023년80km34
모스크바 광역전철 D3선МЦД-3 Ленинградско-Казанский диаметр|MTsD-3 Leningradsko-Kazanskiy diametrru2023년2023년
모스크바 광역전철 D4선МЦД-4 Калужско-Нижегородский диаметр|MTsD-4 Kaluzhsko-Nizhegorodskiy diametrru2023년2023년
총합:598.8km328


  • 부톱스카야 선은 경전철 노선이다.


각 노선은 이름, 영숫자 색인(대개 숫자), 색상으로 구분된다.[16] 볼샤야 콜체바야 선, 류블린스코-드미트로프스카야 선, 부토프스카야 선은 녹색과 청색 계열 색상이 할당되지 않았다.[17] 시내 중심부로 향하는 열차(콜체바야 선은 시계 방향)는 남성, 시내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열차(순환선은 반시계 방향)는 여성의 목소리로 다음 역을 안내한다.[16]

모스크바 모노레일은 티미랴제프스카야역과 VDNKh역 사이 4.7km 구간, 6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4년부터 "관광 모드"로 운영되다가 2008년 1월 공식 개통되었다.

4. 역

모스크바 지하철 역의 형태와 디자인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다. 초기에는 사회주의 리얼리즘 양식의 화려한 디자인이 주를 이루었으나, 21세기에는 국제적이고 중립적인 스타일이 도입되었다.

1935년 개업과 함께 "М"자 로고가 발표되었다. 이 로고는 МЕТРОru(지하철)의 머리글자를 딴 것이다. 2013년까지 통일된 CI가 없어 다양한 로고가 사용되었으나, 2014년 알체미 레베데프 스튜디오(Студия Артемия Лебедева)ru가 기존 로고를 바탕으로 통일된 로고를 발표하면서 모스크바 지하철의 브랜드 이미지를 확립했다.

4. 1. 주요 역

모스크바 지하철에는 총 250개의 역이 있으며, 이 중 88개는 지하 깊은 곳에, 123개는 지하 얕은 곳에, 12개는 지상에, 5개는 고가에 위치해 있다.

지하 깊은 곳에 위치한 역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3중 아치 파일론 역: 55개
  • 3중 아치 기둥 역: 19개
  • 단일 궁륭 역 역: 1개


지하 얕은 곳에 위치한 역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스팬 기둥 역: 79개 (대부분 "지네" 디자인을 따름)
  • 단일 궁륭 역: 33개 (하르키우 기술)
  • 단일 스팬 역: 4개


그 외에도 지상 역 12개, 고가 역 4개, 다리 위에 위치한 역 1개(보로뵤비 고리)가 있다. 두 개의 역은 선로가 3개이고, 하나는 이중 대합실을 가지고 있다. 7개의 역은 측면 승강장을 가지고 있으며(그중 지하에 있는 것은 하나뿐이다). 또한, 차량 기지 내에 임시 역 두 개가 있었다.

스탈린 정권 하에 건설된 역들은 사회주의 리얼리즘 양식으로, 지하의 "인민의 궁전"을 목표로 했다. 콤소몰스카야, 키예프스카야, 마야코프스카야와 같은 역들과 1935년 이후 건설된 다른 역들은 관광 명소이다. 사진 촬영에 적합한 건축물, 거대한 샹들리에, 정교한 장식은 20세기 도시 교통 시스템에서는 보기 드문 것이다.[48]

21세기에 개통된 역들은 국제적이고 더 중립적인 스타일의 영향을 받았으며, 기술적 품질이 향상되었다.[48]

미추린스키 프로스펙트는 모스크바 지하철 최초의 반지하 역이다.

프룬젠스카야 (1957)


레닌스키 프로스펙트 (1962)


카호프스카야 (1969) (2021년 재건축 이후)


트레차코프스카야 (초기 역, 1971)


샤볼로프스카야 (1980)


트레차코프스카야 (인접 추가 역, 1986)


콘코보 (1987)


티옵리 스탄 (1987)


림스카야 (1995)


파르크 포베디 (2003)


슬라뱐스키 불바르 (2008)


노보코시노 (2012)


코시노 (2019)

5. 차량

초기부터 모스크바 지하철 승강장은 8량 열차를 수용하기 위해 최소 155m 길이로 건설되었다. 그러나 필리오프스카야 선의 비스타보치나야역, 메즈두나로드나야역, 스투덴체스카야역, 쿠투조프스카야역, 필리역, 바그라티오노프스카야역, 필리오프스키 파르크역, 피오네르스카야역은 6량 열차만 운행할 수 있다. 쿤체프스카야역을 제외하면 해당 노선의 모든 지상역이 이에 해당된다.

자모스크보레츠카야 선, 칼루즈스코-리즈스카야 선, 타간스코-크라스노프레스넨스카야 선, 칼리닌스카야 선, 솔른체프스카야 선, 볼샤야 콜체바야 선, 세르푸호프스코-티미랴제프스카야 선, 류블린스코-드미트로프스카야 선, 네크라소프스카야 선은 8량 열차가 운행된다. 소콜니체스카야 선은 7량 또는 8량, 초기 콜체바야 선은 7량, 필리오프스카야 선은 6량 열차가 운행된다. 아르바츠코-포크로프스카야 선은 한때 7량의 81-717형 열차가 운행되었지만, 현재는 다른 유형의 5량 열차가 운행된다. 부토프스카야 선은 다른 유형의 3량 열차가 운행된다.

대부분의 차량은 길이 19m, 너비 2.65m이며, 한쪽 면에 4개의 문이 있다. 81-740/741 루시치는 이와 크게 다르며, 3량짜리 루시치는 일반적인 4량 열차와, 5량짜리 루시치는 일반적인 7량 열차와 거의 같다.

모스크바 지하철 차량
차량납품 기간운행 기간
А/Б ("A/B")1934–19391935–1975
B ("V", 초기 C)1927–19301946–1968
Г ("G")1939–1940, 1946–19561940–1983
Д ("D")1955–19631955–1995
E/Ем/Еж ("E/Em/Ezh")1959–19791962–2020
81-717/81-714 "노머르노이"1976–20111977 - 이후
И ("I", 81-715/716)1974, 1980–1981, 1985
81-720/721 "야우자"1991–20041998–2019
81-740/741 "루시치"2002–20132003 이후
81-760/761 "오카"2010–20162012 이후
81-765/766/767 "모스크바"2016–20202017 이후
81-775/776/777 "모스크바 2020"2020 이후2020 이후
81-785/786/7872024 이후2024 이후



V형 열차는 1945년부터 1969년까지 베를린 지하철 C형 열차였으며, 1970년 완전히 폐차될 때까지 운행되었다. 이 열차들은 소련 점령 기간 동안 베를린 지하철에서 반입되었다. A형과 B형 열차는 개통 이후 주문 제작되었다.

E형


현재 모스크바 지하철은 81계열 열차만 운행하고 있다.

몇몇 노선의 궤도 차량은 경전철 지하철 노선용으로 설계된 81-740/741 루시치(Rusich) 관절 열차로 교체되었다. 부토프스카야 선은 더 짧은 96m 승강장을 가지고 있으며, 3량으로 구성된 81-740/741 관절 열차가 운행된다.

모스크바 모노레일에서는 6량의 짧은 차량으로 구성된 인타민 P30 열차가 사용된다. 모스크바 중앙순환선에서는 5량으로 구성된 ES2G 라스토치카 열차가 사용된다.

ES2G 라스토치카 열차 (모스크바 중앙순환선 노선에서 운행)


모스크바 지하철은 러시아의 일반 철도와 같은 1520㎜ 궤간을 사용한다. 전력 공급에는 제3궤조 방식을 사용하며, 825V의 표준 전력을 공급한다. 열차의 평균 속도는 시속 46~72km/h이다.

모스크바 지하철의 차량은 대부분 제3궤조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전동차이다. 대부분 여객용이지만, 업무용으로 개조된 차량도 있다. 지하철에서는 열차 번호가 아닌 차량별 번호가 부여되며, 차량의 형식은 차체에 표기되지 않는다.

모스크바 지하철의 모든 차량은 전리품인 독일제 V형 차량을 제외하고는 3개의 국내 제조업체에서 제작되었다. 그 업체들은 묘티시 기계 제조 공장(주식회사 메트로바곤마시), 예고로프 기념 LVZ(현재의 합자회사 바곤마시 사), 옥탸브리스키 전차 수리 공장이다.

모스크바 지하철에서는 5세대에 걸친 차량을 사용하고 있지만, 현재 차량 교체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시리즈형식외관제작년도운용년도차량 수좌석 수설명
A형 / B형A형 (Am)
1934—19371935—197555 편성52제어전동차(0번대)와 제어차(1000번대)의 2량 편성. 제어전동차 1, 21과 제어차 1031의 3량이 모스크바 지하철에서 운용되었고, 폐차 후 바쿠 지하철 개업용으로 사업용 차량으로 양도된 제어차 1001이 원형으로 복원되어 동태 보존되고 있다.
B형 (Bm)
1937—19391937—197581 편성52A형 차량의 마이너 체인지 형식. 주요 변경 사항으로는 도어 시스템 안전 장치 추가가 있다. 완전한 형태의 보존 차량은 존재하지 않는다.
V형V-1, V-4
4도어
1926—1927
1946년 모스크바 지하철로 이전
1947—1968444전리품인 베를린 지하철의 C-1, C-2 및 C-3형을 개조한 것. V-2와 V-3형 차량은 제어전동차로, V-1(이전의 C1)은 제어차로 사용되었다. V-1의 일부는 전장화 과정에서 V-4형으로 개번되었다.
V-1, V-4
3도어
1926—1927
1946년 모스크바 지하철로 이전
1947—19682044/52
V-2
150px
1929—1930
1946년 모스크바 지하철로 이전
1947—19655944
V-3
80px
1929—1930
1946년 모스크바 지하철로 이전
1947—19582744
G형 / D형G (81-701)
1939—1940
1947—1955
1941—198338552이 형식부터 전동차 방식을 채택했다. B형에 비해 차체가 경량화되었고 외관도 크게 변경되었다. 모스크바 지하철에서 №530이 동태 보존되고 있다.
D (81-702)
M5, UM5 (81-700)
1949—19631956—19948944G형의 개량형. 차체가 경량화되었고, 좌석 배치도 변경되었으며, 차체 하부 장비도 개량되었다. 1949년에 제작된 최초의 6량은 M5(UM5)형으로 등장한 후 D형에 편입되었다. UM5로 제작된 № 806과 처음부터 D형으로 제작된 № 2037의 2량이 모스크바 지하철에서 동태 보존되고 있다.
E형R (81-703)1959—19691960—200859640비드가 있는 차체를 채택했고, 도어와 좌석 배치는 D형에서 변경되었다. Ezh/Em형 및 그 파생형과 혼성 편성을 구성했다. 모스크바 지하철에서 № 3605가 동태 보존되고 있다.
Em-508/Em-509 (81-508/509)
150px
1970—19731970—2010171 Em508
62 Em509
42E형을 기반으로 차체 하부 장비를 변경했고, 도어 및 좌석 배치는 D형과 같은 것으로 되돌아갔다. Em-509는 선두 차량, Em-508은 중간 차량으로 사용되었다. № 3941이 동태 보존되고 있다.
Ezh (81-707), Ezh-1 (81-708)
1970—19731970—201031542외관은 Em형과 거의 동일하다. E형과 Em형과 편성되었다. № 5170이 동태 보존되고 있다.
I형I-1형 (81-715.1/716.1)
19742 제어차
1 전동차
(1 편성)
40/44차세대 알루미늄 합금 차체의 시험 차량으로 먼저 중간 차량이 등장했고, 내외장이 각각 다른 3편성이 제작되었다.
I-2형 (81-715.2/716.2)
1980—19813 제어차
4 전동차
(1 편성 + 1 제어차)
40/44
I-3형 (81-715.3/716.3)
19854 제어차
4 전동차
(2 편성)
40/44
81-720.1/721.1
LVZ 제작
81-720.1/721.1
19901 제어차40/44차량 81-550/551/552의 시제품이다. 시험용 선두 차량 81-720.1 1량이 발표되었고, 3량의 탐상기차 81-717/714가 제작되었다. 81-717/714를 기반으로 더 긴 객실과 비동기 기어를 갖추었다. 2009년 9월부터 운용.
81-720/721형 "야우자"81-720/721 "야우자"
1991—20021998—201918 제어차
42 전동차
(9 편성)
36/3681-720은 선두 차량, 721은 중간 차량이다. I형 차량의 최신 버전으로 스테인리스 차체를 갖추었다. 기본형 차량은 집전장치가 있고, 파생형 A와 .1은 비동기식이다. 파생형 A형 시험 차량은 현재 폐차되었다.
81-720A/721A "야우자"
20002 제어차
1 전동차
36/36
81-720.1/721.1 "야우자"
20042005—20198 제어차
20 전동차
(4 편성)
36/36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style="font-size:85%"

! 시리즈

! 차량 형식

! 외관

! 제작년도

! 운행 개시년도

! 운행 노선

! 차량 수

! 좌석 수

! 설명

|-

!E형

|Ezh3형, Ezh6형, Em508T형

|



|1973—1979

|1973

|

|207 Ezh-3
10 Ezh-6
410 Em-508T


|42

|style="text-align:left"|Ezh/Em형의 개량형. Ezh-3형은 선두차와 중간차로 사용되며, Em-508T형은 중간차로 사용된다. Ezh-6형은 Ezh-3형과 큰 차이가 없으며, 객차 편성에서는 중간차로 사용되었다. 중간차의 객실은 현대화 과정에서 폐차되었고, 백열전구는 형광등으로 교체되었다.

|-

!rowspan="5"|81-717/714형

|81-717/714형

|


|1976—1988

|1978-

|


|414 제어차
1055 동력차


|42/48
또는
40/44

|rowspan="3" style="text-align:left"|81-717형은 선두차이고, 714형은 중간차이다. 비공식 별칭은 "번호형"(문자 명칭이 없기 때문)이며, 최초의 양산형 차량은 측면 출입문이 없는 객실과 객실이 없는 중간차를 가지고 있다. .5형과 .5M형은 보다 새로운 전기 장비의 사용으로 차이가 있다.

|-

|81-717.5/714.5형

|


|1987—1995

|1987

|


|199 제어차
552 동력차


|42/48
또는
40/44

|-

|81-717.5M/714.5M형

|


|1993—2010

|1993-

|




|284 제어차
816 동력차


|42/48
또는
40/44

|-

|81-717.5A/714.5A형

|


|2010

|2010-

|

|2 제어차
5 동력차
(1 편성)

|42/48

|style="text-align:left"|구형 복원형인 81-717/714.5M형은 A형 차량을 기반으로 설계된 살롱 객실을 갖추고 있다.

|-

|81-717.6/714.6형 (.6К)

|


|2007, 2009, 2011

|2009-

|

|2 제어차
6 동력차
(1 편성 .6K)
22 제어차
66 동력차
(11 편성 .6)

|40/44

|style="text-align:left"|81-717/714형의 파생형으로 운전실과 살롱 객실을 갖추고 있다. 대류식 배기 환풍기는 자동식이 되었고, 출입문은 전기 제어식이 되었다. 81-717.5M/714.5M형에서 개량된 최초의 .6K형 편성은 현재 운행되지 않는다.

|-

!rowspan="3"|81-740/741형 "루시치"

|81-740/741형 "루시치"

|


|2002—2004

|2003-

|

|29 제어차
14 동력차
(14 편성 + 제어차)


|24+30 / 30+30

|rowspan="3" style="text-align:left"|81-740형은 선두차이고, 741형은 중간차이다. 모스크바 지하철에서 유일하게 소반경 곡선의 경전철을 위해 2절식 3선도 차량을 비표준 크기 차량과 연결한 형식이다. .1형 파생 차량은 기본형과 장비(러시아산 마찰 구동)가 다르며, .4형은 출입문 수가 증가(1량당 2개에서 3개로)하고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다.

|-

|81-740.1/741.1 "루시치"

|


|2004—2009

|2005-

|


|160 제어차
220 동력차
(80 편성)


|24+30 / 30+30

|-

|81-740.4/741.4 "루시치"

|


|2008—2013

|2009-

|



|132 제어차
178 동력차
(66 편성)


|24+22 / 20+22

|-

! rowspan="2" |81-760/761형 "오카"

|81-760/761형 "오카"

|


|2010—2016

|2012-

|



|324 제어차
972 동력차
(162 편성)


|40/44

|rowspan="2" style="text-align:left"|81-760형은 선두차이자 동력차이며, 761형은 중간차이자 동력차, 763형은 중간차이자 무동력차이다. 이 형식은 구형 크기이며, "루시치"호의 기본 기술을 기반으로 차체가 제작되었다(차륜과 추진 기어). A형에는 통로 연결대가 설치되었다.

|-

|81-760A/761A/763A "오카"

|


|2014—2016

|2015-

|


|6 제어차
12 동력차
6 무동력차
(3 편성)


|38/42

|-

! rowspan="4" |

6. 운영

모스크바 지하철은 국영기업[11]으로, 총 길이 449km의 15개 노선과 263개 역[12]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노선은 모스크바 중심부에서 외곽 지역으로 뻗어 나가는 스포크-허브 분산 패러다임을 따른다. 콜체보이 선(5호선)은 20km 길이의 원형 노선으로, 방사형 노선들 간의 환승을 돕는다. 모스크바 중앙 순환선(14호선)과 볼쇼이 콜체보이 선(11호선)은 각각 54km와 57km 길이의 원형 노선으로 중간 외곽 지역에서 비슷한 역할을 한다.[13] 대부분의 역과 노선은 지하에 있지만, 지상 및 고가 구간을 갖춘 노선도 있다. 필료프스카야 선, 부토프스카야 선, 중앙 순환선은 지상 또는 대부분 지상에 있다.

모스크바 지하철은 다른 러시아 철도와 마찬가지로 궤간을 사용하며, 825V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하부 접촉식 제3궤조를 사용한다. 단, 13호선(모노레일)과 14호선은 예외로, 14호선은 일반적인 3000V DC 궤조 전원 방식의 본선에 연결되어 있다. 역 간 평균 거리는 1.7km이며, 가장 짧은 구간은 델로보이 센터와 메즈두나로드나야 역 사이(502m), 가장 긴 구간은 크릴라츠코예와 스트로기노 역 사이(6.62km)이다. 역 간 거리가 길어 41.7km/h의 높은 순항 속도가 가능하다.

모스크바 지하철은 05:25에 개통하여 01:00에 폐쇄된다.[14] 첫 열차 도착 시간에 따라 역마다 개통 시간이 다르지만, 모든 역은 01:00에 입구와 환승 통로를 닫고 정비를 실시한다. 출퇴근 시간대에는 열차 간 최소 간격이 90초이다.[1]

2017년 기준 하루 평균 이용객은 699만 명이었으며, 2014년 12월 26일에는 최대 971만 명이 이용했다.[1]

2014년 12월 2일부터 모스크바 지하철 모든 노선에서 무료 Wi-Fi를 이용할 수 있다.[15]

모스크바 지하철 1회용 교통카드


모스크바 지하철 개찰구


모스크바 지하철은 네트워크 내 이동 거리나 시간에 관계없이 단일 요금제를 적용한다. 단, 모스크바 중앙 지름은 구역별 요금제를 적용한다.

모스크바 지하철 티켓 시스템은 MCC, MCD, 트램, 버스를 포함한 다양한 교통 수단 간 90분 이내 무료 환승을 허용한다.[49]

최신 지하철 개찰구는 트로이카 카드(Troika card), 모스크바 거주민 사회 카드, 은행 카드, 은행 스티커, 트로이카 링, 팔찌, 열쇠고리와 같은 기념 티켓, 일회용 RFID 칩 카드 등 다양한 결제 방식을 허용한다. 모든 역에는 생체 인식 결제 설비도 갖춰져 있다. 일부 교통 카드는 연속 사용 간 대기 시간(예: 7분 또는 20분)을 적용한다.[50]

소련 시대에는 N코페크 동전을 사용했다.

러시아 연방 초기(그리고 초인플레이션 시작)에는 플라스틱 토큰이 사용되었다. 일회용 마그네틱 카드는 1993년 시험 도입되었고, 1996년부터 1998년까지 무제한 월간 티켓으로 사용되었다. 토큰 판매는 1999년 1월 1일에 종료되었고, 2월에는 사용이 중단되었다. 이후 마그네틱 카드는 정해진 횟수만큼 이용 가능한 티켓으로 사용되었다.

1998년 9월 1일, 모스크바 지하철은 유럽 최초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인 트랜스포트 카드(Transport Cards)를 전면 도입했다. 트랜스포트 카드는 30일, 90일, 365일 동안 무제한 이용 가능하며, 사용 수명은 3년 반으로 예상되었다. 불량 카드는 무료로 교환 가능했다.

2004년 8월, 모스크바 시 정부는 모스크바 거주민 사회 카드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사회 카드는 모스크바 또는 모스크바주에 공식 등록된 고령자 및 기타 시민들에게 무료로 발급되는 스마트 카드로, 상점과 약국에서 할인을 제공하며, 모스크바 은행에서 발급하는 신용 카드 기능도 있다. 사회 카드는 모스크바 지하철을 포함한 도시 대중교통을 무료로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 시간 제한은 없지만 사진이 포함되어 양도할 수 없다.

2006년부터 여러 러시아의 은행에서 울트라라이트(Ultralight) 카드 기능을 갖춘 신용 카드를 발급하여 회전문에서 사용할 수 있게 했다. 요금은 은행으로 전달되며, 해당 월 말에 사용자의 은행 계좌에서 월 이용 횟수에 따른 할인율을 적용하여 결제된다(최대 70회까지는 각 이용 횟수당 비용이 현재 울트라라이트 요금에서 비례 배분되며, 추가 이용 시 24.14루블 부과).[61] 제휴 은행으로는 모스크바 은행, 씨티은행, 로스뱅크, 알파뱅크, 아방가르드 은행이 있다.[51]

2007년 1월, 모스크바 지하철은 NXP 반도체의 MIFARE Ultralight 기술 기반 비접촉식 일회용 티켓으로 제한된 마그네틱 카드를 교체하기 시작했다. 울트라라이트 티켓은 1회, 2회, 5회, 10회, 20회, 60회 이용권(구매일로부터 5일 또는 90일 유효)과 선택한 달에만 유효하며 70회 이용으로 제한된 월간 티켓으로 제공된다. 마그네틱 카드 판매는 2008년 1월 16일에 종료되었고, 2008년 말에는 사용이 중단되어 모스크바 지하철은 비접촉식 자동 요금징수 시스템만을 사용하는 세계 최초의 주요 대중교통 시스템이 되었다.[52]

2013년 4월 2일, 모스크바 교통국은 트로이카 스마트카드를 도입했다. 현재 승객들은 단일 트로이카 카드로 지하철, MCC, MCD, 버스, 트램, 수상 교통, 근교 열차, 애로익스프레스를 이용할 수 있다. 모스크바 이동의 약 80%가 트로이카로 결제되며, 현재까지 5천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53]

2023년에는 칩을 포함한 트로이카 생산이 모스크바에서 완전히 현지화되었다. 모스크바는 2024년에 스마트폰용 가상 카드를 출시할 계획이다.[54]

모스크바 지하철은 1일, 3일, 30일, 60일, 90일, 365일 등 다양한 기간의 예디니(통합) 티켓도 제공한다.[55]

2015년 모스크바 지하철은 매표소에서 은행 카드 결제 시스템을 시험 운영했다.[56] 현재 모든 회전문에서 은행 카드 또는 은행 스티커 결제가 가능하다. 2024년 4월 기준, 이 결제 방식은 하루 약 90만 번 사용된다.[57]

2021년 10월, 모스크바 지하철은 세계 최초로 대규모 생체 인식 결제 시스템을 구현했다. 승객은 모스크바 지하철 모바일 앱을 통해 사진, 은행 카드, 지하철 카드를 서비스에 연결해야 한다. 이를 통해 휴대전화, 지하철 카드, 은행 카드를 꺼내지 않고도 요금을 지불하여 역 입구 흐름이 빨라진다. 이 기술은 모든 지하철역, MCC, 수상 교통에서 사용 가능하다. 2024년 4월 기준, 승객은 생체 인식을 사용하여 1억 회 이동했다.[58]

다른 결제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미르 카드가 있는 안드로이드 휴대전화를 사용한 미르페이 결제
  • 모든 지하철, MCC, 수상 교통 회전문에서 공개 테스트 모드로 FPS를 통한 스마트폰 결제
  • 매표소와 자동 판매기에서 현금 또는 은행 카드 결제
  • 모스크바 거주민 사회 카드


모스크바 지하철 티켓 시스템은 2020년[59]과 2021년[60]에 국제 교통 티켓 어워드를 두 차례 수상했다.

2023년 2월 기준 요금[61]
이용 횟수중앙 구역 요금교외 구역 요금
에디니(Ediny) 티켓. 지하철, 모노레일, MCC, 지상 교통 이용 가능. MCD 사용 불가.
1회 이용62-
2회 이용124-
트로이카 카드(Troika card)코셸레크(Koshelek) 티켓. 모스크바 모든 대중교통(지하철, MCC, 지상 교통, 교외 전철) 이용 가능.
1회 이용5065
90분75-
트로이카 카드(Troika card)에디니(Ediny) 티켓. 지하철, 모노레일, MCC, MCD "중앙", "교외" 구역 또는 지상 교통 이용 가능.
60회 이용2.730
1일권285
3일권540
30일권2.5403.010
90일권6.1507.800
365일권19.50024.450



MCD 네트워크는 "중앙" 및 "교외" 구역으로 나뉜다. 모노레일과 MCC를 포함한 지하철은 완전히 중앙 구역에 있다.

1935년~2018년 단일 이용 요금
적용일요금비고
1935년 5월 15일50 코페크(kopecks)
1935년 8월 1일40 코페크정기권 이용 시 – 35 코페크
1935년 10월 1일30 코페크정기권 이용 시 – 25 코페크
1942년 5월 31일40 코페크
1948년 8월 16일50 코페크지폐 가치가 1/10로 감소했지만 대부분의 가격은 동일하게 유지됨
1961년 1월 1일5 코페크화폐 개혁; 회전문에서 5코페크 동전 사용 가능
1991년 4월 2일15 코페크회전문에서 5코페크 동전 3개(5+5+5로 표기) 사용 가능
1992년 3월 1일50 코페크5코페크 동전이 회전문 토큰으로 대체됨
1992년 6월 24일1 루블(ruble)
1992년 12월 1일3 루블
1993년 2월 16일6 루블
1993년 6월 25일10 루블
1993년 10월 15일30 루블
1994년 1월 1일50 루블
1994년 3월 18일100 루블
1994년 6월 23일150 루블
1994년 9월 21일250 루블
1994년 12월 20일400 루블
1995년 3월 20일600 루블
1995년 7월 21일800 루블
1995년 9월 20일1,000 루블
1995년 12월 21일1,500 루블
1997년 6월 11일2,000 루블
1998년 1월 1일2 루블포스트 소비에트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화폐 개혁
1998년 9월 1일3 루블
1999년 1월 1일4 루블
2000년 7월 15일5 루블
2002년 10월 1일7 루블
2004년 4월 1일10 루블
2005년 1월 1일13 루블모노레일 요금은 50루블(25루블 할인 요금), 다른 티켓은 모노레일에서 사용 불가
2006년 1월 1일15 루블
2007년 1월 1일17 루블
2008년 1월 1일19 루블모노레일 요금은 지하철 요금과 동일(19루블로 감소), 이 노선에서만 특별 월간 티켓도 이용 가능
2009년 1월 1일22 루블
2010년 1월 1일26 루블
2011년 1월 1일28 루블러시아 철도 모스크바 요금 원칙이 분리되어 이전과 달리 요금이 인상되지 않음(26루블).
2013년 1월 1일28 루블사소한 변경: 모노레일 요금이 모든 지하철 요금에 포함됨, 90분 이내 첫 환승은 요금 부과되지 않음
2013년 4월 2일30 루블단일 여정 요금 인상. 대부분의 다른 요금은 인하됨. 신규: 90분 요금.
2014년 1월 1일30–40 루블단일 및 이중 요금 인상. 5–60회 이용권 요금 및 모든 90분 요금은 유지됨. 모스크바 러시아 철도 요금은 28루블로 인상됨.
2016년 1월 1일32–50 루블모든 티켓 요금 인상. 단일 요금은 50루블 또는 32루블( 트로이카 전자 지갑 이용 시)로 인상됨. 모든 무제한 요금은 유지됨.[62]
2017년 1월 1일35–55 루블모든 티켓 요금 인상. 단일 요금은 55루블 또는 35루블(트로이카 전자 지갑 이용 시)로 인상됨. 모든 무제한 요금은 유지됨.
2018년 1월 2일36–55 루블트로이카 전자 지갑으로 결제 시 단일 요금 1루블 인상. 90분 요금은 54루블에서 56루블로 인상됨.
2019년 1월 2일38–55 루블트로이카 카드로 결제 시 단일 요금 2루블 인상. 90분 티켓 3루블 인상.
2019년 12월 9일38–55 루블10개 철도 노선 중 4개가 지하철 요금에 포함됨; 중앙 구역은 필요 없음(0–2 구역), 교외 +7루블(하지만 7루블은 차이만 있고, 2–3 구역은 이전과 같이 23루블임)
2020년 2월 1일40–57 루블요금 2루블 인상, 정기권은 유지됨. 또한 5구역에 오스타피예보(Ostafievo)가 개통되어 목적지 및 다른 티켓의 경로를 설정하면 일부 요금이 인하됨
2020년 4월 21일40 루블2020년 6월 9일까지 COVID-19 제한: 단일 요금 티켓 폐지, 6월 9일까지 은행 카드 사용 불가, 일부 할인 티켓도 차단됨(날짜 미표시)
2020년 2월 1일42–60 루블90/365일권을 제외한 요금 인상



모스크바 지하철 내 승객 이동 지원 센터(PMC)는 2013년 10월에 청각·시각 장애인, 이동이 불편한 사람, 노인, 대가족, 유모차를 둔 부모 등 이동이 제한된 승객을 돕기 위해 설립되었다.[63] 현재 PMC 직원은 지하철, 모스크바 중앙 순환선(MCC), 모스크바 중앙 직경선(MCD), 버스, 트램에서 승객들을 안내하고 있다.

설립 이후 PMC는 115만 명이 넘는 이동이 제한된 승객들을 지원했다.[64] 2023년에는 약 7만 명의 승객을 안내하여 2022년 대비 9% 증가했다.[63]

2013년, 모스크바 지하철은 개편된 지하철 노선도를 포함한 새로운 안내 시스템 원칙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현재 이 원칙은 모스크바 교통 전체에 적용되었다. 새로운 시스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모스크바 교통의 단일 서체 – 모스크바 산스(Moscow Sans)
  • 더 간결하고 이해하기 쉬운 표지판
  • 주변 거리와 랜드마크 정보를 포함하는 도시 전역의 지리적 지도
  • 단어 대신 쉬운 그림(예: 노선 번호) 사용
  • 각 지하철 출구에 번호 부여
  • 역 내부의 층별 안내 표지판
  • 이동이 불편한 승객을 위한 접근성 정보
  • 최신 열차 모델의 문 위에 설치된 디지털 안내 화면
  • 임시 공지 표준 디자인[65]


2017년에 출시된 모스크바 지하철 모바일 앱은 승객들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 트로이카 카드 관리 (티켓 구매, 카드 및 거래 내역 확인, 자동 결제 설정)
  • 분실 시 새 카드로 트로이카 카드 잔액 이전
  • 도착하는 열차에서 혼잡도가 낮은 칸 확인
  • 연간 패스 일시 중지 (연 1회, 14일)
  • 경로 계획
  • 모스크바 거주자 사회 카드 연결
  • 시외 버스 티켓 구매
  • 생체 인식 결제 서비스 등록
  • 분실물 신고
  • 승객 이동 서비스 지원 요청
  • 챗봇 접근


2024년 3월 기준, 이 앱은 1,300만 번 다운로드되었으며 매달 200만 명이 사용한다.[66]

2020년 모스크바 지하철은 알렉산드라(Aleksandra)라는 챗봇을 도입했으며, 이후 알렉산드라는 모스크바 모든 유형의 도시 교통을 위한 공식 챗봇이 되었다. 2024년 2월 기준, 알렉산드라는 680만 건이 넘는 질문에 답했으며, 모스크바 도시 교통 시스템 관련 58,000건 이상의 문의에 응답할 수 있다.[67]

모스크바 지하철은 12개 노선(모든 노선에 번호가 매겨져 있음)으로 총 연장 293.1km이며(2008년 기준, 경전철 포함), 하루 평균 이용객은 약 800만 명이다. 5호선 환상선은 약 20km의 환상 노선으로 카호프스카야선과 부토프스카야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과 연결되어 있다.

방사형 노선에서는 모스크바 중심부 역으로 향하는 열차는 남성의 안내 방송이,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열차는 여성의 안내 방송이 나온다. 환상선에서는 시계 방향 운행 시 남성, 반시계 방향 운행 시 여성의 안내 방송이 나온다.

대부분의 역은 지하에 있지만, 예외도 있다. 필료프스카야선은 스투젠체스카야역에서 쿤체프스카야역까지 7개 역에 걸쳐 긴 지상 구간이 있다. 경전철인 부토프스카야선은 3분의 2가 지상을 달리며, 울리차 스타로카차로프스카야역이 유일한 지하역이다. 지상 구간이 있는 노선은 타간스코-크라스노프레스넨스카야선(비히노역이 지상역)과 알바츠코-포크로프스카야선(이즈마일로프스카야역이 지상역)이다.

모스크바 지하철에는 지하철 교량도 있다. 소콜니체스카야선의 야우자강에 걸쳐 있는 교량(소콜니키 지역)이 하나 있으며, 모스크바강에는 세 개의 교량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필료프스카야선(스마렌스카야~키예프스카야 구간, 1937년에 완공된 가장 오래된 지하철 교량)과 자모스크보례츠카야선(아프토자보츠카야역~콜로멘스카야역 구간), 자동차 도로 하층부에 위치한 바라비요비-골리 역의 지하철 교량(1958년 완공, 1983년~2002년 교체 공사로 폐쇄)이 있다. 외부와 차단된 지하철 교량도 세 개 있으며, 승객들은 열차가 다리를 건너는지 모른다. 칼루시스코-리지스카야선의 야우자강 위, 류빌린스코-드미트로프스카야선의 포나마르카강 위 등이 그러한 교량이다. Серебрянкаru의 коллекторru 위를 지나는 알바츠코-포크로프스카야선의 고가 구간도 지하철 교량으로 분류될 수 있다.

모스크바 지하철 역명은 "-스카야"(-скаяru)로 끝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러시아어에서 "역"을 나타내는 단어에 종착역을 나타내는 вокзалru(자음으로 끝나는 단어이므로 남성 명사)과 일반적인 역을 나타내는 станцияruru 또는 яru로 끝나는 단어이므로 여성 명사)가 있으며, 지하철 역과 같은 일반적인 규모의 역에는 станцияru가 사용되기 때문에 여성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에 -скаяru가 붙기 때문이다.[85]

모스크바 지하철 이용 규정은 2008년 10월 16일 모스크바 시 조례 제844조에 의해 제정되었으며, 모스크바 지하철 공식 웹사이트에 개요가 게재되어 있다. 규정 위반 시에는 행정적 책임을 질 수 있다.

최신 모스크바 지하철 정기권

7. 사건 및 사고


  • 1977년 1월 8일, 이즈마일로프스카야 역과 페르보마이스카야 역 사이를 운행하던 열차에서 폭탄이 터져 7명이 사망하고 33명이 중상을 입었다.[68] 이 사건과 관련하여 아르메니아인 3명이 체포되어 유죄 판결을 받고 사형당했다.[69]
  • 1981년 6월, 옥탸브리스카야 역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7구의 시신이 옮겨졌다. 비슷한 시기에 프로스펙트 미라 역에서도 화재가 발생했다.[70]
  • 1982년 2월 17일, 칼리닌스카야 선 아비아모토르나야 역에서 에스컬레이터 붕괴 사고로 8명이 사망하고 30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 사고는 결함이 있는 비상 브레이크 때문에 발생했다.[71]
  • 1996년, 미국계 러시아인 사업가 폴 태텀이 키예프스카야 지하철역에서 살해당했다. 그는 권총으로 위장한 칼라시니코프 소총을 소지한 남자에게 총에 맞아 사망했다.[72]
  • 2000년 8월 8일, 모스크바 중심부 푸쉬킨스카야 역 지하 통로에서 폭발이 발생하여 12명이 사망하고 150명이 부상을 입었다. TNT 800그램에 해당하는 자작 폭탄이 가판대 근처 가방에 놓여 있었다.[73]
  • 2004년 2월 6일, 자모스크보레츠카야 선 아브토자보츠카야 역과 파벨레츠카야 역 사이를 운행하던 열차에서 폭발이 발생하여 41명이 사망하고 1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74] 체첸 테러리스트들이 용의자로 지목되었고, 이후 조사 결과 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 거주자가 자살 폭탄 테러를 저지른 것으로 밝혀졌다. 같은 조직은 2004년 8월 31일 또 다른 공격을 감행하여 10명이 사망하고 5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
  • 2005년 5월 25일, 모스크바 시 전역 정전으로 일부 노선의 운행이 중단되었다. 소콜니체스카야 선, 자모스크보레츠카야 선 (아브토자보드스카야 역~레치노이 보크잘 역), 아르바츠코-포크로프스카야 선, 필료프스카야 선, 콜체보이 선, 칼루즈스코-리즈스카야 선 (비체프스키 파크 역~옥탸브르스카야-라디알나야역 및 프로스펙트 미라-라디알나야역~메드베드코보 역), 타간스코-크라스노프레스넨스카야 선, 칼리닌스카야 선, 세르푸홉스코-티미랴제프스카야 선 (세르푸홉스카야역~알투프예보 역), 그리고 류블린스카야 선 (츠칼로프스카야 역~두브로프카 역)은 계속 운행되었다.[75] 카호프스카야 선과 부토프스카야 선은 운행이 중단되었다. 이 정전은 자모스크보레츠카야 선과 세르푸홉스코-티미랴제프스카야 선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는데, 도시 남부의 터널에 열차가 멈춰서 모든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나중에 제한적으로 운행이 재개되었고 터널에 갇힌 승객들은 대피했다. 모스크바 북부, 동부, 서부 지역은 정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75]
  • 사고 다음 날 촬영된 현장 사진 (2006)

2006년 3월 19일, 자모스크보레츠카야 선 소콜 역과 보이코프스카야 역 사이에서 무단 광고판 설치 작업 중 건설용 말뚝이 터널 천장을 뚫고 열차를 쳤다. 부상자는 없었다.[76]

  • 2010년 3월 29일, 소콜니체스카야 선에서 두 차례의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40명이 사망하고 102명이 부상을 입었다.
  • 7시 56분에 류블얀카 역에서 첫 번째 폭발이 발생했다.[77] 이 폭발로 최소 26명이 사망했으며, 그중 14명은 폭발이 발생한 열차 안에 있었다.
  • 8시 38분에 파르크 쿨투리 역에서 두 번째 폭발이 발생했다.[77] 이 폭발로 14명이 사망했다. 이후 카프카스 에미레이트가 폭탄 테러의 책임을 주장했다.
  • 2014년 1월 25일 15시 37분, 모스크바 중앙순환선 공사 현장의 파일(말뚝)이 자모스크보레츠카야 선 아프토자보츠카야 역과 콜로멘스카야 역 사이 터널 천장을 뚫고 들어왔다. 열차 운전사는 비상 제동을 걸었고, 열차는 파일과 충돌하지 않았다. 승객들은 터널에서 대피했으며, 부상자는 없었다. 같은 날 19시 50분에 정상 운행이 재개되었다.[78]
  • 2014년 7월 15일, 아르바츠코-포크로프스카야 선 파르크 파베디 역과 슬라뱐스키 불바르 역 사이에서 열차가 탈선하여 24명이 사망하고 수십 명이 부상을 입었다.[79][80]

8. 메트로-2

음모론자들은 핵 공격 발생 시 주요 도시 인력의 긴급 대피를 위해 설계된, "D-6"라는 코드명의 더 깊고 두 번째 지하철 시스템이 군사 관할 하에 존재한다고 주장해 왔다.[81] 이 시스템은 크렘린, 최고 사령부(총참모부), 루뱐카(FSB 본부), 국방부 및 기타 여러 비밀 시설을 연결하는 단선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여겨진다. 러시아국립도서관, 모스크바국립대학교와 일반 지하철의 최소 두 개 역과 같은 여러 민간 건물에서 이 시스템으로 들어가는 입구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를 통해 대부분의 엘리트 군사 인력 외에도 소수의 무작위로 선택된 민간인을 대피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비밀 시스템과 일반 지하철 사이의 의심스러운 연결 지점은 소콜니체스카야 선의 스포르티브나야 역 뒤편에 있다고 추정된다. 이 시스템의 마지막 구간은 1997년에 완공되었다는 주장이 있다.[82]

미국 국방부가 발표한 메트로-2 노선 예상도


메트로-2는 모스크바 지하철을 따라 건설되었다고 알려진, 핵전쟁 시의 비상 대피 시설 및 그곳으로 통하는 전용 노선의 속칭이다. 노선의 존재는 공식적으로 발표된 바 없으며, 그 규모도 불명확하지만 모스크바 시내의 군사 중요 거점과 행정 기관을 연결하고 시외로 탈출할 수 있도록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 총 연장은 모스크바 지하철 본선에 필적할 만한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모스크바 시내에는 모스크바 지하철 본선과는 별도로 만들어진 수직갱과 용도불명의 격리문 등이 존재하며, 이는 메트로-2의 실존을 더욱 확실하게 한다.[92]

9. 한국과의 관계

주어진 자료에서는 모스크바 지하철과 한국과의 직접적인 관계에 대한 내용을 찾을 수 없다.

참조

[1] 웹사이트 Metropolitan in figures http://www.mosmetro.[...] Moscow Metro 2018-03-17
[2] 웹사이트 Как выглядят новые станции Большой кольцевой линии метро https://msknovosti.r[...] 2023-03-01
[3] 웹사이트 The best places to visit in Moscow https://www.expatica[...]
[4] 웹사이트 Москва первой в мире снизила интервал движения поездов метро до 90 секунд https://www.m24.ru/n[...]
[5] 웹사이트 Москва побила рекорд по интервалу движения поездов метро https://news.ru/mosk[...]
[6] 웹사이트 Имя Ленина оставят в названиях станций московского метро Подробнее https://www.m24.ru/a[...] МOСКВА24 2023-02-02
[7] 웹사이트 Metro.ru Original order on naming the Metro after Kaganovich. http://www.metro.ru/[...] 2007-10-19
[8] 웹사이트 Московское метро: Лазарю – Лазарево, Ленину – ленинское. https://vgudok.com/l[...] vgudok Light 2023-02-02
[9] 웹사이트 У московского метро нет логотипа http://www.adme.ru/d[...] ADME
[10] 웹사이트 Новый символ московского метро обошелся столичным властям в 1 рубль https://www.tvc.ru/n[...] ТВЦ TV channel 2024-04-23
[11] 웹사이트 Московский метрополитен http://mosmetro.ru
[12] 웹사이트 Lines and stations http://engl.mosmetro[...] 2015-01-22
[13] 이미지 Moskau-Metro-Stationsanzeiger.jpg
[14] 웹사이트 Режим работы станций и вестибюлей http://mosmetro.ru/i[...] Moscow Metro 2015-01-17
[15] 웹사이트 С сегодняшнего дня сеть Wi-Fi стала доступна на всех линиях Московского метрополитена https://www.1tv.ru/n[...] Channel One Russia 2021-04-12
[16] 웹사이트 Голоса в метро http://mosmetro.live[...] 2015-01-22
[17] 웹사이트 МЦК, МЦД, БКЛ: разбираемся в новой схеме метро https://daily.afisha[...] Afisha Daily 2024-04-26
[18] 문서 Filyovskaya Line
[19] 문서 Kalininsko-Solntsevskaya Line
[20] 문서 Moscow Central Circle (MCC)
[21] 문서 Moscow Central Diameters (MCD)
[22] 문서 Moscow Central Diameters (MCD)
[23] 웹사이트 Ликсутов: После полного запуска БКЛ пассажиры уже совершили по новому кольцу 53,4 миллиона поездок https://www.msk.kp.r[...] 2023-05-06
[24] 서적 London's Oddities Metro Publications Ltd
[2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pootergee[...] 2008-10-20
[26] 서적 Underground Architecture Capital Transport
[27] 논문 London Underground and Moscow Metro
[28] 논문 Redefining Intelligence and Intelligence-Gathering: The Industrial Intelligence Centre and the Metro-Vickers Affair, Moscow 1933
[29] 웹사이트 История создания Московского метро https://web.archive.[...]
[30] 논문 A Metro on the Mount: The Underground as a Church of Soviet Civilization 2000-10-01
[31] 웹사이트 Moscow Metro / Moscow Metro / General Information / Key Performance Indicators http://engl.mosmetro[...] 2013-08-17
[3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metro.ru/[...] 2009-02-19
[33] 논문 Homo Sovieticus: The Athletic Motif in the Design of the Dynamo Metro Station
[34] 논문 A Metro on the Mount
[35] 논문 Soviet Art and Architecture: Recent Developments 1956-01-01
[36] 논문 Beauty as a Route to 'the Radiant Future': Responses of Soviet Architecture
[37] 논문 Stalin as Isis and Ra: Socialist Realism and the Art of Design
[38] 논문 Lamps and Architecture 1930–1950 1987-06-01
[39] 논문 Archaeological Fantasies: Constructing History on the Moscow Metro 2003-01-01
[40] Facebook Бесплатные пересадки Московского центрального кольца https://www.facebook[...]
[41] 뉴스 D3 and D4 will be launch in 2023 https://www.kommersa[...] 2022-12-26
[42] 뉴스 Оплата проезда https://web.archive.[...] Moscow Transport Department 2024-09-24
[43] 웹사이트 Она имеет протяженность 70 км и насчитывает 31 станцию ([The line] has the length of 70 km and counts 31 station) https://tass.ru/info[...]
[44] 웹사이트 Moscow Metro launches World's longest metro circle line - Big Circle Line 11 | Metro Rail Today https://metrorailtod[...]
[45] 웹사이트 "Крокус" сдал "частную" станцию метро https://web.archive.[...] 2010-01-27
[46] 웹사이트 Третий пересадочный контур метро разгрузит Кольцевую ветку на 20% http://ria.ru/moscow[...] RIA Novosti 2009-03-10
[47] 웹사이트 Власти Москвы утвердили план развития столичного метро с 2012 года http://ria.ru/moscow[...] RIA Novosti 2010-03-22
[48] 웹사이트 The people's palace: exploring Moscow Metro's evolving designs https://www.railway-[...] 2018-12-10
[49] 웹사이트 Где действует бесплатная пересадка в течение 90 минут? https://www.mosmetro[...] the Moscow Metro 2023-07-10
[50] 웹사이트 Порядок пользования (обращения) проездными билетами https://www.mosmetro[...] the Moscow Metro
[51] 웹사이트 Безналичная система оплаты проезда https://web.archive.[...] Moscow metro 2010-09-20
[52] 웹사이트 Moscow Metro: the World's First Major Transport System to operate fully contactless with NXP's MIFARE Technology http://www.nxp.com/n[...] NXP Semiconductors
[53] 웹사이트 Почти 80 процентов поездок на метро москвичи оплачивают «Тройкой» — Собянин https://www.mos.ru/m[...] City of Moscow
[54] 웹사이트 Почти 80 процентов поездок на метро москвичи оплачивают «Тройкой» — Собянин https://www.mos.ru/m[...] City of Moscow
[55] 웹사이트 Оплата проезда https://web.archive.[...] Moscow Transport Department
[56] 웹사이트 В московском метро начали принимать к оплате банковские карты https://rg.ru/2015/0[...] Rossiyskaya Gazeta 2015-03-05
[57] 웹사이트 Moscow Metro has doubled its bank card payments and reached 100 million biometric trips https://identityweek[...] Identity Week 2024-04-02
[58] 웹사이트 Moscow Metro has doubled its bank card payments and reached 100 million biometric trips https://identityweek[...] Identity Week 2024-04-02
[59] 웹사이트 2020 Award Winners https://www.transpor[...] Transport Ticketing Global
[60] 웹사이트 2021 Winners https://www.transpor[...] Transport Ticketing Global
[61] 웹사이트 Table of tariffs https://web.archive.[...] City of Moscow 2018-07-30
[62] 웹사이트 На сколько в 2016 году подорожает проезд в московском метро? http://www.aif.ru/do[...] 2015-12-07
[63] 웹사이트 Moscow Metro aids 18 percent more passengers with reduced mobility in 2024 https://www.railtech[...] RailTech.com 2024-04-16
[64] 웹사이트 О центре мобильности https://www.mosmetro[...] Moscow Metro
[65] 웹사이트 За 10 лет мы полностью поменяли навигацию в Московском транспорте. https://t.me/DtRoad/[...] The Department of Transport of Moscow
[66] 웹사이트 Цифровой помощник в поездках: ежемесячно приложением «Метро Москвы» пользуются два миллиона пассажиров https://www.mos.ru/n[...] City of Moscow
[67] 웹사이트 Чат-бот Александра ответила почти на 7 млн вопросов пассажиров с 2020 года https://icmos.ru/new[...] The Information Center of the Moscow Government
[68] 뉴스 Terrorism: an appetite for killing for political purposes http://english.pravd[...] 2006-09-11
[69] 웹사이트 Взрыв на Арбатско-Покровской линии в 1977г. http://metro.molot.r[...]
[70] 뉴스 7 Die in Moscow Subway Fire https://www.nytimes.[...] 1981-06-12
[71] 웹사이트 http://metro.molot.r[...] 2010-08-31
[72] 웹사이트 Slaying Could Chill Business with Moscow Oklahoman in Hotel Dispute https://www.oklahoma[...] 1996-11-05
[73] 웹사이트 In pictures: Moscow's bomb horror http://news.bbc.co.u[...] BBC News
[74] 웹사이트 http://metro.molot.r[...]
[75] 뉴스 http://pda.utro.ru/a[...] Yтро.ru 2005-05-25
[76] 웹사이트 Moscow Metro Tunnel Collapses on Train; Nobody Hurt http://bloomberg.com[...] 2006-02-06
[77] 저널 38 killed in Moscow metro suicide attacks http://rte.ie/news/2[...] 2010-03-29
[78] 웹사이트 Движение на "зеленой ветке" московского метро восстановлено после аварии https://www.interfax[...] 2014-01-22
[79] 웹사이트 Число жертв аварии в московском метро увеличилось до 24 человек https://tass.ru/proi[...]
[80] 웹사이트 Report: 22 killed in Moscow train derailment https://www.cnn.com/[...] CNN 2014-07-15
[81] 웹사이트 Moscow Metro 2 – The dark legend of Moscow http://www.moscow-ru[...] Moscow Russia Insider's Guide
[82] 웹사이트 Метро-2 http://metro.ru/metr[...]
[83] 웹사이트 КиноПоиск.ru https://www.kinopois[...]
[84] 웹사이트 Railway Story ヨーロッパロシアを進んで http://www.wowow.co.[...] WOWOWオンライン
[85] 서적 最新 世界の地下鉄 ぎょうせい
[86] 간행물 モスクワのICカード事情 日本鉄道サイバネティクス協議会
[87] 웹사이트 「ドルがない、どうしたらいいかわからない」 対ロシア制裁が市民に与える影響 https://www.bbc.com/[...] BBC 2022-03-01
[88] 웹사이트 База данных по метровагонам http://vagon.metro.r[...] Метровагоны
[89] 뉴스 Как работает московское метро. Список закрытых станций http://pda.utro.ru/a[...] Yтро.ru 2005-05-25
[90] 웹사이트 Moscow Metro Tunnel Collapses on Train; Nobody Hurt http://bloomberg.com[...] Bloomberg
[91] 뉴스 RTÉ News: 38 killed in Moscow metro suicide attacks http://www.rte.ie/ne[...] Raidió Teilifís Éireann 2010-03-29
[92] 뉴스 モスクワの地下シェルターと「メトロ-2」 http://jp.rbth.com/a[...]
[93] 웹사이트 http://old.mosmetro.[...]
[94] 웹사이트 http://www.rian.ru/m[...]
[95] 뉴스 모스크바서 지하철 탈선…최소 20명 사망·150명 부상 http://biz.chosun.co[...] 조선비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