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카와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카와국은 일본의 옛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아이치현 동부와 중부에 해당한다. 645년 다이카 개신 이후 호국과 통합되어 미카와국이 성립되었으며, 율령제 성립 이후 그 존재가 확고해졌다. 수도의 정확한 위치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도요카와시 부근으로 추정되었으나, 고고학 조사를 통해 도요타시 일대가 수도였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국부 터는 도요카와시에 위치하며 2024년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미카와 국분사와 국분니사 터도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미카와 지역은 중세 시대 무사 계급의 성장과 함께 여러 번으로 분할되어 통치되었으며, 에도 시대에는 화약 생산이 허가된 유일한 지역으로 불꽃 산업의 기반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카와국 - 마쓰다이라씨
    마쓰다이라씨는 기원이 불분명하나 세이와 겐지 닛타씨의 후예로 여겨지기도 하고 가모씨나 스즈키씨의 일족일 가능성도 있으며 미카와국 유래설이 가장 널리 알려진 일본의 무가로, 14세기경 미카와 마쓰다이라 마을에 세력을 확립한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배출하고 에도 시대까지 이어졌다.
  • 미카와국 - 니시오시
    아이치현 남부 미카와만 북쪽 해안에 위치한 니시오시는 야하기 강 동쪽 기슭의 미카와 지역에서 중요한 도시로, 도요하시, 오카자키와 함께 미카와 삼도로 불리며, 특히 니시오차로 유명한 일본 최대 덖음차 생산지이자 니시오성 등의 관광 명소를 갖춘 도시로, 2011년 하즈군 3정 편입으로 현재 행정구역이 되었다.
  • 도카이도 - 무사시국
    무사시국은 현재의 도쿄도, 사이타마현, 가나가와현에 걸쳐 있던 일본의 옛 행정 구역으로, 게노국과 통합되어 성립되었으며, 중세에는 무사 집단이 등장했고 근세에는 에도 막부의 중심지였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3개 현으로 나뉘었다.
  • 도카이도 - 오와리국
    오와리국은 현재 아이치현 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일본 고대의 령제국으로, 구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했으며 야마토 씨족과 관련된 오와리 씨족의 거점이었고, 나라 시대에는 율령제에 따라 통치되었으며 아쓰타 신사는 중요한 신사였고, 센고쿠 시대에는 오다 씨가 지배했으며, 에도 시대에는 오와리 번이 세워졌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아이치현에 편입되었다.
  • 아이치현의 역사 - 마쓰다이라씨
    마쓰다이라씨는 기원이 불분명하나 세이와 겐지 닛타씨의 후예로 여겨지기도 하고 가모씨나 스즈키씨의 일족일 가능성도 있으며 미카와국 유래설이 가장 널리 알려진 일본의 무가로, 14세기경 미카와 마쓰다이라 마을에 세력을 확립한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배출하고 에도 시대까지 이어졌다.
  • 아이치현의 역사 -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는 가마쿠라 막부를 개창하고 최초의 세이이타이쇼군이 된 무장으로, 헤이지의 난 이후 유배되었다가 반 다이라 씨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막부를 설립했으나, 권력 다툼과 낙마 사고사 등 논란 속에 일본 봉건 사회의 기틀을 마련했다.
미카와국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국명미카와국 (三河国)
별칭삼주 (三州), 참주 (参州)
소속동해도
영역아이치현 중・동부
등급상국
거리근국
8군 69향
행정
국부도요카와시
국분사미카와 국분사 터, 도요카와시
국분니사미카와 국분니사 터, 도요카와시
이치노미야도가 신사, 도요카와시

2. 역사

다이카 개신과 구지키를 포함한 나라 시대의 기록에 미카와 국이 언급되어 있으며, 고고학적 유적을 통해 일본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초기 기록에는 "니시미카와노쿠니(西三河国)"와 "히가시미카와노쿠니(東三河国)"가 언급되는데, 이는 穂国|호노쿠니일본어로도 알려져 있다. 엔기시키 분류 체계에서는 하나의 행정 단위였지만, 야사쿠 강을 기준으로 한 구분은 에도 시대까지 비공식적으로 이어졌다.

헤이안 시대에는 지역 사무라이 가문이 지배하는 여러 쇼엔으로 나뉘었다. 가마쿠라 시대에는 아다치 모리나가가 통치했고, 이후 아시카가 씨의 지배를 받았다. 무로마치 시대 대부분은 잇시키 씨가 지배했다. 센고쿠 시대에는 마쓰다이라 씨가 대부분을 지배했고, 동쪽으로는 이마가와 씨, 서쪽으로는 오다 씨와 대립했다. 오케하자마 전투 이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통일했다.

도쿠가와 막부 수립 후, 미카와 지역 일부는 후다이다이묘에게 봉건 영지로 주어졌고, 상당 부분은 막부 직할 ''시하이쇼'' 영지로 유지되었다. 에도 시대에 미카와는 막부가 화약 생산을 허가한 유일한 지역이었고, 이는 현대 불꽃 산업으로 이어졌다.

1871년 폐번치현으로 번들이 폐지되었고, 1872년 미카와 국 전체 영토는 아이치현의 일부가 되었다. 메이지 시대의 지적 개혁으로 10개 구역으로 편성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옛 미카와 국 지역은 도요타 자동차를 중심으로 일본 자동차 산업의 중심지로 발전하고 있다.

미카와 국의 슈고는 다음과 같다.

가문재임 기간
아다치 씨1194년 ~ 1199년
아시카가 씨1238년 ~ 1333년
고씨1337년 ~ 1351년
니키 요시나가1351년 ~ 1360년
닛타 요시타카1360년 ~ 1377년
잇시키 노리미츠1379년 ~ 1388년
잇시키 아키노리1388년 ~ 1392년
잇시키 미츠노리1406년 ~ 1409년
잇시키 요시츠라1415년 ~ 1440년
호소카와 모치츠네1440년 ~ 1449년
호소카와 나리유키1449년 ~ ?



센고쿠 시대에는 다음과 같은 전투들이 있었다.

전투명연도주요 세력
안조 전투1540년 ~ 1549년마쓰다이라 씨・이마가와 씨 x 오다 씨
제1차 아즈키자카 전투1542년오다 노부히데 x 이마가와 요시모토
제2차 아즈키자카 전투1548년이마가와・마쓰다이라 연합군(마쓰다이라 히로타다, 다이겐 셋사이, 아사히나 야스요시) x 오다군(오다 노부히데, 오다 노부히로)
미카와 잇코 일키1563년마쓰다이라 이에야스 x 잇코슈
후타레기 성 전투1571년다케다 신겐 x 도쿠가와 이에야스
노다 성 전투1573년다케다 신겐 x 도쿠가와 이에야스(스게누마 사다토요, 시타라 사다미치)
나가시노 전투1575년오다 노부나가・도쿠가와 이에야스 x 다케다 가쓰요리


2. 1. 고대

645년, 난바 궁에서 행해진 다이카 개신 이후 호국조와 미카와 국조의 지배 영역을 합쳐 미카와국이 성립되었다고 여겨진다. 미카와국이 확실히 존재한 것은 율령제의 성립 이후이다.[3]

국조본기에 따르면, 세이무 천황의 치세에 물부씨족의 지파야명이 '''미카와 국조'''(三河, 三川)에, 유랴쿠 천황의 치세에 토상족이 '''호국조'''로 정해졌다. 천손본기에서는 세이무 천황을 섬긴 물부씨족의 담기숙네가 '''미카와 호국조'''의 미기도직의 여동생 이사히메와 결혼했다. 고지키에도 단바 미치누시노미코토의 아들·조정별왕이 '''호별군'''의 조상으로 보이며, 호이 군에는 조정별왕을 모시는 신사가 두 곳 있다.

7세기 후반 이시가미 유적에서 "미카와국 호평"이라고 기재된 목간이 출토되어 '호'가 미카와의 한 촌락이라고 읽을 수 있기 때문에 호국조의 존재를 부정하는 설도 있다. 그러나 국조국이 제로 이행한 예는 아소국조(아소평) 등 다수 존재한다. 호국조는 위서설이 있는 선대구사본기에만 등장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대부분의 국조는 구사본기에만 명칭이 보이며, 최근에는 구사본기의 사료성을 인정하는 의견이 많고, 히가시미카와 지역에 고분 시대 전기부터 후기에 걸쳐 대형 고분이 조성된 것, 국조 봉사사가 존재하는 것에서 호국조의 실존을 주장하는 설도 있다. 호국조의 본거는 호이 군이다.

니시미카와에 해당하는 미카와 국조의 본거는 후타고 고분이 있는 시카노세 강 유역 유적군(안조시 사쿠라이정 지역)으로 추정된다.[4] 이시가미 유적에서 출토된 목간에는 사쿠라이군, 나가아비베노직이라고 기재된 지방 국주를 상정하는 것이 있다. 미카와 국내에서 고대 목간은 안조시의 시모카케 유적(오가와정)・가미하시시타 유적(후루이정)・소사쿠 유적(키도정) 등 시카노세 강 유역 유적군에서만 출토되었으며, 덴표호전오베아시쿠니(소사쿠 유적), 산베츠부이타마(시모카케 유적) 등 덴표 연호, 오베아시쿠니라는 고대 호족의 인명, 쌀 수취에 관한 문서 등 문자 문명의 빠른 보급을 확인할 수 있어 고대 관아가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니시미카와를 남류하는 야하기강 중류 우안에 위치하는 기타노 폐사지는 아스카 시대에 창건된 미카와에서 가장 오래된 사원터이며, 남대문, 중문, , 금당, 강당이 일직선으로 늘어선 사천왕사식 가람 배치로 조성되었다. 도탑・토기류 외 전불・경형 수식 등 우수한 작품이 출토되었으며, 가람 규모를 보아도 미카와 국조와 같은 당 지방의 유력한 호족이 조성했을 것으로 상정된다.

시(市)가 붙는 지명이 그 나라의 중심지로 상정되어, 오이치 향[5](안조시 가미조정), 후루이치(안조시 후루이정)와, '시인'이라고 기재된 묵서 토기 출토(후타고 고분 남쪽의 사쿠라바야시 유적; 안조시 사쿠라이정 사쿠라바야시) 등 안조시 시카노세 강 유역에 있다.

지방 행정 구획인 군은 호족의 지배 영역이 답습되어 헤키카이, 가모, 누카타, 하즈, 호이, 야나, 아쓰미 7군이었지만 (율령 시행 규칙 엔기시키 민부식), 후에 시타라군이 호이군에서 분립하여 8군이 되었다. 각지에 웅거하는 호족 중에서도 고분 시대를 통해 야마토 정권과 강한 관계를 맺은 국조로부터 우선적으로 군사로 임명되었다.

미카와 국부 터(도요카와시 시라토리초) 시라토리 유적. 소겐지 경내, 앞쪽 빈터에 정청이 위치했다.


국부 유구는 도요카와시 시라토리초 가미고초, 시모고초에서 발견되었다.( ) 총사가 있다는 점과 "오토도(대신)"라는 지명으로 추정되며, 1991년(헤이세이 3년)부터 1997년(헤이세이 9년)까지 총사 주변 발굴 조사가 이루어진 결과 건물 터가 발견되었다. "국주(国厨)"라고 묵서된 토기가 출토되어 정청으로 확인되었다. 1999년(헤이세이 11년) 3월에는 도요카와시 야와타초에서 길이 100m 이상, 폭 22m의 자갈을 깔아 포장한 대로가 발견되었으며, 국부와 국분사를 잇는 도로 유구로 여겨진다.

2024년(레이와 6년) 2월 21일에 "미카와 국부 터"로서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6]

2. 2. 중세

헤이안 시대 말기부터 무사 계급이 성장하면서, 미카와 지역은 여러 장원(荘園)으로 나뉘어 지배되었다.[1] 가마쿠라 시대에는 아시카가 씨가 미카와 슈고직을 맡았고,[1] 이후 키라, 니키, 호소카와, 이마가와, 잇시키 등 아시카가 씨의 여러 분가들이 미카와 지역에 정착했다.[1]

무로마치 시대에는 니키 씨, 잇시키 씨, 호소카와 씨 등이 슈고직에 임명되었다.[1] 센고쿠 시대에는 마쓰다이라 씨, 토다 씨 등의 고쿠진이 대두하여,[1] 마쓰다이라에서 도쿠가와로 성을 바꾼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미카와를 통일했다.[1]

미카와 국의 슈고는 다음과 같다.

가문재임 기간
아다치 씨1194년 ~ 1199년
아시카가 씨1238년 ~ 1333년
고씨1337년 ~ 1351년
니키 요시나가1351년 ~ 1360년
닛타 요시타카1360년 ~ 1377년
잇시키 노리미츠1379년 ~ 1388년
잇시키 아키노리1388년 ~ 1392년
잇시키 미츠노리1406년 ~ 1409년
잇시키 요시츠라1415년 ~ 1440년
호소카와 모치츠네1440년 ~ 1449년
호소카와 나리유키1449년 ~ ?



센고쿠 시대에는 다음과 같은 전투들이 있었다.

전투명연도주요 세력
안조 전투1540년 ~ 1549년마쓰다이라 씨・이마가와 씨 x 오다 씨
제1차 아즈키자카 전투1542년오다 노부히데 x 이마가와 요시모토
제2차 아즈키자카 전투1548년이마가와・마쓰다이라 연합군(마쓰다이라 히로타다, 다이겐 셋사이, 아사히나 야스요시) x 오다군(오다 노부히데, 오다 노부히로)
미카와 잇코 일키1563년마쓰다이라 이에야스 x 잇코슈
후타레기 성 전투1571년다케다 신겐 x 도쿠가와 이에야스
노다 성 전투1573년다케다 신겐 x 도쿠가와 이에야스(스게누마 사다토요, 시타라 사다미치)
나가시노 전투1575년오다 노부나가・도쿠가와 이에야스 x 다케다 가쓰요리


2. 3. 근세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도쿠가와 막부를 수립한 후, 미카와 지역은 여러 번(藩)으로 분할되어 통치되었다. 이 지역의 일부는 신뢰할 수 있는 세습 가신인 후다이다이묘에게 봉건 영지로 할당되었고, 상당 부분은 막부 직할의 다양한 하타모토가 관리하는 ''시하이쇼'' 영지로 유지되었다.[11]

요시다 번, 오카자키 번, 니시오 번 등 주요 번들은 후다이 다이묘들이 통치하며 막부의 안정에 기여했다. 에도 시대 동안 미카와는 막부에서 화약 생산을 허가한 유일한 지역이었으며, 이는 현대 불꽃 산업으로 이어졌다.

1871년 7월 폐번치현으로 번들은 폐지되고, 1872년 1월에 미카와 국 전체 영토는 새로운 아이치현의 일부가 되었다.

다음은 미카와 국의 번 목록이다.[11]

미카와국의 번 목록
번명거성번주비고
미카와 요시다 번요시다성
니시오 번니시오성
오카자키 번오카자키성
카리야 번카리야성
코마고메 번진야
사쿠라성

진야
고마고메성
오쿠다이 번
오쿠도노 번
오쿠다이 진야
오쿠도노 진야
*오쿠다이 마쓰다이라가*, 1684년 - 1863년(번청을 비옥지인 시나노 사쿠군으로 이전)
타하라 번타하라성
니시하타 번니시하타 진야*혼다가*, 1848년 - 1871년
니시타이라 번니시타이라 진야*오오카가*, 1748년(번조는 오오카 에치젠노카미 타다스케) - 1871년
사쿠테 번카메야마성*마쓰다이라 타다아키*, 1602년 - 1610년(이세 카메야마 번으로 이봉)
이호 번이호 진야
후카미조 번후카미조성
미카와 나카시마 번나카시마 진야*이타쿠라 시게노리*→→→, 1640년경 - 1672년(시모츠케 카라스야마 번으로 이봉)
오하마 번오하마 진야*미즈노 타다토모*, 1768년 - 1777년(스루가 누마즈 번으로 이봉)
신조 번신조성*미즈노 분나가*, 1606년 - 1648년(미즈노 겐코, 코즈케 안나카 번으로 이봉)
아스케 번아스케 진야*혼다 타다치카*, 1683년 - 1689년(의 하타모토로)
카타하라 번카타하라성*마쓰다이라 이에노부*, 1618년 - 1619년(셋츠 타카츠키 번으로 이봉)
하타무라 번
오가키 번 지번
하타무라 진야*토다가*, 1688년 - 1869년(미노국 오노군 노무라로 번청을 이전)


2. 4. 근대 이후

메이지 유신 이후 1871년 7월 폐번치현으로 여러 번(藩)과 ''텐료''(天領) 영토는 단명한 현(県)으로 바뀌었고, 1869년메이지 시대의 지적 개혁에 의해 10개의 구역으로 편성되었다. 1872년 1월, 옛 미카와 국의 전체 영토는 새로운 아이치현의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옛 미카와 국의 영토는 일본 자동차 산업의 중심지로서 번성하고 있다. 특히 도요타 자동차를 중심으로 발전했다.

3. 지리

미카와는 역사적으로 니시미카와 지역을 주로 지칭했으며, 히가시미카와는 별도로 구분되었다.[9] 『미카와 이야기』에서도 니시미카와를 단순히 "미카와(국)"이라고 불렀고, 도요카와·도요하시 부근을 특별히 지정할 경우 "히가시미카와 (국)"이라고 칭했다.[9]

막말에 편찬된 『도쿠가와 실기』에서 처음으로 "니시미카와"라는 호칭이 등장했다. 이때부터 미카와국을 동서로 분할하여, 니시미카와(야하기 강 유역), 히가시미카와(요시다 강 유역)라고 칭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10]

3. 1. 영역

메이지 유신 직전 미카와국의 영역은 현재 아이치현의 다음 구역에 해당한다.

도요하시시, 도요카와시, 가마고리시, 다하라시, 신시로시, 기타시타라군(시타라정, 도에이정, 도요네촌), 니시오시, 누카타군(고다정), 오카자키시, 안조시, 지류시, 카리야시, 다카하마시, 헤키난시, 미요시시
도요타시의 대부분 (스부치정, 아사야정, 산분야마정, 시모키리정, 시모나카정, 시마자키정, 가미나카정, 가미키리정, 잇시키정 제외)


3. 2. 군 (郡)

미카와국은 9개의 군으로 구성되었다.[1]

  • 헤키카이군(碧海郡|헤키카이군일본어)
  • 가모군(加茂郡|가모군일본어)
  • 하즈군(幡豆郡|하즈군일본어)
  • 누카타군(額田郡|누카타군일본어)
  • 호이군(宝飯郡|호이군일본어)
  • 시타라군(設楽郡|시타라군일본어)
  • 야나군(八名郡|야나군일본어)
  • 아쓰미군(渥美郡|아쓰미군일본어)

3. 3. 서미카와와 동미카와

역사적으로 '미카와'는 주로 니시미카와 지역을 지칭했으며, 히가시미카와는 별도로 구분되었다.[9] 『미카와 이야기』에서도 니시미카와를 단순히 "미카와(국)"이라고 부르고, 도요카와·도요하시 부근을 특별히 지정할 경우 "히가시미카와 (국)"이라고 칭하고 있다.[9]

막말에 편찬된 『도쿠가와 실기』에서 처음으로 "니시미카와"라는 호칭이 등장했다. 이때가 되어서야 비로소 미카와국을 동서로 분할하여, 니시미카와(야하기 강 유역), 히가시미카와(요시다 강 유역)라고 칭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10]

현재는 구 아사히 정 일부(구 기후현 에나군 미노촌 일부)를 제외한 도요타시, 오카자키시, 카리야시, 지류시, 안조시, 헤키난시, 타카하마시, 니시오시, 미요시시, 코다정이 니시미카와에 속한다. 도요하시시, 도요카와시, 가마고리시, 신시, 다하라시, 시타라정, 토요네촌, 토에이정이 히가시미카와에 속한다.

4. 문화

미카와 국은 예로부터 불교가 번성했던 지역이다.

미카와 국분사 (도요카와시 야와타초)


미카와 국분니사 터 (도요카와시 야와타초)

4. 1. 신사 (神社)


:『엔기시키 신명장』에는 소사 26좌 25사가 기재되어 있다("미카와국의 식내사 목록" 참조). 대사는 없다.
:『중세 제국 일궁제의 기초 연구』에 따른 일궁 이하의 목록[7]

구분명칭위치비고
총사미카와 총사도요카와시 시라토리초 가미고추별명 "시라토리 신사 상궁"
이치노미야토가 신사도요카와시 이치노미야초 니시가이토이치노미야를 토가 신사로 하는 많은 사료가 있다.[8]
니노미야지류 신사지류시 니시마치 간다다만 지류 신사를 니노미야로 하는 중세 사료는 발견되지 않았다.
산노미야사나게 신사도요타시 사나게초 오시로다만 초견은 1662년의 사료이며, 중세 사료에는 그것을 나타내는 것은 발견되지 않았다.


4. 2. 사찰 (寺院)


  • 미카와 국분사 터 (도요카와시 야와타초 혼고): 국가지정 사적이다. 1985년(쇼와 60년)부터 1988년(쇼와 63년)까지의 발굴 조사에서 금당, 강당, 탑터 등이 확인되었다. 현재는 터에 에이쇼 연간에 창건된 고후소잔 국분사가 세워져 국분사의 법등을 전승하고 있으며, 고대 국분사의 동종(범종)을 전한다.[6]
  • 미카와 국분니사 터 (도요카와시 야와타초 오시지): 국가지정 사적이다. 발굴 조사에서 유구가 확인되어 사적 공원으로 정비되어 있다. 터에는 기온산 세이코 사가 세워져 있다.[6]


5. 스포츠

시호스 미카와와 산엔 네오피닉스는 일본 프로 농구 1부 리그인 B.리그에서 활동한다.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Google books 2005
[2] 백과사전 三河国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3] 논문 『古事記』と木簡に見える国名表記の対比 https://ndlsearch.nd[...] 2012
[4] 간행물 平凡社, 愛知県埋蔵文化財センター, 安城市埋蔵文化財センター
[5] 문서 石神遺跡木簡に記載あり
[6] 문서 令和6年2月21日文部科学省告示第12号
[7] 서적 中世諸国一宮制の基礎的研究 岩田書院 2000
[8] 문서 1264年の史料に「一宮領内麻宇田村」、『三河物語』に「一ノ宮、市之宮」、元禄14年の三河国絵図に「一之宮村」、江戸後期の三河国図に「一之宮」、天保8年の三河国全図に「一宮」等の記載がある。
[9] 서적 愛知県の地名 平凡社 1981
[10] 문서 三河国を東西に分割して、西三河、東三河と呼称したことがわかる確実な史料は、徳川実紀;嘉永2年(1849年)である。「是より先三河國帰順の後は本國の國士を二隊に分。酒井忠次。石川家成二人を左右の旗頭として是に属せしめられしが。家成今度懸川を留守するにおよび。旗頭の任は甥の数正にゆずり。」
[11] 문서 参考文献の2、1178-1179頁・「近世大名配置表」によ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