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민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민영화는 공공 부문의 자산이나 기능을 사적 부문으로 이전하는 것을 의미하며, 다양한 유형과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국영 기업의 매각, 정부 서비스의 민간 위탁, 규제 완화 등을 포함한다. 민영화는 1980년대 영국과 미국에서 신자유주의 정책의 일환으로 확산되었으며, 동유럽, 라틴 아메리카 등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사례가 존재한다.

민영화는 효율성 증대, 가격 인하, 선택의 폭 확대 등의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지만, 공공성 약화, 고용 불안정, 소득 불평등 심화, 안전 문제 등의 부정적 영향도 발생할 수 있다. 민영화의 성공과 실패는 사용된 모델, 시장 환경, 정치적 요인 등에 따라 다르며, 이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대한민국 역시 1960년대부터 민영화를 추진해 왔으며, 경제 성장에 기여했지만 사회적 불평등 심화 등의 부작용도 나타났다. 따라서 민영화를 추진할 때는 신중한 접근과 공공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영화 - 올리가르히
    올리가르히는 소련 붕괴 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서 막대한 부와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소수의 재벌을 의미하며, 러시아에서는 민영화 과정에서 성장하여 부패의 온상이 되기도 했고, 우크라이나에서도 정치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민영화 - 국철분할민영화
    국철분할민영화는 1987년 일본국유철도의 경영 부실을 해결하기 위해 추진된 개혁으로, 12개의 JR 계열사로 분할되어 효율성 증진을 꾀했으나 안전 문제, 고용 불안 등의 부정적인 측면도 나타났다.
  • 규제경제학 - 금융 빅뱅
    금융 빅뱅은 1986년 런던 증권 거래소의 규제 완화를 통해 금융 시장 구조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킨 조치로, 고정 수수료 폐지, 거래소 회원 자격 개방, 겸업 허용 등을 포함하며 런던을 국제 금융 중심지로 부상시키는 데 기여했지만, 윔블던 현상, 빈부 격차 심화, 금융 위기 영향 등 논쟁도 존재한다.
  • 규제경제학 - 규제 포획
    규제 포획은 이해관계 집단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으로, 규제 기관이 규제 대상 산업의 이익을 대변하게 되는 것을 의미하며, 로비 활동, 전문가 기구 구성, 회전문 현상 등을 통해 발생하고, 물질적, 비물질적 포획의 유형으로 나타나 사회적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 독점 - 저작권
    저작권은 창작자의 권익 보호와 문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문학, 예술, 음악 등 인간의 창작물에 대해 창작자에게 부여되는 법적 권리로서, 저작인격권과 저작재산권으로 구성되며, 국제 조약 및 각국 국내법을 통해 보호되지만 디지털 기술 발전으로 보호와 이용 간 균형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독점 -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1602년 네덜란드 의회가 설립한 특허 회사로, 동인도와의 무역 독점, 요새 구축, 군대 유지 등의 권한을 가지며 17세기 세계 최대 무역 회사로 성장했으나, 18세기 후반 쇠퇴하여 1799년 해산되었고, 최초의 주식회사로 여겨지지만 식민주의 등의 문제로 비판받는다.
민영화
민영화
민영화공공 부문에서 사적 부문으로 자산 또는 서비스 운영권을 이전하는 과정
주요 유형
자산 매각국영 기업 또는 자산의 소유권을 개인 또는 기업에 양도
계약사적 부문이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계약
규제 완화사적 부문의 시장 참여를 늘리기 위한 규제 완화
목적
효율성 증대시장 경쟁을 통해 효율성 향상
재정 부담 감소정부의 재정 부담을 줄이고, 정부 부채를 감소시킴
투자 유치사적 자본과 기술을 유치하여 경제 성장 촉진
서비스 품질 향상경쟁 환경에서 서비스 품질 개선
찬반 논쟁
찬성효율성 및 생산성 증대
재정 부담 감소
서비스 품질 향상
반대공공 서비스 접근성 감소
고용 불안정 초래
공공재의 이익 추구
가격 상승 및 서비스 질 저하 우려
민영화 사례
영국1980년대 마거릿 대처 정부의 국영 기업 민영화 추진
칠레1970년대 군사 정권 하에서 광범위한 민영화
대한민국한국전력 KT 등 공기업 민영화
경제학적 관점
신자유주의시장 경제 원칙에 따른 민영화 옹호
케인스 경제학공공 부문의 역할을 중시하며 민영화에 대한 비판적 견해
공공 선택 이론정부의 비효율성을 지적하며 민영화 지지
관련 개념
규제 완화민영화와 함께 사적 부문의 시장 참여를 확대하는 정책
공공 서비스민영화 대상이 되는 주요 서비스 분야
국유화민영화의 반대 개념으로, 사적 자산을 공공 소유로 전환
시장화 테스트민영화의 일환으로, 공공 서비스 운영을 민간에 맡기는 과정
국가 자본주의정부가 적극적으로 시장에 참여하는 경제 모델
더 보기
관련 링크협동조합 뉴스 - 민영화 시도 실패 사례
Investopedia - 비공개 전환 정의
Investopedia - 공기업이 민영화하는 이유

2. 민영화의 정의와 유형

"민영화"라는 용어는 1923년 4월 뉴욕 타임스 기사에서 처음 등장했는데, 이는 독일 국영 철도를 미국 기업이 매입할 가능성을 언급한 내용이었다.[5] "Privatisierung"라는 독일어 단어는 적어도 19세기부터 사용되었다.[6] 이 단어는 프랑스어를 거쳐 라틴어 privatusla에서 유래했다.[7]

"재민영화"라는 용어는 1930년대 중반 이코노미스트가 나치 독일이 1931년 경제 위기 이후 국유화했던 은행을 일반 주주들에게 다시 매각한 것을 보도하면서 자주 사용되었다.[8]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 마가렛 대처 영국 수상의 경제 정책(대처리즘)을 통해 "민영화"라는 단어가 일반화되었다. 대처 수상은 민영화 옹호론자인 데이비드 하웰 의원의 연구를 참고했는데, 그는 오스트리아계 미국인 경영 전문가 피터 드러커의 1969년 저서 "단절의 시대"를 참고했다.[8]

시카고 주차 미터 수익 75년 매각(2008년)과 같이 일부 민영화 거래는 담보 대출의 한 형태로 해석될 수 있으며,[27][28] "특히 유해한 형태의 정부 부채"로 비판받기도 한다.[27]

정부 활동이 비대해지면 경제 전체의 자원 배분을 왜곡할 수 있다.[76] 민영화는 경쟁 원리를 통해 공공 부문의 비효율성을 시정하려는 목적을 가지며,[76] 경영 적자로 인한 재정 부담은 민영화의 주요 원동력 중 하나이다.[76] 국가에 따라서는 일정 기간 황금주를 부여하여 시장 안정화를 도모하기도 한다.

2. 1. 정의

민영화는 공공 부문에서 수행하던 기능을 민간 부문으로 이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소유권 이전뿐만 아니라, 경영 위탁, 규제 완화 등 다양한 방식을 포함한다. 민영화는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질 수 있다. 공공 영역의 것을 사적 영역으로 이전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항상 사적이었지만 엄격하게 규제되었던 것이 규제 완화 과정을 통해 규제가 완화되는 것을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9]

2. 2. 유형

민영화는 사용되는 문맥에 따라 여러 의미를 가질 수 있다. 공공 영역의 것을 사적 영역으로 이전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항상 사적이었지만 엄격하게 규제되었던 것이 규제 완화 과정을 통해 규제가 완화되는 것을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9]

민영화된 국영·공영 기업은 일반적으로 주식 상장된다. 단계적으로 주식을 방출하여 결국 시장이 모든 주식을 보유하게 된 경우(국유 주식이 완전히 방출된 경우) '''완전 민영화'''라고 한다.

시장에 의해 운영되는 기업은 이익 증대가 필수 과제가 된다. 따라서 각 기업은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게 된다. 이익 증대에 실패할 경우 시장으로부터 경영진 교체 요구를 받을 가능성도 있다.

3. 민영화의 역사

"민영화"라는 용어는 1923년 4월, 독일 국영 철도를 미국 기업이 매입할 가능성을 언급한 뉴욕 타임스 기사에 처음 등장했다.[5] 독일어 단어 "Privatisierung"는 적어도 19세기부터 사용되어 왔다.[6] 이 단어는 프랑스어를 거쳐 라틴어 privatusla에서 유래했다.[7] "재민영화"라는 용어는 1930년대 중반 이코노미스트가 나치 독일이 국유화된 은행을 다시 민간에 매각한 것을 보도하면서 사용되었다.[8]

민영화의 역사는 고대 그리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정부는 사실상 모든 것을 민간 부문에 위탁했다.[11] 로마 공화정 시대에는 세금 징수, 군수품 조달, 종교 의식 및 건설 등 대부분의 서비스를 개인과 기업이 담당했다. 로마 제국은 국영기업을 설립하기도 했지만, 관료제의 비용이 로마 제국의 멸망 원인 중 하나였다고 주장되기도 한다.[11]

중국에서는 한나라 시대에 도교자유방임주의 원칙인 "무위(無爲)" 사상이 국가 운영에 영향을 미쳤다.[12] 르네상스 시대 유럽은 대체로 봉건 경제 모델을 따랐지만, 중국명나라는 제조업 부문에서 민영화를 추진했다.[13]

영국에서는 토지 둘러싸기 운동(저지대 청소와 고지대 청소)을 통해 공유지의 민영화가 이루어졌으며, 이는 1760년부터 1820년까지 산업혁명에 앞서 일어났다.

최초의 대규모 국유재산 민영화는 1933년부터 1937년 사이 나치 독일에서 발생했다. 나치 정부는 철강, 광업, 금융, 조선소, 철도 등 다양한 부문의 국영 기업 지분을 매각했다.[14] 영국은 1950년대에 철강 산업을 민영화했고, 서독 정부는 1961년 폭스바겐의 지분 과반을 소액 투자자들에게 매각했다.[11] 1979년 이후 영국의 관영 주택 세입자들은 크게 할인된 가격으로 집을 매입할 권리를 부여받았으며, 1986년까지 100만 명이 주택을 매입했다. 존 메이저 집권 하의 영국철도 민영화는 논란이 많았으며, 그 영향은 오늘날에도 논쟁의 여지가 있다.[15]

라틴 아메리카의 민영화는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서구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의 영향으로 광범위하게 진행되었다. 상하수도 관리, 교통, 통신 등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이 민간 부문에 빠르게 매각되었다.[18] 경제학자들은 일반적으로 라틴 아메리카 민영화의 영향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지만,[19] 각국의 여론 조사와 공공 시위는 상당수의 대중이 이 지역의 민영화에 대해 불만을 가지고 있거나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20]

민영화의 주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주식 발행 민영화: 주식 시장에서의 주식 매각.

# 자산 매각 민영화: 전략적 투자자에게 자산을 매각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경매 또는 트로이한트 모델을 통해 이루어진다.

# 바우처 민영화: 기업의 일부 소유권을 나타내는 바우처를 모든 시민에게 무료 또는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배포하는 것이다.

# 하향식 민영화: 이전의 사회주의 국가에서 새로운 민간 기업의 시작.

# 경영진 매수: 회사 경영진이, 때로는 외부 대출 기관으로부터 차입하여 공개 주식을 매입하는 것.

# 종업원 매수: 조직의 근로자나 경영진에게 무료 또는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주식을 배포하는 것.

매각 방법의 선택은 자본 시장과 정치적, 기업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주식 시장을 통한 민영화는 주식을 흡수할 수 있는 확립된 자본 시장이 있을 때 더 가능하다. 개발도상국과 전환 경제의 정부는 자본이 풍부한 주식 시장이 아직 없는 경우가 많아 소수의 투자자에게 직접 자산을 매각하는 방법을 더 자주 사용한다.

러시아,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와 같은 전환 경제에서는 바우처 민영화가 주로 발생했다. 하향식 민영화는 전환 경제의 경제 성장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러시아와 체코 전환 경제에서 발생한 "민영화"에 대한 일부 문헌을 종합한 연구에서 "매각에 의한 민영화", "대규모 민영화", "혼합 민영화"의 세 가지 민영화 방법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대규모 민영화"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었다.[26]

그러나 국가 관료제에 의해 유지되는 "부족으로 특징지어지는" 경제에서는 부가 축적되고 "회색/흑색 시장" 운영자에 의해 집중되었다. 이러한 개인에게 산업을 매각하는 것은 "이전의 국가 자산의 효과적인 민간 부문 소유주"로의 전환을 의미하지 않았다. 이들은 시장 경제 참여보다는 개인적 지위나 정치적 권력 축적을 선호할 수 있었다. 대신, 외국인 투자는 민간 부문과 시장 경제에서 이전의 국가 자산의 효율적인 운영으로 이어졌다.[26]

직접 자산 매각 또는 주식 시장을 통한 민영화를 통해 입찰자들은 더 높은 가격을 제시하기 위해 경쟁하여 국가에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한다. 반면에 바우처 민영화는 일반 대중에게 자산을 진정으로 이전하여 참여와 포괄성을 느끼게 할 수 있다.

3. 1. 세계적 흐름

민영화는 1980년대 영국 마가렛 대처 정부와 미국 로널드 레이건 정부의 신자유주의 정책 기조 하에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11] 특히 영국에서는 브리토일, 영국전신전화, 브리티시 에어로스페이스, 브리티시 가스, 롤스로이스 등 다양한 국영 기업들이 민영화되었다.[17] 이러한 민영화 정책은 당시 보수당 총리였던 해럴드 맥밀란으로부터 "가보를 팔아치우는 것"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16]

1990년대 이후 동구권, 중유럽, 러시아 등 구 공산권 국가들은 체제 전환 과정에서 세계은행 등의 지원을 받아 대규모 민영화를 추진했다.[22]

20세기 이후의 주요 민영화 사례 중 하나로, 일본전신전화의 1987년 민영화는 당시 금융 역사상 최대 규모의 주식 공모였다.[21] 1988년 미하일 고르바초프페레스트로이카 정책은 중앙 계획 경제의 민영화를 허용하기 시작했다.[22] 소련의 해체 이후, 다른 동구권 국가들도 비공산주의 정부가 들어서면서 민영화를 추진했다.

프랑스에서는 프랑스텔레콤의 민영화가 가장 큰 규모의 공개 주식 공모였다. 이집트에서는 호스니 무바라크 집권 하에 광범위한 민영화가 실시되었으나, 2011년 혁명 이후에는 민영화된 기업들이 친족 자본주의를 행했다는 비판과 함께 국유화 요구가 제기되기도 했다.

1998년과 2002년 프리덤 하우스의 민영화 지수는 다음과 같다.[22]

민영화
지수
19982002
불가리아4.03.0
체코2.01.75
헝가리1.51.5
폴란드2.252.25
루마니아4.53.75
슬로바키아3.252.0
슬로베니아2.52.5
러시아3.03.5


3. 2. 대한민국의 민영화

대한항공공사는 1969년 3월 1일 한진그룹에 인수되어 대한항공으로 이름이 바뀌면서 민영화되었다. 대한항공공사는 민영화 후 1966년 한국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지만, 직원 수, 보유 기종, 노선 등을 합리적으로 조정하지 못해 경영 위기를 겪었다. 1969년, 정부는 경영 정상화를 위해 보유 주식을 한진그룹에 넘겼고, 대한항공공사는 순수 민간 기업으로 새롭게 출발했다.[1]

한국담배인삼공사는 2002년 KT&G로 이름을 바꾸면서 민영화되었다.[2]

한국전기통신공사는 2002년 KT로 이름을 변경하고 민영화되었다.[3]

포항종합제철(주)는 2000년 한국산업은행이 보유하던 주식을 모두 매각하면서 민영화되었다. 2002년에는 포스코로 이름을 변경했다.[4]

대한석유공사는 1980년 선경(현 SK그룹)이 미국 걸프 사의 지분과 경영권을 인수하여 민영화되었고, 1982년 (주)유공으로 이름을 바꾸었다.[5]

한국중공업(주)는 1962년 민영기업 현대양행(주)으로 설립되었다가 1980년 공기업으로 전환되었으나, 2000년 12월 두산그룹이 지분을 인수하면서 2001년 3월 두산중공업으로 이름을 변경했다.[6]

국정교과서(주)는 1998년 11월 대한교과서(현 미래엔)에 인수되어 민영화되었다가 1999년 5월 흡수 합병되었다.[7]

한국기계공업(주)는 1968년 신진자동차가 지분과 경영권을 인수하여 민영화되었다.[8]

4. 민영화의 효과 및 논쟁

민영화는 경제 효율성을 높이고 경쟁을 촉진하며, 재정 적자를 줄이는 등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민영화는 여러 가지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주제이기도 하다.

경제 이론에서는 계약 이론을 통해 민영화를 연구한다. 하트, 슐라이퍼, 비쉬니 (1997)의 모델에 따르면, 관리자는 품질 향상과 비용 절감이라는 두 가지 투자를 할 수 있는데, 사유 재산과 공공 재산 중 어느 것이 더 바람직한지는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74]

민영화는 때때로 담보 대출의 한 형태로 해석되기도 한다.[27][28] 특히 2008년 시카고 주차 미터 수익 75년 매각과 같은 사례는 세금 인상이나 부채 발행 대신 "정치인들이 은밀하게 돈을 빌리려는 욕구" 때문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27]

정부가 민영화를 결정하는 주된 이유는 경제적인 요인이다. 정부 부채를 줄이고, 국영 기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민영화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24][25]

4. 1. 민영화의 효과가 발생되는 구조

국영기업과 민간기업의 차이는 독점 시장의 유무에 따라 결정된다. 자유 시장에서는 경쟁을 통해 효율적인 기업이 살아남는 자연선택이 일어난다. 법 개정을 통해 국영기업의 독점 시장을 없애고 경쟁 환경을 조성하면, 자연선택의 원리에 따라 최적화된 기업이 나타난다.[24]

민영화된 기업은 보통 주식을 공개한다. 단계적으로 주식을 매각하여 국가 소유 주식이 완전히 없어지면 완전 민영화라고 한다. 일부 국가에서는 황금주를 통해 시장 안정을 꾀하기도 한다.

주식시장에 공개된 기업은 이윤 증대가 가장 중요한 목표가 된다. 따라서 기업은 이익을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경영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이익이 늘지 않으면 경영진 교체 요구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이익이 적으면 주가가 하락하여 기업 인수를 통한 효율화가 진행될 수 있다.[25]

완전 민영화가 이루어지면, 기업은 가격과 이윤의 관계를 적절하게 조절한다. 가격 기능이 정상화되면 자원 배분의 효율성이 높아진다.[29] 공급 과잉이었던 경우에는 남는 자원을 다른 산업에 활용할 수 있고, 공급 부족이었던 경우에는 필요한 만큼 자원이 공급되어 경제 활동이 활발해진다.[30]

4. 2. 긍정적 효과

민영화의 긍정적 효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경쟁 촉진: 민간 기업들은 서로 경쟁하면서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가격을 낮추기 위해 노력한다. 이는 소비자들이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게 돕는다.[33]
  • 효율성 증대: 민간 기업은 이익을 많이 얻기 위해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줄이려고 노력한다. 이는 자원이 낭비되지 않고 효율적으로 사용되도록 한다.[25]
  • 재정 부담 완화: 민영화는 공기업의 적자를 줄여 세금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24]
  • 경영 혁신: 민간 기업의 효율적인 경영 방식과 기술 개발 노력이 도입되어 혁신을 촉진한다.[33]


이러한 긍정적 효과는 시장의 경쟁이 활발하고 소비자들이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있을 때 더 크게 나타난다.[33] APEC에 따르면, 산업 경쟁이 치열할수록 생산량, 수익성, 효율성이 더 크게 향상된다.[33]

민영화 옹호론자들은 다음과 같은 주장을 한다.[68]

  • 성과 개선: 국영 기업은 관료주의적인 경향이 있어, 정치적으로 민감한 문제가 발생할 때만 개선하려는 동기를 가질 수 있다. 반면 민간 기업은 이윤 증대를 위해 효율성을 높이려 노력한다.
  • 전문화: 민간 기업은 특정 기능에 자원을 집중할 수 있지만, 국영 기업은 다양한 요구를 충족해야 하므로 전문화가 어렵다.
  • 부패 감소: 국영 기업은 정치적 이유나 뇌물 등으로 부패하기 쉽지만, 민영화는 이러한 부패를 줄일 수 있다.
  • 책임성 강화: 민간 기업은 주주와 소비자에게 책임을 지지만, 국영 기업은 더 넓은 범위의 이해관계자에게 책임을 져야 하므로 고객 요구 충족 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 투자 촉진: 사기업은 금융 시장에서 자본 조달이 용이할 수 있으며, 이는 투자를 촉진한다.
  • 자연 독과점 규제 가능: 자연 독과점 분야도 민영화 후 정부의 반독점법과 규제 기관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 정치적 간섭 배제: 국유화된 산업은 정치적, 포퓰리즘적 이유로 간섭받기 쉽지만, 민영화는 이러한 간섭을 줄인다.
  • 이윤 추구: 민간 기업은 이윤을 추구하며, 이는 고객의 요구를 효율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한 동기가 된다.
  • 일자리 증가: 경제 효율성이 높아지면 더 많은 민간 자금이 투자와 소비에 사용되어 더 많은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다.[69]

4. 3. 부정적 효과 및 비판적 견해

민영화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공공재와 서비스(예: 법 집행, 기본적인 보건 의료, 기본적인 교육)는 모든 사회 구성원이 접근할 수 있도록 주로 정부의 손에 남아 있어야 한다고 믿는다.[86] 정부가 국방과 질병 통제와 같은 공공재와 서비스를 사회 전체에 제공할 때 외부 경제 효과가 발생한다. 일부 국가 헌법은 정부의 "핵심 사업"을 사법, 평화, 국방 및 일반 복지 제공으로 규정하며, 이는 장기적인 관점(미래 세대를 위해)에서 공공의 이익을 위해 수행된다. 자연 독점의 경우, 민영화 반대자들은 자연 독점이 공정한 경쟁의 대상이 아니며 국가가 더 잘 관리한다고 주장한다.

민영화 반대자들은 공공재, 서비스 및 자산의 제공을 완전히 민간의 손으로 이전하는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이유로 비판적이다.[70]

  • 성과: 민주적으로 선출된 정부는 국회를 통해 국민에게 책임이 있으며 국가 자산을 보호하는 데 동기를 부여받는다. 이윤 동기는 사회적 목표에 종속될 수 있다.
  • 개선: 정부는 운영이 잘되는 기업이 국가 수입에 기여하기 때문에 성과 개선에 동기를 부여받는다.
  • 부패: 정부 장관과 공무원은 최고의 윤리 기준을 준수해야 하며, 행동 강령과 이해 관계 신고를 통해 청렴성 기준이 보장된다. 그러나 매각 과정이 투명하지 않아 구매자와 매각을 통제하는 공무원이 개인적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 책임성: 주주, 고객, 공급업체, 규제 기관, 직원 및 협력자를 포함한 다양한 이해 관계자에게 책임이 있지만, 대중은 민간 기업에 대한 통제와 감독이 적다.
  • 시민적 자유에 대한 우려: 민주적으로 선출된 정부는 국민에게 국회를 통해 책임이 있으며, 시민적 자유가 위협받을 때 개입할 수 있다.
  • 목표: 정부는 국가 전체의 이익을 위해 사회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국영 기업을 사용하려고 할 수 있다.
  • 자본: 정부는 국영 기업에 재대출하기 위해 금융 시장에서 가장 저렴하게 자금을 조달할 수 있지만, 정부의 구제금융 보장으로 인해 재정 규율이 약화될 위험이 있다.
  • 필수 서비스 감소: 모든 시민에게 필수 서비스(예: 상수도)를 제공하는 정부 소유 기업이 민영화될 경우, 새로운 소유주는 지불 능력이 없는 사람이나 서비스가 수익성이 없는 지역에 대한 사회적 의무를 포기할 수 있다.
  • 자연 독점: 자연 독점이 존재하는 경우 민영화는 진정한 경쟁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 부의 집중: 성공적인 기업의 이윤은 공공 사용에 사용될 수 있는 대신 사적으로 귀속된다.
  • 정치적 영향력: 정부는 정부 정책 시행을 지원하기 위해 국영 기업에 더 쉽게 압력을 가할 수 있다.
  • 이윤: 민간 기업은 이윤 극대화 외에는 어떤 목표도 가지고 있지 않다.
  • 민영화와 빈곤: 많은 연구에서 민영화에는 승자와 패자가 있다는 것이 인정된다. 민영화 과정에 심각한 결함이 있는 경우(예: 투명성 부족, 규제 기관 부재, 자산 헐값 매각) 패자의 수는 예상치 못하게 많을 수 있다.[70]
  • 일자리 감소: 공기업과 달리 정부의 도움 없이 성공해야 하는 민영화된 기업에 추가적인 재정적 부담이 가해짐에 따라 회사에 더 많은 돈을 남기기 위해 일자리가 감소할 수 있다.
  • 임금 및 복리후생 감소: 공익을 위한 연구소(In the Public Interest)의 2014년 보고서[71]는 "공공 서비스 아웃소싱은 근로자 임금과 복리후생 감소로 인해 지역 경제와 중산층 및 노동 계층 공동체의 전반적인 안정성이 저해되는 악순환을 초래한다"고 주장한다.[72]
  • 열등한 품질의 제품: 사익 추구 민간 기업은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품질 좋은 상품과 서비스 제공을 소홀히 한다.[73]


정부 활동이 비대해지는 것은 경제 전체의 자원 배분을 왜곡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76] 민영화는 공공 부문의 비효율성을 경쟁 원리에 의해 시정하려는 목적이 있다.[76] 또한 공공 부문의 비효율성은 경영 적자라는 형태로 자주 나타난다.[76] 경영 적자에서 발생하는 재정 부담이 민영화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76]

2018년,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의 알렉산드르 드 조니악 사무총장은 "우리 조사에 따르면 민영화된 공항에서 효율성이나 투자 수준이 향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영화가 모든 해결책이라고 가정하는 것은 잘못이다"라며, 충분한 검토 없이 공항이 민영화됨으로써 장기적으로 공항의 사회적 편익이 훼손될 가능성에 대해 경고했다.[77]

  • 영국철도(British Rail)
  • 분리운영 방식을 채택하여 1994년에 시설 관리를 담당하는 레일트랙(Railtrack)사와 25개의 열차 운영 회사, 13개의 선로 유지보수 회사로 분할 민영화되었다.[81] 레일트랙사는 주주 배당을 중시한 나머지 시설 관리에 대한 투자를 소홀히 하여 많은 중대한 철도 사고를 일으켰고 2002년도산하여, 시설 관리 사업은 국영 기업인 네트워크 레일(Network Rail)로 이관되었다.
  • 열차 운영 회사는 구획된 지역 및 노선 또는 열차별 영업권을 취득하는 방식으로, 수년마다 입찰이 실시되며, 그 결과에 따라 기존 운영 회사가 영업권을 계속 유지할지 아니면 신규 회사로 교체될지가 결정된다.
  • 고용센터
  • 관련 사업 분야가 시장화 테스트 대상이었다. 당시 정부의 "개혁" 회의, 경제재정자문회의 등에서 민영화가 활발히 논의되었다.[82] 또한, 일본경제신문 등 일부 신문에서는 사설 등을 통해 민영화 찬성론을 싣는 기사[83]가 있었고, 당시 민영화를 부추기고 유도하는 기사로 추진 운동을 벌인 일본경제신문과 같은 일부 언론도 과거에 존재했다. 리쿠르트 등이 직업소개 사업에 진출하는 가운데 세이프티넷 구축에 관해 국회에서 검토해야 할 과제는 많다. 리쿠르트는 관민 비교 시 취업 곤란자를 헬로워크 측으로 유도하는 등 부정 행위도 있었지만, 2006년 시장화 테스트 평가위원회[84]는 2007년 11월 26일, 2006년도에 시장화 테스트 모델 사업으로 실시한 구인 개척 사업의 실적 평가를 실시하여 민간 실시 지역에서는 개척 구인 건수, 개척 구인 수, 충족 수 모두에서 국가 비교 대상 지역의 결과를 크게 하회했다.
  • 공립병원
  • 오카야마시에서는 이미 적자였던 오카야마시립 기비병원이 제생회에 매각되어 제생회 기비병원이 되었다. PFI 방식(반관반민 방식)에서는 현립 중앙병원과 고치시립 시민병원의 기능을 통합하여 고치의료센터가 개원했다. 그러나, 전 원장과 민간 회사 직원이 뇌물수수로 체포되어 "관민 유착의 온상", 민간만 흑자이고 병원 본체는 적자라는 점, "하청, 재하청" 기업의 비참한 고용 실태 등에서 "의료 분야에서는 실패"라는 지적도 있다.[85]
  • 일부 독립행정법인
  • 일부 보도에 따르면, 조폐국·인쇄국 등 수입에서 정부 보조금 비율이 낮고 정부 보조의 필요성이 낮다고 여겨지는 법인의 민영화가 검토되고 있다고 보도되었다.
  • 일본방송협회(NHK)

5. 해외의 공기업 민영화 사례

민영화는 상장된 사기업의 모든 발행 주식을 사모 펀드 투자자들이 매입하여 비상장화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는 회사 주식을 공개적인 증권거래소에서 거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3][4] 내부 및 외부 투자자의 참여 여부에 따라, 레버리지드 바이아웃(LBO) 또는 경영진 바이아웃(MBO), 공개매수 또는 적대적 인수합병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3]

5. 1. 성공 사례

일본국유철도일본어는 1987년 JR 7사로 분할 민영화되었다. 이후 JR 동일본(2002년 6월), JR 서일본(2004년 3월), JR 도카이(2006년 4월), JR 큐슈(2016년 10월 25일)가 완전 민영화되었다. 그러나 JR 화물, JR 시코쿠, JR 홋카이도는 여전히 주식회사형 공기업이다.[3][4]

독일우편(Deutsche Post)은 우편, 저축, 통신 3개 부문으로 분할되어 민영화된 후, 국제적인 물류 기업으로 성장하였다.

대한항공공사는 1969년 한진그룹에 인수되어 민영화되었고, 한국담배인삼공사는 2002년 KT&G로 사명을 변경하며 민영화되었다. 포항제철은 2000년 한국산업은행이 소유하고 있던 주식을 전량 매각하며 민영화되었고, 2002년에 포스코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5. 2. 실패 사례

영국철도(British Rail)는 1994년 분리운영 방식을 채택하여 시설 관리를 담당하는 레일트랙(Railtrack)사와 25개의 열차 운영 회사, 13개의 선로 유지보수 회사로 분할 민영화되었다.[81] 레일트랙사는 주주 배당을 중시한 나머지 시설 관리에 대한 투자를 소홀히 하여 많은 중대한 철도 사고를 일으켰고, 2002년 도산하여 시설 관리 사업은 국영 기업인 네트워크 레일(Network Rail)로 이관되었다. 열차 운영 회사는 구획된 지역 및 노선 또는 열차별 영업권을 취득하는 방식으로, 수년마다 입찰이 실시되며 그 결과에 따라 기존 운영 회사가 영업권을 계속 유지할지 아니면 신규 회사로 교체될지가 결정된다. 여러 개의 영업권을 1개 회사가 보유하는 경우도 있다. 민영화 이후 재편이 진행되어 통합된 영업권이 있는 한편, 민영화 이후 새롭게 운영을 시작한 노선(런던 오버그라운드(London Overground) 등)도 있다.

캘리포니아주 전력 사업은 민영화에 실패하여 캘리포니아 전력 위기를 초래했다.

볼리비아의 상하수도는 세계은행의 지시에 따라 민영화되었으나, 대폭적인 가격 인상으로 반발을 불러일으켜 코차밤바 물 분쟁을 야기했다.

5. 3. 기타 국가

; 뉴질랜드포스트(New Zealand Post)

: 1987년에 기존 우정전신성이 우편, 금융, 통신 세 부문으로 분할되었고, 이 중 금융 및 통신 부문은 민영화되었으며 우편 부문은 공사화되었다. 금융 부문은 그 후 오스트레일리아 자본의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은행(Australia and New Zealand Banking Group) 그룹에 매각되었고, 통신 부문은 미국 자본의 벨 아틀랜틱사와 아메리텍사에 매각되었다. 우체국 점포 수 감소로 국민에 대한 서비스가 저하되어 2002년 우편공사 산하에 국영은행인 「키위뱅크(KiwiBank)」가 설립되었다.

; 볼리비아의 상하수도

: 세계은행의 지시에 따라 민영화되었으나, 대폭적인 가격 인상으로 반발을 불러일으켜 코차밤바 물 분쟁을 야기했다.

6. 결론 및 향후 과제

민영화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민영화가 가격 인하, 품질 향상, 선택의 폭 확대, 부패 감소, 관료주의 감소, 빠른 배송 등의 장점을 가져올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모든 것을 민영화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며, 시장실패자연독점은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인정한다.[86]

반면, 민영화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법 집행, 기본 의료 서비스, 기초 교육과 같은 공공재 및 특정 서비스는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도록 정부가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정부가 국방, 질병 통제 등 공공재 및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면 긍정적 외부효과가 발생한다. 일부 국가 헌법은 정부의 "핵심 사업"을 평온, 국방, 일반 복지 등을 제공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이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공동선(공익)을 위한 것이다. 자연독점의 경우, 민영화 반대자들은 공정한 경쟁이 어렵고 국가가 더 잘 관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민영화는 상장된 사기업의 모든 발행 주식을 사모펀드 투자자들이 매입하여 비상장화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는 레버리지드 바이아웃(LBO), 경영진 바이아웃(MBO), 공개매수 또는 적대적 인수합병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3][4]

참조

[1] 서적 Corrupt Bureaucracy and Privatisation of Tax Enforcement Pathak Samabesh
[2] 뉴스 Musselburgh Co-op in crisis as privatization bid fails. https://web.archive.[...] Co-operative News 2005-11-01
[3] 웹사이트 Going Private Definition https://www.investop[...] 2021-08-05
[4] 웹사이트 Why Do Public Companies Go Private? https://www.investop[...] 2021-08-05
[5] 뉴스 Asserts Americans 'Plot' With French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23-04-07
[6] 서적 Privatisierung Mohr Siebeck
[7] 웹사이트 Privatisieren https://www.duden.de[...]
[8] 학술지 The Coining of "Privatization" and Germany's National Socialist Party 2006-06-01
[9] 학술지 Privatization and Political Accountability https://ir.lawnet.fo[...] 2001-01-01
[10] 학술지 Privatization as Delegation https://scholarship.[...] 2003-01-01
[11] 서적 International Handbook on Privatization
[12] 학술지
[13] 서적 Manslaughter, markets, and moral economy
[14] 학술지 Against the mainstream: Nazi privatization in 1930s Germany1 http://diposit.ub.ed[...] 2010-02-01
[15] 뉴스 Forget the nostalgia for British Rail – our trains are better than ever https://www.theguard[...] 2013-08-15
[16] 웹사이트 Harold Macmillan https://web.archive.[...]
[17] 뉴스 Thatcher years in graphics http://news.bbc.co.u[...] 2005-11-18
[18] 간행물 Privatization in Latin America: The rapid rise, recent fall, and continuing puzzle of a contentious economic policy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19] 서적 The Distributive Impact of Privatization in Latin America: Evidence from Four Countries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 간행물 Why is Sector Reform So Unpopular in Latin America? The Ronald Coase Institute
[21] 서적 The Financial Economics of Privatisation
[22] 서적 Making Russia and Turkey Great Again?: Putin and Erdogan in Search of Lost Empires and Autocratic Power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1-03-19
[23] 웹사이트 In Egypt, Revolution Moves Into The Factories https://www.npr.org/[...] 2011-04-20
[24] 학술지 Why Are Developing Countries Privatizing? 1992
[25] 학술지 Privatization: Implications of a Shift from State to Private Ownership http://eprints.lse.a[...] 2021
[26] 학술지 Methods of privatization and economic growth in transition economies https://www.econstor[...] 2007
[27] 학술지 Privatization and the Sale of Tax Revenues 2011-07-06
[28] 뉴스 U. of C. professor argues privatization of public assets just like borrowing money https://www.chicagot[...] Chicago Tribune 2011-07-22
[29] 학술지 Economic Effects of Privatisation of Public Services Sector in the Republic of Croatia Emphasising Maritime Passenger Traffic 2010
[30] 간행물 A review of privatisation and regulation experience in Britain https://iea.org.uk/p[...]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IEA) 2000-11-07
[31] 학술지 Privatisation in Competitive Sectors: The Record to Date, World Bank Policy Research Working Paper No. 2860 2002-06-01
[32] 학술지 From State To Market: A Survey Of Empirical Studies On Privatisation https://web.archive.[...]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2001-06-01
[33] 웹사이트 Privatising State-owned Enterprises https://web.archive.[...] 2010-02-22
[34] 학술지 Privatiz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What Are the Lessons of Recent Experience? 2018-03-22
[35] 학술지 Liberalization and privatization of public utilities: origins of the debate, current issues and challenges for the future 2008-09-11
[36] 논문 Winners and Losers: Assessing the Distributional Impact of Privatisation, CGD Working Paper No 6 http://www.cgdev.org[...]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2006-03-09
[37] 학술지 Reviewed work: The Great Divestiture: Evaluating the Welfare Impact of the British Privatizations, 1979–1997, Massimo Florio
[38] 서적 Liberalisation and privatisation in the EU https://op.europa.eu[...]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12-11-10
[39] 웹사이트 European rail study report http://www.networkra[...] 2016-02-01
[40] 웹사이트 Performance and punctuality (PPM) – Network Rail http://www.networkra[...] 2015-11-20
[41] 웹사이트 92% of UK trains arrive on time https://www.globalra[...] 2019-01-16
[42] 뉴스 Have train fares gone up or down since British Rail? https://www.bbc.co.u[...] 2013-01-22
[43] 논문 Privatisation in Competitive Sectors: The Record to Date World Bank 2002-06
[44] 학술지 The Necessity of Gangster Capitalism: Primitive Accumulation in Russia and China http://monthlyreview[...] Monthly Review Foundation 2000-02
[45] 서적 The Capital Order: How Economists Invented Austerity and Paved the Way to Fascism https://press.uchic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2
[46] 웹사이트 Death surge linked with mass privatisation http://www.ox.ac.uk/[...] University of Oxford 2009
[47] 뉴스 Privatisation 'raised death rate' http://news.bbc.co.u[...] 2009-01-15
[48] 학술지 Did mass privatisation really increase post-communist mortality? 2010-01-30
[49] 서적 Taking Stock of Shock: Social Consequences of the 1989 Revolutions https://oxford.un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
[50] 서적 The Great Leveler: Violence and the History of Inequality from the Stone Age to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51] 논문 Why is Sector Reform So Unpopular in Latin America? The Ronald Coase Institute 2004
[52] 뉴스 Private hospitals shun destitute children http://www.thehindu.[...] 2013-08-17
[5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d3n8a8pro7vh[...] 2018-12-03
[54] 웹사이트 Privatisation and Women's Human Rights : Factsheet for CSW63 advocacy https://world-psi.or[...]
[55] 학술지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of Privatization and Women Workers https://vc.bridgew.e[...] 2005-11
[56] 웹사이트 Five facts on gender equity in the public sector https://blogs.worldb[...] 2021-09-27
[57] 학술지 Why Privatization is a Women's Issue
[58] 뉴스 The new Gilded Age: 2,750 people have more wealth than half the planet https://www.cbsnews.[...] 2021-12-07
[59] 서적 Mitchell Alexander Orenstein, Stephen R. Bloom, Nicole Lindstrom,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2008, ''Transnational Actors in Central and East European Transitions'', pp. 116–117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60] 서적 Ian Jeffries, Routledge, May 27, 1993, ''Socialist Economies and the Transition to the Market: A Guide'', p. 588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3-05-27
[61] 서적 Volker Schneider, Burkard Eberlein, Springer, May 26, 2015, ''Complex Democracy: Varieties, Crises, and Transformations'', p. 106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5-05-26
[62] 서적 Padma Desai, MIT Press, 1997, ''Going Global: Transition from Plan to Market in the World Economy'', p. 187 https://books.google[...] MIT Press
[63] 서적 Roger East, Jolyon Pontin, Bloomsbury Publishing, Oct 6, 2016, ''Revolution and Change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Revised Edition'', p. 185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16-10-06
[64] 서적 Stephen D. Roper, Routledge, Aug 2, 2004, ''Romania: The Unfinished Revolution'', p. 95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08-02
[65] 서적 Liliana Pop, Manchester University Press, Sep 19, 2006, ''Democratising Capitalism?: The Political Economy of Post-Communist Transformations in Romania, 1989–2001'', p. 88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6-09-19
[66] 서적 OECD, OECD Publishing, Oct 29, 2002, ''OECD Economic Surveys: Romania 2002'', p. 64 https://books.google[...] OECD 2002-10-29
[67] 서적 Roderick Martin, OUP Oxford, Mar 28, 2013, ''Constructing Capitalisms: Transforming Business System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p. 94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3-03-28
[68] 간행물 Review of Kosanke's Instead of Politics – Don Stacy http://libertarianpa[...] Libertarian Papers 2011
[69] 간행물 Central Europe's Mass-Production Privatization http://www.heritage.[...] Heritage Lecture 2009-10-18
[70] 학술지 Revisiting privatisation in the context of poverty alleviation
[71] 뉴스 Privatizing Government Services Doesn’t Only Hurt Public Workers http://inthesetimes.[...] In These Times 2014-06-06
[72] 웹사이트 Race to the Bottom: How Outsourcing Public Services Rewards Corporations and Punishes the Middle Class http://www.inthepubl[...] In the Public Interest 2014-06-03
[73] 뉴스 How a Bogus, Industry-Funded Study Helped Spur a Privatization Disaster in Michigan http://billmoyers.co[...] Moyers & Company 2014-07-17
[74] 논문 The Proper Scope of Government: Theory and an Application to Prisons http://nrs.harvard.e[...] 1997
[75] 논문 Public versus private ownership: Quantity contracts and the allocation of investment tasks 2010
[76] 서적 はじめての経済学〈下〉 日本経済新聞出版社 2004
[77] 뉴스 空港民営化「慎重に」IATA年次総会、政府に警鐘鳴らす http://www.aviationw[...] Aviation Wire 2018-06-06
[78] 뉴스 ユコス元株主の訴訟の影響は http://jp.rbth.com/b[...] ロシアNOW 2014-07-31
[79] 뉴스 露政府に5兆円支払命令 ユコス破綻めぐり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2014-07-28
[80] 뉴스 ロシアに500億ドル支払い命令、ユコス問題で-常設仲裁裁判所 http://www.bloomberg[...] Bloomberg.co.jp 2014-07-29
[81] 웹사이트 British Rail http://en.wikipedia.[...]
[82] 기타
[83] 기타
[84] 기타
[85] 뉴스 東京新聞 2007-10-17
[86] 논문 Review of Kosanke's Instead of Politics – Don Stacy http://libertarianpa[...] Libertarian Papers 201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