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주당 (2008년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주당 (2008년 대한민국)은 2008년 2월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의 통합으로 출범한 정당이다. 2008년 7월 당명을 민주당으로 변경했으며, 손학규와 박상천이 공동 대표를 맡았다. 2008년 제18대 총선에서 81석을 얻어 2위를 기록했고, 2010년 지방선거에서는 광역단체장 7곳을 포함하여 다수의 당선자를 배출했다. 2011년 12월 시민통합당, 한국노총과 합당하여 민주통합당으로 재창당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주당 (2008년 대한민국) - 국민중심당
    국민중심당은 2006년 자유민주연합 탈당파 의원들이 심대평, 신국환 공동대표 체제로 창당한 중도 정당으로, 중도 노선을 표방했으나 저조한 선거 성적과 후보 사퇴 등의 어려움 끝에 2008년 자유선진당과 합당하여 해산되었다.
  • 민주당 (2008년 대한민국) - PD수첩의 미국산 쇠고기 관련 보도
    PD수첩의 미국산 쇠고기 관련 보도는 2008년부터 2009년까지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 문제를 제기하며, 제작진이 검찰 수사를 받고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무죄 판결을 받았으며 언론의 자유와 사법부의 독립성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사건이다.
  • 민주당계 정당 - 조국혁신당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주도하여 창당된 조국혁신당은 검찰 독재 저지를 목표로 2024년 제22대 총선에서 비례대표 전략을 통해 12석을 확보, 원내 제3당이 되었으며 윤석열 탄핵에 찬성하는 입장을 표명하고 자유주의적 진보 성향을 표방하며 경제적 진보주의, 정부 주도의 경제 개입, 북한과의 평화적 협력을 주요 정책으로 내세우고 있으며, 조국 대표의 유죄 판결 확정 이후 김선민이 당 대표 권한대행을 맡고 있다.
  • 민주당계 정당 - 시민통합당
    시민통합당은 2011년 야권 대통합 과정에서 창당되어 김두관, 남인순, 문성근, 문재인, 이용선, 이해찬 6명의 공동대표 체제로 운영되었으며, 민주당, 한국노총과 합당하여 민주통합당으로 통합되었다.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 원내정당 - 통합진보당
    통합진보당은 2011년 여러 정당의 통합으로 결성되어 2012년 총선에서 제3당으로 도약했으나, 부정, 분열, 내란음모 혐의 등의 논란 끝에 2014년 헌법재판소의 해산 결정으로 대한민국 헌정 사상 최초로 해산된 정당이다.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 원내정당 - 자유한국당
    자유한국당은 2017년 당명 변경 이후 2020년 미래통합당으로 합당하며 소멸한 대한민국의 보수 정당으로, 자유무역과 미국, 일본과의 협력을 중시하며, 4대강 사업 추진 등의 행보를 보였다.
민주당 (2008년 대한민국)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어 이름민주당
한자 표기民主黨
로마자 표기Minjudang
다른 이름통합민주당
다른 이름 한자 표기統合民主黨
다른 이름 로마자 표기Tonghapminjudang
약칭 (영문)DP
상징색녹색
웹사이트 (한국어)minjoo.kr
웹사이트 (영어)englishdp.tistory.com
로고
설립 및 해산
창당일2008년 2월 17일
창당 설명대통합민주신당에서 출범
추가 창당일2008년 5월 7일
추가 창당 설명민주당으로 재창당
해산일2011년 12월 15일
해산 이유시민통합당과의 신설 합당
합당 정당민주통합당
본부
중앙당사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16
이념 및 정치 성향
이념자유주의
정치 스펙트럼중도 ~ 중도좌파
주요 인물
대표손학규
원내대표김진표
최고위원김민석
송영길
안희정
박주선
김진표
기타
색상녹색
관련 정보
선행 조직대통합민주신당
민주당

2. 역사

통합민주당 로고


이 당은 노무현 대통령을 지지하는 새천년민주당 의원들이 열린우리당을 창당하면서 시작되었다. 2004년 총선에서 152석을 얻어 국회 과반 의석을 확보했다.[1]

2007년 8월 18일, 열린우리당은 대통합민주신당과 합당하기로 결정했다. 2008년 2월 17일, 대통합민주신당은 민주당과 합쳐 '''통합민주당'''을 창당했다.[1][2] 2008년 7월, 당명을 '''민주당'''으로 변경했다.[53][54]

2010년 지방 선거에서 민주당은 인천 시장직을 포함한 8개 시도지사 및 시장직에서 승리했다.[3]

2011년 12월 16일, 민주당은 시민통합당 및 한국노총과 합쳐 민주통합당을 창당했다.[4][5]

(당명 뒤 괄호는 해당 정당의 약칭)
년도월일주요 사건
2007년2월 14일우리당 정기 당대회, 민주당 및 우리당 탈당자를 포함한 대통합 신당 결성 추진을 결의[43]
5월 7일우리당 탈당자들이 중도개혁통합신당(통합신당) 결성[44]
6월 27일통합신당과 민주당이 중도통합민주당(통합민주당)을 결성[45]
8월 5일우리당 탈당자와 통합민주당의 대통합 신당파를 중심으로 대통합민주신당(민주신당)이 결성[46]
8월 20일민주신당, 우리당을 흡수 합병[47]. 한나라당을 제치고 원내 제1당(143석)이 됨.
10월 15일민주신당 대통령 후보 지명 대회. 정동영 후보가 손학규 후보를 누르고 민주신당 대통령 후보로 선출됨.
12월 19일제17대 대통령 선거. 민주신당 정동영 후보,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에게 큰 차이로 패배.
2008년2월 11일민주신당 손학규 대표와 민주당 박상천 대표가 회담, “통합민주당” 결성에 합의[48]
2월 17일민주신당과 민주당이 통합, 손학규박상천을 공동 대표로 하는 통합민주당(민주당) 발족[49]. 분열되었던 구여당 세력이 재통합됨.
4월 9일제18대 총선. 민주당이 목표로 하는 100석을 크게 하회하는 81석(지역구 66석+비례구 15석) 획득에 그치며 패배[50].
5월 27일제18대 국회 제1기 원내 대표에 원혜영이 선출 (임기 1년)[51]
6월 4일지방자치단체 보궐선거. 지방자치단체 단체장 3명, 광역자치단체 의원 14명, 기초자치단체 의원 6명 당선, 선전[52].
7월 6일당대회, “통합민주당”에서 “민주당”으로 당명 변경[53]. 정세균을 신임 대표로 선출[54].
10월 29일지방자치단체 보궐선거. 기초자치단체 의원 1명 당선[55]
2009년4월 29일국회의원 재선거. 격전 지역인 인천광역시 부평구 을 선거구에서 민주당 후보가 한나라당 후보를 누르고 당선. 동시에 실시된 기초자치단체장 보궐선거에서도 경기도 시흥시에서 민주당 공천 후보가 당선, 수도권에서 선전[56].
5월 15일제18대 국회 2기 원내 대표에 이강래 의원 선출[57]
5월 23일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8월 18일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10월 28일경기도 수원시 등 5곳에서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수도권 2곳과 충청북도 1곳에서 승리[58].
2010년2월 10일작년 4월 보궐선거에서 민주당을 탈당했던 정동영 의원, 신계륜 의원이 민주당에 복당[59].
5월 7일김대중 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김대중 정권에서 문화관광부 장관과 비서실장을 역임한 박지원 의원이 제3기 원내 대표로 선출.[60]
6월 2일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역단체장 선거 7곳, 기초단체장 선거 91곳에서 승리를 거두었고, 광역의회 선거에서도 한나라당을 제치고 제1당이 되어 승리[61].
6월 8일작년 7월 한나라당의 미디어법 강행 처리에 항의하며 국회 밖에 머물렀던 정 대표가 11개월 만에 국회에 복귀[62].
6월 9일새로운 정책위원회 의장에 전병헌 의원 임명[63]
7월 28일국회의원 재보궐선거. 8개 선거구 중 3개 선거구만 승리, 패배.
7월 30일28일 실시된 재보궐선거 패배의 책임을 지고 정 대표가 사퇴 의사 표명[64]
8월 3일2일 정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가 총사퇴하고, 박지원 원내 대표를 위원장으로 하는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발족[65].
10월 3일전당대회에서 실시된 신임 지도부 선거에서 신임 대표로 손학규 선출[66][67]. 2위는 정동영, 3위는 전 대표 정세균. 동시에 6명의 최고위원 선출. 또한 진보주의적 정책을 강화한 새로운 강령과 정강도 채택.
2011년
1월손학규 대표, 소득에 관계없이 복지 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는 “보편적 복지”를 제창, 당론으로 채택할 생각을 밝힘.
4월 27일국회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장 등 재보궐선거. 성남시 분당구 을에서 당 대표 손학규가 당선, 강원도지사 선거에서도 당 공천 최문순이 당선[68].
5월 13일제4기 원내 대표 선거. 중도파로 대통령 정책기획수석비서관과 재정경제부 장관 등을 역임한 김진표가 당선[69].
5월 23일새로운 정책위원회 의장에 박영선 의원 선출 (여성 최초 정책위 의장)[70].
6월 15일손학규 대표, 6·15 남북 공동선언 11주년을 맞아 경기도 파주시의 임진각에 있는 통일전망대에서 개최한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남북 정상회담의 재추진을 주장[71].
6월 27일손학규 대표, 이명박 대통령과 청와대에서 회담. 여야 대표 회담은 2008년 9월 이후 약 3년 만[72][73].
8월 20일손학규 대표, 민주노동당 등 야당 4당에 대통합을 공식 제안[74]
9월 6일노무현 정권에서 대통령 비서실장을 역임한 문재인 등 친노파를 중심으로 야당 통합 추진 기구 “혁신과 통합” 발족[18]
9월 25일10월 말에 치러질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내 예비선거에서 박영선 의원 선출[75].
10월 3일야당 진영 서울시장 보궐선거 예비선거에서 시민운동가 박원순 변호사가 박영선 등을 누르고 야당 단일 후보로 확정.[76]
10월 4일손학규 대표, 서울시장 보궐선거 야당 후보자 예비선거에서 민주당 후보가 패배한 책임을 지고 사임을 표명[77]. 그러나 다음 날 5일 사퇴 의사 철회[78].
10월 26일하반기 재보궐선거.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민주당 등 야당의 단일 후보인 박원순이 당선. 11곳에서 실시된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서는 당의 지반인 전라도 2곳에서 승리[79].
11월 3일손학규 대표, 12월 말까지 진보 진영의 모든 세력을 결집한 통합 신당을 발족시킬 것을 표명[19].
11월 4일손학규 대표, 야당 대통합에 의한 신당 결성에 대해 “12월 18일 이전에 통합 야당의 당대회를 열 것”이라고 표명.
11월 13일연석회의 준비회 개최.
11월 20일연석회의 개최. 11월 27일까지 창당 준비위원회를 발족시키고, 12월 17일에 통합 정당의 당대회를 개최하는 로드맵 제시.
12월 7일민주당 손학규 대표와 혁통 이해찬·문재인 상임 대표, 통합 정당의 방안에 합의. 혁통의 임시 정당 “시민통합당” 결성.
12월 9일김진표 원내 대표, 사퇴 의사 표명.
12월 11일전당대회. 시민통합당과 한국노총과의 통합 결의 성립. 그 당시 통합 반대파 의원들의 통합파 의원들에 대한 폭행도 발생.
12월 16일민주당과 시민통합당 및 한국노총, 합동을 공식 결의. “민주통합당”(민주당) 발족.



510px

2. 1. 민주당 창당 이전의 흐름

1995년 이전의 민주당계 정당 흐름은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1995년 9월 5일, 김대중 아태평화재단 이사장이 정계에 복귀하며 새정치국민회의를 창당했고, 이에 민주당 내 상당수 인사들이 탈당하여 합류했다. 1997년 11월 21일에는 3당 합당과 새정치국민회의에 반대한 김원기, 노무현 등 통합민주당 인사들이 새정치국민회의에 합류했다. 한편, 통합민주당은 신한국당과 합당했다.

1997년 12월 18일, 자민련김종필과 연합(DJP 연합)한 김대중 후보가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면서, 새정치국민회의는 사상 최초로 집권 여당이 되었다. 2000년 1월 20일, 새정치국민회의는 확대 개편을 통해 새천년민주당으로 창당되었다. 2002년 12월 19일에는 노무현 후보가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2003년 9월 29일, 노무현 대통령이 새천년민주당을 탈당하면서 새천년민주당은 야당이 되었다. 같은 해, 새천년민주당 내 개혁파 성향 당원들이 탈당하여 열린우리당 창당으로 이어졌다. 2004년, 새천년민주당은 한나라당, 자유민주연합과 함께 노무현 대통령 탄핵을 주도했으나, 국민적 지지를 상실하고 제17대 총선에서 9석을 얻는 데 그쳐 원내교섭단체 지위를 상실했다.

2005년 5월 6일, 새천년민주당은 당명을 '''민주당'''으로 변경했다. 2007년 2월 12일, 열린우리당 탈당파 24명이 '중도개혁통합신당추진모임'을 결성하고 국회 교섭단체로 등록했다. 2007년 4월 30일에는 국민중심당 공동대표였던 신국환 의원이 국민중심당을 탈당하고 '중도개혁통합 신당추진 모임'에 합류했으며, 5월 17일에는 이인제 의원이 국민중심당을 탈당하고 민주당에 복당했다.

2007년 6월 27일, 새천년민주당과 중도개혁통합신당이 합당하여 소속 의원 34명의 중도통합민주당이 창당되었다. 2007년 8월 5일, 열린우리당 탈당파 주도로 중도통합민주당, 한나라당 선진평화연대가 통합하여 대통합민주신당이 창당되었고, 8월 13일 당명과 로고를 '''민주당'''으로 복구하였다. 8월 20일, 대통합민주신당열린우리당을 흡수했다. 이로써 열린우리당은 대규모 탈당 사태로 군소 정당화된 후 신당에 흡수되었다.

2007년 12월 19일,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대통령 후보는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 낙선했다.

2. 2. 창당 및 활동 (2008년 - 2011년)

2008년 2월 17일,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이 통합하여 통합민주당이 출범했다. 공동대표는 손학규, 박상천이 맡았다.[1][2][49] 같은 해 4월 9일에 치러진 제18대 총선에서 81석을 얻는 데 그쳐 참패했다.[50] 총선에서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의석을 대폭 줄이며 제2당으로 추락했고, 손학규, 정동영, 김근태, 한명숙 등 유력 간부들이 낙선했다.[9][10] 노무현 대통령을 지지했던 386세대 의원들도 다수 낙선했다.[11]

2008년 7월 6일, 전당대회를 통해 당명을 '''민주당'''으로 변경하고 정세균을 당 대표로 선출했다.[53][54] 2009년에는 미디어법 파동, 용산 참사 등이 발생했고, 민주당은 장외투쟁을 전개했다.

2010년 6월 2일,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광역단체장 7곳, 기초단체장 92곳에서 승리했다.[61] 그러나 지방선거 직후 실시된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는 8개 선거구 중 3개 선거구 승리에 그쳤다.[13][14] 재보궐선거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 정세균 대표 이하 당 지도부가 총사퇴했다.[64] 같은 해 10월 3일, 전당대회에서 손학규를 당 대표로 선출했다.[66][67]

2011년 4월 27일, 4·27 재보궐선거에서 분당구 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출마한 손학규 대표가 당선되었고, 최문순 강원도지사도 당선되었다.[68] 2011년 10월 26일,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는 야권 단일 후보로 박원순이 당선되었고, 민주당은 후보를 내지 않았다.[79]

2011년 12월 11일, 전당대회에서 시민통합당, 한국노총과의 통합을 의결했다.[30] 12월 16일, 시민통합당, 한국노총과 합당하여 민주통합당을 창당했다.[4][5][32]

(당명 뒤 괄호는 해당 정당의 약칭)
년도월일주요 사건
2007년2월 14일우리당 정기 당대회, 민주당 및 우리당 탈당자를 포함한 대통합 신당 결성 추진을 결의[43]
5월 7일우리당 탈당자들이 중도개혁통합신당(통합신당) 결성[44]
6월 27일통합신당과 민주당이 중도통합민주당(통합민주당)을 결성[45]
8월 5일우리당 탈당자와 통합민주당의 대통합 신당파를 중심으로 대통합민주신당(민주신당)이 결성[46]
8월 20일민주신당, 우리당을 흡수 합병[47]. 한나라당을 제치고 원내 제1당(143석)이 됨.
10월 15일민주신당 대통령 후보 지명 대회. 정동영 후보가 손학규 후보를 누르고 민주신당 대통령 후보로 선출됨.
12월 19일제17대 대통령 선거. 민주신당 정동영 후보,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에게 큰 차이로 패배.
2008년2월 11일민주신당 손학규 대표와 민주당 박상천 대표가 회담, “통합민주당” 결성에 합의[48]
2월 17일민주신당과 민주당이 통합, 손학규와 박상천을 공동 대표로 하는 통합민주당(민주당) 발족[49]. 분열되었던 구여당 세력이 재통합됨.
4월 9일제18대 총선. 민주당이 목표로 하는 100석을 크게 하회하는 81석(지역구 66석+비례구 15석) 획득에 그치며 패배[50].
5월 27일제18대 국회 제1기 원내 대표에 원혜영이 선출 (임기 1년)[51]
6월 4일지방자치단체 보궐선거. 지방자치단체 단체장 3명, 광역자치단체 의원 14명, 기초자치단체 의원 6명 당선, 선전[52].
7월 6일당대회, “통합민주당”에서 “민주당”으로 당명 변경[53]. 정세균을 신임 대표로 선출[54].
10월 29일지방자치단체 보궐선거. 기초자치단체 의원 1명 당선[55]
2009년4월 29일국회의원 재선거. 격전 지역인 인천광역시 부평구 을 선거구에서 민주당 후보가 한나라당 후보를 누르고 당선. 동시에 실시된 기초자치단체장 보궐선거에서도 경기도 시흥시에서 민주당 공천 후보가 당선, 수도권에서 선전[56].
5월 15일제18대 국회 2기 원내 대표에 이강래 의원 선출[57]
5월 23일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8월 18일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10월 28일경기도 수원시 등 5곳에서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수도권 2곳과 충청북도 1곳에서 승리[58].
2010년2월 10일작년 4월 보궐선거에서 민주당을 탈당했던 정동영 의원, 신계륜 의원이 민주당에 복당[59].
5월 7일김대중 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김대중 정권에서 문화관광부 장관과 비서실장을 역임한 박지원 의원이 제3기 원내 대표로 선출.[60]
6월 2일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역단체장 선거 7곳, 기초단체장 선거 91곳에서 승리를 거두었고, 광역의회 선거에서도 한나라당을 제치고 제1당이 되어 승리[61].
6월 8일작년 7월 한나라당의 미디어법 강행 처리에 항의하며 국회 밖에 머물렀던 정 대표가 11개월 만에 국회에 복귀[62].
6월 9일새로운 정책위원회 의장에 전병헌 의원 임명[63]
7월 28일국회의원 재보궐선거. 8개 선거구 중 3개 선거구만 승리, 패배.
7월 30일28일 실시된 재보궐선거 패배의 책임을 지고 정 대표가 사퇴 의사 표명[64]
8월 3일2일 정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가 총사퇴하고, 박지원 원내 대표를 위원장으로 하는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발족[65].
10월 3일전당대회에서 실시된 신임 지도부 선거에서 신임 대표로 손학규 선출[66][67]. 2위는 정동영, 3위는 전 대표 정세균. 동시에 6명의 최고위원 선출. 또한 진보주의적 정책을 강화한 새로운 강령과 정강도 채택.
2011년
1월손 대표, 소득에 관계없이 복지 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는 “보편적 복지”를 제창, 당론으로 채택할 생각을 밝힘.
4월 27일국회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장 등 재보궐선거. 성남시 분당구 을에서 당 대표 손학규가 당선, 강원도지사 선거에서도 당 공천 최문순이 당선[68].
5월 13일제4기 원내 대표 선거. 중도파로 대통령 정책기획수석비서관과 재정경제부 장관 등을 역임한 김진표가 당선[69].
5월 23일새로운 정책위원회 의장에 박영선 의원 선출 (여성 최초 정책위 의장)[70].
6월 15일손 대표, 남북공동선언 11주년을 맞아 경기도 파주시의 임진각에 있는 통일전망대에서 개최한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남북 정상회담의 재추진을 주장[71].
6월 27일손 대표, 이명박 대통령과 청와대에서 회담. 여야 대표 회담은 2008년 9월 이후 약 3년 만[72][73].
8월 20일손 대표, 민주노동당 등 야당 4당에 대통합을 공식 제안[74]
9월 6일노무현 정권에서 대통령 비서실장을 역임한 문재인 등 친노파를 중심으로 야당 통합 추진 기구 “혁신과 통합” 발족[18]
9월 25일10월 말에 치러질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내 예비선거에서 박영선 의원 선출[75].
10월 3일야당 진영 서울시장 보궐선거 예비선거에서 시민운동가 박원순 변호사가 박영선 등을 누르고 야당 단일 후보로 확정.[76]
10월 4일손학규 대표, 서울시장 보궐선거 야당 후보자 예비선거에서 민주당 후보가 패배한 책임을 지고 사임을 표명[77]. 그러나 다음 날 5일 사퇴 의사 철회[78].
10월 26일하반기 재보궐선거.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민주당 등 야당의 단일 후보인 박원순이 당선. 11곳에서 실시된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서는 당의 지반인 전라도 2곳에서 승리[79].
11월 3일손 대표, 12월 말까지 진보 진영의 모든 세력을 결집한 통합 신당을 발족시킬 것을 표명[19].
11월 4일손 대표, 야당 대통합에 의한 신당 결성에 대해 “12월 18일 이전에 통합 야당의 당대회를 열 것”이라고 표명.
11월 13일연석회의 준비회 개최.
11월 20일연석회의 개최. 11월 27일까지 창당 준비위원회를 발족시키고, 12월 17일에 통합 정당의 당대회를 개최하는 로드맵 제시.
12월 7일민주당 손 대표와 혁통 이해찬·문재인 상임 대표, 통합 정당의 방안에 합의. 혁통의 임시 정당 “시민통합당” 결성.
12월 9일김진표 원내 대표, 사퇴 의사 표명.
12월 11일전당대회. 시민통합당과 한국노총과의 통합 결의 성립. 그 당시 통합 반대파 의원들의 통합파 의원들에 대한 폭행도 발생.
12월 16일민주당과 시민통합당 및 한국노총, 합동을 공식 결의. “민주통합당”(민주당) 발족.


3. 이념 및 정책

민주당은 2010년 10월 전당대회 이전까지 중도개혁주의를 표방했으나, 이후 진보주의적 색채가 강한 새로운 강령을 채택했다.[33] 새 강령은 '중산층과 서민의 정당'임을 명시하고, 민주, 자유, 복지, 평화, 환경을 5대 가치로 설정했다.[34] '사람 중심의 시장경제'와 '보편적 복지'를 강조하며, 사회 양극화 해소와 복지 정책 강화를 주요 정책으로 삼았다.[34]

2011년 1월, 손학규 대표는 무상 급식, 무상 보육, 무상 교육, 대학생 등록금 반값 지원 등을 포함하는 '보편적 복지'를 제창했다. 이는 소득과 관계없이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증세 없이 추진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한나라당과 자유선진당 등은 재원 조달 방안이 불확실하다며 '인기 영합 정책'이라고 비판했고, 당내에서도 재정적 근거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35][36][37]

민주당은 과거 여당 시절(김대중·노무현 정부) 한미 FTA(자유무역협정)를 추진했으나, 현재는 국가 소송 제도를 문제 삼아 비준에 반대하고 있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송영길, 안희정 등 일부 인사가 한미 FTA 반대 입장에 대한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38][24]

당 내부에는 구 우리당 계열의 중도·진보주의 세력, 구 민주당의 보수계 세력, 한나라당 출신 탈당파[39] 등 다양한 정치적 스펙트럼을 가진 세력이 공존하고 있다. 18대 총선 직후 실시된 설문조사에서는 민주당 당선자 60명 중 49명이 자신의 이념 성향을 중도 진보라고 답했고, 중도 보수(7명), 진보(1명), 보수(1명) 순으로 나타났다(2명은 불명).[40]

과거 민주당은 노무현 전 대통령과 가까운 '친노' 세력과 거리를 두기도 했으나,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노무현 정신 계승'을 내세우며 친노 인사를 대거 영입했다. 2010년 6월 지방 선거에서는 한명숙, 송영길, 안희정 등 친노 인사를 후보로 공천했고, 이들 대다수가 민주당에 합류했다.[41]

4. 주요 활동 및 평가

2008년 2월, 통일부와 여성부 존치를 관철시켰다. 17대 국회 막바지에 이명박 정부의 한미 쇠고기 수입 협상에 대한 비판의 일환으로 정운천 장관의 해임안을 상정하였다.

2009년 7월 22일, 민주당과 한나라당이 미디어법 처리를 두고 논쟁을 벌이던 중, 한나라당 의원들이 본회의장의 의장석을 점거하자, 이강래 민주당 원내대표와 정세균 민주당 대표가 의원직 사퇴를 선언하며 항의하였다.[108] 그 후 미디어법 처리 절차의 무효와 반대를 알리는 전국적인 선전홍보활동에 나섰다.

2010년 6월 2일 지방선거 주요 공약으로 무상급식을 내세웠다. 민주당이 다수를 차지한 서울시의회에서는 무상급식 조례안이 통과되었다. 경기도의회에서는 초·중학교와 특수학교 학생에 대해 무상급식을 실시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 무상 학교급식 지원조례안을 마련했다. 2010년 10월 31일에는 4대강 사업 반대 운동을 선언하였고,[109] 민주당 소속 자치단체장들도 4대강 사업에 대한 반대 입장을 밝혔다.

손학규 대표는 2010년 12월 8일부터 12월 28일까지 전국을 돌며 이명박 독재 심판을 위한 민주대장정을 전개했으며, 2011년 1월 3일부터 다시 전국을 돌며 시민들의 건의와 주장을 경청하고 민주당의 보편적 복지 노선을 설명하고 토론하는 희망대장정을 전개하고 있다.

2011년에는 한미자유무역협정 비준을 둘러싸고 여당과 첨예하게 대립했다. 민주당은 투자자-국가 소송제도(ISD) 폐기를 주장하며 비준에 반대했고, 한나라당의 강행 처리에 맞서 무효화 투쟁을 벌였다.[96][97][98][99][100][101][102][103][104]

민주당의 무상복지 정책은 포퓰리즘이라는 비판을 받았다.[110][111][112] 공학연은 "당선만을 위해 내세운 무상급식 공약은 무책임한 포퓰리즘"이라고 비판했다.[110] 그러나 민주당은 "현실에 맞게 변형·조절할 수 있다"며 유연성을 강조했다.[113]

노무현 전 대통령 사망 이후, 참여정부 시절 노무현 대통령 및 정책에 대한 비판적 태도에서 추모 정국을 이용하는 모습으로 변화한 것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114]

또한, 국회에서 무단 점거 농성을 벌이거나, 발목잡기식 법안 처리 지연으로 국회 파행을 유도하였다는 비판과[115] 법안 처리를 막기위해 의사당 정문을 봉쇄하고 출입하는 의원들의 입장을 검열하여 입장이 다른 의원들의 본회의장 입장을 폭력을 동원하여 저지하는 행동을 하여 비판을 받았다.[116] 한나라당은 ‘민주당이 법안 상정조차 못하게 가로막고, 민주주의 기본인 다수결 원칙을 물리력으로 저지했다’고 비난했다.[117]

2008년11월 26일에는 북한을 향한 전단 살포를 하고 있는 자유북한운동연합에 대해, “ (자유북한운동연합은) 매국단체이며, 이러한 터무니없는 행위를 계속하게 하고 문제를 크게 만들기 위해 따뜻하게 맞이한 것이 아니다.” 등의 성명을 발표했다.[80]

2009년6월 8일에는 이명박 정부의 대북한 정책이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을 초래했다고 지적하며, 대북한·안보 정책 기조의 전면적인 전환을 요구했다.[81]

5. 역대 지도부

대수역대 대표직함임기비고
1손학규공동대표최고위원2008년 2월 17일 ~ 2008년 7월 6일대통합민주신당 대표
1박상천공동대표최고위원2008년 2월 17일 ~ 2008년 7월 6일민주당 대표
2정세균대표최고위원2008년 7월 7일 ~ 2010년 8월 2일7.28 재보선 패배로 사퇴
(임시)박지원비상대책위원장2010년 8월 3일 ~ 2010년 10월 2일7.28 재보선 패배로 비대위 구성
3손학규대표최고위원2010년 10월 3일 ~ 2011년 12월 22일민주통합당으로 신설합당



원내대표는 다음과 같다.



2010년 10월 이후 지도부에는 당 대표 손학규, 원내대표 김진표, 정책위원회 의장 박영선, 사무총장 정장선, 대변인 이춘석·차영, 최고위원 정동영, 정세균, 이인영, 천정배, 박주선, 조배숙, 김영춘이 있었다.

6. 역대 전당대회

6. 1. 대통합민주신당-민주당 통합수임기구 합동회의 (2008년 2월 17일)

2008년 2월 17일, 신당-민주당 수임기구 합동회의는 양당의 합당을 통한 통합민주당 창당을 선언하고, 신당 손학규 대표와 민주당 박상천 대표를 전당대회까지 공동대표로 선출했다.

6. 2. 통합민주당 제1차 정기 전당대회 (2008년 7월 6일)

2008년 7월 6일, 통합민주당 전당대회는 당명을 통합민주당에서 민주당으로 개정하였다. 대의원 투표를 통해 정세균열린우리당 의장을 대표로 선출했다.

득표순위이름득표수득표율비고
1정세균5,49557.4%대표
2추미애2,52826.5%
3정대철1,51715.9%
총투표수9,540


6. 3. 민주당 제2차 정기 전당대회 (2010년 10월 3일)

2010년 10월 3일, 민주당 전당대회는 1인 2표제로 사전 당원 여론조사 30%, 대의원 투표 70%로 최고위원 선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손학규 전 대표가 대표최고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 정세균 전 대표, 이인영 의원, 천정배 전 법무장관, 박주선 의원, 조배숙 의원이 최고위원으로 선출되었다.

순위기호이름당원 여론조사(30%)대의원(70%)합산비고
득표율득표율득표율
18손학규9,6433,82713,470대표최고위원
54.537.742.7
21정동영9,4423,28912,731최고위원
53.332.438.7
32정세균6,4683,74910,217최고위원
36.53736.9
47이인영1,6092,9634,572최고위원
9.129.223.2
56천정배3,8731,9625,835최고위원
21.919.320.1
64박주선2,1522,3034,455최고위원
12.222.719.6
73최재성1,4151,7613,176rowspan=2 |
817.414.6
89조배숙8024361,238여성 몫 최고위원
4.54.34.5
합계style="text-align: left;"|style="text-align: left;"|style="text-align: left;"|-


6. 4. 민주당 제3차 임시 전당대회 (2011년 12월 11일)

2011년 12월 11일, 민주당 전당대회는 시민통합당, 한국노동조합총연맹과의 통합을 의결했다.

7. 역대 선거 기록

(비례대표)합계지역구비례
대표2008년 4월 9일제18대 총선81661525.17%



광역단체장 선거
날짜선거당선
자 수
2010년 6월 2일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7



광역의회의원 선거
날짜선거의석득표율
(비례대표)
합계지역구비례
대표
2010년 6월 2일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3603283235.1%


7. 1. 국회의원 선거

손학규 대표의 민주당은 2008년 제18대 총선에서 지역구 66석, 비례대표 15석으로 총 81석을 얻어 2위를 기록하며 야당이 되었다. 지역구에서는 4,977,508표(28.92%)를, 비례대표에서는 4,313,645표(25.18%)를 획득했다.

7. 2. 지방선거

2010년 6월 2일에 실시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은 광역단체장 7명, 기초단체장 92명, 광역의원 362명, 기초의원 1025명을 당선시켰다.

참조

[1] 웹사이트 Uri Disbands to Merge With Liberal Party https://www.koreatim[...] 2024-02-14
[2] 웹사이트 '통합민주당' 공식 출범 https://www.hani.co.[...] 2024-02-14
[3] 웹사이트 Opposition Party Wins S. Korea's Local Elections https://n.news.naver[...] 2024-02-14
[4] 웹사이트 Liberal camp launches new party https://www.koreatim[...] 2024-02-14
[5] 웹사이트 The United Democratic Party officially launched https://english.hani[...] 2024-02-14
[6] 웹사이트 중앙당 일람표(中央党一覧表) http://party.nec.go.[...] 2011-12-25
[7] 뉴스 野党が統合「民主統合党」が発足 http://rki.kbs.co.kr[...] 2011-12-16
[8] 서적
[9] 뉴스 総選挙:統合民主党、大物議員の落選で激震 http://www.chosunonl[...] 2008-04-10
[10] 뉴스 統合民主党の孫代表「次期代表選には出馬しない」 http://japanese.yonh[...] 2008-04-10
[11] 뉴스 総選挙:旧与党「386世代」議員の落選相次ぐ http://www.chosunonl[...] 2008-04-10
[12] 뉴스 統合民主党が「民主党」に改名、党大会で最終承認 http://japanese.yonh[...] 2008-07-04
[13] 뉴스 国会議員再・補欠選挙、与党ハンナラ党が完勝 http://japanese.yonh[...] 2010-07-28
[14] 서적
[15] 뉴스 民主党が新院内代表を選出、首都圏選出の2選議員 http://rki.kbs.co.kr[...] 2011-05-13
[16] 뉴스 ソウル市長が辞職 10月26日に補欠選挙 http://rki.kbs.co.kr[...] 2011-08-26
[17] 뉴스 安哲秀氏立候補せず ソウル市長補欠選挙 http://rki.kbs.co.kr[...] 2011-09-06
[18] 뉴스 「革新と統合」が発足、選挙に向け野党統合目指す http://rki.kbs.co.kr[...] 2011-09-07
[19] 뉴스 韓国最大野党代表 年内に民主進歩大統合の新党結成 http://japanese.yonh[...] 2011-11-03
[20] 뉴스 민주,야권통합 방향·시기 놓고 갈등 조짐(民主、野圏統合方向・時期をめぐり葛藤兆し) http://www.hani.co.k[...] 2011-11-03
[21] 뉴스 孫鶴圭氏「12月18日までに統合野党の党大会」 http://japanese.yonh[...] 2011-11-04
[22] 뉴스 野党系勢力の統合 準備会で本格的論議スタート http://rki.kbs.co.kr[...] 2011-11-14
[23] 뉴스 야권통합정당 내달17일 출범 지도부 선출 ‘박원순식 경선’(野圏統合政党来月17日出帆指導部選出‘朴元淳式競選’’) http://www.hani.co.k[...] 2011-11-20
[24] 뉴스 民主党所属の知事・市長、党執行部の「FTA反対」に異論 http://japan.donga.c[...] 2011-11-22
[25] 뉴스 ‘통합전대냐, 선 독자전대냐’민주 야권통합 격론(‘統合全大か先に独自全大か’民主野圏統合激論) http://news.khan.co.[...] 2011-11-23
[26] 뉴스 손학규-박지원 이르면 12월말 ‘원샷 전대’합의(孫鶴圭-朴智元早ければ12月までに‘ワンショット全大’合意) http://www.hani.co.k[...] 2011-11-28
[27] 뉴스 민주, FTA도 통합도 ‘자중지란’(民主、FTAも統合も‘自重之乱’) http://news.khan.co.[...] 2011-11-24
[28] 뉴스 야권 통합 경선룰 갈등 `내우외환' 갈림길(野圏統合競選ルール葛藤‘内憂外患’分かれ道) http://www.yonhapnew[...] 2011-12-06
[29] 뉴스 민주·시민통합당 ‘통합 룰’ 합의(民主・市民統合党‘統合ルール’合意) http://www.hani.co.k[...] 2011-12-07
[30] 뉴스 민주당 전대‘통합’의결(民主党全大‘統合’議決 http://www.hani.co.k[...] 2011-12-11
[31] 뉴스 民主党 まず市民統合党との統合協議へ http://rki.kbs.co.kr[...] 2011-12-13
[32] 뉴스 민주+시민통합당+한국노총 ‘민주통합당’출범(民主+市民統合党+韓国労総‘民主統合党’出帆) http://news.kukinews[...] 2011-12-16
[33] 뉴스 {{lang|ko|민주, 15년만에 ‘중도개혁’ 삭제}}(民主、15年ぶりに‘中道改革’削除) http://www.hani.co.k[...] 2010-09-14
[34] 뉴스 [{{lang|ko|민주 전대}}]{{lang|ko|당 강령 개정…'중도개혁' 삭제, '진보' 노선 반영}}(「民主全大」党綱領改定・・・‘中道改革’削除、‘進歩’路線反映) http://media.daum.ne[...] 2010-10-03
[35] 뉴스 民主党代表が普遍的福祉を主張 http://world.kbs.co.[...] 2011-01-17
[36] 뉴스 [社説]「無償の呪い」を警告した民主党政策通の議員たち http://japan.donga.c[...] 2011-01-15
[37] 서적 アジア動向年報 アジア経済研究所 2011
[38] 뉴스 「社説」民主党の自閉政治を叱咤する宋永吉氏と盧武鉉氏 http://japan.donga.c[...] 2011-11-19
[39] 일반
[40] 뉴스 수도권 당선자 66.2%가 “보수적”… 전국 평균보다 높아 http://www.donga.com[...] 2008-04-15
[41] 뉴스 【資料】中道から進歩に立ち戻った国民参与党 http://www.korea-htr[...] 2011-08-01
[42] 일반
[43] 뉴스 ウリ党議長に丁世均議員を選出、大統合新党結成へ http://japanese.yonh[...] 연합뉴스 2007-02-14
[44] 뉴스 中道統合新党が正式発足、代表に金ハンギル氏 http://japanese.yonh[...] 연합뉴스 2007-05-07
[45] 뉴스 新党と民主党が統合民主党結成、旧与党は2党体制に http://japanese.yonh[...] 연합뉴스 2007-06-27
[46] 뉴스 大統合民主新党旗揚げ、国会で2番目の勢力に http://japanese.yonh[...] 연합뉴스 2007-08-05
[47] 뉴스 民主新党・ウリ党が統合、院内第1党に復帰 http://japanese.yonh[...] 연합뉴스 2007-08-21
[48] 뉴스 新党と民主党が合同宣言 新千年民主党分裂から4年5ヵ月ぶり http://japan.donga.c[...] 동아일보 2007-02-12
[49] 뉴스 統合民主党が正式発足「新政権けん制の役割を遂行」 http://japanese.yonh[...] 연합뉴스 2007-02-17
[50] 뉴스 第18代総選挙、与党ハンナラ党が過半数確保に成功 http://japanese.yonh[...] 연합뉴스 2008-04-10
[51] 뉴스 統合民主党、新院内代表に元恵栄議員を選出 http://japanese.yonh[...] 2008-05-27
[52] 뉴스 与党ハンナラ党惨敗=地方再・補選 http://www.chosunonl[...] 2008-06-05
[53] 뉴스 韓国:第1野党が「民主党」に名称変更 新代表に丁氏 毎日新聞 2008-07-06
[54] 뉴스 統合民主党新代表に丁世均氏 http://www.chosunonl[...] 2008-07-07
[55] 뉴스 民心測る再補欠選挙、ハンナラ・先進党が票田で勝利 http://japanese.yonh[...] 2008-10-30
[56] 뉴스 再選・補欠選挙に「無所属」突風、与党は完敗 http://japanese.yonh[...] 2009-04-30
[57] 뉴스 民主党、新院内代表に李康来議員を選出 http://japanese.yonh[...] 2009-05-15
[58] 뉴스 民主党3勝・ハンナラ党2勝、国会議員再・補選 http://japanese.yonh[...] 2009-10-29
[59] 뉴스 鄭東泳議員が民主党復党、「地方選勝利の肥となる」 http://japanese.yonh[...] 2010-02-10
[60] 뉴스 民主党、新院内代表に朴智元議員を選出 http://japanese.yonh[...] 2010-05-07
[61] 뉴스 ソウル市長選で与党辛勝、民主党躍進の地方選挙に http://japanese.yonh[...] 2010-06-03
[62] 뉴스 정세균, 11개월만에 의원직 복귀 http://news.hankooki[...] 2010-06-08
[63] 뉴스 민주 정책위의장에 전병헌 http://news.hankooki[...] 2010-06-09
[64] 뉴스 民主党代表が再・補欠選敗北受け辞意、結論は出ず http://japanese.yonh[...] 2010-07-30
[65] 뉴스 民主党指導部総辞職 非常対策委員会体制に http://rki.kbs.co.kr[...] 2010-08-03
[66] 뉴스 最大野党民主党代表に孫鶴圭氏、党大会で選出 http://japanese.yonh[...] 2010-10-03
[67] 뉴스 민주당 새 당대표에 손학규 http://www.hani.co.k[...] 2010-10-04
[68] 뉴스 韓国補選で与党敗北、野党は次期大統領選にはずみ http://japanese.yonh[...] 2010-04-28
[69] 뉴스 韓国最大野党・民主党、新院内代表に金振杓氏を選出 http://japanese.yonh[...] 2011-05-13
[70] 뉴스 총선·대선앞‘정책 전투력’ 높이기 박영선 정책위의장 발탁은 http://www.hani.co.k[...] 2011-05-23
[71] 뉴스 韓国最大野党代表、南北首脳会談の再推進を呼びかけ http://japanese.yonh[...] 連合ニュース 2011-06-15
[72] 뉴스 李大統領と最大野党代表が会談、政策課題を協議 http://japanese.yonh[...] 連合ニュース 2011-06-27
[73] 뉴스 李大統領と民主党代表、27日に与野党トップ会談 http://japanese.yonh[...] 連合ニュース 2011-06-21
[74] 뉴스 孫鶴圭民主党代表 野党4党に大統合を提案 http://world.kbs.co.[...] KBSワールドラジオ 2011-08-22
[75] 뉴스 박영선 “무소속 후보 대부분 반짝하고 소멸”(朴映宣“無所属候補大部分キラッと消滅”) http://news.khan.co.[...] 京郷新聞 2011-09-25
[76] 뉴스 進歩陣営の統一候補決まる 無所属の朴元淳氏 http://rki.kbs.co.kr[...] KBSワールドラジオ 2011-10-03
[77] 뉴스 韓国最大野党代表が辞任へ ソウル市長予備選の引責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1-10-04
[78] 뉴스 韓国民主党代表「野党候補勝利に最善」=辞意撤回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1-10-05
[79] 뉴스 野党統一候補がソウル市長に 与党は基礎自治体選で圧勝 http://rki.kbs.co.kr[...] KBSワールドラジオ 2011-10-27
[80] 뉴스 北朝鮮向けビラまき団体は売国団体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8-11-27
[81] 뉴스 「南北危機は現政権が招来」、民主党が政策転換要求 http://japanese.yonh[...] 連合ニュース 2009-06-08
[82] 뉴스 10日ソウル広場で6・10汎国民大会…警察 “集会すれば強制解散) http://www.hani.co.k[...] ハンギョレ 2009-06-09
[83] 뉴스 「集会の保障を」民主党が徹夜でソウル広場占拠 http://japanese.yonh[...] 連合ニュース 2009-06-10
[84] 뉴스 広場の叫び “イ大統領, 一方通行止めろ” http://www.hani.co.k[...] ハンギョレ 2009-06-10
[85] 뉴스 メディア法が国会通過、新聞・放送兼営の道開ける http://japanese.yonh[...] 連合ニュース 2009-07-22
[86] 뉴스 民主党「議員総辞職」、ハンナラ党「社会を分裂させるな」 http://japan.donga.c[...] 東亜日報 2009-07-25
[87] 뉴스 民主党、メディア法無効訴え院外闘争に突入 http://japanese.yonh[...] 連合ニュース 2009-07-26
[88] 뉴스 <金大中元大統領逝去>幕を下ろした「三金」時代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09-08-18
[89] 뉴스 民主党代表が9月国会登院宣言、「院内外並行闘争」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09-08-27
[90] 뉴스 「親盧派」中心の新党・国民参与党が発足 民主党「無念で憂うつ」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0-01-18
[91] 뉴스 盧武鉉系「国民参与党」17日旗揚げ、民主党は反発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0-01-15
[92] 뉴스 鄭東泳元長官、来月の再選・補欠選挙出馬を表明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09-03-13
[93] 뉴스 民主党丁代表と鄭東泳氏、選挙公認めぐり会合も決裂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09-03-25
[94] 뉴스 鄭東泳氏が民主党離党、無所属での出馬を表明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09-04-10
[95] 뉴스 国会議員再選挙、無所属の鄭東泳・辛建氏ら当選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09-04-30
[96] 뉴스 韓米FTAは来春の総選挙で審判を=韓国最大野党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1-11-13
[97] 뉴스 迷走の韓米FTA交渉 韓国与党代表が危機感表明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1-11-14
[98] 뉴스 韓国与党 国会委員会に韓米FTA批准案を強行上程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1-11-14
[99] 뉴스 韓米FTA批准案処理が再度延期 与党が折衝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1-11-14
[100] 뉴스 与野党8人 FTAの円滑審議に向け声明を発表 http://japanese.yonh[...] KBSワールドラジオ 2011-11-20
[101] 뉴스 大荒れの韓米FTA 韓国最大野党が大統領提案を拒否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1-11-20
[102] 뉴스 韓米FTA批准案 韓国与党・ハンナラ党が強行採決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1-12-10
[103] 뉴스 韓国最大野党代表「韓米FTA批准案通過は無効」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1-12-10
[104] 뉴스 韓国野党5党 韓米FTA無効化闘争に総力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1-12-10
[105] 뉴스 ‘FTAひったくり’院外闘争2週間だけで民主党‘白旗投降’ http://www.hani.co.k[...] ハンギョレ 2011-12-10
[106] 뉴스 民主党の金振杓院内代表が辞意表明 2011-12-09
[107] 뉴스 '민주통합당' 새출발 민주당의 지난 자취는? https://news.naver.c[...] 머니투데이 2011-12-16
[108] 뉴스인용 정세균·이강래 ‘의원직 사퇴’ 선언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9-07-22
[109] 뉴스인용 민주당 4대강 반대 본격화 https://news.naver.c[...] YTN 2010-10-31
[110] 뉴스인용 무상급식 진보교육감, 반드시 퇴출시킬 것 http://www.newdaily.[...] 뉴데일리 2010-11-20
[111] 웹사이트 ´끝없는 무상시리즈´ 민주당내서도 "서둘면 안돼" http://www.dailian.c[...]
[112] 웹사이트 http://www.dailian.c[...]
[113] 뉴스 민주당 3종 ‘무상 패키지’ 총공세 https://news.naver.c[...] 중앙일보 2011-01-13
[114] 웹사이트 http://www.pressian.[...]
[115] 뉴스 민주당 의원들 본회의장 의장석 점거 https://news.naver.c[...] YTN 2010-12-08
[11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frontiert[...] 2010-12-12
[117] 웹사이트 “1년간 법안 상정조차 못하게 하고.. 폭력행사” http://www.freezonen[...] 프리존뉴스
[118] 웹사이트 http://www.ytn.co.kr[...]
[119] 뉴스인용 민주당, `복당갈등' 계속…김민석, 정동영 비판 http://www.newsway.k[...] 뉴스웨이 2010-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