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알프스산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알프스 산맥은 중앙 유럽에 위치한 초승달 모양의 산맥으로, 동서로 약 800km, 평균 높이 약 2.5km에 걸쳐 뻗어 있다. 라인강, 론강, 인강, 포강 등 주요 유럽 강들의 발원지이며, 지중해, 흑해 등으로 물을 공급한다. 알프스 산맥은 유럽 저지대에 식수, 관개 용수, 수력 발전을 제공하며, 기후 변화와 물 사용의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알프스 산맥은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프랑스, 스위스 등 여러 국가에 걸쳐 있으며, 몽블랑, 마터호른, 융프라우 등 주요 봉우리와 고개, 호수를 포함한 다양한 지형을 형성한다. 알프스 산맥은 지질학적으로 아프리카 판과 유라시아 판의 충돌로 형성되었으며, 다양한 암석과 납페 구조로 구분된다. 알프스 산맥은 혹독한 기후와 다양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으며, 1만 3천 종의 식물과 3만 종의 야생 동물이 서식한다. 알프스 산맥은 선사 시대부터 사람들이 거주해 왔으며, 로마 시대에 도로가 건설되고 중세 시대에 수도원이 세워지는 등 역사를 거쳐 왔다. 낭만주의 시대 이후 관광지로 발전하여, 현재는 동계 스포츠와 여름 관광으로 연간 1억 2천만 명 이상의 방문객이 찾는 세계적인 관광지이다. 알프스 산맥은 도로, 철도, 터널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을 통해 접근 가능하며, 특히 철도 교통이 발달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나코의 산맥 - 서알프스산맥
    서알프스산맥은 알프스산맥의 서쪽 부분으로, ISMA 분류에 따라 남서알프스산맥과 북서알프스산맥으로 나뉘며, 이탈리아 국립 지리 위원회 분류 체계에서는 8개 구역으로 구분된다.
  • 리히텐슈타인의 산맥 - 중동알프스산맥
    중동알프스산맥은 7개국에 걸쳐 뻗어 있는 동알프스의 일부로 주요 강과 빙하 지형을 포함하며 몽블랑을 비롯한 높은 봉우리, 다양한 지질학적 특징, 레저 활동, 온천 관광 등의 특징을 갖는다.
  • 리히텐슈타인의 산맥 - 동알프스산맥
    동알프스산맥은 알프스산맥의 동쪽 부분으로, 다양한 산, 강, 국립공원 및 보호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강이 발원하고 구석기 시대부터 인간이 거주하며 다양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는 지역이다.
  • 알프스산맥 - 외치
    외치는 기원전 3300년에서 3100년 사이에 살았던 미라로, 1991년 알프스 산맥에서 발견되었으며, 화살에 맞아 사망했고, 과학적 분석을 통해 신체적 특징과 유전자 정보 등이 밝혀졌다.
  • 알프스산맥 - 아디제강
    아디제강은 오스트리아와 스위스 국경에서 발원하여 이탈리아 북부를 지나 아드리아해로 흘러드는 강으로, 독일어로는 에취 강, 라딘어로는 아디치로 불린다.
알프스산맥
지도 정보
알프스 산맥의 지형도. [[파일:Alpenrelief 02.jpg|국경선 표시된 지도]]도 참고.
명칭
기본 정보
위치오스트리아,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리히텐슈타인, 모나코, 슬로베니아, 스위스
지질뷘더 편암, 플리시, 몰라세
형성 시기제3기
조산 운동알프스 조산 운동
면적200,000 km²
길이1,200 km
너비250 km
최고봉몽블랑
최고봉 높이4,808.73 m
산맥 좌표46.58°N 8.62°E
언어별 명칭
라틴어Alpes
프랑스어Alpes
이탈리아어Alpi
독일어Alpen
영어Alps
주요 봉우리
최고봉몽블랑 (4,810 m)
기타융프라우산 (4,166m)
기타 정보
관련 정보유럽의 산맥 목록
추가 설명알프스 산맥은 중부 유럽의 주요 산맥이다. 카프카스 산맥이 더 높고, 우랄 산맥이 더 길다.

2. 지리

알프스 산맥은 동알프스 산맥과 서알프스 산맥으로 크게 나뉜다. 이 구분은 스플뤼겐 고개 근처 스위스 동부 지역을 기준으로 한다.[195] 서알프스 산맥의 최고봉은 몽블랑(4,810m)이고, 동알프스 산맥의 최고봉은 피츠 베르니나(4,049m)이다.[197] 두 번째로 높은 봉우리는 각각 몬테로사(4,634m)와 오르틀러(3,905m)이다.[197]

알프스 산맥에는 프랑스 프레알프스, 쥐라산맥과 같이 주요 산맥과 평행하게 이어지는 낮은 산맥들도 있다. 알프스의 주요 산맥은 지중해에서 빈 숲(Wienerwald)까지 이어지며, 카디보나 고개에서 텐드 고개를 거쳐 마달레나 고개까지 이어진다. 스위스 국경에 도달하면 동북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빈 근처까지 이어진다.[198]

알프스 산맥의 북동쪽 끝은 다뉴브강 옆 레오폴츠베르크이며, 남동쪽 끝은 트리에스테 주변 아드리아해 연안이다.[199]

2. 1. 위치 및 범위

알프스 산맥은 중앙유럽에 위치한 초승달 모양의 지형으로, 동서로 약 800km에 걸쳐 뻗어 있으며 너비는 약 200km이다. 봉우리의 평균 높이는 약 2.5km이다.[192] 이 산맥은 지중해 북쪽, 포 강 유역 위쪽에서 시작하여 프랑스의 그르노블을 지나 스위스 중부와 남부를 동쪽으로 가로지른다. 오스트리아의 을 향해 계속 이어지며, 남동쪽으로는 아드리아해슬로베니아까지 뻗어 있다.[193][194][195]

남쪽으로는 이탈리아 북부로, 북쪽으로는 독일 바이에른주 남부 국경까지 이어진다.[195] 스위스 키아소와 바이에른 알고이 지역과 같이 산맥과 평야의 경계가 명확한 곳도 있지만, 제네바와 같이 경계가 불분명한 곳도 있다.[195]

알프스 산맥은 다음 국가들에 걸쳐 있다:[196]

국가면적 비율
오스트리아28.7%
이탈리아27.2%
프랑스21.4%
스위스13.2%



알프스 산맥의 가장 높은 부분은 론 계곡의 빙하 침식곡에 의해 나뉘는데, 남쪽에는 몽블랑에서 마터호른과 몬테로사까지, 북쪽에는 베른 알프스가 있다. 오스트리아와 슬로베니아에 있는 산맥 동쪽 부분의 봉우리는 중앙부와 서쪽 부분의 봉우리보다 낮다.[195]

알프스 산맥이 걸쳐 있는 지역의 명칭이 다양하여 산맥과 하위 지역의 분류가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지질학자 Stefan Schmid에 따르면,[11] 동알프스산맥서알프스산맥으로 분류되며, 두 지역의 경계는 스위스 동부, 스플뤼겐 고개 근처에 있다.

알프스 산맥은 남서쪽의 프랑스에서 동쪽의 슬로베니아까지, 남쪽의 모나코에서 북쪽의 독일까지 호를 그리며 뻗어 있다.


알프스 산맥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맥인 펜나인 알프스의 항공 사진


오스트리아 티롤주 툭스탈 계곡의 전형적인 알파인 마을


서부 알프스와 동부 알프스의 최고봉은 각각 4,810m의 몽블랑[197]과 4,049m의 피츠 베르니나이다. 두 번째로 높은 주요 봉우리는 각각 4,634m의 몬테로사와 3,905m의 오르틀러이다.[197]

프랑스의 프랑스 프레알프스와 스위스와 프랑스의 쥐라산맥을 포함하여 알프스 산맥의 주요 산맥과 평행하게 낮은 산맥들이 여러 개 이어져 있다. 알프스의 보조 산맥은 지중해에서 빈 숲(Wienerwald)까지 분수계를 따라 이어지며, 알프스에서 가장 높고 잘 알려진 봉우리들을 많이 지난다. 카디보나 고개에서 텐드 고개까지 서쪽으로 이어지다가 북서쪽으로 방향을 바꾸고, 마달레나 고개 근처에서는 북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스위스 국경에 도달하면 주요 산맥은 동북동쪽으로 향하며, 빈 근처까지 이 방향을 유지한다.[198]

흑해로 흘러드는 도나우강 바로 옆에 있는 알프스 산맥의 북동쪽 끝은 빈 근처의 레오폴츠베르크이다. 반대로 알프스 산맥의 남동쪽 끝은 트리에스테 주변의 아드리아해, 두이노와 바르콜라 지역에 위치한다.[199]

2. 2. 세부 구분

알프스 산맥은 크게 동알프스 산맥과 서알프스 산맥으로 나뉜다. 이 두 산맥은 이탈리아의 코모 호에서 스위스와 리히텐슈타인 및 오스트리아 국경(라인강)을 잇는 선을 기준으로 구분된다. 이 외에도 남북으로 나누는 등 다양한 구분이 존재한다.

서알프스 산맥은 그르노블토리노를 잇는 선을 경계로 남쪽을 남서알프스 산맥, 북쪽을 북서알프스 산맥이라 부른다. 남서알프스 산맥은 지중해까지 뻗어 있으며, 몬테 비소 산 등이 높은 봉우리로 꼽힌다. 북서알프스 산맥은 스위스 알프스 전역을 포함하며, 알프스에서 가장 높은 지역으로 4,000m 이상의 고봉들이 모두 이 산맥에 위치한다.

북서알프스 산맥은 동서로 평행하게 달리는 두 개의 산계로 나뉜다. 남쪽 산계에는 그라예알프스 산맥(몽블랑, 에귀유 뒤 미디, 그랑 조라스 등 포함)과 페닌알프스 산맥(몬테 로사, 마터호른 등 포함) 등이 있다. 북쪽 산계에는 베르너 오버란트 산맥(아이거, 융프라우, 묄히 등 포함)과 그라르너 알프스 산맥 등이 있다. 이 두 산계 사이에는 론 강의 계곡이 있으며, 가늘고 긴 발리스 계곡을 형성한다. 체르마트그린델발트는 각 지역의 관광 및 등산 거점 도시이다. 루체른 호 주변의 4개 주는 스위스의 발상지이며, 빌헬름 텔 전설로 알려진 지역이다. 스위스 국토 면적의 60%를 알프스가 차지하며, 스위스의 경제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남쪽 기슭의 대부분은 이탈리아 영토이지만, 일부는 스위스 영토인 티치노주이다. 이 남쪽 기슭에는 루가노 호, 마조레 호, 코모 호와 같은 빙하호가 산재해 있으며, 루가노, 로카르노, 코모와 같은 리조트 지역이 있다.

동알프스 산맥은 남북으로 나뉜다. 북동알프스 산맥은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국경을 일부 이루며, 중앙동알프스 산맥은 오스트리아와 이탈리아의 국경을 주로 이룬다. 남동알프스 산맥은 이탈리아 북부에서 오스트리아 남부의 카린티아주로 이어지며 카린티아주와 슈타이어마르크주 및 슬로베니아 공화국 사이의 국경을 이룬다. 남동알프스 산맥에는 돌로미티 산맥과 줄리아 알프스 산맥 등이 포함된다.

북동알프스 산맥의 서부, 독일-오스트리아 국경 지역의 독일 쪽 북쪽 기슭은 알고이 알프스, 바이에른 알프스, 잘츠부르크 알프스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알고이 알프스는 목가적인 풍경으로 유명하다. 바이에른 알프스에는 독일 최고봉인 추크슈피체 산(2,962m)이 있으며,[171]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등 많은 스키 리조트가 있다. 노이슈반슈타인 성은 알프스에서 가장 인기 있는 관광지 중 하나이다. 잘츠부르크 알프스에 있는 베르히테스가르텐은 휴양지로 알려져 있다. 독일 알프스 도로는 보덴 호 연안의 린다우에서 베르히테스가르텐까지 450km에 걸쳐 이어져 많은 관광객이 방문한다. 잘츠부르크 동쪽의 잘츠카머구트 지역을 지나 빈 숲이 이 산맥의 끝 부분이 된다. 산크트요한임퐁가우 구에 있는 알프스 산맥 일부는 유네스코 세계 지오파크로 지정되었다.[172]

북동알프스 산맥과 중앙동알프스 산맥 사이에는 인 강의 계곡이 펼쳐져 있으며, 스위스 그라우뷘덴주 동부를 지난 후 티롤 지방의 중심부를 이룬다. 인 강 상류의 엥가딘 지방은 그 아름다운 풍경으로 유명하며, 오버엥가딘의 중심지인 생모리츠는 스키 리조트를 중심으로 번영하는 관광 도시이다. 다보스도 스키 리조트로 알려져 있으며, 세계경제포럼(다보스 회의)의 개최지이다. 인스브루크는 동서 교역로와 남북 교역로의 교차점으로 번영해 왔다.

중앙동알프스 산맥은 오스트리아와 이탈리아의 국경을 이루며 동쪽으로 이어진다. 중앙부의 브렌너 고개는 알프스 동부에서 가장 중요한 고개였다. 오스트리아 최고봉인 그로스글록너 산이 이 산맥에 있다. 호헤 타우어른 국립공원은 중앙 유럽에서 가장 큰 국립공원이다.

중앙동알프스 산맥과 남동알프스 산맥 사이에는 남티롤 지방의 볼차노 자치주와 카린티아주 등이 펼쳐져 있다.

남동알프스 산맥은 돌로미티 산맥 등을 포함한 이탈리아 영토를 동서로 이어진 후 오스트리아와 슬로베니아의 국경을 이룬다. 슬로베니아 최고봉인 트리글라브 산(2,864m)도 이 산맥 내의 줄리아 알프스 산맥에 있다. 남쪽 기슭에는 가르다 호가 있으며, 레드로 부근 일부와 은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173]

2. 3. 주요 봉우리

알프스 산맥의 주요 봉우리들이다. 북벽 3대 봉우리도 이 산맥에 있다.

  • 몽블랑(Mont Blanc) (4810.9m) - 서유럽 최고봉, 프랑스이탈리아 최고봉
  • 몬테 로사(Monte Rosa) (4609m) - 스위스 최고봉
  • 마터호른(Matterhorn) (4478m) - 북벽 3대 봉우리 중 하나
  • 그랑 조라스(Grande Jorasses) (4208m) - 북벽 3대 봉우리 중 하나
  • 융프라우(Jungfrau) (4158m)
  • 묀히(Mönch) (4107m)
  • 그랑 파라디소(Gran Paradiso) (4061m)
  • 아이거(Eiger) (3975m) - 북벽 3대 봉우리 중 하나
  • 그로스글로크너(Großglockner) (3798m) - 오스트리아 최고봉
  • 추크슈피체(Zugspitze) (2962m) - 독일 최고봉
  • 트리글라브(Triglav) (2864m) - 슬로베니아 최고봉


국제산악연맹(UIAA)은 높이가 4000m 이상인 알프스 정상 82개를 "공식적인" 목록으로 정의했다.[30] 이 목록에는 산뿐만 아니라 중요한 등산 목표로 간주되는, 지형적 돌출부가 거의 없는 아봉도 포함된다. 아래는 지형적 돌출부가 300m 이상인 29개의 "4000m 봉우리"가 나열되어 있다.

지형적 돌출부가 300미터 이상인 알프스 4000m 봉우리 29개[33]
이름높이이름높이이름높이
몽블랑4810m그랑드 조라스4208m바르 데 제크랑4102m
몬테 로사4634m알프후벨4206m슈레크호른4078m
4546m림피쉬호른4199m오버 가벨호른4063m
리스캄4532m알레치호른4194m그랑 파라디소4061m
바이스호른4505m슈트랄호른4190m피츠 베르니나4048m
마터호른4478m당 데 랑4173m그로스 피셔호른4049m
당 블랑슈4357m브라이트호른4160m그로스 그뤼호른4043m
그랑 콩방4309m융프라우4158m바이스미스4013m
핀스터아어호른4274m에귀유 베르트4122m라긴호른4010m
지날로토른4221m묀히4110m2. 4. 주요 고개 알프스는 전쟁과 무역, 순례자, 학생, 관광객들이 넘어왔다. 도로, 철도 또는 도보로 횡단하는 길을 '고갯길'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평야와 구릉지대에서 계곡이 이어지는 산의 저지대를 구성한다.

고트하르트 고개로 가는 길에 있는 악마의 다리(''Teufelsbrücke'') (1830년에 건설된 최초의 차량 통행 가능한 다리 위에 1958년에 건설된 현재의 다리)


중세 시대에는 많은 주요 고갯길 정상에 수도회에서 수도원을 설립했다.[12]

알프스의 주요 고개
고개 이름높이 (m)기타
이제랑 고개2770m알프스에서 가장 높은 고개
갈리비에 고개2642m
그랑 생 베르나르 고개2473m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1800년 4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넘은 고개[23]
그랑동 고개1924m
스텔비오 고개2758m
텔레그라프 고개1566m
쁘띠 생 베르나르 고개2188m
브레너 고개1370m외츠탈 알프스와 질러탈 알프스를 분리, 14세기부터 무역로로 이용
프로켄 고개1357m
보네 고개2715m
마들렌 고개2000m
몽수니 고개2083m서유럽과 이탈리아 사이의 주요 상업 및 군사 도로[24], 현재는 프레쥐스 고속도로 터널(1980년 개통)과 철도 터널(1871년 개통)로 대체[25]
로타레 고개2058m
크로아 드 페르 고개2067m
제메링 고개985m알프스 고갯길 중 가장 낮은 곳, 하부 오스트리아에서 슈타이어마르크로 이어짐, 12세기에 수도원이 세워진 이후로 끊임없이 이용, 19세기 중반에는 고갯길을 따라 길이 1.6km의 터널이 있는 철도가 건설
고트하르트 고개중부 스위스에서 티치노로 이어짐, 1882년에 스위스 루체른과 이탈리아 밀라노를 연결하는 길이 15km의 생 고트하르트 철도 터널이 개통, 98년 후에는 북쪽의 괴스체넨에 있는 A2 고속도로와 남쪽의 아이롤로를 연결하는 길이 16.9km의 고트하르트 도로터널이 철도 터널과 마찬가지로 개통,[26] 2016년 6월 1일에는 세계에서 가장 긴 철도 터널인 고트하르트 베이스 터널이 개통되어 우리 주의 에르스트펠트와 티치노 주의 보디오를 57.1km 길이의 이중 터널로 연결,[27] 이 터널은 알프스를 평평한 경로로 가로지르는 최초의 터널,[28] 2016년 12월 11일부터 정기 철도 운행 시간표에 포함되어 바젤/루체른/취리히와 벨린쪼나/루가노/밀라노 사이의 표준 운행으로 매시간 운행[29]


2. 5. 강과 호수

알프스 산맥은 저지대 유럽에 식수, 관개용수, 수력 발전을 제공한다.[61] 알프스 산맥의 면적은 유럽 전체 면적의 약 11%에 불과하지만, 특히 건조 지역과 여름철에 저지대 유럽에 최대 90%의 물을 공급한다. 밀라노와 같은 도시는 알프스 산맥의 유출수에 80%를 의존한다.[2][62][63] 강에서 나오는 물은 최소 550개의 수력 발전 발전소에서 사용된다(최소 10MW의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소만 고려).[64]

라인강, 론강, 인 강, 포 강 등 주요 유럽 강들은 알프스 산맥에서 발원하여 인접 국가로 흘러들어가 북해, 지중해, 아드리아해, 흑해로 최종적으로 유입된다.[2] 다뉴브강은 알프스 산맥에서 발원하는 주요 지류들을 가지고 있다.

론강은 지중해로 유입되는 담수 공급원으로 나일강 다음으로 두 번째이며, 빙하 융빙수로 시작하여 제네바 호로 흘러들어가 프랑스로 흘러가는데, 그 용도 중 하나는 원자력 발전소의 냉각이다.[65] 라인강은 스위스에서 발원하며, 스위스에서 수출되는 물의 거의 60%를 차지한다.[65] 일부 복잡한 지류 계곡들은 물을 주요 계곡으로 이동시키는데, 급격한 유출로 인해 잔해 토석류와 불어난 강이 발생하는 눈 녹는 계절에 홍수를 경험할 수 있다.[66]

강들은 제네바 호수와 같은 호수를 형성하는데, 제네바 호수는 스위스 측에는 로잔이, 프랑스 측에는 에비앙레뱅이 있는 스위스 국경을 가로지르는 초승달 모양의 호수이다. 독일에서는 중세 시대의 성 바르톨로메오 예배당이 쾨니히제의 남쪽에 세워졌는데, 배를 이용하거나 인접한 봉우리를 넘어서 올라가야만 접근할 수 있다.[67]

남부 프레알파인 호수는 가르다 호와 같이 주변 지역보다 따뜻한 미기후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알프스 산맥은 이탈리아에 대규모 호수를 만들었다. 예를 들어, 가르다 호의 주요 유입량인 사르카강은 이탈리아 알프스 산맥에서 발원한다.[68] 이탈리아 호수는 온화한 기후 때문에 로마 시대부터 인기 있는 관광지이다.

과학자들은 기후 변화의 영향과 물 사용에 대해 연구해왔다. 예를 들어, 매년 스키 리조트의 인공 제설을 위해 강에서 더 많은 물이 끌어 쓰이고 있으며, 그 영향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또한 빙하 지역의 감소와 예상보다 적은 강수량을 보이는 겨울철이 이어짐에 따라 알프스 산맥의 강들과 저지대의 물 공급에 미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62][69]

3. 지질

18세기부터 알프스산맥의 암석 지층 연구를 통해 지질학적 개념들이 확립되었다. 19세기 중반에는 지향사 이론이 사용되었으나, 20세기 중반 판구조론으로 대체되었다.[36]

알프스산맥의 형성(알프스 조산 운동)은 약 3억 년 전부터 시작되었다.[35] 고생대 판게아 초대륙은 중생대에 분리되었고, 쥐라기 동안 테티스 해가 로라시아곤드와나 사이에 형성되었다.[36] 테티스 해는 충돌하는 판들 사이에 끼어 알피드 산맥을 형성했는데, 이는 지브롤터에서 히말라야를 거쳐 인도네시아까지 이어진다. 알프스산맥 형성은 아프리카 판과 유라시아 판의 충돌로 인해 발생했다.[39]

해양 퇴적암이 융기되어 습곡과 역단층이 형성되었다.[38] 융기하는 봉우리가 침식되면서 플라이쉬 퇴적물층이 전방 분지에 퇴적되었고, 조산 운동이 진행됨에 따라 더 어린 습곡에 관여하게 되었다. 거친 퇴적물은 알프스 산맥 북쪽의 전방 지역에 퇴적되었다.[39]

알프스 조산 운동은 팔레오세까지 지속적인 주기로 발생하여 쥐라 산맥이 형성되었다.[41] 알프스산맥은 조산 사건에 따라 암석학과 납페 구조로 세분된다.[11] 지질학적 세분화는 서알프스, 동알프스, 남알프스를 구분한다: 북쪽의 헬베티쿰 납페, 중앙의 페닌 납페와 오스트로알프 납페, 페리아드리아틱 솔기 남쪽의 남알프스계.[42]

마터호른은 지속적인 조산 운동의 예이며, 산 정상은 아프리카 판의 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저부는 유럽 기저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테티스 해양 퇴적물과 해양 지하층은 아프리카 판과 유럽 판에서 유래된 암석 사이에 끼어 있다.[34]

알프스 산맥의 구조는 유럽, 아프리카, 해양(테티스) 기원의 암석층으로 구성되어 있다.[44] 하부 납페 구조는 유럽 대륙 기원이며, 그 위에 해양 퇴적물 납페, 아프리카 판에서 유래된 납페가 쌓여 있다.[45] 중심 지역은 침식으로 인해 가파른 수직 봉우리가 생성되었다.[37] 지질학적 불안정성으로 인해 알프스 산맥에서는 오늘날까지도 지진이 계속되고 있다.[47]

약 6000만 년 전 에오세(暁新世) 무렵부터 북유럽 대륙붕 퇴적체가 아프리카 대륙 하부에 섭입하여 대륙 충돌형 조산대가 형성되었다. 약 1500만 년 전 중신세(中新世)에 돔 모양으로 지층이 융기하였다.

강한 압력은 충상 단층에 의해 나페(ナッペ)라고 불리는 웅대한 원거리 이동을 발생시켰다. 최하위의 헬베틱 나페(Helvetic nappe)는 북유럽 대륙의 잔재이며, 페닌 나페(Pennine nappe)는 초고압-고압 변성대이며 알프스 조산대의 중핵부이고, 최상위의 오스트로알파인 나페(Austroalpine nappe)는 아프리카 대륙의 잔재이며, 이 세 가지가 거의 수평인 단층으로 접하고 있다. 이것들이 더욱 고각의 정단층으로 절단되어 있다.

현재는 판의 상대 운동의 변화에 따라 고각 정단층의 일부가 대규모의 횡좌 운동을 수반하는 마이크로 플레이트 경계로 변화하여 인스브루크 라인(Innsbruk Line)이 되고 있다.

오늘날의 경관은 지난 200만 년 동안 있었던 최소 5회의 빙하기의 빙하 작용이 만들어낸 것이다. 마지막 빙하기가 끝난 1만 년 전에 기후가 크게 변화하여 빙하는 산맥의 안쪽으로 후퇴하고, 알프스 산맥의 숲에 거대한 화강암의 암석을 남겼다. 또한, 빙식에 의해 U자곡이 된 계곡의 끝에는 빙하의 퇴적물이 쌓여 계곡을 막아 코모 호, 보덴 호, 루가노 호, 레만 호, 루체른 호와 같은 가늘고 긴 빙하호가 알프스 전역에 산재하게 되었다. 현재도 알프스에는 크고 작은 1300개의 빙하가 존재하며, 알프스 전체의 2%를 차지하고 있다.[174]

4. 기후

알프스 산맥은 유럽의 기후를 습윤한 북부와 건조한 남부로 나누는 역할을 한다. 산맥의 높이 때문에 저지대의 따뜻한 공기가 상승하면서 부피가 팽창하고 온도가 낮아져 눈이나 비가 내린다.[70]

18세기부터 알프스 산맥의 혹독한 기후가 연구되었고, 특히 계절풍인 푄과 같은 기후 패턴이 주목받았다. 20세기 초에는 산악 지대에 기상 관측소가 설치되어 기후학자들에게 지속적인 데이터를 제공했다.[71]

아오스타 계곡(이탈리아), 모리엔 계곡(프랑스), 발레주(스위스), 티롤 북부(티롤 주)와 같은 일부 계곡은 매우 건조하다.[71] 반면 강수량이 많은 지역은 빠른 눈 녹음과 유출로 인해 주기적인 홍수를 겪는다.[66]

알프스 산맥의 평균 강수량은 연간 2600mm에서 3600mm 사이이며, 고도가 높을수록 강수량이 많다. 1000m에서 3000m 고도에서는 11월에 눈이 내리기 시작하여 4월이나 5월까지 쌓인다. 설선은 2400m에서 3000m 사이이며, 이보다 높은 곳에서는 눈이 영구적으로 존재하고 여름에도 기온이 영점 근처를 유지한다. 강과 하천의 수위는 눈이 녹는 6월과 7월에 가장 높다.[72]

알프스 산맥은 다섯 개의 기후대로 나뉜다.

기후대고도특징
구릉 지대500m ~ 1000m (위치에 따라 다름)
산악 지대800m ~ 1700m
아고산대1600m ~ 2400m
고산대나무 한계선 ~ 설선
빙하 지대산악의 빙하 지역



같은 기후대 내에서도 산봉우리 바로 아래의 산악 계곡 상류 지역은 기온이 낮고 혹독하며, 하류 지역은 기온이 덜 혹독하고 적설량이 적다.[73]

;기후 변화

200px


22세기까지 알프스 산맥에 대한 다양한 기후 변화 모델이 예측되었는데, 온도 상승 추세가 강설량, 눈 덮개, 빙하, 하천 유출량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74][75] 이미 자연적, 인위적 원인에 의한 상당한 변화가 관측되었으며,[76][77][78] 지난 50년 동안 눈 덮개 지속 기간이 10년마다 5.6% 감소했다.[79] 이러한 변화는 기후와 지역 사회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기후변화 적응이 필요하다.

5. 생태

알프스 산맥에서는 1만 3천 종의 식물이 확인되었다.[2] 알프스 식물은 서식지와 토양 유형(석회암 또는 비석회암)에 따라 분류된다. 서식지는 초원, 습지, 삼림(활엽수림과 침엽수림) 지역부터 토양이 없는 돌무더기와 모레인, 암벽과 능선까지 다양하다.[80] 주요 활엽수인 참나무, 너도밤나무, 물푸레나무, 시커모어 메이플의 존재로 고도에 따른 자연 식생 한계가 나타난다. 이 나무들은 같은 고도에 도달하지 않으며, 함께 자라는 경우도 드물지만, 그 상한선은 온대 기후에서 한랭 기후로의 변화와 정확하게 일치하며, 야생 초본 식물의 존재 변화로도 확인된다. 이 한계는 일반적으로 알프스 북쪽에서는 해발 약 1200m에 위치하지만, 남쪽 사면에서는 해발 1500m까지, 때로는 1700m까지 상승하기도 한다.[81]

에델바이스 (''Leontopodium alpinum'')


산림 위에는 종종 왜소한 소나무(Pinus mugo) 띠가 있으며, 그 위에는 알펜로제(Alpenrosen)라는 왜성 관목, 전형적으로 ''Rhododendron ferrugineum''(산성 토양) 또는 ''Rhododendron hirsutum''(알칼리성 토양)이 자란다.[82] 알펜로제는 산성 토양을 선호하지만, 이 지역 전역에서 발견된다.[80] 수목한계선 위는 "고산"으로 정의되는 지역으로, 혹한, 건조, 고도 등의 혹독한 조건에 잘 적응한 식물들이 자라는 고산 초원이 있다. 고산 지역은 지역적인 수목한계선의 변동으로 인해 크게 변동한다.[83]

무경 겐티아나 (''Gentiana acaulis'')


알프스 겐티아나와 같은 알프스 식물은 라우터브루넨 계곡 위의 초원과 같은 지역에서 풍부하게 자란다. 겐티아나는 일리리아의 왕 겐티우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이른 봄에 피는 이 꽃은 알프스에서 해발 1500m에서 2400m의 범위에 걸쳐 40종이 자란다.[84] 스위스의 겐티아나에 대해 글을 쓴 D. H. 로렌스는 이 꽃을 "낮을 어둡게 하고, 플루토의 어둠처럼 짙푸른 연기를 내뿜는 횃불 같다"고 묘사했다.[85] 겐티아나는 봄에 피는 시기가 점점 늦어지면서 저지대에서 고지대 초원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출현"하는 경향이 있다. 고지대 초원의 눈은 계곡보다 훨씬 늦게 녹는다. 가장 높은 바위 봉우리에서는 봄꽃이 여름에 핀다.[80]

베르히테스가덴 국립공원 (바이에른)


보존된 알프스 산림과 초원 내부, 바누아즈 국립공원


이러한 고지대에서는 식물이 고립된 쿠션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알프스에서는 ''Ranunculus glacialis'', ''Androsace alpina'', ''Saxifraga biflora''를 포함하여 해발 4000m 이상에서 여러 종의 꽃 피는 식물이 기록되었다. 일반적으로 알프스의 왕으로 알려진 ''Eritrichium nanum''은 해발 2600m에서 3750m의 바위 능선에서 자라는 가장 찾기 어려운 알프스 꽃이다.[86] 아마도 알프스 식물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바위 지역에서 자라며 해발 1200m에서 3400m까지 발견되는 에델바이스일 것이다.[80] 가장 높은 고도에서 자라는 식물은 바람으로부터 보호하는 돌무더기에서 자라는 것과 같은 특수화를 통해 조건에 적응했다.[87]

극심하고 스트레스가 많은 기후 조건은 약효에 중요한 이차 대사산물을 가진 식물 종의 성장으로 이어진다. ''Origanum vulgare'', ''Prunella vulgaris'', ''Solanum nigrum'', ''Urtica dioica''는 알프스에서 발견되는 더 유용한 약용 식물 중 일부이다.[88] 인간의 간섭으로 많은 지역에서 나무가 거의 멸종되었고, 17세기와 19세기 사이의 극심한 삼림 벌채 이후 오스트리아 알프스의 너도밤나무 숲을 제외하고는 활엽수림은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89] 20세기 후반 이후로 고산 초원이 더 이상 건초를 수확하거나 방목에 사용되지 않으면서 식생이 변화했고, 결국 숲이 다시 자랄 수도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기계적인 방법으로 스키 슬로프를 건설하는 현대적인 관행으로 인해 식물이 비스키 시즌 동안 회복할 수 없는 기저 툰드라가 파괴된 반면, 자연적인 ''피스트'' 유형의 스키 슬로프 건설을 여전히 실천하는 지역은 취약한 하층을 보존한다.[2]

6. 역사

"Alps"라는 영어 단어는 라틴어 "Alpes"에서 유래했다. 4세기 후반의 문법학자 마우루스 세르비우스 호노라투스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주석에서 켈트족이 모든 높은 산을 "Alpes"라고 불렀다고 언급했다.[8]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따르면, 라틴어 "Alpes"는 프로토 인도-유럽어 이전 단어 "*alb"("언덕")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알바니아"는 관련된 파생어이다. 알바니아라는 지명은 유럽 전역의 여러 산악 지역에서 사용되어 왔다. 고대 로마 시대에 "알바니아"는 동부 카프카스 지역의 이름이었고, 영어권에서는 "알바니아"(또는 "알바니")가 때때로 스코틀랜드의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했다.[9] 하지만, "흰색"이라는 뜻의 라틴어 "albus"[10]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더 크다.

현대 언어에서 "alp", "alm", "albe", "alpe"라는 용어는 빙하 아래 알프스 지역의 목초지를 가리키며, 산봉우리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11] "alp"는 일반적으로 수목 한계선 부근 또는 그 이상의 고산 목초지를 가리키며, 여름 동안 소와 다른 가축을 방목하고 오두막과 건초 저장고가 있는 곳이며, 때로는 작은 마을을 이루기도 한다. 따라서 산을 가리키는 "알프스"라는 용어는 잘못된 명칭이다.[80][12]

6. 1. 선사 시대 ~ 고대

1991년 오스트리아와 이탈리아 국경의 에츠 계곡에서 기원전 3300년경 미라화된 유해가 녹은 빙하 아래에서 발견되었다. 이 유해는 외츠 빙하인으로 불리며, 해부와 유전자 조사를 통해 많은 과학적 지식을 제공했다.[102][103]

알프스 산맥에 거주했던 사람들 중 최초로 기록에 남은 사람들은 켈트족이다. 기원전 8세기경에는 이미 켈트족의 조상들이 알프스 전역에 거주하고 있었다. 이후 알프스 남쪽의 이탈리아 반도는 로마 공화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기원전 218년, 로마 공화국을 기습하기 위해 카르타고한니발은 현재 프랑스에서 전투 코끼리를 선두로 알프스를 넘었다. 역사상 유명한 한니발의 알프스 원정이다. 그는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처음으로 알프스를 넘은 장군이며, 이 예상치 못한 방향에서의 기습으로 로마에 충격을 주었다.[108] 다만, 한니발이 실제로 지나간 곳이 어디였는지는 아직도 정설이 없다. 이로 인해 포에니 전쟁이 시작되었다.

알프스 산맥을 넘는 한니발의 군대


제2차 포에니 전쟁이 로마의 승리로 끝난 후에도 1세기 이상 알프스는 켈트족의 영토였지만, 기원전 58년부터 기원전 51년에 걸쳐 로마의 카이사르가 갈리아 전쟁을 일으켜, 헬베티족 등 서알프스의 켈트족들은 패배하여 로마의 지배하에 편입되었다.[110] 이후 로마 제국의 북진은 계속되어, 기원후 15년부터 16년에 걸쳐 레티아와 노리쿰을 정복했다. 이로써 로마 제국의 방어선은 라인강과 도나우강을 잇는 선까지 확대되었고, 알프스 산맥 전역이 로마 제국의 지배하에 놓였다.[109][111]

6. 2. 중세 ~ 근대



알프스는 전쟁, 상업, 순례자, 학생, 관광객들이 이용했다. 도로, 기차 또는 도보로 경로를 건너는 것은 ‘고개’로 알려져 있으며, 계곡이 평야와 구릉이 많은 산악 전 지역에서 이어지는 산의 움푹 들어간 곳으로 구성된다.

중세 시대에 주요 통로의 정상에 많은 호스피스가 종교 단체에 의해 설립되었다. 가장 중요한 고개로는 이제랑 고개(최고), 아넬 고개, 브레너 고개, 몽스니 고개, 그랑 생베르나르 고개, 통드 고개, 고트하르트 고개, 제머링 고개, 심플론 고개, 스텔비오 고개가 있다.[200]

알프스에서 가장 높은 고개는 2770m의 프랑스 사부아에 있는 이제랑 고개이고, 2756m의 이탈리아 북부에 있는 스텔비오 고개이다. 도로는 1820년대에 건설되었다.[200]

이탈리아-오스트리아 국경을 가로지르는 브레너 고개외츠탈 알프스와 칠레르탈 알프스를 구분하며, 14세기부터 무역로로 사용되었다. 알프스에서 가장 낮은 곳은 985m이며, 제머링 고개니더외스터라이히주에서 스티리아까지 교차한다. 호스피스가 그곳에 세워진 12세기 이후로 지속적으로 사용되었다. 길이 1.6km의 터널이 있는 철도는 19세기 중반에 고갯길을 따라 건설되었다. 2469m의 정상이 있는 그랑 생베르나르 고개는 알프스에서 가장 높은 곳 중 하나이며, 몽블랑 측면을 따라 페나인 알프스 동쪽으로 이탈리아-스위스 국경을 건너고 있다. 이 고개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1800년에 4만 명의 군대를 거느리고 넘어갔다.[201]

몽스니 고개는 서유럽과 이탈리아 사이의 주요 상업과 군사 도로였다. 이 고개는 이탈리아반도로 가는 길에 많은 군대가 건넜다. 콘스탄티누스 1세, 피피누스 3세 브레비스, 샤를마뉴 대제에서 하인리히 4세, 나폴레옹, 그리고 최근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산악엽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인물과 단체가 이 길을 이용했다.[202]

이제 고개는 프레주스 고속도로 터널(1980년 개통)과 철도 터널(1871년 개통)로 대체되었다.[203]

고트하르트 고개는 스위스 중부에서 티치노주로 이어진다. 1882년에 스위스루체른이탈리아밀라노를 연결하는 길이 15km의 고트하르트 철도 터널이 개통되었다. 98년 후, 정확히 철도 터널처럼 북쪽의 괴세넨에 있는 A2 고속도로와 남쪽의 아이롤로를 연결하는 고트하르트 도로 터널(길이 16.9km)이 뒤를 이어 개통되었다.[204]

2016년 6월 1일 세계에서 가장 긴 철도 터널인 고트하르트 베이스 터널이 개통되었다. 이 터널은 우리주에르스트펠트티치노주보디오를 57.1km의 단일 튜브 2개로 연결한다.[205] 이 터널은 알프스를 횡단하는 최초의 평지 터널이다.[206] 2016년 12월 11일부터 일반 철도 시간표의 일부가 되었으며, 바젤/루체른/취리히벨린초나/ 루가노/ 밀라노 간 표준 승차로 매시간 사용되었다.[207]

1799년 알프스를 넘는 수보로프 장군의 군대, 바실리 수리코프 작


생베르나르 고개를 넘는 나폴레옹, 에두아르 카스트르 작


알프스 산맥에 기독교가 전파된 것은 로마인들에 의해서였다. 높은 알프스 고지대에도 수도원과 교회가 건설되었다. 프랑크족은 카롤링거 제국을 확장했고, 바이에른족은 알프스 동부에 봉건제를 도입했다. 알프스 산맥에 성이 건설되면서 공국과 왕국의 수가 증가했다. 트렌토에 있는 부온콘시글리오 성에는 정교한 프레스코화와 뛰어난 고딕 예술의 사례들이 남아 있다. 쉬용 성은 중세 건축의 한 예로 보존되어 있다.[112] 알프스에는 중요한 성인들이 여럿 있는데, 그중 한 명이 모리스 성인이다.[113] 중세 시대 대부분은 사보이아 가문, 밀라노 비스콘티 가문, 합스부르크 가문과 같은 경쟁 왕조들 간의 권력 투쟁 시대였다.[114]

9세기 또는 10세기에 건설된 그랑 생베르나르 고개 정상의 그랑 생베르나르 수도원은 사람들을 위한 피난처이자 순례자들의 목적지였다.[115] 1291년, 합스부르크 가문의 침입으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해 알프스의 4개 주(州)가 1291년 연방 헌장을 작성했는데, 이는 이웃 왕국으로부터의 독립 선언으로 여겨진다. 13세기, 14세기, 15세기에 벌어진 일련의 전투 이후 더 많은 주들이 연방에 가입했고, 16세기에는 스위스가 주권 국가로 성립되었다.[116]

알프스에서는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의 여파로 1713년 우트레히트 조약의 일부인 조약이 체결되어 서알프스 국경이 분수령을 따라 재조정되었다. 역사적으로 알프스는 정치적 및 행정적 세력의 경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우트레히트 조약은 지리적 조건을 고려한 최초의 중요한 조약이었다. 알프스가 분할되고 국경이 합의됨으로써 알프스의 외딴 지역(exclave)을 제거할 수 있었다.[117]

18세기 말과 19세기 초 나폴레옹 전쟁 동안 나폴레옹은 이전에 합스부르크 가문과 사보이아 가문이 통치하던 영토를 합병했다. 1798년 헬베티아 공화국이 수립되었고, 2년 후 그랑 생베르나르 고개를 넘는 군대가 파견되었다.[118] 1799년 러시아 제국 군대는 알프스에서 프랑스 혁명군과 교전했는데, 이 사건은 산악전에서 중요한 업적으로 기록되었다.[119] 1799년 10월 알렉산더 수보로프가 지휘하는 군대는 알프스에서 훨씬 더 많은 프랑스군에 포위되었다. 러시아군은 돌파하여 프랑스군을 격파하고 파닉스 고개를 통해 후퇴했다.[120]

나폴레옹의 몰락 후 많은 알프스 국가들은 추가적인 침략을 막기 위해 강력한 방어를 구축했다. 따라서 사보이아는 몽세니스 고개와 같이 주요 알프스 고개를 보호하기 위해 일련의 요새를 건설했는데, 이 고개는 샤를마뉴가 롬바르드족을 정복하기 위해 건넜던 곳이다.

19세기에 알프스에 인간의 피난처로 지어진 수도원들은 관광지가 되었다. 베네딕토 수도회는 루체른과 오베라마르가우에 수도원을 건설했고, 시토 수도회는 보덴호에 사원을 건설했다. 한편 아우구스티누스 수도회는 사보이아와 인터라켄에 수도원을 유지했다.[121]

몽블랑 산군


약 5만 년 전 것으로 추정되는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 결과가 나타난 숯이 상트갈렌 주 바티스 마을 위에 있는 드라흘로흐(용의 구멍) 동굴에서 발견되어, 선사시대 사람들이 높은 봉우리들을 방문했음을 증명한다. 동굴에서 발견된 7개의 곰 두개골은 같은 선사시대 사람들에 의해 매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22] 그러나 몇몇 주목할 만한 예외를 제외하고는 봉우리들은 대부분 무시되었고, 인접한 계곡 사람들의 독점적인 관심 대상으로 오랫동안 남아 있었다.[123] 산봉우리들은 용과 악마의 거처로 여겨질 만큼 무서운 곳으로 여겨져서, 사람들은 알프스 고개를 건널 때 눈을 가렸다.[124] 빙하는 수수께끼로 남아 있었고 많은 사람들은 여전히 가장 높은 지역에 용이 산다고 믿었다.[125]

1356년 샤를 7세는 자신의 궁내시(chamberlain)에게 몽트아이유(Mont Aiguille) 등반을 명령했다. 기사는 로치아멜로네(Rocciamelone) 정상에 도달하여 세 개의 십자가가 새겨진 청동 삼엽을 남겼는데, 이는 얼음을 횡단하기 위해 사다리를 사용하여 이룬 업적이다.[126] 1492년, 앙투안 드 빌은 몽트아이유에 올랐지만 정상에 도달하지 못했고, 그는 이 경험을 "끔찍하고 무서운" 것으로 묘사했다.[123]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고도가 높은 곳에서 빛의 변화에 매료되어 산에 올랐다. 어느 산인지는 학자들 사이에서 의견이 분분하며, 몬테로사(Monte Rosa)일 가능성도 있다. 그의 "겐티아나처럼 파란" 하늘에 대한 묘사로 보아 상당히 높은 고도에 도달했던 것으로 생각된다.[127] 18세기에는 샤모니(샤모니)의 네 명의 남성이 몽블랑 정상에 거의 도달했지만 고산병과 눈맹으로 인해 정복하지 못했다.[128]

크리스티안 폰 메헬의 작품, 몽블랑에서의 하산에 나온 호라스 베네딕트 드 소쉬르


16세기 콘라드 게스너는 산을 연구하기 위해 산에 오른 최초의 자연주의자였으며, 산에서 그는 "주님의 극장"을 발견했다고 기록했다.[129] 19세기가 되자 더 많은 자연주의자들이 높은 봉우리를 탐험하고, 연구하고, 정복하기 위해 도착하기 시작했다.[130] 얼음과 눈의 지역을 처음 탐험한 두 사람은 페닌 알프스(Pennine Alps)의 호라스 베네딕트 드 소쉬르(1740~1799)[131]와 디센티스(Disentis)의 베네딕트 수도사 플라시두스 아 스페샤(1752~1833)(Placidus a Spescha)였다.[130] 제네바 출신인 소쉬르는 어린 시절부터 산에 매료되었고, 자연주의자가 되기 위해 법률 경력을 버리고 베르네스 오버란트, 사보이, 피에몬테, 발레를 여러 해 동안 여행하며 빙하와 지질학을 연구했으며, 암석 융기 이론의 초기 지지자가 되었다.[132] 소쉬르는 1787년 몽블랑 세 번째 등반에 참여했고, 오늘날 모든 봉우리의 정상은 등반되었다.[2]

산트 고트하르트 고개의 악마의 다리


로마 제국이 쇠퇴하고, 375년부터 시작된 게르만 민족의 대이동으로 알프스 산맥에 대한 로마의 지배는 무너졌다. 이주해 온 게르만족은 동알프스와 스위스 동부에서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고, 반면에 오래전부터 살던 로마인들은 서알프스 서부와 남쪽 기슭에서 다수를 유지했다. 이러한 민족 분포는 9세기경에 최종적으로 고정되었고, 기본적으로는 거의 현대의 민족 분포와 같아졌다. 411년에는 서알프스에 정착한 부르군트족이 부르군트 왕국을 건국했고, 한때 멸망했지만 443년에 재건하여 서알프스 전역을 지배하였다. 그러나, 게르만족 중에서 프랑크 왕국이 라인 강 유역에서 세력을 확장하여 534년에는 부르군트 왕국을 멸망시키고 서알프스 북쪽 기슭을 거의 지배하게 되었다. 카롤루스 대제773년에 이탈리아 반도 북부의 롬바르드 왕국과 싸우기 위해 알프스 산맥을 넘었고, 이듬해인 774년에 롬바르드 왕국은 멸망했다. 카롤루스 대제는 동쪽으로 세력을 뻗어 791년에는 헝가리 평원의 아바르족을 정복하고 동알프스 전역을 점령하여, 다시 한번 알프스 산맥이 단일 정부의 지배 아래 놓이게 되었다. 그러나, 카롤루스 대제의 아들인 루트비히(루이) 1세의 죽음 이후 프랑크 왕국은 세 개로 분열되었다. 843년의 베르덩 조약에 따라 서알프스와 알프스 남쪽 기슭은 중프랑크 왕국에, 동알프스는 동프랑크 왕국 영토가 되었다. 그리고 870년메르센 조약에 따라 중프랑크 왕국은 이탈리아 왕국이 되어 알프스 남쪽 기슭을, 동프랑크 왕국은 알프스 북쪽 기슭을 지배하게 되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부르군트족은 세력을 다시 확장하여 879년에는 프로방스를 중심으로 시스주라 부르군트 왕국(저지대 부르군트 왕국, 하부르군트 왕국), 888년에는 현재의 스위스 서부를 중심으로 트란스주라 부르군트 왕국(고지대 부르군트 왕국, 상부르군트 왕국)을 건국하였다. 933년에는 트란스주라 부르군트 왕국이 시스주라 부르군트 왕국을 공격하여 멸망시키고 부르군트를 다시 통일하여 부르군트 왕국(아를 왕국)이라 불렀다. 963년에는 동프랑크 왕국의 후신인 신성 로마 제국이 이탈리아 왕국을 병합하여 다시 한번 알프스 산맥 남북이 통일된 왕권에 의해 지배되게 되었다. 그리고 1032년에 마지막 부르군트 왕인 루돌프 3세가 사망하고, 루돌프 3세의 조카와 결혼한 로마 황제 콘라트 2세가 부르군트 왕이 됨으로써 부르군트 왕국은 신성 로마 제국에 병합되었다.

역대 신성 로마 제국은 이탈리아 왕의 칭호를 가졌기 때문에 적극적인 이탈리아 정책을 펼치며 알프스 산맥 남북의 통일 지배에 힘썼지만, 1254년에 호엔슈타우펜 왕조가 단절되면서 20년 이상 대공위 시대가 되어, 이 시기에 각지의 영주들이 자치성을 갖게 되고, 신성 로마 제국은 반쯤 영방 군주의 연합체가 되었다. 이 시기에 알프스 산맥에도 두 개의 강력한 영방이 등장하게 된다. 오스트리아와 스위스이다. 원래 현재 스위스 북부의 영주였던 합스부르크 가문은 1273년에 루돌프 1세가 신성 로마 황제로 선출된 것을 계기로 세력을 확장하여 1278년에는 오스트리아 공국을 획득하였다. 이후 합스부르크 가문은 이곳을 거점으로 서쪽으로 진출하여 1335년에는 카린티아 공국을 획득하고, 1363년에는 티롤 백작령을 획득하여 동알프스 전역을 지배하게 되었다. 한편 서알프스 동부에서는 13세기에 고트하르트 고개가 개통됨에 따라 그 기슭에 해당하는 우리 주·슈비츠 주·운터발덴 주 3주가 경제력을 축적하고 1291년 8월 1일에 스위스 동맹을 결성했다.[175] 이 동맹은 고개의 지배와 자치를 둘러싸고 합스부르크 가문과 대립했지만, 1315년의 몰가르텐 전투에서 동맹군은 오스트리아군을 패배시켰고, 이후 동맹은 루체른이나 베른 등 인근 주와 차례로 동맹을 맺으며 세력을 확장해 나갔다. 이를 경계한 합스부르크 가문의 레오폴트 3세를 1386년의 젬파흐 전투에서 사망하게 만들고, 동맹은 알프스 중앙부의 주요 세력으로 부상했다. 1415년에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시조의 땅인 아르가우 주를 동맹이 획득하고, 알프스 중앙부에서 합스부르크 가문의 세력은 일소되었다. 그 후에도 동맹의 확장은 멈추지 않고 16세기 초에는 알프스 중앙부를 거의 지배하게 되었다. 또한 남서 알프스에서는 프랑스 왕국이 1349년도피네를 획득하고, 또 프로방스를 획득하여 알프스 서쪽 끝을 세력 범위로 삼고 있었다.

6. 3. 현대

상트갈렌 주 바티스 마을 위의 드라흘로흐(용의 구멍) 동굴에서 약 5만 년 전으로 추정되는 숯이 발견되어, 선사시대 사람들이 높은 봉우리들을 방문했음을 알 수 있다. 이 동굴에서 발견된 7개의 곰 두개골은 선사시대 사람들에 의해 매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22] 그러나 알프스 봉우리들은 대부분 사람들의 관심 밖이었고, 인접한 계곡 사람들의 독점적인 관심 대상으로 오랫동안 남아 있었다.[123] 사람들은 알프스 고개를 건널 때 눈을 가렸을 정도로 산봉우리들을 용과 악마가 사는 곳으로 여겨 무서워했다.[124] 빙하는 수수께끼로 남아 있었고, 많은 사람들은 가장 높은 지역에 용이 산다고 믿었다.[125]

1356년 프랑스의 샤를 7세는 자신의 궁내시에게 Mont Aiguille 등반을 명령했다. 이 기사는 Rocciamelone 정상에 도달하여 세 개의 십자가가 새겨진 청동 삼엽을 남겼는데, 이는 얼음을 건너기 위해 사다리를 사용한 업적이다.[126] 1492년 앙투안 드 빌은 몽트아이유에 올랐지만 정상에 도달하지 못했고, 이 경험을 "끔찍하고 무서운" 것으로 묘사했다.[123]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높은 고도에서 빛의 변화에 매료되어 산에 올랐는데, 그가 오른 산이 정확히 어느 산인지는 학자들 사이에서 의견이 분분하며, Monte Rosa일 가능성도 있다. 그의 "겐티아나처럼 파란" 하늘에 대한 묘사로 보아 상당히 높은 고도에 도달했던 것으로 보인다.[127] 18세기에는 샤모니의 네 남성이 몽블랑 정상에 거의 도달했지만 고산병과 눈맹으로 인해 실패했다.[128]

16세기 콘라드 게스너는 산을 연구하기 위해 산에 오른 최초의 자연주의자였으며, 산에서 "주님의 극장"을 발견했다고 기록했다.[129] 19세기가 되자 더 많은 자연주의자들이 높은 봉우리를 탐험하고, 연구하고, 정복하기 위해 알프스로 왔다.[130] 얼음과 눈의 지역을 처음 탐험한 두 사람은 페닌 알프스(Pennine Alps)의 호라스 베네딕트 드 소쉬르와[131] Disentis의 베네딕트 수도사 플라시두스 아 스페샤였다.[130] 제네바 출신인 소쉬르는 어린 시절부터 산에 매료되었고, 자연주의자가 되기 위해 법률 경력을 버리고 베르네스 오버란트, 사보이, 피에몬테, 발레를 여러 해 동안 여행하며 빙하와 지질학을 연구했으며, 암석 융기 이론의 초기 지지자가 되었다.[132] 소쉬르는 1787년 몽블랑 세 번째 등반에 참여했고, 오늘날 알프스의 모든 봉우리는 등반되었다.[2]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 - 카스파르 다비트 프리드리히


알브레히트 폰 할러는 1732년 발표한 시 ''알프스(Die Alpen)''에서 산악 지대를 신화적인 순수함의 장소로 묘사했다.[133] 장 자크 루소는 1761년 발표한 소설 ''신 엘로이즈''에서 알프스를 매력과 아름다움의 장소로 제시했다. 이후 낭만주의 초기 대표 인물인 요한 볼프강 폰 괴테와 J. M. W. 터너 등이 알프스 풍경에 매료되었다.[134] 윌리엄 워즈워스는 1790년 알프스를 방문하여 자신의 경험을 ''서곡 (The Prelude)'' (1799)에 기록했다. 프리드리히 실러는 14세기 초 합스부르크 제국으로부터의 스위스 독립 투쟁을 다룬 희곡 ''빌헬름 텔'' (1804)에서 전설적인 스위스 저격수 빌헬름 텔의 이야기를 그렸다. 나폴레옹 전쟁 이후, 알프스 지역 국가들은 시인, 예술가, 음악가들의 유입을 경험했고,[135] 방문객들은 거대한 자연의 숭고미를 경험하기 위해 찾아왔다.[136]

1816년, 조지 고든 바이런, 퍼시 비시 셸리와 그의 아내 메리 셸리는 제네바를 방문했고, 세 사람 모두 알프스 풍경에서 영감을 받아 글을 썼다.[135] 이 방문 동안 셸리는 "몽블랑"이라는 시를, 바이런은 "쉴롱의 죄수"와 극시 ''만프레드''를 썼다. 메리 셸리는 압도적인 풍경을 경험하고 제네바 호숫가 별장에서 폭풍우를 겪은 후 소설 ''프랑켄슈타인''의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샤모니를 여행했을 때, 몽텐베르 근처 호텔 드 롱드르 방명록에 "Atheos"라고 서명했던 셸리에 반항하며 "이 기적의 계곡에서 누가 무신론자가 될 수 있겠는가?"라고 외쳤다.[137][138]

19세기 중반, 과학자들이 알프스의 지질학과 생태학을 연구하기 위해 대거 몰려들기 시작했다.[139] 19세기 초부터 알프스 관광과 등산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초기 "알피니즘의 황금기"에는 과학 활동과 스포츠가 혼합되었는데, 물리학자 존 틴달의 경우가 그러하며, 에드워드 윔퍼의 마터호른 첫 등정이 그 절정이었다. 후기 "알피니즘의 은세기"에는 산악 스포츠와 등반에 초점이 맞춰졌다. 알파인 클럽 초대 회장인 존 볼은 파울 그로만, 미하엘 이너코플러, 안젤로 디보나와 같은 등반가들의 중심지였던 돌로미티의 발견자로 여겨진다.[140][141][142]

나치는 알타우스제의 소금 광산에 약탈한 예술품들을 숨겼는데, 그중에는 상당한 손상을 입은 겐트 제단화도 있었다.


1932년 가을, 아돌프 히틀러는 베르크호프 산장을 요새화된 요새로 바꾸는 일련의 개조 공사 중 첫 번째 공사를 의뢰했다. 이 저택은 뮌헨 건축가이자 나치당원인 요제프 노이마이어가 설계했으며, 두 개의 작은 침실과 욕실을 갖추고 있었다. 루돌프 헤스와 같은 손님들은 텐트나 차고 위에서 잠을 잤다.[143]

알프스 산맥, 아돌프 히틀러, 그리고 있을 법하지 않은 강력한 조직들은 범죄 소설의 소재가 되었다.[144] 알프스 산맥은 이탈리아에 대한 지리적 장벽 역할을 했으며, 수세기 동안 "그린 라인"으로 알려진 확립된 밀수 루트가 알프스 산맥에 퍼져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전쟁범죄자로 기소될 것을 두려워한 친위대 대원들은 난민들 속으로 사라졌다.[145] 엄청난 수의 난민들이 알프스 산맥을 넘어 이탈리아로 불법 입국했다.[146] 인신매매범들은 알프스를 넘는 것이 트램프선이나 고무보트를 타고 리비아 트리폴리에서 람페두사까지 355km의 해상 여정보다 위험하거나 치명적이지 않다고 주장하지만, 현실은 알프스를 넘는 과정에서 불법체류자, 비자 연장자, 위장 관광객, 망명 신청자 등 많은 밀입국자들이 목숨을 잃는다. 알프스에서 비극적인 죽음을 맞는 밀입국자의 정확한 수는 추정만 가능하다.[147]

자크 루이 다비드의 『알프스를 넘는 나폴레옹』(1801년)


17세기 초 삼십년 전쟁으로 신성 로마 제국은 사실상 붕괴되었고, 이탈리아와 스위스는 신성 로마 제국으로부터 분리되었다. 프랑스 혁명은 이 지역의 정치 상황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1798년 스위스는 프랑스에 항복하고 헬베티아 공화국이 되어 프랑스의 위성국이 되었다. 1800년 5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이탈리아 원정을 위해 제네바를 출발하여 그랑 생 베르나르 고개를 넘어 북이탈리아로 진출했다. 이때 나폴레옹은 스스로를 한니발에 비유하며 고무했다고 한다. 이 알프스 횡단 당시 나폴레옹의 위풍당당한 모습(백마를 탄 모습)을 궁정화가 자크 루이 다비드가 "알프스를 넘는 보나파르트"로 그렸다. 이로써 북이탈리아도 프랑스의 손에 떨어졌고, 1805년 프레스부르크 조약에 의해 오스트리아도 티롤 등 알프스의 주요 부분을 프랑스에 할양하게 되었다. 그러나 나폴레옹 몰락 후 1815년 빈 회의에 의해 알프스의 국경선은 기본적으로 전쟁 이전의 경계로 돌아갔다. 단, 리히텐슈타인 공국은 독립했고, 베네토와 롬바르디아는 오스트리아령이 되었으며, 스위스 각 주에서 나폴레옹 전쟁 중에 독립한 새로운 주는 그대로 연방 가맹을 인정받았다.

근세 후기부터 알프스 산맥의 각 고봉에 도전하는 등산가가 나타났다. 1760년 제네바 대학교 교수였던 오라스 베네딕 드 소슈르가 당시 미답봉이었던 몽블랑 초등정에 20타러의 현상금을 건 것이 근대 등산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소슈르 자신은 1785년에 등정에 도전했으나 실패했고, 결국 다음 해인 1786년에 샤모니의 의사 미셸 파카르와 포터 자크 발마에 의해 몽블랑 등정이 이루어졌다.[176] 이후에도 소슈르는 연구를 목적으로 알프스 고봉에 계속 올랐다. 루이 아가시 등도 연구 목적으로 등산을 했다.

19세기 중반에 들어서면서 알프스 주변 국경선은 다시 크게 변동한다. 1847년 분리 동맹 전쟁으로 스위스는 국가 연합에서 연방 국가가 되었고, 1859년에는 사르데냐 왕국이 오스트리아를 격파하고 롬바르디아를 합병했다. 이때 1858년에 프랑스와 사르데냐가 체결한 플롬비에르 밀약의 재이행에 따라 레만 호 남안의 사보이 지방이 프랑스에 할양되었다. 사르데냐는 1860년이탈리아 왕국이 된다. 1866년에는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으로 베네토 지방을 획득했지만, 여전히 두 국가 사이에는 남티롤 등을 둘러싼 분쟁이 남아 있었다. 1870년에는 프로이센 왕국이 바이에른 왕국 등 남독일 여러 주를 흡수하는 형태로 독일 제국이 성립하여, 동알프스 북쪽 기슭은 독일령이 되고, 알프스 남쪽 기슭은 거의 이탈리아령이 되었다.

19세기 중반, 스포츠 등산이 시작된다. 1854년 영국인 윌리스가 베터호른 등정에 성공했고,[177] 1857년에는 영국에서 영국산악회(알파인 클럽)가 발족한다. 1865년 에드워드 윔퍼에 의해 마터호른이 등정되었고, 이 시기에 스포츠로서의 등산이 알프스를 무대로 성립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해체되었고, 이탈리아는 남티롤을 얻었으며, 알프스 남동쪽 끝은 유고슬라비아 왕국령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1938년 앙슐루스와 1940년 프랑스 패배로 일시적으로 대부분이 추축국이 되는 가운데, 스위스는 앙리 기상의 지휘하에 알프스를 요새·방어선으로 삼아 철저한 방어 태세를 갖추고 종전까지 중립을 지켰다. 냉전 종식 후, 1991년 10일 전쟁으로 슬로베니아 공화국이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하면서 알프스의 현재 영역이 확정되었다.

7. 문화

알프스 지역은 다문화적이며 언어적으로 다양하다. 슬라브 알프스 지역에서만 19개의 방언이 확인되었다. 프랑스, 스위스, 이탈리아 알프스의 아오스타 계곡에서 사용되는 로망스어 방언 중 일부는 아르피탄어에서 유래한 반면, 서부 산맥의 남부 지역은 오크어와 관련이 있다. 게르만 방언은 게르만 부족 언어에서 유래했다.[150] 스위스 남동부 인구의 2%가 사용하는 로망슈어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고대 레토로망스어이며, 고대 켈트어와 아마도 에트루리아어의 잔재가 남아 있다.[150]

알프스 문화의 상당 부분은 중세 시대 이후로 변하지 않았다. 산악 계곡과 고산 마을에서 생존을 보장하는 기술이 주요 산업이 되면서 목공, 목각, 제빵, 제과, 치즈 제조 등의 강력한 전통이 형성되었다.[151]

농업은 수 세기 동안 전통적인 직업이었지만, 20세기에 관광업이 등장하면서 그 중요성이 감소했다. 알프스의 가파르고 험준한 지형 때문에 방목지와 목초지는 제한적이다. 6월 중순이 되면 소들은 눈선 근처의 가장 높은 목초지로 이동하며, 목동들은 고지대에서 여름 동안 돌집이나 나무 창고에 머물며 소들을 지킨다.[2] 마을 사람들은 소들이 목초지로 이동하는 날과 9월 중순에 돌아오는 날을 축하한다. 알마브트리프(Almabtrieb), 알파브추크(Alpabzug), 알파파르트(Alpabfahrt), 데잘프(Désalpes)("알프스에서 내려오다")는 소들에게 화환과 거대한 소 방울을 장식하고 농부들은 전통 의상을 입는 것으로 축하한다.[2]

여름에는 소들을 고산 초원으로 옮겨 방목한다. 이 사진은 사보이에서 촬영된 것으로, 여기에 보이는 작은 여름 마을이 사용된다.


치즈 제조는 대부분의 알프스 국가에서 오래된 전통이다. 스위스 엠멘탈의 치즈 한 덩이는 최대 45kg에 달하며, 사보이의 보포르 치즈는 최대 70kg에 달한다. 소 주인들은 전통적으로 치즈 제조업자로부터 고산 지대에서 여름 동안 소의 우유 비율에 해당하는 일정량의 치즈를 받는다. 건초 제조는 산악 마을의 농업 활동이며, 최근 몇 년 동안 기계화가 어느 정도 진행되었지만, 경사가 매우 가파르기 때문에 낫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건초는 일반적으로 일년에 두 번, 종종 축제일에 수확한다.[2]

고산 마을의 사람들은 혹독한 겨울을 견딜 수 있도록 중세 디자인을 따른 집에서 산다. 부엌은 거실(난로로 난방하는 집의 구역인 ''슈투베''라고 함)과 분리되어 있으며, 2층 침실은 상승하는 열기의 혜택을 받는다. 전형적인 스위스 샬레는 베르네 오버란트에서 유래했다. 샬레는 종종 남쪽이나 내리막을 향하고 있으며, 단단한 나무로 지어지고, 쌓인 눈이 쉽게 미끄러져 내려갈 수 있도록 가파른 박공 지붕을 갖추고 있다. 위층으로 이어지는 계단은 때때로 외부에 설치되며, 발코니가 둘러싸여 있는 경우도 있다.[2][152]

오스트리아에서 양을 치는 모습


음식은 부엌에서 슈투베로 가져와 식탁에 놓는다. 퐁듀처럼 각자가 찍어 먹을 수 있도록 냄비를 테이블 중앙에 놓는 공동 식사도 있다. 다른 식사는 여전히 전통적으로 조각된 나무 접시에 제공된다. 가구는 전통적으로 정교하게 조각되었으며, 많은 알프스 국가에서 목공 기술은 대대로 이어져 내려옵니다.

오트모리엔느(사보이)에서 건설 중인 알프스 샬레. 두꺼운 편마암(4~7cm) 조각을 사용하는 것은 바누아즈-그랑 파라디 국립공원에 인접한 지역의 엄격한 건축 규정에 따른 것이다.


지붕은 전통적으로 편암, 편마암 또는 점판암과 같은 알프스 암석으로 건설된다.[153] 이러한 샬레는 일반적으로 사보이의 모리엔느 계곡과 같이 계곡의 고지대에서 발견되며, 추운 달 동안 눈의 양이 중요합니다. 지붕의 경사는 40%를 초과할 수 없어 눈이 위에 남아 추위로부터 단열 역할을 한다.[154] 숲이 널리 퍼져 있는 저지대에서는 전통적으로 나무 타일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노르웨이 가문비나무로 만들어지며, "타바용(tavaillon)"이라고 한다.

알프스의 독일어권 지역(오스트리아, 바이에른, 남티롤, 리히텐슈타인, 스위스)과 슬로베니아에도 강력한 알프스 민속 문화 전통이 있다. 알프스 지역 주민들은 오래된 전통을 소중히 보존하고 있지만, 방문객에게는 잘 드러나지 않는다. 많은 사람들이 알프스 민속 문화를 계승하는 문화 협회 회원이다. 문화 행사에서는 전통 민속 의상(독일어 ''트라흐트'')을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 남성은 레더호젠, 여성은 디른들을 착용한다. 방문객은 공공 폴크스페스트에서 알프스의 풍부한 관습을 엿볼 수 있다. 대규모 행사에서 민속 문화가 적게 등장하더라도 모든 참가자는 열정적으로 참여한다. 봄부터 가을까지 시골 지역의 주말을 채우는 많은 박람회, 와인 축제, 소방 축제에서 지역 주민들이 전통 문화를 축하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알프스 축제는 국가마다 다릅니다. 자주 알펜호른 연주, 슈플라틀러 춤, 레슬링 행진, 양궁과 같은 스포츠, 그리고 발푸르기스의 밤과 성 요한 축제의 불을 밝히는 것과 같은 이교도적 뿌리를 가진 전통이 포함된다. 많은 지역에서는 파슈나흐트를 사순절 전 몇 주 동안 축하한다. 민속 의상은 대부분의 결혼식과 축제에서 계속해서 착용된다.[155][156]

알프(Alp)는 여름에만 이용하는 고지대 목초지를 가리킨다. 여기에는 오두막과 작은 예배당(티치노의 알프 바르두게)이 여러 개 있는 경우가 많다.


알브레히트 폰 할러(Albrecht von Haller)의 1732년 발표 시 ''알프스(Die Alpen)''는 산악 지대를 신화적인 순수함의 장소로 묘사했다.[133] 장 자크 루소(Jean-Jacques Rousseau)는 1761년 발표한 소설 ''신 엘로이즈 (Julie, or the New Heloise)''에서 알프스를 매력과 아름다움의 장소로 제시했다. 이후 낭만주의 초기의 대표적인 인물인 요한 볼프강 폰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와 J. M. W. 터너(J. M. W. Turner) 등이 알프스의 풍경에 매료되었다.[134] 윌리엄 워즈워스(William Wordsworth)는 1790년 이 지역을 방문하여 자신의 경험을 ''서곡 (The Prelude)'' (1799)에 기록했다. 실러(Schiller)는 나중에 14세기 초 합스부르크 제국으로부터의 스위스 독립 투쟁의 일환으로 전설적인 스위스 저격수 빌헬름 텔(William Tell)의 이야기를 그린 희곡 ''빌헬름 텔 (William Tell)'' (1804)을 썼다. 나폴레옹 전쟁이 끝나자 알프스 지역 국가들은 시인, 예술가, 음악가들의 유입을 경험하기 시작했고,[135] 방문객들은 거대한 자연의 숭고미를 경험하기 위해 찾아왔다.[136]

1816년, 조지 고든 바이런(Lord Byron), 퍼시 비시 셸리(Percy Bysshe Shelley)와 그의 아내 메리 셸리(Mary Shelley)는 제네바를 방문했고, 세 사람 모두 그 풍경에서 영감을 받아 글을 썼다.[135] 이 방문 동안 셸리는 "몽블랑 (Mont Blanc)"이라는 시를, 바이런은 "쉴롱의 죄수 (The Prisoner of Chillon)"와 극적인 시 ''만프레드 (Manfred)''를 썼고, 압도적인 풍경을 경험한 메리 셸리는 제네바 호숫가에 있는 자신의 별장에서 폭풍우 속에서 소설 ''프랑켄슈타인 (Frankenstein)''의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Samuel Taylor Coleridge)가 샤모니를 여행했을 때, 몽텐베르(Montenvers) 근처 호텔 드 롱드르(Hotel de Londres) 방명록에 "Atheos"라고 서명했던 셸리에 반항하며 그는 "이 기적의 계곡에서 누가, 누가 무신론자가 될 수 있겠는가?"라고 외쳤다.[137][138]

19세기 중반이 되자 과학자들이 이 지역의 지질학과 생태학을 연구하기 위해 대거 몰려들기 시작했다.[139]

19세기 초부터 알프스의 관광과 등산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초기 "알피니즘의 황금기"에는 과학 활동과 스포츠가 혼합되었는데, 예를 들어 물리학자 존 틴달(John Tyndall)의 경우가 그러하며, 에드워드 윔퍼(Edward Whymper)가 마터호른(Matterhorn)을 처음으로 등정한 것이 그 절정이었다. 후기 "알피니즘의 은세기"에는 산악 스포츠와 등반에 초점이 맞춰졌다. 알파인 클럽의 초대 회장인 존 볼은 수십 년 동안 파울 그로만, 미하엘 이너코플러, 안젤로 디보나와 같은 등반가들의 중심지였던 돌로미티(Dolomites)의 발견자로 여겨진다.[140][141][142]

알프스 산맥 내에서 가장 큰 도시는 프랑스그르노블이다. 10만 명이 넘는 주민이 거주하는 알프스 산맥 내 다른 중요한 대도시로는 티롤 지역에 있는 볼차노/보젠(이탈리아), 트렌토(이탈리아), 인스브루크(오스트리아)가 있다. 알프스 산맥 외부의 대도시로는 밀라노, 베로나, 토리노(이탈리아), 뮌헨(독일), 그라츠, , 잘츠부르크(오스트리아), 류블랴나, 마리보르, 크란(슬로베니아), 취리히, 제네바(스위스), 니스리옹(프랑스)이 있다.

알프스 산맥에 있는 10만 명 이상의 주민이 거주하는 도시는 다음과 같다.

순위도시인구국가지역
1
그르노블
162,780프랑스
오베르뉴론알프
2
인스브루크
132,236오스트리아
티롤
3
트렌토
117,417이탈리아
트렌티노알토 아디제
4
볼차노/보젠
106,951이탈리아-- 트렌티노알토 아디제


8. 관광

알프스 산맥은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관광지 중 하나이며, 바이에른주의 오버스트도르프, 오스트리아의 잘바흐-힌터글렘, 스위스다보스, 프랑스샤모니, 이탈리아코르티나담페초와 같은 많은 리조트에서 연간 100만 명 이상의 방문객을 기록하고 있다.[157] 연간 1억 2천만 명이 넘는 방문객으로 관광은 알프스 경제의 핵심 요소이며, 대부분은 동계 스포츠에서 비롯되지만, 여름 방문객 또한 중요한 부분이다.[157]

바이에른주 오버알가이우에 있는 볼스터랑 스키 리조트 전경


이탈리아 베네토주 코르티나담페초 스키 리조트


1966년 라우버호른을 질주하는 카를 슈란츠(Karl Schranz)


관광 산업은 19세기 초 외국인들이 알프스를 방문하여 산기슭으로 여행을 가서 경치를 즐기고 스파 리조트에 머물면서 시작되었다. 벨 에포크 시대에 대형 호텔이 건설되었고, 20세기 초에 건설된 톱니바퀴 철도는 관광객들을 더 높은 고도로 데려다 주었으며, 융프라우요흐에 이르는 융프라우 철도아이거의 터널을 통과한 후 영구 설선(eternal snow-line)을 훨씬 넘어 종착역에 도달했다. 이 기간 동안 동계 스포츠가 서서히 도입되었다. 1882년 생모리츠에서 최초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가 열렸고, 다운힐 스키는 20세기 초 영국 방문객들에게 인기 있는 스포츠가 되었다.[157] 그린델발트 위에 1908년 최초의 스키 리프트가 설치되었다.[158]

20세기 전반기에 알프스 산맥의 장소에서 세 번의 동계 올림픽이 개최되었다.

개최년도개최지
1924년프랑스 샤모니
1928년스위스 생모리츠
1936년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제2차 세계 대전 중 동계 올림픽은 취소되었지만, 그 후 다음과 같이 동계 올림픽이 개최되었다.

개최년도개최지
1948년스위스 생모리츠
1956년이탈리아 코르티나담페초
1964년, 1976년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1968년프랑스 그르노블
1992년프랑스 알베르빌
2006년이탈리아 토리노

[159] 1930년, 라우버호른 위에서 "라우버호른 레넨"(Lauberhorn Rennen, 라우버호른 경주)이 처음으로 열렸다.[160] 마찬가지로 힘든 하넨캄 경주도 같은 해 오스트리아 키츠뷔엘에서 처음 열렸다.[161] 두 경주는 매년 1월 연속 주말에 계속 개최되고 있다. 라우버호른은 4.5km의 힘든 다운힐 경주이며, 출발 게이트를 떠난 지 몇 초 만에 130km/h에 달하는 선수들에게 위험을 초래한다.[162]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시기에 스위스와 오스트리아 마을에는 동계 방문객을 수용하기 위해 스키 리프트가 건설되었고, 여름 관광도 계속 중요했다. 20세기 중반까지 다운힐 스키의 인기가 크게 증가했고, 1970년대에는 프랑스에 레 메뉘르와 같이 거의 스키 전용으로 새로운 마을이 여러 개 건설되었다. 그때까지 오스트리아와 스위스는 전통적이고 더 인기 있는 동계 스포츠 목적지였으며, 20세기 말과 21세기 초에 프랑스, 이탈리아, 티롤이 동계 방문객 증가를 경험하기 시작했다.[157]

19세기 중반부터 알프스 산맥은 피서지로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관광산업이 크게 발전했다. 피서 외에도 19세기에 들어서면서 빙하와 폭포, 험준한 산악 등 혹독한 자연의 광경이 유럽에서 아름답게 느껴지게 되면서, 이러한 풍경을 많이 가진 알프스는 관광지로 각광을 받게 되었다.[179] 일반적인 관광 외에도 공기 요양 등 의학적인 측면에서도 주목받아 다보스를 비롯한 각지에 요양원이 건설되었다.[180]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스키가 이 지역에 도입되었고, 1930년대에 시설과 장비의 개량이 이루어지면서 대중화가 진행되어 각지에 스키장이 개설되었다. 현재는 여름에는 서늘한 기후와 아름다운 자연을 찾는 관광객이 방문하고, 겨울에는 스키 등 겨울 스포츠를 즐기는 많은 관광객을 모으는 거대 관광지가 되어, 관광산업이 이 지역의 주요 산업 중 하나가 되었다. 과거에는 여름이 가장 관광객이 많은 시즌이었지만, 최근에는 스키 관광객이 증가하는 겨울이 관광 수입이 더 높아지고 있다.[181] 스키 종목 중 활강 경기의 다른 이름인 "알파인 경기"(Alpine(s))의 이름은 알프스에 유래한다.

알프스 산맥의 산록 및 산중의 도시는 종종 동계 올림픽의 개최지가 되고 있다. 2024년 현재 개최가 결정된 27회 중 12회가 알프스 산맥에서 개최되었는데, 이는 이 지역의 겨울 스포츠의 활발함과 시설의 충실함을 보여준다.

횟수년도개최지
제1회1924년프랑스 샤모니
제2회1928년스위스 생모리츠
제4회1936년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제5회1948년스위스 생모리츠
제7회1956년이탈리아 코르티나 담페초
제9회1964년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제10회1968년프랑스 그르노블
제12회1976년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제16회1992년프랑스 알베르빌
제20회2006년이탈리아 토리노
제25회2026년이탈리아 밀라노-코르티나
제26회2030년프랑스 알프스



특히 2030년 대회는 프랑스 알프스 지역 전역이 개최지가 된다.

9. 교통

알프스는 전쟁과 상업, 순례자, 학생, 관광객들이 이용해 왔다. 도로, 철도 또는 도보를 이용한 이동 경로는 '고갯길'이라고 불리며, 보통 평야와 구릉지에서 계곡으로 이어지는 산의 낮은 지대로 구성된다.

중세 시대에는 주요 고갯길 정상에 수도회에서 수도원을 설립했다.[12] 주요 고갯길로는 이제랑 고개(가장 높은 곳), 콜 아넬, 브레너 고개, 몽세니 고개, 그랑 생 베르나르 고개, 텐드 고개, 고트하르트 고개, 젬머링 고개, 심플롱 고개, 스텔비오 고개 등이 있다.

이탈리아-오스트리아 국경을 넘는 브레너 고개는 외츠탈 알프스와 질러탈 알프스를 분리하며 14세기부터 무역로로 이용되었다. 알프스 고갯길 중 가장 낮은 곳인 985m 높이의 젬머링 고개는 하부 오스트리아에서 슈타이어마르크로 이어진다. 12세기에 수도원이 세워진 이후로 꾸준히 이용되었으며, 19세기 중반에는 고갯길을 따라 1.6km 길이의 터널이 있는 철도가 건설되었다. 정상이 2469m인 그랑 생 베르나르 고개는 알프스에서 가장 높은 고갯길 중 하나이며, 몽블랑 측면을 따라 페나인 알프스 동쪽의 이탈리아-스위스 국경을 넘는다. 이 고갯길은 1800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4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넘었다.[23]

몽세니 고개는 서유럽과 이탈리아 사이의 주요 상업 및 군사 도로였다. 이 고갯길은 콘스탄티누스 1세와 짧은 펩핀, 샤를마뉴에서 하인리히 4세, 나폴레옹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최근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게비어크스예거까지 많은 군대가 이탈리아 반도로 가는 통로로 사용했다.[24] 현재 이 고갯길은 프레쥐스 고속도로 터널(1980년 개통)과 철도 터널(1871년 개통)로 대체되었다.[25]

고트하르트 고개는 중부 스위스에서 티치노로 이어진다. 1882년에 스위스 루체른과 이탈리아 밀라노를 연결하는 15km 길이의 생 고트하르트 철도 터널이 개통되었다. 98년 후에는 북쪽의 괴스체넨에 있는 A2 고속도로와 남쪽의 아이롤로를 연결하는 16.9km 길이의 고트하르트 도로터널이 철도 터널과 마찬가지로 개통되었다.[26] 2016년 6월 1일에는 세계에서 가장 긴 철도 터널인 고트하르트 베이스 터널이 개통되어 우리 주의 에르스트펠트와 티치노 주의 보디오를 57.1km 길이의 이중 터널로 연결했다.[27] 이 터널은 알프스를 평평한 경로로 가로지르는 최초의 터널이다.[28] 2016년 12월 11일부터 정기 철도 운행 시간표에 포함되어 바젤/루체른/취리히와 벨린쪼나/루가노/밀라노 사이의 표준 운행으로 매시간 운행되고 있다.[29]

알프스에서 가장 높은 고갯길은 사보이(프랑스)에 있는 이제랑 고개로 2770m이며, 그다음은 북부 이탈리아에 있는 2756m 높이의 스텔비오 고개이다. 이 도로는 1820년대에 건설되었다.[22]

스위스 니더리드(Niederried bei Interlaken) 근처 브리엔츠 호(Lake Brienz) 해안선을 따라 운행하는 중앙철도(Zentralbahn) 인터레기오 열차


알프스 지역에는 연간 600만 대의 차량이 이용하는 약 4200km의 도로가 있다.[2] 알프스에서는 기차 여행이 잘 정착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스위스와 같은 국가에서는 1000km2당 120km의 철로가 있다.[166] 유럽에서 가장 높은 철도의 대부분이 알프스에 위치해 있다. 2007년에는 기존의 뢰치베르크터널(Lötschberg Tunnel)보다 100년이나 더 늦게 개통된, 34.57km 길이의 새로운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Lötschberg Base Tunnel)이 개통되었다. 2016년 6월 1일에는 57.1km 길이의 고타르트 베이스 터널(Gotthard Base Tunnel)이 개통되어 19세기에 건설된 고타르트 터널(Gotthard Tunnel)을 우회하여 알프스를 통과하는 최초의 평지 노선을 실현하였다.[167]

일부 고산 마을은 접근성이 떨어지거나 의도적으로 자동차 통행이 금지되어 있다. 스위스의 벵겐(Wengen)과 체르마트(Zermatt)는 케이블카나 톱니바퀴 철도로만 접근할 수 있다. 프랑스의 아보리아즈(Avoriaz)는 자동차 없는 마을이며, 다른 알프스 마을들도 취약한 알프스 지형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자동차 없는 지역이 되거나 자동차 수를 제한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168]

알프스의 저지대와 대도시는 고속도로와 주요 도로가 잘 연결되어 있지만, 유럽에서 가장 높은 고갯길과 지방 도로는 가파른 경사 때문에 여름에도 위험할 수 있다. 많은 고갯길은 겨울에 폐쇄된다. 알프스 주변(그리고 일부 내부)에 있는 여러 공항과 모든 인접 국가에서 오는 장거리 철도 연결망은 많은 여행객에게 쉬운 접근성을 제공한다.[2]

푸네스(Furnes)], 돌로미티, 이탈리아
--

알프스 산맥은 몽블랑(Mont Blanc)을 비롯하여 마터호른(Matterhorn), 융프라우(Jungfrau) 등의 고봉을 가지고 있으며, 최고봉은 빙하로 덮여 있어 교통의 난관이다. 그러나 이탈리아에서 유럽 각 지역으로 통하는 요충지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쟁이나 무역을 위한 이동 경로가 되었으며, 중세에는 순례자, 대학생, 근세에는 각지를 관광하기 위한 여행객 등 많은 사람들이 알프스를 넘었다.

고대부터 중세에 걸쳐 주로 이용되었던 고개를 서쪽부터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 짐플론 고개(Simplon Pass, 쌈플론 고개라고도 불린다)
  • 제네바(Genève) 산맥 넘는 길
  • 그랑 생 베르나르 고개(Grand St-Bernard Pass)
  • 슈플루겐 고개(Splügen Pass)
  • 세프티머 고개(Septimer Pass)
  • 브레너 고개(Brenner Pass)
  • 라트슈타터 타우어른 고개(Radstädter Tauern Pass)
  • 졸크샤르테 고개(Sölkpass)
  • 프로켄 고개(Brockengipfel)
  • 폰테바 고개(Pontebba Pass, 다른 이름은 자이프니츠 고개(Seifnitz Pass))


역사를 통해 가장 많이 이용된 고개는 제네바 산맥 넘는 길과 브레너 고개이지만, 각 시대에 따라 선호되는 고개는 약간씩 다르다. 13세기에 산 고트하르트 고개(Sankt Gotthard Pass)가 개통됨으로써, 그 기슭에 해당하는 우리 주(Uri), 슈비츠 주(Schwyz), 운터발덴 주(Unterwalden)의 3주가 힘을 키워 이 지역을 근거지로 삼았던 합스부르크가(Habsburg)의 군대를 무찌르고 스위스 연방을 결성하는 등 알프스의 교통로는 큰 이익을 가져다주었고, 때로는 쟁탈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또한 곳곳에 산재하는 빙하호는 험준한 육로를 보완하는 최적의 교통로가 되었으며, 스위스 연방도 루체른 호수(Luzernsee)의 호상 교통을 또 하나의 기둥으로 삼아 확장을 계속했다. 그러나 각지의 고개를 넘는 것은 위험을 수반했고, 그랑 생 베르나르 고개에는 구호소를 겸한 수도원이 건설되어, 이 수도원에서 18세기경부터 여행객의 구호 활동을 하던 견종이, 후에 세인트 버나드(Saint Bernard)견으로 전 세계에 퍼져나갔다.

18세기에 들어서면서 각지의 고개에서 마차가 통행할 수 있도록 고개 개량이 이루어졌고, 산 고트하르트 고개에서는 1775년[182], 짐플론 고개에서는 1805년에 마차 통행이 가능하게 되었다[183].

이들 고개 중 일부 아래에는 근대에 이르러 터널이 굴착되어 각국의 국경을 넘는 철도와 자동차 도로가 설치되었다. 알프스를 처음으로 넘는 철도가 건설된 것은 알프스의 거의 동쪽 끝에 해당하는 제메링 고개(Semmering Pass)로, 1854년이었다. 이 노선은 제메링 철도(Semmering Railway)라고 불리며, 오스트리아 제국(Österreichisches Kaiserreich)의 수도 (Wien)과 제국 유일의 대규모 항만인 트리에스테(Triest)를 잇는 노선의 일부였다. 이 노선은 오스트리아 남부 철도(Südbahn)에서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Österreichische Bundesbahnen)로 이어지고 현재도 오스트리아와 아드리아 해(Adriatisches Meer)를 잇는 대간선이 되고 있지만, 제메링 철도 부분은 개업 당시의 모습 그대로 남아 있으며, 1998년에는 문화유산으로서 세계유산에 등록되었다. 또한 1867년에는 옛날부터 항상 알프스 횡단의 주요 루트였던 브레너 고개에 브레너 터널(Brenner-Basistunnel)이 개통되어[184], 남북 티롤의 교통이 크게 개선되었다.

19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스위스 국내의 철도 건설이 활발해지면서 알프스 중부 및 서부를 넘는 철도 터널도 구상되기 시작했다. 1871년에는 프랑스와 이탈리아를 잇는 프레쥐스 철도 터널(Tunnel ferroviaire du Fréjus)이 개통된다. 이것은 몽센느 고개(Col de Montgenèvre)를 대체하는 것으로, 몽센느 고개에서는 약간 남서쪽으로 치우쳐 있지만, 프랑스에서는 몽센느 철도 터널이라고도 불린다. 이 철도의 개통으로 토리노(Torino)와 리옹(Lyon)이 연결되게 되었다. 1882년에는 고트하르트 고개(Gotthard Pass) 아래에 고트하르트 철도 터널(Gotthard-Basistunnel)이 개통되어 스위스 알프스 중앙부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최초의 철도가 개통되었다. 1906년에는 스위스의 브리크(Brig)와 이탈리아의 도모도솔라(Domodossola)를 잇는 짐플론 터널(Simplon-Tunnel)이 개통되어 로잔(Lausanne) 등 스위스 서부와 밀라노(Milano)가 연결되게 된다. 이 짐플론 터널은 1982년 일본에서 대심수 터널(大清水トンネル)이 개통될 때까지 76년간 세계 최장의 철도 터널이었다. 1911년에는 베른(Bern)에서 짐플론 터널까지의 경로를 단축하기 위해 베른 주(Kanton Bern)와 발레 주(Kanton Wallis)를 잇는 레치베르크 터널(Lötschberg-Basistunnel)이 개통되어, 여기에 알프스의 남북을 잇는 철도망이 거의 완성되었다[185]. 또한 간선 철도망 외에도 1912년에 개통한 융프라우 철도(Jungfraubahn) 등 관광용 산악 철도도 주요 고봉에 정비되었다. 이들 철도의 대부분은 현재도 운행하고 있으며, 체르마트(Zermatt)와 생모리츠(St. Moritz)를 잇는 빙하 특급(Glacier-Express)이나, 쿠어(Chur)에서 생모리츠를 거쳐 이탈리아의 티라노(Tirano)까지를 잇는 베르니나 특급(Bernina Express)은 관광 열차로 유명하여 세계 각국에서 많은 관광객이 방문한다. 융프라우 철도의 종착역인 융프라우요흐 역(Jungfraujoch)은 유럽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역이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자동차 이용의 급증에 따라 알프스를 남북으로 잇는 도로 터널 건설이 요구되기 시작하여, 1965년에는 이탈리아의 아오스타(Aosta)와 프랑스의 샤모니(Chamonix)를 잇는 몽블랑 터널(Tunnel du Mont-Blanc)이 개통되었고, 1980년에는 고트하르트 도로 터널(Gotthard-Strassentunnel)이 개통되었다. 그러나 이 무렵부터 알프스를 횡단하는 자동차, 특히 트럭의 급증으로 알프스의 식생과 자연 환경에 중대한 영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를 막기 위해 스위스 정부는 유럽 연합(Europäische Union)에 트럭 수송 제한을 요구했다. 이 요구는 통행료 인상이라는 형태로 결론이 났지만, 이 과정에서 스위스 정부는 모달 시프트(Modal Shift)를 추진하여 자동차 수송을 완화하기 위해 알프스를 횡단하는 새로운 고속 철도 터널 건설을 계획했다. 이 계획은 알프트란짓 계획(AlpTransit)이라고 불리며, 현재 있는 동쪽의 고트하르트 터널과 서쪽의 레치베르크 터널의 수백 미터 아래에 새로운 터널(기저 터널이라고 불림)을 건설하여 고속화하는 것이었다. 이 계획 중 레치베르크 기저 터널(Lötschberg-Basistunnel)은 2008년에 개통되었고[186], 고트하르트 기저 터널(Gotthard-Basistunnel)도 2016년 6월에 개통되었다[187]. 또한 비슷한 문제를 안고 있는 오스트리아 정부도 브레너 고개 아래에 브레너 기저 터널(Brenner-Basistunnel)을 건설하기로 결정하여 2015년 현재 건설 중이다[188]. 또한 이러한 사정으로, 특히 스위스에서는 카 트레인(Car train) 이용이 성행하고 있으며, 알프스 횡단 시 자주 이용된다.

주요 알프스 고갯길(높이순):

  • 이제랑 고개(Iseran Pass) (2770m)
  • 슈텔비오 고개(Stilfser Joch) (2758m)
  • 갈리비에 고개(Col du Galibier) (2642m)
  • 그랑 생 베르나르 고개(Col du Grand Saint Bernard) (2473m)
  • 보네 고개(Col du Bonnet) (2715m)
  • 쁘띠 생 베르나르 고개(Col du Petit Saint-Bernard) (2188m)
  • 몽수니 고개(Col du Mont Cenis) (2083m)
  • 로타레 고개(Col de la Lombarde) (2058m)
  • 크로아 드 페르 고개(Col de la Croix de Fer) (2067m)
  • 그랑동 고개(Col de la Grandon) (1924m)
  • 마들렌 고개(Col de la Madeleine) (2000m)
  • 텔레그라프 고개(Col du Télégraphe) (1566m)
  • 브레너 고개(Brennerpass) (1370m)
  • 프로켄 고개(Brockengipfel) (1357m)
  • 제메링 고개(Semmeringpass) (965m; 이 산맥의 거의 동쪽 끝)

참조

[1] 뉴스 Le Mont-Blanc passe de 4.810 mètres à 4.808,7 mètres http://www.bfmtv.com[...] 2023-05-24
[2] 백과사전 Alps http://search.credor[...] Helicon 2015-03-07
[3] 웹사이트 Víte, že jsou Alpy i v Maďarsku? Geografická zajímavost a tip na příjemný výlet https://svetobeznik.[...] 2022-02-21
[4] 웹사이트 The Alpine Convention https://www.alpconv.[...] Alpine Convention 2023-07-27
[5] 웹사이트 Ötzi the Iceman https://www.iceman.i[...] 2023-05-24
[6] 문서 2010
[7] 논문 The river Alpheus in Greek, Christian and Byzantine thought 2004
[8] 서적 Servii Grammatici qui feruntur in Vergilii carmina commentarii 2021-02-20
[9]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Etymonline.com 2012-04-18
[10] 웹사이트 Alp | Origin and meaning of alp by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 2018-12-16
[11] 학술지 Tectonic map and overall architecture of the Alpine orogen
[12] 문서 2000
[13] 문서 2001
[14] 문서 2010
[15] 문서 2000
[16] 문서 2006
[17] 웹사이트 Alpine Convention - the Convention - the Alpine Convention in a nutshell - the Alps - Home https://web.archive.[...] 2019-03-09
[18] 문서 2001
[19] 문서 Excluding the Piz Zupò and Piz Roseg located in the Bernina range, close to Piz Bernina.
[20] 웹사이트 Alps Definition, Map, & Facts https://www.britanni[...] 2019-02-04
[21] 웹사이트 Die Alpen: Hydrologie und Verkehrsübergänge (German) https://www.alpenpae[...] 2020-06-14
[22] 백과사전 Encyclopedia Online Academic Edition Encyclopædia Britannica 2012-08-06
[2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Great St Bernard pass https://archive.toda[...] 2007-08-08
[24] 뉴스 Ronce, le gardien silencieux du col du Mont-Cenis https://www.ledauphi[...] 2021-11-28
[25] 서적 Italian Railways David & Charles
[26] 지도 Swiss National Map
[27] graphical animation Wer hat die grösste Röhre? http://www.tagesanze[...] 2016-05-11
[28] graphical animation Was die Tunnelbauer im Gotthard antrafen http://www.tagesanze[...] 2016-05-11
[29] 웹사이트 Official Timetable https://web.archive.[...] Swiss Federal Office for Transport 2016-05-11
[30] 학술지 The 4000ers of the Alps: Official UIAA List http://www.club4000.[...] 1994-03
[31] 서적 The Geographical magazine: Volume 59 Geographical Press
[32] 문서 2001
[33] 웹사이트 4000 m Peaks of the Alps http://www.bielefeld[...] Bielefeldt.de 2012-08-09
[34] 문서 2011
[35] 문서 2001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Earth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웹사이트 SED | Earthquakes and the Alps http://www.seismo.et[...] 2019-02-02
[48] 웹사이트 The largest earthquakes in the Alps http://www.seismo.et[...] 2019-02-02
[49] 논문 Present-day uplift of the European Alps: Evaluating mechanisms and models of their relative contributions https://doi.org/10.1[...] 2019-03-01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논문 Hypsometric analysis to identify spatially variable glacial erosion 2011-07-13
[59] 논문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glacial erosion in the Rhône valley (Swiss Alps): Insights from numerical modeling https://hal-insu.arc[...] 2013-04-15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Mountains: Globally Important Eco-systems University of Oxford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백과사전 Lake Garda https://www.britanni[...] 2018-08-27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Ceben (1998)
[72] 서적 Ceben (1998)
[73] 서적 Viazzo (1980)
[74] 서적 Benniston (2011)
[75] 웹사이트 IPCC regional fact sheet - Mountains https://www.ipcc.ch/[...]
[76] 논문 100-year mass changes in the Swiss Alps linked to the Atlantic Multidecadal Oscillation http://doc.rero.ch/r[...] 2010-05-01
[77] 논문 Atlantic influence on spring snowfall over the Alps in the past 150 years 2013-01-01
[78] 논문 Observed shift towards earlier spring discharge in the main Alpine rivers 2015-01-15
[79] 논문 Recent waning snowpack in the Alps is unprecedented in the last six centuries 2023-02-01
[80] 서적 Reynolds (2012)
[81] 서적 Shoumatoff (2001)
[82] 서적 Beattie (2006)
[83] 서적 Körner (2003)
[84] 서적 Shoumatoff (2001)
[85] 서적 Beattie (2006)
[86] 서적 Shoumatoff (2001)
[87] 서적 Sharp (2002)
[88] 논문 High altitude biodiversity of the Alps and the Himalayas: ethnobotany, plant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perspective https://rd.springer.[...] 2012-01-01
[89] 서적 Gerrard (1990)
[90] 서적 Shoumatoff (2001)
[91] 서적 Shoumatoff (2001)
[92] 웹사이트 Rupicapra rupicapra http://www.ultimateu[...]
[93] 서적 Shoumatoff (2001)
[94] 서적 Shoumatoff (2001)
[95] 서적 Shoumatoff (2001)
[96] 서적 Shoumatoff (2001)
[97] 서적 Shoumatoff (2001)
[98] 서적 Shoumatoff (2001)
[99] 서적 Shoumatoff (2001)
[100] 서적 Reynolds (2012)
[101] 서적 Beattie (2006)
[102] 서적 Beattie (2006)
[103] 웹사이트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Sequence of the Tyrolean Iceman http://www.cell.com/[...] 2008-10-30
[104] 서적 Beattie (2006)
[105] 서적 Fleming (2000)
[106] 서적
[107] 서적 Iron Age Slaving and Enslavement in Northwest Europe Archaeopress Publishing Limited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서적
[112] 서적
[113] 백과사전 St. Maurice Robert Appleton Company 2013-03-06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The Alps: An Environmental History Polity Press
[118] 서적
[119] 서적 At War's Summi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0] 서적 Battlefield Emotions 1500-1800: Practices, Experience, Imagination Palgrave Macmillan UK
[121] 서적
[122] 서적
[123] 서적
[124] 서적
[125] 서적
[126] 서적
[127] 서적
[128] 서적
[129] 서적
[130] 서적
[131] 서적
[132] 서적
[133] 서적
[134] 서적 Goethe en Suisse et dans les Alpes: Voyages de 1775, 1779 et 1797
[135] 서적
[136] 서적
[137] 논문 Gods, Ghosts, and Shelley's 'Atheos' https://archive.toda[...]
[138] 서적
[139] 서적
[140] 학술지 Cliffhanger at the top of the world https://www.theguard[...] 2021-01-03
[141] 서적 1865: the Golden Age of Mountaineering
[142] 웹사이트 Die Besteigung der Berge - Die Dolomitgipfel werden erobert (German: The ascent of the mountains - the dolomite peaks are conquered) https://www.dolomyth[...] 2021-01-03
[143] 서적 Hitler at Home Yale University Press
[144] 서적 Nazis on the Run: How Hitler's Henchmen Fled Justice OUP Oxford
[145] 서적 Nazis on the Run: How Hitler's Henchmen Fled Justice OUP Oxford
[146] 서적 Nazis on the Run: How Hitler's Henchmen Fled Justice OUP Oxford
[147] 서적 The History of Migration in Europe: Perspectives from Economics, Politics and Sociology Taylor & Francis
[148] 서적 Chartes et. el.
[149] 서적 Chartes et. el.
[150] 서적 Shoumataff
[151] 서적 Shoumataff
[152] 서적 Shoumataff
[153] 서적 Shoumataff
[154] 웹사이트 Cahier d'architecture Haute Maurienne/Vanoise http://www.cauesavoi[...] 2014-03-15
[155] 서적 Shoumataff
[156] 서적 Österreich Marco Polo
[157] 웹사이트 What Role Do the Alps Play within World Tourism? http://alpsknowhow.c[...] 2012-08-09
[158] 서적 Beattie
[159] 웹사이트 21 Past Olympic Games http://www.olympic.o[...] 2012-08-13
[160] 웹사이트 Lauberhorn History http://www.lauberhor[...] 2012-08-14
[161] 웹사이트 Hahenkamm Races Kitzbuhel http://www.hahnenkam[...] 2012-08-13
[162] 웹사이트 Lauberhorn Downhill http://www.lauberhor[...] 2012-08-14
[163] 서적 The Alps - A system under pressure https://www.research[...] IUCN
[164] 웹사이트 Ski resorts of the Alps: the development, 'Marmota Maps' https://marmotamaps.[...] 2021-10-17
[165] 서적 Fleming
[166] 웹사이트 Rail http://www.swissworl[...] 2012-08-20
[167] 웹사이트 Welcome to the AlpTransit Portal https://www.alptrans[...] Swiss Federal Archives SFA 2016-06-03
[168] 서적 Hudson
[169] 서적 ヨーロッパの言語 岩波書店
[170] 문서 ヨーロッパとアジアの境にあるカフカース山脈のエルブルース (5,642 m) をヨーロッパ最高峰とする考え方もある
[171] 서적 事典現代のドイツ 大修館書店
[172] 웹사이트 Ore of the Alps UNESCO Global Geopark https://en.unesco.or[...] 2021-07-26
[173] 웹사이트 Ledro Alps and Judicaria Biosphere Reserve, Italy https://en.unesco.or[...] 2022-04
[174] 서적 ビジュアルシリーズ世界再発見4 イギリス・中央ヨーロッパ 同朋舎出版
[175] 서적 図説スイスの歴史 河出書房新社
[176] 서적 観光大国スイスの誕生 「辺境」から「崇高なる美の国」へ 平凡社新書 2013-07-12
[177] 백과사전 国民百科事典1 平凡社 1961-02-01
[178] 웹사이트 UNESCO - Alpine pasture season https://ich.unesco.o[...] 2024-01-05
[179] 서적 観光大国スイスの誕生 「辺境」から「崇高なる美の国」へ 平凡社新書 2013-07-12
[180] 서적 観光大国スイスの誕生 「辺境」から「崇高なる美の国」へ 平凡社新書 2013-07-12
[181] 서적 ビジュアルシリーズ世界再発見4 イギリス・中央ヨーロッパ 同朋舎出版 1992-05-20
[182] 서적 観光大国スイスの誕生 「辺境」から「崇高なる美の国」へ 平凡社新書 2013-07-12
[183] 서적 観光大国スイスの誕生 「辺境」から「崇高なる美の国」へ 平凡社新書 2013-07-12
[184] 서적 物語 スイスの歴史 中公新書 2000-07-25
[185] 서적 スイスを知るための60章 明石書店 2014
[186] 서적 スイスを知るための60章 明石書店 2014
[187] 웹사이트 アルプス縦貫の「ゴッタルド鉄道トンネル」開通、世界最長57キロ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18-07-15
[188] 서적 ウィーン・オーストリアを知るための57章 第2版 明石書店 2011-04-25
[189] 웹사이트 アルプスの画家 セガンティーニ ー光と山ー https://www.sompo-mu[...] SOMPO美術館 2024-04-04
[190] 백과사전 Alps http://search.credor[...] Helicon 2014
[191] 뉴스 Le Mont-Blanc passe de 4.810 mètres à 4.808,7 mètres http://www.bfmtv.com[...]
[192] 서적 1998
[193] 서적 2010
[194] 서적 2000
[195] 서적 2006
[19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9-03-09
[197] 문서 Excluding the Piz Zupò and Piz Roseg located in the Bernina range, close to Piz Bernina.
[198] 웹사이트 Alps Definition, Map, & Facts https://www.britanni[...] 2019-02-04
[199] 웹사이트 Die Alpen: Hydrologie und Verkehrsübergänge (German) https://www.alpenpae[...]
[200] 백과사전 Encyclopædia Britannica 2012-08-06
[20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Great St Bernard pass https://archive.toda[...] 2007-08-08
[202] 뉴스 Ronce, le gardien silencieux du col du Mont-Cenis https://www.ledauphi[...] 2021-11-28
[203] 서적 Italian Railways https://archive.org/[...] David & Charles 1971
[204] 지도 Swiss National Map
[205] 뉴스 Wer hat die grösste Röhre? 2016-05-11
[206] 뉴스 Was die Tunnelbauer im Gotthard antrafen 2016-05-11
[207] 웹사이트 Official Timetable http://www.fahrplanf[...] Swiss Federal Office for Transport 2022-07-18
[208] 서적 2001
[209] 웹사이트 4000 m Peaks of the Alps http://www.bielefeld[...] Bielefeldt.de 2012-08-0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