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이비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이비붐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특히 1946년부터 1953년 사이에 북미, 유럽, 오세아니아, 일본 등 세계 각국에서 나타난 인구 증가 현상이다. 한국은 한국전쟁 이후 1955년부터 1963년까지 약 710만 명이 베이비붐 세대에 속하며, 일본은 1947년부터 1949년까지 약 810만 명의 단카이 세대가 태어났다. 미국은 1946년부터 1964년까지 약 7,830만 명이 베이비붐 세대로 불리며, 영국, 캐나다, 루마니아,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에서도 베이비붐 현상이 나타났다. 아프리카, 이스라엘, 아일랜드, 중국, 인도 등에서도 각기 다른 요인에 의해 베이비붐이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출생주의 - 현모양처
    현모양처는 훌륭한 어머니이자 어진 아내를 의미하는 단어로, 중국과 일본에서 유래되었으며, 시대와 문화에 따라 여성의 역할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담고 있다.
  • 출생주의 - 율리우스법
    율리우스법은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아우구스투스를 포함한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황제들이 제정한 법률들을 총칭하며, 시민권 관련 법률, 농지법, 윤리 및 인구 증가를 위한 법률 등을 포함하여 로마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고 유스티니아누스 1세 시대까지 그 영향력이 이어졌다.
  • 생식력 - 성교
    성교는 생물학적 생식 과정의 한 형태로서, 암수의 생식기 접촉을 통해 정자가 난자를 수정하는 행위를 의미하며, 쾌락이나 애정 표현의 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사회문화적 요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 생식력 - 출생률
    출생률은 특정 기간 동안의 출생아 수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사회, 경제, 문화, 정책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아 세계적으로 감소 추세에 있고, 한국은 심각한 저출산 문제를 겪고 있다.
  • 인구학 - 죽음
    죽음은 생명 활동의 영구적 종식으로 의학, 법, 사회, 종교, 심리, 생물학 등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되며, 전통적인 심폐사 외에 뇌사도 죽음으로 인정되고, 개발도상국은 전염병, 선진국은 노화 관련 질병이 주요 사망 원인이며, 문화와 종교에 따라 다양한 이해와 관습이 존재하고, 수명 연장, 냉동 보존술, 존엄사, 안락사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 인구학 - 인구 밀도
    인구 밀도는 특정 지역의 인구수를 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인구 분포와 과밀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다양한 계산 방법과 함께 도시 계획, 환경 관리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높거나 낮은 밀도는 사회·경제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베이비붐
개요
1910년부터 2010년까지의 미국 합계출산율을 보여주는 그래프. 대공황과 1970년대 초반 기간 동안 감소세를 보였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급격한 증가가 나타났다.
급증하는 출생률을 보여주는 그래프
정의출생률의 현저한 증가가 나타나는 기간
관련 현상세대
역사적 맥락
주요 원인전쟁 이후 경제적 안정 및 번영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
의료 기술의 발전
영향인구 구조 변화
사회 및 문화적 변화
경제적 영향
각국의 베이비 붐
시기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주요 국가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유럽 국가
특징
인구 규모이전 세대보다 훨씬 큰 규모의 인구
사회적 영향교육 시스템에 대한 압력 증가
주택 수요 증가
노동 시장 경쟁 심화
문화적 영향청소년 문화의 부상
소비 문화 확산
사회 운동 활성화
세대 구분
베이비 붐 세대베이비 붐 기간 동안 태어난 세대
X세대베이비 붐 세대 이후에 태어난 세대
밀레니얼 세대X세대 이후에 태어난 세대
같이 보기
관련 용어인구 통계학
출산율
세대
인구

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베이비붐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세계적으로 인구가 급증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전쟁에서 군인들이 돌아오고, 전쟁으로 인해 불안했던 상황이 끝나면서 사람들이 아이를 낳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 시기에는 1910년대 말에서 1920년대 초에 태어난 세대가 주로 결혼하고 아이를 낳았으며, 1946년부터 1953년 사이에 북미, 유럽, 오세아니아, 일본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났다. 다만, 나라나 지역에 따라 시기는 조금씩 다를 수 있다.

2. 1. 대한민국

한국전쟁 이후 1955년부터 1963년까지 태어난 약 710만 명의 출생자들이 베이비붐 세대에 속한다. 1960년대 이전까지 빠른 출생아 수 증가를 거쳐 1960년대에 이르러 매년 100만 명 이상이 태어난 세대이며, 정치·경제·사회적으로 현역 기성세대에 속해있다. 막대한 인구의 이들이 몇 년 안에 노년층이 될 것으로 전망돼 청년층의 부담이 더 커질 것이다.

2. 2. 일본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7년부터 1949년까지 약 810만 명의 단카이 세대가 태어났다.[13] 이 기간 동안 연간 250만 명 이상이 태어났으며, 1949년에는 269만 명이 태어나 전후 최고 기록을 세웠다.[37][38][39] 이들은 1980년대까지 일본의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며, 이들의 자녀 세대를 단카이 주니어라고 부른다.

일본의 합계출산율과 출생아 수(1,000명 단위) 변화 추이.


1971년부터 1974년까지는 제2차 베이비붐 시기로, 연간 200만 명 이상이 태어났다.[14] 1973년에는 209만 명이 태어나 정점을 찍었다.[40] 이 세대는 단카이 주니어라고 불린다.[41]

그러나 제2차 베이비붐 이후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면서, 2020년대에도 제3차 베이비붐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2. 3. 미국

미국 인구조사국은 베이비붐을 1946년부터 1964년 사이로 정의한다[21]. 이 기간 동안 약 7,830만 명의 미국인이 태어났다.[23] 이들을 베이비붐 세대(Baby Boomer)라고 부른다. 1957년까지 태어난 전기 베이비붐 세대는 "Baby Boomer cohort #1", 1958년부터의 후기 베이비붐 세대는 "Baby Boomer cohort #2" 또는 제너레이션 존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thumb

20세기 초부터 몇 차례의 베이비붐이 있었다.

  •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베이비붐: 1918년부터 1929년까지 베이비붐이 발생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베이비붐 (베이비붐 세대): 1946년에서 1964년 사이[24], 또는 1950년대부터 1965년 이전까지 베이비붐이 발생했다. 전후 경제 호황으로 미국인들은 더 많은 자녀를 부양할 수 있다고 확신했고, 이는 베이비붐으로 이어졌다. 베이비붐 세대는 장난감, 음반 등 그들의 연령대에 맞는 제품의 핵심 마케팅 인구 통계로서 경제에도 영향을 미쳤다.[25]
  • 에코 부머 (밀레니얼 세대):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들이며, 일부는 침묵의 세대와 X세대의 구성원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1980년대 초부터 1990년대 중후반에 태어난 것으로 여겨진다.[26][27] 이들은 최초의 "디지털 원주민"으로, 소셜 미디어비디오 게임 산업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많은 밀레니얼 세대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그들의 정치적 영향력은 이미 일어나지 않았다면, 몇 년 안에 베이비붐 세대를 능가할 가능성이 높다.[28]

2. 4. 영국

영국의 과거 출생률을 보여주는 차트. 1946년과 1960년대에 두 번의 베이비붐을 반영하는 출생률 급증을 볼 수 있다.


영국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출생률 급증이 1946년에 급격한 증가로 제한되었고, 그 후 출생자 수는 다시 감소했다. 그러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태어난 세대가 아이를 낳기 시작하면서 1960년대에 걸쳐 출생률이 증가했다. 미국과 비교하여 영국에서 나타나는 다른 인구 통계적 프로필로 인해 영국인들은 보통 1960년부터 1969년까지 태어난 사람들을 베이비붐 세대로 정의한다.[29]

1960년대에 합계출산율이 3.0에 육박하며 10년 이상 출생자 수가 90만 명 이상을 기록했다.

2. 5. 캐나다

캐나다에서는 1960년 이후 출생률 감소를 보인 X세대가 등장했다. 더글러스 커플랜드는 X세대를 1960년 이후에 태어난 아이들로 정의했다. 높은 실업률과 불균등한 소득 분배는 X세대가 다음 베이비붐을 일으킬 기회를 거의 주지 못하게 했다.[6]

2011년,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들(Y세대 또는 "베이비붐 에코")은 전체 인구의 27%를 차지했다. 베이비붐 세대 이후 세대의 출산율은 이혼 및 별거율 증가, 여성 노동력 참여, 급격한 기술 변화와 같은 인구 통계학적 변화로 인해 감소했다.[6]

에코 세대의 자녀인 Z세대는 1994년 이후, 즉 인터넷 발명 이후에 태어난 사람들로, 1993년에서 2011년 사이에 태어난 730만 명이 넘는 캐나다인들로 구성되어 있다.[6]

1960년대까지 원주민 인구는 꾸준히 증가했으며, 1967년에 원주민 베이비 붐이 정점에 달했다.[5] 1960년대에는 의료 서비스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영아 사망률이 꾸준히 감소하기 시작했고, 출산율은 높게 유지되었다.[5] 원주민의 출산율은 캐나다 전체 출생률보다 높게 유지되어 왔지만, 1960년대의 4배에서 현재는 1.5배로 감소했다. 캐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인구 통계학적 변화는 지난 반세기 동안 원주민 인구 증가의 일부분일 뿐이며, 보다 완전한 인구 조사와 원주민으로 식별하는 사람들의 증가도 영향을 주었다.[5]

2. 6. 루마니아

데크레체이(1967–1989)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정부가 낙태와 피임을 금지하면서 루마니아에서 베이비붐이 발생한 시기이다. 1967년 이전에는 낙태가 유일한 피임 방법이었다. 병원이 과밀 상태가 되어, 의사가 여성에게 집에서 출산할 것을 간청해야 할 정도였다.[1] 1967년 12월 26일자 ''시카고 트리뷴'' 기사에 따르면, "임산부들이 병원 침대를 함께 사용해야 했고, 병약한 아기들은 산소 텐트에 떼로 넣어졌다."[1]

차우셰스쿠의 민족주의 정책은 베이비붐을 더욱 심화시켰다. 루마니아 정부는 지배적인 민족 집단이 더 많은 아이를 갖도록 장려하기 위해 자녀가 없는 25세 이상인 사람에게 세금을 부과하는 등 재정적 인센티브를 마련했다.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더 어린 나이에 루마니아인 파트너와 아이를 갖게 되어 출산율이 급증했다. 그러나 1980년대에는 출산율이 인구 1,000명당 14.3명으로 떨어졌다.[1]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차우셰스쿠는 결혼 가능 연령을 15세로 낮추고, 미디어 캠페인을 시작했으며, 가임기 여성 모두에게 매달 부인과 검진을 의무화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에도 불구하고 인센티브 지출은 거의 5배나 증가했지만 출산율은 40% 감소했다.[1]

2. 7. 러시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전 러시아의 인구 피라미드. 5세에서 15세 사이에서 인구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200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 후반까지 관찰된 베이비 붐 현상으로, 우크라이나와 유사하다.


소련 붕괴와 1998년 러시아 금융 위기 이후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 러시아의 연간 출생자 수는 최저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그 이후 몇 년 동안 출산율이 급격히 상승했다. 2012년에는 소련 붕괴 이후 처음으로 출생자 수가 사망자 수를 넘어섰다.[16] 많은 러시아인들에게 이것은 단순한 경제적 번영의 징후일 뿐만 아니라, 소련 붕괴 이후의 빈곤과 사회적 쇠퇴로부터의 회복을 의미했다.[17]

2. 8. 우크라이나

1991년 소련의 붕괴 이후, 우크라이나의 출산율은 2003년에 여성 1인당 1.14명으로 최저점을 기록했다. 오렌지 혁명 이후, 합계출산율은 점차 증가하여 2014년에는 여성 1인당 1.49명으로 최고점을 찍었다. 그러나 이 현상은 오래가지 못했으며, 2014년 러시아 연방의 크림 합병 이후 출산율은 급격히 감소했다.[18]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전 우크라이나의 인구 피라미드. 5세에서 15세 사이의 연령대에서 상당한 인구 증가가 보이는데, 이는 200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 중반까지 러시아와 유사하게 관찰된 베이비 붐의 영향으로 보인다.

3. 기타 국가의 베이비붐

유니세프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에서 2050년 사이에 아프리카에서 거의 20억 명의 아기가 태어날 것이라고 한다.[2] 2050년까지 아프리카는 전 세계 출생의 약 55%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3] 아프리카의 HIV/AIDS 위기는 피임에 사용되던 원조 자금이 HIV와 싸우는 데 전용되면서 출생률 증가에 기여했다.[4]

이스라엘은 독립 이후 지속적인 베이비 붐을 겪고 있으며, 여성 1인당 출산율이 3.1명으로 OECD에서 가장 높다.[7][8] 1947년 영국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의 유대인 인구(Yishuv)의 출산율이 홀로코스트의 여파와 유대 국가 독립에 대한 기대감으로 인해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면서 베이비 붐이 시작되었다.[9]

아일랜드는 유럽 전체와 비교하여 훨씬 더 젊은 인구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4명 중 1명이 15세 미만이다.[10] 2000년대 후반과 2010년대 초반에 베이비 붐을 겪었으며, 코로나19 범유행이 아일랜드에서 베이비 붐을 촉발했음을 시사한다.[12]

2023년 아일랜드 인구 피라미드. 5세에서 15세 사이의 출생률이 눈에 띄게 증가했는데, 이는 2000년대 후반과 2010년대 초반에 관찰된 경기 침체 이후의 베이비 붐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중국은 1970년대 상반기까지 베이비붐 세대가 지속되었지만, 1980년대부터 1가정 1자녀 정책을 시행하여 인구 증가를 억제했다. 지역 소수민족과 농어촌 지역은 1가정 2자녀 이상을 허용하는 예외 조항을 두기도 하였다.

인도는 종교적 의식이 강한 특성상 인구 출산 억제를 자발적으로 막기 때문에 베이비붐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3. 1. 아프리카

유니세프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에서 2050년 사이에 아프리카에서 거의 20억 명의 아기가 태어날 것이며, 이러한 출생 및 아동 수의 급증을 이끄는 두 가지 주요 원동력은 지속적인 높은 출산율과 아이를 낳을 수 있는 여성의 수 증가이다.[2]

2050년까지 아프리카는 전 세계 출생의 약 55%, 5세 미만 아동의 40%, 전 세계 아동(18세 미만)의 37%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아프리카 대륙은 1950년 제곱킬로미터당 8명에서 2015년 39명, 그리고 세기 중반쯤에는 약 80명으로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더욱 붐빌 것으로 예상된다.[3]

아프리카의 HIV/AIDS 위기는 인구 증가에 기여했다. AIDS 위기가 시작된 이후 피임에 사용되던 원조 자금이 HIV와 싸우는 데 전용되었고, 이로 인해 AIDS로 사망한 사람보다 훨씬 더 많은 출생이 이루어졌다.[4] 1950년 아프리카는 전 세계 출생의 9분의 1을 차지했고, 2030년까지 전 세계 출생의 약 3분의 1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세기 말까지 아프리카는 거의 절반의 출생을 차지할 것이다.[3]

3. 2. 이스라엘

이스라엘은 독립 이후 지속적인 베이비 붐을 겪고 있으며, 여성 1인당 출산율이 3.1명으로 OECD에서 가장 높다.[7][8] 선진국 중 가장 높은 출산율을 기록할 뿐만 아니라, 대체 출산율 이하로 떨어진 적이 없는 유일한 선진국이다. 이스라엘의 베이비 붐은 독립 1년 전인 1947년에 시작되었는데, 당시 영국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의 유대인 인구(Yishuv)의 출산율이 홀로코스트의 여파와 유대 국가 독립에 대한 기대감으로 인해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했다.[9]

3. 3. 아일랜드

아일랜드는 유럽 전체와 비교하여 훨씬 더 젊은 인구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4명 중 1명이 15세 미만이다.[10] 이는 대침체 이후 2000년대 후반과 2010년대 초반에 겪었던 베이비 붐의 영향으로 보인다. 아일랜드의 출생아 수는 경제가 최악의 해를 기록했던 2009년에 118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켈트족 호랑이(1995–2007) 시대의 평균 출생아 수 65,600명보다 많은 74,650명의 아기가 2012년에 태어났는데, 이는 재정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한 노력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안정세를 유지했다.[11]

아일랜드의 출생아 수는 10년 넘게 감소세를 보이다가 2021년에 3,000명 이상 증가했는데, 이는 코로나19 범유행이 아일랜드에서 베이비 붐을 촉발했음을 시사한다. 헬스 서비스 이그제큐티브의 자료에 따르면, 2021년에는 산부인과 병원과 시설에서 59,874명의 아기가 태어났으며, 이는 전년도의 56,858명에서 증가한 수치이며, 2020년대 초반까지 이어질 수 있다. 2009년 75,554건의 출생이 등록된 이후 연간 증가세가 나타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12]

3. 4. 중국

중국의 베이비붐 세대는 보통 1970년대 상반기까지 지속되었지만, 1980년대부터 1가정 1자녀 정책을 시행하여 계획적으로 아이를 많이 낳지 못하게 하는 정책을 도입하면서 인구 증가가 억제되었다. 한국, 일본처럼 제한 규정을 강력히 실시하지 않는 것과는 다르게, 중국의 지역 소수민족과 농어촌 지역은 1가정 2자녀 이상을 허용하는 예외 조항을 두는 등 지역에 따라 차별을 두기도 하였다.

3. 5. 인도

인도는 종교적 의식이 강한 특성상 인구 출산 억제를 자발적으로 막기 때문에 베이비붐을 계속 유지하고 있는 중인 것으로 보인다.

참조

[1] 논문 The Baby Boom and Its Causes: What We Know and What We Need to Know 2013
[2] 웹사이트 Africa's Baby Boom http://cdn.downtoear[...]
[3] 웹사이트 Africa's Baby Boom http://www.indiaenvi[...] 2021-03-02
[4] 뉴스 In Nigeria, a Preview of an Overcrowded Planet https://www.nytimes.[...] 2012-04-14
[5] 웹사이트 Aboriginal peoples of Canada: A demographic profile https://www12.statca[...] 2021-03-02
[6] 간행물 Baby Boomers in Canada https://www.thecanad[...] 2021-03-02
[7] 뉴스 Israeli fertility rate highest in OECD https://en.globes.co[...] 2020-09-26
[8] 웹사이트 Why are there so many children in Israel? {{!}} Taub Center http://taubcenter.or[...] 2020-09-26
[9] 뉴스 Israel's baby boomers facing rocky retirement https://www.haaretz.[...] 2020-09-26
[10] 뉴스 Ireland's population is youngest in the EU https://www.irishexa[...] 2023-07-07
[11] 뉴스 Ireland's financial bust delivers baby boom https://www.reuters.[...] 2023-07-07
[12] 웹사이트 Baby boom Ireland: Rebirth of a nation – figures hint at Covid 'baby boom' https://www.independ[...] 2022-04-04
[13] 웹사이트 An overview of vital statistics (the official number) http://www.mhlw.go.j[...] 2013-06-22
[14] 문서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The 2006 Youth White Paper"
[15] 논문 Demographic trends, pronatalism, and nationalist ideologies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2002
[16] 뉴스 Moscow's Baby Bust? https://www.foreigna[...] 2023-08-25
[17] 웹사이트 Russia experiencing a baby boom https://www.nbcnews.[...] 2023-07-07
[18] 웹사이트 Ukraine Fertility Rate 1950-2023 https://www.macrotre[...] 2023-07-07
[19] 웹사이트 Because of the war: How Ukraine's population will change by 2030 https://english.nv.u[...] 2023-07-07
[20] 문서 CDC.gov
[21] 웹사이트 Oldest Baby Boomers Turn 60! https://www.sec.gov/[...]
[22] 논문 America's baby boom generation: the fateful bulge 1980-04-01
[23] 웹사이트 Baby Boom Population: U.S. Census Bureau, USA and by State http://www.boomersli[...] Boomers Life 2009-05-18
[24] 서적 1. Home and Family at Mid-Century http://dx.doi.org/10[...]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23-04-16
[25] 웹사이트 The baby boom (article) https://www.khanacad[...] 2023-04-16
[26] 뉴스 The Echo Boomers https://www.cbsnews.[...] CBS News 2010-08-24
[27] 뉴스 College-Town Real Estate: The Next Big Niche? https://www.nytimes.[...] 2010-09-25
[28] 웹사이트 Millennials Infographic https://www.goldmans[...] 2023-06-13
[29] 논문 Who are the baby boomers of the 1960s? https://kclpure.kcl.[...] 2017-10-19
[30] 웹사이트 Drop preconceptions about baby boomers {{!}} YouGov https://yougov.co.uk[...] 2023-04-27
[31] 웹사이트 ユニセフ『2030年世代/アフリカ報告書』を発表 世界の5人に2人の子ども、アフリカで誕生へ https://www.unicef.o[...] 日本ユニセフ協会 2024-02-29
[32] 웹사이트 Africa's Baby Boom http://www.indiaenvi[...] 2021-03-02
[33] 논문 Demographic trends, pronatalism, and nationalist ideologies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2002
[34] 웹사이트 人口動態統計(確定数)の概況 https://www.mhlw.go.[...] 2013-06-22
[35] 문서 1945年と1946年の公式の「人口動態統計」は存在しないが、1946年の出生数は、160万人程度と推計されており、ベビーブームの始期を1946とするのは適切ではない。
[36] 웹사이트 日本の出生数の変化 https://web.archive.[...] 帝国書院
[37] 웹사이트 結果の概要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20-10-30
[38] 간행물 青少年白書 内閣府 2006
[39] 문서
[40] 간행물 青少年白書 총무성 2006
[41] 문서
[42] 웹사이트 Vital Statistics of the United States: 1980-2003 http://www.cdc.gov/n[...] CDC
[43] 웹사이트 U.S. Census Bureau — Oldest Boomers Turn 60 (2006) http://www.census.go[...] U.S. Census Bureau 2006
[44] 웹사이트 The Echo Boomers http://www.cbsnews.c[...] 2013-06-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