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렘나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렘나이트는 멸종된 두족류로, 트라이아스기부터 백악기까지 바다에서 살았다. 몸체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석회질의 보호각, 격실 구조의 격자원뿔, 연조직을 지지하는 전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벨렘나이트는 10개의 팔과 갈고리를 가지고 있었으며, 지느러미와 먹물 주머니를 가지고 있었다. 벨렘나이트는 다양한 해양 생물의 먹이였으며, 멸종 후에는 바다 나비가 먹이 사슬의 기반을 대체했다. 벨렘나이트는 분류학적으로 코레오이데아에 속하며, 쥐라기 시대에 번성했지만, 백악기 말에 멸종했다. 벨렘나이트 화석은 지층 연대 결정에 사용되며, 고대 해양 환경 연구에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5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샤스타사우루스
샤스타사우루스는 트라이아스기 말기에 살았던 어룡으로, 가늘고 긴 몸과 짧고 이빨 없는 주둥이를 가졌으며, 최대 21m에 달하는 종도 존재하고 북아메리카 등지에서 화석이 발견된다. - 1895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키노그나투스
키노그나투스는 트라이아스기 중기에 곤드와나 대륙에서 살았던 늑대 크기의 키노돈트 속으로, 포유류와 유사한 특징을 가졌으며 화석 분포는 대륙 이동설의 증거로 활용된다. - 두족류 - 흡혈오징어
흡혈오징어는 피를 빨지 않고 심해 유기물을 먹는 두족류로, 문어와 오징어의 특징을 가지며, 큰 눈과 독특한 방어 전략을 사용하고, 오징어와 문어의 공통 조상 형태로 여겨진다. - 두족류 - 흡혈오징어목
흡혈오징어목은 두족강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멸종된 켈라이니나, 원오징어아목, 중간오징어아목과 현존하는 흡혈오징어아목을 포함하며, 흡혈오징어아목에는 흡혈오징어과가 유일하게 속해 있고, 일부 분류군은 오랫동안 흡혈오징어목으로 간주되었으나 현재는 분류학적 위치가 불확실하다.
벨렘나이트 | |
---|---|
분류학적 정보 | |
계 | 동물계 |
문 | 연체동물문 |
강 | 두족강 |
아강 | 초형아강 |
목 | 베렘나이트목 |
학명 | Belemnitida |
명명자 | 치텔, 1895년 |
생물학적 정보 | |
화석 범위 | 카르니아절 - 마스트리히트절 () |
아목 | 베렘나이티나 벨렘놉세이나 벨렘노테우티나 시노벨렘니티다에 |
이미지 정보 | |
![]() |
2. 껍데기 구조
벨렘나이트의 껍데기는 외투막에 덮여 내골격으로 기능했으며, 칼집, 분할 원뿔, 전갑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칼집은 몸 말단부의 치밀한 석회질 덩어리로 화석으로 남기 쉽다. 분할 원뿔은 내장이 있는 외투강 바깥쪽에 위치하며, 빈 원뿔 형태이다. 앵무조개처럼 분할 원뿔 내 가스와 체액 비율을 조절하여 부력을 얻었을 것으로 보인다. 전갑은 등쪽으로 얇게 뻗은 구조로, 갑오징어 껍질처럼 연체부를 지탱했다.
생존 시 벨렘나이트는 분할 원뿔에서 부력을 발생시켜 머리가 아래로 향하게 되지만, 뒤쪽의 칼집이 석회질 덩어리로 비중이 커 균형을 잡았다. 유영 시 분할 원뿔에서 위쪽, 연체부와 칼집에서 아래쪽으로 작용하는 힘이 일종의 저울처럼 자세 유지를 도왔다.
벨렘나이트 껍질은 방해석으로 이루어져 보존 상태가 좋다. 껍질 칼집 부분 단면에는 방사상 방해석 결정과 동심원상 성장선이 보인다. 껍질은 화학 분석 시료로도 적합하며, 시료 내 동위원소 비로부터 생존 시 고수온을 복원하는 데 사용된다.[9]
2. 1. 보호각 (Rostrum)
보호각(rostrum, guard)은 벨렘나이트 몸의 가장 뒤쪽 끝부분에 위치하는 방추형 구조로, 화석으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부분이다. 주로 방해석으로 구성되어 있어 단단하며,[9] 동물의 몸을 보호하고 균형을 잡는 역할을 했다.밀도가 높은 보호각은 동물의 반대쪽 끝, 팔 근처의 외투강에 있는 연조직의 무게를 균형추하는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유사하게 앵무조개류의 방과 유사하다.[8][7] 이를 통해 벨렘나이트는 물 속에서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었을 것이다.[8][7] 또한 보호각은 표면에서 헤엄칠 때 파도를 가르는 역할도 했을 수 있지만, 현대의 두족류는 일반적으로 완전히 물 속에 잠겨 있다.[8]
보호각의 단면에서는 방사상으로 뻗은 방해석 결정과 동심원상의 성장선을 관찰할 수 있다. 이 성장선을 통해 벨렘나이트의 성장 과정을 추적할 수 있다. 일부 종에서는 보호각에 홈이 발견되기도 하는데, 이는 혈관이 지나간 자리로 추정된다.
보호각은 벨렘나이트 전체 길이의 5분의 1에서 3분의 1을 차지했을 수 있다.[8]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Pee Dee 층에서 산출되는 벨렘나이트는 PDB('''P'''ee '''D'''ee '''B'''elemnite)라고 불리며, 탄소 동위원소비(13C와 12C의 비율)의 표준 물질로 이용되고 있다.
2. 2. 격자원뿔 (Phragmocone)
격자원뿔은 보호각 안쪽에 있는 원뿔형 구조로, 여러 개의 격막으로 나누어진 방(chamber)들로 구성되어 있다.[6] 각 방은 사이펀(siphuncle) 관으로 연결되어 가스나 액체를 채워 부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했다.[8] 이는 앵무조개의 껍질 구조와 매우 유사하다. 격자원뿔은 주로 아라고나이트로 구성되어 있어 방해석으로 구성된 보호각보다 화석화되기 어렵다.[8]격실 구조의 격자원뿔은 아마도 부력 중심이었을 것이며, 안정성을 위해 질량 중심 바로 위에 위치했을 것이다. 벨렘나이트는 격자원뿔의 챔버에 물을 채우고 관을 통해 더 많은 해수를 천천히 배출하여 중성 부력을 유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현대의 양뿔오징어와 유사한 방식이다.[8] 격자원뿔 끝에는 작은 컵 모양의 원각(protoconch)이라 불리는 배아 껍질의 잔해가 있다.[1][6]
2. 3. 전각 (Pro-ostracum)
격자원뿔에서 앞쪽(머리쪽)으로 뻗어 나온 얇고 넓은 판 모양의 구조이다. 오징어의 검과 유사하게 벨렘나이트의 연조직을 지지하는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이며, 격자원뿔을 완전히 둘러쌌을 것이다.[7][6] 전각은 주로 아라고나이트로 구성되어 있어 화석으로 발견되는 경우가 드물다.[8]3. 연체부 해부학적 특징
영국이나 독일 등에서는 연체부의 윤곽까지 깨끗하게 보존된 벨렘나이트의 화석이 발견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벨렘나이트는 껍데기에 비해 훨씬 큰 유선형의 몸과 큰 눈을 가지고 있었으며, 현생 오징어류와 마찬가지로 먹물주머니는 있었지만, 촉완은 없었다.
벨렘나이트는 현생 오징어류와 달리 작은 갈고리가 달린 촉수로 먹이를 잡아 부리 모양의 턱판으로 살점을 뜯어 먹는 맹렬한 육식 동물이었다. 당시 어룡 등 해양 파충류의 복부에서 벨렘나이트의 갈고리가 대량으로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이들에게 잡아먹혔음을 알 수 있다.[39] (현생 오징어류에서도 흡반 가장자리에 각질 톱니 모양 링이 있거나, 갈고리오징어처럼 갈고리를 가진 종류가 존재한다.)
3. 1. 팔과 갈고리
벨렘나이트는 10개의 거의 같은 길이의 팔을 가지고 있었으며, 빨판 대신 작은 갈고리가 달려 있었다.[39] 이 갈고리는 5mm보다 큰 경우가 드물었고, 팔 중간 부분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졌다.[42][10] 팔 전체에 두 줄로 배열된 갈고리는 총 100개에서 800개에 달했다.[42][10]
갈고리는 키틴질로, 바닥, 샤프트, 운시누스의 세 부분으로 나뉘었다.[10] 운시누스는 갈고리 모양이거나 사브르 모양으로, 먹이를 찌르도록 설계되어 먹이가 멀어지려 할수록 더 깊숙이 파고들었다.[10] 종에 따라 갈고리 모양이 달랐는데, 예를 들어 ''콘드로테우티스''(Chondroteuthis)는 입 근처에 큰 갈고리가 있어 작은 먹이를 둘러싸거나 큰 먹이를 들이받는 데 사용했다.[10]

현대 오징어처럼 수컷 벨렘나이트는 1~2개의 헥토코틸리라는 변형된 팔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42] 헥토코틸리는 거대 조갑자라는 큰 갈고리 쌍을 특징으로 하며, 암컷에게 안전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했다.[42] 교미 시 수컷은 정포를 암컷의 외투강에 넣었을 것이다.[42]
영국이나 독일 등에서는 연체부 윤곽까지 보존된 벨렘나이트 화석이 발견된다. 이에 따르면 벨렘나이트는 유선형 몸과 큰 눈을 가졌고, 먹물주머니는 있었지만 촉완은 없었다. 현생 오징어와 달리 작은 갈고리로 먹이를 잡아 부리 모양 턱판으로 뜯어 먹는 육식 동물이었다. 어룡 복부에서 벨렘나이트 갈고리가 대량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당시 해양 파충류에게 잡아먹혔음을 알 수 있다.
3. 2. 지느러미
몸통 양쪽에는 한 쌍의 롬보이드 지느러미가 달려 헤엄치는 데 사용되었다. 지느러미의 형태는 종에 따라 달랐으며, 일부 종에서는 매우 큰 지느러미를 가지기도 했다. 보존된 연조직 요소가 있는 두 ''Acanthoteuthis'' 표본에서 지느러미 크기가 서로 달랐는데, 이는 성적 이형성, 나이, 또는 화석화 과정에서의 변형 때문일 수 있다.[9] 이 표본들은 속도 측면에서 현대 오징어와 유사한 적응을 보였으며, 현대의 이동하는 ''Todarodes'' 날치 오징어와 유사한 최대 속도인 1.1kph에서 1.8kph에 도달할 수 있었을 것이다.[9]3. 3. 눈과 평형기
벨렘나이트는 껍질에 비해 훨씬 큰 유선형의 몸과 큰 눈을 가지고 있었다.[28] 다른 두족류보다 눈이 두껍고 강하며 더 볼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8] 머리 안에는 평형 감각을 제공하고 귀의 달팽이관과 매우 유사하게 기능하는 평형기가 있었는데, 이는 현대의 빠르게 움직이는 오징어처럼 컸다.[9]3. 4. 먹물 주머니
영국이나 독일 등에서는 연체부의 윤곽까지 깨끗하게 보존된 벨렘나이트의 화석이 발견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벨렘나이트는 현생 오징어류와 마찬가지로 먹물주머니를 가지고 있었다.[9] 벨렘나이트는 먹물 주머니를 통해 위협을 받으면 먹물을 뿜어 자신을 보호했다.4. 생태
벨렘나이트는 주로 얕은 바다에 서식했으며,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살았다. 벨렘나이트 유해는 연안 및 중대륙붕 지역에서 발견된다.[41]
일반적으로 12°C에서 25°C 사이의 온도를 선호했을 것으로 보이며, 현대 오징어처럼 따뜻한 물은 신진대사를 높여 출생 및 성장 속도를 증가시켰지만, 수명은 감소시켰을 수 있다.[25] 대부분의 벨렘나이트 종은 좁은 온도 범위에서만 서식하는 협온성이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Neohibolites''는 백악기 열극대기 동안 전 세계적으로 분포했다.[44]
벨렘나이트는 먹물을 뿜어 자신을 방어했을 가능성이 높다.[23] 다른 두족류처럼 떠다니는 알 덩어리를 낳았을 수 있으며,[6] 암컷 한 마리가 100개에서 1,000개의 알을 낳았을 수 있다.[48]
4. 1. 서식지
벨렘나이트 유해는 연안 및 중대륙붕 지역에서 발견된다.[41] 가늘고 긴 로스트럼을 가진 벨렘나이트는 더 튼튼한 로스트럼을 가진 종보다 수영을 더 잘했을 것이며, 전자는 더 깊은 바다로 잠수하여 공해에서 사냥을 했을 것이고, 후자는 연안 지역에 제한되어 해저에서 먹이를 구했을 수 있다.[41]일반적으로 벨렘나이트는 12°C에서 25°C의 온도를 선호했을 수 있으며, 현대 오징어처럼 더 따뜻한 물은 그들의 신진대사를 높여 출생 및 성장 속도를 증가시켰지만, 수명은 감소시켰을 수 있다.[25] 대부분의 벨렘나이트 종은 좁은 온도 범위에서만 서식하는 협온성이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Neohibolites''는 전 세계적인 온도 상승기였던 백악기 열극대기 동안 전 세계적으로 분포했다.[44]
4. 2. 먹이와 포식자
벨렘나이트는 작은 물고기, 갑각류, 연체동물 등을 잡아먹는 육식 동물이었다.[23] 날카로운 갈고리와 부리 모양의 턱판을 이용하여 먹이를 찢어 먹었다.[42] 어룡의 복부에서 벨렘나이트의 갈고리가 대량으로 발견되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어룡, 상어, 플레시오사우루스 등 대형 해양 파충류의 먹이가 되기도 했다.[42]약 1.6m 크기의 히보두스(Hybodus) 상어의 위에서 약 250개의 아크로코엘리테스(Acrocoelites)의 가드가 발견되었고, 옥스퍼드 점토 해양 악어의 조각에서도 발견된 것으로 보아 통째로 먹혔을 가능성이 있다.[43] 아마도 현대의 향유고래와 유사하게 소화할 수 없는 물질을 나중에 토해냈을 것이다.[43]
벨렘나이트는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먹물을 뿜어냈을 가능성이 높다.[23]
4. 3. 번식
다른 두족류처럼 벨렘나이트는 떠다니는 알 덩어리를 낳았을 수 있으며,[6] 암컷 한 마리가 100개에서 1,000개의 알을 낳았을 수 있다.[48] 부화한 새끼는 성체의 축소형이거나 유충 단계를 거쳤다. 후자의 모델에 따르면, 알은 원시각과 단일층의 껍데기 벽으로 형성되었다. 유충 단계에서 원시각은 내부로 들어가고 가드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벨렘나이트 배아 중 가장 잘 연구된 ''Passaloteuthis''는 원시각, 발달 중인 가드, 그리고 단단한 가드를 가지고 있었다. 발달 중인 가드는 원시각을 꽉 감쌌다. 배아 껍데기는 타원형 원시각과 여러 개의 방으로 구성되었다. 원시각은 두 개의 층을 가지고 있었고, 층 사이에 여러 개의 "원시각 포켓"이라고 불리는 구획이 형성되었는데, 이것은 생존 시 부력을 유지하기 위해 가스나 액체를 저장했을 수 있다. 원시각과 가드는 아마도 키틴으로 만들어졌을 것이며, 이는 배아가 더 깊은 곳과 더 차가운 온도에서 생존하고, 더 빨리 성체로 발달하며, 어린 개체와 성체가 더 깊은 물로 모험할 수 있게 해주는 보호 물질일 수 있다.[12] 또한, 원시각은 프라그모콘 단계에 도달하기 전에 팔다리를 형성할 수 있게 해주었고, 따라서 더 일찍 열린 바다에 서식할 수 있게 했다. 이는 벨렘나이트가 전 세계의 다양한 서식지에 식민지화할 수 있게 했을 수 있다.[12][13]갑오징어, 앵무조개, 암모나이트와 마찬가지로 프라그모콘의 방의 수와 연속적인 크기는 개체의 평생 동안의 성장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연속적인 벨렘나이트 방은 기하급수적으로 크기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다른 두족류와 달리, 초기 단계에서 방 크기가 감소하는 추세는 없다. 감소하는 추세는 일반적으로 부화와 일치하며, 이는 배아 벨렘나이트가 방이 없거나 거의 없었고 원시각만 가지고 부화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프라그모콘은 부화 후에 발달했다. 암모나이트도 같은 방식으로 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유사한 번식 전략을 암시하고, 두 종 모두 범세계적 분포(cosmopolitan distribution)에 도달한 것을 고려하면 꽤 효율적인 전략이었다. 벨렘나이트 부화 원시각은 일반적으로 약 1.5mm에서 3mm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6]
뉴질랜드의 ''Belemnopsis''에서는 가드에 4개의 주요 연간 성장 단계가 보존되어 벨렘나이트의 수명이 약 3~4년임을 알 수 있다.[41] 메소히볼리테스(mesohibolitid) 벨렘나이트는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약 1년의 수명을 가졌다.[17]
5. 진화와 분류
벨렘나이트는 두족강 내에서 벨렘나이트목(Belemnitida)으로 분류된다. 벨렘나이트목은 데본기에 나타난 Belemnoidea 상목(Superorder)에 속하며, 이 상목에는 벨렘나이트목 외에도 Aulacocerida, Phragmoteuthida, Diplobelida 세 목이 포함된다. 벨렘나이트목은 트라이아스기 전기에 출현했다.[55][56][57][58]
벨렘나이트 분류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다. 현생 오징어를 포함하는 십완상목(Decapodiformes)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주장, 십완상목의 스템 그룹(stem group)이라는 주장, 문어는 Phragmoteuthida에서, 오징어는 Diplobelida에서 진화하여 벨렘나이트류가 이들의 측계통군(paraphyletic group)이라는 주장이 있다.
5. 1. 진화 역사
벨렘나이트는 콜레오이드에 속하며, 원뿔형인 데본기 벨렘나이트 목인 Aulacocerida에서 유래한다. Aulacocerida는 데본기의 Bactritida에서 유래한다.[23]전통적으로 벨렘나이트는 초기 쥐라기의 헤탕기안 시기인 201.6~197 백만 년 전 (mya)에 북유럽에서 진화하여 이후 플린스바키안 시기인 190 mya에 세계 각지로 확산된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2012년 Sinobelemnitidae 과로 분류된 초기 아시아 형태의 발견[1]으로 인해 이는 후기 트라이아스기의 카르니안 시기인 약 234 mya로 변경되었다. 벨렘나이트는 문어와 유사한 Prototeuthina와 벨렘나이트 Phragmoteuthida와 함께 두족류의 적응 방산을 거쳐 고대 대륙 로라시아의 동쪽 해안을 따라 판탈라사 해양의 아시아 지역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높다.[38][15] 하지만, 중국 남부에서 보고된 의심스러운 페름기의 Palaeobelemnopsidae가 존재한다.[24] 초기 쥐라기 시대에 벨렘나이트는 매우 흔했으며 서부 로라시아 해안뿐만 아니라 남쪽의 곤드와나 해역으로 확산되었다.[25][15]
초기 쥐라기의 보호 형태는 원뿔형에서 창 모양까지 다양했지만, 쥐라기가 진행되면서 창 모양이 더 널리 퍼졌다. 이는 더욱 유선형이 되어 수영 효율을 높이려는 압력 때문이었으며, 점점 더 빨라지는 포식자 및 경쟁자와의 공진화를 거쳤을 것이다. 벨렘나이트의 초기 진화와 풍부함은 트라이아스기-쥐라기 대멸종 이후 해양 생태계를 재구성하는 데 중요했으며, 해양 파충류와 상어에게 풍부한 먹이를 제공했다.[25]

Belemnoidea는 전체적으로 원뿔형인 프라그모콘의 돌출부가 프로오스트라쿰으로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 가장 오래된 목인 Aulacocerida는 정원뿔형(돌출 없음), Phragmoteuthida는 4분의 3, Belemnitida는 4분의 1, 그리고 가장 발달된 Diplobelida는 8분의 1만큼 돌출되었다.[35]
오징어와 문어는 다양해졌고 종간 경쟁을 통해 후기 쥐라기에서 초기 백악기까지 벨렘나이트를 경쟁에서 이겼다.[44][45] 벨렘나이트는 후기 백악기를 거치면서 감소했고, 그 분포 범위는 극지방으로 더욱 제한되었다. 남부 개체군은 초기 마스트리히트절에 멸종되었고, 마지막 벨렘나이트(Belemnitellidae과)는 현재 북유럽에 서식했다.[46] 그들은 결국 약 6600만 년 전의 백악기-고생대 대멸종에서 멸종했는데, 암모나이트와 마찬가지로 배아의 원시 껍질이 뒤따르는 해양 산성화에서 살아남을 수 없었던 것으로 생각된다.[6] 그러나, 의심스러운 속인 ''Bayanoteuthis''는 에오세에서 보고되었지만, 이는 종종 벨렘나이트목에서 제외된다.[46][47]
백악기 말에 벨렘나이트가 멸종한 후, 홀로플랑크톤 복족류, 즉 바다 나비가 먹이 사슬의 기저에서 플랑크톤성 벨렘나이트 유충을 대체했다.[48]
5. 2. 분류 체계
벨렘나이트는 두족류로, 겉껍질이 없어 세분류인 코레오이데아(Coleoidea)로 분류된다.[9] 1994년 미국의 지질학자 피터 도일(Peter Doyle)은 코레오이데아를 데카포디포르메스 (오징어 및 갑오징어), 옥토포디포르메스 (문어) 및 벨레므노이데아의 3개의 상위 목으로 정의했으며, 벨레므노이데아는 아울라코세리다, 디플로벨리다, 벨렘니티다의 목을 포함한다.[32]하지만 두족류의 상위 분류는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변동이 심하다. 코레오이데아는 때때로 신코레오이데아 (모든 현대 두족류 포함)와 고코레오이데아 (벨렘노이데아 포함)로 나뉘며, 따라서 벨렘나이트는 현대 두족류의 자매군이 된다. 그러나 이 그룹은 아마도 측계통군일 것이다. 즉, 공통 조상과 모든 후손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유효하지 않다.[33]
"벨렘노이드 기원설"에 따르면, 벨렘노이드는 중생대 어느 시점에서 현대 코레오이드를 낳았으며, 문어는 프라그모테우티다에서, 오징어는 디플로벨리다에서 유래하여 벨렘노이데아를 측계통군으로 만들었다. 스피룰라 종인 ''롱기벨루스''는 벨렘노이드와 오징어 사이의 전이 종일 수 있다.[35] 그러나 분자 증거에 따르면 오징어와 문어 계통은 페름기에 벨렘노이데아에서 분기되었다고 한다.[36]
목인 벨렘니티다는 단계통군이며, 공통 조상과 모든 후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개의 갈고리 부속지, 프라그모콘의 다층 외부 벽, 프로오스트라쿰과 프라그모콘 사이의 격막을 소유하는 것이 특징이다. 벨렘니티다는 벨렘니티나와 벨렘노프세이나의 두 아목으로 나뉜다. 벨렘노프세이나의 방호구에는 알베올에 홈이 있는 반면, 벨렘니티나는 정점에 홈이 있다. 홈은 혈관에 해당했을 것이다.[38] 벨렘노테우티나 아목도 제안되었는데, 그 구성원은 다른 벨렘나이트의 방해석 방호구와 대조적으로 아라고나이트 방호구를 가지고 있다. 아라고나이트 방호구는 일반적으로 조상 아울라코세리다 벨렘노이드에서만 나타나며, 벨렘노테우티나는 두 목 사이의 과도기적 단계를 나타낼 수 있지만, 일부는 벨렘니티다가 아울라코세리다에서 유래된 프라그모테우티다에서 유래되었다고 믿는다.[39]
벨렘나이트목은 데본기에 출현한 Belemnoidea 상목에 포함된다. 이 상목에는 Aulacocerida, Phragmoteuthida, Diplobelida의 3목이 포함된다. 그 중 벨렘나이트목은 트라이아스기 전기에 출현했다.
벨렘나이트류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으며, 현생 오징어를 포함하는 십완상목에는 포함되지 않는다는 설[55], 십완상목의 스템 그룹이라는 설[56], 문어가 Phragmoteuthida에서, 오징어가 Diplobelida에서 진화했으며, 벨렘나이트류는 이들의 측계통군이라는 설[57][58]이 있다.
6. 인간과의 관계
벨렘나이트 화석은 고대부터 여러 문화권에서 발견되었으며, 다양한 민간 설화와 관련되어 있다. 벨렘나이트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기원전 4세기와 3세기에 살았던 그리스 철학자 테오프라스토스의 저서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그는 벨렘나이트를 스라소니 소변이 굳은 것이라고 묘사했다.[27] 서기 1세기 대 플리니우스는 벨렘나이트를 처음 언급했지만 화석으로 인식하지는 않았다.[27] 벨렘나이트라는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 βέλεμνον ''bélemnon''에서 유래되었으며, "다트"를 의미한다.[26][28]
1546년 독일 광물학자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가 벨렘나이트가 화석임을 처음 언급했고,[27] 1823년 영국의 박물학자 존 새뮤얼 밀러는 벨렘나이트를 두족류로 분류했다.[27] 1844년 영국의 고생물학자 리처드 오언이 벨렘나이트 연체부 해부학에 대한 설명을 통해 이를 확인했다.[28] 완형 자루는 벨렘나이트에서 화석화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부분이다.[8][23]
6. 1. 민간 설화
고대부터 알려진 벨렘나이트에는 많은 민간 설화가 전해져 내려온다.[50] 민은 이집트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두 개의 화석 벨렘나이트로 묘사되기도 했다.[49]벨렘나이트가 화석으로 밝혀지기 전에는 링규리움이나 호박과 같은 보석으로 여겨졌다.[27] 폭풍우가 친 후 땅에 드러난 벨렘나이트는 하늘에서 떨어진 번개라고 설명되기도 했다. 이러한 믿음은 영국 시골 지역 일부에 남아있다. 게르만 민속에서 벨렘나이트는 ''Fingerstein''("손가락 돌"), ''Teufelsfinger''("악마의 손가락"), ''Gespensterkerze''("유령 촛불") 등 최소 27가지 다른 이름으로 불렸다.[50] 잉글랜드 남부에서는 뾰족한 벨렘나이트를 류머티즘 치료에, 가루를 내어 눈병 치료에 사용했지만 효과는 없었다. 스코틀랜드 서부에서는 벨렘나이트를 물에 넣어 말의 마역 치료에 사용했다.[51]
벨렘니텔라(''Belemnitella'')는 1996년 7월 2일 델라웨어 주의 주 화석으로 지정되었다.[52]
6. 2. 학술적 가치
벨렘나이트류의 몇몇 종, 특히 유럽의 초크층에서 산출되는 것은 표준 화석으로서 중요하며, 지질학자들이 지층의 연대를 결정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29] 보존된 화석 완형 자루는 개체가 생존했을 때 서식했던 물의 고대 동위원소 특징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이는 기후, 서식지, 탄소 순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9][31] 일본 국내에서는 기타카미 산지의 쥐라기-백악기 지층에서 산출되지만, 구미에 비해 산출은 극히 드물다.7. 한국의 벨렘나이트 화석
한국에서는 벨렘나이트 화석이 주로 경상남도 지역의 중생대 지층에서 발견된다. 대표적인 발견지로는 진주, 고성, 하동 등이 있으며, 이곳에서 발견되는 화석은 주로 백악기 전기의 것이다. 한국의 벨렘나이트 화석은 한반도 주변 해양 환경과 생물 다양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참조
[1]
논문
Belemnites originated in the Triassic—A new look at an old group
[2]
논문
Anatomy and size of ''Megateuthis'', the largest belemnite
[3]
논문
Fossils explained 82: Belemnites: Anatomy, ecology, applications
https://onlinelibrar[...]
2022
[4]
웹사이트
Belemnites in Mythology: From Thunderstorms to Fertility Symbols.
https://blogs.egu.eu[...]
2021
[5]
논문
The capsule: an organic skeletal structure in the Late Cretaceous belemnite ''Gonioteuthis'' from north-west Germany
https://www.dora.lib[...]
[6]
논문
Ontogenetic trajectories of septal spacing in Early Jurassic belemnites from Germany and France, and their palaeobiological implications
[7]
서적
Fossils at a glance
John Wiley and Sons
[8]
논문
The function of the belemnite guard
https://www.research[...]
[9]
논문
Adaptations to squid-style high-speed swimming in Jurassic belemnitids
[10]
논문
Grasping the shape of belemnoid arm hooks—a quantitative approach
https://archive-ouve[...]
[11]
논문
Arm hooks of coleoid cephalopods from the Jurassic succession of the Wessex Basin, Southern England
[12]
논문
Embryonic shell structure of Early–Middle Jurassic belemnites, and its significance for belemnite expansion and diversification in the Jurassic
https://www.diva-por[...]
[13]
논문
Cephalopod embryonic shells as a tool to reconstruct reproductive strategies in extinct taxa
[14]
논문
A belemnite fauna from the Aalenian-Bajocian boundary beds of the Grand Duchy of Luxembourg (NE Paris Basin)
https://www.research[...]
[15]
논문
Large Belemnites were Already Common in the Early Jurassic—New Evidence from Central Japan
[16]
웹사이트
Belemnites
http://www.bgs.ac.uk[...]
2019-02-10
[17]
논문
Life span and growth rate of Middle Jurassic mesohibolitid belemnites deduced from rostrum microincrements
https://voluminajura[...]
[18]
논문
Growth patterns in rostra of the Middle Jurassic belemnite ''Megateuthis giganteus'': Controlled by the moon?
https://www.research[...]
[19]
논문
Non-invasive diagnostics fossils –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pathological belemnites
https://hal.archives[...]
[20]
논문
A Late Cretaceous pathological belemnite rostrum with evidence of infection by an endoparasite
[21]
논문
Preservation of a heavily bored belemnite rostrum from the upper Maastrichtian of north-east Belgium
[22]
논문
Classical and new bioerosion trace fossils in Cretaceous belemnite guards characterised via micro-CT
[23]
서적
McGraw Hill Encyclopedia of Science and Technology
McGraw Hill
[24]
논문
Discovery of Permian belemnoids in South China with comments on the origin of the Coleoidea
[25]
논문
Diversity and morphological evolution of Jurassic belemnites from South Germany
[26]
논문
Observations on Belemnites
https://zenodo.org/r[...]
[27]
서적
Mémoire sur les bélemnites, considérées zoologiquement et géologiquement
https://archive.org/[...]
Paris F.G. Levrault
[28]
논문
A description of certain belemnites, preserved, with a great proportion of their soft parts, in the Oxford Clay, at Christian-Malford, Wilts
https://archive.org/[...]
[29]
서적
Grundzüge der Paläontologie (Paläozoologie)
München, Leipzig, Druck, and Verlag von R. Oldenbourg
[30]
논문
Belemnoid arm hooks from the Middle-Upper Albian boundary interval: Taxonomy and palaeoecological significance
[31]
논문
Belemnite ecology and the environment of the Nusplingen Plattenkalk (Late Jurassic, southern Germany): Evidence from stable isotope data
[32]
논문
Phylogeny and systematics of the Coleoidea
https://www.research[...]
[33]
논문
New evidence of functional suckers in belemnoid coleoids (Cephalopoda) weakens support for the 'Neocoleoidea' concept
[34]
논문
Cephalopod origin and evolution: A congruent picture emerging from fossils, development and molecules
[35]
논문
''Longibelus'' Gen. Nov., a new Cretaceous coleoid genus linking Belemnoidea and early Debrachia
http://ibayasuhiro.c[...]
[36]
서적
Evolution of Venomous Animals and Their Toxins
Springer Science
[37]
논문
The locomotion system of Mesozoic Coleoidea (Cephalopoda) and its phylogenetic significance
[38]
논문
The early evolutionary history of belemnites: new data from Japan
[39]
논문
The Jurassic belemnite suborder Belemnotheutina
https://www.research[...]
[40]
웹사이트
Taxon Tree at Family Level
http://www.bagniligg[...]
2019-06-12
[41]
논문
Oxygen isotope studies on Jurassic and Cretaceous belemnites from New Zealand and their biogeographic significance
[42]
논문
Palaeobiological and morphological aspects of Jurassic ''Onychites'' (cephalopod hooks) and new records from the New Zealand Jurassic
[43]
논문
Belemnite battlefields
[44]
논문
Belemnite extinction and the origin of modern cephalopods 35 m.y. prior to the Cretaceous−Paleogene event
http://ibayasuhiro.c[...]
[45]
논문
Molecular clocks indicate turnover and diversification of modern coleoid cephalopods during the Mesozoic Marine Revolution
[46]
논문
The Cretaceous-Tertiary biotic transition
https://www.research[...]
[47]
논문
Phylogenetic trends in phragmocone-bearing coleoids (Belemnomorpha)
[48]
논문
The old and the new plankton: ecological replacement of associations of mollusc plankton and giant filter feeders after the Cretaceous?
[49]
논문
'Min' Guardian of the Desert
https://jaauth.journ[...]
2024-09-23
[50]
논문
Fossils in folklore
[51]
논문
Fossil medicines from 'snake egg' to 'Saint's bones'; an overview
https://www.research[...]
[52]
웹사이트
Delaware state fossil - the belemnite
https://www.dgs.udel[...]
2019-02-10
[53]
간행물
지구발육사
831043/26
[54]
간행물
광물학강의 (대일본중학회삼십이년도제삼학급강의록)
987903/126
[55]
논문
Cephalopod origin and evolution: A congruent picture emerging from fossils, development and molecules: Extant cephalopods are younger than previously realised and were under major selection to become agile, shell-less predators
https://onlinelibrar[...]
2011-08
[56]
논문
Adaptations to squid-style high-speed swimming in Jurassic belemnitids
https://www.ncbi.nlm[...]
2016-1
[57]
논문
Longibelus gen. nov., a new Cretaceous coleoid genus linking Belemnoidea and early Decabrachia
https://onlinelibrar[...]
2013-09
[58]
논문
The locomotion system of Mesozoic Coleoidea (Cephalopoda) and its phylogenetic significance
https://onlinelibrar[...]
2016-10
[59]
논문
Tohokubelus gen. nov., the Oldest Belemnite from the Olenekian (Lower Triassic) of Northeast Japan
https://bioone.org/j[...]
202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