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멸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리멸과는 농어목에 속하는 물고기 과로, 약 35종의 보리멸을 포함하며 5개의 속으로 분류된다. 인도양과 서부 태평양에 분포하며, 몸길이는 평균 20cm 정도이다. 보리멸과는 낚시 대상 어종으로 인기가 높으며, 살이 희고 부드러워 소금구이, 생선회, 튀김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리멸과 - 청보리멸
청보리멸(*Sillago japonica*)은 동아시아 연안에 분포하는 실라기오속 어종으로, 상업적 가치와 낚시 인기가 높으며, 다양한 천해 환경에서 저서생활을 하고, 특징적인 부레 형태와 몸 색깔, 식성 변화, 무리 생활 및 모래 속에 숨는 습성을 가진다. - 태평양의 물고기 - 송어
송어는 연어과에 속하며 흑색 반점을 가진 어류로, 강해형과 육봉형이 있으며 동해안에서 어업 대상이며, 개체 수 감소로 보전 노력이 필요한 종이다. - 태평양의 물고기 - 연어
연어는 태평양과 북극해에 분포하며 강에서 태어나 바다에서 성장 후 산란을 위해 다시 강으로 돌아오는 어류로, 몸 색깔이 변하고 기름지느러미가 있으며 물렁뼈 비중이 높은 골격 구조를 가진 중요한 수산 자원이지만, 개체 수 감소가 심각한 문제이다. - 상업적 물고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 상업적 물고기 - 나일농어
나일농어는 아프리카 원산의 눈볼개과 민물고기로, 거대한 크기와 왕성한 식욕을 가진 최상위 포식자이지만, 빅토리아 호수 생태계 교란과 상업적 가치로 인한 낚시 대상어라는 양면성을 지닌 어종이다.
보리멸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Sillaginidae |
명명자 | Richardson, 1846 |
모식 속 | Sillago |
모식 속 명명자 | Cuvier, 1817 |
화석 범위 | 에오세 ~ 현세 |
분포 | 250px |
분포도 설명 | 생식 범위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류강 |
아강 | 신기아강 |
상목 | 극기상목 |
목 | 불확실 또는 농어목 |
아목 | 농어아목 |
하위 분류 | |
속 | 아토크기스속 Sillaginops 이트히키기스속 Sillaginopsis 키스속 Sillago 다이오우기스속 Sillaginodes Sillaginopodys속 Sillaginopodys |
2. 분류
보리멸과는 5개의 속, 약 35종으로 분류된다.[1] 1775년 페테르 포르스칼이 은색 보리멸(Sillago sihama)을 처음으로 과학적으로 기술하였고, 이후 조르주 퀴비에가 Sillago 속을 만들었다.[2][1] 1861년 테오도어 길은 ''Sillaginodes''와 ''Sillaginopsis''를 포함하는 "보리멸류의 개요"를 발표했다.[4]
1985년 롤랜드 맥케이는 보리멸과에 대한 포괄적인 검토를 발표하여 분류학적 혼란을 해결하고자 했으며,[5][6] 1992년 FAO를 위한 개요를 통해 아종들을 종으로 승격시켰다.[1]
"Sillaginidae"라는 이름은 조르주 퀴비에의 ''Sillago''에서 유래되었으며, ''Sillago''는 호주의 한 지역(아마도 실라고 암초)에서 따온 이름이다.[7][8] "sillago"는 그리스어 ''syllego''(만나다)에서 파생되었다.[9]
2. 1. 하위 속
보리멸과에는 5개의 속이 있다.[1][56][60]속 | 종 | 그림 |
---|---|---|
Sillaginodes (T.N. 길, 1861) | Sillaginodes punctatus (퀴비에, 1829) (킹 조지 보리멸) | |
Sillaginopodys (파울러, 1933) | Sillaginopodys chondropus (블리커, 1849) (클럽 풋 보리멸) | ![]() |
Sillaginops (카가, 2013) | Sillaginops macrolepis (블리커, 1858) (대형 비늘 보리멸) | ![]() |
Sillaginopsis | Sillaginopsis panijus (해밀턴, 1822) (갠지스 보리멸) | ![]() |
Sillago (퀴비에, 1816) | ![]() |
다음은 보리멸과에 속하는 현존하는 35종의 목록이며, 일부 종은 모식표본의 손실로 인해 여전히 이명으로 간주된다.[1]
카가(Kaga, 2013)는 아토키스속 ''Sillaginops''를 새롭게 설정하고, 기존 3속으로 구성되었던 보리멸과의 분류에 5속을 인정하고 있다.[56]
- 아토키스속
- * 아토키스 (アトクギス|Sillaginops macrolepis일본어)
- 실지느러미키스속
- * 실지느러미키스 (イトヒキギス|Sillaginopsis panijus일본어)
- 키스속
- * 아오기스 (アオギス|Sillago parvisquamis일본어)
- * 흰넙치 (シロギス|Sillago japonica일본어)
- * 별넙치 (ホシギス|Sillago aeolus일본어)
- * 모토기스 (モトギス|Sillago sihama일본어)
- * ヤナギムシガレイ|Sillago analis일본어
- * アラビアギス|Sillago arabica일본어
- * Sillago argentifasciata일본어
- * アサヤギス|Sillago asiatica일본어
- * Sillago attenuata일본어
- * Sillago bassensis일본어
- * Sillago boutani일본어
- * コモンギス|Sillago burrus일본어
- * Sillago caudicula일본어
- * Sillago ciliata일본어
- * Sillago flindersi일본어
- * インドアオギス|Sillago indica일본어
- * Sillago ingenuua일본어
- * タイワンアオギス|Sillago intermedius일본어
- * ダトウギス|Sillago lutea일본어
- * マダラギス|Sillago maculata일본어
- * オオキス|Sillago megacephalus일본어
- * メナシギス|Sillago microps일본어
- * Sillago nierstraszi일본어
- * Sillago robusta일본어
- * Sillago schomburgkii일본어
- * シナギス|Sillago sinica일본어
- * Sillago soringa일본어
- * スエズギス|Sillago suezensis일본어
- * Sillago vincenti일본어
- * オビギス|Sillago vittata일본어
- 다이오기스속
- * 다이오기스 (ダイオウギス|Sillaginodes punctata일본어)
- Sillaginopodys속
- * Sillaginopodys chondropus일본어
2. 2. 계통 분류
보리멸과의 계통 분류는 연구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농어목 내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7년 베탕쿠르(Betancur-R) 등[64]과 2018년 휴스(Hughes) 등[65]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베탕쿠르(Betancur-R) et al., 2017 | 휴스(Hughes) et al., 2018 |
---|---|
보리멸과는 가늘고 긴 원통형 몸체를 가지고 있으며, 약간 압축되어 있다. 머리는 끝부분에 있는 입을 향해 가늘어진다. 뾰족한 주둥이는 모래 바닥에 숨어 있는 먹이를 찾는 데 사용된다.[58]
보리멸과는 화석 기록을 통해 에오세에 처음 등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이 과는 테티스 해의 중앙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기원하여 진화했으며, 에오세 후기에 태즈메이니아 남쪽 해로가 열린 후 남부 오스트레일리아로 퍼져나간 것으로 추정된다.[1]
보리멸과 어류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요한 어업 대상이며, 몇몇 종은 멜돔 어획량의 대부분을 차지한다.[1] 높은 개체수와 좋은 맛 덕분에 상업적 어획뿐만 아니라 여러 국가에서 레크리에이션 낚시꾼에게도 인기가 높다.[1]
보리멸과 내에서는 ''Sillaginodes''와 ''Sillaginopsis'' 속이 가장 원시적인 형질을 가지며, 단형이고 ''보리멸속(Sillago)''과 구별된다.[1] ''보리멸속''은 주로 부레 형태에 따라 ''보리멸'', ''Parasillago'', ''Sillaginopodys''의 세 아속으로 더 나뉘며, 이는 진화적 관계를 나타낸다.[1]
3. 형태
등지느러미는 2개로, 서로 매우 가깝게 붙어 있거나 거의 맞닿아 있다.[57] 첫 번째 등지느러미는 10~13개의 가시줄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 번째 등지느러미는 1개의 가느다란 가시줄과 16~27개의 연조로 구성된다.[57] 뒷지느러미는 길고, 2개의 가시와 14~26개의 연조를 가진다.[60]
보리멸과는 부레가 없거나 흔적만 남아 있기도 하며, 복잡한 형태를 띠기도 한다. 부레가 존재하는 경우, 여러 돌기가 있는 복잡한 구조를 보인다.[57] 척추뼈는 32~44개로, 농어목 어류 중에서는 이례적으로 그 수가 다양하다.[57]
대부분의 종은 평균 약 20cm, 약 100g까지 자라지만,[21] 킹조지 보리멸과 같이 72cm, 4.8kg까지 자라는 대형 종도 있다.
4. 분포 및 생태
대부분의 보리멸은 해안 부근의 모래 바닥에 서식하며, 종종 해초나 암초를 은신처로 사용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갯벌, 해변 지역 등에서 서식한다. 많은 종이 기수역 환경에 서식하며, 일부 종은 기수역 상류에서도 발견된다.[25] 각 종은 종종 특정 생태적 지위를 차지하여 공존하는 보리멸과와의 종간 경쟁을 피한다.[26]
보리멸은 잡식성으로, 갯지렁이, 갯가재, 단각류 등 해저에 서식하는 저서생물을 주로 먹는다. 보리멸은 다른 많은 조기어류에 비해 잘 발달된 화학 감각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주둥이 바깥쪽 끝에 높은 미뢰 밀도를 보인다.[27]
5. 진화
올리고세 동안 보리멸과는 북쪽과 남쪽으로 분포를 넓혀, 현재의 인도-태평양 분포보다 훨씬 넓은 지역에 서식했다. 화석은 보리멸류가 폴란드와 독일 북쪽, 뉴질랜드 남쪽까지 분포했음을 보여준다.[12] 이들은 얕은 물의 퇴적층에서 현존하는 속의 다른 종들과 함께 발견되었다.[13]
최소 8종의 화석 보리멸류가 발견되었으며, 모두 이석이라는 잔해를 바탕으로 ''Sillago''속으로 분류된다. 현존하는 보리멸류 중에서는 ''Sillago maculata''만이 비교적 최근인 플라이스토세 퇴적물에서 화석으로 발견되었다.[14]종명 명명자 발견 지역 지질 시대 Sillago campbellensis (Schwarzhans, 1985) 오스트레일리아 마이오세[15] Sillago hassovicus (Koken, 1891) 폴란드 중기 마이오세[1] Sillago maculata (Quoy and Gaimard, 1824) 뉴질랜드 중기 플라이스토세[1] Sillago mckayi (Schwarzhans, 1985) 오스트레일리아 올리고세[1] Sillago pliocaenica (Stinton, 1952) 오스트레일리아 플리오세[16] Sillago recta (Schwarzhans, 1980) 뉴질랜드 후기 마이오세[1] Sillago schwarzhansi (Steurbaut, 1984) 프랑스 초기 마이오세[17] Sillago ventriosus (Steurbaut, 1984) 프랑스 후기 올리고세[1]
6. 인간과의 관계
일부 지역에서는 남획이 만연하여, 지속 가능한 양식을 통해 여러 보리멸과 종을 상업적으로 사육하고, 고갈된 강어귀를 다시 채우기 위해 양식된 물고기를 사용하기도 한다.[44]
소수의 보리멸류는 전체 어업의 기반이 될 정도로 개체수가 많으며, 킹조지 보리멸, 북부 보리멸, 보리멸,[45] 모래 보리멸, 그리고 스쿨 보리멸이 주요 종이다. FAO의 추정에 따르면, 보리멸과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과 중 하나이며, 1990년에만 약 22,718 톤이 어획되었다.[1] 보리멸류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세 나라는 필리핀, 서호주, 태국 순이다. 기록에 따르면 1983년 어획량은 17,570톤에서 1990년 22,718톤으로 증가했지만, 그 이후에는 이러한 추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호주의 최신 기록에 따르면 2006년 총 어획량은 4,372톤으로 1990년의 6,000톤에 비해 감소했다.[46]
보리멸류는 다양한 방식으로 잡히는데, 연안에서는 주로 해변 뜰 그물과 투망을 사용한다. 더 깊은 해역에서는 상업용 트롤 어선과 연승 어선이 가장 많은 물고기를 잡으며, 새우 트롤 어업에서 부수 어획물로 여러 보리멸류가 잡힌다. 이 물고기는 일반적으로 현지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신선하게 판매되며, 많은 국가에서 "아슈오스"라는 이름이 흔히 사용된다.[1]
호주와 일본에서 보리멸은 스포츠적 가치와 식용 가치 때문에 낚시꾼들에게 매우 선호되며, 일부 지역에서는 낚시꾼들이 상업 어부보다 더 많은 양을 잡기도 한다.[48] 보리멸 낚시는 해변, 강어귀, 부두 주변의 갯벌 등 접근성이 좋은 곳에서 이루어지며,[49] 조류의 움직임과 달의 위상 또한 어획량에 영향을 미친다. 낚시 도구는 물고기를 놀라게 하지 않도록 가볍게 유지하며, 미끼는 갯지렁이 등 다모류, 이매패류, 새우와 게와 같은 갑각류, 두족류, 그리고 작은 물고기 등 다양하게 사용된다. 보리멸 루어 낚시는 일반적이지 않지만, 바다 플라이나 작은 연질 플라스틱 루어, 포퍼, 스틱 미끼와 같은 표면 루어도 효과적이다.[1]
아시아와 인도에서는 여러 보리멸과 종이 기수 양식의 대상이 되며,[1] 특히 보리멸(''S. japonica'')은 식용으로 널리 사육된다. 호주에서는 모래 보리멸과 킹 조지 보리멸의 사육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현재까지는 모래 보리멸만이 상업적 생존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52]
에도 시대의 쇼군은 매월 1일, 15일, 28일 이외의 식사에는 보리멸 소금구이와 츠케야키 두 종류가 차려진 "보리멸 료요"를 먹는 것이 일과였다.[59]
6. 1. 한국에서의 보리멸
보리멸은 식용으로 이용되며, 낚시 대상 어종으로도 인기가 높다. 배 낚시나 해안에서의 훌치기 낚시는 누구나 즐길 수 있다. 과거 도쿄만에서는 얕은 곳에 사다리를 놓고 그 위에 걸터앉아 청갯지렁이를 낚는 "사다리 낚시"가 명물이었지만, 오염으로 청갯지렁이가 멸종된 이후로는 볼 수 없게 되었다. 미끼는 갯지렁이 등 다모류의 생미끼, 또는 부드러운 플라스틱의 가짜 미끼를 사용한다.
살은 지방이 적고 부드러운 흰 살로, 맛있다고 여겨진다. 소금구이 외에도, 생선회, 튀김, 프라이 등으로 조리된다.[59]
참조
[1]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2]
서적
Zoological Catalogue of Australia, Vol. 35 (2) Fishes
CSIRO
[3]
논문
Report on the ichthyology of the seas of China and Japan
https://www.archive.[...]
[4]
논문
Synopsis of the Sillaginoids
[5]
서적
FAO Species Catalogue: Vol. 14. Sillaginid Fishes Of The World
ftp://ftp.fao.org/do[...]
Food and Agricultural Organisation
[6]
논문
A Revision of the Fishes of the Family Sillaginidae
[7]
FishBase
[8]
웹사이트
Whitsunday Plan of Management Area
http://www.gbrmpa.go[...]
Australian Government
2006
[9]
FishBase
[10]
논문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Sillago nigrofasciata'' sp. nov. (Perciformes, Sillaginidae) from the southern coast of China
2021
[11]
논문
''Sillago suezensis'', a new whiting from the northern Red Sea, and status of ''Sillago erythraea'' Cuvier (Teleostei: Sillaginidae)
2014
[12]
논문
Die Tertiare Teleosteer-Fauna Neuseelands, rekonstruiert anhand von Otolithen
[13]
논문
Fish otoliths from the Korytnica Clays (Middle Miocene; Holy Cross Mountains, central Poland)
[14]
논문
The fish otolith fauna of the Te Piki Member
[15]
논문
Tertiare Otolithen aus South Australia und Victoria (Australien)
[16]
논문
Fish otoliths from the tertiary strata of Victoria, Australia
[17]
논문
Les otolithes de Teleosteens de l'oligo-miocene d'Aquitaine (sud ouest de la France)
[18]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Inc
[19]
논문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20]
간행물
Stock identification and discrimination of commercially important whitings in Australian waters using genetic criteria (FIRTA 83/16).
Centre for Marine Scienc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21]
서적
Coastal fishes of south-eastern Austral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22]
서적
Marine and Freshwater Fishes of South Australia 2nd Edition
Government Printer
[23]
논문
Impact of Red Sea Fish Migrants through the Suez Canal on the Aquatic Environment of the Eastern Mediterranean
http://environment.y[...]
2007-11-09
[24]
논문
Relationships between the movements, growth, age structures, and reproductive biology of the teleosts ''Sillago burrus'' and ''S. vittata'' in temperate marine waters
1996
[25]
논문
On the use of otoliths in the determination of age and growth of the Gangetic whiting, ''Sillago panijus'' (Ham.Buch.), with notes on its fishery in Hooghly estuary
[26]
논문
Relationships between diet and body size, mouth morphology, habitat and movements of six sillaginid species in coastal waters: implications for resource partitioning
[27]
학위논문
Sensory modalities, plasticity and prey choice in three sympatric species of whiting (Pisces: Sillaginidae)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28]
논문
Feeding habits of two sillaginid fishes, ''Sillago sihama'' and ''S. aeolus'', at Sikao Bay, Trang Province, Thailand
http://sciencelinks.[...]
[29]
논문
Juveniles of two sillaginids, ''Sillago aeolus'' and ''S. sihama'', occurring in a surf zone in the Philippines
Springer Japan
1996
[30]
논문
Relationships between diet and body size, mouth morphology, habitat and movements of six sillaginid species in coastal waters: implications for resource partitioning
Springer Berlin / Heidelberg
1997
[31]
논문
Subtropical Australian juvenile fish eat meiofauna: experiments with winter whiting Sillago maculata and observations on other species
[32]
논문
The food, feeding habits and feeding structures of the whiting species ''Sillago sihama'' (ForsskaÊ l) and ''Sillago analis'' Whitley from Townsville, North Queensland, Australia
[33]
FishBase
[34]
논문
Dietary resource partitioning among sympatric New Zealand and Australian fur seals
2005
[35]
논문
Cadmium accumulation and toxicity in the bottlenose dolphin ''Tursiops truncatus'', the common dolphin ''Delphinus delphis'', and some dolphin prey species in South Australia
[36]
논문
Comparisons between the diets of distant taxa (Teleost and Cormorant) in an Australian estuary
[37]
논문
Distribution of external parasites indicates boundaries to dispersal of sillaginid fishes in the Indo-West Pacific
CSIRO
[38]
논문
Two new lepocreadiids (Digenea) from Sillago spp. (Pisces: Sillaginidae) in Australian waters
Taylor & Francis
[39]
논문
Comparisons between the biology of two co-occurring species of whiting (Sillaginidae) in a large marine embayment
http://researchrepos[...]
Springer Netherlands
[40]
논문
Is the timing of spawning in sparid fishes a response to sea temperature regimes?
Springer Berlin / Heidelberg
[41]
논문
The swimming abilities of recently settled post-larvae of ''Sillaginodes punctata''
Doi
[42]
서적
The Larvae of Indo-Pacific Shorefishes
New South Wales University Press
[43]
논문
Larval development of King George whiting, ''Sillaginodes punctata'', school whiting, ''Sillago bassensis'', and yellow fin whiting, ''Sillago schomburgkii'' (Percoidei: Sillaginidae), from South Australian waters
Elsevier Science
[44]
서적
Brackish-water fishes: all about species, care and breeding
Aqualog
[45]
논문
Mesh selectivity of a sweeping trammel net for Japanese whiting ''Sillago japonica''
2000
[46]
간행물
Australian Fisheries Statistics 2006
http://www.abarecono[...]
ABARE
2007
[47]
서적
Australian fisheries resources
Bureau of Resource Sciences
[48]
서적
NSW Fishing Industry: Changes and Challenges in the Twenty-First Century
http://www.parliamen[...]
NSW Parliamentary Library Research Service
[49]
서적
The Australian Fishing Book
Bacragas Pty. Ltd.
[50]
서적
Guide to Favourite Australian Fish
Universal Magazines
[51]
웹사이트
Recreational Fishing Guide
http://www.dpi.vic.g[...]
Government of Victoria
[52]
웹사이트
Marine fingerling production at the Bribie Island Aquaculture Research Centre intensive green-water culture: An historical perspective
http://www.aims.gov.[...]
[53]
서적
Further development of techniques for the culture of King George whiting for commercial aquaculture or for enhancement of fish stocks in Western Australia - Final Report
Challenger TAFE
[54]
서적
広辞苑
岩波書店
[55]
웹사이트
2021-12-10
[56]
서적
Phylogenetic systematics of the family Sillaginidae (Percomorpha: order Perciformes)
[57]
서적
Fishes of the World Fourth Edition
Wiley & Sons, Inc.
[58]
서적
日本の海水魚
山と渓谷社
[59]
웹사이트
徳川将軍が毎朝食した「鱚《きす》」 脚立釣り発祥のきっかけにも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
2022-11-10
[60]
웹사이트
Sillaginidae
http://www.fishbase.[...]
FishBase
2014-07-20
[61]
웹사이트
2021-12-10
[62]
웹사이트
キス/鱚/きす
https://gogen-yurai.[...]
語源由来辞典
2023-03-10
[63]
FishBase
[64]
웹인용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Version 4
https://sites.google[...]
2017
[65]
논문
Comprehensive phylogeny of ray-finned fishes (Actinopterygii) based on transcriptomic and genomic da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