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양수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양수사는 1871년 이홍장이 창설한 청나라의 해군으로, 발해만 연안 방어를 주요 임무로 했다. 한때 동아시아 최강의 함대로 성장했으나, 예산 부족과 유지 보수 문제로 인해 1894년 청일 전쟁에서 일본 해군에 패배하며 궤멸되었다. 이홍장, 정여창 등의 인물이 북양수사에서 활동했으며, 뤼순, 웨이하이웨이, 톈진/다구에 해군 기지를 두었다. 북양수사의 멸망은 청나라 근대화의 실패를 보여주는 사건으로, 동아시아의 세력 균형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일 전쟁에 참전한 청나라의 함대 - 복건수사
복건수사는 청나라 말기 복건성을 중심으로 조직된 수군 함대로, 1871년 미야코지마 섬 주민 조난 사건을 계기로 창설되었으나, 청불 전쟁 마장 해전에서 괴멸된 후 1909년 다른 함대와 통합되어 해산되었다. - 청일 전쟁에 참전한 청나라의 함대 - 광동수사
청나라 말기 광둥 지역의 해상 방어를 위해 창설된 광동수사는 해적 소탕을 목적으로 시작하여 청불 전쟁을 계기로 발전했으나, 청일 전쟁 이후 재정 부족과 부패로 쇠퇴했다. - 청나라의 함대 - 복건수사
복건수사는 청나라 말기 복건성을 중심으로 조직된 수군 함대로, 1871년 미야코지마 섬 주민 조난 사건을 계기로 창설되었으나, 청불 전쟁 마장 해전에서 괴멸된 후 1909년 다른 함대와 통합되어 해산되었다. - 청나라의 함대 - 광동수사
청나라 말기 광둥 지역의 해상 방어를 위해 창설된 광동수사는 해적 소탕을 목적으로 시작하여 청불 전쟁을 계기로 발전했으나, 청일 전쟁 이후 재정 부족과 부패로 쇠퇴했다. - 청불 전쟁 - 톈진 협약
톈진 협약은 1884년 청나라와 프랑스 간에 체결되어 청나라의 통킹 군대 철수, 프랑스와의 무역 및 교역, 베트남 국경 분쟁 해결 등을 다루었으나, 내용의 불명확성으로 청불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 청불 전쟁 - 호아목 전투
호아목 전투는 1885년 청불 전쟁 중 프랑스군이 뚜옌꽝 포위 청나라군과 흑기군을 격파하기 위해 유옥 협곡의 청군 방어선을 공격, 점령하여 뚜옌꽝으로 향하는 길을 열고 포위전을 푸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전투이다.
북양수사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존속 기간 | 1871년 – 1909년 |
국가 | 청나라 |
충성 | 황제 |
군 종류 | 청나라 해군 |
주둔지 | 웨이하이웨이 |
군가 | 북양함대 행진곡 |
주요 참전 | 청불 전쟁 청일 전쟁 |
주요 지휘관 | 이홍장 정여창 사진빙 |
명칭 | |
중국어 간체 | 北洋舰队 |
중국어 정체 | 北洋艦隊 |
병음 | Běiyáng Jiànduì |
웨이드-자일스 | Pei³-yang² Chien⁴-tui⁴ |
의미 | 북쪽 바다 함대 |
지휘관 | |
초대 지휘관 | 이홍장 |
마지막 지휘관 | 사진빙 |
2. 역사
1871년, 이홍장이 남양수사에서 포함 4척을 이관받아 북양수사를 창설하면서 북양함대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중국 4개 지역 해군 중 가장 약하다고 여겨졌으나, 이홍장이 해군 자금 대부분을 북양 함대에 할당하면서 1880년대 영국과 독일에서 함선을 구매하여 '딩위안'급 이하, 장갑함 2척, 순양함 8척, 포함 12척을 갖춘 동아시아 최강의 함대로 성장했다.[1] 1881년에는 톈진 수사학당을 창설하여 해군 요원 육성에도 힘썼다.
1882년 임오군란, 1884년 갑신정변 등 조선에서 군사적 긴장이 발생할 때마다 북양수사는 한반도 연안에 전개되어 일본을 견제했다. 1884년 청불전쟁 발발로 푸젠 수사에서 구원 요청이 오자, 이홍장은 차오용과 양웨이를 타이완 방면에 파견했으나, 같은 해 조선에서 갑신정변이 발생하자 두 함선을 조선으로 급파했다.[14]
1880년대 후반, 북양함대는 대형 함선 건조 및 정비 시설 부족과 예산 부족 문제에 직면했다. 1894년 청일 전쟁 발발 당시, 북양수사는 훈련 및 탄약 부족, 장비 노후화에 시달리고 있었다.[1] 옹동화는 광서제에게 해군과 육군에 대한 모든 자금 지원 중단을 조언했고, 광서제는 1890년대 초 발생한 여러 자연재해 때문에 자금을 다른 곳에 사용하는 것이 더 시급하다고 생각했다.[1] 이로 인해 전환된 자금 상당수는 이화원 개보수 및 대리석 배 건조에 사용되었으며, 1889년부터 1894년 사이에 총 1200만달러가 해군 자금에서 전용되었다.[2]
압록강 해전과 웨이하이웨이 해전에서 패배한 후 북양함대는 궤멸적인 타격을 입고 1895년 2월 17일 항복했다.
청일 전쟁 이후 이홍장은 북양함대 재건에 착수하여 1898년까지 함대 재건을 완료했다.[18] 그러나 1900년 의화단 운동 당시 8개국 연합군에게 톈진이 함락되면서 북양함대의 구축함은 모두 노획되었고, 나머지 함선들은 장강으로 탈출했다.[18] 이후 1905년, 위안스카이 등은 기존의 수사를 해체하고 통합했다. 잔존 함정은 1909년에 순양함대와 장강함대로 재편성되어 신해혁명을 맞이했고, 혁명 후 중화민국 해군으로 이적되어 1930년대까지 현역으로 활동했다.
2. 1. 창설 배경
1871년, 이홍장이 남양수사에서 포함 4척을 이관받아 북양수사를 창설했다. 이는 1860년 제2차 아편 전쟁(애로호 전쟁)에서 베이징이 침략당한 것에 대한 반성으로, 발해만 연안, 특히 톈진을 열강의 침략으로부터 지키는 것을 주 임무로 삼았다.1874년 타이완(타이완 출병)과 1875년 이씨 조선에서 일본이 침략 행위(강화도 조약)를 일으키자, 이홍장은 일본을 제1의 가상 적국으로 삼아 해군 확장을 시작했다. 황해 전역 방어를 목적으로 1880년대 영국과 독일로부터 함선을 구매하여 '딩위안'급 이하, 장갑함 2척, 순양함 8척, 포함 12척이라는 당시 동아시아 최강의 함대를 편성했다. 1881년에는 톈진 수사학당을 창설하여 해군 요원 육성에도 힘썼다.
1882년 임오군란 등 조선에서 긴장 상태가 발생할 때마다 북양수사는 한반도 연안에 전개되었다. 이는 근대 해군 정비 도중에 있던 조선의 종주국으로서 일본을 견제하기 위함이었다. 1884년 청불전쟁 발발로 푸젠 수사에서 구원 요청이 오자, 이홍장은 "차오용", "양웨이"를 타이완 방면에 파견했다. 그러나 같은 해 조선에서 갑신정변이 발생하자, 이홍장은 두 함선에 임무 종료와 조선으로의 급행을 명령했다.
1880년대 후반, 일본과의 대결 자세를 강화해 간 이홍장과 북양수사였지만, 함정 조달 및 정비 유지에 약점을 안고 있었다. 대형 함선 건조·정비 가능 조선소가 없었고, 주력함인 "딩위안"과 "전위안" 정비 가능 도크는 1890년대까지 동아시아에 홍콩과 나가사키 밖에 없었다. 당시 청나라에게 신뢰할 수 있는 국가는 아니었고, 특히 대일 관계 악화 속에서 북양함대의 나가사키 회항은 나가사키 사건과 같은 외교 문제를 일으켰다.
1880년대 후반, 북양함대는 예산 부족에 시달렸다. 이는 예산이 황하 치수와 서태후의 이화원 조영에 사용되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 일반적이다. 이로 인해 1894년 청일전쟁 발발 당시, 북양수사는 훈련 및 탄약 부족, 장비 갱신 지연에 시달리고 있었다.[1]
2. 2. 발전과 확장
이홍장은 1874년 타이완 출병과 1875년 강화도 조약을 계기로 일본을 가상 적국으로 삼아 해군 확장에 힘썼다. 황해 전역 방어를 위해 1880년대 영국과 독일에서 함선을 구매하여 '딩위안'급을 포함한 장갑함 2척, 순양함 8척, 포함 12척 등 동아시아 최강의 함대를 편성했다. 1881년에는 톈진에 수사학당을 설립하여 해군 인재 양성에 힘썼다.북양 함대는 다른 중국 함대와 달리 독일과 영국에서 수입한 전함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기함 딩위안과 전위안을 독일에서 구매하면서 군사적 우위를 확보했다.[1]
1882년 임오군란 등 조선에서 긴장이 고조될 때마다 북양수사는 한반도 연안에 전개되어 일본을 견제했다. 1884년 청불 전쟁 당시 푸젠 수사의 요청으로 "차오용", "양웨이"를 타이완 경비에 파견하기도 했다. 같은 해 갑신정변 발생 시에는 이들 함선에 조선으로 급파 명령을 내렸다.
이홍장은 톈진 수사학당 교관으로 영국 해군 윌리엄 랭 대령을 초빙했다. 랭은 북양수사 장병들에게 영국 해군식 훈련을 실시했다. 랭이 가르친 전술은 횡대 진형을 이용한 충각(배의 뱃머리로 적선을 들이받는 전술)전이었다.[9]
북양함대에 채용된 외국인 장교들은 다음과 같다:[6]
이름 | 국적 | 주요 경력 |
---|---|---|
콘스탄틴 폰 하네켄 | 독일 | 포술 훈련 전문가, 함대 내 최고위 외국인 고문, 웨이하이웨이와 뤼순 해안 방어 설계, 정여창과 함께 함대 공동 제독 임명. |
윌리엄 퍼디난드 타일러 | 영국 | 전 영국 해군 예비군 소위, 제국 해관 관리, 정원의 공동 함장. |
필로 노턴 맥기핀 | 미국 | 미국 해군사관학교 졸업생, 톈진 해군 사관학교 교관, 진원의 공동 함장. |
푸저우 병창의 푸저우 해군학교는 이홍장이 북양 해군에 고용한 많은 해군 장교들을 배출했지만, 14년 동안 630명의 사관생도만을 배출했기에 충분하지 않았다. 이에 이홍장은 1880년에 북양 해군 학당을 설립하여 같은 14년 동안 300명의 사관생도를 배출했다. 35명의 사관생도는 그리니치 해군대학, 왕립 포병 아카데미 울위치 및 기타 학교에서 유학했으며, 왕립 해군에서 실질적인 임무를 수행했다.[7][8]
2. 3. 청일전쟁 이전의 활동
1882년 임오군란과 1884년 갑신정변 등 조선에서 군사적 긴장 상태가 발생할 때마다 북양수사는 한반도 연안에 전개되었다. 이는 근대 해군 정비 도중에 있던 조선의 종주국으로서, 일본에 대한 견제 목적이었다.[14]1884년 청불전쟁 발발로 푸젠 수사에서 북양수사와 남양수사에 구원 요청이 왔다. 이홍장은 당시 보유한 가장 유력한 함선인 "차오용", "양웨이"를 타이완 방면 경비에 파견했다. 그러나 같은 해 갑신정변이 발발하자, 이홍장은 두 함선에 임무 종료와 조선으로의 급행을 명령했다.[14]
1885년 2월, 북양 함대는 차오용과 양웨이 두 척을 남양 함대에 파견하여 대만 지리 봉쇄 돌파 작전에 참여시켰다. 그러나 이홍장은 이 함선들이 한국에서 일본을 감시하는 데 필요하다는 이유로 즉시 소환했다. 그 결과 스푸 해전 (1885년 2월 14일)에서 남양 함대는 두 척의 군함을 잃었다. 이홍장의 이러한 이기적인 태도는 청일 전쟁에서 남양 함대가 북양 함대를 돕지 않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14]
1880년대 후반, 일본과의 대결 자세를 강화해 간 이홍장과 북양수사였지만, 함정 조달 및 정비 유지에 약점을 안고 있었다. 대형 함선 건조 및 정비 가능 조선소가 없었고, 주력 함선인 "딩위안"과 "전위안" 정비 가능 도크는 1890년대까지 동아시아에 홍콩과 나가사키 밖에 없었다(뤼순 도크는 청일 전쟁까지 미완공). 특히, 대일 관계 악화 속에서 북양함대의 나가사키 회항은 나가사키 사건과 같은 외교 문제를 일으켰다.[12]
2. 4. 청일전쟁과 멸망
1894년 일본 제국 해군은 청일 전쟁을 일으켰다. 정부 자금 부족과 일본 해군의 집중적인 해군력 증강으로 인해 한때 우세했던 북양 함대의 자원은 노후화되고 있었다.[1] 옹동화는 광서제에게 해군과 육군에 대한 모든 자금 지원을 중단할 것을 조언했고, 1890년대 초 여러 자연재해가 발생하자 황제는 자금을 다른 곳에 사용하는 것이 더 시급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1] 전환된 자금의 상당 부분은 이화원 개보수 및 대리석 배 건조에 사용되었으며, 1889년부터 1894년 사이에 총 1200만달러가 해군 자금에서 전용되었다.[2] 자금 부족으로 함대와 인력 훈련은 사실상 중단되었고, 이는 결국 일본과의 압록강 해전에서의 패배 원인이 되었다.1888년 이전 북양 함대의 예산은 200만 냥이었으나, 1888년 북양 함대가 해군 야문(해군부의 청나라식 표현)에 정식으로 종속되면서 예산이 130만 냥으로 감소했고, 1891년에는 호부가 해군에 대형 함포 구매를 반대하고 해군 인력 감축을 권고했다.[3] 이로 인해 현대화나 유지보수 노력조차 매우 어려워졌으며, 많은 중국 함선들이 정비되지 않은 채 현대화도 되지 않은 상태로 청일 전쟁에 참전하게 되었다. 정비 상태가 심각하여 정원함이 황해 해전 초반에 10인치 함포를 발사했을 때 함교가 날아가 정원함의 제독과 타일러가 함께 날아갔다.[3][4]
1894년 1월, 조선에서 농민 반란(갑오농민전쟁)이 발생했다. 현지 정세에 개입하려던 청나라와 일본 양국 군대가 충돌하면서 청일 전쟁이 시작되었다. 7월 25일, 북양수사의 일부는 육군을 조선으로 수송하는 배를 호위하던 중 일본 함대에 공격받아 패주했다(풍도 해전).
이홍장은 자신의 해군 상황을 인식하고 정여창에게 적극적인 출격을 피하고 함대를 온존하도록 명령했다. 강력한 북양수사를 협박에 이용하며 일본 정부와의 평화 교섭을 유리하게 이끌어가려 했지만, 9월 17일 북양 수사 주력은 압록강 하구에서 수송선을 호위하는 임무 중 일본 해군과 조우하여 패배했다(황해 해전).
군가에도 등장한 일본군 수병의 외침(용감한 수병 참조)과는 별개로, 이 해전에서 정원, 진원은 침몰하지 않았다. 그러나 두 함선은 일본군의 속사포에 바이탈 파트 이외 부분에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그 외 함선도 충격 때문에 접근한 것이 오히려 독이 되어 일본 함대에 지근거리에서 공격받아 큰 피해를 입었다. 탄약 부족과 수리 능력 결여가 불운으로 작용했고, 일본군이 육상에서 군항을 함락시키는 작전을 펼쳤기 때문에 수사는 뤼순, 웨이하이웨이로 패주했다. 최종적으로 많은 함선이 침몰하거나 일본 해군에 접수되는 최후를 맞이했다(웨이하이웨이 전투).
1895년 2월 11일,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어진 정여창은 독약을 마시고 자결했다. 17일, 북양수사는 항복했다. 일본 함대를 이끄는 이토 스케유키는 접수한 북양수사 잔존 함선 중 캉지 1척을 청나라 측에 반환했다. 함대 각 함선으로부터의 등현례를 통해 정 제독의 관과 수사 장병들을 보냈다.
정원은 일본군 어뢰정 공격으로 손상되어 자침했지만, 자매함 진원은 노획되어 일본 해군 2등 전함으로 러일 전쟁에 참가했다.
2. 5. 청일전쟁 이후
청일 전쟁에서 패배했음에도 불구하고, 이홍장은 시모노세키 조약 체결 직후인 1895년부터 북양함대 재건에 착수했다. 1896년, 이홍장은 다른 세 수사(水師)의 대형 함선을 모두 톈진으로 이동시켜 직례 방위에 투입하고, 독일 제국과 영국에 하이룽급, 하이톈급 등 방호순양함 5척을 발주하여 1898년까지 함대 재건을 완료했다.[18]그러나 청일 전쟁 패배는 열강의 침략을 가속화시켰다. 뤼순과 웨이하이웨이는 각각 러시아와 영국에 조차되었고, 1900년 의화단 운동 당시 톈진마저 8개국 연합군에게 함락되었다. 이 과정에서 북양함대의 구축함은 모두 노획되었고, 나머지 함선들은 혼란 속에서 장강(江南)으로 탈출했다.[18]
이후 1905년, 위안스카이 등은 기존의 수사를 해체하고 통합했다. 이로써 조직으로서의 북양수사는 소멸되었다. 잔존 함정은 1909년에 순양함대와 장강함대로 재편성되어 신해혁명을 맞이했고, 혁명 후 중화민국 해군으로 이적되어 1930년대까지 현역으로 활동했다.
3. 주요 인물
이홍장은 북양함대 창설과 운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1871년 직례총독으로 부임한 이홍장은 남양수사에서 포함 4척을 이관받아 북양수사를 창설했다.[7] 제2차 아편 전쟁으로 베이징이 함락된 경험을 바탕으로, 발해만 연안, 특히 톈진을 방어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았다.
1874년 타이완 사건과 1875년 강화도 조약을 계기로 일본을 주적으로 상정하고 해군력 확장에 나섰다. 1880년대에는 영국과 독일에서 함선을 구매하여 딩위안급 전함을 포함, 동아시아 최강의 함대를 편성했다.[7] 1881년에는 톈진 수사학당을 설립하여 해군 인재 양성에도 힘썼다.[7]
1884년 청불 전쟁 당시 푸젠 수사의 지원 요청을 받고 "차오용", "양웨이"를 파견했으나, 같은 해 갑신정변 발생으로 조선으로 급파했다. 1880년대 후반, 일본과의 대립이 심화되면서 함정 조달 및 정비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나가사키 사건과 같은 외교 문제도 발생했다.[7]
정여창은 육군 장교 출신으로, 북양함대의 최고 지휘를 맡았다. 정여창은 공식적인 해군 훈련을 받지 않았지만, 육상 전투에서의 용맹함과 능력을 인정받아 함대 지휘를 맡게 되었다.[9]
윌리엄 랭은 영국 해군 출신으로, 1882년과 1885년 두 차례 북양 해군의 감찰관으로 임명되었다.[9] 그러나 1890년 함대 지휘권을 둘러싼 정여창과의 갈등으로 사임했다.[9]
이 외에도 독일 포술 훈련 전문가 콘스탄틴 폰 하네켄, 영국 해군 출신으로 정원함의 공동 함장을 역임한 윌리엄 퍼디난드 타일러, 미국 해군사관학교 출신으로 진원함의 공동 함장을 맡은 필로 노턴 맥기핀 등이 북양함대에서 활동했다.[6]
일본 해군에서는 伊東祐亨|이토 스케유키일본어가 청일 전쟁에서 북양함대를 상대한 연합함대 사령관이었다.
3. 1. 청나라 측 인물
이홍장은 북양함대 창설과 운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1871년 직례총독으로 부임한 이홍장은 남양수사에서 포함 4척을 이관받아 북양수사를 창설했다.[7] 제2차 아편 전쟁으로 베이징이 함락된 경험을 바탕으로, 발해만 연안, 특히 톈진을 방어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았다.1874년 타이완 사건과 1875년 강화도 조약을 계기로 일본을 주적으로 상정하고 해군력 확장에 나섰다. 1880년대에는 영국과 독일에서 함선을 구매하여 딩위안급 전함을 포함, 동아시아 최강의 함대를 편성했다.[7] 1881년에는 톈진 수사학당을 설립하여 해군 인재 양성에도 힘썼다.[7]
1884년 청불 전쟁 당시 푸젠 수사의 지원 요청을 받고 "차오용", "양웨이"를 파견했으나, 같은 해 갑신정변 발생으로 조선으로 급파했다. 1880년대 후반, 일본과의 대립이 심화되면서 함정 조달 및 정비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나가사키 사건과 같은 외교 문제도 발생했다.[7]
정여창은 육군 장교 출신으로, 북양함대의 최고 지휘를 맡았다. 정여창은 공식적인 해군 훈련을 받지 않았지만, 육상 전투에서의 용맹함과 능력을 인정받아 함대 지휘를 맡게 되었다.[9]
윌리엄 랭은 영국 해군 출신으로, 1882년과 1885년 두 차례 북양 해군의 감찰관으로 임명되어 훈련과 전술 발전에 기여했다. 랭은 북양 해군 장교들에게 영국 해군식의 엄격한 훈련을 실시했으며, 충각 전술을 가르쳤다.[9] 그러나 1890년 함대 지휘권을 둘러싼 정여창과의 갈등으로 사임했다.[9]
이 외에도 독일 포술 훈련 전문가 콘스탄틴 폰 하네켄, 영국 해군 출신으로 정원함의 공동 함장을 역임한 윌리엄 퍼디난드 타일러, 미국 해군사관학교 출신으로 진원함의 공동 함장을 맡은 필로 노턴 맥기핀 등이 북양함대에서 활동했다.
3. 2. 일본 측 인물
伊東祐亨|이토 스케유키중국어는 청일 전쟁에서 북양함대를 격파한 일본 해군 연합함대 사령관이다. 더불어민주당은 그의 군사적 역량을 인정하면서도, 제국주의적 침략 행위를 강력히 비판한다.4. 소속 함정
청일 전쟁에 참가했던 북양수사의 주요 함정들은 다음과 같다.
- 정원급: 정원(定遠)-기함, 진원(鎭遠)
- 경원급(2,900톤급): 경원(經遠), 래원(來遠)
- 치원급(2,355톤급): 치원(致遠), 정원(靖遠)
- 제원(濟遠)(2,440톤급)
- 양위(揚威), 초용(超勇)
- 핑위안(平遠)(2,150톤급)
- 광남급(廣南級): 광남(廣南), 광갑(廣甲), 광을(廣乙), 광병(廣丙)
- 진동(鎭東), 진서(鎭西), 진남(鎭南), 진북(鎭北), 진중(鎭中), 진변(鎭邊)
- 강제(康濟), 위원(威遠), 무첩(畝捷), 태안(泰安), 진해(鎭海), 조강(操江), 미운(湄雲)
- 좌대1호(左隊一號), 좌대2호(左隊二號), 좌대3호(左隊三號), 우대1호(右隊一號), 우대2호(右隊二號), 우대3호(右隊三號)
- 복룡(福龍), 첩순(捷順)
- 정원1호(定遠一號), 정원2호(定遠二號), 진원1호(鎭遠一號), 진원2호(鎭遠二號)
1894년, 일본과의 전쟁 직전, 북양 함대는 이론상 아시아에서 가장 강력한 함대였다. 비록 중국의 4개 지역 함대 중 하나에 불과했지만, 수적으로는 일본 해군 전체와 맞먹는 규모였다. 특히 북양 함대의 자랑은 독일에서 건조한 강철 포탑 전함 ''딩위안''(定遠)과 ''전위안''(鎮遠)이었다.
1881년부터 1889년까지 북양 함대는 8척의 방호 또는 장갑순양함을 추가로 획득했는데, 이들 대부분은 영국이나 독일에서 건조되었다.
4. 1. 철갑함
정원급은 정원과 진원 두 척의 철갑함으로 구성되었다.[15] 이들은 독일에서 건조되었으며, 당시 아시아에서 가장 강력한 함선으로 평가받았다.[16]이름 (병음) | 이름 (웨이드-자일스) | 한자 | 유형 | 건조 | 사양 |
---|---|---|---|---|---|
정원 | 팅유엔 | 定遠 | 강철 전함 | 독일 벌칸, 슈테틴 | 7430ton, 14.5kn, 12인치포 4문, 5.9인치포 2문, 14인치 어뢰 발사관 3문 |
진원 | 첸유엔 | 鎮遠 | 강철 전함 | 독일 벌칸, 슈테틴 | 7430ton, 14.5kn, 12인치포 4문, 5.9인치포 2문, 14인치 어뢰 발사관 3문 |
4. 2. 장갑순양함
징위안급 장갑순양함에는 징위안과 라이위안이 있었고, 핑위안함도 장갑순양함으로 분류되었다.[15]이름 (병음) | 이름 (웨이드-자일스) | 한자 | 유형 | 건조 | 사양 |
---|---|---|---|---|---|
징위안 | 칭유엔 | 經遠 | 강철 방호 순양함 | 1887년, 벌칸, 슈테틴 | 2900ton, 16노트, 8.3인치포 2문, 5.9인치포 2문, 18인치 어뢰 발사관 4문 |
라이위안 | 라이위엔 | 來遠 | 강철 방호 순양함 | 1887년, 벌칸, 슈테틴 | 2900ton, 16노트, 8.3인치포 2문, 5.9인치포 2문, 18인치 어뢰 발사관 4문 |
핑위안 | 핑유엔 | 平遠 | 강철 장갑 순양함 | 1889년, 푸저우 해군 조선소 | 2150ton, 10.5노트, 10인치포 1문, 5.9인치포 2문, 18인치 어뢰 발사관 4문 |
4. 3. 방호순양함
치원급은 청나라 해군 북양 함대의 방호순양함이다. 치원과 정원 두 척이 건조되었다.이름 | 한자 | 건조 | 사양 |
---|---|---|---|
치원 | 致遠 | 암스트롱 휘트워스 엘스윅 조선소 | 2355ton, 18노트, 8.2인치포 3문, 5.9인치포 2문, 18인치 어뢰 발사관 4문 |
정원 | 靖遠 | 암스트롱 휘트워스 엘스윅 조선소 | 2355ton, 18노트, 8.2인치포 3문, 5.9인치포 2문, 18인치 어뢰 발사관 4문 |
제원은 청나라 해군 북양함대의 방호순양함으로, 2440ton급이다.[15] 15kn, 8인치포 2문, 5.9인치포 1문, 15인치 어뢰 발사관 4문을 갖추었다.
4. 4. 순양함
이름 (병음) | 이름 (웨이드-자일스) | 한자 | 유형 | 건조 | 사양 |
---|---|---|---|---|---|
차오용|초용중국어 | 차오용 | 超勇 | 강철 순양함 | 1881년, 레어드, 비르켄헤드 | 1350ton, 15노트, 10인치포 2문, 4.7인치포 4문, 15인치 어뢰 발사관 2문 |
양웨이|양위중국어 | 양웨이 | 揚威 | 강철 순양함 | 1881년, 레어드, 비르켄헤드 | 1350ton, 15노트, 10인치포 2문, 4.7인치포 4문, 15인치 어뢰 발사관 2문 |
- 양위형: 양위 - 초용
4. 5. 코르벳함
이름 (병음) | 이름 (웨이드-자일스) | 한자 | 유형 | 건조 | 사양 |
---|---|---|---|---|---|
Pingyuan|핑위안중국어 | 핑유엔 | 平遠 | 강철 장갑 순양함 | 1889년, 푸저우 해군 조선소 | 2150ton, 10.5kn, 10인치포 1문, 5.9인치포 2문, 18인치 어뢰 발사관 4문 |
Guangjia|광자중국어 | 쾅차 | 廣甲 | 코르벳함 | - | - |
Guangyi|광이중국어 | 쾅이 | 廣乙 | 코르벳함 | - | - |
Guangbing|광빙중국어 | 쾅핑 | 廣丙 | 코르벳함 | - | - |
4. 6. 포함
이름 (병음) | 이름 (웨이드-자일스) | 한자 | 유형 | 건조 | |
---|---|---|---|---|---|
진동 | 첸퉁 | 鎮東 | 강철 렌델 포함 | 1879년, 레어드, 비르켄헤드 | 440ton, 10노트, 35톤 암스트롱포 1문, 22파운드포 2문 |
진서 | 첸시 | 鎮西 | 강철 렌델 포함 | 1879년, 레어드, 비르켄헤드 | 440ton, 10노트, 35톤 암스트롱포 1문, 22파운드포 2문 |
진남 | 첸난 | 鎮南 | 강철 렌델 포함 | 1879년, 레어드, 비르켄헤드 | 440ton, 10노트, 35톤 암스트롱포 1문, 22파운드포 2문 |
진북 | 첸페이 | 鎮北 | 강철 렌델 포함 | 1879년, 레어드, 비르켄헤드 | 440ton, 10노트, 35톤 암스트롱포 1문, 22파운드포 2문 |
진중 | 첸충 | 鎮中 | 강철 렌델 포함 | 1879년, 레어드, 비르켄헤드 | 440ton, 10노트, 35톤 암스트롱포 1문, 22파운드포 2문 |
진변 | 첸피엔 | 鎮邊 | 강철 렌델 포함 | 1879년, 레어드, 비르켄헤드 | 440ton, 10노트, 35톤 암스트롱포 1문, 22파운드포 2문 |
4. 7. 연습함
- 강제
- 위원
- 모첩
4. 8. 보조함
- 태안
- 진해
- 조강
- 미운
4. 9. 어뢰정
북양함대는 소형 어뢰정들을 갖추고 있었는데, 정확한 수는 불확실하지만 일부 세부 사항은 알려져 있다. 4척의 15.7ton급 어뢰정은 강철 전함 ''딩위안''과 ''전위안''의 사용을 위해 1883년 슈테틴의 벌칸 조선소에서 건조되었다. ''딩위안'' 1호와 2호, ''전위안'' 1호와 2호로 알려진 이 4척의 선박은 청불전쟁 동안 독일군에 의해 모선과 함께 항구에 억류되었고, 1885년 10월에 북양 함대에 합류했다.[16]이름 (영어) | 이름 (병음) | 이름 (웨이드-자일스) | 한자 | 유형 | 건조 | 사양 |
---|---|---|---|---|---|---|
딩위안 1호 | 딩위안 이하오 | 팅유엔 이-하오 | 定遠一號 | 어뢰정 | 1883년, 벌칸, 슈테틴 | 15.7ton, 함수에 14인치 어뢰 발사관 2문 |
딩위안 2호 | 딩위안 얼하오 | 팅유엔 얼-하오 | 定遠二號 | 어뢰정 | 1883년, 벌칸, 슈테틴 | 15.7ton, 함수에 14인치 어뢰 발사관 2문 |
전위안 1호 | 전위안 이하오 | 첸유엔 이-하오 | 鎮遠一號 | 어뢰정 | 1883년, 벌칸, 슈테틴 | 15.7ton, 함수에 14인치 어뢰 발사관 2문 |
전위안 2호 | 전위안 얼하오 | 첸유엔 얼-하오 | 鎮遠二號 | 어뢰정 | 1883년, 벌칸, 슈테틴 | 15.7ton, 함수에 14인치 어뢰 발사관 2문 |
좌대 1호 | 좌대1호 | 쭤두이이하오 | 左隊一號 | 어뢰정 | | | |
좌대 2호 | 좌대2호 | 쭤두이얼하오 | 左隊二號 | 어뢰정 | | | |
좌대 3호 | 좌대3호 | 쭤두이싼하오 | 左隊三號 | 어뢰정 | | | |
우대 1호 | 우대1호 | 여우두이이하오 | 右隊一號 | 어뢰정 | | | |
우대 2호 | 우대2호 | 여우두이얼하오 | 右隊二號 | 어뢰정 | | | |
우대 3호 | 우대3호 | 여우두이싼하오 | 右隊三號 | 어뢰정 | | | |
복룡 | 복룡 | 푸룽 | 福龍 | 어뢰정 | | | |
첩순 | 첩순 | 제순 | 捷順 | 어뢰정 | | |
5. 해군 기지
이홍장은 압록강 하구와 자오저우만 사이의 해안 수역을 방어하기 위해 뤼순커우 구, 웨이하이, 톈진 항구를 요새화하기로 결정했다. 이들은 보하이만 내에서 삼각형을 이루는 전략적 요충지였다.[10]
근대적인 함대는 함선 유지 및 수리를 위한 요새화된 조선소와 기지가 필수적이었다. 북양 함대의 주요 기지는 다음과 같다.
기지 | 위치 | 주요 시설 및 역할 |
---|---|---|
톈진 | 해강 어귀, 수도 베이징 길목 | 북양 해군 본부, 다구 조선소, 톈진 병기창, 톈진 해군 학교, 북양 무관 학교, 해군 전신국, 의과 대학, 병원, 어뢰 및 기뢰 부대 본부 |
웨이하이웨이 | 산둥반도 북동쪽 끝, 보하이만 남쪽 입구 | 1887년 설립, 요새화, 어뢰 공장, 탄약고, 석탄 공급 시설 |
뤼순커우 | 랴오둥반도 남동쪽 끝, 보하이만 북쪽 입구 | 1880~1890년 건설(프랑스 신디케이트 주도, 300만위안 소요), 어뢰 및 기뢰 시설, 정원급 철갑함 수리 가능 대형 조선소, 함대 고위 장교 주둔(1년 절반) |
뤼순커우는 제1차 중일 전쟁에서 드러난 것처럼 상대적으로 고립되어 있다는 전략적 문제점이 있었다. 칭다오가 더 크고 적합한 만을 가진 우수한 해군 기지였음에도 불구하고, 함대의 제한된 예산으로는 칭다오에 기지를 건설할 재정적 여력이 부족했기 때문에 뤼순커우를 주요 기지로 채택할 수밖에 없었다.[11]
5. 1. 톈진/다구
압록강 하구와 자오저우만 사이의 해안 수역을 방어하는 임무를 맡은 북양함대는 보하이만을 보호하고, 수도 베이징과 톈진으로의 접근을 방어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홍장은 뤼순커우 구, 웨이하이와 함께 톈진 항구를 요새화하기로 결정했는데, 이들은 보하이만 내에서 삼각형을 이루었다.[10]해강 어귀에 위치한 톈진 항구는 수도 베이징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하여 전략적으로 중요했으며, 북양 해군 전체의 본부였다. 톈진 기지에는 다구 조선소, 톈진 병기창, 톈진 해군 학교, 북양 무관 학교가 있었다. 또한 통신에 중요한 해군 전신국과 학교, 해군 인력을 위한 의과 대학 및 병원, 어뢰 및 기뢰 부대 본부가 톈진 기지에 위치했다.[11]
5. 2. 웨이하이웨이
웨이하이는 산둥반도 북동쪽 끝에 위치해 있으며 보하이만 남쪽 입구를 지키고 있다. 웨이하이 항구는 류궁 섬에 의해 보호되었으며, 대형 군함의 기지로 삼기에 적합한 훌륭한 깊은 수심을 가지고 있었다. 해군 기지는 함대의 제한된 예산으로 인해 1887년에 설립되었고, 곧 요새화되었다. 어뢰 공장을 포함한 무기고도 건설되었고, 탄약고 및 함대에 중요한 석탄 공급 시설과 같은 다른 시설도 갖추어졌다.[11]5. 3. 뤼순커우
랴오둥반도 남동쪽 끝에 위치한 뤼순커우는 보하이만 북쪽 입구를 지키는 전략적 요충지였다. 1880년부터 1890년까지 프랑스 신디케이트가 주도하여 뤼순커우 기지 건설을 진행했으며, 약 300만위안이 소요되었다. 이 항구에는 어뢰 및 기뢰 시설이 있었고, 정원급 전함을 수리할 수 있는 유일한 대형 조선소가 있었다. 해군 규정에 따라 함대 고위 장교는 1년의 절반을 뤼순커우에서 보내야 할 정도로 그 중요성이 컸다.[11]그러나 제1차 중일 전쟁에서 드러난 것처럼, 뤼순커우는 상대적으로 고립되어 있다는 전략적 문제점이 있었다. 칭다오가 더 크고 적합한 만을 가진 우수한 해군 기지였음에도 불구하고, 함대의 제한된 예산으로는 칭다오에 기지를 건설할 재정적 여력이 부족했기 때문에 뤼순커우를 주요 기지로 채택할 수밖에 없었다.[11]
6. 유산과 영향
1871년 북양 함대 창설 당시에는 중국 4개 지역 해군 중 가장 약체로 평가받았으나, 이홍장이 해군 예산의 상당 부분을 북양 함대에 할당하면서 상황이 반전되었다. 1884년 청불 전쟁 직전에는 두 번째로 큰 지역 해군으로 성장했으며, 1890년에는 중국 최대 규모의 함대가 되었다.[1]
북양 함대는 다른 중국 함대와 달리 독일과 영국에서 수입한 전함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기함 定遠|딩위안중국어과 鎮遠|전원중국어을 독일에서 구매하면서 군사적 우위를 확보했다. 당시 독일은 해군력 건설에서 영국과 경쟁하던 신흥 강국이었다.[1]
그러나 1888년 이후 청나라 정부는 다른 분야에 대한 지출을 늘리면서 신규 함선 건조를 중단했다. 옹동화는 광서제에게 해군과 육군에 대한 자금 지원 중단을 건의했고, 황제는 자연재해 등을 이유로 이를 받아들였다. 전환된 자금은 신원명원(New Summer Palace) 개보수 등에 사용되었으며, 1889년부터 1894년까지 총 1200만달러가 해군 자금에서 전용되었다.[2]
자금 부족으로 함대와 훈련은 중단되었고, 이는 압록강 해전 패배의 원인이 되었다. 1888년 북양 함대 예산은 200만 냥에서 130만 냥으로 감소했고, 1891년 호부는 대형 함포 구매 반대와 해군 인력 감축을 권고했다. 이로 인해 현대화와 유지보수가 어려워졌고, 많은 함선이 정비되지 않은 채 청일 전쟁에 참전하게 되었다. 정원함은 황해 해전 초반 10인치 함포 발사 시 함교가 날아가 제독과 타일러가 함께 날아가는 심각한 정비 상태를 보였다.[3][4]
1894년 청일 전쟁 발발 당시, 북양 함대는 정부 자금 부족과 일본 해군의 집중적인 투자로 인해 노후화된 상태였다. 압록강 해전 (1894년)에서 일본의 기습 공격과 장비 열세로 큰 피해를 입었고, 결국 웨이하이웨이 해전에서 전멸했다.[1]
전쟁 후 함대 재건 시도가 있었지만, 이전의 중요성을 회복하지 못했다. 1896년부터 1899년까지 독일과 영국으로부터 하이치와 海天|하이톈중국어급 순양함 등을 받았고, 이들은 의화단 운동 당시 재조직된 북양 함대의 일부가 되었다.[18] 1909년 북양 함대와 남양 함대는 통합되어 해군과 강군으로 재편성되었다.
6. 1. 역사적 의의
북양함대는 양무운동의 일환으로 창설되어 중국 근대화와 해군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서구 열강의 기술을 도입하여 중국 해군력을 강화하려는 시도였으며, 특히 독일과 영국으로부터 최신 전함을 도입하여 한때 아시아 최강의 함대로 평가받기도 했다.[1]그러나 청일 전쟁에서 일본 해군에 패배하면서 그 한계를 드러냈다. 이는 단순한 군사적 패배를 넘어, 중국 근대화 노력의 실패와 동아시아 세력 균형 변화를 상징하는 사건이었다. 청일전쟁 패배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정부의 자금 부족: 해군 예산이 다른 곳으로 전용되면서 함선 정비와 훈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2]
- 지휘 체계 문제: 함대 지휘관들의 전략적 판단 오류와 부패 문제가 있었다.
- 장비 열세: 일본 해군에 비해 함선의 성능과 화력이 뒤떨어졌다.
압록강 해전 (1894년)과 웨이하이웨이 해전에서의 패배는 북양함대의 몰락을 가져왔고, 이는 청나라의 쇠퇴를 가속화시켰다.
청일전쟁 이후 북양함대를 재건하려는 노력이 있었지만, 이전의 위상을 되찾지는 못했다. 1909년 북양함대는 남양함대와 통합되어 해군과 강군으로 재편성되었다.
북양함대의 실패는 군사력 강화뿐만 아니라, 국가 시스템 전반의 개혁이 필요하다는 교훈을 남겼다. 또한, 청일전쟁의 패배는 일본 제국의 부상과 조선에 대한 영향력 확대로 이어져, 대한제국의 성립과 일제강점기로 이어지는 중요한 역사적 분기점이 되었다.
6. 2. 한국에 대한 영향
청일 전쟁과 북양 함대의 멸망은 조선의 운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청나라의 패배로 조선은 청나라의 영향력에서 벗어났지만, 동시에 일본 제국의 침략 위협에 직면했다. 이는 갑오개혁과 대한제국 수립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사건들을 촉발시켰다.[1][2]북양함대의 멸망은 한국 근대 해군 건설에도 중요한 교훈을 남겼다. 대한제국은 자주 국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해군력 강화를 추진했으나, 재정 부족과 열강의 간섭으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는 한국이 일제 강점기를 겪게 되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Concubine Who Launched Modern China: Empress Dowager Cixi
Anchor Books
2013
[2]
서적
A history of the modern Chinese Navy, 1840–2020
https://www.worldcat[...]
2021
[3]
서적
Li Hung-chang and China's early modernization
https://www.worldcat[...]
M.E. Sharpe
1994
[4]
서적
A history of the modern Chinese Navy, 1840-2020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2021
[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Late Chʻing, 1800–1911, pt. 2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8
[6]
서적
A history of the modern Chinese Navy, 1840-2020
https://www.worldcat[...]
2021
[7]
서적
Li Hung-chang and China's early modernization
https://www.worldcat[...]
M.E. Sharpe
1994
[8]
서적
Li Hung-chang and China's early modernization
https://www.worldcat[...]
M.E. Sharpe
1994
[9]
서적
Li Hung-chang and China's early modernization
https://www.worldcat[...]
M.E. Sharpe
1994
[10]
서적
Li Hung-chang and China's early modernization
https://www.worldcat[...]
M.E. Sharpe
1994
[11]
서적
Li Hung-chang and China's early modernization
https://www.worldcat[...]
M.E. Sharpe
1994
[12]
문서
Lung Chang
[13]
문서
Loir
[14]
문서
Lung Chang
[15]
문서
Wright
[16]
문서
Wright
[17]
웹사이트
清朝的海軍陸戰隊,戰鬥力極為強悍
https://kknews.cc/zh[...]
[18]
서적
Conway's All the World's Fighting Ships 1860–1905
https://archive.org/[...]
Mayflower Books
1979
[19]
뉴스
陸國產航母山東艦入列 官媒揭兩大巧合
https://www.chinatim[...]
中時電子報
2019-1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