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랑과 슬픔의 볼레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랑과 슬픔의 볼레로는 193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프랑스, 독일, 러시아, 미국 등 4개국 네 음악가 가문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다. 제2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실존 인물들을 모델로 한 등장인물들의 삶을 통해 전쟁의 비극과 인간의 슬픔, 그리고 희망을 그린다. 1981년 파리에서 열린 자선 콘서트에서 모리스 라벨의 볼레로 연주를 통해 네 가문의 이야기가 하나로 연결되며, 로베르 오세인, 니콜 가르시아, 제랄딘 채플린 등이 출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클로드 를루슈 감독 영화 - 레 미제라블 (1995년 영화)
    레 미제라블 (1995년 영화)는 클로드 를루슈가 감독하고 빅토르 위고의 소설을 각색하여 앙리 포르탱의 일대기를 제2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그린 영화이며, 장 폴 벨몽도 등이 출연하고 프랑스 박스 오피스 1위를 기록했다.
  • 클로드 를루슈 감독 영화 - 남과 여 (1966년 영화)
    《남과 여》는 클로드 를루슈 감독의 1966년 프랑스 로맨스 영화로, 사별의 아픔을 가진 남녀가 만나 사랑을 시작하는 과정을 감각적인 영상과 음악으로 담아내어 아카데미 외국어영화상,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등을 수상했고, 프란시스 레이의 영화 음악도 큰 인기를 얻었다.
  • 미셸 르그랑 영화 음악 - 쉘부르의 우산
    《쉘부르의 우산》은 1964년 프랑스 뮤지컬 영화로, 1957년부터 1963년까지의 쉘부르를 배경으로 우산 가게 소녀 쥬느비에브와 자동차 정비공 기의 사랑과 이별을 알제리 전쟁을 배경으로 그려낸 작품이다.
  • 미셸 르그랑 영화 음악 - 삼총사 (1973년 영화)
    리처드 레스터 감독의 영화 《삼총사》는 알렉상드르 뒤마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마이클 요크, 올리버 리드, 프랭크 핀레이, 리처드 체임벌린 등이 출연하여 왕비의 다이아몬드 목걸이를 되찾기 위한 달타냥과 삼총사의 모험을 그리고 있으며, 라켈 웰치가 골든 글로브상 뮤지컬·코미디 부문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홀로코스트 영화 - 쉰들러 리스트
    《쉰들러 리스트》는 스티븐 스필버그가 감독한 1993년 영화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오스카 쉰들러가 홀로코스트에서 유대인들을 구출한 실화를 흑백 화면으로 생생하게 묘사하며, 인간의 선과 악, 홀로코스트의 비극을 다룬다.
  • 홀로코스트 영화 - 피아니스트 (2002년 영화)
    로만 폴란스키 감독의 영화 《피아니스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의 박해를 피해 생존하려는 폴란드계 유대인 피아니스트 브와디스와프 슈필만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작품으로, 아드리언 브로디가 주연을 맡아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과 아카데미 감독상, 남우주연상, 각색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사랑과 슬픔의 볼레로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제Les Uns et les Autres
감독클로드 를르슈
제작자클로드 를르슈
각본클로드 를르슈
출연로베르 오셍
니콜 가르시아
제랄딘 채플린
다니엘 올브리프스키
조르주 돈
파니 아르당
자크 빌레렛
리샤르 보랭제
제임스 칸
리타 폴부르드
마르샤 메릴
음악미셸 르그랑
프랑시스 레이
피에르 바루
장 얀
마르크 드 루체크
촬영장 보페티
편집유그 달무아
소피 보
배급사Parafrance
일본 헤럴드
개봉일1981년 5월 27일
미국: (뉴욕 시)
1981년 10월 16일
상영 시간184분
제작 국가프랑스
언어프랑스어
독일어
영어
러시아어
흥행 수익2430만 달러
기타 정보
칸 영화제http://www.festival-cannes.com/en/archives/ficheFilm/id/1731/year/1981.html
JPBox-Officehttp://www.jpbox-office.com/fichfilm.php?id=7234
WOWOWhttp://www.wowow.co.jp/detail/014971

2. 줄거리

이 영화는 193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프랑스, 독일, 러시아, 미국 네 나라의 음악가 가문들이 겪는 파란만장한 일대기를 그린다. 각기 다른 국적과 배경을 가진 이들은 음악에 대한 뜨거운 열정을 공유하며 제2차 세계 대전이라는 거대한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서로 다른 운명을 맞이한다. 영화 속 등장인물들은 허구이지만, 조세핀 베이커,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글렌 밀러, 에디트 피아프, 루돌프 누레예프 등 실존했던 유명 예술가들을 모델로 하고 있다.

이야기는 1930년대 각기 다른 도시에서 시작된다. 모스크바의 발레리나 타티아나, 파리의 바이올리니스트 안, 베를린의 피아니스트 카를, 뉴욕의 재즈 밴드 리더 글렌은 각자의 위치에서 음악과 함께 삶을 꾸려나간다. 결혼, 출산 등 개인적인 기쁨과 성취를 경험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이들의 삶은 송두리째 흔들린다.

전쟁은 이들에게 깊은 상처와 비극을 안긴다. 타티아나는 남편을 전장에서 잃고, 유대인인 안과 그녀의 남편 시몽은 나치 강제 수용소로 끌려가며 생이별을 겪는다. 카를은 히틀러 앞에서 연주했던 경력이 평생의 굴레가 되며, 점령군으로 프랑스에 머물기도 한다. 글렌은 전쟁터에서 병사들을 위한 위문 공연을 이어간다.

전쟁이 끝난 후, 살아남은 이들과 그들의 다음 세대는 각자의 방식으로 상처를 극복하고 새로운 삶을 모색한다. 타티아나의 아들 세르게이는 세계적인 발레리노가 되지만 서방으로 망명하고, 글렌의 딸 사라는 어머니의 뒤를 이어 가수로 활동한다. 카를은 지휘자로 명성을 얻지만 과거사 문제로 고통받고, 안은 홀로코스트의 아픔 속에서도 잃어버린 아들을 찾아 헤맨다. 안의 아들 다비드는 부모를 모른 채 성장하여 작가가 되고, 결국 극적으로 어머니와 재회한다.

영화의 마지막은 1981년 파리 팔레 드 샤이요에서 열리는 적십자유니세프 주최 자선 콘서트로 장식된다. 라벨볼레로가 연주되는 가운데, 세르게이가 춤을 추고 카를이 지휘하며 사라가 노래한다. 이 공연은 전쟁과 이념을 넘어 음악으로 하나 되는 화합의 메시지를 전달하며, 흩어졌던 네 가문의 이야기가 장대한 운명의 교향곡처럼 하나로 모이는 감동적인 순간을 선사한다.

2. 1. 1930년대: 격동의 서막

영화는 1930년대를 시작으로 프랑스, 독일, 러시아, 미국 네 나라 음악가 가문의 이야기를 다룬다. 각기 다른 배경을 가진 이들의 삶은 음악이라는 공통된 열정 아래 펼쳐지지만, 시대의 격랑 속에서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된다.[1]

1936년 모스크바, 촉망받는 발레리나 타티아나는 라벨볼레로를 과제곡으로 한 오디션에서 아쉽게 1등을 놓치지만, 심사위원이었던 보리스의 눈에 띄어 인연을 맺는다. 두 사람은 결혼하여 아들을 낳지만, 행복은 오래가지 못하고 보리스는 곧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게 된다.[2][3]

같은 시기 파리의 한 카바레에서는 젊은 바이올리니스트 안이 활동했다. 그녀는 그곳에서 만난 유대인 피아니스트 시몽 메이어와 사랑에 빠져 결혼하고 아들을 낳는다. 하지만 나치의 위협이 점점 커지면서 유대인인 이들 부부의 미래에는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운다.[2][3]

베를린에서는 피아니스트 카를 크레머가 히틀러 앞에서 직접 피아노를 연주할 기회를 얻는다. 히틀러의 칭찬을 받은 그는 성공을 확신하며 기쁨에 차 집으로 돌아가 임신한 아내에게 소식을 전한다. 그러나 이 영광은 훗날 그의 인생에 씻을 수 없는 굴레가 된다.[2][3]

한편 뉴욕에서는 재즈 밴드를 이끄는 글렌(원본 소스에서는 '잭 글렌'으로도 표기)이 라디오 방송을 통해 인기를 얻고 있었다. 그는 공연 중 라디오를 통해 둘째 아이를 출산한 아내에게 축하 메시지를 보내는 등 성공 가도를 달리고 있었다.[2][3]

그러나 영국과 프랑스가 독일에 선전포고를 하면서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고, 평화롭던 이들의 삶은 송두리째 흔들리기 시작한다.[3]

2. 2. 제2차 세계 대전: 비극과 상처

제2차 세계 대전은 영화의 주요 사건으로, 네 음악가 가문의 운명을 뒤섞는 계기가 된다. 영국과 프랑스가 독일에 선전 포고를 하면서 전쟁이 발발하자, 등장인물들의 삶은 큰 변화를 맞이한다.

러시아의 발레리나 타티아나는 남편 보리스가 제2차 세계 대전 중 전사하는 비극을 겪는다. 파리의 바이올리니스트 안과 피아니스트 시몽 부부는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나치 강제 수용소로 끌려간다. 이송되는 기차 안에서 안은 어린 아들을 살리기 위해 목숨을 걸고 선로 밖에 내려놓는다. 이후 부부는 헤어지고, 남편 시몽은 가스실에서 희생된다. 안이 기차 밖에 내려놓은 아기는 길을 지나던 행인에게 발견되어 교회에 맡겨진다.

독일의 피아니스트 카를은 점령군으로 프랑스에 주둔하며 프랑스인 가수 에블린과 만나 관계를 맺고, 에블린은 그의 아이를 임신한다. 미국의 재즈 밴드 리더 잭 글렌은 전선에서 병사들을 위한 위문 공연을 펼친다.

전쟁이 끝난 후에도 그 상처는 깊게 남는다. 포로 생활을 마치고 독일로 송환된 카를은 베를린 공습으로 인해 아들을 잃었음을 알게 된다. 글렌은 해방된 파리 광장에서 연주한 뒤 미국으로 돌아가 따뜻한 환영을 받는다. 반면, 카를의 연인이었던 에블린은 전후 프랑스에서 "독일인과 관계를 맺은 여자"라는 이유로 부역자로 몰려 박해를 받고 고향으로 쫓겨난다. 강제 수용소에서 기적적으로 살아남은 안은 홀로 남아 잃어버린 아들을 찾아 헤매는 고독한 삶을 이어간다.

2. 3. 종전 후: 슬픔과 희망의 교차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각 인물들은 전쟁의 상흔과 새로운 현실에 직면한다. 모스크바의 타티아나는 전사한 남편 보리스를 뒤로하고 재혼하여 발레 교습소를 운영하며 아들 세르게이에게 발레를 가르친다. 파리의 안느는 나치 강제 수용소에서 홀로 생환하지만, 남편 시몽은 가스실에서 희생되었음을 알게 된다. 그녀는 옛 카바레 동료들과 다시 음악 활동을 시작하며 생계를 꾸리고, 동시에 기차역 주변을 맴돌며 홀로코스트 당시 필사적으로 선로에 내려놓았던 아들 다비드의 행방을 수소문한다.

독일의 피아니스트 카를 크레머는 프랑스에서 포로로 잡혔다가 송환되지만, 베를린은 연합군의 공습으로 폐허가 되었고 그 과정에서 아들을 잃는 비극을 겪는다. 점령군 시절 프랑스에서 만난 가수 에블린과의 관계는 전쟁 후 그녀에게 큰 시련을 안긴다. 에블린은 "독일인과 관계를 맺은 여성"이라는 사회적 낙인 속에서 박해를 받고 상심한 채 고향으로 돌아간다. 반면, 미국의 재즈 밴드 리더 잭 글렌은 해방된 파리 광장에서 위문 공연을 펼친 후 고국으로 개선하여 동료와 가족들의 따뜻한 환영을 받는다.

시간이 흘러 1960년대, 전쟁의 상처가 점차 아물고 세계가 부흥을 향해 나아가면서 이야기는 다음 세대로 이어진다. 타티아나의 아들 세르게이는 볼쇼이 발레단의 간판 무용수로 성장하지만, 파리 오페라 극장 공연 중 서방 세계로의 망명을 선택한다. 글렌의 아내이자 가수였던 수잔은 불의의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나지만, 그녀의 음악적 재능은 딸 사라에게 이어진다. 사라는 오빠 제이슨의 도움을 받아 가수로 활동하며 성공을 거둔다.

카를 크레머는 피아니스트에서 지휘자로 전향하여 세계적인 명성을 얻지만, 과거 히틀러 앞에서 연주하고 칭송받았던 이력은 그의 발목을 잡는다. 미국 공연에서는 나치 부역 의혹으로 인해 관객 없는 공연이라는 굴욕을 겪기도 한다. 에블린은 고향에서 조용히 생을 마감하고, 그녀의 딸 에디트는 도시에서 성공을 꿈꾸지만 약혼자의 배신 등 여러 어려움을 겪으며 댄서와 아나운서로 활동한다.

한편, 안느는 여전히 아들을 버렸던 기차역 주변을 찾아 헤매며 다비드의 행방을 포기하지 않는다. 부모를 알지 못한 채 성장한 다비드는 건실한 청년으로 성장하여 알제리 전쟁에 참전한 후 작가로 활동하며 자신의 파란만장한 삶을 담은 책을 출판한다. 이 책을 본 안느의 옛 음악 동료가 다비드를 찾아오고, 그는 오랫동안 자신을 찾아 헤맨 어머니 안느가 노령으로 인한 치매를 앓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수소문 끝에 정신병원에 입원한 안느를 찾아낸 다비드는 마침내 어머니와 감격적인 재회를 이룬다.

2. 4. 1960년대: 새로운 세대의 이야기

마침내 전쟁의 상처가 아물고 세계가 부흥을 향해 나아가던 1960년대, 이야기는 다음 세대로 이어진다.

  • '''타티아나의 아들 세르게이''': 볼쇼이 발레단의 간판 스타 무용수로 성장하지만, 파리 오페라 극장 공연 중 서방으로 망명한다. 이는 냉전 시대 소련 예술가의 망명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다. (모델: 루돌프 누레예프)
  • '''글렌의 자녀들''': 글렌의 아내이자 가수였던 수잔은 교통사고로 사망한다. 하지만 그녀의 음악적 재능은 딸 사라에게 이어져 가수로 활동하게 되고, 오빠 제이슨이 매니저를 맡아 돕는다. 사라는 레인코트에 장화를 신고 노래하는 뮤직 비디오를 촬영하는 등 새로운 시대의 방식으로 활동한다.
  • '''카를 크레머''': 피아니스트에서 지휘자로 전향하여 세계적인 명성을 얻는다. 그러나 미국에서의 공연 때, 과거 나치 시절 히틀러와 가까이 지냈다는 이유로 관객 없는 공연을 강요받는 등 과거사 문제로 인한 어려움을 겪는다. (모델: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 '''에블린의 딸 에디트''': 어머니 에블린은 고향에서 사망하고, 딸 에디트는 도시에서의 성공을 꿈꾼다. 약혼자의 배신과 같은 어려움을 겪지만, 댄서나 아나운서로 활동하며 자리를 잡으려 노력한다.
  • '''안느와 아들 다비드''': 안느는 강제 수용소에서 살아남은 후에도 아들을 버렸던 기차역 주변을 맴돌며 행방을 계속 찾는다. 한편, 안느의 아들 다비드는 부모를 알지 못한 채 성장하여 알제리 전쟁에 참전한 후 작가로 활동한다. 자신의 파란만장한 삶을 담은 책을 출판하고, 이 책을 본 안느의 옛 음악 동료를 통해 어머니의 소식을 듣게 된다. 마침내 다비드는 노령으로 치매를 앓고 있는 안느를 정신병원에서 찾아 재회한다.

2. 5. 1981년: 운명의 볼레로

1981년, 적십자유니세프가 주최하는 자선 콘서트가 파리에서 열렸다.

이 콘서트에서는 라벨볼레로가 연주되었다. 공연 시작을 알리는 역할은 에디트가 맡았으며, 타티아나의 아들 세르게이가 발레 공연을 선보였고, 카를이 오케스트라를 지휘했다. 글렌의 딸 사라가 노래를 부르는 이 감동적인 공연은 공연장에 모인 사람들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관계자들에게도 깊은 감동을 선사하며 각자의 방식으로 지켜보게 되었다.

3. 등장인물

배역배우일본어 더빙
후지 TV판 (1985년 11월 2일 『골든 서양 극장』)
잭 글렌 / 제이슨 글렌제임스 칸쿠로사와 료
시몽 메이어 / 로베르 프라로베르 오셍코바야시 오사무
수잔 글렌 / 사라 글렌제랄딘 채플린코하라 노리코
안 메이어니콜 가르시아타지마 레이코
카를 크레머다니엘 올브리흐스키츠카야마 마사네
보리스 이토비치 / 세르게이 이토비치호르헤 돈하라 야스요시
패트릭 플라마뉘엘 젤랭
타티아나 이토비치 / 나디아 이토비치리타 풀부르드
마그다 크레머마샤 메릴
에블린 / 에디트에블린 부익스
자크자크 빌레레
프랑시스프랑시스 위스텔
리처드리처드 보링거
필립 루제장-클로드 부티에
내레이터이토 소이치
기타이로카와 쿄코, 아리마 미즈카, 이이 아츠시, 스즈키 레이코, 미키 사치코, 코노시마 아이코, 무라마츠 야스오, 요코오 마리, 아사카미 요코, 우에다 토시야, 토쿠마루 칸, 센다 미츠오, 이나바 미노루, 미즈시마 유, 미키모토 히데유키, 오오하시 요시에, 오오타키 신야, 니시무라 토모미치, 시마 슌스케, 키쿠치 히데히로
연출미즈모토 칸
번역이리에 아츠코
제작작 프로모션
해설타카시마 타다오


3. 1. 주요 인물


  • 로베르 오셍 - 시몽 메이어 / 로베르 프라 역
  • 니콜 가르시아 - 안 메이어 역
  • 제랄딘 채플린 - 수잔 글렌 / 사라 글렌 역
  • 제임스 칸 - 잭 글렌 / 제이슨 글렌 역
  • 다니엘 올브리흐스키 - 카를 크레머 역
  • 장-클로드 부티에 - 필립 루제 역
  • 호르헤 돈 - 보리스 이토비치 / 세르게이 이토비치 역
  • 리타 풀부르드 - 타티아나 이토비치 / 나디아 이토비치 역
  • 마샤 메릴 - 마그다 크레머 역
  • 에블린 부익스 - 에블린 / 에디트 역
  • 프랑시스 위스텔 - 프랑시스 역
  • 레이몽 펠르랭 - M. 레이몽 역
  • 마르트 빌라롱가 - 에디트의 할머니 역
  • 폴 프레보스트 - 에디트의 할아버지 역
  • 장-클로드 브리알리 - 리도 단장 역
  • 파니 아르당 - 베로니크 역
  • 자크 빌레레 - 자크 역
  • 리처드 보링거 - 리처드 역
  • 니콜 크루아실 - 본인 역
  • 지네트 가르생 - 지네트 역
  • 장-피에르 칼퐁 - 앙투안 신부 역
  • 즈느비에브 미니치 - 잔, 자크의 어머니 역
  • 에바 달라 - 에바 역
  • 어니 개럿 - 바비 역
  • 페오도르 아트킨 - 알렉시스 역
  • 장-피에르 카스탈디
  • 미셸 모레티
  • 알렉산드라 스튜어트
  • 프랑시스 레이
  • 배리 프리머스
  • 발레리 퀘네센 - 프랑시스 위스텔의 여자친구 역
  • 브리지트 루앙 (감독판 출연)
  • 샤론 스톤 - 글렌 시니어와 침대에 있는 소녀 역 (크레딧 없음)
  • 미셸 리바드 (감독판 출연)

3. 2. 조연


  • 다니엘 올브리흐스키 - 카를 크레머 역
  • 호르헤 돈 - 보리스 이토비치 / 세르게이 이토비치 역
  • 리타 풀부르드 - 타티아나 이토비치 / 나디아 이토비치 역
  • 마샤 메릴 - 마그다 크레머 역
  • 에블린 부익스 - 에블린 / 에디트 역
  • 프랑시스 위스텔 - 프랑시스 역
  • 레이몽 펠르랭 - M. 레이몽 역
  • 폴 프레보스트 - 에디트의 할아버지 역
  • 장-클로드 브리알리 - 리도 단장 역
  • 마르트 빌라롱가 - 에디트의 할머니 역
  • 파니 아르당 - 베로니크 역
  • 장-클로드 부티에 - 필립 루제 역
  • 리처드 보링거 - 리처드 역
  • 니콜 크루아실 - 본인 역
  • 지네트 가르생 - 지네트 역
  • 장-피에르 칼퐁 - 앙투안 신부 역
  • 즈느비에브 미니치 - 잔, 자크의 어머니 역
  • 알렉산드라 스튜어트
  • 에바 달라 - 에바 역
  • 마뉘엘 젤랭 - 패트릭 플라 역
  • 캔디스 파투
  • 마이아 사이먼
  • 사라 아브렐
  • 페오도르 아트킨 - 알렉시스 역
  • 미레일 오디버트
  • 장-클로드 부어볼트
  • 크리스토프 부르세이예
  • 장-피에르 카스탈디
  • 앤 코드리
  • 루이즈 슈발리에
  • 베로니크 코쿠엣
  • 테레사 크레미스
  • 카탈린 크사니
  • 댄 대스
  • 니콜 다레스코
  • 안드리 드레이어
  • 린다 딩월
  • 버나드 피에르 도나디우
  • 맥심 듀퓨
  • 앤디 펜윅
  • 파머 풀러
  • 어니 개럿 - 바비 역
  • 찰스 제라르
  • 토머스 브라운
  • 제랄드 이스마엘
  • 필립 자크
  • 라일 조이스
  • 에블린 커
  • 제리 킬고어
  • 제프리 키메
  • 장 레스콧
  • 미셸 모레티
  • 장 폴 무엘
  • 더렐 넬슨
  • 베리 프리머스
  • 발레리 퀘네센 - 프랑시스 위스텔의 여자친구 역
  • 조르쥬 라볼
  • 브리지트 뤼앙 (감독판에만 출연)
  • 패니 로이
  • 프랭크 루니온
  • 폴리타 세드윅
  • 피에르 세믈러
  • 레이몬드 세라
  • 톰 시그노렐리
  • 아치 테일러
  • 마틴 트레비레스
  • 폴 빈센트
  • 해티 윈스톤
  • 사이먼 를르슈
  • 샤론 스톤 - 글렌 시니어와 침대에 있는 소녀 역 (크레딧에 없음)
  • 웹스터 위너리
  • 자크 빌레레 - 자크 역
  • 프랑시스 레이
  • 미셸 리바드 (감독판에만 출연)

4. 실존 인물 모델

영화는 1930년대에서 1960년대에 걸쳐 프랑스, 독일, 러시아, 미국 등 4개국의 네 음악가 가문의 일대기를 다룬다. 영화 속 등장인물들은 허구이지만, 다수는 다음과 같은 역사적인 음악계 실존 인물들을 느슨하게 모델로 삼고 있다.



구체적인 인물 모델은 다음과 같다.

영화 등장인물실존 인물 모델
세르게이 이토비치루돌프 누레예프
카를 크레머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에브린에디트 피아프
자크 글렌글렌 밀러


5. 제작진


  • 제작·각본·감독: 클로드 를루슈
  • 음악: 프란시스 레이, 미셸 르그랑
  • 안무: 모리스 베자르, 미샤 판 헤케
  • 촬영: Jean Boffety|장 보페fra
  • 녹음: 알랭 모리
  • 음향 효과: 장피에르 르롱
  • 미술: 장루이 포베다
  • 의상: Catherine Leterrier|카트린 르테리에fra
  • 배역: 알레트 고든

참조

[1]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Les Uns et les Autres http://www.festival-[...] 2009-05-31
[2] 웹사이트 Les Uns et les autres (1981) - JPBox-Office http://www.jpbox-off[...]
[3] 웹사이트 Jorge Donn et le Bolero de Béjart https://fresques.ina[...] 2024-05-04
[4] 문서 主演のジェームズ・カーンやジェラルディン・チャップリンほか。
[5] 웹사이트 愛と哀しみのボレロ http://www.wowow.co.[...] WOWOW 2018-0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