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오싱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오싱주는 중국 저장성 사오싱 지방에서 유래한 쌀로 만든 술로, 찹쌀을 발효시켜 제조하며 14~18%의 알코올 도수를 가진다. 역사적으로는 월나라 구천이 군사들과 마셨다는 설화가 있으며, 딸을 낳으면 사오싱주를 담가 시집갈 때 내놓는 풍습이 전해진다. 사오싱주는 당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되며, 1980년대 홍콩에서 인기를 얻었으나, 최근에는 중국 내 다른 술의 선호로 인해 소비가 줄어들었다. 요리용 와인으로도 사용되며, 주요 생산지로는 구웨룽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술 - 소주
    소주란 증류하여 만든 술을 의미하며, 제조 방식에 따라 전통적인 증류식 소주와 대량 생산에 적합한 희석식 소주로 나뉜다.
  • 중국의 술 - 중국의 맥주
    중국의 맥주는 약 9,000년 전부터 생산되어 왔으며, 고대에는 제례 의식에 사용되었으나 한나라 이후 쇠퇴했고, 19세기 말 현대적인 양조가 시작되어 현재는 설화 맥주와 칭다오 맥주가 시장을 주도하며, 최근에는 무알코올 맥주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 저장성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저장성 - 우어
    우어는 장강 삼각주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군으로, 상호 이해도가 낮은 다양한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사적으로 오나라와 월나라의 언어에 기반하여 발전하여 독특한 음운 체계와 문법 구조를 갖추었으나, 현대에는 사용 인구가 감소하고 있으며, 최근 보존 및 부흥 노력이 진행 중이고, 일본어 오음에도 영향을 미쳤다.
사오싱주
기본 정보
샤오싱주 용기의 축소 모형
샤오싱주 용기의 축소 모형
종류전통 중국 쌀 와인
중국어간체: 绍兴酒
병음: Shàoxīng jiǔ
한어 병음: Shàoxīng jiǔ
웨이드-자일스: Shao⁴-hsing¹ chiu³
민난어: Siāu-heng-chiú
명칭
로마자 표기Shaoxing jiu
기타 정보
관련 연구https://doi.org/10.1007/s11947-010-0347-z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21967322003867
참고 문헌http://id.nii.ac.jp/1094/00002328/

2. 역사

사오싱은 저장성 항저우 옆에 위치하며, 춘추전국시대 월나라의 수도였다. 남쪽으로는 회계산(會稽山)과 감호를 끼고 있다. 중국에서는 감호의 물로 만들기 때문에 감호 명주라고도 한다. 알코올 도수는 14~18도로, 술로 마시거나 조미료로 이용한다. 사오싱주는 만드는 방법에 따라 원홍주(元紅酒), 가반주(加飯酒), 선양주(善醸酒), 향설주(香雪酒) 4가지로 나뉘며, 오래 묵은 것을 라오 쭈(老酒)라고 한다.

월나라 구천오나라를 치러 갈 때 군사들과 마셨던 술이라고 하며, 삼국지연의수호전에도 영웅호걸들이 마시는 술로 묘사되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인 배경으로 인해 이 소흥 지방은 딸을 낳으면 사오싱주를 담가 시집갈 때 처음으로 내 놓는다는 풍습이 있다고 한다.

2. 1. 한국과의 관계

1949년 국민당군의 타이완 이동에 따라 중국 각지에서 온 사람들도 모여, 사오싱주가 사오싱과 비슷한 방식으로 타이완에서도 많이 만들어져(타이완 담배 및 술 전매국 판매), 일본을 포함한 세계 각지로 수출되고 있다.[13]

2. 2. 근현대

쌀술은 기원전 770년에서 221년경부터 중국에서 생산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의례용으로 사용되었다. 청나라 말기, 사오싱 출신의 학식 있는 고문들이 와인 소비의 인기를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면서 중국 연회의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5] 대량의 쌀술은 점토 항아리에 담겨 오랫동안 보관되었다.[1]

1980년대에는 홍콩에서 사오싱 와인의 한 종류인 누얼홍(女兒紅)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는데, 이는 중국 본토 전통에 대한 향수와 당시 유행했던 무협 소설에서의 언급 때문이었다. 둥젠화는 홍콩 초대 행정장관 임명을 기념하며 누얼홍을 사용했다.[4]

최근 중국에서는 다른 종류의 술을 선호하면서 사오싱주의 인기가 줄어들었고, 요리에 여전히 사용되기는 하지만 "구식"이라는 평판을 얻고 있다. 아시아 밖에서는 주로 요리용 와인으로 여겨진다.[5]

3. 종류 및 분류

사오싱주는 알코올 도수가 14~18도이며, 술로 마시거나 조미료로 이용된다. 오래 묵은 것은 라오 쭈(老酒)라고 한다. 사오싱주는 저장성 항저우 옆에 위치한 사오싱에서 유래되었으며, 춘추전국시대 월나라의 수도였다. 남쪽으로는 회계산과 감호를 끼고 있어 감호의 물로 만들기 때문에 감호 명주라고도 불린다.

황주는 여과 후 80~90°C로 가열(주자)하여 살균하고, 항아리에 담는다. 그 입구를 연꽃 잎과 기름종이로 덮고, 겉만 구운 접시로 덮개를 덮고, 대나무 껍질로 감싸고, 점토로 굳힌다. 일본향 제품에는 점토 대신 석고를 사용하는데, 이는 점토가 일본의 식물방역법(검역)에 저촉되어 수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과거 사오싱에는 딸이 태어나면 지하에 술 항아리(꽃조주 병)를 묻어 시집갈 때 축하주로 삼는 여아주(女児酒)라는 풍습이 있었다.[11] 이 풍습은 4세기 초에 있었으며, 당시부터 살균 기술이 있었다는 것이 문헌을 통해 확인되지만, 현재는 사라졌다.[11]

사오싱의 옛 풍습에서는, 태어난 지 3일째를 축하하여 받은 찹쌀로 황주를 만들고, 한 달 뒤 보름날(음력) 친척들을 모아 잔치를 벌였다. 이때 밀봉·살균한 항아리를 아버지가 묻었는데, 여아의 경우에는 '''꽃조주'''라고 하여 딸이 시집갈 때 아버지가 파내어 어머니가 "囍"라고 쓴 붉은 종이를 붙이고, 항아리에 조각가가 조각을 하고 아름다운 채색을 하여 "가주(嫁酒)"로 가져가게 했다. 남아의 경우에는 '''장원홍(状元紅)'''이라고 하며, 장원(状元)(과거에서 최고위 합격자)처럼 출세하거나 결혼할 때 파내어 마셨다.

3. 1. 당도에 따른 분류

사오싱주는 만드는 방법에 따라 위안훙주(元紅酒), 자판주(加飯酒), 샨냥주(善酿酒), 샹쉐주(香雪酒) 4가지로 나뉜다.[8] 각 술의 당도와 알코올 도수는 아래 표와 같다.

사오싱주의 종류[8]
이름당도 (g/L)종류알코올 도수 (by vol. %)
위안훙주(元紅酒)< 5드라이 와인> 14.5
자판주(加飯酒)5–30세미 드라이 와인> 16.0
화뎬주(花雕酒)[6]
샨냥주(善酿酒)30–100스위트 와인 (모엘루)> 15.0
샹쉐주(香雪酒)200스위트 와인 (두)> 13.0
펑강주(封缸酒)



잔에 담긴 사오싱주


황주는 직접 당분량에 따라서도 4가지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직접 당분'은 섬유 이외의 단맛을 느끼는 을 의미하며, 술에서는 대부분 포도당이다.) 각 타입에 속하는 전형적인 사오싱주는 아래 표와 같다.

황주의 직접 당분량에 따른 분류
직접 당분량
(g/100mL)
황주의 타입전형적인 사오싱주
명칭담금 시 첨가물숙성 기간비고
0.5 이하건형 황주위안훙주(元紅酒)(표준)1 - 2년옛날에는 항아리가 주홍색
0.5 - 3.0반건형 황주자지아판주(加飯酒)+ 쌀과 누룩 1할 증가3년 이상고주는 화조주(花彫酒)
3.0 - 10.0반감형 황주샨니아오주(善醸酒)물 대신 위안훙주 농후한 술
10.0 이상톈형 황주샹쉐주(香雪酒)+ 누룩과 주박 증류주 단맛의 리큐르



원홍주는 표준주로, 술덧·장수·찐 찹쌀·밀 누룩을 넣고 10일간 1차 발효 후 작은 항아리에 넣어 뚜껑을 덮어 옥외에서 3개월간 2차 발효를 한다.[11] 숙성 기간은 1~2년이며, 알코올 도수는 16~17도[11]이다. 옛날에는 붉은색 옹기에 넣어 판매했기 때문에 원홍주라고 불린다.

가반주는 찹쌀과 맥아 누룩을 1할 증량하여 만든다.[11] 최소 3년 숙성시켜 출하하며, 알코올 도수는 18~19도[11]이다.

선양주는 밑술에 원홍주를 사용한다.[11] 직당분과 엑기스분이 많은 농후한 술이다.

향설주는 원홍주의 술덧에 맥국을 추가하고, 덧술에 술지게미로 만든 소주를 사용하여 3~4개월 동안 숙성시킨 것이다.[11] 알코올 도수는 20도[11]이다.

선양주와 향설주는 덧술을 시작할 때 알코올을 첨가하므로, 미림과 마찬가지로 달콤해진다. 그 이유는 효모는 알코올 도수가 20도 부근이 되면 을 소비하여 알코올을 생성하는 발효를 멈추고, 그 이후에는 누룩에 의한 전분의 당화만 지속되기 때문이다.

3. 2. 기타 종류

사오싱주는 만드는 방법에 따라 위안훙주(元紅酒), 자판주(加飯酒), 산냥주(善酿酒), 샹쉐주(香雪酒) 4가지로 나뉜다.[8]

사오싱주 분류[8]
이름당도 (g/L)종류알코올 도수 (by vol. %)
위안훙주(元紅酒)< 5드라이 와인> 14.5
자판주(加飯酒)5–30세미 드라이 와인> 16.0
화뎬주(花雕酒)[6]
산냥주(善酿酒)30–100스위트 와인 (모엘루)> 15.0
샹쉐주(香雪酒)200스위트 와인 (두)> 13.0
펑강주(封缸酒)



원홍주는 표준주로, 알코올 도수는 16~17도이다.[11] 옛날에는 붉은색 옹기에 넣어 판매했기 때문에 원홍주라고 불린다.

가반주는 찹쌀과 맥아 누룩을 1할 증량하여 만든다.[11] 최소 3년 숙성시켜 출하하며, 알코올 도수는 18~19도이다.[11] 일본에서는 가반주가 자주 마셔진다.

꽃조주(花彫酒)는 고대 인물이나 동식물을 조각하고 채색한 항아리에 담긴 가반주(加飯酒)를 말한다.[11] 과거 딸이 태어나면 지하에 술 항아리(꽃조주 병)를 묻어 시집갈 때 축하주로 삼는 여아주(女児酒)라는 풍습이 있었다.[11]

선양주는 밑술에 원홍주를 사용한다.[11] 향설주는 원홍주의 술덧에 맥국을 추가하고, 덧술에 술지게미로 만든 소주를 사용하여 3~4개월 동안 숙성시킨 것이다.[11] 알코올 도수는 20도이다.[11]

4. 제조 방법

사오싱주는 제조 방법에 따라 원홍주(元紅酒), 가반주(加飯酒), 선양주(善醸酒), 향설주(香雪酒)의 네 가지로 나뉜다.


  • 원홍주(元紅酒): 표준 사오싱주로, 술덧, 장수, 찐 찹쌀, 밀 누룩을 넣고 10일간 1차 발효 후 작은 항아리에 넣어 3개월간 2차 발효를 거친다. 숙성 기간은 1~2년이며, 알코올 도수는 16~17도이다.[11] 붉은색 옹기에 담아 판매했기 때문에 원홍주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중국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황주이다.
  • 가반주(加飯酒): 원홍주와 제조법이 유사하나 찹쌀과 맥아 누룩을 10% 더 넣어 만든다.[11] 최소 3년 숙성하며, 알코올 도수는 18~19도이다.[11] 일본에서 주로 소비된다.
  • 선양주(善醸酒): 밑술에 원홍주를 사용하며, 알코올 성분을 높이기 위해 고안된 방식이다.[11] 당분과 엑기스분이 많은 농후한 술이다.
  • 향설주(香雪酒): 원홍주 술덧에 맥국을 추가하고, 술지게미로 만든 소주를 사용해 3~4개월 숙성시킨다.[11] 알코올 도수는 20도이다.[11]


선양주와 향설주는 덧술을 시작할 때 알코올을 첨가하므로, 미림처럼 단맛이 난다. 이는 효모가 알코올 도수 20도 부근에서 을 소비하여 알코올을 생성하는 발효를 멈추고, 그 이후에는 누룩에 의한 전분의 당화만 지속되기 때문이다.

황주는 여과 후 80~90°C로 가열(주자)하여 살균 후 항아리에 담는다. 항아리 입구는 연꽃 잎과 기름종이, 구운 접시로 덮고 대나무 껍질로 감싼 후 점토로 밀봉한다. 일본 수출용은 식물방역법 (검역) 때문에 점토 대신 석고를 사용한다.

꽃조주(花彫酒)는 고대 인물이나 동식물을 조각하고 채색한 항아리에 담긴 가반주(加飯酒)를 말한다.[11] 과거에는 딸이 태어나면 지하에 술 항아리(꽃조주 병)를 묻어 시집갈 때 축하주로 삼는 여아주(女児酒)라는 풍습이 있었다.[11]

4. 1. 전통 방식

찹쌀을 보리누룩으로 발효시켜 감호(鑒湖)의 물을 이용해 담그는데 알코올 도수는 14~18%이며 짙은 갈색을 띠고 있으며 오래 묵은 것 일수록 좋다.

전통적인 방법은 효모가 당을 균등하게 분해하도록 돕기 위해 4시간마다 나무 호미로 쌀 으깬 것을 손으로 젓는 것이다. ''kāi pá'' (開耙중국어)로 알려진 이 기술은 쓴맛이나 신맛이 없는 술을 생산하는 데 필수적인 기술이다. 양조가의 또 다른 중요한 기술은 통의 거품 소리를 듣고 발효를 평가하는 것이다.[4]

수수 또는 좁쌀로도 사오싱주를 생산할 수 있다.[5]

사오싱주는 국내 소비와 국제 배송을 위해 병에 담겨 판매된다. 숙성된 와인은 포도주 빈티지 연도와 유사하게 양조 연도로 표시된다(陳年중국어).

해외에서 판매되는 와인은 일반적으로 요리에 사용되며 향신료와 소금을 더 첨가할 수 있다.[6] 사오싱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 생산된 와인을 사오싱 와인으로 잘못 표기하는 것은 "흔한 사기 행위"이다.[2]

사오싱주의 술밑(림반주, 淋飯酒)은 다음 원료로 만든다.[12]

사오싱주 술밑 원료[12]
원료설명
찹쌀주 원료
맥국(麦麹)밀로 만든 . 검은곰팡이 등을 포함하여 발효에 필요한 효소력을 보충한다.
맥곡(초포곡, 草包曲)거칠게 부순 밀을 발효시킨 것
주약(酒藥)거칠게 부순 멥쌀가루에 랫료 잎을 섞어 물로 반죽하여 건조시킨 것
감호수(鑑湖水)청결하고 양조 미생물에 필요한 광물질을 적당량 함유하고 있어, 사오싱주의 향미가 좋은 이유 중 하나로 여겨진다.
장수(漿水)찹쌀을 담근 후의 감호수.



전통적인 방법에서는 찹쌀을 정백하여 감호수에 담가두면 젖산 발효가 일어난다. 1~2주가 지나면 찹쌀을 꺼내 쪄서 원료로 사용한다. 침지수도 "장수"라고 부르며 원료로 사용한다. 젖산이 부패를 방지하고 술에 탄력(산미)을 더한다. 원홍주(元紅酒)와 가반주(加飯酒)는 위의 원료만으로 양조하지만, 그 외의 원료로 원홍주나 술지게미로 만든 소주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림반주는 다음과 같이 만든다.

# 찹쌀을 찐다.

# 찐 찹쌀을 바닥에 이 있는 통에 넣고 찬물을 부어 식힌다. 이것을 림반이라고 한다("림"은 "주르륵 흐르다"라는 의미).

# 술 덧(술 누룩)을 묻혀 큰 옹기의 내부 측벽에 바른다.

# 3일 정도 지나면 전분이 당화되어 바닥에 달콤하고 시큼한 액체가 고인다(이것을 장구주라고 한다).

# 맥곡과 감호수를 넣고, 때때로 섞는다. 이것을 반복한다.

그대로 발효시켜 짜서 살균한 것을 "림반주"라고 한다. 현재의 사오싱주의 술밑(모체)으로 사용되는 림반주는 짜거나 살균하지 않는다. 알코올 도수는 낮다. 이전에는 자주 마셨지만, 알코올 도수가 낮고 맛도 옅어서, 현재는 판매되지 않는다.

원홍주는 표준주로, 술덧·장수·찐 찹쌀·밀 누룩을 넣고 10일간 1차 발효 후 작은 항아리에 넣어 뚜껑을 덮어 옥외에서 3개월간 2차 발효를 한다.[11] 숙성 기간은 1~2년이며, 알코올 도수는 16~17도이다.[11] 옛날에는 붉은색 옹기에 넣어 판매했기 때문에 원홍주라고 불린다. 중국에서는 이 타입의 황주가 가장 많이 마셔지고 있다.

가반주는 원홍주와 유사한 제조법이지만, 찹쌀과 맥아 누룩을 1할 증량하여 만든다.[11] 최소 3년 숙성시켜 출하한다. 알코올 도수는 18~19도이다.[11] 일본에서는 가반주가 자주 마셔진다.

황주는 여과 후 80~90°C로 가열(주자)하여 살균하고, 항아리에 담는다. 그 입구를 연꽃 잎과 기름종이로 덮고, 겉만 구운 접시로 덮개를 덮고, 대나무 껍질로 감싸고, 점토로 굳힌다. 일본향의 제품에는 점토 대신 석고를 사용한다. 점토는 일본의 식물방역법 (검역)에 저촉되어 수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꽃조주(花彫酒)는 고대 인물이나 동식물을 조각하고 채색한 항아리에 담긴 가반주(加飯酒)를 말한다.[11] 과거 딸이 태어나면 지하에 술 항아리(꽃조주 병)를 묻어 시집갈 때의 축하주로 삼는 여아주(女児酒)라는 풍습이 있었다.[11] 이 풍습은 4세기 초에 있었으며, 그 당시부터 살균 기술이 있었다는 것이 문헌을 통해 확인되지만, 현재는 이 풍습은 사라졌다.[11]

사오싱(紹興)의 옛 풍습에서는, 태어난 지 3일째를 축하하여 받은 찹쌀로 황주(黄酒)를 만들고, 한 달 뒤 보름날 (음력) 친척들을 모아 잔치를 벌여, 밀봉·살균한 항아리를 아버지가 묻었다. 여아의 경우에는 '''꽃조주'''라고 하며, 딸이 시집갈 때 아버지가 파내어 어머니가 "囍"라고 쓴 붉은 종이를 붙이고, 항아리에 조각가가 조각을 하고 아름다운 채색을 하여 "가주(嫁酒)"로 가져가게 했다. 남아의 경우에는 '''장원홍(状元紅)'''이라고 하며, 출세, 결혼 등의 때에 파내어 마신다. 장원(状元)은 과거에서 최고위 합격자를 말한다.

선양주는 밑술에 원홍주를 사용한다.[11] 이 제법은 알코올 성분을 늘리기 위해 고안된, 오래된 방법이다. 이 제법의 술을 옛날에는 "중양주", "\소주의 어원) ", "순주" 등으로 불렀다. 직당분과 엑기스분이 많은 농후한 술이다.

향설주는 원홍주의 술덧에 맥국을 추가하고, 덧술에 술지게미로 만든 소주를 사용하여 3~4개월 동안 숙성시킨 것이다.[11] 알코올 도수는 20도이다.[11]

선양주와 향설주는 덧술을 시작할 때 알코올을 첨가하므로, 미림과 마찬가지로 달콤해진다. 달콤해지는 이유는 효모는 알코올 도수가 20도 부근이 되면 을 소비하여 알코올을 생성하는 발효를 멈추고, 그 이후에는 누룩에 의한 전분의 당화만 지속되기 때문이다.

4. 2. 현대 방식

찹쌀을 보리누룩으로 발효시켜 감호(鑒湖)의 물을 이용해 담그는데, 알코올 도수는 14~18%이며 짙은 갈색을 띠고 있고 오래 묵은 것일수록 좋다.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효모가 당을 균등하게 분해하도록 돕기 위해 4시간마다 나무 호미로 쌀 으깬 것을 손으로 젓는다. ''카이 파'' (開耙|kāi pá중국어)로 알려진 이 기술은 쓴맛이나 신맛이 없는 술을 생산하는 데 필수적인 기술이다. 양조가의 또 다른 중요한 기술은 통의 거품 소리를 듣고 발효를 평가하는 것이다.[4]

찹쌀 외에도 사오싱주는 수수 또는 좁쌀로도 생산할 수 있다.[5]

사오싱주는 국내 소비와 국제 배송을 위해 병에 담겨 판매된다. 숙성된 와인은 포도주 빈티지 연도와 유사하게 양조 연도로 표시된다(陳年|chén nián중국어).

해외에서 판매되는 와인은 일반적으로 요리에 사용되며 향신료와 소금을 더 첨가할 수 있다.[6] 사오싱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 생산된 와인을 사오싱 와인으로 잘못 표기하는 것은 흔한 사기 행위이다.[2]

5. 음용 방법

사오싱주는 보통 상온이나 약간 따뜻하게 데워 마시지만, 차갑게 마시기도 한다. 최근에는 콜라 등 탄산음료와 섞어 마시는 '드래곤 하이볼'도 제안되고 있다. 중국 남부나 타이완에서는 "화매"(화메이, 광둥어: 와머이)라고 불리는 달콤하고 완전히 건조된 말린 매실을 넣어 마시는 방법도 널리 행해진다. 사오싱주는 기름진 중화 요리에 어울리지만, 신맛과 쓴맛이 강해 설탕이나 각설탕을 넣어 마시는 사람도 있다.[14][15]

5. 1. 곁들임

사오싱 술 한 잔


더 좋은 품질의 사오싱주는 음료로 마실 수 있으며 식사 초반에 밥 대신 마실 수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사오싱주는 일반적으로 더 높은 품질이며, 소금을 함유하지 않고, (소금을 함유한) 슈퍼마켓에서 판매하는 요리용 등급보다 더 비싸다.[9] 집에서는 일부 가정에서 밥그릇에 술을 마시기도 하는데, 이는 셴헝 여관에서도 술을 내는 방식이다. 사오싱주는 식사와 함께 제공되지 않을 경우, 땅콩 또는 기타 흔한 간식과 함께 곁들일 수도 있다.

'''뉘얼홍'''(女兒紅|딸의 붉은 술중국어)은 딸이 태어났을 때 사오싱에서 행해지는 전통이다. 딸이 태어난 날 술 항아리를 빚어 땅에 묻어두었다가 딸의 결혼식 날 꺼내어 축하주로 마신다.[4]

보통은 상온 또는 약간 따뜻하게 데워 마시지만, 차게 해서 마시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콜라 등 탄산음료에 섞어 마시는 '드래곤 하이볼'도 제안되고 있다. 중국 남부, 타이완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화매"(화메이, 광둥어: 와머이)라고 불리는 달콤하고 완전히 건조된 말린 매실을 넣어 마시는 방법도 널리 행해지고 있다. 또한, 사오싱주는 기름진 중화 요리에 어울리지만, 신맛과 쓴맛이 강하기 때문에 설탕이나 각설탕을 넣어 마시는 사람도 있다.[14][15]

5. 2. 요리 활용

해외에서 판매되는 사오싱주는 일반적으로 요리에 사용되며, 향신료와 소금이 더 첨가될 수 있다.[6] 사오싱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 생산된 와인을 사오싱 와인으로 잘못 표기하는 것은 "흔한 사기 행위"이다.[2]

현지에서 황주(黄酒|huángjiǔ|황주중국어)로 알려진 이 술은 중국 요리의 많은 요리에 사용되는 재료일 뿐만 아니라 육류 요리에도 널리 사용된다. 이는 마오쩌둥이 가장 좋아하는 파와 돼지 삼겹살 조림 요리의 핵심 재료였으며, 그는 이 요리를 자신의 "두뇌 음식"이라고 부르며 적을 물리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말했다.[10] 다음은 사오싱주에 절인 요리의 일반적인 목록이다. 다음 요리에만 국한되지 않는다.[1]

  • 취계 (醉雞|zuìjī|취계중국어)
  • 취하 (醉蝦|zuìxiā|취하중국어)
  • 취위 (醉腎|zuìshèn|취위중국어)
  • 취어 (醉魚|zuìyú|취어중국어)
  • 취해 (醉蟹|zuìxiè|취해중국어)
  • 취간 (醉肝|zuìgān|취간중국어)
  • 두부 (醉豆腐乾|zuì dòufugān|취두부중국어)
  • 봉조 (醉鳳爪|zuìfèngzhǎo|취봉조중국어)

6. 주요 생산자


  • 절강성 고월룡산 사오싱 와인 유한회사() [7][4]
  • 디쥐탕(帝聚堂)
  • 회계산 (현지 산 이름에서 유래)[4]
  • 투샤오지우(土紹酒)
  • 뉘얼훙(女兒紅)[4]
  • 2020년 사오싱의 80개 쌀 와인 제조업체는 430억위안의 매출을 기록했다.[5]

7. 한국 내 현황 및 전망

紹興酒|사오싱주중국어중화민국 국민당군이 타이완으로 이동하면서, 중국 각지에서 온 사람들에 의해 타이완에서도 많이 만들어졌다. 타이완 담배 및 술 전매국에서 판매되며, 일본을 포함한 세계 각지로 수출되고 있다.[13]

참조

[1] TV Natural Heritage 天賜良源 episode 1 2008-01-30
[2] 논문 Discrimination Between Shaoxing Wines and Other Chinese Rice Wines by Near-Infrared Spectroscopy and Chemometrics https://doi.org/10.1[...] 2012-02-01
[3] 논문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itter-tasting peptides in Shaoxing rice wine using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quadrupole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combined with taste orientation strategy https://www.scienced[...] 2022-08-02
[4] 웹사이트 Nü Er Hong: How a rice winemaker created a legendary Chinese brand https://supchina.com[...] 2021-08-26
[5] 웹사이트 In Shaoxing, young winemakers attempt to revive China's original spirit https://supchina.com[...] 2021-05-13
[6] 웹사이트 Chinese cooking wine brings tangy depth to, well . . . everything https://www.salon.co[...] 2021-05-07
[7] 웹사이트 Shaoxingwine.com http://www.shaoxingw[...]
[8] 서적 Microbial Biotechnology: Principles and Applications World Scientific
[9] 웹사이트 Best Substitute for Shaoxing Wine (13 ideas) https://www.greedygi[...] 2023-06-29
[10] 뉴스 China sets standard for Chairman Mao's favourite dish https://www.telegrap[...] 2010-01-29
[11] 논문 上海老酒(紹興酒)に関する実態調査報告 http://id.nii.ac.jp/[...] 中村学園大学流通科学研究所 2009-01
[12] 논문 紹興酒工場見学記 公益財団法人 日本醸造協会 1981
[13] 웹사이트 『台湾紹興酒8年』〜大陸紹興酒と全く異なる台湾独自の個性〜(2021年) https://ba-hachi.com[...]
[14] 웹사이트 紹興酒って何? どうやって飲む? いまさら聞けない「紹興酒の基本」の噺【前編】(2020年) https://sakabanashi.[...]
[15] 웹사이트 "「紹興酒の多彩な飲み方」とテイクアウトで楽しむ「家中華」の噺(2021年)" https://sakabanash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