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표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지로, 등록을 통해 보호받을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상표 등록이 일반적이며, 일부 국가에서는 사용만으로도 권리를 인정한다. 상표는 특허, 저작권과 함께 지적 재산의 한 종류로, 브랜드의 법적 보호를 제공하며, 소비자가 상품을 선택하고 기업이 신용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상표권은 독점적 권리를 가지며, 침해 시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표는 문자, 기호, 도형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트레이드마크, 서비스 마크, 단체표장, 증명표장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상표의 역사는 선사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현대적인 상표법은 19세기 후반에 등장했다. 마드리드 시스템을 통해 국제적인 상표 보호가 가능하며, 유럽 연합은 자체적인 상표 등록 제도를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랜드 - 서비스 마크
서비스 마크는 상품 대신 서비스의 출처를 나타내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의 유니폼, 차량, 광고 등에 사용되며, 상표와 유사하게 보호받는다. - 브랜드 - 국가 브랜드
국가 브랜드는 외국인 투자 유치, 관광 활성화, 무역 증진, 정치적 관계 개선 등을 목표로 국가의 이미지와 평판을 관리하고 개선하는 전략적 노력이며, 다양한 지표를 통해 측정된다. - 무형자산 - 저작권
저작권은 창작자의 권익 보호와 문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문학, 예술, 음악 등 인간의 창작물에 대해 창작자에게 부여되는 법적 권리로서, 저작인격권과 저작재산권으로 구성되며, 국제 조약 및 각국 국내법을 통해 보호되지만 디지털 기술 발전으로 보호와 이용 간 균형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무형자산 - 지식 재산권
지식재산권은 지적 활동 및 창작 활동에서 비롯되는 특허권, 저작권, 상표권, 디자인권, 영업비밀 등을 포괄하는 무형의 재산적 권리로서, 국제 기구와 조약을 통해 보호되지만 혁신 저해 및 불평등 심화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는 제도이다. - 상표 - 스테디캠
스테디캠은 카메라를 안정화시켜 부드러운 영상을 촬영하는 장비로, 개럿 브라운이 개발한 '브라운 스태빌라이저'에서 시작되었으며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영상 제작에 활용되어 영화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상표 - LISTSERV
LISTSERV는 에릭 토마스가 1986년에 개발한 자동 메일링 리스트 관리 소프트웨어로, 다양한 기능과 운영 체제 지원, 여러 라이선스 옵션을 제공하며 상표로 등록되어 있다.
상표 | |
---|---|
일반 정보 | |
유형 | 지적 재산권 |
설명 | 제품 또는 서비스를 식별하는 거래 식별자 |
분야 | 상업, 법률 |
상세 정보 | |
특징 | 상품 또는 서비스를 다른 기업의 상품 또는 서비스와 구별하는 데 사용되는 표지 |
보호 | 지적 재산권 |
관련 법률 | 상표법 |
예시 | 로고, 브랜드 이름 |
중요성 | 소비자가 상품 또는 서비스를 식별하고 선택하는 데 도움을 줌 |
권리 | 상표 소유자는 자신의 상표를 독점적으로 사용할 권리를 가짐 |
침해 | 다른 사람이 상표 소유자의 허락 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표를 사용하는 경우 |
국제적 보호 | 세계 지적 재산 기구(WIPO)를 통해 국제적으로 보호 가능 |
관련 개념 | |
관련 개념 | 지리적 표시 상호 저작권 특허 산업 디자인 권리 영업 비밀 상품 외장 |
관련 법규 및 조약 | |
관련 법규 및 조약 | 지적 재산권의 무역 관련 측면에 관한 협정(TRIPS) 파리 협약 마드리드 협정 |
2. 제도
상표 제도는 국가별로 차이가 있는데, 크게 선사용주의와 선출원주의로 나뉜다.[69][70] 대부분의 국가는 상표를 먼저 등록하는 주체에게 권리를 부여하는 선출원주의 시스템을 운영한다.[69] 다만, 널리 알려진 상표는 예외적으로 등록 없이도 보호받을 수 있다.[69]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와 같은 일부 국가는 "선사용주의" 또는 혼합 시스템을 따르며, 상표를 상업적으로 사용하면 등록 없이도 특정 권리를 설정할 수 있다.[70] 그러나 이러한 국가에서도 등록이 더 강력한 법적 보호와 집행을 제공한다.[69]
상표권자는 자국 상표 등록을 기반으로 마드리드 협정을 통해 국제적으로 상표 보호를 확장할 수 있다.[86] 국제적인 보호를 위해서는 "기본 상표" 역할을 하는 자국 상표 등록 또는 출원 대기 상태가 필요하다.[86]
국제 출원에서 상표 소유자는 보호를 위해 하나 이상의 마드리드 시스템 회원국을 지정할 수 있다. 각 지정 국가의 상표청은 자국의 법률에 따라 마드리드 출원을 심사하여 보호를 허용하거나 거부한다.[86]
상표권을 여러 국가에서 보호하려는 경우, 파리 협약에 따른 파리 루트와 세계 지식 재산권 기구(WIPO)가 관리하는 마드리드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90]
파리 루트는 180개국에서 사용 가능하며, 각 국가의 지식 재산권 사무소에 별도로 출원해야 한다.[90] 반면, 마드리드 시스템은 기존 또는 출원 중인 국가/지역 등록(기본 상표)을 기반으로 단일 출원을 통해 최대 131개국까지 보호를 확장할 수 있어 절차가 간소화된다.[91][90]
출원인 | 원산지 | 2021 | 2022 | 2023 |
---|---|---|---|---|
로레알(L'Oréal) | 프랑스 | 189 | 170 | 199 |
바이에리쉐 모토렌 베르케 AG(Bayerische Motoren Werke AG) | 독일 | 56 | 39 | 124 |
유로 게임즈 테크놀로지(Euro Games Technology) | 불가리아 | 93 | 120 | 118 |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널 GmbH(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 독일 | 60 | 54 | 110 |
노바티스(Novartis) | 독일 | 94 | 131 | 110 |
베를린-케미 AG(Berlin-Chemie AG) | 독일 | 1 | 3 | 107 |
시세이도(Shiseido) | 일본 | 93 | 98 | 103 |
미즈노(Mizuno Corporation) | 일본 | 21 | 51 | 79 |
화웨이(Huawei) | 중국 | 106 | 80 | 78 |
애플(Apple Inc.) | 미국 | 92 | 47 | 74 |
2. 1. 대한민국 상표 제도
대한민국의 상표법은 상표를 "자기의 상품(지리적 표시가 사용되는 상품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서비스 또는 서비스의 제공에 관련된 물건을 포함한다)과 타인의 상품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표장"으로 정의한다.[69][70] 상표권자는 지정상품에 관하여 그 등록상표를 사용할 권리를 독점하며, 타인의 침해에 대해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다.상표 등록을 위해서는 특허청에 출원하여 심사를 받아야 하며, 이의신청 절차를 거쳐 최종 등록 여부가 결정된다. 상표등록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은 '국내에서 상표를 사용하는 자 또는 사용하고자 하는 자'이며, 현행 상표법의 토지관할은 국내에 한정된다.[69][70]
상표법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출처 또는 품질에 대해 대중을 오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비자 보호라는 공공 정책 목표를 달성하도록 설계되었다. 상표는 제품 및 서비스의 상업적 출처를 식별함으로써, 소비자의 품질 및 기타 특성에 대한 기대를 충족하는 제품 및 서비스를 식별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상표는 제조업체, 공급자 또는 제공자가 사업 평판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양질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센티브 역할을 할 수 있다.
상표등록을 하려는 자는 상공부령이 정하는 상품류 구분 내에서 상표를 사용할 상품을 지정하여 상표마다 출원해야 하는데(1商標 1出願), 상표등록 출원신청서를 작성하여 특허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출원서를 접수한 특허청장은 심사관으로 하여금 상표등록출원 및 이의신청을 심의하게 하며, 출원인은 사정(査定) 통지서가 송달되기 전에 출원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출원에 관한 지정상품 및 상표를 보정할 수 있다.
심사관은 상표등록출원이 일정 요건에 해당하면 출원인에게 거절이유를 통지하고 기간을 정하여 의견서를 제출할 기회를 주어 거절사정(拒絶査定)을 하여야 하며, 거절이유를 발견할 수 없으면 출원공고 결정을 하여야 한다.
출원공고결정이 있으면 특허청장은 그 결정의 등본을 출원인에게 송달하고 상표등록출원에 관하여 상표공보(公報)에 게재하여 출원공고(公告)를 하며, 공고일부터 30일간 출원서류 및 그 부속서류를 특허청에서 공중의 열람에 제공하여야 한다.
출원공고가 있으면 이의가 있는 자는 누구든지 출원공고일로부터 30일 이내에 특허청장에게 상표등록 이의신청을 할 수 있다. 상표등록출원에 대하여 거절이유를 발견할 수 없으면 상표등록사정을 하여야 하며 등록사정을 받은 출원인은 상표권을 선정함으로써 상표권자의 권리를 취득하고 특허청장은 상표권의 설정등록이 있으면 상표원부(商標原簿)에 기재하고 상표권자에게 상표등록증을 교부하여야 한다.
상표권은 설정등록에 의해 그 효력을 발생하며 그 존속기간은 설정등록이 있는 날부터 10년으로 하되 일정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존속기간갱신출원에 의하여 10년간씩 갱신할 수 있다.
상표권자는 상표권을 이전(양도)할 수 있고 타인에게 전용사용권(專用使用權)·통상(通常)사용권을 설정할 수 있으며 질권(質權)을 설정할 수 있다. 상표권자 또는 전용사용권자는 자기의 권리를 침해한 자 또는 침해할 우려가 있는 자에 대하여 그 침해의 금지 또는 예방을 청구할 수 있으며 손해배상 및 신용회복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법원에 청구할 수 있다. 또한 상표권 및 전용사용권의 침해죄에 대해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을 규정하고 있다.
3. 종류
상표는 상품에 사용되는 '트레이드마크'와 서비스에 사용되는 '서비스 마크'로 구분된다. trade mark영어는 EU, 영국, 호주 등에서 사용하는 표현이며, 캐나다에서는 trade-mark영어로 표기하지만, 모두 같은 개념이다.[9][10]
- 상품 표시: 등록 상표, 곧 트레이드마크라고 부른다.
- 서비스 표시: 서비스 마크, 곧 SM이라고 부른다.
문자, 기호, 도형 외에도 입체 상표, 소리 상표, 냄새 상표 등 비전형적인 상표도 존재한다.[17][18]
- 입체 상표: 상품이나 상품의 포장, 가게에 설치한 입체 간판과 같은 형태
- 비전형 상표: 소리, 냄새, 맛, 느낌 등으로 상품을 식별
소유자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전국 브랜드 (National Brand): 생산자가 자기 제품에 붙이는 상표
- 사적 브랜드 (Private Brand): 판매업자가 상품에 붙이는 상표
첨부 범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단일종합브랜드: 자기 상품 전체에 공통적으로 첨부하는 상표
- 가족브랜드: 상품군별로 첨부하는 상표
- 개별브랜드: 개별 상품마다 붙이는 상표
- 통일브랜드: 업자 집단이 동종 상품에 공통으로 붙이는 상표
그 외에 다음과 같은 특수한 형태의 상표도 있다.
- 트레이드 드레스 (Trade dress): 제품의 디자인과 포장.[19] (예: 하드 록 카페 레스토랑 체인의 독특한 장식[20])
- 단체표장 (Collective mark): 단체 조직 구성원이 사용하는 상표 (예: BEST WESTERN[25])
- 증명표장 (Certification mark): 특정 기준을 충족함을 나타내는 상표 (예: ENERGY STAR[29][30])
상표는 다음 기호로 표시될 수 있다.
기호 | 설명 |
---|---|
™ | 등록되지 않은 상품 관련 상표 |
℠ | 등록되지 않은 서비스 관련 서비스 마크 |
® | 등록된 상표 |
™ 및 ℠는 미등록 상표(™는 상품, ℠는 서비스)에 적용되는 반면, ® 기호는 관련 국가 당국에 공식적으로 등록되었음을 나타낸다. 등록되지 않은 상표에 ® 기호를 사용하는 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으며 불공정 거래 행위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민사 또는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다.
4. 기능
상표는 상품 및 서비스의 출처를 명확히 표시하여 소비자가 혼동 없이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다. 상표법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출처 또는 품질에 대해 대중을 오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비자 보호라는 공공 정책 목표를 달성하도록 설계되었다. 상표는 제품 및 서비스의 상업적 출처를 식별함으로써, 소비자의 품질 및 기타 특성에 대한 기대를 충족하는 제품 및 서비스를 식별하는 데 기여한다.[130]
또한 상표는 제조업체, 공급자 또는 제공자가 사업 평판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양질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센티브 역할을 할 수 있다. [130]
상품이나 용역을 제공하는 수요자가 상품이나 용역의 제공자를 인지하기 위한 문자, 도형, 기호, 입체적 형상, 색채, 소리 등의 표식은 14세기의 법학자 바르톨루스 데 사소페라토가 Law of heraldic arms|문장법영어과 함께 발안한 개념이다.
상품이나 용역의 제공자가 상품 판매 시 상품이나 포장, 용역 제공에 사용되는 물건이나 전자기적 영상 면 등에 상표를 부착하면, 수요자는 상표를 통해 출처를 인식하고 선택할 수 있다. 상품이나 용역의 제공을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로 지속하면, 상표는 광범위한 수요자로부터 인지도가 높아짐과 동시에 신용도가 향상되어 재산적 가치가 발생하며, 특허권이나 저작권 등과 마찬가지로 지적 재산권으로서 조약이나 법률에 의해 보호받는다.
이처럼 우수한 상표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부착되는 표지를 보호하고, 이들의 출처를 명시하며, 품질을 보증하고, 광고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산업 발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수요자의 이익을 보호한다.[130]
5. 상표의 사용
상표권의 효력은 '상표적 사용'에 한하여 발생한다. 상표적 사용이란 자기 상품과 타인의 상품을 구별하는 기능 또는 출처 표시 기능을 발휘하는 형태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순한 설명문에 사용하거나 디자인상의 형식적인 표시는 상표적 사용으로 인정되지 않는다.[1]
6. 상표권
상표권은 상표를 등록함으로써 발생하는 독점적이고 배타적인 권리이다. 상표권자는 등록상표를 지정상품에 사용할 권리를 가지며, 타인의 침해에 대해 금지 청구, 손해배상 청구, 신용회복 조치 등을 취할 수 있다.[69] 상표권은 양도, 전용사용권 설정, 통상사용권 설정, 질권 설정 등을 통해 활용될 수 있다. 상표권 침해 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93]
상표법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출처 또는 품질에 대해 대중을 오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비자 보호라는 공공 정책 목표를 달성하도록 설계되었다. 상표는 제품 및 서비스의 상업적 출처를 식별함으로써, 소비자의 품질 및 기타 특성에 대한 기대를 충족하는 제품 및 서비스를 식별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상표는 제조업체, 공급자 또는 제공자가 사업 평판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양질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센티브 역할을 할 수 있다.
상표 보호는 등록을 통해, 그리고 일부 국가에서는 사용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69][70] 전 세계적으로 상표권을 설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등록이다.[70] 대부분의 국가는 상표를 먼저 등록하는 주체에게 권리를 부여하는 "선출원주의" 시스템을 운영한다.[69] 다만, 널리 알려진 상표는 예외로, 등록 없이도 보호받을 수 있다.[69]
반면, 미국, 캐나다, 호주와 같은 일부 국가는 "선사용주의" 또는 혼합 시스템을 따르며, 상표를 상업적으로 사용하면 등록 없이도 특정 권리를 설정할 수 있다.[70] 그러나 이러한 국가에서도 등록이 더 강력한 법적 보호와 집행을 제공한다.[69]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상표권이 (1) 상업적 사용을 통해 설정되며, 사용 지역에 한정된 불문법적 권리를 창출하거나, (2) 미국 특허청(USPTO)에 연방 등록을 통해 설정되며, 등록 유지를 위해 상업적 사용이 요구된다.[72][73] 미국 특허청(USPTO)에 연방 등록을 하면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혜택을 제공한다.
- 등록된 상표는 미국 특허청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되어 유사한 상표를 검색하는 사람에게 공개 통지를 제공한다.[74]
- 연방 등록은 소유권 및 상표 사용에 대한 독점적 권리에 대한 법적 추정을 설정한다. 등록 증서는 법적 소송에서 소유권의 증거로 사용될 수 있다.[74]
- 미국 상표 등록은 다른 국가에서 상표 보호를 신청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74]
- 등록된 상표는 연방 등록을 나타내고 무단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 기호를 표시할 수 있다.[74]
- 상표 소유자는 연방 법원에 침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며, 가짜 또는 상표 침해 상품의 수입을 막기 위해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에 등록된 상표를 기록할 수도 있다.[74][75]
특허와 저작권과 달리, 상표 등록은 일반적으로 최초 10년의 유효 기간을 가지며, 상표가 상업적으로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한, 무기한으로 갱신될 수 있다.[38][39][92]
상표권자는 상표의 독창성을 유지하고, 상표 침해를 방지하며, 희석화를 피하기 위해 자신의 권리를 행사해야 한다.[95] 등록 후 권리 행사는 일반적으로 다음을 포함한다.
- 국경 조치: 위조 상품의 수입을 방지하기 위해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의 e-Recordation 또는 EU의 조치 신청과 같이 등록된 상표를 세관 당국에 기록한다.[96][97][69]
- 모니터링: 잠재적인 침해 상표를 식별하기 위해 새로운 상표 출원을 추적한다.[98][69]
- 이의 절차: 검토 기간 동안 상충되는 상표의 등록을 막는다.[99][100][98]
- 취소 절차: 등록된 상표를 침해하거나 희석하는 제3자 상표 등록을 취소한다.[101][98]
- 중단 및 포기 요구: 침해자에게 무단 사용을 중단하도록 요구하는 내용증명.[98][69]
- 침해 또는 희석에 대한 소송: 금지 명령 및 손해 배상을 위한 소송을 제기한다.[98]
상표권 침해는 경쟁사가 상표가 보호되는 관할 구역에서 동일하거나 혼동을 일으킬 정도로 유사한 상표를 동일하거나 유사한 제품에 사용하는 경우 발생한다.[5][102]
상표는 포기, 지리적 범위 제한 및 공정 사용과 같은 다양한 방어 수단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 미국에서는 공정 사용 방어가 수정헌법 제1조에 의해 보호되는 자유로운 표현에 관련된 많은 이익을 보호한다.

공정 사용은 두 가지 근거로 주장될 수 있다. 피침해자가 표지를 자사 제품의 측면을 정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거나, 피침해자가 표지 소유자를 식별하기 위해 표지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희석화는 유명 상표와 유사한 상표를 사용하여 유명 상표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혼동하거나 감소시키는 법적 개념이다.[108] 이는 "모호화"(상표와 상품 간의 연관성을 약화시키는 것) 또는 "명예 훼손"(상표의 평판을 손상시키는 것)을 통해 발생한다.[109] 희석화는 당사자의 잘 알려진 상표가 "유명"한 경우에만 적용될 수 있다.[110] 잘 알려지고, 평판이 좋으며, 유명하다고 여겨지기 위해서는 해당 상표가 일반 대중에게 널리 인지되어야 하며, 본질적으로 "누구나 아는 이름"이어야 한다.[111]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유명 상표로 간주될 가능성이 있는 상표의 예로는 구글(GOOGLE), 코카콜라(COCA-COLA), 소니(SONY), 나이키(NIKE) 등이 있다.[111]
6. 1. 국제 상표권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의 마드리드 시스템을 이용하면, 자국 상표 등록을 기반으로 여러 국가에 상표를 동시에 출원하고 국제적으로 상표 보호를 받을 수 있다. 국제적인 보호를 받기 위해서는 자국 상표 등록 또는 출원 대기 상태가 "기본 상표" 역할을 해야 한다.[86]국제 출원 시, 상표 소유자는 보호받기를 원하는 마드리드 시스템 회원국을 하나 이상 지정할 수 있다. 각 지정 국가의 상표청은 자국 법률에 따라 마드리드 출원을 심사하여 보호 여부를 결정한다.[86]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미국 특허청(USPTO)에 상표를 등록하거나 출원 대기 상태여야 마드리드 출원에 필요한 "기본 상표" 역할을 할 수 있다.[87]
상표권을 여러 국가에서 보호받으려는 상표권자는 파리 협약에 따른 파리 루트와 세계 지식 재산권 기구(WIPO)가 관리하는 마드리드 시스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90] 파리 루트는 180개국을 포함하며 "직접 루트"라고도 불리는데, 각 국가의 지식 재산권 사무소에 별도로 출원해야 한다.[90] 반면, 마드리드 시스템은 기존 또는 출원 중인 국가 또는 지역 등록(이하 "기본 상표")을 기반으로 하는 단일 마드리드 출원을 통해 최대 131개국까지 보호를 연장할 수 있어 절차가 간소화된다.[91][90]
출원인 | 원산지 | 2021 | 2022 | 2023 |
---|---|---|---|---|
로레알(L'Oréal) | 프랑스 | 189 | 170 | 199 |
바이에리쉐 모토렌 베르케 AG(Bayerische Motoren Werke AG) | 독일 | 56 | 39 | 124 |
유로 게임즈 테크놀로지(Euro Games Technology) | 불가리아 | 93 | 120 | 118 |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널 GmbH(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 독일 | 60 | 54 | 110 |
노바티스(Novartis) | 독일 | 94 | 131 | 110 |
베를린-케미 AG(Berlin-Chemie AG) | 독일 | 1 | 3 | 107 |
시세이도(Shiseido) | 일본 | 93 | 98 | 103 |
미즈노(Mizuno Corporation) | 일본 | 21 | 51 | 79 |
화웨이(Huawei) | 중국 | 106 | 80 | 78 |
애플(Apple Inc.) | 미국 | 92 | 47 | 74 |
출원 시 심사는 각 국가 및 지역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미국은 선사용주의를, 일본이나 유럽 등은 선출원주의를 따르고 있다. 상표 보호를 원하는 국가에 직접 출원하거나 마드리드 협정 의정서에 따른 국제 출원을 하지 않는 한, 보호 대상은 국내에 한정된다. 국제 출원을 한 경우에도 원칙적으로 보호를 원하는 국가에서 심사를 받아야 한다.
7. 상표의 식별성
상표법은 소비자가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를 쉽게 연관시킬 수 있는, 즉 "식별성"이 있는 상표에 법적 보호를 부여한다.[76][77] 강력한 상표는 본질적으로 식별성이 있어(재화나 서비스의 단일 출처를 식별하고 구별할 수 있음) 등록 가능하다. 이러한 상표에는 암시적, 임의적, 또는 창의적인 범주가 포함된다.[76][77] 반면, 약한 상표는 설명적이거나 일반적인 경향이 있어 등록이 어려울 수 있다.[77][78]
- 창의적인 상표: 제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해서만 의미를 갖는 새로 만들어진 단어이다.[77][78] 예를 들어 석유 회사인 Exxon®, 청량음료 회사인 Pepsi®가 있다.[77]
- 임의적인 상표: 해당 제품 또는 서비스와 연관성이 없는 실제 단어를 사용한다.[77][78] 예를 들어 컴퓨터 회사인 Apple®이 있다.[77][78]
- 연상적인 상표: 제품 또는 서비스의 품질을 암시하지만, 그 품질을 직접적으로 명시하지는 않는 단어이다.[77][78] 예를 들어 선탠 제품 회사인 Coppertone®이 있다.[77]
- 묘사적 상표: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거나 구별하지 않고, 상품이나 서비스의 일부 측면을 묘사하는 단어이다. 묘사적 상표는 상업적 사용을 통해 식별성을 획득한 경우에만 연방 등록이 가능하다.[77][78]
- 일반 상표: 상품이나 서비스의 일반적인 명칭이며, 특정 출처를 나타내지 못하므로 상표 기능을 할 수 없다. 일반 상표는 연방 등록이 불가능하다.[77][78] 예를 들어 '자전거'라는 상품에 대한 "자전거"라는 명칭이 있다.[77]
8. 상표와 유사 개념
''상표''(trademark)는 지역에 따라 ''trade mark''(EU, 영국, 호주 등) 또는 ''trade-mark''(캐나다)로 표기될 수 있지만, 모두 동일한 개념을 나타낸다.[9][10]
미국 랜햄법(Lanham Act)은 상표를 상품이나 서비스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단어, 구절, 기호, 디자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정의한다.[11] 세계지적재산권기구(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WIPO)는 상표를 한 기업의 상품 또는 서비스를 다른 기업의 상품 또는 서비스와 구별할 수 있는 표지로 정의한다.[15]
상표는 광범위한 범주를 가지며, 여기에는 트레이드 드레스, 단체표장, 증명표장 등 여러 유형이 있다.
- '''트레이드 드레스(Trade dress):''' 제품의 디자인과 포장을 의미한다.[19] 예를 들어, 하드 록 카페 레스토랑 체인의 독특한 장식이 이에 해당한다.[20]
- '''단체표장(Collective mark):''' 단체 조직 구성원이 사용하는 상표 유형이다.[22][23][24] 예시로 호텔 서비스에 사용되는 BEST WESTERN이 있다.[25]
- '''증명표장(Certification mark):''' 특정 상품, 서비스 또는 제공자가 증명 조직에서 설정한 품질 기준을 충족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표 유형이다.[26][27][28] 에너지 스타(ENERGY STAR) 인증 표시는 해당 제품이 미국 환경 보호국(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에서 정한 에너지 효율 기준을 충족한다는 것을 보여준다.[29][30]
에너지 효율 표준을 충족하는 제품, 가정, 건물 및 공장에 표시되는 ENERGY STAR 인증 표시
상표법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출처 또는 품질에 대해 대중을 오도하는 것을 방지하고, 소비자 보호라는 공공 정책 목표를 달성하도록 설계되었다. 상표는 제조업체, 공급자 또는 제공자가 사업 평판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양질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센티브 역할도 한다.
8. 1. 브랜드
브랜드는 소비자가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가지는 인식, 즉 마케팅 개념이다.[35] 이는 훨씬 더 광범위한 의미를 가지며, 고객이 회사 또는 제품과 연관시키는 독점적인 시각적, 감정적, 이성적, 문화적 이미지를 지칭한다.[69][35]반면에 상표는 브랜드의 정체성과 차별적인 요소에 대한 법적 보호를 제공한다.[35]
8. 2. 특허 및 저작권
상표는 종종 특허 및 저작권과 혼동되기도 하는데, 이 세 가지는 모두 지적 재산 (IP)으로 알려진 무형 재산을 보호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각각 다른 목적과 목표를 가지고 있다.[36]상표 | 특허 | 저작권 | |
---|---|---|---|
보호 대상 | 각 당사자의 상품 또는 서비스를 다른 당사자의 상품 또는 서비스와 식별하고 구별하며, 그 출처를 나타내는 단어, 문구, 디자인 또는 조합. | 제약 약품과 같은 화학 조성물, 복잡한 기계와 같은 기계적 공정, 또는 일부 산업에서 새롭고 독특하며 사용할 수 있는 기계 설계와 같은 기술적 발명. | 소설, 음악, 영화, 소프트웨어 코드, 사진, 그림 등 독창적이고 종이, 캔버스, 필름 또는 디지털 형식과 같은 유형 매체로 존재하는 예술적, 문학적 또는 지적으로 창작된 작품. |
예시 | 청량 음료의 코카콜라(Coca-Cola)® | 새로운 유형의 하이브리드 엔진 | 영화 겨울왕국의 "Let It Go" 노래 가사 |
혜택 | 다른 당사자의 무단 등록으로부터 브랜드를 보호하고, 다른 사람이 관련 상품 또는 서비스와 유사한 상표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 발명자의 동의 없이 다른 당사자가 발명품 및 프로세스를 복제, 제조, 사용 또는 판매하는 것을 보호한다. | 창작된 작품을 복제, 배포, 공연 또는 전시할 수 있는 독점적 권리를 보호하고, 저작권 소유자의 허가 없이 다른 사람이 창작물을 복사하거나 악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
이러한 유형의 IP 중에서 상표법만이 상표가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갱신되는 경우 영구적인 권리를 제공할 수 있다.[37][38] 그러나 상표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경우, 등록이 취소될 수 있다.[39] 상표는 또한 일반화를 통해 보호를 잃을 수 있는데, 이는 상표가 상품 또는 서비스의 범주를 지칭하기 위해 너무 널리 사용되어 고유성을 잃고 법적 보호를 잃는 과정이다.[40] 잘 알려진 예는 한때 상표였던 "에스컬레이터"(escalator)이다.[40][41]
반대로 특허는 일반적으로 출원일로부터 20년 동안 지속되는 고정된 기간을 갖는다.[42][43] 그 후 발명은 공공 영역으로 들어간다. 저작권은 일반적으로 저작자의 생존 기간과 추가로 50~70년(관할권에 따라 다름)[44][45] 동안 지속되며, 그 후 보호받는 작품은 공공 영역으로 들어간다.
이러한 지적 재산권 법률은 이론적으로는 별개이지만, 동일한 품목에 대해 둘 이상의 유형이 보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병의 특정 디자인은 비실용적인 [조각]으로 저작권 보호를 받을 수 있으며, 모양을 기반으로 상표 보호를 받거나, 병 전체의 '트레이드 드레스' 외관이 보호될 수 있다. 책 또는 영화의 제목과 캐릭터 이름도 상표로 보호받을 수 있으며, 해당 작품은 전체적으로 저작권 보호를 받을 수 있다. 상표 보호는 레고(Lego) 브릭의 플라스틱 인터록 스터드와 같은 제품의 실용적인 기능에는 적용되지 않는다.[46]
9. 상표의 역사
상표의 기원은 아주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최초의 형태는 약 15,000년 전 선사 시대의 동굴 벽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프랑스 라스코 동굴 벽화에는 황소에 표식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가축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개인적 표식으로 추정된다.[47][48]
약 6,000년 전 고대 이집트 석조 건축물에는 채석장 표식과 석공 표식이 새겨져 있었는데, 이는 석재의 기원과 작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었다.[47] 투탕카멘의 무덤에서는 3,000년 이상 전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된 봉인된 암포라 와인이 발견되기도 했다.[49][47]
2,000년 이상 전, 중국 제조업체들은 지중해 지역에서 상품에 식별 기호를 표시하여 판매했다.[47] 고대 그리스와 로마 제국의 상인들이 생산한 도자기, 자기, 검에서도 상표가 발견되었다.[47][50]
중세 유럽에서는 길드가 생산자를 식별하기 위해 상표를 사용했다. 1266년 잉글랜드 의회는 헨리 3세 재위 기간에 최초의 상표 관련 법안을 통과시켜, 모든 제빵업자는 판매하는 빵에 독특한 표시를 사용하도록 했다.[53] 1366년부터 상표를 사용해 왔다고 주장하는 스텔라 아르투아와 1383년부터 사자 표식을 사용해 왔다고 주장하는 뢰벤브로이도 주목할 만한 상표이다.[51][52]
19세기 후반, 각국에서 근대적인 상표법이 제정되기 시작했다. 프랑스에서는 1857년 "제조 및 상품 표시법"을 통해 세계 최초의 포괄적인 상표 시스템이 법으로 제정되었다. 영국에서는 상품 표시법 1862가 타인의 상표를 모방하는 것을 형사 범죄로 규정했고, 상표 등록법 1875를 통해 영국 특허청에서 상표의 공식 등록이 허용되었다.[54]
미국에서는 미국 의회가 1870년에 처음으로 연방 상표 제도를 수립하려 했으나, 대법원은 이 법을 위헌으로 판결했다.[54] 1881년, 의회는 상업 조항 권한에 따라 새로운 상표법을 통과시켰고, 1946년 랜햄 법은 상표에 관한 주요 연방 법률로 기능해 왔다.[57]
영국의 상표법 1938은 "사용 의도" 원칙에 기반한 최초의 등록 시스템을 수립하여 다른 지역의 유사한 법률의 모델이 되었다.[58]
최초의 등록 상표에 대해서는 여러 주장이 있다.
국가 | 내용 |
---|---|
오스트레일리아 | 1906년 7월 2일 연방 상표 등록부가 도입된 후, 찰스 에드워드 풀포드가 등록한 PEPS가 최초의 연방 상표였다.[60] |
영국 | 1876년 배스 양조장의 에일용 삼각형 로고가 포함된 라벨이 최초로 등록된 상표였다.[61] |
미국 | 1884년 5월 27일 로프 제조업체인 J.P. Tolman Company가 등록한 삼손이 사자와 레슬링하는 그림이 현재 사용 중인 가장 오래된 미국 등록 상표이다.[64][65][66] |
독일 | 1875년 크루프 철강 회사가 등록한 세 개의 이음새 없는 기차 바퀴 타이어가 라벨로 등록되었다.[67][68] |
대한민국은 1949년 상표법을 제정하여 상표 제도를 도입했다.
10. 기타
유명인의 특징적인 말투나 행동 등을 "트레이드마크"라고 표현하기도 하지만, 이는 법적인 의미의 상표와는 다르다.[134] 상표는 재산으로서 가치가 있어 매매 및 압류 대상이 된다.
- 2010년, 요잔(YOZAN)이 소유하고 있던 '착신멜로디'의 상표권이 세금 체납으로 압류되어 도쿄도 주세국에 의해 야후! 옥션에 출품되었고 비주얼 아츠에 낙찰되었다.[132]
- 2019년에는 한국에서의 소송 결과, 미쓰비시 중공업이 한국 내에서 소유하고 있던 등록상표 2건이 압류되었다.[133]
-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하면서, 전쟁 전에 일본에서 독일 회사가 등록했던 상표권은 연합군 최고 사령부가 전후 배상 재산으로 접수하여 소유하게 되었다. 1950년, 일본 회사가 보쉬사의 기계를 수입하려 하자, 상표법 위반으로 문제가 되었다.[134]
참조
[1]
웹사이트
Trademark, patent, or copyright
https://www.uspto.go[...]
2024-10-13
[2]
웹사이트
trademark
https://www.law.corn[...]
2024-10-13
[3]
웹사이트
Trademarks
https://www.wipo.int[...]
2024-10-13
[4]
웹사이트
Likelihood of confusion
https://www.uspto.go[...]
2024-10-27
[5]
웹사이트
trademark infringement
https://www.law.corn[...]
2024-10-27
[6]
웹사이트
Trade Policy
https://www.uspto.go[...]
2024-10-27
[7]
웹사이트
WTO: agreement on trade-related aspects of intellectual property {{!}} EUR-Lex
https://eur-lex.euro[...]
2024-10-27
[8]
웹사이트
WTO {{!}} intellectual property - overview of TRIPS Agreement
https://www.wto.org/[...]
2024-10-27
[9]
웹사이트
Trade mark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10-14
[10]
웹사이트
2024 Trademark Glossary of Terms
https://corsearch.co[...]
2024-10-14
[11]
웹사이트
Trademark, patent, or copyright
https://www.uspto.go[...]
2024-10-13
[12]
웹사이트
What is a trademark?
https://www.uspto.go[...]
2024-10-13
[13]
웹사이트
service mark
https://www.law.corn[...]
2024-10-15
[14]
웹사이트
What is a trademark?
https://www.uspto.go[...]
2024-10-13
[15]
웹사이트
Trademarks
https://www.wipo.int[...]
2024-10-13
[16]
웹사이트
Madrid Protocol for international trademark registration
https://www.uspto.go[...]
2024-10-20
[17]
웹사이트
Trademark examples
https://www.uspto.go[...]
2024-10-15
[18]
웹사이트
Trademarks
https://www.wipo.int[...]
2024-10-20
[19]
웹사이트
trade dress
https://www.law.corn[...]
2024-10-15
[20]
웹사이트
Trade Dress Under the Law
https://www.justia.c[...]
2024-10-15
[21]
웹사이트
trade dress
https://www.law.corn[...]
2024-10-15
[22]
웹사이트
Collective mark applications
https://www.uspto.go[...]
2024-10-15
[23]
웹사이트
collective mark
https://www.law.corn[...]
2024-10-15
[24]
웹사이트
Types of trade marks
https://www.euipo.eu[...]
2024-10-29
[25]
웹사이트
Collective mark applications
https://www.uspto.go[...]
2024-10-15
[26]
웹사이트
Certification mark applications
https://www.uspto.go[...]
2024-10-15
[27]
웹사이트
certification mark
https://www.law.corn[...]
2024-10-15
[28]
웹사이트
Types of trade marks
https://www.euipo.eu[...]
2024-10-29
[29]
웹사이트
Certification mark applications
https://www.uspto.go[...]
2024-10-15
[30]
웹사이트
Specific Guidelines: ENERGY STAR Recognition Marks {{!}} ENERGY STAR
https://www.energyst[...]
2024-10-28
[31]
웹사이트
A Guide to Proper Trademark Use For Media, Internet, and Publishing Professionals
https://www.inta.org[...]
International Trademark Association
2023-02-05
[32]
웹사이트
Making a Mark: An Introduction to Trademark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https://www.wipo.int[...]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WIPO)
2024-10-19
[33]
웹사이트
What is a trademark?
https://www.uspto.go[...]
2024-10-14
[34]
웹사이트
Registration
https://www.euipo.eu[...]
2024-10-19
[35]
웹사이트
Trademark Registration Toolkit
https://www.uspto.go[...]
U.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USPTO)
2024-10-20
[36]
웹사이트
Trademark, patent, or copyright
https://www.uspto.go[...]
2024-10-14
[37]
웹사이트
Trademark FAQs
https://www.uspto.go[...]
2024-10-14
[38]
웹사이트
Trademarks
https://www.wipo.int[...]
WIPO
2024-10-14
[39]
웹사이트
Keeping your registration alive
https://www.uspto.go[...]
2024-10-14
[40]
웹사이트
genericide
https://www.law.corn[...]
2024-10-14
[41]
웹사이트
How a Brand Name Becomes Generic
https://www.nytimes.[...]
2019-06-24
[42]
웹사이트
Patent essentials
https://www.uspto.go[...]
2024-10-14
[43]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www.wipo.int[...]
WIPO
2024-10-14
[44]
웹사이트
How Long Does Copyright Protection Last? (FAQ) {{!}} U.S. Copyright Office
https://www.copyrigh[...]
U.S. Copyright Office
2024-10-14
[45]
웹사이트
Obtaining IP Rights: Copyright
https://www.wipo.int[...]
WIPO
2024-10-14
[46]
판례
[47]
웹사이트
A History of Trademarks: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19th Century
https://www.wipo.int[...]
2021-12-06
[48]
서적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rademarks
https://tind.wipo.in[...]
International Trademark Association
1975
[49]
웹사이트
First evidence of white wine in ancient Egypt from Tutankhamun's tomb
https://www.research[...]
August 2006
[50]
학술지
Brand Names Before the Industrial Revolution
April 2008
[51]
서적
Digital Media Law
https://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52]
웹사이트
STELLA ARTOIS ANNO 1366 Trademark of ANHEUSER-BUSCH INBEV S.A. Serial Number: 77003422 :: Trademarkia Trademarks
https://trademark.tr[...]
2019-12-15
[53]
웹사이트
History of Trademarks
http://www.tmprotect[...]
[54]
백과사전
[55]
서적
Trade Marks and Brands: An Interdisciplinary Critiqu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6]
문서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Trademark Law
http://www.iip.or.jp[...]
[57]
학술지
Monetary Damages under the Lanham Act: Eighth Circuit Holds Actual Confusion is Not a Prerequisite
http://scholarship.l[...]
[58]
서적
Introduction to Intellectual Property: Theory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Kluwer Law International
[59]
서적
Symbols of Australia
Mimmo Cozzolino
2000
[60]
웹사이트
Trade mark basics
https://www.ipaustra[...]
2016-03-10
[61]
특허
[62]
웹사이트
The oldest registered trademarks in the world.
https://znakitowarow[...]
2018-01-20
[63]
학술지
A Historical Perspective: The International Trademark Association and the United State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http://www.inta.org/[...]
January–February 2003
[64]
특허
1884-04-07
[65]
웹사이트
History
http://www.samsonrop[...]
Samson Rope Co.
[66]
웹사이트
Some Well-Known U.S. Trademarks Celebrate One Hundred Years
http://www.uspto.gov[...]
U.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2000-06-15
[67]
웹사이트
First Krupp-Logo
//www.thyssenkrupp.c[...]
[68]
법률
Gesetz über Markenschutz
[69]
웹사이트
Making a Mark: An Introduction to Trademark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https://www.wipo.int[...]
WIPO
2017
[70]
웹사이트
First To File Versus First To Use
https://corsearch.co[...]
2024-10-20
[71]
웹사이트
Trademark Status & Document Retrieval
https://tsdr.uspto.g[...]
2024-10-20
[72]
웹사이트
Overview of Trademark Law
https://cyber.harvar[...]
2024-10-20
[73]
웹사이트
Trademark Fundamentals – Trademarks and Licensing Services
https://trademarks.u[...]
2024-10-20
[74]
웹사이트
Why register your trademark?
https://www.uspto.go[...]
2024-10-20
[75]
웹사이트
U.S.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 services for trademark owners
https://www.uspto.go[...]
2024-10-20
[76]
보고서
Making a Mark: An Introduction to Trademark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https://www.wipo.int[...]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2017-01-01
[77]
웹사이트
Strong trademarks
https://www.uspto.go[...]
2024-10-14
[78]
웹사이트
distinctive trademark
https://www.law.corn[...]
2024-10-14
[79]
웹사이트
Comprehensive clearance search for similar trademarks
https://www.uspto.go[...]
2024-10-14
[80]
웹사이트
Search our trademark database
https://www.uspto.go[...]
2024-10-14
[81]
웹사이트
Retiring TESS: What to know about the new trademark search system
https://www.uspto.go[...]
2024-10-14
[82]
웹사이트
Why search for similar trademarks?
https://www.uspto.go[...]
2024-10-14
[83]
웹사이트
Design search codes
https://www.uspto.go[...]
2024-10-14
[84]
웹사이트
Global Brand Database
https://www.wipo.int[...]
2024-10-21
[85]
웹사이트
World Intellectual Property Indicators 2022
https://www.wipo.int[...]
2022-01-01
[86]
웹사이트
Filing International Trademark Applications – The Process
https://www.wipo.int[...]
2024-10-20
[87]
웹사이트
Madrid Protocol
https://www.uspto.go[...]
2024-10-20
[88]
웹사이트
Apply online
https://www.uspto.go[...]
2024-10-20
[89]
웹사이트
Trademark Registration Toolkit
https://www.uspto.go[...]
U.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USPTO)
2024-10-20
[90]
웹사이트
Madrid Yearly Review 2024: International Registration of Marks
https://www.wipo.int[...]
WIPO
2024-01-01
[91]
웹사이트
WIPO {{!}} Madrid – The International Trademark System
https://www.wipo.int[...]
2024-10-21
[92]
웹사이트
Fees and payments
https://www.euipo.eu[...]
2024-10-27
[93]
웹사이트
2.2.3 Period of Time to be Considered
https://guidelines.e[...]
European Unio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EUIPO)
2024-10-27
[94]
웹사이트
abandonment (of trademark)
https://www.law.corn[...]
2024-10-27
[95]
웹사이트
Trademark litigation 101 - Legal Blog
https://legal.thomso[...]
2022-11-14
[96]
웹사이트
ipr
https://iprr.cbp.gov[...]
2024-10-29
[97]
웹사이트
Defend your rights - European Commission
https://taxation-cus[...]
2024-10-30
[98]
웹사이트
Enforcement
https://www.inta.org[...]
2024-10-29
[99]
웹사이트
Trademark Trial and Appeal Board (TTAB) FAQs
https://www.uspto.go[...]
2024-10-29
[100]
웹사이트
Opposition
https://www.euipo.eu[...]
2024-10-29
[101]
웹사이트
15 U.S. Code § 1064 - Cancellation of registration
https://www.law.corn[...]
2024-10-29
[102]
웹사이트
Intellectual Property Enforcement
https://www.wipo.int[...]
2024-10-29
[103]
웹사이트
About Trademark Infringement
https://www.uspto.go[...]
2024-10-30
[104]
웹사이트
Comparative Advertising: Mac vs. PC
http://www.ipwatchdo[...]
2008-11-16
[105]
판례
Volkswagenwerk Aktiengesellschaft v. Church
[106]
판례
Playboy Enterprises, Inc. v. Welles
[107]
법률
Section 21, Trade Marks Act 1994
http://www.opsi.gov.[...]
[108]
웹사이트
dilution
https://www.law.corn[...]
2024-10-22
[109]
보고서
An Introduction to Trademark Law in the United States
https://crsreports.c[...]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24-10-22
[110]
웹사이트
Well-known marks
https://www.uspto.go[...]
2024-10-22
[111]
웹사이트
Trademark Dilution (Intended for a Non-Legal Audience)
https://www.inta.org[...]
2024-10-22
[112]
서적
Trademark Dilution and Free Riding
https://www.elgaronl[...]
Edward Elgar Publishing
2024-10-22
[113]
판례
Bosley Medical Institute, Inc v. Bosley Medical Group
[114]
법률
15 U.S. Code § 1125(d)(1)(A)
[115]
웹사이트
Trademarks
http://www.uspto.gov[...]
2019-10-26
[116]
웹사이트
The STIckler: inside the latest trademark protection gTLD discussion – Blog – World Trademark Review
http://www.worldtrad[...]
2016-07-03
[117]
웹사이트
How the Madrid System Works
https://www.wipo.int[...]
[118]
웹사이트
Summary of the Trademark Law Treaty (TLT) (1994)
https://www.wipo.int[...]
2024-06-18
[119]
서적
The Internationalisation of Trademark Protec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120]
웹사이트
International IP treaties
https://www.uspto.go[...]
2024-06-18
[121]
웹사이트
Full text of the Trademark Law Treaty
http://alpilaw.com/w[...]
[122]
법률
Article 6 bis, Paris Convention
http://www.wipo.int/[...]
[123]
법률
Cap 559, s.18
http://www.legislati[...]
[124]
웹사이트
Indian Trademark Rules
http://www.ipindia.n[...]
2018-12-31
[125]
웹사이트
Public Notice
http://www.ipindia.n[...]
[126]
법률
Article 6bis of the Paris Convention (1967)
[127]
웹사이트
Famous trademarks
https://www.wipo.int[...]
2017
[128]
백과사전
商標
2021-08-26
[129]
웹사이트
Q&A サービスマークとは何ですか。
http://www.kjpaa.jp/[...]
2021-08-26
[130]
웹사이트
商標とは
https://www.jpo.go.j[...]
2021-07-13
[131]
웹사이트
判例の商標的使用論の例
http://www.jpo.go.jp[...]
2021-07-13
[132]
뉴스
「着メロ」商標権2550万円 都の公売で落札
http://www.asahi.com[...]
2010-03-09
[133]
뉴스
三菱重工の「ロゴマーク」差し押さえ 元挺身隊訴訟の原告
https://www.nikkei.c[...]
2021-07-13
[134]
뉴스
ドイツ有名商品 販売は違法 商標権侵害が問題化
1950-12-12
[135]
문서
Trademark vs. Trade mark styling
[136]
웹인용
A trademark is a word, phrase, symbol, and/or design that identifies and distinguishes the source of the goods of one party from those of others.
http://www.uspto.gov[...]
2011-12-13
[137]
웹인용
A trade mark is a sign which can distinguish your goods and services from those of your competitors (you may refer to your trade mark as your "brand").
http://www.ipo.gov.u[...]
2012-12-22
[138]
웹인용
Trade marks identify the goods and services of particular traders. Signs that are suitable for distinguishing products or services of a particular enterprise from that of other companies are eligible for trade mark protection
https://web.archive.[...]
2012-12-22
[13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2-12-2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현대차그룹, 러시아 재진출하나…잇단 현지 상표 등록
‘러시아 재진출’ 카드 만지작거리는 현대차그룹…공장 철수 뒤에도 꾸준히 상표 등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