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광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광범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개화당의 주요 인물로, 갑신정변을 주도했으나 실패 후 미국으로 망명했다. 갑오개혁 이후 귀국하여 법무대신 등을 역임하며 개혁을 추진했지만, 아관파천 이후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 주미특명전권공사로 활동하다 사망했다. 그는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고, 교육 및 번역 활동을 하기도 했으며, 사후 순종 즉위 후 복권되고 익헌의 시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지학자 - 루돌프 슈타이너
    오스트리아 철학자 루돌프 슈타이너는 괴테 연구로 이름을 알린 후 인지학을 창시하여 발도르프 교육, 생물역동 농업 등 여러 분야에 영향을 주었으나, 유사과학적 요소와 인종 관련 논란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신지학자 - 타데우시 미친스키
    타데우시 미친스키는 폴란드의 시인, 소설가, 극작가로서 젊은 폴란드 운동의 대표적인 인물 중 한 명이며, 신비주의, 상징주의, 잠재의식 탐구에 기반하여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했고 폴란드 모더니즘 문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의문사했다.
  • 을미사변 관련자 - 흥선대원군
    조선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은 안동 김씨 세도정치 종식 후 권력을 장악하여 개혁을 추진했으나, 쇄국정책과 독재적 통치로 비판받았고, 실각 후 재집권을 시도하다 톈진으로 압송, 명성황후 암살 의혹 등 격변기 조선의 대표적 인물로 긍정·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을미사변 관련자 - 권동진
    권동진은 조선 말기 개화파 관료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을미사변 가담 후 천도교에 입교, 3·1 운동 민족대표, 신간회 부회장을 역임하고 광복 후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반탁운동을 전개했다.
  • 조선의 번역가 - 김홍집
    김홍집은 조선 말기 온건 개화파 정치가로서 일본에 수신사로 다녀온 후 개화사상을 수용하고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을 주도했으나, 친일 정책과 단발령으로 민심을 잃고 아관파천 때 살해당하며 조선 근대화에 기여했으나 일본 간섭을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 조선의 번역가 - 신숙주
    신숙주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언어학자, 외교관, 정치인으로,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고 세조 즉위 후 주요 관직을 역임하며 외교와 국방에 기여했으며, 《해동제국기》, 《동국정운》 등의 저술을 남기고 영의정을 지냈다.
서광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서광범
서광범
한글 이름서광범
한자 이름徐光範
가나 이름ソ・グァンボム
로마자 표기Seo Gwang-beom
미국식 이름케네스 서 (Kenneth Suh)
초기 미국식 이름케네디 서 (Kennedy Suh)
자(字)서구(敍九)
아호(雅號)위산(緯山)
시호익헌공(翼獻公)
직책
직책조선의 학부대신
임기1895년
생애
출생일1859년 11월 8일
출생지조선 평안도 평양
사망일1897년 7월 17일
사망지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국적
국적조선미국
군주 및 섭정
군주조선 고종
섭정내각총리대신 김홍집
경력
경력급진개화파 출신 정치가 겸 사상가, 문신 겸 시인
종교
종교유교(성리학) → 개신교(장로교) → 신지학협회
가족 관계
배우자사별 초취 안동 김씨, 사별 계취 광산 김씨, 삼취 부인 밀양 박씨
부모서상익(부), 반남 박씨 부인(모)
자녀서재덕(양자)
친인척서대순(친조부)
박제완(외조부)
서광식(사촌 동생)
서재필(족질)
서재창(족질)
서광효(12촌 형)
서광하(12촌 형)
김옥균(사돈)
소속 정당
소속 정당무소속
웹페이지

2. 생애

서광범은 대구 서씨 가문에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 안동 김씨 김 씨 부인과 결혼했으나 일찍 사망하여 재혼하였다. 이후 세 번째 결혼까지 하였다. 그는 첫 번째 부인의 친척인 김옥균과 가까웠으며, 김옥균은 그에게 젊었을 때 개화 사상을 심어주었다. 이후 박영효와도 가까워졌다.[2]

1883년 최초의 미국 특사 파견단에 참여했다.[2] 귀국 후 김옥균, 박영효 등과 함께 갑신정변에 참여했으나 실패하고, 서재필과 함께 미국으로 망명하여 1886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였다.[1][4] 그는 미국에서 10년간 생활하며 교육국에서 봉사원으로 근무하며 매우 적은 봉급을 받았다.[2]

1895년 갑오개혁을 계기로 고종의 부름을 받아 귀국하여 법무대신에 임명되었고, 단발령 도입 및 관제 개편, 재판소 및 법관양성소 규정 제정, 참형과 능지처사를 교수형으로 대체하는 등 여러 개혁을 이끌었다. 또한 『독립신문』을 창간하여 독립협회 운동을 지원하였다.[2]

그 후 런던으로 파견되어 빅토리아 여왕 즉위 60주년 기념식에 참석한 후 한국으로 돌아와 궁내부 대신이 되었다. 그는 다시 미국 워싱턴 D.C.로 특사로 파견되어 장관으로 일했다.[2] 아관파천으로 친일내각이 붕괴되자 현지에서 해임되었고, 1897년 7월 17일 워싱턴 D.C.에서 자전거를 타다 쓰러진 후 며칠간의 병고 끝에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화장되었다.[2][4]

서광범

2. 1. 초기 생애와 배경

1859년(철종 10년) 음력 11월 8일 평양 평안감사 사택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이조참판을 지낸 서상익이며 어머니는 생원 박제완(朴齊完)의 딸 반남 박씨(潘南朴氏)이다. 영조의 정비 정성왕후의 친정아버지인 달성부원군(達城府院君) 서종제(徐宗悌)의 7대손으로, 그의 증조부는 정조의정부영의정을 지낸 서용보이며, 할아버지는 예조 판서를 지낸 서대순(徐戴淳)이다. 당색으로는 노론이었으나 박규수의 문인이 되면서 노론 북학파가 되었다.

소년기에 안동 김씨 김병지(金炳地)의 딸과 결혼했으나 요절하고 다시 후처와 재혼하였다. 후처는 갑신정변으로 헤어졌고 나중에 의정부사인을 지낸 박승헌(朴承憲)의 딸 밀양 박씨를 삼취로 맞이하였다.

그의 부인이 안동 김씨였기 때문인지는 몰라도 그는 일찍부터 김옥균(金玉均)과 가까이 지냈고 또 김옥균과 같이 박규수(朴珪壽) 집을 출입해서 개화 사상이 강하였다. 곧 김옥균, 박영효(朴泳孝)등 동지들과 함께 개화당이란 단체를 만들었다. 구한국시대 서양인들이 간행한 잡지 ''조선휘보(Korean Repository)''에 그가 별세하자 간단한 그의 경력을 소개하면서 개화당을 조직한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서광범은 대구 서씨 가문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첫 번째 부인의 친척인 김옥균은 그에게 젊었을 때 계몽과 사상을 심어주었다. 이후 서광범은 박영효(박찬주의 할아버지이자 이우왕자의 장인)와 가까워졌다.[2]

2. 2. 관직 생활과 개화 활동

1880년(고종 17) 증광문과에 급제, 규장각 대교·검교, 홍문관 부수찬·홍문관부응교, 세자시강원 사서·세자시강원 사서 겸 필선, 남학 교수(南學敎授), 부응교 등을 지냈다.[6] 1882년 4월 김옥균을 수행하여 일본 도쿄에서 일본 국정을 시찰하였고, 7월 임오군란 소식을 듣고 급거 귀국, 8월참찬관에 임명되었다.[6] 1882년 9월 임오군란일본 정부에 대한 배상금 청구 문제 해결을 위해 박영효일본 수신사로 파견될 때, 박영효의 종사관으로 일본에 건너가 일본의 신진 문물을 견학하였다. 이때 박영효의 권고로 수신사 일행이 귀국할 때 잔류, 별도 시찰단 일원으로 파견되었던 김옥균과 함께 남아 일본을 돌아보고 이듬해 3월에 귀국하였다.[6]

1883년 규장각 대교(待敎)에 임명되고 경연 시독관을 겸하였다. 같은 해 6월 보빙사(報聘使)가 미국에 파견될 때 보빙전권대사 민영익의 종사관으로 임명되어 미국의 주요 도시를 시찰하였고, 유럽 각국을 순방한 후 1884년 6월 1년 만에 귀국하였다.[6] 서양 선진 문물에 관심이 많았고, 여러 차례 외유를 통해 개화·자강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변화에 대한 희망 역시 남달리 강하였다.[6] 이후 1884년 7월 승정원 동부승지, 내무 참의(內務參議), 8월 참의군국사무(參議軍國事務), 병조참의, 병조참판 등을 지냈다.[6]

1883년 8월 미국에 파견된 보빙사절단, 오른쪽에서 두 번째 앉은 이가 서광범


그는 김옥균, 박영효 등 동지들과 함께 개화당을 조직하였다. 구한국시대 서양인들이 간행한 잡지 ''조선휘보(Korean Repository)''에 그가 별세하자 간단한 그의 경력을 소개하면서 개화당 조직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6]

2. 3. 갑신정변과 망명

1884년 12월,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등 젊은 개화파들은 갑신정변을 일으켜 보수 정권을 타도하고 근대식 개혁 정부를 수립하고자 했다. 이들은 우정국 개국식 행사 중 궁궐에 불을 질러 혼란을 틈타 고위 관료들을 살해하고 정권을 장악했다. 서광범은 좌우영사 겸 우포장(左右營使兼右捕將) 및 대리외무독판(代理外務督辦)을 맡았다.[1] 그러나 부실한 거사 계획과 취약한 외세 연계로 청나라 군이 개입하면서 정변은 '3일 천하'로 끝났고, 서광범은 일본으로 망명했다.

정변 실패 후, 서광범은 김옥균, 박영효, 서재필, 변수 등 8명과 창덕궁 북문으로 탈출, 변복 후 인천 주재 일본 영사관 직원 고바야시의 주선으로 제일은행 지점장 기노시타의 집에 은신했다. 묄렌도르프의 추격대가 도착하자 기노시타의 배려로 일본 옷을 입고 인천 제물포항에 정박 중이던 스치 가쓰자부노우(十勝三郞)의 천세환에 몸을 숨겼다.

묄렌도르프는 추격대, 외무독판 조병호, 인천감리 홍순학과 함께 다케조에 신이치로 주조선일본 공사에게 망명자 인도를 요구했다. 다케조에 신이치로가 요구를 수용하려 하자 스치 가쓰자부노우 선장은 다케조에 신이치로를 꾸짖고 김옥균 일행을 배 밑 밀실에 숨겼다. 스치는 심순택의 병사들에게 망명객 승선 사실을 부인했고, 외국 선박 수색 불가로 추격대는 돌아섰다. 이 사건은 1942년 7월 조용만의 단편 소설 배 안에서의 소재가 되었다.

다케조에 신이치로의 변심에 분노한 스치 가쓰자부노우 선장의 도움으로 위기를 넘긴 서광범은 일행과 지도세마루 호를 타고 일본 나가사키를 거쳐 도쿄 외곽에 은신했다. 조선 조정은 암살단을 파견했고, 본국 정부의 소환령과 일본 정부의 소극적 태도에 위협을 느낀 서광범은 1885년 5월, 배편으로 미국으로 망명했다.

갑신정변 실패 후, 국내 가족들은 처형당했다. 한성부 감옥에 갇힌 아버지 서상익은 8년 간 수감 중 아사했다. 매천야록에 따르면, 그는 자신이 무슨 죄로 수감됐는지도 모른 채 돼지 먹이 찌꺼기로 연명하다 사망했다. 아내 김씨는 옥중 절개를 지켜 1894년 이후 서광범과 재회했다.

집안에서는 갑신정변 실패 후 광(光)자 대신 병(丙)자를, 재(載)자 대신 정(廷)자를 썼으나, 일부는 광(光)자 항렬과 재(載) 항렬을 그대로 사용했다.

2. 4. 갑오개혁과 좌절

1894년 봄 동학농민운동을 계기로 청일전쟁이 일어나 조선에서 일본의 영향력이 커지자, 일본 외무성의 도움으로 귀국하였다. 곧 사면, 복권되었고 1894년 12월 17일 제2차 김홍집 친일내각이 서자 숭정대부 법부대신 겸 판의금부사로 기용되었다. 1895년 1월 미국 시민권을 포기하고 조선 국적을 회복하였다.

1895년(고종 32) 관제개정 이후 다시 법부대신 겸 고등재판장에 임명되었다. 그 후 내무부대신인 박영효, 김윤식 등과 함께 단발령 등을 도입하고 관제 개편을 추진하는 등 제2차 갑오개혁을 적극 추진하였다. 이때 사법제도의 근대화에 노력하여 재판소, 법관양성소 규정 등을 제정하고, 당시 극형제도이던 참형과 능지처사가 비인도적임을 지적하여 교수형 제도로 대체하였다.

또한 의금부법무아문 예하의 법무아문권설재판소로 바꾸고, 모든 재판업무를 관할하게 했으며, 직접 대전회통속대전, 대명회통 등 고금의 법안을 보고, 일본미국의 신법률과도 비교 대조하여 새로운 법 제정을 추진하였다. 이때 그는 연좌제 폐지를 건의했으나 무산당했다. 이어 재판소구성법, 법관 양성소규정 등을 제정·공포하고 참형 대신 교수형 제도를 채택했다. 한편 기독교선교사에 대한 제한을 철폐했다. 1895년 4월에는 고종에게 상주하여 법무아문권설재판소 위에 고등재판소 제도를 만들고 고등재판관들을 선임한 뒤, 스스로 고등재판소장을 지냈다.

1895년 4월 19일 열린 특별공개재판 판결에 배석판사 이재정, 조신희(趙臣熙)와 함께 주심으로 참여, 이준용에게 2등급 강등과 종신유배형을 선고하였다. 그러나 판결 직후 고종이 특명을 내려 이준용의 형을 유배형 10년으로 다시 낮추었다.

1895년 가을 학부 대신(學部大臣)에 임명되었다. 1895년 10월 일본군 낭인과 조선인들에 의해 명성황후가 암살당했다. 학살사건 당일 제4차 김홍집 내각에서 임시 학부대신서리를 겸하게 되었다. 이후 왕후 암살 사건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법무대신으로 고종의 민비의 폐서인 조칙에 서명한 것이 문제가 되어 왕비 암살에 가담하거나 연루되었다는 혐의를 받았다. 이는 그가 죽은 뒤에도 1898년부터 최익현, 윤용선 등의 상소에 거듭 지목, 언급되었다.

2. 5. 주미공사와 최후

1895년 제4차 김홍집 내각에서 학부대신에 기용되었다가, 친러, 친일 양쪽의 이해관계에 의해 12월 11일 주미특명전권공사로 좌천되었다.[7] 미국 로노크 대학교김규식 등 조선인 유학생이 있었으므로, 로노크 대학 졸업식 행사에 특별히 참석했고, 대학에서도 주미국 조선공사인 그에게 명예 법학 석사 학위를 수여했다. 그러나 아관파천(1896. 2)으로 친일내각이 붕괴되고 친러정권이 들어서자 현지에서 해임되었다.[7]

해임 후, 당시 천역으로 알려진 폐병이 악화되어 회복하지 못하고 조선으로 귀국하지 못했다. 1896년 6월 20일 중추원 1등의관(中樞院一等議官)에 임명되지만, 미국에 남아 망명생활을 했다.[7]

1897년 7월 17일 또는 8월 미국에서 사망했다.[7] 유언대로 화장하고, 유골은 1898년 봄 본국으로 송환되어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논현리 비정동(碑井洞) 산31(현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89-10) 야산에 유교식으로 장사지냈다.[7]

3. 사후

1907년 순종 즉위 후 복권되고 1910년 익헌(翼獻)의 시호가 추서되었다.[1] 묘소는 경기도 광주에 있다가 1985년 10월 경기도 양주군으로 이장되었다.[1] 그의 묘는 후취 정경부인 밀양 박씨와 합장되어 묘 앞에는 묘비(墓碑)와 상석, 망주석이 1쌍 서 있다.[1] 비석은 1900년 5월에 세워졌으며, 비문은 주 조선 미국 공사를 지낸 호러스 알렌이 지었고, 그의 사촌동생 서광식(徐光軾)이 다시 한문으로 번역한 뒤, 정리하여 그의 글씨체로 썼다.[1] 1993년 서울 강남구 도시 계획에 의해 강남구청으로부터 묘 이장 통고를 받고, 1985년 10월경기도 양평군 남면 신암리 198로 이장되었으며, 그의 첫 묘자리는 주차장으로 이용되고 있다.[1]

4. 가족 관계

관계이름
조부서대순
아버지서상익
어머니반남 박씨 (박제완의 딸)
첫째 부인안동 김씨 (김병지의 딸)
둘째 부인광산 김씨
셋째 부인밀양 박씨 ( 의정부사인 박승헌의 딸)
양자서재덕 (친척 서광정의 아들)
외조부박제완



서재필, 서재창은 서광범과 4대조를 공유하는 5촌 조카였다.

5. 평가

서광범은 갑신정변에 참여하고 독립신문 창간을 지원하는 등 조선의 개혁을 이끌고자 했으나,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고 귀국 후 고위 관직을 역임하는 등의 이중적인 행보를 보였다는 평가를 받는다.[4]

5. 1. 긍정적 평가

서광범은 김옥균, 박영효 등과 함께 개화파를 형성하고 갑신정변에 참여하는 등 조선의 개혁을 이끌고자 했다. 비록 정변은 실패로 끝났지만, 이후에도 갑오개혁을 계기로 귀국하여 법무 대신, 학부 대신 등을 역임하며 개혁 정치에 참여했다.[4] 또한, 독립신문 창간을 지원하여 독립협회 운동에 힘을 보탰다.[4]

5. 2. 부정적 평가

서광범은 갑신정변 실패 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였으나, 갑오개혁 이후 귀국하여 고위 관직을 역임하고 독립신문 창간을 지원하는 등 이중적인 행보를 보였다.[4]

5. 3. 종합적 평가

서광범은 조선 양반 가문 출신으로, 빠르게 정치적 지위에 올랐다. 김옥균, 박영효 등과 함께 개화파를 형성하였고, 1882년 수신사 수행원으로 일본을 방문하였다. 1884년 갑신정변에 참여하였으나 실패 후 조카 서재필과 함께 미국으로 정치 망명을 떠났으며[4], 1886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였다. 1895년 갑오개혁을 계기로 고종의 부름을 받고 귀국, 추밀원 의원을 거쳐 법부(외무부에 해당) 대신, 이듬해 학부(구 예조) 대신에 임명되었다. 독립신문을 창간하여 독립협회 운동을 지원하기도 하였다.

개혁 실패 후, 미국으로 다시 파견되어 조선 공사관 공사를 역임하였다.[4] 1897년 8월 13일 워싱턴 D.C.에서 자전거를 타다 쓰러진 후 수일간 병환 끝에 사망하였으며, 유해는 화장되었다.[4]

참조

[1] 웹사이트 보빙사 (報聘使) https://encykorea.ak[...] 2024-01-27
[2] 뉴스 Pom Kwang Soh Dead 1897-08-14
[3] 웹사이트 서광범(徐光範) http://encykorea.aks[...] 2022-08-18
[4] 뉴스 Pom Kwang Soh Dead 1897-08-14
[5] 문서 순종 4권, 3년(1910 경술 / 대한 융희(隆熙) 4년) 7월 15일(양력)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6] 간행물 Korean Repository, Vol.4, September 1897. 1897-09-01 #날짜 추정
[7] 서적 緯山 徐光範 硏究(위산 서광범 연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