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섭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섭관은 일본에서 천황을 보좌하거나 대리하는 직책인 섭정(攝政)과 관백(關白)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섭정은 어린 천황을 보좌하는 직책으로 황족만이 임명될 수 있었으나, 후지와라노 요시후사가 858년에 황족이 아닌 최초의 섭정이 되었다. 관백은 성인이 된 천황을 보좌하며, 후지와라 씨가 섭정과 관백 직을 독점하다시피 했다. 12세기에는 5섭가(五攝家)가 섭정 및 관백을 역임했으며, 메이지 유신으로 섭관 제도가 폐지되었으나, 섭정은 황실 제도로 남아 천황의 유고 시 황족이 맡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섭관 - 쇼토쿠 태자
    쇼토쿠 태자는 일본 아스카 시대의 인물로, 불교 장려, 17조 헌법 제정, 수나라 외교 등 고대 일본 국가 형성에 기여했으며, 여러 일화와 지폐 도안으로 유명하지만, 업적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 섭관 - 관백
    관백은 일본에서 천황을 보좌하던 최고위 관직으로, 태정관 문서 우선 열람 및 거부 권한을 가지며 후지와라 씨 북가 적류가 취임했으나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예외적으로 임명되었고 메이지 유신 이후 폐지되었다.
섭관
개요
명칭섭정 및 관백
원어명(셋쇼 · 칸파쿠)
호칭전하 (덴카)
역사
성립593년
초대쇼토쿠 태자
마지막히로히토 황태자
폐지1926년
섭정 (Sesshō, 셋쇼)
정의어린 천황을 보좌하는 직책
역할천황이 어릴 경우 천황을 대신하여 정치를 수행
관백 (Kampaku, 칸파쿠)
정의성인 천황을 보좌하는 직책
역할천황이 성인이 된 후 천황을 보좌하며 국정을 총괄
특징천황의 명령을 받아 정책 결정에 참여
섭관 (Sekkan, 셋칸)
정의섭정과 관백을 겸하는 직책 또는 그러한 정치 형태
가문섭관직을 독점한 고셋케 (고셋케) 가문이 존재
타이코 (Taikō, 태합)
정의관백직을 은퇴한 사람의 존칭
주요 관련 용어
좌대신 (Sadaijin, 사다이진)태정관 (Daijō-kan, 다이죠칸) 의 주요 구성원

2. 섭정과 관백의 기원 및 역할

초기에는 황족만이 셋쇼/sesshō일본어로 임명될 수 있었다. 고지키는 오진 천황이 어머니인 진구 황후의 보좌를 받았다고 기록하고 있지만, 이것이 역사적 사실인지는 의심스럽다. 최초의 역사적인 셋쇼/sesshō일본어쇼토쿠 태자였으며, 그는 스이코 천황을 보좌했다.

후지와라 씨는 간파쿠/kampaku일본어와 셋쇼/sesshō일본어의 주요 보유자였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이 칭호는 후지와라 북가와 그 후손들이 보유했으며, 후지와라노 요시후사가 이에 속했다.

858년, 후지와라노 요시후사는 셋쇼/sesshō일본어가 되었다. 그는 황족이 아닌 최초의 셋쇼/sesshō일본어였다. 887년, 요시후사의 조카이자 양자인 후지와라노 모토츠네는 새로 창설된 간파쿠/kampaku일본어 직에 임명되었다.

12세기에는 요리미치의 후손들 중 셋케/sekke일본어라고 불리는 5가문이 있었다: 곤에 가문, 구조 가문, 이치조 가문, 다카쓰카사 가문 그리고 니조 가문이다. 곤에 가문과 구조 가문은 모두 후지와라노 타다미치를 통해 후지와라노 요리미치의 후손이었다. 나머지 세 가문은 곤에 가문 또는 구조 가문에서 파생되었다. 1868년의 메이지 유신까지, 이 다섯 가문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그의 조카 도요토미 히데쓰구의 두 예외를 제외하고는 이 칭호를 독점했다.

셋쇼/sesshō일본어와 간파쿠/kampaku일본어의 직함과 칭호는 정부 구조를 재편하기 위해 메이지 유신 기간 동안 1868년의 황실 복고 선언에 의해 폐지되었다. 셋쇼/sesshō일본어의 직함과 칭호는 1889년의 이전 황실 법과 1948년의 새로운 황실 법에 규정되었다. 이 법률에 따라, 셋쇼/sesshō일본어의 직책 보유자는 황족으로 제한된다. 쇼와 천황이 되기 전 황태자 히로히토는 정신 질환을 앓고 있던 다이쇼 천황을 위해 1921년부터 1926년까지 셋쇼/sesshō일본어였다. 그는 라고 불렸다.

2. 1. 섭정 (Sesshō)

황족만이 섭정(摂政, 셋쇼/せっしょう일본어)으로 임명될 수 있었다. 《고지키》는 오진 천황이 어머니인 진구 황후의 보좌를 받았다고 기록하고 있지만, 이것이 역사적 사실인지는 의심스럽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진구 황후가 남편인 주아이 천황 사후, 황태후로서 어린 호무다와케 황자(후의 오진 천황)를 대신하여 "섭정"을 했다고 하지만, 황태후의 집정은 섭정이라기보다는 칭제에 근거한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황후의 실재성 문제도 포함하여 일반적으로는 사료로 여겨지지 않는다. 따라서, 진구 황후는 섭정의 예로 치지 않는다. 최초의 역사적인 섭정은 쇼토쿠 태자였으며, 그는 스이코 천황을 보좌했다. 7세기에는 유력한 왕위 계승 후보자가 국정에 참여하는 관행이 있었는데, 이는 쇼토쿠 태자(스이코 천황)가 스이코 천황의 섭정으로서 국정을 대행한 것을 시작으로 한다. 그 외에 나카노오에 황자를 사이메이 천황의 섭정, 쿠사카베 황자를 덴무 천황의 섭정으로 해석하는 설도 있다. 이 시대의 섭정을 헤이안 시대 이후의 인신 섭정과 구별하여 '''황친 섭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후지와라 씨는 섭정과 kampaku일본어의 주요 보유자였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이 칭호는 후지와라 북가 (藤原北家)와 그 후손들이 보유했으며, 후지와라노 요시후사가 이에 속했다. 858년, 후지와라노 요시후사는 섭정이 되었다. 그는 황족이 아닌 최초의 섭정이었다.

섭정과 kampaku일본어의 직함과 칭호는 정부 구조를 재편하기 위해 메이지 유신 기간 동안 1868년의 황실 복고 선언에 의해 폐지되었다. 섭정의 직함과 칭호는 1889년의 이전 황실 법과 1948년의 새로운 황실 법에 규정되었다. 이 법률에 따라, 섭정의 직책 보유자는 황족으로 제한된다. 쇼와 천황이 되기 전 황태자 히로히토는 정신 질환을 앓고 있던 다이쇼 천황을 위해 1921년부터 1926년까지 섭정이었다. 그는 라고 불렸다.

2. 2. 관백 (Kampaku)

후지와라 씨는 섭정(摂政, 셋쇼)과 관백(관백, 간파쿠)의 주요 직위를 보유했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이 칭호는 후지와라 북가와 그 후손들이 보유했으며, 후지와라노 요시후사가 이에 속했다. 9세기 후반, 후지와라노 모토쓰네가 처음으로 관백에 임명되면서 섭정과 관백을 통한 정치 체제가 본격화되었다. 관백은 성인이 된 천황을 보좌하며, 사실상 국정 전반을 총괄하는 최고위 관직이었다. 887년, 요시후사의 조카이자 양자인 후지와라노 모토츠네는 새로 창설된 관백 직에 임명되었다.

12세기에는 요리미치의 후손들 중 섭가(摂家, 셋케)라고 불리는 5가문이 있었다. 곤에 가문, 구조 가문, 이치조 가문, 다카쓰카사 가문 그리고 니조 가문이다. 곤에 가문과 구조 가문은 모두 후지와라노 타다미치를 통해 후지와라노 요리미치의 후손이었다. 나머지 세 가문은 곤에 가문 또는 구조 가문에서 파생되었다. 1868년의 메이지 유신까지, 이 다섯 가문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그의 조카 도요토미 히데쓰구의 두 예외를 제외하고는 이 칭호를 독점했다.

3. 섭관 정치의 전개

3. 1. 헤이안 시대 (794년 ~ 1185년)

후지와라노 요시후사가 황족이 아닌 신하로서 처음으로 섭정에 임명되었고, 요시후사의 조카이자 양자인 후지와라노 모토쓰네가 최초의 관백이 되었다. 이후 섭정과 관백 직은 모토쓰네의 자손인 후지와라 북가 적류에 의해 세습되었다. 이 가계는 '''섭가'''라고 불리게 되었다. 후지와라노 가네이에우대신을 사임한 후에도 섭정에 머무르면서 섭관은 정관처럼 여겨졌고, 대신 경험자로 섭관에 임명되는 자도 나타나게 되었다.

3. 2. 가마쿠라 시대 (1185년 ~ 1333년)

무사 계급이 성장하며 가마쿠라 막부가 성립되었다. 후지와라 씨는 여전히 섭정과 관백 직을 유지했지만, 실질적인 권력은 막부의 쇼군에게 있었다.고노에 가, 구조 가, 이치조 가, 다카쓰카사 가, 니조 가의 5개 가문(오섭가)이 섭정과 관백 직을 번갈아 맡았다.

3. 3. 무로마치 시대 (1336년 ~ 1573년)

아시카가 막부가 성립되면서 섭관의 권위는 더욱 약화되었다. 오섭가는 명목상 섭정과 관백 직을 유지했지만, 실권은 아시카가 쇼군에게 있었다. 남북조 시대에는 남조북조 양쪽에서 각각 관백이 임명되기도 했다.

3. 4.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1573년 ~ 1603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오다 노부나가의 뒤를 이어 관백에 취임하면서, 섭관 정치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히데요시는 무사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관백이 되었으며, 강력한 중앙집권적 통치를 확립했다. 히데요시 사후, 그의 아들 도요토미 히데쓰구가 관백 직을 계승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숙청당했다.

3. 5. 에도 시대 (1603년 ~ 1867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승리하고 에도 막부를 수립하면서, 섭관의 권력은 완전히 유명무실해졌다.오섭가는 형식적으로 섭정과 관백 직을 계속 맡았지만, 실질적인 권한은 없었다.

4. 메이지 유신과 섭정 제도의 변화

1868년 메이지 유신으로 막부 체제가 붕괴되고 왕정복고가 이루어지면서, 섭정(摂政, 셋쇼/せっしょう일본어)과 관백(関白, 간파쿠/かんぱく일본어) 제도는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황실 제도 내에는 섭정 제도가 남아, 천황이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황족이 섭정을 맡도록 규정되었다. 다이쇼 천황 시기, 병약한 천황을 대신하여 황태자 히로히토(쇼와 천황)가 1921년부터 1926년까지 섭정을 맡기도 했다. 그는 섭정궁(摂政宮, 셋쇼노미야/せっしょうのみや일본어)이라고 불렸다.

5. 현대 한국의 관점에서의 섭관 정치

5. 1. 권력 집중과 세습의 문제

5. 2. 정치 개혁의 필요성

6. 섭정 · 관백 목록

쇼토쿠 태자593년부터 622년까지 스이코 천황의 섭정을 맡았다.[7] 후지와라노 요시후사는 858년부터 872년까지 세이와 천황의 섭정을 맡았으며, 그의 양자 후지와라노 모토쓰네872년부터 880년까지 세이와 천황과 요제이 천황의 섭정을, 880년부터 890년까지는 요제이, 고코 천황, 우다 천황의 관백을 역임했다.[7]

후지와라노 도키히라는 909년다이고 천황의 섭정을 맡았다.[7] 후지와라노 다다히라930년부터 941년까지 스자쿠 천황의 섭정을, 941년부터 949년까지 스자쿠 천황과 무라카미 천황의 관백을 역임했다.[7] 후지와라노 사네요리는 967년부터 969년까지 레이제이 천황의 관백을, 969년부터 970년까지 엔유 천황의 섭정을 맡았다.[7] 후지와라노 고레타다970년부터 972년까지 엔유 천황의 섭정을, 후지와라노 가네미치는 972년부터 977년까지 엔유 천황의 관백을 역임했다.[7] 후지와라노 요리타다는 977년부터 986년까지 엔유 천황과 가잔 천황의 관백을 맡았다.[7]

후지와라노 가네이에986년부터 990년까지 이치조 천황의 섭정을, 990년에는 관백을 역임했다.[7] 후지와라노 미치타카990년에 이치조 천황의 관백을, 990년부터 993년까지는 섭정을, 993년부터 995년까지는 다시 관백을 맡았다.[7] 후지와라노 미치카네995년에 이치조 천황의 관백을 역임했다.[7] 후지와라노 미치나가1016년부터 1017년까지 고이치조 천황의 섭정을 맡았고, 후지와라노 요리미치1017년부터 1019년까지 고이치조 천황의 섭정을, 1019년부터는 고이치조, 고스자쿠 천황, 고레이제이 천황의 관백을 역임했다.[7]

후지와라노 노리미치는 1068년부터 1075년까지 고산조 천황시라카와 천황의 관백을 맡았다.[7] 후지와라노 모로자네1075년부터 1086년까지 시라카와 천황의 관백을, 1086년부터 1090년까지 호리카와 천황의 섭정을, 1090년부터 1094년까지 다시 호리카와 천황의 관백을 역임했다.[7] 후지와라노 모로미치는 1094년부터 1099년까지 호리카와 천황의 관백을 맡았다.[7] 후지와라노 다다자네1105년부터 1107년까지 호리카와 천황의 관백을, 1107년부터 1113년까지 도바 천황의 섭정을, 1113년부터 1121년까지 다시 도바 천황의 관백을 역임했다.[7]

후지와라노 다다미치1121년부터 1123년까지 도바 천황의 관백을, 1123년부터 1129년까지 스토쿠 천황의 섭정을, 1129년부터 1141년까지 스토쿠 천황의 관백을, 1141년부터 1150년까지 고노에 천황의 섭정을, 1150년부터 1158년까지 고노에 천황과 고시라카와 천황의 관백을 역임했다.[7] 고노에 모토자네1158년부터 1165년까지 니조 천황의 관백을, 1165년부터 1166년까지 로쿠조 천황의 섭정을 맡았다.[7] 마쓰도노 모토후사1166년부터 1172년까지 로쿠조 천황과 다카쿠라 천황의 섭정을, 1172년부터 1179년까지 다카쿠라 천황의 관백을 역임했다.[7] 고노에 모토미치1179년부터 1180년까지 다카쿠라 천황의 관백을, 1180년부터 1183년까지 안토쿠 천황의 섭정을 맡았다.[7]

마쓰도노 모로이에는 1183년부터 1184년까지 안토쿠 천황의 섭정을 맡았다.[7] 고노에 모토미치는 1184년부터 1186년까지 안토쿠 천황과 고토바 천황의 섭정을 역임했다.[7] 구조 가네자네는 1186년부터 1191년까지 고토바 천황의 섭정을, 1191년부터 1196년까지 고토바 천황의 관백을 맡았다.[7] 고노에 모토미치는 1196년부터 1198년까지 쓰치미카도 천황의 관백을, 1198년부터 1202년까지 쓰치미카도 천황의 섭정을 역임했다.[7] 구조 요시쓰네1202년부터 1206년까지 쓰치미카도 천황의 섭정을 맡았다.[7]

고노에 이에자네는 1206년에 쓰치미카도 천황의 섭정을, 1206년부터 1221년까지 쓰치미카도 천황과 준토쿠 천황의 관백을 역임했다.[7] 구조 미치이에1221년주쿄 천황의 섭정을 맡았다.[7] 고노에 이에자네는 1221년부터 1223년까지 고호리카와 천황의 섭정을, 1223년부터 1228년까지 고호리카와 천황의 관백을 역임했다.[7] 구조 미치이에는 1228년부터 1231년까지 고호리카와 천황의 관백을 맡았다.[7] 구조 노리자네는 1231년부터 1235년까지 고호리카와 천황과 시조 천황의 섭정을 역임했다.[7] 구조 미치이에는 1235년부터 1237년까지 시조 천황의 섭정을 맡았다.[7]

고노에 가네쓰네는 1237년부터 1242년까지 시조 천황의 섭정을, 1242년에는 고사가 천황의 관백을 역임했다.[7] 니조 요시자네는 1242년부터 1246년까지 고사가 천황의 관백을 맡았다.[7] 이치조 사네쓰네1246년에 고사가 천황의 관백을, 1246년부터 1247년까지 고후카쿠사 천황의 섭정을 역임했다.[7] 고노에 가네쓰네는 1247년부터 1252년까지 고후카쿠사 천황의 섭정을 맡았다.[7] 다카쓰카사 가네히라는 1252년부터 1254년까지 고후카쿠사 천황의 섭정을, 1254년부터 1261년까지 고후카쿠사 천황과 가메야마 천황의 관백을 역임했다.[7]

이후에도 수많은 인물들이 섭정과 관백을 역임했다. 예를 들어 니조 요시자네 (1261년-1265년), 이치조 사네쓰네 (1265년-1267년), 고노에 모토히라 (1267년-1268년), 다카쓰카사 모토타다 (1268년-1273년), 구조 다다이에 (1273년-1274년) 등이 가메야마 천황의 관백을 역임했다.[7] 이치조 이에쓰네 (1274년-1275년), 다카쓰카사 가네히라 (1275년-1278년) 등이 고우다 천황의 섭정을 역임했고, 다카쓰카사 가네히라는 1278년-1287년 고우다 천황의 관백을 역임하였다.[7]

1921년부터 1926년까지는 히로히토 황태자다이쇼 천황의 섭정을 맡았다.[7]

방대한 섭정 및 관백의 전체 목록은 별도 표로 제시한다.

7. 섭정 · 관백 목록 (표)

섭정관백임기천황
쇼토쿠 태자593년–622년스이코
후지와라노 요시후사858년–872년세이와
후지와라노 모토쓰네872년–880년세이와, 요제이
후지와라노 모토쓰네880년–890년요제이, 코코, 우다
후지와라노 도키히라909년다이고
후지와라노 다다히라930년–941년스자쿠
후지와라노 다다히라941년–949년스자쿠, 무라카미
후지와라노 사네요리967년–969년레이제이
후지와라노 사네요리969년–970년엔유
후지와라노 고레타다970년–972년엔유
후지와라노 가네미치972년–977년엔유
후지와라노 요리타다977년–986년엔유, 카잔
후지와라노 가네이에986년–990년이치조
후지와라노 가네이에990년 음력 5월 5일 - 990년 5월 8일이치조
후지와라노 미치타카990년 5월 8일-990년 5월 26일이치조
후지와라노 미치타카990년–993년이치조
후지와라노 미치타카993년–995년이치조
후지와라노 미치카네995년 4월 28일-995년 5월 8일이치조
후지와라노 미치나가1016년–1017년고이치조
후지와라노 요리미치1017년–1019년고이치조
후지와라노 요리미치1019년–1068년고이치조, 고스자쿠, 고레이제이
후지와라노 노리미치1068년–1075년고산조, 시라카와
후지와라노 모로자네1075년–1086년시라카와
후지와라노 모로자네1086년–1090년호리카와
후지와라노 모로자네1090년–1094년호리카와
후지와라노 모로미치1094년–1099년호리카와
후지와라노 다다자네1105년–1107년호리카와
후지와라노 다다자네1107년–1113년토바
후지와라노 다다자네1113년–1121년토바
후지와라노 다다미치1121년–1123년토바
후지와라노 다다미치1123년–1129년스토쿠
후지와라노 다다미치1129년–1141년스토쿠
후지와라노 다다미치1141년–1150년코노에
후지와라노 다다미치1150년–1158년코노에, 고시라카와
고노에 모토자네1158년–1165년니조
고노에 모토자네1165년–1166년로쿠조
마쓰도노 모토후사1166년–1172년로쿠조, 타카쿠라
마쓰도노 모토후사1172년–1179년타카쿠라
고노에 모토미치1179년–1180년타카쿠라
고노에 모토미치1180년–1183년안토쿠
마쓰도노 모로이에1183년–1184년안토쿠
고노에 모토미치1184년–1186년안토쿠, 고토바
구조 가네자네1186년–1191년고토바
구조 가네자네1191년–1196년고토바
고노에 모토미치1196년–1198년츠치미카도
고노에 모토미치1198년–1202년츠치미카도
구조 요시쓰네1202년–1206년츠치미카도
고노에 이에자네1206년츠치미카도
고노에 이에자네1206년–1221년츠치미카도, 준토쿠
구조 미치이에1221년추쿄
고노에 이에자네1221년–1223년고호리카와
고노에 이에자네1223년–1228년고호리카와
구조 미치이에1228년–1231년고호리카와
구조 노리자네1231년–1232년고호리카와
구조 노리자네1232년–1235년시조
구조 미치이에1235년–1237년신조
고노에 가네쓰네1237년–1242년신조
고노에 가네쓰네1242년고사가
니조 요지자네1242년–1246년고사가
이치조 사네쓰네1246년고사가
이치조 사네쓰네1246년–1247년고후카쿠사
고노에 가네쓰네1247년–1252년고후카쿠사
다카쓰카사 가네히라1252년–1254년고후카쿠사
다카쓰카사 가네히라1254년–1261년고후카쿠사, 카메야마
니조 요시자네1261년–1265년카메야마
이치조 사네쓰네1265년–1267년카메야마
고노에 모토히라1267년–1268년카메야마
다카쓰카사 모토타다1268년–1273년카메야마
구조 다다이에1273년–1274년카메야마
구조 다다이에1274년고우다
이치조 이에쓰네1274년–1275년고우다
다카쓰카사 가네히라1275년–1278년고우다
다카쓰카사 가네히라1278년–1287년고우다
니조 모로타다1287년–1289년고우다, 후시미
고노에 이에모토1289년–1291년후시미
구조 다다노리1291년–1293년후시미
고노에 이에모토1293년–1296년후시미
다카쓰카사 가네타다1296년–1298년후시미
다카쓰카사 가네타다1298년고후시미
니조 가네모토1298년–1300년고후시미
니조 가네모토1300년–1305년고후시미, 고니조
구조 모로노리1305년–1308년고니조
구조 모로노리1308년하나조노
다카쓰카사 후유히라1308년–1311년하나조노
다카쓰카사 후유히라1311년–1313년하나조노
고노에 이에히라1313년–1315년하나조노
다카쓰카사 후유히라1315년–1316년하나조노
니조 미치히라1316년–1318년하나조노, 고다이고
이치조 우치쓰네1318년–1323년고다이고
구조 후사자네1323년–1324년고다이고
다카쓰카사 후유히라1324년–1327년고다이고
니조 미치히라1327년–1330년고다이고
고노에 쓰네타다1330년고다이고
다카쓰카사 후유노리1330년–1333년고다이고, 코곤
고노에 쓰네타다1336년–1337년코묘
고노에 모토쓰구1337년–1338년코묘
이치조 쓰네미치1338년–1342년코묘
구조 미치노리1342년코묘
다카쓰카사 모로히라1342년–1346년코묘
니조 요시모토1346년–1358년코묘, 스코, 고코곤
구조 쓰네노리1358년–1361년고코곤
고노에 미치쓰구1361년–1363년고코곤
니조 요시모토1363년–1367년고코곤
다카쓰카사 후유미치1367년–1369년고코곤
니조 모로요시1369년–1375년고코곤, 고엔유
구조 다다모토1375년–1379년고엔유
니조 모로쓰구1379년–1382년고엔유
니조 요시모토1382년–1388년고코마츠
고노에 가네쓰구1388년고코마츠
니조 요시모토1388년고코마츠
니조 요시모토1388년고코마츠
니조 모로쓰구1388년–1394년고코마츠
이치조 쓰네쓰구1394년–1398년고코마츠
니조 모로쓰구1398년–1399년고코마츠
이치조 쓰네쓰구1399년–1408년고코마츠
고노에 다다쓰구1408년–1409년고코마츠
니조 미쓰모토1409년–1410년고코마츠
이치조 쓰네쓰구1410년–1418년고코마츠, 쇼코
구조 미쓰이에1418년–1424년쇼코
니조 모치모토1424년–1428년쇼코
니조 모치모토1428년–1432년고하나조노
니조 가네요시1432년고하나조노
니조 모치모토1432년–1433년고하나조노
니조 모치모토1433년–1445년고하나조노
고노에 후사쓰구1445년–1447년고하나조노
이치조 가네요시1447년–1453년고하나조노
다카쓰카사 후사히라1454년–1455년고하나조노
니조 모치미치1455년–1458년고하나조노
이치조 노리후사1458년–1463년고하나조노
니조 모치미치1463년–1467년고하나조노, 고츠치미카도
이치조 가네요시1467년–1470년고츠치미카도
니조 마사쓰구1470년–1476년고츠치미카도
구조 마사모토1476년–1479년고츠치미카도
고노에 마사이에1479년–1483년고츠치미카도
다카쓰카사 마사히라1483년–1487년고츠치미카도
구조 마사타다1487년–1488년고츠치미카도
이치조 후유요시1488년–1493년고츠치미카도
고노에 히사미치1493년–1497년고츠치미카도
니조 히사모토1497년고츠치미카도
이치조 후유요시1497년–1501년고츠치미카도, 고카시와바라
구조 히사쓰네1501년–1513년고카시와바라
고노에 히사미치1513년–1514년고카시와바라
다카쓰카사 가네스케1514년–1518년고카시와바라
니조 고레후사1518년–1525년고카시와바라
고노에 다네이에1525년–1533년고카시와바라, 고나라
구조 다네미치1533년–1534년고나라
니조 고레후사1534년–1536년고나라
고노에 다네이에1536년–1542년고나라
다카쓰카사 다다후유1542년–1545년고나라
이치조 후사미치1545년–1548년고나라
니조 하루요시1548년–1553년고나라
이치조 가네후유1553년–1554년고나라
고노에 사키히사1554년–1568년고나라, 오기마치
니조 하루요시1568년–1578년오기마치
구조 가네타카1578년–1581년오기마치
이치조 우치모토1581년–1585년오기마치
니조 아키자네1585년오기마치
도요토미 히데요시1585년–1591년오기마치, 고요제이
도요토미 히데쓰구1591년–1595년고요제이
구조 가네타카1600년–1604년고요제이
고노에 노부타다1605년–1606년고요제이
다카쓰카사 노부후사1606년–1608년고요제이
구조 유키이에1608년–1612년고요제이, 고미즈노오
다카쓰카사 노부히사1612년–1615년고미즈노오
니조 아키자네1615년–1619년고미즈노오
구조 유키이에1619년–1623년고미즈노오
고노에 노부히로1623년–1629년고미즈노오
이치조 아키요시1629년고미즈노오
이치조 아키요시1629년–1635년메이쇼
니조 야스미치1635년–1647년메이쇼, 고코묘
구조 미치후사1647년고코묘
이치조 아키요시1647년고코묘
이치조 아키요시1647년–1651년고코묘
고노에 히사쓰구1651년–1653년고코묘
니조 미쓰히라1653년–1663년고코묘, 고사이
니조 미쓰히라1663년–1664년레이겐
다카쓰카사 후사스케1664년–1668년레이겐
다카쓰카사 후사스케1668년–1682년레이겐
이치조 가네테루1682년–1687년레이겐
이치조 가네테루1687년–1689년히가시야마
이치조 가네테루1689년–1690년히가시야마
고노에 모토히로1690년–1703년히가시야마
다카쓰카사 가네히로1703년–1707년히가시야마
고노에 이에히로1707년–1709년히가시야마
고노에 이에히로1709년–1712년나카미카도
구조 스케자네1712년–1716년나카미카도
구조 스케자네1716년–1722년나카미카도
니조 쓰나히라1722년–1726년나카미카도
고노에 이에히사1726년–1736년나카미카도, 사쿠라마치
니조 요시타다1736년–1737년사쿠라마치
이치조 가네카1737년–1746년사쿠라마치
이치조 미치카1746년–1747년사쿠라마치
이치조 미치카1747년–1755년모모조노
이치조 미치카1755년–1757년모모조노
고노에 우치사키1757년–1762년모모조노
고노에 우치사키1762년–1772년고사쿠라마치, 고모모조노
고노에 우치사키1772년–1778년고모모조노
구조 나오자네1778년–1779년고모모조노
구조 나오자네1779년–1785년코카쿠
구조 나오자네1785년–1787년코카쿠
다카쓰카사 스케히라1787년–1791년코카쿠
이치조 테루요시1791년–1795년코카쿠
다카쓰카사 마사히로1795년–1814년코카쿠
이치조 다다요시1814년–1823년코카쿠, 닌코
다카쓰카사 마사미치1823년–1856년닌코, 코메이
구조 히사타다1856년–1862년코메이
고노에 다다히로1862년–1863년코메이
다카쓰카사 스케히로1863년코메이
니조 나리유키1863년–1866년코메이
니조 나리유키1867년메이지
히로히토 황태자1921년–1926년다이쇼



다음은 섭정(셋쇼/攝政일본어)과 관백(칸파쿠/關白일본어)의 계승 순서에 따른 목록이다.[7] 이 목록은 완전하지 않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s://www.juku.st/[...] Tomonokai 2015-07-19
[2] 웹사이트 https://news.yahoo.c[...] Yahoo News 2024-01-04
[3] 웹사이트 https://kotobank.jp/[...] Kotobank
[4] 웹사이트 https://kotobank.jp/[...] kotobank
[5] 웹사이트 https://business.nik[...] Nikkei Business 2017-01-14
[6] 웹사이트 https://dot.asahi.co[...] The Asahi Shimbun 2023-09-24
[7]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8] 문서 藤氏家伝
[9] 문서 日本書紀
[10] 문서 藤氏家伝
[11] 문서 日本書紀
[12] 문서 日本三代実録
[13] 문서 日本三代実録
[14] 문서 日本紀略
[15] 문서
[16] 문서 南朝関白次第
[17] 문서
[18] 문서 続本朝通鑑
[19] 문서 諸家伝
[20]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