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비멜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비멜린은 구강건조증과 쇼그렌 증후군 치료에 사용되는 콜린성 작용제이다. 무스카린 수용체 M1과 M3에 결합하여 타액 분비를 증가시켜 증상을 완화하며, 부교감신경계를 활성화시킨다. 경구 투여 시 빠르게 흡수되며, 간에서 대사되어 신장으로 배설된다. 흔한 부작용으로는 구역질, 구토, 설사 등이 있으며, 뇌전증, 홍채염, 심장 질환 환자 등에게는 금기이다.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에 주의해야 하며, 고령자, 소아, 임산부 및 수유부에게는 신중하게 투여해야 한다. 30mg을 1일 3회 식후에 경구 투여하며, 캡슐 형태로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세비멜린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약물 정보 | |
![]() | |
![]() | |
식별 정보 | |
IUPAC 이름 | (2R,2R)-2'-메틸스피로[4-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2,5'-[1,3]옥사티올란] |
CAS 등록번호 | 107233-08-9 |
ATC 코드 | N07AX03 |
PubChem CID | 83898 |
DrugBank | DB00185 |
ChemSpider ID | 75707 |
UNII | K9V0CDQ56E |
KEGG | D07667 |
ChEMBL | 1201267 |
약리학 정보 | |
투여 경로 | 경구 투여 (캡슐 형태) |
생체 이용률 | 알려진 정보 없음 |
단백질 결합률 | 20% 미만 |
대사 | CYP2D6 및 CYP3A4 |
배설 반감기 | 4시간 (남성), 5시간 (여성) |
배설 |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배설 |
물리화학 정보 | |
분자식 | C10H17NOS |
분자량 | 489.565 g/mol |
SMILES | O1[C@H](SC[C@@]12CN3CCC2CC3)C |
InChI | 1/C10H17NOS/c1-8-12-10(7-13-8)6-11-4-2-9(10)3-5-11/h8-9H,2-7H2,1H3/t8-,10-/m1/s1 |
InChIKey | WUTYZMFRCNBCHQ-PSASIEDQBZ |
표준 InChI | 1S/C10H17NOS/c1-8-12-10(7-13-8)6-11-4-2-9(10)3-5-11/h8-9H,2-7H2,1H3/t8-,10-/m1/s1 |
표준 InChIKey | WUTYZMFRCNBCHQ-PSASIEDQSA-N |
기타 정보 | |
상품명 | Evoxac |
임신 카테고리 | C |
법적 지위 | 전문의약품 |
MedlinePlus | a608025 |
Drugs.com | Drugs.com 세비멜린 염산염 정보 |
2. 의학적 사용
세비멜린은 구강건조증[4][5]과 쇼그렌 증후군의 치료에 사용되며,[4] 타액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5] 주로 쇼그렌 증후군이나 구강 건조증의 증상 완화를 위해 사용된다.
세비멜린의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 쇼그렌 증후군 및 구강 건조증 환자의 구강 건조 증상 개선
3. 작용 기전
세비멜린은 콜린성 작용제로, 특히 M1과 M3 수용체에 강하게 결합한다.[5] 부교감신경계의 M3 수용체가 활성화되면 침샘 분비량이 증가하여 구강건조증 증상을 완화한다. M2 수용체는 자극하지 않아 필로카핀보다 부작용이 적다.[7] 유키지루시 유업과 일본화약이 공동 개발했으며, 동물 실험에서 뇌의 M1 수용체와 타액선의 M3 수용체에 주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포 정보 전달계의 이노시톨 인지질 대사 회전을 농도 의존적으로 촉진하고 타액 분비를 포함한 무스카린 수용체의 작용을 증강시킨다.
3. 1. 약물 동태
세비멜린은 경구 투여 시 빠르게 흡수되어 1.5시간 정도에 최고 혈중 농도(Cmax)에 도달한다. 쇼그렌 증후군 환자의 경우, Cmax 및 AUC0~∞(혈중에서 완전히 소실되는 시간)가 건강한 성인에 비해 다소 연장된다. 남성과 여성의 경우 반감기는 여성이 더 길다.이후 간에서 시토크롬 P450의 분자 종 CYP2D6 및 CYP3A4에 의해 주로 트랜스 설폭시드체와 시스 설폭시드체로 대사된다. 대사되지 않은 미변화체를 포함한 대사물은 신장에서 여과되어 소변으로 배설된다.
4. 부작용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구역질, 구토, 설사, 발한 증가, 발진, 두통, 콧물, 기침, 졸림, 피부 홍조, 시야흐림, 불면증, 복통 등이 있다.[6][3]
드물게 나타나거나 빈도가 불명확하며, 위에 열거된 부작용보다 빈도가 낮지만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는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
정신 신경계 | 감각기 | 소화기 | 순환기 | 호흡기 | 혈액 | 피부 | 비뇨기 | 간 | 신장 | 기타 |
---|---|---|---|---|---|---|---|---|---|---|
어지럼증, 진전, 불면증, 우울증, 기면 | 흐린 시야 | 식욕 부진, 소화 불량, 고창, 변비, 타액선 통증, 타액선 종대 | 맥박 불규칙, 고혈압, 빈맥, 심계항진, 심전도 이상 | 호흡 곤란, 폐 침윤 | 적혈구 감소, 헤모글로빈 감소, 헤마토크리트 수치 저하, 백혈구 감소 | 발진, 가려움 | 빈뇨 | LAP 상승, LDH 상승, 총 빌리루빈 상승, 간 기능 이상 | 요 단백 양성, BUN 상승 | 두통, 미각 이상, 총 콜레스테롤 상승, 오한, 근육통 등 |
5. 금기
천식 및 폐쇄각 녹내장 환자에게는 투여가 금지된다.[3]
5. 1. 절대 금기
다음 환자에게는 세비멜린을 투여하지 않는다.- '''뇌전증'''
- '''홍채염'''
- '''소화관 및 방광 경부 폐쇄'''
- '''중대한 허혈성 심장 질환''' (심근 경색, 협심증 등)
- '''파킨슨증 또는 파킨슨병'''
- '''기관지 천식 및 만성 폐쇄성 폐 질환'''
5. 2. 신중 투여
다음 환자에게는 신중히 투여한다.6. 상호 작용
세비멜린을 다른 약물과 함께 투여할 때에는 약리학적 상호 작용 가능성에 주의해야 한다. 특히 콜린 작용제나 콜린 에스테라아제 억제제와 함께 복용하면 상호 효과가 증강되어 매우 위험하다.
- 콜린 작용제, 콜린 에스테라아제 억제제, 아세틸콜린 방출 촉진 작용을 하는 약물은 상호 작용을 증강시켜 부작용 발생률이 높아질 수 있다.
- 항콜린 작용제 또는 항콜린 작용을 갖는 약물은 세비멜린과 길항적으로 작용하므로 세비멜린의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7. 기타 주의사항
(세비멜린의 기타 주의사항에 대한 내용은 원본 소스에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7. 1. 고령자 투여
고령자는 일반적으로 신장 및 간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다. 세비멜린뿐만 아니라, 혈중 농도가 높은 채로 지속될 우려가 있으므로, 의사의 관리가 필요하다.[1]7. 2. 소아 투여
소아에 대한 투여는 지금까지 사용 경험이 없어 안전성이 확립되지 않았다.7. 3. 임부, 산부, 수유부 등에 대한 투여
랫트를 사용한 동물 실험에서 출생 신생아의 체중 감소 및 모유로의 이행이 확인되었다.[1]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게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해야 한다.[1] 수유 중인 여성은 투여 중 수유를 피해야 한다.[1]8. 처방 예
다음 질환으로 인한 구강 건조 증상 개선에 사용된다. 만약 치주 질환 등 구강 내 증상이 진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그쪽을 우선시할 수도 있다.
- 구강 건조증: 1회 30mg을 1일 3회, 식후에 경구 투여한다.
- 쇼그렌 증후군: 1회 30mg을 1일 3회, 식후에 경구 투여한다.
8. 1. 제형
캡슐 - 30mg참조
[1]
논문
Therapeutic effect of cevimeline on dry eye in patients with Sjögren's syndrome: a randomized, double-blind clinical study
2004-07
[2]
서적
Dubois' Lupus Erythematosus and Related Syndromes
Elsevier
[3]
웹사이트
Cevimeline
http://www.medicinen[...]
2007-10-12
[4]
논문
Therapeutic effect of cevimeline on dry eye in patients with Sjögren's syndrome: a randomized, double-blind clinical study
2004-07
[5]
서적
Dubois' Lupus Erythematosus and Related Syndromes
Elsevier
[6]
웹인용
Cevimeline
http://www.medicinen[...]
2007-10-12
[7]
논문
Xerostomia
http://www.jcohns.or[...]
2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