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소비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소비세는 재화나 서비스의 소비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부가가치세, 판매세, 개별소비세, 지출세 등으로 구분된다. 부가가치세는 생산 및 유통 단계에서 부가되는 가치에 부과되며, 판매세는 최종 판매 단계에서, 개별소비세는 특정 상품에 부과된다. 지출세는 개인의 소비 지출 총액에 부과된다. 소비세는 저축을 장려하고 투자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지만, 역진적인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노동 선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OECD 국가에서 소비세는 중요한 세수원이며, 부가가치세가 널리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세 - 상속세
    상속세는 사망으로 인해 무상으로 이전되는 재산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으로, 상속재산가액에서 각종 공제를 차감한 과세표준에 누진세율을 적용하여 산출하며, 소득 재분배 및 조세 형평성을 제고하는 기능과 함께 이중과세, 기업 경영권 승계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도 제기된다.
  • 인세 - 죄악세
    죄악세는 유해 활동을 줄이고 사회적, 경제적 목표 달성을 위해 부과되는 세금으로, 가격 인상, 수요 감소, 새로운 세입원 확보에 사용되며, 빈곤층 부담, 중독 유발, 암시장 형성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금융에 관한 - 2023년 미국 은행 위기
    2023년 미국 은행 위기는 금리 인상, 채권 가격 하락, 암호화폐 시장 붕괴를 주요 원인으로, 실리콘밸리 은행 등 여러 은행의 파산으로 이어졌으며 미국 금융 시스템의 취약성을 드러내고, 금융 규제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다.
  • 금융에 관한 - 원천징수
    원천징수란 소득을 지급하는 자가 소득자(납세의무자)를 대신하여 소득세를 징수하여 국세청에 납부하는 제도로, 소득세법에 따라 근로소득, 사업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등에 적용되며 세금 납부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시행된다.
  • 사이드바 - 정부수반
    한 국가의 행정부를 통솔하는 최고위 공직자인 정부수반은 국가 원수와 동일인이 아닌 경우 총리, 수상, 대통령 등으로 불리며 권한과 역할은 헌법에 따라 다르다.
  • 사이드바 - 공포
    공포는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강렬한 감정으로, 신체적 반응과 행동 변화를 동반하며, 뇌의 편도체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학습과 경험을 통해 형성되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치료가 가능하다.
소비세
소비세
설명재화나 용역의 소비에 대하여 과세하는 세금의 한 종류이다.
특징최종 소비자가 부담하는 세금이다.
생산 및 유통 단계별로 부과되는 세금이다.
누적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세액공제 제도를 운영한다.
간접세에 해당한다.
역진성이 나타날 수 있다.
세수 확보에 용이하다.
유형매출세
부가가치세
개별소비세
주요 국가별 소비세대한민국: 부가가치세
일본: 소비세
미국: 판매세
유럽 국가: 부가가치세
캐나다: 판매세 및 부가가치세(GST/HST)
장점세수 확보가 용이하다.
경제 활동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
단점소득 역진성이 나타날 수 있다.
저소득층의 부담이 클 수 있다.
물가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
논란역진성 문제로 인해 공정성 논란이 제기된다.
부가가치세의 경우, 사업자의 부담이 크다는 논란이 있다.
주요 관련 세금판매세
부가가치세
개별소비세
관련 용어간접세
직접세
세수
세율
과세표준
세액공제
경제학적 효과가격 상승
소비 감소
생산 감소
경제적 순손실 발생
역사
기원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존재
현대적 형태20세기 초에 등장
주요 변천1930년대 유럽 국가들에서 도입
195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확산
주요 국가별 소비세 상세
일본1989년 3%로 도입
1997년 5%로 인상
2014년 8%로 인상
2019년 10%로 인상
복수세율 적용 (경감세율 도입)
대한민국1977년 10%로 도입
단일 세율 적용
부가가치세 형태로 운영
미국주별로 판매세율 상이
연방 판매세 없음
소비세의 형태로 운영
유럽 국가대부분 부가가치세 형태
세율은 국가별 상이
유럽 연합 내 소비세 관련 규정 존재

2. 종류

소비세는 크게 부가가치세, 판매세, 개별소비세, 지출세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 부가가치세: 상품이나 서비스가 생산·유통되는 각 단계에서 추가되는 가치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이다. 유럽 연합 국가에서 흔히 사용되며,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싱가포르 등에서는 "상품 및 서비스세"라는 이름으로 운영된다.
  • 판매세: 재화 및 용역의 최종 판매 단계에서 부과되는 세금이다.
  • 개별소비세: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사치품, 기호품, 유해품 등)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이다. 주류, 담배, 휘발유 등이 해당된다.
  • 지출세: 개인의 소비 지출 총액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으로, 저축과 투자를 공제하는 소득세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인도스리랑카에서 잠시 시행된 적이 있다.


조세 체계를 분류하는 방법 중 하나로, 소득세(소득세, 법인세), 재산세(상속세, 재산세), 그리고 소비세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소비세는 다시 직접 소비세와 간접 소비세로 분류할 수 있다.

  • 직접 소비세: 소비한 본인에게 직접 과세하는 세금 (예: 골프장 이용세)
  • 간접 소비세: 소비 행위를 한 자가 납세의무자는 아니지만 담세자인 세금 (예: 주세)


간접 소비세는 다시 개별소비세와 일반 소비세로 분류된다. 일반 소비세는 다시 단일 단계 과세와 다단계 과세로 분류되며, 다단계 과세는 누적적 거래액세와 부가가치세로 분류된다.

조세 체계에서의 분류



소비는 소득을 전제로 발생하므로, 소비에 과세함으로써 소득세 등으로 충분히 파악할 수 없는 소득에 대해 간접적으로 과세할 수 있다. 일반소비세는 1954년 프랑스에서 처음 도입되었으며, 그 전신은 1917년에 도입된 "지불세"이다. 1967년 EC 이사회에서 일반소비세를 중심으로 한 회원국 간 조세 통일 운동 추진이 확인되었고, 1968년 서독을 시작으로 여러 회원국에서 일반소비세로 전환이 이루어졌다. 일본에서도 오히라 마사요시 내각 시절 도입을 목표로 하여, 1989년 다케시타 노보루 내각에서 소비세가 도입되었다.

2. 1. 부가가치세 (VAT)

부가가치세(Value Added Tax, VAT)는 상품이나 서비스가 생산 및 유통되는 각 단계에서 추가되는 가치(마진)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이다. 예를 들어, 소매업자가 셔츠를 20달러에 사서 30달러에 판매하는 경우, 이 세금은 두 금액의 차이인 10달러에 적용된다.[30] 부가가치세는 소비에 비례하는 비례세이지만,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소비가 소득 비율로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고소득층에서는 역진세가 된다. 저축과 투자는 소비가 될 때까지 세금 유예된다.

부가가치세는 유럽 연합 국가에서 흔히 사용되며,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싱가포르 등에서는 "상품 및 서비스세"라는 이름으로 운영된다. 캐나다에서는 주 판매세와 결합될 경우 조화된 판매세라고도 한다.

부가가치세(소비세)는 프랑스에서 1959년에 처음 도입되어, 이후 160개국 이상에서 도입되었다. OECD 가맹국 중 부가가치세(소비세)를 도입하지 않은 곳은 미국 뿐이다. 미국은 주마다 세제가 크게 달라 매출세(sales Tax)와 물품세(excise tax)가 도입되었다.[34][35] 일본에서는 1989년의 소비세법 제정으로 다른 나라보다 늦게 도입되었다.

일반소비세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단일단계 과세
  • * 부가가치세 - 예를 들어 소매판매세에서는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소매업자만이 납세의무자이다.
  • 다단계 과세
  • * 부가가치세(Value-Added Tax: VAT), 또는 상품서비스세(Goods and Services Tax: GST)

2. 2. 판매세

판매세는 재화 및 용역의 최종 판매 단계에서 부과되는 세금이다.[1] 판매세는 일반적으로 판매 가격에 일정 비율을 곱하여 계산되며,[1] 특정 재화나 용역은 판매세에서 면제될 수 있다.[1]

2. 3. 개별소비세

개별소비세는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이다. 사치품, 기호품, 유해품 등이 과세 대상이 될 수 있다. 세율은 상품의 종류와 수량에 따라 다르다. 주류, 담배, 휘발유, 경마 등이 개별소비세 부과 대상이 될 수 있다.

개별소비세는 특정한 재화나 서비스에 부과되며, 세율은 양, 무게, 강도, 옥탄가, 알코올 도수 등을 기준으로 결정된다.[1]

개별소비세는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술이나 담배와 같은 기호품에 부과하는 '기호품세', 휘발유처럼 특정 공공 서비스 제공을 위해 관련 상품에 부과하는 '목적세', 그리고 사치품이나 생활필수품이 아닌 상품에 부과하는 '사치품·오락용품·서비스세'가 있다.[1] 과거 일본의 물품세 대부분이 여기에 해당한다.[1]

개별소비세는 원래 '국내소비세'(excise)로서, 16세기네덜란드에서 군자금 조달을 위해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1] 잉글랜드는 이를 본떠 국내소비세를 도입했고, 청교도 혁명 당시 혁명군의 군자금 마련을 위해 존 핌과 올리버 크롬웰이 채택한 것도 국내소비세였다.[1]

1733년 영국에서는 로버트 월폴 총리가 국내소비세 인상을 시도했으나, 볼링브룩 백작의 반발과 민중 봉기로 인해 철회되었다. 이를 '소비세 위기'(excise crisis)라고 한다.[1]

프랑스에서는 장 바티스트 콜베르가 도입한 소금 전매제에 부과된 가벨(gabelle)과 음료품세인 에이드(aides)가 절대왕정 시대 프랑스 재정을 지탱했다.[1] 독일에서도 17세기 후반 이후 개별소비세가 도입되었으나, 높은 세율로 인해 페르디난트 라살로부터 비판을 받았다.[1]

미국에서는 독립 전쟁 시기에 개별소비세가 도입되었으나, 1794년 위스키세에 반대하는 위스키 반란이 발생하기도 했다.[1]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 이전의 운상·명가가 개별소비세에 해당하며, 메이지 유신 이후 다양한 간접세가 도입되었다. 특히 주세는 한때 세입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1]

2. 4. 지출세

지출세는 개인의 소비 지출 총액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이다. 이는 저축과 투자를 공제하는 소득세의 일종으로 볼 수 있으며, 홀-라부시카의 단일세가 그 예이다.[1] 직접 소비세, 현금흐름세, 소비소득세라고도 불리며, 단일세 또는 누진세일 수 있다. 인도스리랑카에서 잠시 시행된 적이 있다.[2]

이러한 형태의 세금은 개인의 소득과 저축의 증감 차이에 적용된다. 단순한 개인 소비세는 소득에 대해 역진적이지만, 개인별로 적용되기 때문에 누진적으로 만들 수 있다. 소득세율이 개인 소득에 따라 증가하는 것처럼, 누진적 소비세율은 개인 소비에 따라 증가한다. 밀턴 프리드먼부터 에드워드 그램리치와 로버트 H. 프랭크에 이르기까지 많은 경제학자들이 누진적 소비세를 지지했다.[3][4][5]

소비세 감세는 부유층일수록 많은 혜택을 받고, 무직소득을 포함한 비경제활동인구는 많은 소비를 해도 세금 부담이 없어지므로, 소득세·법인세 등 경제활동인구에게만 부담이 집중되는 세제가 된다. 소비세 반대론으로 "저소득층일수록 역진성이 강하다"는 주장이 있지만, 이는 저소득층의 세금으로 인한 수혜 부분을 보지 않고 소비세만 보고 있는 의견이다. 실제로는 비과세 가구 등 저소득층일수록 소비세를 중심으로 한 "납부한 세금 총액"보다 소비세 이외의 각종 납부 감면액·자기 부담 상한 및 환급·급여금 등을 합산하면 조세 분배에 의한 수혜 총액이 더 많은 "수혜 초과" 상태이다.[78] 2017년 보건복지부의 소득 재분배 조사 보고서에서도 소득별 조세 부담·수혜 환원 실태가 제시되어 있다.

재분배 전 소득재분배 소득비고
약 472만 엔482만 엔수혜 초과
약 523만 엔약 513만 엔부담 초과



즉, 재분배 전 소득 약 500만 엔 전후가 실제 "세금 부담에 있어서의 역진성"의 경계가 된다. 고령자 가구가 되면 재분배 전 소득이 약 100만 엔인데 재분배 소득은 약 365만 엔이 되어, 1인 가구를 포함한 1가구당 265만 엔의 수혜 초과가 된다.[44]

따라서, 뉴질랜드처럼 단일 소비세율 15%로 경제활동세대뿐만 아니라 모든 소비자로부터 "소비가 많을수록 많이 납부하게 되는" 체제로 효율적으로 일률적으로 징세한 후 분배하는 제도로 해야 한다는 지적이 있다.[78] 뉴질랜드는 1986년에 사회보장급여 증가와 보호무역으로 인해 팽창한 재정적자 감소 및 품목별로 다른 복잡하고 면세 범위가 많은 물품과 서비스에 관한 세제 개혁을 위해 단일 세율 10%로 소비세를 도입했다. 뉴질랜드 정부는 최소 비용으로 효율적인 소비세 수입을 얻으려면 과세 기반의 확대·단일 및 정률이 필수라는 방침을 1999년에 재확인하고 있다. 뉴질랜드에서는 사회보장비 제도의 재설계에서 단일 세율로 징세한 소비세 세수를 재분배하는 체제가 효율적이라는 설명을 국민들이 받아들였기 때문에 도입 전후에 일본과 같은 반발이 일어나지 않았다. 2021년 뉴질랜드는 소득세 10.5%~39.0%, 법인세 실효세율[45] 28%(내국인·외국인 동일 세율), 소비세 15%(단일 세율)이다.[46] 같은 해 OECD 가맹국 38개국 평균은 약 23%이므로 뉴질랜드의 28%에 가깝지만, 일본의 법인소득에 대한 합산세율(법정 실효세율)은 29.74%이기 때문에 7위이다. 법정 실효세율 1위는 포르투갈의 31.50%, 38위는 헝가리의 9.0%이다.[47]

3. 역사

소비세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다. 특히 특별소비세는 여러 주목할 만한 역사적 사건들에 등장한다.

영국 정부에 반발한 미국의 주세(Stamp Act), 차에 대한 세금, 연방 정부에 반발한 위스키 세금인도에서 모한다스 간디소금 행진을 이끈 소금에 대한 특별소비세가 대표적이다.

초기 미국에서는 세금이 주로 소비에 부과되었으며, 알렉산더 해밀턴은 소득세보다 몰수 수준으로 올리기 어렵다는 점에서 소비세를 지지했다.[6]

개인 및 법인 소득세가 연방 정부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소비세는 여전히 주 및 지방 정부의 주요 수입원이다. 개인 소비세에 대한 최초의 상세한 제안 중 하나는 1974년 윌리엄 앤드류스에 의해 개발되었다.[8]

일본에서는 오히라 마사요시 내각이 1979년 소비세 도입을 시도했으나 실패하였고, 1989년 다케시타 노보루 내각이 3%의 소비세를 도입하였다. 이후 1997년 하시모토 류타로 정부에서 5%로 인상되었다.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는 세율 인상 논의를 재개했고, 아베 신조, 후쿠다 야스오, 아소 다로 등 자유민주당(LDP) 총리들이 세율 인상을 논의했다. 2009년 민주당 집권 후 간 나오토, 노다 요시히코 총리가 소비세 인상을 추진하여 2012년 소비세율을 10%로 인상하는 법안이 통과되었고, 2014년 8%, 2019년 10%로 인상되었다.

'''종합소비세'''는 영국경제학자 니콜라스 칼도어가 제안한 방식으로, ''spendings tax''( '''지출세''' )라고도 불린다. 개별 소비자의 재화·서비스 지출을 국세청에 자가 신고하고, 누진세에 따른 세액 산정을 기준으로 납부한다. 하지만, 본격적으로 도입한 국가는 없었다.

'''세계 각국의 부가가치세 도입'''

년도국가내용
1954년프랑스프랑스 재무부(フランス大蔵省) 관료 모리스 로레(モーリス・ローレ)가 고안하여 세계 최초로 구 부가가치세 제도 도입[49][59][60]
1964년핀란드도입[61]
1967년덴마크도입[49]
1967년EC이사회(EC閣僚理事会)에서 프랑스와 같은 일반 소비세를 중심으로 한 회원국 간의 조세 통일을 추진하는 것을 회원국들이 확인[60]
1968년서독, 프랑스현행 부가가치세 형태로 각각 10%, 20%로 도입[49][60][62][63][64]
1969년스웨덴, 네덜란드도입[49]
1970년룩셈부르크, 노르웨이도입[61]
1971년벨기에도입[61]
1972년아일랜드도입[61]
1973년영국, 이탈리아, 오스트리아도입[61][49]
1977년대한민국도입[61]
1986년뉴질랜드, 포르투갈, 스페인도입[61]
1987년그리스도입[61]
1989년일본도입[49]
1991년캐나다도입[61]
1993년EU1992년 EC(유럽 공동체(欧州共同体)) 지침 개정에 따라 1993년 이후 회원국은 표준세율 15% 이상이 의무화[61][49]


3. 1. 미국

초기 미국에서는 세금이 주로 소비에 부과되었다. 알렉산더 해밀턴은 소득세보다 몰수 수준으로 올리기 어렵다는 점에서 소비세를 지지했다.[6] 그는 ''연방주의자 논문'' (제21편)에서 소비재에 대한 세금은 그 자체로 과세의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7]

주세(Stamp Act), 차에 대한 세금, 위스키 세금은 미국에서 소비세와 관련된 주요 사건들이었다. 처음 두 사건은 영국 정부에 대한 반란이었고, 마지막 사건은 연방 정부에 대한 것이었다.

개인 및 법인 소득세가 연방 정부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소비세는 여전히 주 및 지방 정부의 주요 수입원이다.

3. 2. 인도

인도에서 소금에 대한 특별소비세는 모한다스 간디소금 행진을 촉발했고, 이는 인도 독립 운동의 주요 사건이 되었다.[1]

3. 3. 일본

오히라 마사요시 내각은 1979년 소비세 도입을 시도했으나, 당내 반대와 선거 참패로 실패했다.[9] 10년 후, 다케시타 노보루 내각은 정치권, 관료, 기업, 노동조합과의 협상을 통해 1989년 소비세를 3%로 도입하는 데 성공했다.[9]

1997년 4월, 하시모토 류타로 정부[11]는 소비세율을 5%로 인상했다.[10][12] 이 5%는 국가와 지방 정부에 각각 4%와 1%의 비율로 배분되었다.[13] 소비세 도입 직후 일본은 경기침체에 빠졌는데,[14] 일각에서는 소비세 인상을,[15] 다른 일각에서는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를 그 원인으로 지목했다.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는 집권 기간 중 세율 인상 의사가 없다고 밝혔지만, 2005년 선거에서 압승한 후 세율 인상 논의 금지를 해제했다.[16] 이후 아베 신조,[17] 후쿠다 야스오,[18] 아소 다로[19] 등 자유민주당(LDP) 총리들이 세율 인상을 논의했다.

2009년 8월 선거에서 민주당은 4년간 소비세를 인상하지 않겠다는 공약으로 집권했다.[20] 초대 민주당 총리 하토야마 유키오는 반대했지만, 그를 대신한 간 나오토는 소비세 인상을 주장했다. 다음 총리 노다 요시히코는 소비세 인상에 "정치 생명을 걸었다".[21] 전 민주당 대표이자 공동 창립자인 오자와 이치로와 많은 다른 민주당 국회의원들이 법안에 반대하고 탈당하는 등 당내 격렬한 논쟁 끝에, 2012년 6월 26일 일본 중의원은 소비세율을 10%로 두 배 인상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22]

야당의 상당한 반대와 소규모 야당의 불신임 결의안 제출에도 불구하고, 2012년 8월 10일 상원에서도 법안이 통과되어 2014년 4월 소비세율이 8%로, 2019년 10월에는 10%로 인상되었다 (원래 2015년 10월로 예정되었으나 두 차례 연기됨).[23][24]

4. 사회보장과의 관계 (일본)

일본에서 소비세는 사회보장 재원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사회보장급여가 증가하고, 생산 세대의 부담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소비세는 고령자를 포함한 모든 세대가 부담하므로, 특정 세대에 부담이 집중되는 것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42][43]

일본의 사회보장급여비 추이[38][39]
년도금액국민소득비
1980년24.929조12.23%
1985년35.6894조13.70%
1990년47.4238조13.67%
1995년64.9918조17.10%
2000년78.4062조20.10%
2005년88.85289999999999조23.89%
2010년105.3647조28.89%
2015년116.8133조29.75%
2019년123.92410000000001조30.88%
2025년
(2018년 예측[40][41]
140.8조
2040년
(2018년 예측)
188.5조
colspan=3 |



소비세 도입 이전에는 납세가 주로 소득세를 내는 생산세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경기 침체 등으로 개인 소득이 줄면 납세액도 감소하기 때문에, 경기 변동에 영향을 덜 받는 소비세가 고안되었다. 저출산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공적연금,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 등의 사회보장급여는 계속 증가하고, 생산세대의 사회보험료 부담은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소비세를 감세하거나 폐지하면 비생산세대의 납세액이 크게 줄어들어 생산세대의 사회보험료가 대폭 상승하게 된다. 즉, 소비세는 생산세대 관점에서는 장기적인 사회보험료 증가 속도를 억제하고, 고령자 등 비생산세대도 세 부담을 함께 지도록 하는 제도이다.[42]

소비세 감세는 고소득층에게 더 많은 혜택을 주는 경향이 있다. 무직소득층을 포함한 비경제활동인구는 소비를 많이 해도 세금 부담이 없어지기 때문에, 소득세나 법인세 등 경제활동인구에게만 부담이 집중될 수 있다. "저소득층일수록 역진성이 강하다"는 주장도 있지만, 이는 저소득층이 받는 세금 혜택을 고려하지 않은 의견이다. 실제로 비과세 가구 등 저소득층은 소비세 등으로 낸 세금보다 각종 감면, 환급, 급여금 등을 통한 수혜가 더 많은 경우가 많다.[78] 2017년 보건복지부 보고서에 따르면, 재분배 전 소득 약 500만 엔을 전후로 세금 부담의 역진성이 나타난다.[44]

2021년 일본의 사회보험료 부담 총액은 근로자 부담 39.8조, 기업 부담 35.7조으로 총 75.5조이다. 사회보험료는 소득을 기준으로 계산되므로 주로 생산가능인구가 부담하지만, 소비세는 생산가능인구부터 고령층까지 널리 부담하는 제도이다. 생산가능인구의 사회보험료 부담 10% 경감액은 소비세율 약 4% 인상액과 거의 같다. 따라서 70세 미만 생산가능인구의 관점에서는 사회보험료 감세를 대가로 한 소비세 증세가 세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특히 40대의 경우 "사회보험료 10% 감액 대신 소비세 증세 약 4%"를 실시하면 84,000엔의 세 부담이 줄어든다.[81]

5. 조세 체계에서의 분류

조세는 크게 소득세, 재산세, 소비세로 나눌 수 있다.[37] 소비세는 다시 직접 소비세와 간접 소비세로 나뉜다.[37] 직접 소비세는 골프장 이용세처럼 소비한 본인에게 직접 과세하는 방식이다. 간접 소비세는 주세처럼 소비 행위를 한 사람이 납세 의무자는 아니지만, 실제 세금 부담은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방식이다.[37]

간접 소비세는 과세 대상에 따라 개별 소비세와 일반 소비세로 나뉜다.[37] 개별 소비세는 특정 물품이나 서비스에 부과되는 세금이고, 일반 소비세는 대부분의 상품 및 서비스에 부과되는 세금이다.

일반 소비세는 다시 단일 단계 과세와 다단계 과세로 나눌 수 있다.[37] 단일 단계 과세는 제조업자, 도매업자, 소매업자 중 한 단계에서만 세금을 부과하는 방식이다. 다단계 과세는 여러 단계에서 세금을 부과하는 방식으로, 누적적 거래액세와 부가가치세로 나뉜다. 부가가치세는 일본 소비세법에서 말하는 협의의 소비세에 해당하며, 현재 많은 국가에서 도입하고 있다.[37]

일본의 소비세법에 규정하는 소비세와 지방세법에 규정하는 지방소비세는 일반 소비세에 속한다.

6. 경제적 효과

소비세는 저축에 세금을 부과하지 않아 투자 자산을 세금 없이 늘릴 수 있으므로 투자를 장려한다. 예를 들어, 세금이 없을 때 연 9% 복리로 1달러를 퇴직금으로 저축하면 24년 후 7.91달러가 되지만, 33% 세율에서는 같은 기간 2.73달러로 증가한다.[3]

소득 대신 소비에 세금을 부과하면 노동과 자본 형성을 장려하여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소비는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3][4] 모든 소비에 세금이 부과되므로 과세 기반도 넓어진다.

소비세는 고소득자가 소득의 더 적은 부분을 소비하여 소득 대비 세금 부담 비율이 소득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있어 역진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25] 저축 여력이 없는 개인은 모든 소득에 대해 세금을 내지만, 일부를 저축, 투자하는 개인은 나머지 소득에 대해서만 세금을 낸다. 그러나 평생 소득을 기준으로 보면 소비세 부담이 더 공정해질 수 있다.[29] 연간 소득은 변동이 심해 일시적 고소득 발생 시 저소득층, 중산층이 높은 세율 구간에 포함될 수 있지만, 평생 소득은 이러한 변동을 완화하기 때문이다.

소비세 감세는 부유층에게 더 많은 혜택을 주고, 무직소득층 포함 비경제활동인구는 소비를 많이 해도 세금 부담이 없어, 소득세, 법인세 등 경제활동인구에게만 부담이 집중될 수 있다. 소비세 역진성 비판이 있지만, 저소득층은 소비세 납부액보다 각종 감면, 환급, 급여금 등을 합산한 수혜 총액이 더 많은 "수혜 초과" 상태인 경우가 많다.[78]

뉴질랜드1986년 재정적자 감소와 보호주의적 경제정책 개선을 위해 단일 세율 10%의 소비세를 도입했다. 뉴질랜드 정부는 효율적인 소비세 수입을 위해 과세 기반 확대와 단일 세율이 필수적이라는 방침을 유지하고 있다.[78]

6. 1. 노동 선택에 대한 영향

소비세는 개인의 노동 선택에 소득 효과와 대체 효과라는 두 가지 상반된 영향을 미친다.[29]

  • 소득 효과: 소비세는 물가 상승(생산자가 소비자에게 세금을 전가하는 경우) 또는 임금 감소(세금 당국이 소비자의 소비량을 기준으로 직접 소비자에게 세금을 부과하는 경우)를 통해 개인의 구매력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월 지출이 1,000달러이고 시간당 임금이 10달러인 사람은 지출을 충당하기 위해 한 달에 100시간을 일해야 한다. 그러나 10%의 소비세가 부과되면 월 지출은 1,100달러가 되어, 지출을 충당하기 위해 110시간을 일해야 한다. 이처럼 소비세로 인해 구매력이 감소하면, 개인은 소비를 유지하기 위해 노동 시간을 늘리게 된다.[29]
  • 대체 효과: 소비세는 노동의 상대적 가치를 감소시켜 여가 시간의 상대적 가치를 증가시킨다. 즉, 세금으로 인해 같은 시간을 일해도 구매할 수 있는 재화와 서비스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노동 대신 여가를 선택하는 경향이 강해진다. 이는 소득 효과와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29]


이론적으로 소비세가 노동에 미치는 순 영향은 불분명하다. 그러나 경험적 증거에 따르면, 세금 인상은 대체로 노동 시간 감소를 초래하며, 이는 대체 효과가 소득 효과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 연구에서는 소비세가 소득세보다 노동량을 더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지만, 그 차이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29]

일본의 경우, 2021년 사회보험료 총액은 75.5조 엔으로, 근로자 부담이 39.8조 엔, 기업 부담이 35.7조 엔이었다. 사회보험료는 소득을 기준으로 부과되어 주로 생산가능인구에게 부담이 집중되는 반면, 소비세는 생산가능인구부터 고령층까지 넓게 부담한다. 따라서 생산가능인구의 사회보험료 부담을 10% 줄이면 소비세율을 약 4% 인상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가 있다. 특히 40대의 경우, 사회보험료 10% 감면 대신 소비세를 약 4% 인상하면 세 부담이 8만 4천 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1]

7. OECD 국가의 소비세

OECD 가맹국 중 부가가치세(소비세)를 도입하지 않은 곳은 미국 뿐이다. 미국의 경우 주마다 세제가 크게 달라 매출세와 물품세가 도입되어 있으며, 주세와 지방세의 합계인 매출세의 세율은 각 주의 시마다 0%~10%로 다르다.[34][35] 프랑스에서 1959년에 처음 도입된 부가가치세는 이후 160개국 이상에서 도입되었다.

2012년 시점에서 OECD 국가 평균으로 부가가치세는 세수의 약 31%를 차지하며, 이는 GDP의 6.6%에 해당한다.

소득세법인세사회보험근로소득세재산세소비세특별소비세기타
249261621104



EU 가맹국은 VAT(부가가치세) 도입과 함께 부가가치세의 표준 세율을 15% 이상으로 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60][33]

8. 한국의 소비세

한국의 소비세는 1977년 부가가치세 형태로 도입되었으며, 현재 10%의 단일 세율이 적용되고 있다. 부가가치세는 상품이나 서비스가 생산, 유통되는 각 단계에서 추가되는 가치(마진)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으로, 비례세의 성격을 가지지만 소득이 증가할수록 소비 비중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어 고소득층에게는 역진세로 작용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1989년 소비세법 제정으로 다른 나라보다 늦게 도입되었다. 소비세 세율 1% 변화는 약 2.6조의 세수 증감을 가져온다.[37]

8. 1. 개요

한국의 소비세는 1977년 부가가치세 형태로 도입되었다. 현재 10%의 단일 세율이 적용되고 있다. 부가가치세는 상품이나 서비스가 생산, 유통되는 각 단계에서 추가되는 가치(마진)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이다. 예를 들어, 소매업자가 셔츠를 20USD에 사서 30USD에 판매하는 경우, 이 세금은 두 금액의 차이인 10USD에 적용된다.

부가가치세는 소비에 비례하여 세금이 부과되므로 비례세의 성격을 가지지만, 소득이 증가할수록 소비가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어 고소득층에게는 역진세로 작용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1989년 소비세법 제정으로 다른 나라보다 늦게 도입되었다. 소비세 세율 1%의 변화는 약 2.6조의 세수 증감을 가져온다.[37]

8. 2. 특징

부가가치세는 간접세, 일반소비세, 다단계 과세, 전단계 세액공제 방식 등의 일반적인 특징을 갖는다.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면세 또는 영세율이 적용된다.[1]

  • 간접세: 소비자가 재화 또는 용역에 대한 세금을 정부에 직접 납부하는 것이 아니라, 판매자가 세금을 포함한 가격으로 판매하고, 세금을 정부에 납부하는 형태이다.
  • 일반소비세: 특정 품목에만 부과되는 개별소비세와 달리, 부가가치세는 대부분의 재화와 용역에 일반적으로 부과된다.
  • 다단계 과세: 제품이나 재료의 제조 또는 유통 단계마다 부가가치에 대해 세금이 부과된다. 예를 들어, 소매업자가 셔츠를 20USD에 사서 30USD에 판매하는 경우, 이 세금은 두 금액의 차이인 10USD에 적용된다.
  • 전단계 세액공제: 사업자는 매출세액에서 매입세액을 공제하여 납부할 세액을 계산한다. 이를 통해 세금의 누적 효과를 방지하고, 최종 소비자에게만 세금이 부담되도록 한다.


단순 부가가치세는 소비에 비례하는 비례세이지만,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소비가 소득 비율로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고소득층에서는 역진세가 된다. 저축과 투자는 소비가 될 때까지 세금 유예된다. 부가가치세는 소득에 대한 역진성을 줄이기 위해 특정 상품을 제외할 수 있다.[1] 유럽 연합 국가에서 흔히 사용된다.[1]

호주, 캐나다, 인도, 뉴질랜드, 싱가포르에서는 "상품 및 서비스세"라고 부른다.[1] 캐나다에서는 주 판매세와 결합될 경우 조화된 판매세라고도 한다.[1]

참조

[1] 서적 The Flat Tax http://www.hoover.or[...] Hoover Institution 2010-05-23
[2] 웹사이트 Taxation http://www.britannic[...] Encyclopedia Britannica
[3] 뉴스 Fed's Chief Gives Consumption Tax Cautious Backing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5-03-04
[4] 뉴스 A Consumption Tax https://www.wsj.com/[...] 2005-08-25
[5] 간행물 Progressive Consumption Tax https://democracyjou[...] Democracy Journal 2008
[6] 웹사이트 The Founders and the consumption tax http://www.townhall.[...] Townhall.com 2002-04-05
[7] 웹사이트 Federalist Paper - 21 https://www.conserva[...]
[8] 논문 A Consumption-Type or Cash Flow Personal Income Tax
[9] 뉴스 Reflections on Leadership – 2 / Leaders should build network of contacts, keep enemies close http://www.yomiuri.c[...] The Daily Yomiuri 2012-07-04
[10] 뉴스 Is the "cash payout plan" the most effective solution for stimulating the economy? http://www.yomiuri.c[...] The Daily Yomiuri 2012-07-04
[11] 뉴스 Aso says raising consumption tax will not aid Japan's economy http://www.channelne[...] News Channel Asia 2012-07-04
[12] 웹사이트 Japan’s Kan Tackles Sales Tax ‘Taboo’ That Obama Won’t Touch https://www.bloomber[...] 2012-07-04
[13] 웹사이트 Section 3. Taxes in Japan – 3.6 Overview of consumption tax http://www.jetro.go.[...] 2012-07-04
[14] 웹사이트 Japan’s aging population and public deficits http://www.eastasiaf[...] 2012-07-04
[15] 뉴스 Japan firms want 'safety first' on nuclear restarts: poll http://www.msnbc.msn[...] MSNBC 2012-07-04
[16] 웹사이트 Can the Democratic Party Finally Raise Japan’s Consumption Tax? http://www.japaneses[...] 2012-07-04
[17] 뉴스 Sales tax hike would need voter OK via Lower House poll http://www.japantime[...] The Japan Times 2012-07-04
[18] 뉴스 Fukuda Vows To Continue Reform In Japan http://www.thefinanc[...] The Financial Express 2012-07-04
[19] 뉴스 Japan PM Aso says consumption tax hike unavoidable https://www.reuters.[...] Reuters 2012-07
[20] 뉴스 DPJ’S Governing Fiasco: Party never challenged Finance Ministry http://ajw.asahi.com[...] Asashi Shimbun 2012-07-04
[21] 잡지 For PM Noda: A Week of Political Drama and the Challenge Ahead https://www.forbes.c[...] Forbes magazine 2012-07-04
[22] 뉴스 Update: Lower House passes bills to double consumption tax http://ajw.asahi.com[...] Asahi Shimbun 2012-07-04
[23] 웹사이트 Abe Postpones Japan's Sales-Tax Hike Until Late in 2019 https://www.bloomber[...] 2017-03-25
[24] 보고서 Japan - Consumption tax rate increase to be postponed http://www.kpmg.com/[...] KPMG research 2015-04-23
[25] 논문 The National Sales Tax: Who Bears the Burden? http://www.cato.org/[...]
[26] 뉴스 Just how fair is the FairTax? https://money.cnn.co[...] Money Magazine 2005-09-07
[27] 뉴스 Greenspan: Consumption Tax Could Help Economy http://www.foxnews.c[...] Fox News 2005-03-03
[28] 뉴스 America the Uncompetitive https://www.wsj.com/[...] 2008-08-15
[29] 서적 Consumption Taxes: An Overview https://sgp.fas.org/[...]
[30] 웹사이트 消費税のしくみ https://www.nta.go.j[...] 2021-06-28
[31] 문서 https://assets.kpmg.[...]
[32] 웹사이트 輸出時の消費税:日本 {{!}} 貿易・投資相談Q&A - 国・地域別に見る https://www.jetro.go[...] 2024-05-26
[33] 웹사이트 VATの還付制度:EU {{!}} 貿易・投資相談Q&A - 国・地域別に見る https://www.jetro.go[...] 2024-05-26
[34] 웹사이트 アメリカの消費税 https://wise.com/jp/[...] 2022-08-13
[35] 웹사이트 アメリカに消費税はない?その理由を徹底解説 https://ja.sekaiprop[...] BEYOND BORDERS 2020-02-02
[36] 웹사이트 今なぜ軽減税率なのか?|NIRA総合研究開発機構 https://www.nira.or.[...] 2023-09-28
[37] 웹사이트 税金クイズ http://www.kanzeikai[...] 2021-11-14
[38] 웹사이트 令和元年度社会保障費用統計 第8表 社会保障給付費の部門別推移(1950~2019年度) https://www.e-stat.g[...] 厚生労働省 2021-12-12
[39] 웹사이트 令和元年度社会保障費用統計 第10表 社会保障給付費の部門別推移(対国民所得比)(1951~2019年度) https://www.e-stat.g[...] 厚生労働省 2021-12-12
[40] 보고서 「2040年を見据えた社会保障の将来見通し(議論の素材)」等について https://www.mhlw.go.[...] 2019-06-06
[41] 문서 2018年度の医療・介護サービスの足元の年齢階級別の受療率等(入院・外来の受療率、サービスごとの利用率)を基に機械的に将来の患者数や利用者数を計算。また、サービスごとの単価は足元の単価に一定の伸び率を乗じて計算。単価に乗じる伸び率は、医療は、経済成長率 × 1/3 + 1.9% - 0.1%、介護は、賃金上昇率と物価上昇率を65:35で加重平均。(社会保障・税一体改革の試算の仮定をそのまま使用。)
[42] 웹사이트 会社四季報オンライン|株式投資・銘柄研究のバイブル https://shikiho.toyo[...] 2024-05-26
[43] 웹사이트 先般の消費税率10%への引上げは、なぜ行われたのですか。 https://www.mof.go.j[...] 2023-09-28
[44] 웹사이트 https://www.mhlw.go.[...]
[45] 문서 법인의 소득에 과세되는 국세·지방세(법인세나 주민세, 사업세의 표면세율)의 세율의 합산
[46] 웹사이트 税制 ニュージーランド - オセアニア - 国・地域別に見る - ジェトロ https://www.jetro.go[...] 2024-09-09
[47] 웹사이트 世界の法人税(法定実効税率)ランキング - 世界経済のネタ帳 https://ecodb.net/ra[...] 2024-09-09
[48] 보고서 Revenue Statistics 2016 OECD 2016
[49] 웹사이트 諸外国における付加価値税の標準税率の推移 (2017年1月現在) https://www.mof.go.j[...]
[50] 보고서 Consumption Tax Trends 2022 OECD 2022-12
[51] 웹사이트 こんなに払っても、日本の税はまだ軽いという現実|マネー研究所|NIKKEI STYLE https://style.nikkei[...] 2020-09-10
[52] 웹사이트 高すぎる? 国民負担率 |サクサク経済Q&A| NHK NEWS WEB https://web.archive.[...] 2020-10-01
[53] 웹사이트 こんなに払っても、日本の税はまだ軽いという現実|マネー研究所|NIKKEI STYLE https://style.nikkei[...] 2020-10-01
[54] 웹사이트 財政ポピュリズムの危険 https://www.nikkei.c[...] 2017-07-06
[55] 웹사이트 国の財政 財政のしくみと役割 税の学習コーナー https://www.nta.go.j[...] 国税庁 2020-09-10
[56] 웹사이트 海外の消費税、平均19%=税と社会保障、重い課題:時事ドットコム https://sp.m.jiji.co[...] 2020-06-04
[57] 웹사이트 なぜ日本の消費税率はOECD平均を下回っているのか? https://www.nippon.c[...] 2020-06-04
[58] 웹사이트 デンマークの財政 https://ecodb.net/co[...] 2022-06-14
[59] 문서 표준세율은 20%, 식품·레스토랑 서비스 등에 경감세율이 있다. 경감세율은 10%, 5.5%, 2.1%의 세 가지가 있다.
[60] 웹사이트 消費税の複数税率化を巡る諸問題 https://www.nta.go.j[...] 国税庁
[61] 웹사이트 付加価値税(消費税)を実施の国々 http://www.aile.or.j[...] 2020-10-01
[62] 웹사이트 消費税減税〜ドイツの 歴史的決断の真相 https://www.mizuho-r[...] みずほ総合研究所 2020-07-27
[63] 문서 1968년에 10%로 도입하여, 1%씩 적절히 인상함으로써 1998년에 16%.
[64] 웹사이트 いずれ議論不可避 消費税の「段階的増税論」とは(産経新聞) https://headlines.ya[...] 2019-10-24
[65] 문서 일정한 사업자 대상의 금융만 0세율.
[66] 문서 모든 국내 소비에 표준세율로 과세되었을 경우에 얻어지는 가정에서의 세수에 대한 실제 세수의 비율.
[67] 웹사이트 Taxes by State http://www.retiremen[...] Retirement Living Information Center, Inc.
[68] 웹사이트 米国が今も消費税を導入しない「もっともな理由」 http://president.jp/[...] プレジデント 2013-09-16
[69] 웹사이트 イタリアの増税が裏目に、付加価値税収減少-緊縮策強化で https://web.archive.[...] Bloomberg 2012-06-13
[70] 보고서 OECD Economic Surveys: Japan 2021 OECD 2019
[71] 간행물 第三文明 第三文明編集部 2019-10
[72] 뉴스 消費税率8%で痛手受ける日本経済、欧州が20%でも耐える訳 http://www.bloomberg[...] Bloomberg 2014-11-19
[73] 웹사이트 税率アップでイギリスは倹約経済へ http://www.newsweekj[...] 2011-01-07
[74] 웹사이트 日本はスウェーデンより消費税多い国?高い割合をグラフで簡単解説{{!}}消費者 経済 総研{{!}}2022/7/1 {{!}} リテール エステート・消費者経済総研 https://retail-e.com[...] 2024-09-06
[75] 웹사이트 スウェーデン - 法人税率 {{!}} 1981-2024 データ {{!}} 2025-2026 予測 https://jp.tradingec[...] 2024-09-06
[76] 웹사이트 子ども予算の財源は「消費税増税しかない」“本気の少子化対策”で岸田総理が必ず直面する“壁”(TBS NEWS DIG Powered by JNN) https://news.yahoo.c[...] 2022-12-18
[77] 웹사이트 令和2年度 3年5月末租税及び印紙収入、収入額調 https://www.mof.go.j[...] 2021-07-05
[78] 서적 シルバー民主主義: 高齢者優遇をどう克服するか 2016
[79] 뉴스 立憲民主党・枝野幸男氏、消費税減税を否定 「財政に責任持つ」 https://www.nikkei.c[...] 2024-08-25
[80] 뉴스 <詳報>野田佳彦元首相「安易な消費税減税しない」 共産党とは「一緒に政権担えない」 立民代表選に出馬表明 https://www.tokyo-np[...] 2024-08-29
[81] 웹사이트 社会保険料を消費税に置き換えた場合の世代別の損得勘定を試算してみた(島澤諭) - エキスパート https://news.yahoo.c[...] 2024-09-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