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은 노선 거리 48.7km, 궤간 1,435mm의 표준궤를 사용하며, 좌측 통행 방식, 13개의 역으로 구성된 광역급행철도 노선이다. 자동 열차 방호 장치(ATP)를 사용하며, 한국철도공사 B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될 예정이다. 2017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시작하여 2019년 8월 21일 통과했으며, 2022년 말 기본설계 및 착공에 들어가 2023년 12월 13일 용산역~상봉역 구간이 고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은 덕정에서 수원을 잇는 총 74.2km의 광역 급행철도로, 2016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2023년 착공하여 2028년 삼성역 개통을 목표로 건설 중이다.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은 수도권 광역 교통 문제 해결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운정역에서 동탄역을 잇는 83.1km 구간으로, 일부 구간은 수서평택고속선과 선로를 공유하고 SG레일이 관리 운영하며, 2024년 수서-동탄 구간이 개통되었고 2026년에는 삼성-운정 구간이 개통될 예정이다. - 계획 중인 철도 노선 - 대경선
대경선은 구미역과 경산역을 잇는 광역철도 노선으로, 2024년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한국형 열차 제어 시스템을 적용하고 2량 대형 전동차를 운행하며, 현재 2단계 구간 사전타당성조사가 진행 중이고 일부 교통카드는 호환되지 않는다. - 계획 중인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5호선
부산 도시철도 5호선은 녹산국가산업단지와 부산 도심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으나 경제 위기로 인해 사상-하단 구간을 우선 추진하며, 2026년 개통을 목표로 총 6.9km, 7개의 역에 무인 자동 운전 방식으로 운행될 예정이다. - 대한민국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명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 |
통칭 | GTX-B |
종류 | 간선철도 |
체계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
상태 | 공사중 |
기점 | 마석역 (경기도 남양주시) |
종점 | 송도역 (인천광역시 연수구) |
역수 | 13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코레일, GTX-B운영·유지보수 사업자로 선정 |
영업 거리 | 48.7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 2 |
영업 최고 속도 | 180km/h |
설계 최고 속도 | 200km/h |
2. 노선 정보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선[2]은(는) 노선 거리 48.7km이며, 궤간은 1,435mm(표준궤)이다. 좌측 통행 방식이며, 역 수는 13개이다. 보안 장치는 ATP이며, 운행 열차는 한국철도공사 B000호대 전동차이다.
2. 1. 개요
2. 2. 상세 정보
궤간은 1,435mm 표준궤를 사용한다.[2] 통행방식은 좌측 통행이다.[2] 보안 장치는 ATP를 사용한다.[2]
3. 연혁
2017년 예비타당성 조사에 착수하였다. 2019년 8월 21일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였다. 2022년 말 기본설계 및 착공에 들어갔으며, 2023년 12월 13일 용산역 ~ 상봉역 구간이 고시되었다.[3]
3. 1. 예비타당성 조사
2017년 예비타당성 조사에 착수하였다. 2019년 8월 21일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였다. 2023년 12월 13일에는 용산역 ~ 상봉역 구간이 고시되었다.[3]3. 2. 설계 및 착공
2017년 예비타당성 조사에 착수하여, 2019년 8월 21일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였다.[3] 2022년 말 기본설계 및 착공에 들어갔으며, 2023년 12월 13일 용산역 ~ 상봉역 구간이 고시되었다.[3]3. 3. 구간별 진행 상황
2017년 예비타당성 조사에 착수하여, 2019년 8월 21일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였다.[3] 2022년 말 기본설계 및 착공에 들어갔으며, 2023년 12월 13일 용산역 ~ 상봉역 구간이 고시되었다.[3]4. 역 목록
거리
거리
춘
선
·
중
앙
선
경춘선
경의·중앙선
설
경춘선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강릉선 (예정)
4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경의·중앙선
신안산선 (예정)
경의·중앙선
9호선
신안산선(공사중)
2호선
인천 1호선
인천 2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