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도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도원은 종교적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건물 또는 건물 단지를 의미한다. 어원은 그리스어 '모나스테리온'에서 유래되었으며, 불교, 기독교, 힌두교, 자이나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찾아볼 수 있다. 불교에서는 승원(僧院) 또는 비하라(vihāra)로 불리며, 기독교에서는 수도사나 수녀들이 생활하며 기도, 노동, 학문에 종사하는 곳으로, 중세 시대에는 지적 발전과 교육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힌두교에서는 마타(matha)라고 불리며, 이슬람교에서는 수피즘과 관련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현대 사회에서는 신수도원주의가 나타나고 있으며, 문학 작품에서도 수도원을 배경으로 한 다양한 이야기가 등장한다.

2. 어원

"수도원"이라는 단어는 그리스어 단어 μοναστήριον|모나스테리온grc(''monastērion''), μοναστήριος|모나스테리오스grc(''monastērios'')의 중성형에서 유래되었으며, μονάζειν|모나제인grc(''monazein'', "혼자 살다")[1][23]에서 파생되었다. 이는 뿌리인 μόνος|모노스grc(''monos'', "혼자")에서 유래했는데, 원래 모든 기독교 수도승은 은둔자였기 때문이다. 접미사 "-테리온"은 "무언가를 하는 장소"를 의미한다. μοναστήριον|모나스테리온grc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사용된 사례는 서기 1세기 유대인 철학자 필로의 저서인 ''관상 생활에 관하여'' 제3장에서 나타난다.

잉글랜드에서는 "수도원"이라는 단어가 주교의 거주지 및 일반 신도와 떨어져 사는 성직자인 성당 성직자에게도 적용되었다. 대부분의 성당은 수도원이 아니었고, 수도적이지 않은 공동체 생활을 하는 세속 성직자에 의해 운영되었다. 그러나 더럼 대성당과 같이 수도원 종단에 의해 운영된 경우도 있었다. 웨스트민스터 사원은 잠시 성당이었으며, 영국 종교 개혁 이전까지 베네딕토회 수도원이었고, 그 수도원 참사회는 베네딕토회의 전통 요소를 보존하고 있다.

수도원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종교 공동체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로마 가톨릭 종교와 어느 정도 불교의 특정 분파에서는 이 용어와 많은 관련 용어에 대한 다소 더 구체적인 정의가 있다.

불교 수도원은 일반적으로 '''비하라'''(vihārapli)라고 불린다. 비하라는 남성 또는 여성이 거주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영어 사용법에 따라 여성들이 거주하는 비하라는 종종 수녀원 또는 여성 수도원이라고 불릴 수 있다. 그러나 비하라는 또한 사찰을 지칭할 수도 있다. 티베트 불교에서 수도원은 종종 '''곰파'''라고 불린다. 캄보디아, 라오스태국에서는 수도원을 ''왓''이라고 부른다. 버마에서는 수도원을 ''카웅''이라고 부른다.

기독교 수도원은 '''수도원'''(즉, 수도원장의 지배를 받음) 또는 '''수도원'''(즉, 수도원장의 지배를 받음)일 수 있으며, 상상할 수 있는 한 '''은둔소'''(은둔자의 거처)일 수도 있다. 남성(수도자들) 또는 여성(수녀들)의 공동체일 수 있다. 차터하우스는 카르투시오회에 속하는 모든 수도원이다. 동방 기독교에서 매우 작은 수도 공동체는 '''스키트'''라고 불릴 수 있으며, 매우 크거나 중요한 수도원에는 '''라브라'''의 존엄성이 부여될 수 있다.

기독교 수도원의 위대한 공동체 생활은 공동 생활이라고 불리며, 이는 은수자의 은수 생활 및 은둔 생활의 은둔자의 삶과 대조된다. 또한 주로 오스만 제국그리스키프로스를 점령했을 때, 수도사들이 함께 모이지만 개별적으로 소유할 수 있고 공동의 이익을 위해 일할 의무가 없는 "개별 리듬" 생활 방식이 있었다.

힌두교에서 수도원은 마타, 만디르, 코일 또는 가장 일반적으로 아슈람이라고 불린다.

자이나교는 불교 용어 비하라를 사용한다.

3. 불교

불교의 수도원은 일반적으로 '''비하라'''(vihāra|비하라pi, 팔리어)라고 불린다. 티베트 불교에서는 '''곰파'''(དགོན་པ།|곰파bo)라고 부르기도 하며,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에서는 '''왓'''(วัด|왓th), 미얀마에서는 '''카웅'''(ကျောင်း|카웅my)이라고 한다.

불교 수도원의 기원은 기원전 4세기경, 승려와 수녀들이 남아시아의 우기 동안 특정 장소에 머물며 수행하던 바사(Vassa) 관습에서 찾을 수 있다.[24] 이는 우기에 방랑하며 수행할 때 생길 수 있는 어려움, 예를 들어 새로운 식물 성장을 방해하거나 악천후에 고립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이었다. 처음에는 부유한 후원자들이 기증한 정자나 공원 등 임시적인 거처에서 안거를 보냈으나, 점차 승려와 수녀가 연중 거주하는 공동체 시설로 발전하였다.

3. 1. 종류 및 특징

'''승원'''(僧院)은 불상을 모시고 불도를 닦으며 교법을 펴는[24] 건물이나 건물 단지를 의미하기도 한다. 수도원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종교 공동체를 지칭하는 데 폭넓게 사용되지만, 로마 가톨릭이나 불교의 특정 분파에서는 좀 더 구체적인 정의를 내리기도 한다.

대부분의 종교에서 수도원 내 생활은 공동체 규칙에 따라 관리된다. 이 규칙은 일반적으로 거주자의 성별을 규정하고 독신 생활을 요구하며, 개인 재산을 거의 또는 전혀 소유하지 않도록 한다. 수도원 생활이 주변 사회와 분리되는 정도는 매우 다양하다. 어떤 종교 전통에서는 명상을 위해 세상과의 고립을 강조하여, 수도원 구성원들이 서로에게서도 대부분 시간을 떨어져 지내기도 한다. 반면, 다른 전통에서는 가르침, 의료 봉사, 전도 등 지역 사회와의 교류 및 봉사에 중점을 둔다. 일부 수도원은 계절적으로만 운영되기도 하며, 수도원 공동체의 일원으로 머무는 기간은 며칠에서 평생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수도원의 운영은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된다. 농업 생산품이나 수공예품을 제조 및 판매하거나, 기부금이나 자선을 받거나, 임대 또는 투자 수입을 통해 재정을 충당한다. 과거에는 해당 종교 내 다른 조직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 것이 전통적인 방식이기도 했다. 기독교 수도원은 역사적으로 환대, 자선, 병원 서비스 제공의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또한 수도원은 교육 제공과 학문 및 연구 장려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2] 이는 학교, 대학 설립 및 대학과의 연계로 이어졌다. 현대 사회에 들어서는 컴퓨터 서비스, 회계 서비스, 행정 관리뿐만 아니라 현대적인 병원 및 교육 행정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적응해왔다.[3]

수도원 행렬


탁상 사원, 일명 "파로 탁상" 또는 "호랑이 둥지", 2016년 7월 13일


타이베이 신동가에 앉아있는 탁발승, 2014년 1월 3일


=== 불교 ===

불교 수도원은 일반적으로 '''비하라'''(vihāra|비하라pi, 팔리어)라고 불린다. 비하라는 남성 또는 여성이 거주할 수 있으며, 여성이 거주하는 경우 수녀원 또는 여성 수도원으로 불리기도 한다. 비하라는 때때로 사찰 자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티베트 불교에서는 수도원을 '''곰파'''(དགོན་པ།|곰파bo)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캄보디아, 라오스, 태국에서는 ''왓''(วัด|왓th)이라고 하며, 미얀마에서는 ''카웅''(ကျောင်း|카웅my)이라고 부른다.

불교 수도원은 팔리어산스크리트어로 '''비하라'''로 알려져 있으며, 그 기원은 기원전 4세기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는 불교 수행자들이 남아시아의 우기 동안 특정 장소에 머무는 안거, 즉 바사(Vassa) 관습에서 유래했다. 방랑하는 비구(승려)와 비구니(수녀)가 우기에 새로운 식물 성장을 방해하거나 악천후에 고립되는 것을 막기 위해, 보통 7월 중순부터 약 3개월간 정해진 장소에 머물도록 했다. 초기 안거는 부유한 신자들이 승가(공동체)에 기증한 정자나 공원에서 이루어졌다. 시간이 지나면서 안거 기간 동안 승가가 공동으로 소유한 재산에 머무는 관습은, 승려와 수녀가 연중 내내 거주하는 공동체 수도원으로 발전했다.

인도 불교에서 수도원은 점차 불교 철학이 발전하고 논의되는 학습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러한 전통은 금강승 불교의 수도원 대학뿐만 아니라, 전 세계 불교 단체가 설립한 종교 학교와 대학에서도 이어진다. 현대에는 수도원 환경에서 정착하여 생활하는 것이 전 세계 불교 승려와 수녀들에게 가장 일반적인 생활 방식이 되었다.

초기 불교 수도원은 전체 승가가 공동으로 소유하는 것으로 간주되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이 전통은 여러 나라에서 변화했다. 재산 소유를 금지하는 율장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많은 수도원은 중세 유럽의 기독교 수도원처럼 대규모 토지를 소유하게 되었다. 중국 불교에서는 농민 가족이 수도원 소유 토지에서 일하고, 수확물의 일부를 수도원의 승려들에게 바치는 방식이 있었는데, 이는 봉건 영주에게 세금을 내는 것과 유사했다. 스리랑카 불교와 티베트 불교에서는 수도원의 소유권이 특정 승려에게 귀속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 승려는 종종 자신의 조카(승려로 출가한)에게 수도원을 물려주어 가족 내에서 재산을 유지했다. 일본 불교에서는 정부가 승려의 결혼을 허용함에 따라, 사찰이나 수도원의 주지직이 세습되어 여러 세대에 걸쳐 아버지에게서 아들로 이어지기도 했다.

숲 수도원(Forest Monastery)은 주로 동남아시아와 스리랑카의 상좌부 불교 전통에서 발견되며, 학문 연구나 의례보다는 불교 명상의 연구와 수행에 집중하는 수도원이다. 숲 수도원은 종종 존경받는 스승을 중심으로 소수의 승려들이 은둔자와 유사한 생활을 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붓다와 그의 제자들이 실천했던 두탕가(고행)의 방랑 생활 방식은 태국 숲 전통, 미얀마, 스리랑카 등의 숲 전통 승려들에게 이상적인 모델로 남아 있다. 그러나 황무지 감소, 재가 신자 접근의 어려움, 야생 동물의 위험, 국경 분쟁 등 현실적인 문제로 인해 점점 더 많은 '명상' 승려들이 방랑보다는 수도원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티베트 불교 수도원 또는 곰파는 때때로 '''라마사리'''(Lamasery)로 불리기도 하며, 그곳의 승려를 (때로는 잘못되게) 라마라고 부르기도 한다. 헬레나 블라바츠키의 신지학회는 뉴욕 시의 첫 회의 장소를 "라마사리"라고 명명했다.[4]

유명한 불교 수도원은 다음과 같다.

더 많은 불교 수도원 목록은 불교 사찰 목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탕고 사원, 부탄


날란다 사원(세계 유산), 인도


=== 기독교 ===

기독교 수도원은 그 규모나 지위에 따라 '''수도원(Abbey)'''(수도원장의 관리하에 있음) 또는 '''수도원(Priory)'''(분원장의 관리하에 있음)으로 불릴 수 있으며, 은둔자가 거주하는 '''은둔소''' 형태도 있다. 수도원은 남성 수도자 또는 여성 수녀들의 공동체일 수 있다. 카르투시오회에 속한 수도원은 '''차터하우스'''라고 불린다. 동방 기독교에서는 작은 수도 공동체를 '''스키트'''라고 부르기도 하며, 매우 크거나 중요한 수도원에는 '''라브라'''라는 명칭이 부여될 수 있다.

기독교 수도원의 공동체 생활 방식은 '''공동 생활(Cenobitic life)'''이라고 하며, 이는 혼자 수행하는 은수자의 '''은수 생활(Eremitic life)'''이나 은둔자의 삶과 대조된다. 한편, 주로 오스만 제국 시대 그리스와 키프로스에서는 수도자들이 함께 모여 살지만 재산을 개별적으로 소유하고 공동의 이익을 위해 일할 의무가 없는 '개별 리듬'(Idiorrhythmic) 방식의 생활도 존재했다.

=== 힌두교 ===

힌두교에서 수도원은 마타(Matha), 만디르(Mandir), 코일(Koil) 등으로 불리며, 가장 일반적으로는 아슈람(Ashram)이라고 한다.

=== 자이나교 ===

자이나교에서는 불교 용어인 비하라를 사용한다.

3. 2. 한국의 불교 수도원

(내용 없음)

3. 3. 주요 불교 수도원

세계적으로 유명한 불교 수도원들은 다음과 같다.[4]

불교 수도원은 세계에서 가장 큰 수도원들을 포함하기도 한다. 드레풍 사원은 중국의 티베트 침공[5][6] 이전인 1950년경 약 10,000명의 승려를 수용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20년 기준으로 인도에 재건된 사원은 약 8,000명을 수용하고 있다.

지역별로 불교 수도원을 부르는 명칭은 다양하다.

더 많은 불교 수도원 목록은 불교 사찰 목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4. 기독교

''동굴의 은둔자'' – 플젠의 로코틴 공원. 초기 기독교 수도 형태를 보여준다.


기독교에서 수도원은 수도사나 수녀들이 공동체 생활을 하거나 개인적으로 수도 생활을 하는 장소를 의미한다.

전통적으로 기독교 수도원주의는 3세기경 이집트의 안토니우스 대(大)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초기 수도사들은 주로 은둔자로서 개인적인 신앙생활에 집중했다.[7] 이후 점차 공동체 생활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암모나스는 서로 가까이 거주하며 교류하는 형태의 수도 공동체를 만들었고,[8] 파코미우스 대(大)는 수도자들이 한 곳에 모여 함께 생활하고 예배하는 공동체 수도원주의를 발전시켰다.[9] 이러한 공동체 수도원 모델은 이집트 사막 지역을 중심으로 크게 확산되었다.

수도원주의는 이집트를 넘어 다른 지역으로 빠르게 전파되었다.

  •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는 4세기 중반 불가리아 지역에 유럽 최초의 기독교 수도원을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 마르 아우긴은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수도원을 세워 공동체 수도원 전통을 중동과 아시아 지역까지 전파하는 데 기여했다.[11]
  • 마르 사바유대 광야의 수도사들을 조직하여 동방 정교회 수도원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 누르시아의 베네딕토는 6세기 초 이탈리아에 몬테 카시노 수도원을 설립하여 서방 교회, 특히 로마 가톨릭 수도원주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이 외에도 카르투시오회쾰른의 브루노, 히에로니미트회에 영감을 준 예로니모 등 여러 인물과 흐름 속에서 다양한 수도회가 형성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기독교 내에서는 로마 가톨릭,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그리고 종교개혁 이후 개신교 내에서도 각기 다른 전통과 특징을 지닌 수도원 운동이 발전해왔다. 현대에는 복음주의권을 중심으로 신수도원주의 운동도 나타나고 있다.[13] 각 교파별 수도원의 구체적인 종류와 특징, 생활 방식 등은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다룬다.

4. 1. 종류 및 특징

던브로디 수도원


수도원 또는 수녀원은 기독교의 수도사나 수녀들이 공동생활을 하는 장소이다. 일반적으로 선거로 선출된 수도원장의 지도 아래 매일 미사와 성무일도를 드리고, 학문 연구나 노동 등에 종사한다.

중세 시대 수도원은 외부인의 출입이 제한된 금역(禁域)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았다. 내부에는 집회실, 객실, 응접실, 성당 등이 있었고, 큰 수도원은 수련원, 병실, 채소밭(菜園), 가축우리(畜舍), 묘지까지 갖추어 자급자족적인 생활을 했다. 수도원 내에서는 하루 종일 또는 특정 시간에는 침묵을 지키는 규율이 있었다. 중세 수도원 다수는 수도사 양성을 위한 수도원 학교를 운영했으며, 일부는 외부 자제를 받아들이는 외교(外校)를 두기도 했다. 성경의 가르침에 따라 여행자나 순례자들에게 숙식을 제공하는 시설을 갖춘 곳도 많았다.

근세에 설립된 수도원은 외부 활동에 더 중점을 두는 경향을 보인다. 수도자들이 직접 밖에 나가 전도, 교육, 사회사업 등에 참여하며, 수도원은 이러한 활동의 본부 역할을 하기도 한다.

수도원은 수도자들이 정해진 규칙에 따라 공동생활을 하는 집으로, 독립적인 경우도 있지만 대개 특정 수도회에 소속된다. 가톨릭에서는 종신서원(終身誓願)을 한 수도자가 6명 이상인 곳을 정규 수도원으로 인정하며, 만약 성직 수도회라면 이 중 4명 이상이 사제여야 한다.

=== 수도회별 특징 ===

==== 베네딕도회 ====

베네딕도회 수도원은 장상(長上, superiorlat)의 직책에 따라 구분된다.

  • 대수도원(abbatialat): 장상이 대수도원장(abbaslat 또는 abbatissalat)인 곳이다. 교회법에 따라 설립된 자치 수도원으로, 주교의 재치권 아래 놓이지 않는다. 산하에 수도원(prioratuslat)을 둘 수 있으며, 이 경우 수도원장은 대수도원장을 대리한다. 한국의 대표적인 대수도원으로는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과 올리베따노성베네딕토회 고성수도원이 있다.
  • 수도원(prioratuslat): 장상이 수도원장(priorlat)인 곳이다. 대수도원 산하에 속하는 경우가 많으며, 수도원이 대수도원으로 승격되면 자치권을 얻는다.


베네딕도회 계열 수도원은 다른 수도원과 구분하여 수도승원(修道僧院, monasteriumlat)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소속된 수사(monklat)나 수녀(nunlat) 역시 다른 수도자(brothereng 또는 sistereng)와 구분하여 수도승(修道僧)이라 칭하기도 한다. 베네딕도회 수도원에서는 기도노동을 포함한 모든 일상이 수도원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기타 가톨릭 수도원 ====

베네딕도회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수도원이 존재한다. 수도원 밖에서 주로 활동하는 수도자(brotherlat)나 수녀(sisterlat)들이 머무는 수도원(prioratuslat 또는 conventuslat)에도 수도원장(priorlat)이 있을 수 있다.

  • 프리오라투스(prioratuslat): 일반적으로 "수도원"으로 번역되며, 수도원장(priorlat)이 장상이다. 베네딕도회 외에도 탁발수도회나 의전수도회 소속 수도원을 지칭하기도 한다.
  • 콘벤투스(conventuslat): 사제, 수녀(nunlat), 수도자(brothereng 또는 sistereng)들의 공동체를 의미하며, 특히 탁발수도회 소속 탁발 수사(friareng)나 수녀(nunlat)가 생활하는 곳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영어권에서는 대부분의 탁발 수도회가 자신들의 집을 수도원(monastery)이나 수도원 부속 교회(priory)라고 부르지만, 로망스어군에서는 수도사들이 사용하는 집을 수도원(예: conventoita 또는 couventfra)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라틴어 ''conventus''("모임 장소")에서 유래했다. 프란치스코회는 현재 "수도원"이라는 용어 대신 "프리아리(friary)"라는 명칭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 동방 정교회 ====

그리스 테살리아 메테오라에 있는 바를람 수도원.


아토스 산.


동방 정교회와 동방 가톨릭 교회의 수도원은 가톨릭교회와 달리 별도의 수도회가 없이 전체적으로 유사한 고행 규율과 수도복(수녀는 ''아포스톨니크''라는 베일 추가 착용)을 따른다. 수도자들은 세상을 위해 기도하기 위해 세상과 분리된 삶을 추구한다. 동방 정교회 수도원은 규모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 공동 수도원(Κοινόβιον|코이노비온ell): 수도자들이 수도원장과 원로들의 지도 아래 함께 살고, 일하고, 기도하는 수도 공동체이다. 공동 생활은 수도자들이 서로 부딪히며 각자의 "날카로움"을 닳아 없애고 성숙해지는 과정으로 비유되기도 한다. 가장 큰 규모의 공동 수도원은 라브라라고 불린다. 공동 수도원에서는 일상 예배, 일, 식사가 모두 함께 이루어진다.
  • 스키테(Σκήτη|스키티ell): 보통 한 명의 원로와 두세 명의 제자로 구성된 작은 수도원 시설이다. 스키테에서는 대부분의 기도와 작업이 개인적으로 이루어지며, 일요일과 축일에 함께 모인다. 고독과 공동체의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어 "중간 길"이라고도 불린다.
  • 은둔자(Ἐρημίτης|에레미테스ell): 고행을 실천하지만 수도 공동체가 아닌 고독 속에서 사는 수도승이다.


그리스의 아토스 산은 동방 정교회 수도원주의의 가장 큰 중심지 중 하나로, 바티칸 시국과 마찬가지로 자치 정부를 가지고 있다. 길이 약 약 32.19km이고 너비가 약 8.05km인 고립된 반도에 위치해 있으며 20개의 수도원 원장들이 관리한다. 오늘날 성산의 인구는 약 2,200명으로, 그리스 정부와 성산 정부의 특별 허가를 받은 남성만 방문할 수 있다.

==== 동방 오리엔트 정교회 ====

하그파트 수도원, 아르메니아


베트마리암 수도원 (타나) 입구


동방 오리엔트 정교회는 단성론 신앙으로 구분되며,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 (총대주교가 다음 교회들의 동등한 수장으로 간주됨), 에티오피아 정교 테와히도 교회, 에리트레아 정교 테와히도 교회, 인도 정교회, 안티오키아 시리아 정교회로 구성된다.

성 마카리우스 수도원(''데이어 아부 마카리아'')과 성 안토니우스 수도원(''데이어 마르 안토니오스'')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수도원이며 콥트 정교회 총대주교의 후원을 받는다.[12]

==== 개신교 ====

18세기 말은 기독교에서 개신교 교파 내 수도원의 성장의 시작을 알리는 시기였다. 이 운동의 중심지는 미국과 캐나다로, 영국에서 시작하여 미국으로 건너온 셰이커 교회가 그 시작이었다. 19세기에는 이러한 수도원 공동체 중 많은 수가 수도원 모델을 기반으로 한 유토피아 공동체로 설립되었다. 셰이커 교도 외에도 아마나, 재세례파 등이 있었다. 많은 공동체가 결혼을 허용했지만, 대부분은 독신 정책과 구성원이 모든 것을 공유하고 개인 소유를 부인하는 공동생활을 했다.

19세기에는 수도원이 잉글랜드 교회에서 부활하여 부활의 집, 미르필드 (부활 공동체), 내시덤 수도원 (베네딕토회), 클리브 수도원 (영광의 승천 공동체) 및 이웰 수도원 (시토회), 베네딕토회, 프란치스코회 및 성 십자가 수도회, 성 헬레나 수도회와 같은 기관이 설립되었다. 다른 개신교 교파들도 수도 생활에 참여했는데, 특히 유럽과 북미의 루터교에서 그러했다. 예를 들어, 미시간주 세인트 오거스틴 하우스의 성 십자가 베네딕토회는 루터교 수도회이며, 스웨덴과 독일에도 루터교 종교 공동체가 있다. 1960년대에는 남성과 여성이 같은 집에 속해 결혼하고 자녀를 가질 수 있는 실험적인 수도원 그룹이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그룹은 공동체 형태로 운영되었다.

=== 관리자에 따른 명칭 ===

수도원은 관리자의 직책이나 수도회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불리기도 한다.

관리자/종류시설 명칭 (원어)일반적 번역명
수도원장 (Abbot)Abbey (abbatialat)수도원 (대수도원)
소수도원장 (Prior)Priory (prioratuslat)소수도원 (수도원)
은둔자Hermitage은둔처, 은수처
카르투시오회Charterhouse카르투시오회 수도원
동방 교회 (소규모)Skete (Σκήτη|스키티ell)스키테
동방 교회 (대규모)Lavra (Λαύρα|라브라ell)라브라



=== 주요 수도회 목록 (로마 가톨릭) ===

로마 가톨릭 교회 내에는 다양한 영성과 규칙을 따르는 여러 수도회가 존재한다. 주요 수도회는 다음과 같다.


  • 카말돌리 수도회 수도사
  • 성 십자가 정규 참사회원회, 사제와 형제들로 모두 성 아우구스티누스 규칙에 따라 수도사처럼 함께 생활한다.
  • 가르멜 은수자와 가르멜 수녀회 (고관상과 맨발 분파)
  • 시토회, 수도사와 수녀 (원관상과 트라피스트회 개혁)
  • 베들레헴 수도사 및 수녀회
  • 미니모 수도회, 파올라의 프란치스코가 창설
  • 성 베네딕도회, 베네딕토 수도사와 수녀로 알려져 있으며, 누르시아의 베네딕토스콜라스티카와 함께 설립했으며, 자급자족 수도원에서 수작업을 강조한다. 클뤼니 개혁도 참조하라.
  • 성 클라라회, 가난한 클라라회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모든 관상).
  • 성 예로니모회, 예로니모와 로마의 파울라에서 영감을 받아 히에로니미트 수도사와 수녀로 알려짐
  • 성 바울 첫 은수자회, 바오로회로 알려짐
  • 성모 마리아 수태 고지회, 수태 고지 수녀회 또는 안노시아데로 알려져 있으며, 베리의 프랑스 여공작 조앤이 창설
  • 카르투시오회, 쾰른의 브루노가 창설한 은수 수도회
  • 성모 무염 시태회, 콘셉시오니스트로도 알려져 있으며, 실바의 베아트리체가 창설
  • 지극히 거룩한 수태 고지회, 투르키네 수녀 또는 푸른 수녀로도 알려져 있으며, 마리아 비토리아 데 포르나리 스트라타가 창설
  • 지극히 거룩한 구세주회, 브리짓회 수녀와 수도사로 알려져 있으며, 스웨덴의 브리짓이 창설
  • 성모 방문회, 방문회 수녀로 알려져 있으며, 프란치스코 드 살과 샹탈의 잔 프란체스가 창설
  • 열정 수도회
  • 프레몽트레 참사회원 ("백색 참사회원")
  • 티로넨시스 수도사 ("회색 수도사")
  • 발리카울리안 수도사


=== 수도원 생활과 사회적 역할 ===

몬테카시노 수도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된 모습.


수도원의 하루는 엄격한 일정과 자기 희생 속에서 기도와 공동생활로 이루어졌다. 기도는 그들의 일이었고, 성무일도(만과, 조과, 1시과, 3시과, 6시과, 9시과, 종과)와 매일의 미사는 수도사의 깨어있는 시간의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기도 사이에는 수도사들이 회랑에 앉아 책을 쓰고, 베끼고, 장식하는 작업을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작업은 수도사의 능력과 관심사에 따라 배정되었을 것이다. 비학문적인 유형의 수도사들은 다양한 정도의 육체 노동에 배정되었다.

하루의 주요 식사는 정오쯤에 이루어졌으며, 종종 식당에서 먹었고, 삶은 생선, 삶은 귀리와 같은 가장 단순하고 맛이 없는 음식으로 구성되었다. 그들이 식사하는 동안, 그들 위에 있는 설교단에서 성경이 읽혔다. 다른 말은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수도사들은 의사 소통 제스처를 개발했다. 수도원장과 주목할 만한 손님들은 높은 테이블에 자리를 얻었고, 다른 모든 사람들은 서열에 따라 그 테이블에 수직으로 앉았다. 이 관행은 서기 1000년 이후 일부 수도원이 대학교가 되었을 때에도 유지되었으며, 옥스퍼드 대학교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도 여전히 볼 수 있다.

수도원은 주변 지역 사회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들은 지적 발전과 교육의 중심지였다. 그들은 사제가 되기를 희망하는 사람들을 환영하여 공부하고 배우도록 하였으며, 상사와의 대화를 통해 교리에 이의를 제기할 수도 있게 했다. 음악 기보법의 초기 형태는 장크트갈렌의 노트케르라는 수도사에게서 비롯되었으며, 상호 연결된 수도원을 통해 유럽 전역의 음악가들에게 퍼졌다. 수도원은 지친 순례자 여행객들에게 휴식을 제공했기 때문에, 수도사들은 또한 그들의 부상이나 정서적 필요를 돌봐야 할 의무가 있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평신도들은 단지 경유지로 사용하는 대신 수도원으로 기독교 순례를 하기 시작했다. 이 무렵, 그들은 학식이 있는 관광객들을 끌어들이는 상당한 규모의 도서관을 가지고 있었다. 가족들은 축복을 받기 위해 아들을 기증했다. 흑사병 동안 수도사들은 밭을 경작하고 병든 사람들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것을 도왔다.

릴라 수도원(세계 유산), 불가리아


하늘에서 본 몽생미셸


헨리쿠프 치스테르 수도원 단지.


루비아즈 수도원.


크르제쇼프 수도원.

4. 2. 가톨릭 수도원



수도원 또는 수녀원은 기독교의 수도사나 수녀들이 생활하는 장소이다. 선거에 의해 선출된 수도원장의 지도 아래 매일 미사와 성무일도(聖務日禱)를 행하고 학문과 노동 등에 종사한다. 수도원은 수도자들이 일정한 회칙 아래 공동생활을 하는 집으로, 독립된 수도원도 있으나 보통 수도회에 속하는 경우가 많다. 가톨릭에서는 종신서원(終身誓願) 수도자가 6명 이상인 곳을 정규 수도원으로 인정하며, 성직 수도회인 경우 6명 중 4명 이상이 사제여야 한다.

베네딕도회 수도원은 장상(superiorlat)이 대수도원장(abbaslat/abbatissalat)인 대수도원(abbatialat)과 장상이 수도원장(priorlat)인 수도원(prioratuslat)으로 나눌 수 있다. 다른 수도회 소속 수도원과 구분하기 위해 이들을 "수도승원(修道僧院, monasteriumlat)"이라 부르기도 하며, 베네딕도회 수도원 소속 수사(monklat)와 수녀(nunlat)를 다른 수도자(brothereng)나 수녀(sistereng)와 구분하여 "수도승(修道僧)"이라 칭하기도 한다. 베네딕도회 수도원에서는 기도노동 등을 포함한 모든 일상이 수도원 내에서 이루어진다.

  • 아바티아(abbatialat): 흔히 "대수도원"으로 번역된다. "대수도원장"인 아빠스(abbaslat) 또는 아빠티사(abbatissalat)가 장상인 곳으로, 교회법에 근거하여 설립된 자치 수도원이다. 수사(monklat)나 수녀(nunlat) 등 수도자들로만 구성되는 수도승원(monasteriumlat)의 일종이며, 주교의 재치권 아래 놓이지 않는다. 대수도원 산하에는 수도원을 둘 수 있으며, 이때 수도원장은 대수도원장을 대리한다. 수도원이 대수도원으로 승격되면 자치권을 갖게 된다. 대부분 베네딕도회 또는 시토회 소속이며, 한국의 대수도원으로는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올리베따노성베네딕토회 고성수도원이 있다.
  • 프리오라투스(prioratuslat): 흔히 "수도원"으로 번역되며, 수도원장(priorlat)이 장상인 곳이다. 베네딕도회 등에 속하는 수도원은 대수도원(abbatialat) 산하 수도승원(monasteriumlat)의 일종일 수 있으며, 이때 원장(priorlat)은 "수도원장"이다. 또한, 수도원 밖에서 일상을 보내는 수도자(brothereng)나 수녀(sistereng)가 지내는 수도원(prioratuslat/conventuslat)에도 수도원장(priorlat)이 있을 수 있다. 탁발수도회 소속 수도원이나 의전수도회 소속 수도원도 프리오라투스(prioratuslat)라 불리는 경우가 있다.
  • 콘벤투스(conventuslat): 사제나 수녀(nunlat), 또는 수도자(brothereng)나 수녀(sistereng)의 공동체를 의미한다. 탁발 수사(friareng)나 수녀(nunlat)가 생활하는 곳을 일컫기도 한다. 영어권에서는 대부분의 탁발 수도회 집을 수도원(monastery) 또는 수도원 부속 교회(priory)라 부르지만, 로망스어군에서는 라틴어 ''conventus''(모임 장소)에서 유래한 단어(예: conventoita, couventfra)를 사용한다. 프란치스코회는 자신들의 집을 "프리아리(friary)"라고 부르는 것을 선호한다.


누르시아의 베네딕토는 529년 이탈리아에 몬테 카시노 수도원을 설립했는데, 이는 로마 가톨릭 수도원주의, 특히 성 베네딕토회의 중요한 출발점으로 여겨진다.

수도원의 기도와 공동생활은 엄격한 일정과 자기 절제 속에서 이루어진다. 기도는 수도자의 중요한 일과이며, 성무일도(만과, 조과, 초과, 삼과, 매일의 미사, 육과, 구과, 만과, 종과)가 깨어있는 시간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기도 외 시간에는 수도사들이 회랑 등에서 책을 쓰거나 베끼고 장식하는 작업을 하기도 했으며, 학문적이지 않은 수도사들은 육체 노동에 참여했다. 주요 식사는 정오경 식당에서 이루어졌으며, 단순한 음식을 먹는 동안 성경 낭독을 들었다. 침묵 규율 때문에 의사소통을 위한 제스처가 발달하기도 했다.

로마 가톨릭 내에는 여러 독특한 수도회가 발전했다.

  • 카말돌리 수도회 수도사
  • 성 십자가 정규 참사회원회: 사제와 형제들이 성 아우구스티누스 규칙에 따라 생활한다.
  • 가르멜 은수자회 및 가르멜 수도회 수녀회 (고관상과 맨발 분파)
  • 시토회: 수도사와 수녀 (원관상과 트라피스트회 개혁)
  • 베들레헴 수도회, 성모 마리아 승천회 및 성 브루노회: 베들레헴 수도사 및 수녀회
  • 미니모 수도회: 파올라의 프란치스코가 창설
  • 베네딕도회: 베네딕토 수도사와 수녀로 알려져 있으며, 누르시아의 베네딕토스콜라스티카와 함께 설립. 자급자족 수도원에서 수작업을 강조한다. (클뤼니 개혁 참조)
  • 가난한 클라라회: 성 클라라회로도 불림 (모든 관상)
  • 히에로니미트회: 히에로니무스와 로마의 파울라에게서 영감을 받아 히에로니미트 수도사와 수녀로 알려짐
  • 성 바오로 첫 은수자회: 바오로회로 알려짐
  • 성모 마리아 수태 고지회: 수태 고지 수녀회 또는 안노시아데로 알려져 있으며, 베리의 프랑스 여공작 조앤이 창설
  • 카르투시오회: 쾰른의 브루노가 창설한 은수 수도회
  • 성모 무염 시태회: 콘셉시오니스트로도 알려져 있으며, 실바의 베아트리체가 창설
  • 지극히 거룩한 수태 고지회: 투르키네 수녀 또는 푸른 수녀로도 알려져 있으며, 마리아 비토리아 데 포르나리 스트라타가 창설
  • 브리짓회: 지극히 거룩한 구세주회로, 브리짓회 수녀와 수도사로 알려져 있으며, 스웨덴의 브리짓이 창설
  • 성모 방문회: 방문회 수녀로 알려져 있으며, 프란치스코 드 살과 샹탈의 잔 프란체스가 창설
  • 열정 수도회
  • 프레몽트레회: 프레몽트레 참사회원 ("백색 참사회원")
  • 티로넨시스회 수도사 ("회색 수도사")
  • 발리카울리안회 수도사


일반적으로 수도 관련 시설을 지칭하는 용어는 다음과 같다.

  • 수도원장(Abbot)이 관리하는 대수도원(Abbey)
  • 수도원장(Prior)이 관리하는 수도원(Priory)
  • 은둔자의 거처: 은둔처(Hermitage)
  • 카르투시오회 수도원의 경우: 봉쇄수도원(Charterhouse)
  • 참고로, 동방 정교회의 수도원 중 작은 곳은 스키티(Skete), 크고 중요한 곳은 라브라(Lavra)라고 부른다.


4. 3. 동방 정교회 수도원

동방 정교회와 동방 가톨릭 교회에서는 수도사와 수녀가 유사한 고행 규율을 따르며, 수도복도 거의 동일하다 (수녀는 '아포스톨니크'라는 추가 베일을 착용한다). 가톨릭교회의 수도원주의와 달리, 동방 정교회는 별도의 수도회를 두지 않고 전체에 걸쳐 단일한 수도원 형태를 유지한다. 수도자들은 성별에 관계없이 세상을 위해 기도하기 위해 세상과 떨어져 생활한다.

동방 정교회에는 크게 세 가지 유형의 수도원이 있다.

  • '''공동 수도원''': 수도자들이 함께 생활하고 노동하며 기도하는 공동체이다. 수도원장과 원로 수도승의 지도를 따른다. 이러한 공동 생활을 통해 개인의 성격적 모난 부분이 다듬어진다고 여겨진다. 규모가 매우 큰 공동 수도원은 수천 명의 수도승을 수용할 수 있으며 '라브라'라고 불린다. 공동 수도원에서는 일상 예배, 노동, 식사가 모두 공동으로 이루어진다.
  • '''스키테''': 보통 한 명의 원로와 두세 명의 제자로 구성된 작은 수도원 시설이다. 스키테에서는 대부분의 기도와 작업이 개인적으로 이루어지며, 주일과 축일에만 함께 모인다. 이는 고독과 공동체 생활의 요소가 결합된 형태로 '중간 길'이라고도 불린다.
  • '''은둔자''': 수도 공동체가 아닌 고독 속에서 고행을 실천하는 수도자이다.


동방 정교회 수도원주의의 주요 중심지 중 하나는 그리스의 아토스 산이다. 이곳은 바티칸 시국처럼 자치권을 가지고 있다. 길이 약 약 32.19km이고 너비가 약 8.05km인 고립된 반도에 위치하며, 20개의 수도원이 관리한다. 현재 성산의 인구는 약 2,200명이며, 그리스 정부와 성산 자치 정부의 특별 허가를 받은 남성만 방문할 수 있다.

성 마카리우스 수도원(데이어 아부 마카리아)과 성 안토니우스 수도원(데이어 마르 안토니오스)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수도원으로 알려져 있으며, 콥트 정교회 총대주교의 후원을 받는다.[12]

4. 4. 개신교 수도원

18세기 말은 기독교에서 개신교 교파 내 수도원의 성장이 시작된 시기이다. 이 운동의 중심지는 미국과 캐나다였으며, 영국에서 시작하여 미국으로 건너온 셰이커 교회가 그 시작이었다. 19세기에는 이러한 수도원 공동체 중 다수가 수도원 모델을 기반으로 한 유토피아 공동체로 설립되었다. 셰이커 교도 외에도 아마나, 재세례파 등이 있었다. 많은 공동체가 결혼을 허용했지만, 대부분은 독신 정책과 구성원이 모든 것을 공유하고 개인 소유를 부인하는 공동생활을 했다.

19세기에는 수도원이 잉글랜드 교회에서 부활하여 부활의 집, 미르필드 (부활 공동체), 내시덤 수도원 (베네딕토회), 클리브 수도원 (영광의 승천 공동체) 및 이웰 수도원 (시토회), 베네딕토회, 프란치스코회 및 성 십자가 수도회, 성 헬레나 수도회와 같은 기관이 설립되었다. 다른 개신교 교파들도 수도 생활에 참여했는데, 특히 유럽과 북미의 루터교에서 그러했다. 예를 들어, 미국 미시간주 세인트 오거스틴 하우스의 성 십자가 베네딕토회는 루터교 수도회이며, 스웨덴과 독일에도 루터교 종교 공동체가 있다. 1960년대에는 남성과 여성이 같은 집에 속해 결혼하고 자녀를 가질 수 있는 실험적인 수도원 그룹이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그룹은 공동체 형태로 운영되었다.

4. 5. 한국의 기독교 수도원

기독교에서 수도자들이 공동생활을 하는 장소를 수도원이라고 부른다. 수도원의 형태와 운영 방식은 다양하다.

아바티아(abbatiala)는 흔히 "대수도원"으로 번역되며, 아빠스(abbasla) 또는 아빠티사(abbatissala)가 장상으로 있는 자치 수도원을 말한다. 이러한 대수도원은 주교의 직접적인 관할 아래 놓이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자체적인 규율과 전통에 따라 운영된다. 대부분 베네딕도회시토회 소속이며, 한국의 대표적인 대수도원으로는 경상북도 칠곡군에 위치한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경상남도 고성군에 위치한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토회 고성수도원이 있다. 대수도원 산하에는 여러 개의 작은 수도원을 둘 수 있으며, 이 작은 수도원의 원장은 대수도원장을 대리하는 역할을 한다.

프리오라투스(prioratusla)는 일반적으로 "수도원"으로 번역되며, 수도원장(priorla)이 장상인 곳이다. 베네딕도회 등에 속하는 수도원은 대수도원 산하의 수도승원(monasteriumla)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다. 또한, 탁발수도회 소속 수도원이나 의전수도회 소속 수도원도 프리오라투스라고 불리기도 한다.

5. 힌두교

힌두교 마타, 비디야샹카라 사원


힌두교에는 오랜 역사를 가진 승려와 그들의 수도원인 마타(Matha)가 존재한다. 특히 아디 샹카라(Adi Shankara)는 중요한 인물로, 그가 설립한 차투르-암나야 마타(Chatur-amnaya Mathas)는 고대 아드바이타(Advaita) 수도승 종단을 다샤나미 삼프라다야(Dashanami Sampradaya)의 열 가지 이름으로 재편성하는 중심 역할을 했다.

  • 라마크리슈나 마트


파라칼라 무트 – 현재 모습


라마누자(Ramanuja)는 잊혔던 힌두교 신앙을 부활시키고 비시슈타 아드바이타(Vishishtadvaita) 철학에 확고한 교리적 기반을 제공하며 힌두교 세계에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그는 자신의 스리 바이슈나바(Sri Vaishnava) 종파를 위해 여러 중요한 순례 중심지에 다음과 같은 마타를 설립했다.

  • 푸리의 에마르 마타(Emar Matha)
  • 스리랑감의 스리랑가 나라야나 지야르 무트(Sriranga Narayana Jiyar Mutt)
  • 티루파티의 티루말라 페다 지양가르 무트(Tirumala Pedda Jiyangar Mutt)


이후 다른 유명한 스리 바이슈나바 신학자들과 종교 지도자들도 다음과 같은 중요한 마타를 설립했다.

  • 바나마말라이 무트(Vanamamalai Mutt)
  • 파라칼라 무트(Parakala Mutt)
  • 아호빌라 무트(Ahobila Mutt)


우크라 님바르카 피트 마한타 아스탈(Ukhra Nimbarka Peeth Mahanta Asthal)


님바르카차르야(Nimbarkacharya)의 님바르카 삼프라다야(Nimbarka Sampradaya)는 북부, 서부, 동부 인도에서 널리 퍼져 있으며, 여러 중요한 마타를 두고 있다.

  • 라자스탄 살레마바드(Salemabad)의 님바르카차르야 피트(Nimbarkacharya Peeth)
  • 브린다반의 카티아 바바 카 스타안(Kathia Baba ka Sthaan)
  • 서벵골 우크라의 우크라 마한타 아스타할(Ukhra Mahanta Asthal)
  • 하우라의 하우라 님바르카 아쉬람(Howrah Nimbarka Ashram)


우두피의 아슈타 마타(Ashta Mathas, 여덟 개의 수도원)는 드바이타(Dvaita) 철학자인 마드바차르야(Madhvacharya)에 의해 설립되었다.

  • 고드 사라스와트 마트(Goud Saraswat Math)
  • 우타르프라데시 바라나시의 카시 마트(Kashi Math)
  • 고아 카나코나(Canacona)의 고카르나 마트(Gokarna Math)

6. 자이나교

마하비라가 기원전 570년경에 창시한 자이나교는 기원전 5세기부터 자체적인 수도원을 운영했다.

7. 이슬람

이슬람은 기본적으로 수도 생활을 권장하지 않으며, 꾸란에서는 이를 "창작"이라고 언급한다.[14][15] 그러나 알라와의 합일을 추구하며 금욕적인 수행을 하는 이슬람 신비주의자들이 있는데, 이들을 "수피"라고 부른다. 수피들은 'sf'라고 불리는 거친 양털 옷을 입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16] '수피즘'이라는 용어도 'sf'에서 유래했으며, 'sf'를 입는 사람을 뜻한다.[17] 시간이 지나면서 수피라는 용어는 신비로운 합일을 믿는 모든 이슬람 신자를 가리키는 말로 의미가 확장되었다.[18]

8. 현대 사회와 수도원

수도원 생활은 컴퓨터 서비스, 회계 서비스 및 관리뿐만 아니라 현대적인 병원 및 교육 행정을 제공함으로써 현대 사회에 적응해 왔다.[3] 기독교 내에서는 신수도원주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복음주의 기독교인들 사이에서 이러한 움직임이 두드러진다.[13]

9. 문학 속의 수도원

매튜 루이스의 1796년 고딕 소설 ''수도사''(The Monk영어)는 스페인 종교 재판 시대의 스페인에 위치한 가상의 수도원과 수녀원을 배경으로 한다. 많은 비평가들은 이 소설을 가톨릭교에 대한 비판으로 해석하기도 한다.[19] 제인 오스틴은 1818년 소설 ''노생거 사원''(Northanger Abbey영어)의 후반부 배경으로 사용되지 않는 수도원을 설정했다. 이를 통해 헨리 8세 시기 영국의 수도원 폐쇄와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의 수도원 폐지에 대한 작가의 생각을 엿볼 수 있다.[20] 당시 문학 작품에서는 여성이 결혼을 할 수 없거나 원하지 않을 때 보내지는 일종의 벌칙 장소로 수녀원을 묘사하는 경향이 있었다.[21]

1880년 소설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Братья Карамазовы|브라티야 카라마조비ru)에서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는 정교회 수도원의 실제 이야기를 바탕으로 많은 영감을 얻었다. 소설의 일부는 특히 정교회 수도원 내의 "장로 제도"를 둘러싼 논쟁에 초점을 맞춘다. 도스토예프스키는 장로 제도에 대한 이해를 클리멘트 제더골름 신부의 ''옵티나의 레오니드 장로의 생애''에서 가져왔으며,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1권 5장에서 해당 내용을 직접 인용하기도 했다.[22]

참조

[1]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2] 논문 The Genesis of Monastic Libraries https://www.jstor.or[...] 2010
[3] 서적 The alternative: Monastic education https://www.jstor.or[...] UCL Press 2024-05-03
[4] 간행물 Madame and the Masters: Blavatsky's cosmic soap opera 2013-02
[5] 웹사이트 Tibet in Louisville http://www.spiritual[...] Lori 2013-02-11
[6] 뉴스 Monks under siege in monasteries as protest ends in a hail of gunfire http://www.timesonli[...] 2008-03-12
[7] 논문 Hermit to Cenobitic: A Study in Early Christian Monasticism https://www.jstor.or[...] 2005
[8] 논문 The Making of Monastic Demonology: Three Ascetic Teachers on Withdrawal and Resistance https://www.jstor.or[...] 2001
[9] 서적 The Emergence of Monasticism: From the Desert Fathers to the Early Middle Ages Blackwell Publishers 2000
[10] 웹사이트 Манастирът в с. Златна Ливада – най-старият в Европа http://www.liternet.[...] LiterNet 2012-05-18
[11] 웹사이트 Cenobitic Monasticism - New World Encyclopedia https://www.newworld[...] 2024-11-14
[12] 뉴스 In Egyptian desert, cells of earliest monks https://www.nytimes.[...] 2024-05-04
[13] 서적 Hitchhiker's Guide to Evangelism Chalice Press 2008
[14] 웹사이트 The Quran, sura 57, verse 27 https://www.perseus.[...] 2017-11-02
[15] 웹사이트 The Quranic Arabic Corpus – Translation http://corpus.quran.[...] 2017-11-02
[16] 서적 Origins and Early Sufism 2014
[17] 논문 The Origin and Evolution of Sufism https://www.research[...] 2011-06-01
[18] 기타 "The Neoplatonist Roots of Sufi Philosophy" by Kamuran Godelek http://www.muslimphi[...]
[19] 논문 Social Hierarchy in Matthew Lewis's "the Monk" https://www.jstor.or[...] 1986
[20] 논문 The Hidden History of Northanger Abbey: Jane Austen and the Dissolution of the Monasteries https://www.jstor.or[...] 2011
[21] 논문 Fantasy and Reality in Fictional Convents of the Eighteenth Century https://www.jstor.or[...] 1985
[22] 논문 Zedergol'm's Life of Elder Leonid of Optina As a Source of Dostoevsky's The Brothers Karamazov https://www.jstor.or[...] 1990
[23]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24] 웹사이트 僧院 http://hanja.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