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쿠바 (순양전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쓰쿠바는 1904년 러일 전쟁 이후 일본 해군이 전함의 전력 손실을 보충하기 위해 건조한 쓰쿠바급 순양전함의 1번함이다. 일본 조선소에서 독자적으로 설계 및 건조된 최초의 주요 군함으로, 전함급 주포를 탑재하여 순양전함의 선구로 평가받았다. 1907년 취역 후 미국, 유럽 등을 순방하며 세계 일주를 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칭다오 봉쇄 작전에 투입되었다. 1917년 요코스카 항에서 탄약고 폭발 사고로 침몰했으며, 자매함 이코마는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 따라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쓰쿠바급 장갑순양함 - 이코마 (순양전함)
이코마는 일본 제국 해군의 쓰쿠바급 순양전함 중 하나로,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고 아르헨티나 독립 100주년 기념 행사 참석을 위한 세계 일주 항해를 했으나,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 따라 해체가 결정되었다. - 쓰쿠바급 장갑순양함 - 쓰쿠바급 순양전함
쓰쿠바급 순양전함은 러일 전쟁 후 일본 해군이 전력 보충을 위해 건조한 함선으로, 일본 조선소에서 자체 설계 및 건조된 최초의 주력함이라는 의의를 가지나 전략적 가치는 빠르게 하락했다. - 일본의 순양전함 - 구라마 (순양전함)
구라마는 일본 제국 해군의 순양전함으로, 가토리급 전함에 준하는 화력을 가진 고속함으로 계획되었으나 드레드노트의 등장으로 구식화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과 시베리아 출병에 참가 후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 따라 해체되었다. - 일본의 순양전함 - 이코마 (순양전함)
이코마는 일본 제국 해군의 쓰쿠바급 순양전함 중 하나로,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고 아르헨티나 독립 100주년 기념 행사 참석을 위한 세계 일주 항해를 했으나,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 따라 해체가 결정되었다.
쓰쿠바 (순양전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함선 정보 | |
![]() | |
함명 | 쓰쿠바 (筑波) |
함명 유래 | 쓰쿠바산 |
건조 | 구레 해군 공창 |
발주 | 1904년 회계연도 |
기공 | 1905년 1월 14일 |
진수 | 1905년 12월 26일 |
취역 | 1907년 1월 14일 |
퇴역 | 1917년 9월 1일 |
최후 | 1917년 1월 14일 도쿄만에서 폭발, 침몰 |
소속 | 일본 제국 해군 |
모항 | 요코스카 진수부 |
신호 부호 | GQJP (준공 시) |
무선 약호 | GTB (1908년 10월 28일 ~ ) JGP (1913년 1월 1일 ~ ) |
함 종류 | |
함종 | 1등 순양함 (장갑 순양함) 순양전함 (1912년) |
함급 | 쓰쿠바급 순양전함 |
제원 | |
배수량 | 13,750 톤 (정상); 15,400 톤 (최대) |
전장 | 수선: 134.11 m 전체: 137.11 m |
폭 | 22.80 m |
흘수 | 7.95 m |
동력 | 20,500 shp (15,290 kW) |
추진 | 2축 왕복 VTE 증기 엔진; 20 미야바라 보일러 |
속력 | 20.5 노트 (38 km/h) |
항속 거리 | 14노트 (26 km/h)에서 5,000 해리 (9,300 km) |
승무원 | 879명 |
무장 | |
주포 | 4 × 12인치/45 구경장 함포 |
부포 | 12 × 6인치 함포 |
기타 포 | 12 × 120mm 함포 |
대공포 | 4 × QF 3파운더 호치키스포 |
어뢰 발사관 | 3 × 450mm 어뢰 발사관 |
장갑 | |
현측 장갑대 | 100–180 mm |
버베트 및 포탑 | 180 mm |
사령탑 | 200 mm |
갑판 | 75 mm |
2. 배경
러일 전쟁 발발 직후, 일본 해군은 주력 전함 2척(하쓰세, 야시마)을 기뢰로 인해 잃는 큰 피해를 보았다. 이는 일본 해군의 전력에 심각한 공백을 초래하여, 쓰쿠바급 순양전함은 이러한 전력 손실을 보충하기 위해 긴급히 건조가 결정되었다.
쓰쿠바급 순양전함은 전함에 준하는 함포 위력을 가진 순양함으로서, 여순항 봉쇄 작전에서 침몰한 전함 2척(하쓰세, 야시마)을 보완하기 위해 자매함 이코마와 함께 급히 계획, 건조되었다. 기술적으로는 순양전함의 선구자라고도 할 수 있으며, 여순항 봉쇄 작전에서 가스가와 충돌한 요시노의 침몰로 얻은 교훈으로 충각을 없앴다.[37] 1912년에 순양전함 분류가 신설될 때까지 일등함(장갑순양함)이었다. 전함 ‘사쓰마’와 쓰쿠바 2척은 일본이 본토에서 처음으로 건조한 장갑함이다.
1917년 1월 14일 ‘쓰쿠바’는 요코스카 항에서 정박해 있다가 탄약고 폭발 사고로 침몰했다.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서 동형함 ‘이코마’는 규제 대상 전함으로 취급되어 해체되었다.
2. 1. 러일 전쟁과 주력함 손실
러일 전쟁 발발 직후, 일본 해군은 주력 전함 2척(하쓰세, 야시마)을 기뢰로 인해 잃는 큰 피해를 보았다.[2] 이는 일본 해군의 전력에 심각한 공백을 초래하여, 쓰쿠바급 순양전함은 이러한 전력 손실을 보충하기 위해 긴급히 건조가 결정되었다.[2]2. 2. 일본 최초의 국산 주력함 건조
러일 전쟁 발발 후 1904년 6월, 비상 함대 보충 예산에 따라 쓰쿠바급 순양전함의 건조가 명령되었다. 이는 전쟁 초기에 전함 하쓰세, 야시마가 기뢰에 의해 예상치 못하게 손실된 것에 자극받은 것이었다.[2] 전함 ‘사쓰마’와 쓰쿠바 2척은 일본이 본토에서 처음으로 건조한 장갑함이다. 이 함선들은 일본 조선소에서 일본에 의해 전적으로 설계되고 건조된 최초의 주요 군함이었지만, 무장과 다수의 부품은 수입되었다.[2]전함에 준하는 포력을 가진 순양함으로서, 러일 전쟁의 뤼순항 포위전에서 전함 "하쓰세"와 "야시마"의 손실을 보충하기 위해[35], 자매함 이코마와 함께 급하게 계획·건조되었다. 기술적으로는 순양전함의 선구라고 할 수 있는 장갑순양함이다. 또한 뤼순항 봉쇄 작전에서 요시노와 카스가의 충돌로 "요시노"가 침몰한 사건의 교훈으로 충각을 폐지했다.[37]
"쓰쿠바"는 국산 최초의 대형함으로 설계되었으며[37], 구레 해군 공창에서 건조되었다. 당시 일본이 건조한 최대 함선은 마쓰시마형 방호순양함 "하시다테"(기준 배수량 약 4,200톤)였으며, "쓰쿠바"(기준 배수량 약 13,500톤)는 기술적으로 큰 도약이었다. 쓰쿠바형의 함체·기관 및 방어력은 장갑 순양함이지만, 주포는 당시 주력 전함과 같은 12인치 포를 탑재했다.[43] 러일 전쟁에서의 장갑 순양함 운용 경험을 바탕으로 공격력과 속도를 우선시한 조치였다. 탑재하는 12인치 포는 구레 해군 공창에서 제조된 것으로, 국산 12인치 포 탑재는 "쓰쿠바"가 처음이었다.[44]
1904년(메이지 37년) 6월 23일 제조 훈령[7]에 의해 구레 해군 공창은 쓰쿠바형 2척("쓰쿠바", "이코마")을 동시에 건조하게 되었다.[41][45] 이듬해 1905년(메이지 38년) 1월 14일, "쓰쿠바"는 "자호 장갑 순양함"으로[57], 구레 해군 공창에서 기공되었다.[33] 같은 해 6월 11일, 일본 해군은 본함을 포함한 건조 예정 주력 함정 6척의 함명을 각각 내정했다.
"쓰쿠바"의 진수식은 같은 해(메이지 38년) 12월 12일을 예정했고,[47][48] 메이지 천황 황태자(요시히토 친왕, 훗날의 다이쇼 천황)이 임석하게 되었다.[49][50] 일본은 같은 해 5월 27일부터 다음날까지의 동해 해전에서 러시아 제국 해군에 대승을 거두어 일본에 유리한 포츠머스 조약이 9월 5일에 체결되었고(발효는 11월 25일), 러일 전쟁은 종결되었다.
하지만 진수대 이상으로[53] "쓰쿠바"의 진수식은 연기되었다.[54][55] 12월 26일, "쓰쿠바"는 황태자 임석 및 도고 헤이하치로 대장 입회 하에 오전 9시에 진수했다.[11] 같은 날, 자호 장갑 순양함은 정식으로 "쓰쿠바"로 명명되었다.[57][58] 명명서는 해군 대신 대리인 구레 진수부 사령 장관 아리마 신이치 중장이 읽었다.[59] 동시에 "쓰쿠바"는 일등 순양함으로 분류되었다.[60][61]
1907년(메이지 40년) 1월 14일, "쓰쿠바"는 준공되었다.
3. 설계
쓰쿠바형은 2기의 수직 3단 팽창 증기 기관과 20개의 미야바라 보일러를 사용했으며, 설계상 20500shp의 출력과 20.5kn의 속도, 14kn에서 5000nmi의 항속거리를 가졌다. 취역 전 히로시마 만에서의 속도 시험에서 ''쓰쿠바''는 21.75kn의 최고 속도를 기록했다.[1]
무장으로는 함선의 중심선상 전후방에 쌍포 포탑에 장착된 4문의 12인치 41년식 주포를 주포로 탑재했다.[2] 부포는 12문의 약 15.24cm포와 12문의 4.7인치 41년식 포, 4문의 QF 3-pounder Hotchkiss포로 구성되었다.[1]
3. 1. 특징
쓰쿠바는 전함에 준하는 12인치(305mm) 주포를 탑재하여 화력을 강화한 순양함으로, 기술적으로 순양전함의 선구자로 평가된다.[2] 러일 전쟁의 교훈(요시노와 가스가의 충돌)을 바탕으로 충각을 폐지하고, 상선과 같은 클리퍼형 함수로 개조한 세계 최초의 함선이다.[37]쓰쿠바형은 2기의 수직 3단 팽창 증기 기관으로 구동되는 전통적인 장갑순양함 선체 설계를 갖추고 있었으며, 20개의 미야바라 보일러를 사용했다. 설계상 20500shp의 출력과 20.5kn의 속도, 14kn에서 5000nmi의 항속거리를 냈다. 취역 전 히로시마 만에서의 속도 시험에서 쓰쿠바는 21.75kn의 최고 속도를 기록했다.[1]
무장 측면에서 쓰쿠바형은 당시 가장 강력한 무장을 갖춘 순양함 중 하나였으며, 함선의 중심선상 전후방에 쌍포 포탑에 장착된 4문의 12인치 41년식 주포를 주포로 탑재했다.[2] 부포는 12문의 약 15.24cm포와 12문의 4.7인치 41년식 포, 4문의 QF 3-pounder Hotchkiss포로 구성되었다.[1]
3. 2. 제원
쓰쿠바형 순양전함은 2기의 수직 3단 팽창 증기 기관과 20개의 미야바라 보일러를 탑재하여, 설계상 20500shp의 출력과 20.5kn의 속력을 낼 수 있었다. 취역 전 시험에서 쓰쿠바는 21.75kn의 최고 속도를 기록했다.[1]무장으로는 함선의 중심선상 전후방에 쌍포 포탑에 장착된 4문의 12인치 41년식 주포를 주포로 탑재했다.[2] 부포는 12문의 15cm 41년식 포와 12문의 4.7인치 41년식 포, 4문의 QF 3-pounder Hotchkiss포로 구성되었다.[1]
3. 3. 무장
쓰쿠바형은 당시 가장 강력한 무장을 갖춘 순양함 중 하나였다. 함선의 중심선상 전후방에 쌍포 포탑에 장착된 4문의 12인치 41년식 주포를 주포로 탑재했다.[2] 부포는 12문의 15cm 41년식 포와 12문의 4.7인치 41년식 포, 4문의 3파운더(47mm) 포로 구성되었다.[1]4. 운용
1907년 2월 28일, 이주인 고로 제2함대 사령장관의 지휘 아래 "쓰쿠바"와 "지토세"는 요코하마를 출발하여 미국 건국 300주년 기념 관함식(햄프턴 로드)에 참가한 후 유럽 각국을 순방했다. 이 순방은 제임스타운 식민지 건립 300주년 기념행사(제임스타운 박람회) 참석,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 주최 국제 해군 사열 참석, 영국 포츠머스 방문 (영일 동맹에 따른 동맹국인 영국 해군에 경의를 표함), 독일 킬 주간 25주년 기념 행사 참석 (빌헬름 2세 독일 황제 임석) 등을 포함했다. 그 후 플랑드르의 플러싱과 오스텐더, 프랑스의 브레스트, 보르도, 비고, 리스본, 나폴리, 몰타, 베네치아, 트리에스테를 방문한 후 수에즈 운하와 인도양을 거쳐 11월 16일 일본으로 귀국하여 지구를 일주했다.[4]
1908년 10월, 쓰쿠바는 히로세 다케오의 동생 히로세 가쓰히코 사령관에게 배속되었고, 미국 해군의 대백색 함대를 일본 해역에서 호위했다.
1914년 9월, 쓰쿠바는 칭다오 포위전에 투입되어 중국 칭다오의 독일 항구를 봉쇄하는 작전에 참여했다. 이는 영일 동맹에 따른 연합국의 전쟁 노력에 대한 일본의 기여였다.[4] 칭다오 함락 후, 쓰쿠바는 1914년 12월 포클랜드 해전에서 독일 함대가 파괴될 때까지 태평양에서 독일 동아시아 함대를 수색하는 임무를 수행했다.[4]
1915년 12월 4일, 다이쇼 천황 즉위 기념 특별 관함식에서 쓰쿠바는 다이쇼 천황이 탑승하는 어소함(御召艦)을 맡았다.[109]
4. 1. 건조
러일 전쟁 발발 후인 1904년 6월 비상 함대 보충 예산에 따라 쓰쿠바급 순양전함의 건조가 명령되었다. 이는 전쟁 초기에 전함 하쓰세와 야시마가 기뢰에 의해 예상치 못하게 손실된 것에 자극을 받은 것이었다.[2]1905년 1월 14일, "쓰쿠바"는 "자호 장갑 순양함"으로[57] 구레 해군 공창에서 기공되었다.[33] 1904년 6월 23일의 제조 훈령[7]에 의해 구레 해군 공창은 쓰쿠바형 2척("쓰쿠바", "이코마")을 동시에 건조하게 되었다.[41][45] 같은 해 6월 11일, 일본 해군은 건조 예정인 주력 함정 6척의 함명을 각각 내정했다.
"쓰쿠바"의 진수식은 1905년 12월 12일로 예정되었고,[47][48] 메이지 천황 황태자 (요시히토 친왕, 훗날의 다이쇼 천황)이 임석하게 되었다.[49][50] 하지만 진수대의 이상으로[53] "쓰쿠바"의 진수식은 연기되었다.[54][55]
1905년 12월 26일, "쓰쿠바"는 황태자 임석 및 도고 헤이하치로 대장 입회 하에 오전 9시에 진수했다.[11] 같은 날, 자호 장갑 순양함은 정식으로 "쓰쿠바"로 명명되었고,[57][58] 일등 순양함으로 분류되었다.[60][61] 1907년 1월 14일, "쓰쿠바"는 준공되었다.
4. 2. 취역 및 해외 순방
1907년 2월 28일, 이주인 고로 제2함대 사령장관의 지휘 아래 "쓰쿠바"와 "지토세"는 요코하마를 출발하여 미국 건국 300주년 기념 관함식(햄프턴 로드)에 참가한 후 유럽 각국을 순방했다. 이 순방은 제임스타운 식민지 건립 300주년 기념행사(제임스타운 박람회) 참석,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 주최 국제 해군 사열 참석, 영국 포츠머스 방문 (영일 동맹에 따른 동맹국인 영국 해군에 경의를 표함), 독일 킬 주간 25주년 기념 행사 참석 (빌헬름 2세 독일 황제 임석) 등을 포함했다. 그 후 플랑드르의 플러싱과 오스텐더, 프랑스의 브레스트, 보르도, 비고, 리스본, 나폴리, 몰타, 베네치아, 트리에스테를 방문한 후 수에즈 운하와 인도양을 거쳐 11월 16일 일본으로 귀국하여 지구를 일주했다.[4]1908년 10월, ''쓰쿠바''는 히로세 가쓰히코 사령관 (전쟁 영웅 히로세 다케오의 동생)에게 배속되었고, 세계 일주 항해를 하는 미국 해군의 대백색 함대를 일본 해역에서 호위했다.
1907년 12월 27일, 메이지 천황은 "쓰쿠바"에 승함하여 "지토세"를 친열했다.
4. 3.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1914년 9월, 쓰쿠바는 칭다오 포위전에 투입되어 중국 칭다오의 독일 항구를 봉쇄하는 작전에 참여했다. 이는 영일 동맹에 따른 연합국의 전쟁 노력에 대한 일본의 기여였다.[4] 칭다오 함락 후, 쓰쿠바는 1914년 12월 포클랜드 해전에서 독일 함대가 파괴될 때까지 태평양에서 독일 동아시아 함대를 수색하는 임무를 수행했다.[4]4. 4. 다이쇼 천황 즉위 기념 관함식
1915년 12월 4일, 다이쇼 천황 즉위 기념 특별 관함식에서 쓰쿠바는 다이쇼 천황이 탑승하는 어소함(御召艦)을 맡았다.[109] 1916년 10월 25일, 관함식에서 다시 다이쇼 천황의 어소함을 맡았다.[110]4. 5. 요코스카 항 폭발 사고
1917년(다이쇼 6년) 1월 14일, 요코스카 항에 정박 중이던 쓰쿠바는 탄약고 폭발 사고로 침몰했다.[39] 폭발은 오후 3시 15분에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함체는 20분 만에 얕은 해역에 가라앉았다.[39] 이 사고로 305명이 사망했는데, 폭발 당시 400명 이상의 승무원이 육상 휴가를 나가 있어 많은 인원이 생존할 수 있었다.[39]폭발의 위력은 12km 이상 떨어진 가나가와현 가마쿠라의 창문이 깨질 정도였다.[39] 폭발 원인은 탄약고에서 발생한 화재로 추정되며, 포탄 내 시모제 화약의 열화로 인한 자연 발화였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39]
사고 이후, 쓰쿠바의 돛대, 함교, 굴뚝 등은 수면 위에 남아 있었고, 선체는 인양되어 해군 항공 훈련의 표적으로 사용되었다.[39] 잠수모함이나 수상기모함으로 개조하는 방안도 검토되었으나,[100] 여러 사정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해체 처분되었다.[102] 쓰쿠바는 1917년 9월 1일에 정식으로 해군 목록에서 삭제되었다.[112]
5. 평가 및 의의
쓰쿠바급 순양전함은 일본이 독자적인 기술로 건조한 최초의 대형 주력함으로, 일본 해군 기술 발전의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된다.[36] 전함급 주포와 순양함의 속력을 결합한 설계는 이후 순양전함 개념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36] 러일 전쟁 중 요시노와 가스가의 충돌 사고를 교훈 삼아 충각을 없앤 선체 설계는 당시 해군 함정 설계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37]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서 자매함 이코마는 규제 대상 전함으로 취급되어 해체되었다.
6. 같이 보기
- 이코마 (순양전함) : 쓰쿠바급 순양전함의 2번함이다.
- 순양전함
- 장갑순양함
- 러일 전쟁
- 제1차 세계 대전
참조
[1]
서적
Warships of the Imperial Japanese Navy, 1869-1945
Naval Institute Press
[2]
간행물
Conway's All the World's Fighting Ships 1906–1921
[3]
문서
Military attachés and observers in the Russo-Japanese War
[4]
웹사이트
Tsukuba, Chitose and one more item
https://www.jacar.ar[...]
[5]
문서
日本海軍全艦艇史
[6]
문서
戦史叢書31海軍軍戦備1
[7]
문서
M41公文備考10/船体製造(1)
[8]
문서
昭和造船史1
[9]
문서
M41公文備考10/船体製造(7)
[10]
문서
艦船名考(1928)
[11]
문서
M41公文備考10/筑波進水(2)
[12]
문서
艦船名考(1928)
[13]
문서
海軍夜話
[14]
문서
内令提要7版/艦船(1)
[15]
문서
日本近世造船史明治(1973)
[16]
문서
日本の戦艦(上)2001
[17]
문서
日本近世造船史明治(1973)
[18]
문서
帝国海軍機関史(1975)
[19]
문서
日本近世造船史明治(1973)
[20]
문서
日本近世造船史明治(1973)
[21]
문서
帝国海軍機関史(1975)
[22]
문서
帝国海軍機関史(1975)
[23]
문서
日本近世造船史明治(1973)
[24]
문서
日本近世造船史明治(1973)
[25]
문서
海軍制度沿革10-1(1972)
[26]
문서
日本の戦艦(上)2001
[27]
문서
昭和造船史1
[28]
문서
M39達/11月
[29]
문서
M41達/10月
[30]
문서
大正1年達/12月
[31]
문서
帝国最新軍艦帖、大正1年
[32]
문서
幕末史実
[33]
문서
幕末史実
[34]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
[35]
문서
福井戦艦物語壱
[36]
문서
コマ14(原本12頁)
"#主力艦展望"
[37]
문서
220頁〔 (2)筑波、生駒 一九〇五〜一九〇六年、一万三七五〇トン、二一ノット 〕
"#福井世界巡洋艦"
[38]
문서
コマ238(原本84頁)
"#幕末史実|幕末以降帝国軍艦写真と史実[...]
[39]
문서
コマ136-137
"#災害篇"
[40]
문서
140-141頁〔 (4)明治三十九年艦艇補足計画 〕
"#福井戦艦物語壱"
[41]
문서
248-249頁〔 阿部安雄日露戦役後の国産戦艦 〕
"#丸写真二|写真日本の軍艦2巻"
[42]
문서
コマ176(原本315頁)
"#海戦の変貌"
[43]
문서
143-144頁〔 筑波型に見る建艦政策の卓見 〕
"#福井戦艦物語壱"
[44]
서적
日本軍事関連産業史 海軍と英国兵器会社
日本経済評論社
2013
[45]
문서
152-154頁「空前の二隻同時建造」
"#福井戦艦物語壱"
[46]
문서
コマ199
"#海軍制度沿革(巻8、1940)"
[47]
문서
pp.10-12〔 呉鎮第一七三九號ノ一六 來ル十二月十二日一等装甲巡洋艦進水式擧行セシメラレ皇太子殿下行啓爲在ニ付其御次第書左ノ通定メラル 明治三十八年十二月十日 呉鎮守府司令長官有馬新一 〕
"#M41公文備考10/筑波進水(1)"
[48]
문서
154-156頁〔 進水式当日の大椿事 〕
"#福井戦艦物語壱"
[49]
웹사이트
明治38年12月18日官報第6741号。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https://dl.ndl.go.j[...]
[50]
문서
229-230頁〔 (明治三十八年十二月)八日 呉軍港に行啓/横浜港御解纜/供奉員 〕
"#T実録二|大正天皇実録第二"
[51]
문서
230頁〔 呉軍港に御箸 〕
"#T実録二|大正天皇実録第二"
[52]
웹사이트
明治38年12月27日官報第6749号。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https://dl.ndl.go.j[...]
[53]
문서
230頁〔 (明治三十八年十二月)十二日 軍艦筑波進水式に御臨場/故障の為め進水を中止す 〕
"#T実録二|大正天皇実録第二"
[54]
문서
pp.13-16〔 軍艦筑波進水中止ノ原因等調書(明治三十八年十二月十二日) 〕
"#M41公文備考10/筑波進水(2)"
[55]
뉴스
「筑波艦進水式故障の為め失敗」報知新聞1905年12月15日『新聞集成明治編年史. 第十二卷』
"https://dl.ndl.go.j[...]
報知新聞
1905-12-15
[56]
문서
コマ281(原本536頁)
"#東郷全集1巻"
[57]
문서
p.22〔 達第一九五號 呉海軍工廠ニ於テ製造ノ子號装甲巡洋艦ヲ筑波ト命名セラル 明治三十八年十二月二十六日 海軍大臣男爵 山本権兵衛 〕
"#達明治38年12月"
[58]
문서
コマ199番〔 ◎装甲巡洋艦筑波命名ノ件 明治三十八年十二月二十六日(達一九五)呉海軍工廠ニ於テ製造ノ子號装甲巡洋艦ヲ筑波ト命名セラル 〕
"#海軍制度沿革(巻8、1940)"
[59]
문서
233-234頁〔 (明治三十八年十二月)二十六日 軍庵筑波進水式に御臨場/呉軍港御発 〕
"#T実録二|大正天皇実録第二"
[60]
문서
p.23〔 達第一九六號 艦艇類別等級別表中巡洋艦ノ欄一等ノ下「阿蘇」ノ次ニ「筑波」ヲ加フ 明治三十八年十二月二十六日 海軍大臣男爵 山本権兵衛 〕
"#達明治38年12月"
[61]
문서
コマ54〔 明治三十八年十二月二十六日(達一九六)達第一九六號 艦艇類別等級別表中巡洋艦ノ欄一等ノ下「阿蘇」ノ次ニ「筑波」ヲ加フ 〕
"#海軍制度沿革(巻8、1940)"
[62]
웹사이트
明治40年3月1日官報第7098号。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https://dl.ndl.go.j[...]
[63]
문서
292頁〔 東宮武官御差遣 〕〔 二月二十五日|亜米利加並欧羅巴沿岸へ派遣の軍艦筑波・千歳|東宮武官 黒水公三郎 〕
"#T実録二|大正天皇実録第二"
[64]
문서
コマ67-68
"#水難救済軍艦"
[65]
문서
コマ239(原本86頁)〔 明治四〇-一二-二七|横須賀軍港にて軍艦筑波千歳御親閲|軍艦筑波 〕
"#幕末史実|幕末以降帝国軍艦写真と史実[...]
[66]
웹사이트
明治40年12月28日官報第7352号。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https://dl.ndl.go.j[...]
[67]
문서
p.32〔 達第十一號 艦艇類別標準別表ノ通改正セラル 大正元年八月二十八日 海軍大臣男爵 斎藤實 〕
"#達大正1年8月"
[68]
문서
コマ56-57〔 ◎艦艇類別等級 大正元年八月二十八日(達一二)艦艇類別等級別表ノ通改正ス(別表)|艦艇類別等級表|軍艦|巡洋戰艦|筑波、生駒、鞍馬、伊吹| 〕
"#海軍制度沿革(巻8、1940)"
[69]
문서
p.33〔 達第十二號 艦艇類別等級別表ノ通改正ス 大正元年八月二十八日 海軍大臣男爵 斎藤實|艦艇類別等級表|軍艦|巡洋戰艦|筑波、生駒、鞍馬、伊吹| 〕
"#達大正1年8月"
[70]
문서
15-16頁〔 (大正三年三月)二十日 金曜日 京都御発/軍艦薩摩にて神戸出港 〕
"#S実録二|昭和天皇実録第二"
[71]
서적
昭和天皇実録第二
[72]
서적
大正天皇実録第四
1915-12-04
[73]
서적
幕末以降帝国軍艦写真と史実
[74]
서적
大正天皇実録第四
[75]
서적
菊華会、花之巻
[76]
간행물
大正4年12月6日官報第1004号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77]
서적
昭和天皇実録二
1915-12-04
[78]
웹사이트
画像で見る歴史と文化>地域図(近現代)>特別観艦式式場図横浜沖
https://ch.kanagawa-[...]
2024-03-19
[79]
간행물
家庭世界
大日本家庭教育會
1916-01-01
[80]
서적
大正天皇実録第四
[81]
서적
菊華会、花之巻
[82]
서적
大正天皇実録第四
[83]
서적
昭和天皇実録二
1916-05-21
[84]
간행물
大正5年5月20日(土)海軍公報 第1124号 p.39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85]
서적
幕末以降帝国軍艦写真と史実
[86]
간행물
大正五年十月二十六日官報第1272号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87]
간행물
大正6年1月13日(土)海軍公報 第1311号 p.15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88]
간행물
大正6年1月15日(月)海軍公報 第1312号 p.17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89]
논문
軍艦爆沈事故と海軍当局の対応
[90]
간행물
大正6年1月15日(月)海軍公報 第1312号 p.16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91]
문서
災害篇
[92]
서적
大正の海軍物語
[93]
논문
軍艦爆沈事故と海軍当局の対応
[94]
간행물
大正6年1月16日(火)海軍公報 第1313号 pp.19-20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95]
논문
軍艦爆沈事故と海軍当局の対応
[96]
논문
軍艦爆沈事故と海軍当局の対応
[97]
문서
災害篇
[98]
간행물
大正6年1月18日(水)海軍公報 第1315号 p.20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99]
문서
大正6年公文備考巻33/処分関係
[100]
문서
大正6年公文備考巻33/処分関係
[101]
문서
大正6年公文備考巻33/処分関係
[102]
문서
大正6年公文備考巻33/処分関係
[103]
문서
大正6年公文備考巻33/処分関係
[104]
서적
海軍制度沿革(巻8、1940)
[105]
문서
達大正6年9月
[106]
문서
大正6年公文備考巻33/雑 画像12、大正6年9月10日横鎮第123号の35の2〔 軍艦筑波残務整理昨九日結了ノ旨報告有之候 右報告ス(終) 〕
[107]
문서
正木義太傳 195-197頁〔 河内艦長時代 大佐 〕
[108]
문서
大正天皇(原2000) 108頁
[109]
문서
幕末史実|幕末以降帝国軍艦写真と史実 コマ239(原本86頁)〔 大正四-一二-四|横濱港にて特別観艦式|軍艦筑波 〕
[110]
문서
幕末史実|幕末以降帝国軍艦写真と史実 コマ239(原本86頁)〔 大正五-一〇-二五|横濱港にて恒例観艦式|軍艦筑波 〕
[111]
문서
S実録二|昭和天皇実録二 268-269頁〔 (大正六年一月)十五日 月曜日(軍艦筑波爆沈事故)昨十四日、横須賀軍港において軍艦筑波が火薬庫爆発事故により沈没し、多数の死傷者・行方不明者を出す。よってこの日、御慰問のため東宮武官宇川知義を差し遣わされる。十七日には死亡者・行方不明者へ香料を、負傷者へ菓子料を下賜される。〕
[112]
문서
達大正6年9月 p.1〔 達第百三號 横須賀鎮守府在籍 軍艦 筑波 右帝國軍艦籍ヨリ除カル 大正六年九月一日 海軍大臣 加藤友三郎 〕
[113]
문서
M39公文備考17/試験(3) 画像22-25,33
[114]
문서
M39公文備考17/試験(3) 画像18-21
[115]
문서
M39公文備考17/試験(3) 画像15-17
[116]
문서
M39公文備考17/試験(3) 画像3-10
[117]
문서
T2公文備考21/試験(1) 画像21
[118]
문서
M45(T1)公文備考31/試験及調査(1) 画像10-16、強圧通風全力十分ノ九高力運転成績表
[119]
문서
T2公文備考21/試験(1) 画像22-23、電報
[120]
서적
Warships of the Imperial Japanese Navy, 1869-1945
Naval Institute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