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회는 자(字)는 자연(子淵)이며, 안연(顔淵) 또는 안자(顔子)로도 불리는 인물로, 공자의 수제자이다. 그는 공자보다 약 30살 어렸으며, 검소한 생활을 실천하고 학문을 숭상하여 공자로부터 가장 아끼는 제자로 평가받았다. 공자는 안회를 후계자로 여겼으나, 안회가 요절하자 슬퍼하며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 안회는 공자 사상과 함께 한 고조에 의해 숭배되었으며, 후대에는 사성 중 한 사람인 복성으로 숭배받았다. 현재 산둥성 취푸시에 안회를 모시는 사당이 있으며, 송명리학에서 공자의 계승자로 재평가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521년 출생 - 무마시
무마시는 공자와 관련된 일화를 통해 그의 삶과 정치 철학을 엿볼 수 있는 인물로, 공자와의 여행, 복자천의 다스림에 대한 질문 등을 통해 덕치와 백성을 위한 정치 방식을 고찰하고 자신의 정치 방식을 돌아보았다. - 노나라 사람 - 공자
공자는 기원전 551년에 태어난 유교의 창시자이며, 덕치주의와 사회 질서를 중시하고 인과 예를 통해 사회적 조화를 추구했으며, 동아시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노나라 사람 - 좌구명
좌구명은 춘추 시대의 사상가로, 《춘추좌씨전》과 《국어》의 저자로 알려져 있으며, 공자와 동시대 또는 그 이전 시대의 인물로 추정되는 유교적 가치관에 기반한 사상가이다.
안회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안회 (顏回) |
자 | 자연 (子淵) |
존칭 | 안자 (顏子) |
시호 | 복성 (復聖) |
출생 | 기원전 521년경 |
사망 | 기원전 481년경 |
국적 | 노나라 |
스승 | 공자 |
기타 정보 | |
사상 | 유교 |
영향 | 공문십철 |
2. 명칭
안회는 자인 '''자연'''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성과 자를 결합하여 '''안연'''이라고도 불린다. 그는 또한 존경을 담아 '''안자'''라고도 불린다.[29]
안회는 공자가 가장 아끼는 제자였다.[1] 공자는 "안회를 얻은 후 제자들이 내게 더 가까이 다가왔다."고 말했다.[2][3]
『설문해자』에 따르면 "연(淵)"이라는 한자에는 "회수(回水)"(머물러 있는 물)라는 뜻이 있기 때문에, 안회의 휘와 자는 서로 대응된다.[30]
3. 생애
공자는 안회, 자로, 자공과 함께 남산에 갔을 때, 각자의 포부를 말해보라고 했다. 자로는 용기를, 자공은 언변을 보여주는 포부를 말했다. 안회는 총명한 왕을 보좌하여 백성들에게 가르침을 퍼뜨리고, 예와 음악으로 이끌며, 평화로운 세상을 만들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공자는 안회의 덕을 칭찬했다.[4]
안회는 매우 검소하게 생활했다. 『논어』 옹야편 등에 따르면, 겨우 한 그릇의 밥과 국만을 먹고("단사표음(箪食瓢飲)", "일단지식일표지음(一箪の食一瓢の飲)"[24]), 좁고 보잘것없는 마을에 살았다고 한다("재루항(在陋巷)"[25]).
『여씨춘추』, 『순자』, 『한시외전』, 『신서』 등에도 안회에 대한 기록이 전해진다.
3. 1. 가계와 출신
안회는 노나라 출신이었다. 그의 아버지 안무유는 공자의 초창기 제자 중 한 명이었다.[1] 안회는 공자보다 약 30살 어렸으며, 어린 나이에 스승의 제자가 되었다.[1]
안회는 공자가 가장 아끼는 제자였다.[1] "안회를 얻은 후 제자들이 내게 더 가까이 다가왔다."고 공자는 말했다.[2][3]
3. 2. 공자의 수제자
顏子일본어는 노나라 출신이었다. 그의 아버지 안무유는 공자의 초창기 제자 중 한 명이었다. 顏子일본어는 공자보다 약 30살 어렸으며, 어린 나이에 스승의 제자가 되었다.
공자는 "顏子일본어를 얻은 후 제자들이 내게 더 가까이 다가왔다."고 말할 정도로 顏子일본어를 가장 아끼는 제자로 삼았다.[1][2][3]
顏子일본어, 자로, 자공과 함께 남산에 갔을 때, 공자가 그들에게 각자의 포부를 말해보라고 한 후,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겠다고 전해진다. 자로는 "전차 천 대를 가진 나라를 다스리게 된다면, 외적의 침입과 기근이 닥쳐도 3년 안에 백성을 용감하게 만들고 예의를 알게 하겠다"고 말했다. 공자는 "그것은 너의 용기를 나타내는구나."라고 평했다. 자공은 "제나라와 초나라 사이의 전쟁이 벌어지면, 제가 초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외교술로 전쟁을 막겠다"고 말했다. 공자는 "그것은 너의 뛰어난 언변을 보여주는구나."라고 평했다.
마지막으로 顏子일본어는 이렇게 말했다. "저는 총명한 왕과 현명한 군주를 만나 그를 보좌하고 싶습니다. 백성들에게 다섯 가지 중요한 점에 대한 가르침을 널리 퍼뜨리고, 예와 음악의 규칙에 따라 그들을 이끌고 싶습니다. 그렇게 하여 그들이 성벽과 해자를 쌓아 도시를 방어하는 대신, 칼과 창을 농기구로 만들도록 하고 싶습니다. 또한, 그들이 두려움 없이 가축들을 평원과 숲으로 내보내도록 하고 싶습니다. 가족의 분열도, 과부나 홀아비도 없게 하고 싶습니다. 천 년 동안 전쟁의 재앙이 없을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유는 그의 용기를, 츠는 그의 웅변을 발휘할 기회가 없을 것입니다." 공자는 "이 덕은 얼마나 훌륭한가!"라고 말했다.[4]
顏子일본어는 매우 검소한 생활을 했다고 한다. 『논어』 옹야편 등에 따르면, 겨우 한 그릇의 밥과 국만을 먹고("단사표음(箪食瓢飲)", "일단지식일표지음(一箪の食一瓢の飲)"[24]), 좁고 보잘것없는 마을에 살았다고 한다("재루항(在陋巷)"[25]).
『논어』에는 顏子일본어에 대한 칭찬이 여러 곳에 보인다. 공자는 "顏子일본어만큼 학문을 좋아하는 자는 들어본 적이 없다"(옹야 제6, 선진 제11)라고 하였고, 동문인 자공은 "나는 하나를 듣고 둘을 아는 자이고, 顏子일본어는 하나를 듣고 열을 아는 자이다"(공야장 제5)라고 말할 정도로 공자는 顏子일본어를 높이 평가했다. 顏子일본어는 공자로부터 후계자로 여겨졌으며, 그가 요절했을 때 공자는 "아아, 하늘이 나를 망하게 하였구나"(선진 제11)라고 하며 크게 슬퍼했다.
顏子일본어가 가난하여 음식을 구하는 것조차 어려웠을 때, 공자는 욕심이 없는 顏子일본어에게 "성인의 도에 가깝다"고 평가하였고(선진 제11)[26], "顏子일본어는 나를 돕지는 않지만, 묵묵히 나의 뜻을 잘 이해한다"고 평가했다(선진 제11)[26]).
『논어』 선진 제11에는 顏子일본어에 관한 기술이 많으며, 특히 "顏子일본어가 죽다"로 시작하는 구절이 여러 곳에 등장한다. 이는 공자가 顏子일본어를 얼마나 높이 평가했는지를 보여준다.[27]
『사기』 중니제자열전 제7에 따르면, 공자는 顏子일본어가 학문을 좋아한다는 점 외에 "노여움을 다른 데로 옮기지 않고, 잘못을 반복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또한, 顏子일본어는 29세에 머리카락이 모두 백발이었다고 한다.[28]
3. 3. 이른 죽음
안회는 스물아홉 살에 머리카락이 모두 하얗게 세었다. 그는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죽었다.[4] 그의 나이와 정황을 고려할 때, 안회는 조로증의 최초 기록 사례 중 하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5]
안회가 죽자, 공자는 "하늘이 나를 버렸구나!"라고 두 번이나 슬퍼했다. 다른 제자들이 그에게 "지나친 슬픔"을 보인다고 말하자, 늙은 철학자는 "내가 지나친 슬픔을 보이는 것이냐? 그렇다면 이 사람을 위해 슬퍼하지 않는다면, 누구를 위해 슬퍼하겠는가?"라고 대답했다.[6] 심지어 몇 년이 지난 후에도 공자는 다른 어떤 제자도 안회의 자리를 대신할 수 없다고 말했는데, 안회가 매우 재능 있고 헌신적이었기 때문이다.[7]
논어에는 안회에 대한 칭찬이 몇 군데 보인다. 예를 들어 공자가 "안회만큼 학문을 좋아하는 자는 들어본 적이 없다"(옹야 제6, 선진 제11)라고 하였고, 동문인 자공이 "나는 하나를 듣고 둘을 아는 자이고, 안회는 하나를 듣고 열을 아는 자이다"(공야장 제5)라고 말한 것이 기록되어 있다. 안회는 공자로부터 후계자로 여겨졌다. 그만큼 요절했을 때 공자의 낙담은 격심하여, 공자는 "아아, 하늘이 나를 망하게 하였구나"(선진 제11)라고 개탄하였다.
사기 중니제자열전 제7에 따르면, 29세에 머리카락이 모두 백발이었다고 한다.[28]
4. 사상 및 평가
안회는 매우 검소한 생활을 했다고 전해진다. 『논어』 옹야편 등에 따르면, 그는 겨우 한 그릇의 밥과 국만을 먹고("단사표음(箪食瓢飲)", "일단지식일표지음(一箪の食一瓢の飲)")[24], 좁고 보잘것없는 마을에 살았다("재루항(在陋巷)").[25]
『여씨춘추』 심분람임수편에는 "진채의 곤경" 때의 "안회 굴식" 설화가 전해진다. 그 외에도 『순자』 애공편과 자도편, 『한시외전』 권2, 『신서』 잡사5 등에도 안회에 대한 기록이 나타난다.
4. 1. 도가와의 관계
청빈을 중시하는 인물상 등에서 안회는 종종 도가와 결부된다. 현학 시대에 쓰인 『논어집해』에서는 선진 제11에 나오는 "공(空)" 자와 관련하여 안회를 도가적인 인물로 해석하고 있다.[31][32]『장자』에서는 공자와 안회의 대화가 종종 묘사되며, 특히 대종사 편에서는 두 사람이 유가 사상을 부정하고 도가 사상을 긍정하는 대화가 묘사된다. 이와 관련하여 궈모뤄는 장자가 유가팔파의 일파인 "안씨지유" 출신 인물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20세기 말, 안회가 등장하는 새로운 문헌이 몇몇 발견되었다. 그 예로, 상박초간 『안연문어공자』[33], 동 『군자위례』[34]가 있다. 이 중 『안연문어공자』는 그 도가적인 내용으로 미루어 장자 후학의 저작이라는 추측이 있다.
4. 2. 후대의 평가
안회는 스물아홉 살에 머리카락이 모두 하얗게 세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죽었다.[4] 그의 나이와 정황을 고려할 때, 조로증의 최초 기록 사례 중 하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5]안회가 죽자 공자는 "하늘이 나를 버렸구나!"라고 두 번이나 슬퍼했다. 다른 제자들이 "지나친 슬픔"을 보인다고 말하자, 공자는 "내가 지나친 슬픔을 보이는 것이냐? 그렇다면 이 사람을 위해 슬퍼하지 않는다면, 누구를 위해 슬퍼하겠는가?"라고 대답했다.[6] 몇 년이 지난 후에도 공자는 다른 어떤 제자도 안회의 자리를 대신할 수 없다고 말했는데, 안회가 매우 재능 있고 헌신적이었기 때문이다.[7]
안회는 한 고조에 의해 공자 본인과 함께 숭배받았다. 그가 현재 제사 의례에서 갖는 칭호인 '''부생'''("성인의 계승자")은 1530년, 가정제의 9년에 수여되었다. 공자 사당에 있는 현인들의 현재 제사 칭호는 거의 모두 그때 정해졌다. 안회는 공자의 동쪽에 위치한 사배 중 첫 번째 자리에 있다.[4]
『논어』에는 안회에 대한 칭찬이 여러 곳에 보인다. 예를 들어 공자가 "안회만큼 학문을 좋아하는 자는 들어본 적이 없다"(옹야 제6, 선진 제11)라고 하였고, 동문인 자공이 "나는 하나를 듣고 둘을 아는 자이고, 안회는 하나를 듣고 열을 아는 자이다"(공야장 제5)라고 말한 것이 기록되어 있다. 안회는 공자로부터 후계자로 여겨졌다. 그만큼 요절했을 때 공자의 낙담은 격심하여, 공자는 "아아, 하늘이 나를 망하게 하였구나"(선진 제11)라고 개탄하였다.
안회가 가난하여 음식을 구하는 것조차 어려웠을 때, 욕심이 없는 안회에게 "성인의 도에 가깝다"고 평가하였고(선진 제11)[26], "안회는 나를 돕지는 않지만, 묵묵히 나의 뜻을 잘 이해한다"고 평가했다(선진 제11)[26].
『사기』중니제자열전 제7에 따르면, 학문을 좋아한다는 점 외에 "노여움을 다른 데로 옮기지 않고, 잘못을 반복하지 않았다"고 공자에게 평가받았다. 또한, 29세에 머리카락이 모두 백발이었다고 한다.[28]
후한 대에는 왕충의 『논형』, 정현의 『논어주』, 예형의 『안자비』 등에서 안회가 언급되었다. 특히 『논형』에서는 종래의 문헌에서 보이지 않는 안회 사망 설화가 이야기된다.
삼국 위 이후, 석전에서 공자를 따라 제사지내졌으며[22], 후세에는 사성 중 한 사람인 "복성"으로 숭배받는다.[23] 산둥성 취푸시에는 안회를 모시는 묘 (안묘)가 있다.
송명리학에서는 주돈이와 정이가 안회를 공자의 계승자로 재평가했다. 주희는 안회를 「도통」에 포함시키지 않았지만 거의 동등한 평가를 했다. 왕양명과 왕룡계는 안회를 두드러지게 평가했다.
일본의 센노 리큐는 검소함을 중시하는 와비차의 정신에서 다도구인 표주박 꽃병에 『안회』라는 이름을 붙였다.[35]
5. 가계 및 후손
안회는 낭야 출신이었다.[8] 317년, 서진(266–420) 멸망으로 인한 북부의 황폐화로 안한이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안씨 가문은 중국 북부를 떠나 남조를 섬겼다.[9]
495년, 북위 효문제는 공자와 그의 가르침을 숭상하여 안회의 후손 두 명에게 관직을 수여했다.[10]
안지퇴(531–591)는 안씨 가문이 남쪽에 8대째 거주하던 시기에 태어났다.[11] 그의 할아버지 안건원은 남제에 대한 502년 반란 이후 단식 자살했다.[12] 안지퇴의 아버지는 안섭이었고, 형들은 안지의와 안지삼이었다. 안지퇴는 생전에 여러 왕조를 섬겼으며 《안씨가훈》(顏氏家訓)과 《원혼지》(冤魂志)를 저술했다.[13][14] 안회에서 안지퇴 대까지 약 1,000년 동안 두 명의 안씨가 군인의 길을 걸었고, 대부분은 문인으로 활동했다.[15]
명(1368–1644)나라의 대부분 기간과 청(1644–1912)나라 전체 기간 동안 안회의 후손들은 한림원의 학자 칭호인 오경박사(五經博士)의 세습 칭호를 받았다.[16] 안회의 현존하는 유일한 직계 후손(79대손)은 안병강(顏秉刚)이다.[17]
대만에는 공자의 사성에 대한 "봉사관"(奉祀官)이라는 관직이 있으며, 안회도 여기에 포함된다.[18]
6. 유적
안회는 취푸 성벽 도시, 공자 사당 북쪽으로 몇 블록 떨어진 곳에 있는 안회 사당에서 숭배받고 있다.
안회의 묘는 현재 수백 개의 후손 묘로 둘러싸여 안씨 가족 묘지("옌 숲")를 형성하고 있다. 그의 묘에는 여진족 금나라 시대에 비석이 세워졌으며, 명나라 시대에 재건되었다. 묘는 잘 보존되어 있다.[19]
참조
[1]
서적
[2]
웹사이트
Kongzi Jiayu
http://ctext.org/kon[...]
[3]
웹사이트
Shiji
http://ctext.org/shi[...]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Reform in the Balance: The Defense of Literary Culture in Mid-Tang China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2-02-01
[9]
서적
East Asia: A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Volume I: To 1800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10]
서적
Early Chinese Religion: The Period of Division (220-589 Ad)
BRILL
[11]
서적
Six Dynasties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2]
서적
Unbounded Loyalty: Frontier Crossings in Liao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
서적
Images of Women in Chinese Thought and Culture: Writings from the Pre-Qin Period Through the Song Dynasty
https://books.google[...]
Hackett Publishing
[14]
서적
Strange Writing: Anomaly Accounts in Early Medieval China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5]
서적
China between Empires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06-30
[16]
서적
Present Day Political Organization of China
https://books.google[...]
Routledge
[17]
서적
Xin bian Lou xiang zhi
https://www.worldcat[...]
Qi Lu shu she
2002
[18]
웹사이트
台湾儒家奉祀官将改为无给职 不排除由女子继任
http://news.sina.com[...]
2016-05-20
[19]
웹사이트
A Regular Report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Part II: Preservation Status of the Specific World Heritage. Treaty signatory state: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Name of property: Confucius Temple, Confucius Forest and Confucius Mansion in Qufu
https://whc.unesco.o[...]
2016-05-20
[20]
서적
『中国人名事典』
[21]
서적
『中国神話・伝説大事典』
[22]
웹사이트
宇野茂彦・小学館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23]
웹사이트
大成殿に祀られているもの|史跡湯島聖堂|公益財団法人斯文会
http://www.seido.or.[...]
2020-12-07
[24]
웹사이트
箪食瓢飲
[25]
웹사이트
陋巷
[26]
서적
論語 朱熹の本文訳と別解
明徳出版社
2017-11-25
[27]
서적
孔子
講談社
1980-08-10
[28]
서적
史記列伝 上巻
https://dl.ndl.go.jp[...]
国民文庫刊行会
2020-01-16
[29]
간행물
避諱による唐代類書の部立て改変について——『藝文類聚』における「改字」を中心に
http://spc.jst.go.jp[...]
[30]
웹사이트
説文解字注 第1118頁 (圖書館) -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http://ctext.org/lib[...]
2021-03-17
[31]
서적
概説 中国思想史
ミネルヴァ書房
[32]
간행물
王弼『論語釈疑』について
https://repository.k[...]
1996-12-25
[33]
간행물
上博楚簡『顔淵問於孔子』と儒家系文献形成史
https://doi.org/10.1[...]
大阪大学中国学会
[34]
간행물
上博楚簡『君子爲禮』と孔子素王説
大阪大学中国学会
[35]
웹사이트
瓢花入 顔回
http://www.eiseibunk[...]
永青文庫美術館
2021-03-17
[36]
백과사전
글로벌세계대백과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