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렉산더 케쿨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더 케쿨레는 미생물학, 바이러스학, 감염 역학 전문가이자 임상병리학 전문가이다. 그는 발도르프학교와 김나지움을 졸업하고, 베를린 자유대학교와 뮌헨 대학교에서 철학, 생화학, 의학을 전공했으며, 막스 플랑크 생화학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케쿨레는 B형 간염 바이러스와 간암, 인플루엔자 범유행 대비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언론 활동을 통해 자연과학의 사회적, 윤리적 측면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독일의 방역 정책에 대한 비판적인 의견을 제시하며 대중적인 관심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바이러스학자 - 하랄트 추어 하우젠
    하랄트 추어 하우젠은 인유두종바이러스가 자궁경부암의 주요 원인임을 밝혀내 2008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독일의 바이러스학자로서, HPV 16과 18이 전 세계 자궁경부암 환자의 약 70%를 유발한다는 사실을 규명하여 자궁경부암 예방 백신 개발에 기여했다.
  • 독일의 바이러스학자 - 크리스티안 드로스텐
    크리스티안 드로스텐은 사스 및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연구에 기여하고 2020년 코로나19 범유행 당시 SARS-CoV-2 진단 검사법 개발과 정부 자문으로 널리 알려진 독일의 바이러스학자이며, 현재 샤리테 베를린의 바이러스학 연구소 소장으로 국제 기구에서도 활동한다.
  • HIV/AIDS 연구자 - 뤼크 몽타니에
    뤼크 몽타니에는 HIV를 발견하여 2008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프랑스의 바이러스학자이며, 만년에 과학적으로 논란이 되는 주장을 펼치다 2022년에 사망했다.
  • HIV/AIDS 연구자 - 앤서니 파우치
    앤서니 파우치는 미국의 저명한 의사이자 면역학자로, 국립 알레르기·전염병 연구소 소장을 38년간 역임하며 HIV/AIDS, 코로나19 등 다양한 전염병에 대한 미국의 대응을 이끌고 인간 면역 반응 조절 연구에 기여했으며, 백악관 코로나바이러스 태스크포스에 참여하여 공중 보건 정책 결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58년 출생 - 추미애
    추미애는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하여 다선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대표,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1958년 출생 - 이재갑 (공무원)
    이재갑은 행정고시 합격 후 노동부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하여 고용노동부 장관을 역임하고 최저임금 인상 등 노동 정책을 추진한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다.
알렉산더 케쿨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20년의 케쿨레
출생일1958년 11월 7일
출생지뮌헨
직업의사, 생화학자, 바이러스학 교수, 의학미생물학 연구소장
소속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
경력1999년 ~ 현재: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 바이러스학 교수
현재: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 의학미생물학 연구소장

2. 생애

알렉산더 케쿨레는 작가 다그마 케쿨레의 아들이다.[3] 그는 발도르프학교와 루프레히트 김나지움 (Rupprecht-Gymnasium)을 다니다가 1979년 아비투어에 합격하여 1987년까지 베를린 자유대학교뮌헨 대학교에서 철학, 생화학과 의학을 전공했다.[3] 1988년 그는 맥킨지 & 컴퍼니에서 여름 인턴 (summer associate)으로 잠시 일했고, 이후 1988년부터 1993년까지 바이에른주의 마르틴스리트에 있는 막스 플랑크 생화학 연구소의 페터 한스 호프슈나이더 (Peter Hans Hofschneider) 밑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다.[3] 1990년 베를린 자유대학교에서 생화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1992년에는 뮌헨 대학교에서 의학 박사가 되었으며, 1993년에는 뮌헨 공과대학교에서 미생물학/바이러스학 관련으로 하빌리타치온 과정을 마쳤다.[3] 1993-94년 동안 그는 뮌헨에 있는 천주의 성 요한 수도회 병원 내과에서 환자를 돌보았고, 1994-1996년까지는 뮌헨 대학교 산하의 막스 폰 페텐코퍼 연구소 (Max von Pettenkofer-Institut)에서 일했다. 1997-98년까지 그는 튀빙겐 대학교의 바이러스학 연구소 부소장으로 있었고, 1999년에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의 교수로 부임했다.[4] 그는 미생물학, 바이러스학 및 감염 역학 전문가이자 임상병리학 전문가이다.

2021년 크리스마스 직전에 할레-비텐베르크 마틴 루터 대학교에서 강의를 제대로 이수하지 못하여 직무 정지를 당했다.[5]

케쿨레는 결혼하여 다섯 아이를 두고 있으며, 뮌헨에 거주하고 있다.[6]

1968년, 케쿨레는 아역 배우로 롤란트 클릭 (Roland Klick) 감독의 영화 "Bübchen"의 주연을 맡은 적이 있다. 참고로 케쿨레의 당시 이름은 자샤 우르히스 (Sascha Urchs).

3. 연구 분야

케쿨레의 연구 중점은 감염병, 생물학적 주민보호, 생명윤리학이다.[7] 1992년 그와 그의 연구팀은 간암의 분자병리역학적 기원을 규명하던 중, 특정 화학 물질과 반응해 종양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의 HBx가 간세포 내에서 신호 연쇄증폭 (signal cascade)을 일으킨다는 것을 밝혀내었다.[7]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조절 유전자인 preS/S transactivator의 발견 역시 이들에 의해 이루어졌다.[8] 인플루엔자 범유행 대비 계획을 세우는 것도 그의 주요 활동 분야 가운데 하나다.

3. 1. B형 간염 바이러스와 간암

케쿨레의 연구 중점은 감염병, 생물학적 주민보호, 생명윤리학이다.[7] 1992년 그와 그의 연구팀은 간암의 분자병리역학적 기원을 규명하던 중, 특정 화학 물질과 반응해 종양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의 HBx가 간세포 내에서 신호 연쇄증폭 (signal cascade)을 일으킨다는 것을 밝혀내었다.[7]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조절 유전자인 preS/S transactivator의 발견 역시 이들에 의해 이루어졌다.[8] 인플루엔자 범유행 대비 계획을 세우는 것도 그의 주요 활동 분야 가운데 하나다.

3. 2. 인플루엔자 범유행 대비

케쿨레의 연구 중점은 감염병, 생물학적 주민보호, 생명윤리학이다. 1992년 그와 그의 연구팀은 간암의 분자병리역학적 기원을 규명하던 중, 특정 화학 물질과 반응해 종양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의 HBx가 간세포 내에서 신호 연쇄증폭 (signal cascade)을 일으킨다는 것을 밝혀내었으며,[7]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조절 유전자인 preS/S transactivator의 발견 역시 이들에 의해 이루어졌다.[8] 인플루엔자 범유행 대비 계획을 세우는 것도 그의 주요 활동 분야 가운데 하나다.

4. 언론 활동 내역

케쿨레는 학술 논문 외에도 자연과학의 사회적, 윤리적인 면을 다룬 글을 기고하기도 한다. 그의 기고문은 디 차이트, 슈피겔, 노이에 취르허 차이퉁과 위디셰 알게마이네 (Jüdische Allgemeine) 등에 실린 적이 있으며, 일간지인 데어 타게스슈피겔 (Der Tagesspiegel)에서는 1999년부터 "Was Wissen schafft"(지식이 창조하는 것)라는 칼럼을 게재하고 있다.[13]

2001년 케쿨레는 제3세계에이즈 퇴치를 위한 글로벌 펀드를 결성할 것을 촉구했으며,[11] 유전자에 대한 인권을 주장했다.[12]

2020년 4월 현재 스코퍼스 데이터베이스에 의하면 케쿨레는 그의 32개 논문이 1170번 인용되어 14의 h 지수를 기록하고 있다.[13]

4. 1. 사회적 발언

케쿨레는 학술 논문 외에도 자연과학의 사회적, 윤리적인 면을 다룬 글을 기고하기도 한다. 그의 기고문은 디 차이트, 슈피겔, 노이에 취르허 차이퉁과 위디셰 알게마이네 (Jüdische Allgemeine) 등에 실린 적이 있으며, 일간지인 데어 타게스슈피겔 (Der Tagesspiegel)에서는 1999년부터 "Was Wissen schafft"(지식이 창조하는 것)라는 칼럼을 게재하고 있다.[13]

2001년 케쿨레는 제3세계에이즈 퇴치를 위한 글로벌 펀드를 결성할 것을 촉구했으며,[11] 유전자에 대한 인권을 주장했다.[12]

2020년 4월 현재 스코퍼스 데이터베이스에 의하면 케쿨레는 그의 32개 논문이 1170번 인용되어 14의 h 지수를 기록하고 있다.[13]

4. 2. 코로나19 범유행 관련 활동

2020년코로나19 범유행 동안 케쿨레는 독일이 유행병에 제대로 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여러번 공개적으로 의견을 표명했다.[15] 역병 유행 초반에 그는 코로나바이러스가 큰 위협이 되지 않으나, 언제든지 돌연변이로 인해 위협이 증가할 수가 있으므로 입국자들을 격리시키는 것을 추천했다.[16] 시간이 흐르자 그는 공항에서의 방역 조치를 훨씬 강화할 것을 주장했으며,[17] 독일에서 COVID-19 유행이 시작되자 2주간의 "코로나 방학"의 필요성을 강조했고, 2020년 3월 16일부터 학교와 유치원이 문을 닫음에 따라 이는 현실화되었다. 또한 그는 대규모 집회는 전부 취소되어야 하고 독일 내에서의 여행도 최소한으로 줄여야 한다는 의견을 내었으나, 동시에 역병 확산에 대한 지나친 공포심의 유발 또한 경계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18]

중부독일방송과 함께 주중에는 케쿨레의 코로나나침반 (Kekulés Corona-Kompass)이라는 팟캐스트를 내보내고 있다.[14]

2020년 4월 11일, ''데일리 텔레그래프''는 케쿨레가 독일 국민들에게 "젊은 사람들을 감염시키고 위험에 처한 사람들을 격리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그는 봉쇄가 "너무 오래 지속되어 바이러스보다 더 많은 피해를 입힐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음과 같이 인터뷰를 했다:[19]

백신을 기다리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만약 그렇게 한다면 우리의 사회와 문화는 파괴될 것입니다.

5. 영예

알렉산더 케쿨레는 바이러스로 인한 의 발현을 연구한 공로로 1990년 암 연구를 위한 카를 하인리히 바우어 기념상 (Karl-Heinrich-Bauer-Gedächtnispreis für Krebsforschung)을, 1992년에는 국제간학회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로부터 한스 포퍼 기초연구상 (Hans Popper Award for Basic Research)를 받았다.[9] 1991년에는 독일 위생 및 미생물학회의 발전상과 독일 화학 산업 연합의 상을 수상했고, 1997년에는 스미스클라인 비참 (SmithKline Beecham) 재단의 출판상도 받았다.[9]

그가 알렉산더 우르히스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던 젊은 시절에는 독일민족장학재단 (Studienstiftung des deutschen Volkes)의 장학생으로 뽑혔고, 청소년학술대회 (Jugend forscht)에서 바이에른주 우승자가 된 적도 있다.[9]

케쿨레는 독일 내무부 민방위위원회의 위원이기도 했으며, 2010년부터는 독일 의사 협회 의약품위원회[10]와 독일민족장학재단 선발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다. 1990년부터 2004년까지 그는 바이러스학회의 교육/추가교육 위원회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참조

[1] 웹사이트 Alexander S. Kekulé https://www.jugend-f[...] jugend-forscht.de 2010-04
[2] 웹사이트 The properties of the tea beverage in connection with the chemistry of tea tannins and tea caffeine, 1980 | Chemistry | Bayern https://www.jugend-f[...] jugend-forscht.de 1980
[3] 웹사이트 Viren - Schlitzohren im Mikrokosmos (English: Viruses – slit ears in the microcosm.') http://www.planet-wi[...] 2021-12-26
[4] 웹사이트 short biography https://www.akdae.de[...] Drug Commission 2019-01-23
[5] 웹사이트 Rauswurf von Alexander Kekulé - Märtyrer wider Willen https://www.cicero.d[...] Cicero (magazine) 2021-12-25
[6] 웹사이트 About The Author https://www.kekule.c[...] personal blog 2020-04-08
[7] 논문 Hepatitis B virus transactivator HBx uses a tumor promoter signaling pathway http://www.nature.co[...] 2010-09-18
[8] 논문 The preS2 / S region of integrated hepatitis B virus DNA encodes a transcriptional transactivator http://www.nature.co[...] 2010-09-18
[9] 웹사이트 Alexander S. Kekulé. http://www.jugend-fo[...] jugend-forscht.de 2010-04
[10] 웹사이트 Declaration of Conflicts of Interest https://www.akdae.de[...] akdae.de 2019-01-23
[11] 간행물 A unique opportunity. http://www.zeit.de/2[...] Zeit online 2001-05-17
[12] 간행물 Menschenrecht Auf Erbgut http://www.spiegel.d[...] Der Spiegel
[13] 웹사이트 Kekulè, Alexander S. //www.scopus.com/aut[...] Scopus 2020-04-08
[14] 웹사이트 New Podcast: "Kekulés Corona-Compass" https://www.mdr.de/n[...] mdr.de 2020-04-04
[15] 뉴스 Alexander S. Kekulé on the coronavirus https://www.tagessch[...] tagesschau.de 2020-02
[16] 뉴스 Virologist: No great danger from coronavirus in Germany https://www.mdr.de/n[...] MDR 2020-04-07
[17] 뉴스 Virologist Kekulé: "More could have been done against the virus". https://www.br.de/na[...] 2020-01-28
[18] 뉴스 Virologist Kekulé: Only nationwide school closures could still contain the spread of the corona virus https://www.deutschl[...] deutschlandfunk.de 2020-03-05
[19] 뉴스 'Infect the young and isolate those at risk' – One German scientist's plan to end the lockdown https://www.telegrap[...] Telegraph Media Group Limited 2020-04-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