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도르프 교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도르프 교육은 루돌프 슈타이너에 의해 시작된 교육 방식이다. 신체, 정신, 영혼의 조화로운 발달을 추구하며, 아동의 성장 단계에 맞춰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로 구분하여 교육한다. 8년 담임제, 에포크 수업, 오이리트미 등 독특한 교육 방식을 특징으로 하며, 전 세계적으로 1,200개 이상의 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슈타이너의 인종차별적 사상, 백신 접종 거부 등의 문제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학교 - 어린이집
  • 학교 - 교가
    교가는 학교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노래로, 학생들에게 소속감과 자긍심을 심어주며, 동아시아 국가에서 보편적으로 찾아볼 수 있고, 학교의 특성과 문화를 반영하며, 청각 장애 학생들을 위한 수어 교가도 존재한다.
  • 인지학 - 루돌프 슈타이너
    오스트리아 철학자 루돌프 슈타이너는 괴테 연구로 이름을 알린 후 인지학을 창시하여 발도르프 교육, 생물역동 농업 등 여러 분야에 영향을 주었으나, 유사과학적 요소와 인종 관련 논란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인지학 - 끝없는 이야기
    《끝없는 이야기》는 상상력이 풍부한 소년 바스티안이 '무'의 위협에 빠진 판타지 세계 판타지카를 구원하기 위해 책 속 주인공 아트레유와 함께 어린아이 황후를 돕는 모험을 그리고 있으며, 현실과 판타지를 넘나들며 상상력과 자아 성찰, 성장의 의미를 다루는 미하엘 엔데의 1979년 장편 소설이다.
  • 교육철학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교육철학 - 평생교육
    평생교육은 개인이 전 생애에 걸쳐 자아실현과 국가 경쟁력 향상을 목표로 학교, 가정, 직장, 사회 등 다양한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학습하는 교육 체계이다.
발도르프 교육

2. 역사

왼쪽


발도르프 교육은 오스트리아의 사상가 루돌프 슈타이너가 창시한 교육 철학 및 실천이다. 그는 인지학(Anthroposophy)이라는 독자적인 사상 체계를 바탕으로 인간 발달에 대한 이해를 교육에 접목하고자 했다. 슈타이너는 당시 교육이 지적 능력과 물질세계에만 치중한다고 보고, 인간의 정신적, 예술적, 실천적 측면을 균형 있게 발달시키는 전인 교육을 목표로 삼았다.[301][302]

최초의 발도르프 학교는 1919년 독일 슈투트가르트에서 문을 열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사회 재건에 대한 고민이 깊던 시기, 발도르프-아스토리아 담배 회사의 소유주였던 에밀 몰트는 자신의 공장 노동자 자녀들을 위한 새로운 학교 설립을 슈타이너에게 요청했다.[15][44] 이렇게 세워진 '자유 발도르프 학교'(Freie Waldorfschulede)는 특정 계층이나 성별, 능력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아동에게 열린 독일 최초의 종합학교 중 하나였다.[23][24][25][26] 또한 경제적 능력에 상관없이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자 노력했다.[32]

발도르프 교육은 1920년대1930년대에 걸쳐 유럽 각지와 미국 등지로 빠르게 확산되었다.[29] 1922년 슈타이너의 옥스퍼드 대학교 강연[27], 1925년 영국 최초의 학교 설립, 1928년 미국 최초의 학교 설립 등이 국제적 확산의 주요 계기가 되었다.[29]

그러나 1933년 나치 정권이 들어서면서 발도르프 학교는 큰 시련을 맞았다. 나치즘은 발도르프 교육의 인간관 및 교육 자율성과 대립했으며, 정치적 탄압으로 인해 1935년 인지학 협회가 금지되고[32] 대부분의 발도르프 학교가 1941년까지 강제로 폐쇄되었다.[32][297] 나치의 지배를 받지 않았던 영국, 스위스 등의 일부 학교만이 명맥을 유지하거나, 노르웨이처럼 점령 하에서 비밀리에 운영되기도 했다.[34]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폐쇄되었던 학교들이 다시 문을 열면서 발도르프 교육은 부활했으며, 전 세계적으로 꾸준히 성장했다. 동독에서는 공산주의 정권에 의해 다시 폐쇄되는 어려움을 겪기도 했으나,[35] 소련 해체 이후 중앙동유럽에서도 재확산되었다. 특히 1960년대 이후 북미 지역에서의 성장이 두드러졌으며,[36][37] 최근에는 아시아, 특히 중국에서의 확산세가 눈에 띈다.[40][41] 현재 전 세계적으로 1,200개 이상의 독립적인 발도르프 학교가 운영되고 있다.[3]

2. 1. 발도르프 교육의 기원



발도르프 교육은 오스트리아의 사상가이자 교육자인 루돌프 슈타이너(Rudolf Steiner, 1861-1925)에 의해 창시되었다. 그는 레알슐레 재학 시절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을 접하며 철학에 관심을 가졌으나, 칸트의 인식론에 동의하지 않고 '사고와 경험은 끊임없이 발달할 수 있다'는 독자적인 생각을 발전시켰다. 대학 진학 후에는 피히테, 셸링, 헤겔독일 관념론 철학자들의 저작을 탐독했으며, 스승 칼 율리우스 슈레어(Karl Julius SchrÖer) 교수의 영향으로 정신세계와 물질세계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형성했다.[301] 그는 당시 학교 교육이 눈에 보이는 물질세계에만 치중한다고 비판하며,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정신세계를 연결하는 교육을 추구했다.[302] 또한 쉴러의 《인간의 미적 교육에 대한 편지》와 괴테의 자연과학 저술 등에서도 영향을 받았다.

슈타이너는 실제 교육 현장에서 경험을 쌓으며 자신의 교육 사상을 구체화했다. 1884년부터 가정교사로 일하며 뇌수종을 앓던 10세 아동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지도하여 건강을 회복시키고 김나지움에 진학시켜 의학박사가 되도록 도왔다. 이 경험을 통해 그는 학습 지도 방법, 치유적 수업의 가능성, 신체와 정신 발달의 연관성을 깊이 이해하게 되었다. 이후 1898년부터 6년간 베를린사회민주당 부설 노동자학교에서 성인들에게 역사와 독일어를 가르쳤고, 여학생을 위한 재교육기관에서도 2년간 교사로 일했다. 이러한 경험들은 그가 모든 계층을 위한 보편적 교육을 구상하는 바탕이 되었다.[303][304]

사상적으로 슈타이너는 1902년 신지학 협회에 가입하여 활동했으나, 신비주의적 경향과 차이를 느끼고 1913년 협회를 탈퇴하여 독자적인 인지학(Anthroposophy) 운동을 시작했다. 인지학은 신지학과 달리 '인간'을 중심에 두고 영적인 탐구를 추구하는 사상 체계로, 객관적으로 이해 가능한 영적 영역이 존재하며 인간이 이를 관찰할 수 있다는 개념에 기반한다.[16] 이후 슈타이너는 인지학을 바탕으로 오이리트미(Eurythmy)와 같은 독특한 예술 형식을 창안하는 등 활동 영역을 넓혀나갔다.

슈타이너의 인지학 사상이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된 것이 바로 발도르프 학교이다. 최초의 발도르프 학교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사회 재건의 필요성이 절실하던 1919년, 독일 남부 슈투트가르트에서 문을 열었다. 당시 슈타이너는 사회 구조를 정신, 정치, 경제 세 영역으로 나누어 각각 자유, 평등, 박애의 원리가 실현되어야 한다는 삼중적 사회질서 운동[306]을 이끌고 있었다.[235] 인지학에 깊은 관심을 가졌던 기업가 에밀 몰트(Emil Molt)는 자신이 소유한 발도르프 아스토리아 담배공장의 소유주이자 이사였으며, 노동자 교육에 헌신하던 중 슈타이너의 강연에 감명받아 노동자 자녀들을 위한 학교 설립을 슈타이너에게 요청했다.[235][44] 슈타이너는 다음 네 가지를 조건으로 이를 수락했다.[242]

  • 모든 아동에게 개방될 것
  • 남녀공학일 것
  • 12년제 통합 학교일 것
  • 국가나 경제계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교사들이 학교 운영의 중심이 될 것


이렇게 설립된 학교는 공장 이름 '발도르프 아스토리아'에서 이름을 따 '자유 발도르프 학교'(Freie Waldorfschule)라 불렸고, 이것이 '발도르프 교육'이라는 명칭의 기원이 되었다.[15] 이 학교는 공장 노동자 자녀뿐 아니라 외부 아동들도 받아들여 다양한 사회 계층의 아이들이 함께 배웠으며, 성별, 능력, 사회적 배경에 관계없이 모든 학생을 통합하여 교육하는 독일 최초의 종합학교였다.[23][24][25][26] 또한 슈타이너의 지침에 따라 소득 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학생에게 입학 기회를 제공했으며, 학비 전액을 부담하기 어려운 가정을 위해 보조금을 지원했다.[32] 슈타이너의 인지학적 인간 이해에 바탕을 둔 환생,[17] 카르마,[45][18] 영적 존재에 대한 관점,[19][20] 아이들 자체가 영적 존재라는 생각,[21] 그리고 오이리트미[22]와 같은 예술 활동은 초기부터 발도르프 교육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발도르프 교육은 1922년 슈타이너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강연하면서 국제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27] 1924년에는 영국 토키에서 교사 연수 과정을 진행했고,[28] 1925년 영국 최초의 발도르프 학교인 마이클 홀이 설립되었다. 1928년에는 미국 뉴욕에 루돌프 슈타이너 학교가 문을 열었다.[29] 1930년대까지 독일, 스위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오스트리아, 헝가리 등 유럽 각지와 미국, 영국 등지에 발도르프 학교들이 속속 설립되었다.[29]

그러나 1933년 나치가 독일에서 정권을 장악하면서 발도르프 학교는 시련을 맞았다. 나치 정권은 사립학교 운영을 통제하고 1935년 인지학 협회를 금지하는 등[32] 정치적 간섭을 강화했다. 초기에는 루돌프 헤스 부총통의 후원을 받기도 했으나,[30][31] 나치 정권은 사립 학교를 불신했으며, 특히 헤스가 영국으로 떠난 이후 탄압은 더욱 심해졌다.[30][31] 점차 많은 학교가 폐쇄되었고, 1941년에는 독일 내 마지막 발도르프 학교마저 문을 닫았다.[32] 나치의 점령을 피한 영국, 스위스, 네덜란드의 일부 학교만이 명맥을 유지했으며, 점령지 노르웨이 등 일부 지역에서는 지하에서 비밀리에 운영되기도 했다.[34]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폐쇄되었던 학교들이 다시 문을 열었고, 발도르프 교육은 전 세계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다만, 동독에서는 공산주의 정권에 의해 다시 폐쇄되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35] 1967년 북미에는 미국에 9개, 캐나다에 1개의 학교가 있었으나,[36][37] 2021년에는 미국과 캐나다를 합쳐 220개 이상으로 증가했다.[3][143][95][38] 소련 해체 이후에는 중앙 및 동유럽에서도 다시 확산되었으며, 최근에는 아시아, 특히 중국에서의 성장이 두드러진다.[40][41] 현재 전 세계적으로 1,200개 이상의 독립적인 발도르프 학교가 운영되고 있다.[3]

2. 2. 발도르프 학교의 설립과 발전



발도르프 교육은 루돌프 슈타이너에 의해 시작되었다. 그는 레알슐레 시절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에 관심을 가졌으나, 칸트와 달리 '사고와 경험은 끊임없이 발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대학 진학 후 피히테, 셸링, 헤겔 등을 탐독하고, 슈레어 교수의 영향을 받아 정신세계와 물질세계의 관계를 새롭게 보았다.[301] 그는 당시 학교 교육이 가시적 물질세계에만 치중한다고 비판하며, 가시적 세계와 비가시적 세계를 연계하고자 했다.[302] 또한 쉴러(J.C. Friedrich Schiller)의 《인간의 미적 교육에 대한 편지》와 괴테의 자연과학 저술 등에서도 영향을 받았다. 슈타이너는 가정교사 경험(특히 뇌수종 아동 교육 성공 사례)과 사회민주당 노동자학교 및 여학생 재교육기관에서의 교사 경험을 통해 교육 원리를 터득하고 보편적 서민 교육을 구상하게 되었다.[303][304] 그는 신지학회 활동을 거쳐 1913년 '인간' 중심의 인지학회를 설립했다.[305]

루돌프 슈타이너의 인지학이 실제 학교에 적용된 것이 발도르프 학교이다. 첫 학교는 1919년 남부 독일 슈투트가르트의 발도르프-아스토리아 담배공장 소유주이자 인지학 지지자였던 에밀 몰트의 요청으로 설립되었다.[15][44] 몰트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사회 재건을 위한 삼중적 사회질서 운동[306]을 주도하던 슈타이너의 사상에 공감하여[235], 자신의 공장 노동자 자녀들을 위한 학교 설립을 제안했다. 이것이 "발도르프"라는 이름의 기원이며, 현재 미국에서는 교육 방식과 관련하여 상표로 등록되어 있다.[15] 슈타이너는 학교가 ▲모든 아동에게 개방될 것 ▲남녀공학일 것 ▲12년제 통합교육을 실시할 것 ▲교사가 학교 운영의 주체가 될 것 등을 조건으로 이를 수락했다.[242] 슈타이너의 사상, 특히 환생,[17] 카르마,[45][18] 영적 존재,[19][20] 아동의 영적 본성,[21] 오이리트미[22] 등은 초기 교육학에 영향을 미쳤다. 이 학교는 공장 노동자 자녀 외에 다른 사회 계층 아동들도 받아들였으며, 성별, 능력, 사회 계층을 아우르는 독일 최초의 종합학교였다.[23][24][25][26] 초기 학교는 소득에 관계없이 모든 학생에게 열려 있었고, 학비 부담이 어려운 경우 보조금을 지원했다.[32]

발도르프 교육은 1922년 슈타이너가 옥스퍼드 대학교 강연을 통해 널리 알려졌다.[27] 1924년 영국 토키에서 교사 연수 과정을 열었고,[28] 1925년 영국 최초의 학교(마이클 홀)가, 1928년 미국 최초의 학교(루돌프 슈타이너 학교)가 설립되었다. 1930년대까지 독일, 스위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오스트리아, 헝가리, 미국, 영국 등지에 많은 학교가 문을 열었다.[29]

그러나 1933년부터 1945년까지 나치 정권의 정치적 간섭으로 유럽의 발도르프 학교 대부분이 운영에 제약을 받거나 폐쇄되었다. 영국, 스위스, 네덜란드의 일부 학교는 예외였다.[30][31] 초기에는 부총통 루돌프 헤스가 후원자였으나,[30][31] 나치는 사립학교를 부정적으로 보았으며, 특히 헤스가 영국으로 비행한 이후에는 더욱 그랬다.[30][31] 1935년 인지학회가 금지되고 1936년 사립학교의 신입생 모집이 금지되었으며, 마지막 발도르프 학교는 1941년에 폐쇄되었다.[32][297] 영향을 받은 학교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다시 문을 열었으며,[33] 일부 학교(예: 노르웨이)는 지하에서 운영을 지속하기도 했다.[34] 전후 동독에서는 일부 학교가 공산주의 정부에 의해 다시 폐쇄되기도 했다.[35]

슈타이너 학교의 수의 추이
380px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특히 1970년대 이후 발도르프 학교는 급속히 증가했다.[247] 북미에서는 1967년 미국 9개교, 캐나다 1개교였던 것이[36][37] 2021년에는 미국 200개 이상, 캐나다 20개 이상으로 늘어났다.[3][143][95][38] 현재 영국에는 29개, 아일랜드 공화국에는 3개의 슈타이너 학교가 있다.[39] 소련 해체 이후 중앙동유럽에서도 다시 확산되었으며, 최근에는 아시아, 특히 중국에서의 성장이 두드러진다.[40][41] 현재 전 세계적으로 1,200개 이상의 독립 발도르프 학교가 운영되고 있다.[3] 유네스코는 1997년 보고서에서 발도르프 교육을 21세기 교육의 바람직한 모델 중 하나로 언급했으며,[235][249] 많은 학교가 유네스코 학교로 지정되어 있다.[250]

교육 명칭과 관련하여, 독일에서는 첫 학교의 이름을 따 '발도르프 교육'으로 불리지만, 일본 등지에서는 창시자의 이름을 따 '슈타이너 교육'으로 불리기도 한다.[240][241] 그러나 초기 실천가들은 개인의 이름과 결부된 특정 세계관을 가르치는 교육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며 '슈타이너 교육'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았다.[290]

2. 3. 한국의 발도르프 교육 도입

슈타이너의 인지학에 기초한 교육 사상과 실천은 독일에서 최초로 만들어진 학교의 이름을 따서 '''발도르프 교육'''이라고 불린다. 일본에서는 슈타이너 교육 등으로 불리며, 고야스 미치코가 1975년에 출판한 『뮌헨의 초등학생』[240]에서는 "루돌프 슈타이너 학교", "자유 발도르프 학교"로 소개했다. 현재는 슈타이너 교육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쇼가쿠칸이 발행하는 국어 사전 『다이지센』에서도 고야스가 딸의 학교 교육을 소개하는 데 사용한 "슈타이너 교육"이라는 표기가 사용되고 있다[241].

하지만, 슈타이너로부터 직접 교육 사상을 배우고 최초로 실천한 사람들은 "슈타이너 교육", "슈타이너 학교"라고 부르지 않았다. 고스기 히데오는 최초의 실천자들이 "슈타이너 교육"이라는 호칭을 선택하지 않은 것은, 개인의 이름과 결부된 특정 세계관을 아이들에게 가르치는 교육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290].

에토 요시노리에 따르면, 일본에서의 슈타이너 교육 연구는 메이지 시대와 다이쇼 시대에 교육계에서 활약한 구마모토 아리히사 (1860년 ~ 1943년)에 의한 "종교적, 도덕적 정서의 교양상 견신파의 심리학 응용"(1912년, 『정유윤리회 윤리 강연집』)이 최초이다. 구마모토는 도쿄 제국대학 이학부 1기생으로 천문학을 전공하고 점성술에도 관심을 가지며, 신비주의적 사상 연구에 비중을 두었다. 다이쇼 자유 교육 운동의 영향으로, 구마모토 아리히사의 소개를 계기로 슈타이너 교육은 교육학자를 중심으로 한 지식인들에게 알려지게 되었고, 각자의 입장에서 슈타이너 사상이 도입되어 활용이 시도되었다. 불교적 교육학 이론의 확립을 목표로, 종교 교육의 방법론을 발도르프 학교를 참고할 것을 시사한 타니모토 토미 (1867년 ~ 1946년), 구미 시찰 시 슈타이너 학교를 견학하고, 심신일원(心身一元)의 전체적 인간관이라는 관점에서 관심을 가진 이리사와 소쥬 (1885년 ~ 1945년) 등이 있다. 타니모토와 교류가 있었고, "전인 교육"을 주창한 오바라 구니요시 (1887년 ~ 1977년)도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슈타이너 교육에 관심을 가졌다고 한다[239].

전시 색채가 짙어지면서 슈타이너의 사상은 잊혀졌고, 오노 히로미에 따르면 전시 중 슈타이너 교육 연구는 찾아볼 수 없다. 전후 1960년대 후반부터, 새로운 세대가 다시 슈타이너의 사상을 소개하고, 서적 출판과 잡지 소개뿐만 아니라, 풀뿌리 방식으로 각지에서 강연과 스터디 그룹, 워크숍이 진행되었다[239].

1970년대에는 능력주의·경쟁주의의 가치관에 더욱 박차가 가해졌고, 이에 비해 대체 교육 (얼터너티브 교육)에 대한 주목도 증가했다. 고야스 미치코가 1975년에 『뮌헨의 초등학생』을 출판[251]했고, 이 책에서 Rudolf-Steiner-Schule Schwabing과 그곳에서의 교육을 소개했다[240]. 이 책은 1976년도 마이니치 출판 문화상을 수상했다. 널리 일반에게도 슈타이너의 이름이 알려졌고, 공교육에 대한 반테제로 육아 중인 부모들에게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239], 일본 각지에서 "슈타이너 교육 강좌"가 개최되었다[235].

1990년대에는, 육아 잡지 『쿠용』에서 난해한 사상을 배제한 알기 쉬운 정기 게재가 이루어져 육아층의 관심을 모았고, "슈타이너적 육아"라는 컨셉이 어머니들의 마음을 사로잡아, 가속적으로 실천이 전국에서 이루어졌다. 유럽계 장난감을 취급하는 가게가 "슈타이너의 장난감"이라고 명명하여 나무 장난감 등을 판매하며 "슈타이너"라는 이름이 일본의 일상에도 침투했지만, 그로 인해 "텔레비전은 절대 보여주면 안 된다", "아이 방에는 분홍색 커튼이 필요하다"와 같은 곡해나 오해도 나타나게 되었다[239].

1996년에는, NHK의 위성 제2 방송의 "멋진 지구의 여행"이라는 프로그램에서 독일의 발도르프 학교의 모습이 소개되었다.

'''슈타이너 학교'''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는 "발도르프" 명칭을 인증하는 공식 기관이 존재하지 않는다. 자유 발도르프 교육 연맹(Bund)의 『발도르프 학교 목록』[272]에 게재된 학교는 다음 7개교이다.

'''슈타이너 유치원'''

일본에서는 슈타이너 유아 교육 협회가 2009년부터 교원 양성 교육 강좌를 여는 등 슈타이너 유아 교육의 보급에 힘쓰고 있다[274].

  • 1912년 - 쿠마모토 유사가 일본에 처음으로 슈타이너의 교육 사상을 소개함.
  • 1919년 - 사회 삼층화 운동 (1월 ~ 6월), 9월에 슈투트가르트독일 담배 공장 부속 사립 학교로 슈타이너 학교(자유 발도르프 학교)가 설립됨[266].
  • 1921년 - 쾰른에 개교.
  • 1922년 - 함부르크, 에센에 개교.
  • 1923년 - 헤이그에 개교.
  • 1925년 - 런던에 개교. 슈타이너 사망.
  • 1926년 - 바젤, 오슬로, 하노버, 부다페스트에 개교.
  • 1927년 - 취리히, 글로스터에 개교.
  • 1928년 - 베를린, 뉴욕에 개교. 슈투트가르트에서 최초의 보완적 교원 양성 강좌[296]가 열림[266].
  • 1929년 - , 베르겐, 드레스덴에 개교.
  • 1933년 - 독일에서 나치가 정권을 획득. 이후 독일 내 사학의 국유화가 추진되어 슈타이너 학교를 포함한 사립 일반 도야 학교는 필요성을 부정당하고 전면적인 해체로 향함[297].
  • 1935년 - 에든버러에 개교.
  • 1936년 - 에센 학교 폐쇄.
  • 1937년 - 나치 정권의 압력으로 많은 슈타이너 학교 폐쇄.
  • 1941년 - 나치 정권 하에서 마지막까지 남아 있던 드레스덴의 슈타이너 학교 폐쇄.
  • 1945년 - 제2차 세계 대전 종결. 슈투트가르트에서 슈타이너 학교 및 교원 양성 강좌 재개[266].
  • 1973년 - 비텐/안넨에서 4년제 교원 양성 강좌 개설[266].
  • 1975년 - 고야스 미치코가 일본에서 『뮌헨의 초등학생』 출판.
  • 1980년대 - 밀워키미국 최초의 공립 슈타이너 학교 개교.
  • 1986년 - 일본 최초의 슈타이너 학교로 여겨지는 '루돌프 슈타이너 슐레 후지, JAPAN'이 시즈오카현 후지시에서 시작 (전일제는 아님).
  • 1987년 - 다카다노바바에 일본아시아 최초의 전일제 슈타이너 학교 '도쿄 슈타이너 슐레'(현 학교법인 슈타이너 학원) 개교.
  • 1994년 - 비텐/안넨의 슈타이너 교사 양성 기관이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와의 교섭을 통해 4년제 교원 양성 과정 수료자에게 슈타이너 학교 담당 교사로서의 "잠정적인 수업 허가"에 대한 국가적 보증을 받게 됨[266].
  • 1997년 - 홍콩에 개교.
  • 1998년 - 미국에서 슈타이너 학교에 대한 공적 자금 투입 가부를 둘러싼 재판 발생.
  • 1999년 - 슈투트가르트 자유 대학교(Freie Hochschule Stuttgart)와 그 교원 양성 과정이 독일 국가에 의해 인가됨. 해당 과정을 수료한 슈타이너 교육 교사는 독일에서 통상적인 국가 교원 자격과 동등하게 취급됨[266].
  • 2001년 - 고이즈미 내각의 구조 개혁 특별 구역 제도를 이용하여 '도쿄 슈타이너 슐레'가 학교 법인화되어 '학교법인 슈타이너 학원'이 됨.

3. 교육 철학 및 특징

발도르프 교육은 신체, 정신, 영혼의 조화로운 발달을 목표로 하는 전인 교육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 신체(손과 발)를 활용하여 정신과의 협력적 발전을 도모하는 '노작교육'을 중요한 교육 내용으로 삼는다. 교육의 핵심 목표는 '개별 학생을 고려한 전인 교육'으로[307][308], 슈타이너는 인지적 영역에 치우친 교육을 비판하며 의지, 감각, 사고의 균형 잡힌 발달을 추구했다. 이에 따라 발도르프 학교에서는 학생 간 우열을 가리지 않고 각자의 성장과 요구에 집중하며, 인지적, 도덕적, 실용적 능력 발달을 동등하게 중시하여 노작교육이나 예술 교육이 교육과정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특히 예술 교육은 학생들이 예술 활동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고 내적 자유를 지닌 인간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발도르프 교육에서 강조하는 조화는 개인 내적인 차원을 넘어 우주 전체와의 조화까지 확장된다. 이는 '우주와 내가 하나'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인간이 내면의 잠재력을 일깨워 정신적으로 성장하며 우주와 통합될 수 있다는 믿음에 근거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영성 회복 또한 전인 교육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진다.[94]

궁극적으로 발도르프 교육은 젊은이들이 자유롭고, 도덕적 책임을 지며,[53][91] 창의적인 존재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92] 다만, 이러한 목표 달성에 있어 발도르프 교육이 다른 교육 방식보다 우수하다는 독립적인 연구 결과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93]

슈타이너의 교육 사상은 그가 창시한 인간 지혜학(Anthroposophy)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히로시마 대학의 에토 요시노리에 따르면, 슈타이너 교육학은 인간 지혜학의 인식론, 즉 광의의 직관주의에 기반한다.[256] 인간 지혜학은 헬레나 P. 블라바츠키로부터 시작된 근대 신지학의 흐름 속에 있으며, 경험적으로 검증하기 어려운 초감각적 세계를 인정하고 이를 통해 현실 세계를 해석하는 이원론적 구조를 가진다. 물론 슈타이너 사상에는 일원론적 측면도 혼재하며, 교사는 이러한 다양한 관점을 바탕으로 아이를 이해하는 상상력을 발휘하도록 요구받는다.[257]

고스기 히데아키는 발도르프 교육이 인간 지혜학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하지 않으므로 아이들에게 슈타이너의 오컬트적 세계관을 직접 가르칠 필요는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교육자 스스로 슈타이너 교육을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사상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오컬티즘을 피할 수 없으며, 통속적인 이미지를 넘어 그 의미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290]

슈타이너는 인간의 본성을 다층적으로 이해하며, 이를 교육의 기초로 삼았다. 그는 인간의 내면을 신체(Leib), 마음(혼, Seele), 정신(영성, Geist)의 세 가지로 나누거나,[243] 혹은 물질적 육체, 생명의 에테르체, 감정의 아스트랄체, 의식의 자아(Ich)라는 네 가지 구성체로 파악했다. 특히 그는 인간 발달을 약 7년 주기의 단계로 나누어 이해하고 각 단계에 맞는 교육을 강조했는데, 이는 발도르프 교육과정 설계의 중요한 기준이 된다. (자세한 내용은 #전인 교육과 발달 단계별 교육 참조)

또한, 발도르프 교육 이론의 배경에는 윤회(재수육) 사상이 자리 잡고 있다. 이는 신지학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반복되는 삶을 통해 지속되는 영적인 '개인'과 각 생애의 '인격'을 구분한다. 이러한 관점은 교사가 눈에 보이는 아이의 모습 너머에 있는 더 깊은 차원의 개성을 인식하도록 돕는 교육적 효과를 지닌다고 설명된다. 슈타이너 자신은 영시를 통해 이러한 영적 실재를 직접 인식했다고 주장했으나,[276] 그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기는 어렵다.[258] 따라서 교사는 특정 이미지를 독단적으로 아이에게 적용하지 않고 열린 자세로 아이를 관찰하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257]

더불어 발도르프 교육에서는 유럽의 전통적인 사체액설에 기반한 기질론을 교육에 적용하기도 한다. 이는 아이들을 담즙질, 다혈질, 점액질, 우울질(흑담즙질)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이해하고, 각 기질에 맞는 교육적 접근을 모색하는 데 활용된다.[265] (자세한 내용은 #전인 교육과 발달 단계별 교육 참조)

3. 1. 전인 교육과 발달 단계별 교육

발도르프 교육의 핵심 목표는 '개별 학생을 고려한 전인 교육'이다.[307][308] 슈타이너는 인지적 영역에 치우친 교육에 반대하고, 신체와 정신적 성장에 맞춘 의지, 감각, 사고의 조화로운 발달을 추구했다. 이를 위해 신체(손과 발)를 이용해 정신과의 협력적 발전을 도모하는 '노작교육'을 중시한다. 발도르프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우열을 나누지 않으며, 학생 개개인의 성장과 요구에 주목한다. 인지적, 도덕적, 실용적 재능의 발달이 모두 똑같이 중요하다고 보아, 노작교육이나 예술 교육 등이 교육 내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예술 교육은 학생들이 예술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내적 자유를 획득한 인간으로 성장하도록 돕기 위함이다.

발도르프 교육에서 강조하는 조화는 개인을 넘어 전체 우주와의 조화까지 고려한다. 이는 '우주와 내가 하나'라는 인식을 통해 인간이 내면의 잠재성을 일깨우고 정신적으로 고양될 수 있다는 믿음에 기반한다. 따라서 영성 회복 역시 전인 교육의 중요한 일부로 간주된다.[94]

발도르프 교육은 슈타이너가 제시한 아동 발달 이론에 따라 인간 발달 단계를 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의 세 단계(각각 약 7년)로 나누고, 각 단계에 맞는 교육 방식을 적용한다.[44][45][46][47] 이는 영적인 토대를 제외하면 장 피아제, 코메니우스, 페스탈로치 등의 이론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74][44][52] 슈타이너는 인간이 물질체(Physischer Leib), 생명체(Aetherleib), 감성체(Astralleib), 자아(IchLeib)라는 4가지 구성체를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307][308] 이 접근 방식의 목표는 각 학생의 신체적, 행동적,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영적인 측면을 일깨우는 것이다.[53]

'''영유아기 (0세 ~ 7세)'''

이 시기, 특히 0~3세는 신체, 영혼, 정신이 통일되어 있지만 신체 발달이 가장 두드러진다.[310] 대표적인 신체 발달은 이갈이인데, 슈타이너는 이를 '사고할 수 있는 힘'이 생겼다는 비가시적 변화의 가시적 징표로 해석했다.[307][308] 이 단계 아이들은 아직 정신적 발달이 미숙하여 주변 환경을 '모방(Imitation)'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교사는 모방할 만한 좋은 '본보기(Example)'가 되어야 하며, 물리적, 심리적, 도덕적 환경(비가시적 환경 포함)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307][308]

이 시기에는 외부 자극에 의한 '학습'보다는 무엇인가에 열중하여 '충분히 노는 것'이 강조된다.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장난감보다는 실물을 닮거나 자연적인 놀잇감이 권장된다.[307][308] 발도르프 교육에서 사용하는 발도르프 인형에는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기 위해서 눈, 코, 입이 명확하게 그려져 있지 않다.[309] 또한, 텔레비전이나 컴퓨터 같은 전자 매체 사용은 제한되는데, 이는 어린 아이들의 발달 단계에 맞지 않고, 신체적 수동성을 유발하며, 상상력을 저해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읽기, 쓰기와 같은 정규 학업 교육은 읽기 학습 준비가 되었다고 여겨지는 7세경, 즉 초등학교 입학 시점까지 미룬다.[44][74][69][70] 슈타이너는 너무 이른 추상적 지적 활동이 아이의 성장과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믿었다.[44] 교육의 목표는 "세상이 좋다는 감각으로 아이를 충만하게" 하는 것이다.

'''아동기 (7세 ~ 14세)'''

발도르프 초등학교 교실


이 시기에는 신체-영혼, 영혼-정신으로 분리가 시작되며, '영혼'의 발달이 가장 활발하다.[311][307][308] 아직 감성체가 발달하지 않아 합리적 사고는 어렵지만, 느낌, 감정, 상상력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는 환경이 중요하다. 수업에서는 추상적인 개념 대신 예시나 비유를 많이 사용한다.[307][308]

7세를 기점으로 아이들은 보이는 것을 그대로 모방하던 단계에서 벗어나, 내적 지각을 통해 '권위(Authority)'[312]를 따르는 경향(Discipleship)을 보인다. 이에 따라 발도르프 학교에서는 한 명의 담임 교사가 8년 동안(또는 6년[57]) 모든 주요 교과를 가르치는 루핑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313][314][77] 담임 교사는 개인적인 모범과 이야기를 통해 지지적인 역할 모델을 제공하며 "창의적이고 애정 있는 권위"를 통해 교육한다.[76] 학문적 내용은 이야기, 시각 예술, 드라마, 음악, 공예 등 예술 활동을 통해 제시되어 학생들이 과목과 깊이 연결되도록 돕는다.[71][72][73]

핵심 교육과정에는 언어 예술, 신화, 역사, 지리, 지질학, 대수학, 기하학, 생물학, 물리학, 화학 등이 포함된다.[57] 수업은 보통 한 주제를 몇 주간 다루는 '주요 수업(Main Lesson)'으로 시작하며, 교과서 의존도는 낮다.[57][74] 학습 속도의 개인차를 존중하며, 경쟁보다는 협동을 우선시한다(체육 포함).[33][75][55]

한편, 슈타이너는 사상체질(우울질, 다혈질, 점액질, 담즙질)이라는 개념을 교육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기질에 따라 교육 방식을 달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늘날 일부 발도르프 교사들은 이를 참고하여 개별 학생에게 맞는 교수를 설계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기질론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비판이 있다.

'''청소년기 (14세 이상)'''

이 시기에는 신체, 영혼, 정신이 완전히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발달하면서도 유기성을 유지한다. 학생들은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판단을 내릴 수 있게 되며, 이전에는 이해하기 어려웠던 추상적 개념이나 논리적 사고가 가능해진다.[307][308][90] 자신을 지도했던 담임 교사를 더 이상 권위자로 보지 않고 동등한 인간으로 인식하게 되므로, 교사는 조언자나 가이드 역할을 맡게 된다.[307][308]

중등 교육은 각 과목별 전문 교사가 담당하며, 학생들의 지적 이해력, 자율적 판단력, 그리고 윤리 의식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89][60] 학생들은 추상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자신의 판단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기대된다.[44] 전반적인 목표는 젊은이들이 자유롭고, 도덕적 책임을 지며,[53][91] 창의적인 존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92] 다만, 발도르프 교육이 이러한 목표를 다른 교육 방식보다 더 효과적으로 달성하는지에 대한 독립적인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93]

3. 2. 8년 담임제



발도르프 학교에서는 일반적으로 학생이 1학년에 입학한 후 8학년까지 같은 교사가 담임을 맡아 주요 교과목을 가르친다. 이러한 8년 담임제는 루돌프 슈타이너가 인간의 발달 주기를 약 8년으로 보았기 때문에 설정된 것으로, 이 시기를 학년으로 엄격히 나누지 않으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 또한, 이 시기는 유아기에서 사춘기에 걸치는 중요한 발달 단계에 해당한다. 유아기에는 주로 모방을 통해 배우고, 아동기에는 권위를 자연스럽게 느끼며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 8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교사는 아이들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며 교육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고, 아이들은 교사와의 안정적이고 깊은 유대 관계를 통해 긍정적인 의미의 권위를 경험하며 배울 수 있다.[315]

발도르프 교육에서 교사는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역할을 넘어, 학생 개개인을 깊이 이해하는 관찰자로서의 역할도 중요하다. 8년 담임제는 교사가 오랜 기간 학생들의 성장과 발달을 면밀히 지켜보며 각 학생에게 더 많은 관심과 이해를 기울일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315] 물론 학생과 교사 사이에 원만한 관계가 형성되지 않거나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교사가 교체될 수도 있지만, 발도르프 교육에서는 안정적인 관계 유지를 위해 교사 변경을 최소화하고자 한다.[315]

초등학교 과정 동안 각 학급은 하나의 코호트로서 함께 지내며, 마치 가족과 같은 긴밀한 사회적 집단으로 발전해 나간다.[93] 담임 교사는 이 기간 동안 주요 학문 과목을 가르치며, 개인적인 모범을 보이고 다양한 문화권의 이야기를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역할 모델이 되어준다. 이러한 교육 방식은 "창의적이고 사랑스러운 권위"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설명된다.[76] 담임 교사가 수년간 같은 학급을 맡는 이러한 관행은 루핑으로 알려진 관행이다.[77] 담임 교사가 주요 과목을 담당하는 동안, 음악, 공예, 움직임, 그리고 두 개의 외국어(영어권 국가에서는 주로 독일어스페인어 또는 프랑스어) 등 특정 과목은 1학년부터 전문 교사가 가르친다.[44]

담임 교사가 학생들에게 개인적인 멘토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학생들과 지속적인 관계"를 맺는다는 장점이 있지만,[77] 일부 교육학자들은 같은 교사가 중학교 과정까지 계속 담임을 맡는 것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교육학자 울리히는 모든 형태의 권위자가 학생들의 탐구심이나 자율성을 제한할 위험이 있다고 보았다. 그는 일부 발도르프 학교에서 담임 교사가 6년 동안만 학급을 맡고, 이후에는 전문 교사들이 더 큰 역할을 담당하는 사례를 언급하며 대안적인 운영 방식의 가능성을 제시했다.[57]

3. 3. 에포크 수업(Epochen Unterricht)



에포크 수업(Epochen Unterricht)은 주기집중수업이라고도 불리며, 하나의 과목을 매일 약 2시간씩 3주에서 6주 동안 집중적으로 학습하는 발도르프 학교의 독특한 수업 방식이다.[316] 이 수업은 주로 수학, 역사, 지리, 과학 등 주요 과목에 적용되며, 언어(외국어)와 예술 교과목은 제외되는 경우가 많다. 선정된 특정 과목은 매일 오전 첫 수업 시간에 학습하게 된다. 에포크 수업을 오전에 배치하는 것은 학생들의 집중력이 오전 8시부터 10시 사이에 높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아침 첫 수업으로 약 100분간 진행된다.[317] 오전의 주요 학문 수업 블록은 '주요 수업'이라고도 불린다.[57]

에포크 수업은 아침을 여는 활동으로 시작한다. 약 30분 동안 촛불 밝히기, 낭송, 노래악기 연주, 간단한 오이리트미나 체조 등을 진행한 후, 이전 수업 내용 복습과 당일 본 수업 순서로 이어진다. 아침 활동은 잠에서 덜 깬 학생들의 감각을 부드럽게 일깨워 수업에 집중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것을 돕는다.[317]

학생들은 한 과목을 3주에서 6주 동안 깊이 있게 배우고, 해당 과목의 에포크 수업이 끝나면 다른 과목으로 넘어가 동일한 방식으로 학습한다. 이전에 배웠던 과목의 학습 주기가 다시 돌아오면 해당 과목의 에포크 수업이 다시 진행되는 순환 구조를 가진다.[317]

이 방식은 일정 기간 동안 한 과목에 집중함으로써 수업 몰입도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주기적인 반복 학습을 통해 몰입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 과목의 에포크 수업이 끝나고 다른 과목을 배우는 동안 이전에 배운 내용을 일부 잊게 되는데, 발도르프 교육에서는 이 망각의 과정 또한 학습의 일부로 간주한다. 학생들은 반복 학습을 통해 내면화되었던 지식을 다시 떠올리고 조합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내용을 온전히 자신의 것으로 만든다고 본다.[317]

3. 4. 오이리트미(Eurythmy)



발도르프 교육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인 오이리트미(Eurythmy|eng)는 그리스어에서 '좋은, 조화로운'을 뜻하는 'eu'와 '리듬'을 의미하는 'rhythm'이 결합된 단어이다. '유리드미'라고도 불린다. 오이리트미는 내면의 소리를 몸짓으로 표현하는 예술 형태로, ‘보이는 대화’ 또는 ‘보이는 노래’로 묘사되기도 한다.

일반적인 무용과 달리, 오이리트미는 심리적, 영혼적, 정신적 측면을 강조한다. 이는 인간의 정신, 영혼, 육체의 세 가지 요소를 조화롭게 통합하고, 나아가 인간과 공간, 인간과 우주의 관계까지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이다. 루돌프 슈타이너는 오이리트미가 인간의 호흡 및 혈액 순환과 같은 내적인 생명 활동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319]

오이리트미는 발도르프 학교의 모든 학년에서 필수 과목으로 다루어진다. 학생들은 움직임이 편한 단색 의상과 실내화를 착용하고 음악에 맞춰 몸을 움직인다. 교육 내용은 학생의 발달 단계에 맞춰 점진적으로 심화된다. 저학년 학생들은 비교적 단순한 움직임을 배우고, 고학년으로 올라가면 드라마와 같은 복잡한 내용을 몸으로 표현하게 된다.[320]

오이리트미 활동은 학생들의 인지적 능력과 정서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시, 드라마, 알파벳 등을 몸으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창의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공동 작업을 통해 사회성 또한 길러진다.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자신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다른 학생들의 움직임에도 주의를 기울이며 협동하는 법을 배우고 서로 간의 유대감을 형성해 나간다.[321]

3. 5. 교과서, 성적표, 졸업시험

발도르프 교육에서 저학년의 경우에는 정해진 교과서가 없다. 이는 교과서를 통한 수업이 학생들의 창의성을 제한하고, 교사가 동일한 내용이라도 새롭게 수업을 구성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322] 교사는 끊임없는 연구를 바탕으로 같은 내용을 가르치더라도 학생들의 발달 단계와 수준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수업을 이끌어 나간다. 때로는 에포크 수업(주요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직접 작성한 노트가 교과서 역할을 하기도 한다.[323] 전반적으로 표준 교과서에 대한 의존도는 낮은 편이다.[74]

발도르프 교육은 학생 개개인의 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따라서 학생들을 일정한 평가 기준으로 줄 세우기보다는, 각 학생이 수업을 통해 성취한 내용을 성적표에 상세히 기록한다. 특히 1학년부터 8학년까지는 8년 담임제가 시행되는 경우가 많아, 담임 교사가 학생의 학습 성취, 발달 과정, 재능 등을 더욱 세밀하게 관찰하고 기록할 수 있다. 9학년부터는 각 과목 전공 교사들의 평가를 받게 된다. 결과적으로 발도르프 교육에서 성적표는 학생의 발전을 돕기 위한 안내서 역할을 하며, 1년에 한 번 배부된다.[324]

발도르프 학교는 각 국가에서 시행하는 일반적인 고등학교 졸업 시험과는 별개로 자체적인 졸업 시험 제도를 운영한다. 이는 1학년부터 12학년까지 이어지는 발도르프 교육 과정을 기존의 교육 평가 시스템만으로 온전히 평가하기 어렵다고 보기 때문이다.[325] 성적표와 마찬가지로 졸업 시험 역시 학생들을 선별하기 위한 평가가 아니라, 학생이 고등학교 졸업 후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졸업 시험의 형태는 학교마다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들로 구성된다.[326]

구분내용
필기시험특정 주제에 대해 서술하는 방식
이해력 시험배우지 않은 텍스트를 읽고 이해한 후 자신의 표현으로 바꾸는 방식
졸업논문마지막 학년 1년 동안 교사와 함께 다양한 방법으로 준비하는 연구 과제
졸업논문 발표전교생 앞에서 자신의 졸업논문 내용을 발표하는 과정


3. 6. 자치 행정

발도르프 학교는 일반적으로 교장을 두지 않고 교사들의 자치 행정을 통해 운영된다.[327] 이는 슈타이너가 제시한 '삼중적 사회질서' 이념과 관련이 깊다. 슈타이너는 교육 및 문화 기관이 자치적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자유로운 개인의 발달을 중시하는 교육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학교 자체가 교사들에게 상당한 정도의 창조적 주체성과 자율성을 부여해야 한다고 보았다.[327]

이에 따라 발도르프 학교의 운영은 특정 개인의 결정이 아닌, 여러 집단의 합의를 통해 이루어진다. 주요 운영 주체는 다음과 같다.

  • '''교사회''': 주로 학교에 일정 기간 재직한 상근 교사들로 구성되며, 합의의 원칙에 따라 교육과 관련된 주요 사안들을 결정한다. 각 학교는 교사회의 결정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다. 매주 열리는 전체 회의에서는 수업 관련 정보를 교환하고 학교 행정 전반에 관한 사항들을 논의하여 결정한다.[327]
  • '''이사회''': 학교의 재정, 법적 문제 등 운영과 관련된 실무적인 사안들을 책임진다. 학교 예산 관리, 법적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전략 계획 수립 및 핵심 정책 결정에도 관여한다.


교사들은 학교 운영에 관한 사항들을 학부모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협의한다. 학부모 역시 학교 운영과 행사에 참여하며 학교 발전에 협력한다. 학생들 또한 학교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참여하며, 이처럼 교사, 학생, 학부모는 긴밀한 관계를 맺고 '교육 가족'을 형성하여 학교를 함께 이끌어 나간다.[328] 결과적으로 발도르프 학교는 구성원 간의 상호 존중과 합의를 바탕으로 민주적이고 자치적으로 운영되는 특징을 지닌다.[328]

또한, 국내외적으로 발도르프 교육을 지원하고 조율하는 기구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북미 발도르프 학교 연합', '영국 및 아일랜드 슈타이너 발도르프 학교들 연대', '국제 발도르프 교육 연합', '슈타이너 발도르프 교육 유럽 협회(ECSWE)' 등이 있다. 이들 단체는 "발도르프" 또는 "슈타이너 학교"라는 명칭 사용을 인증하고, 지역 학교 연합들과 협력하여 학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권한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4. 교육적 이론과 실행에 대한 평가

발도르프 교육의 철학적 기반인 인지학은 아이들이 자유로운 인간으로 성장하고, 이전의 영적 존재로부터 이어받은 "감춰진 영적 정체성"을 몸과 영혼, 정신을 가진 존재로서 이 세상에서 구현하도록 돕는 것을 주요 교육 목표로 삼는다.[94] 그러나 이러한 영적 배경에 대한 강조는 세속적인 관점을 가진 일부 교육 관계자나 부모에게는 받아들이기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93][95][96] 인지학은 교육과정 설계, 교수법, 학교 조직 구조의 바탕이 되지만, 학교 교육과정 안에서 명시적으로 가르치지는 않으며, 연구에 따르면 발도르프 학생들은 인지학에 대해 거의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3] 발도르프 공동체 내에서는 창시자 루돌프 슈타이너의 원래 의도를 충실히 따르는 것과 새로운 기술이나 현대적인 평가 방식 도입 등 교육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개방성 사이에서 때때로 긴장이 발생하기도 한다.[93]

발도르프 학교는 학생 평가 방식으로 주로 개별 학생의 학업 성취도와 인격 발달에 대한 서술적인 보고서를 활용한다. 정량적인 평가보다는 학생의 특성을 질적으로 묘사하는 데 중점을 둔다. 학생들의 학습 진척도는 수업 중 활동 결과물이나 교사 회의에서의 논의 등을 통해 평가된다. 표준화 시험은 드물며, 고등학교 과정에서 대학 입학에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치르지 않는다.[57] 문자 등급 역시 일반적으로 고등학교에 진학할 때까지는 부여되지 않으며,[98] 학생들은 보통 특정 학년을 반복해서 이수(유급)하지 않는다.[99]

종교 교육에 있어서 발도르프 교육은 특정 종교를 우대하지 않고 다양한 종교 및 문화 전통에 대해 가르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슈타이너는 모든 배경의 아이들이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영적이면서도 비종파적인 환경을 만들고자 했으며, 다양한 문학과 역사 속 인물들을 통해 아이들의 창의력과 도덕적 상상력을 키우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 슈타이너에게 교육은 인간과 신성(神性)의 연결을 강화하는 내재적으로 종교적인 활동이었다. 역사적으로 기독교적 토대 위에 세워진 발도르프 학교들은 세계 각지의 다양한 문화적 환경으로 퍼져나가면서 점차 "진정한 다원주의적 영성"을 포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유럽과 기독교 중심의 초기 이론과 실제는 각 지역 공동체의 역사적, 문화적 전통에 맞게 변형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이스라엘과 일본의 발도르프 학교에서는 해당 문화의 고유한 축제를 기념하며, 미국 밀워키의 도시 발도르프 학교에서는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미국 원주민의 전통을 교육과정에 통합하기도 한다. 미국 발도르프 학교에서는 일반적으로 종교 수업이 없지만, 독일의 일부 주에서는 종교 교육이 필수이며, 특정 종교 소속 교사가 해당 종교 수업을 진행하거나 초교파적인 예배를 인도하기도 한다. 영국에서 공립 발도르프 학교는 '신앙 학교(faith school)'로 분류되지 않는다.

발도르프 교사 교육 과정은 아동 발달, 발도르프 교수법, 예비 교사의 전공 분야 관련 학문, 그리고 슈타이너의 교육 관련 저작 연구 등을 다룬다.[2][144][129] 특히 유치원 및 초등학교 교사 양성 과정에서는 이야기 들려주기, 율동(오이리트미), 그림 그리기, 음악, 수공예 등 예술 활동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130] 또한 사회-정서적 발달을 교육의 "통합적이고 핵심적인 요소"로 다루는 특징이 있다.[131]

학교 운영에 있어 발도르프 교육의 핵심 원칙 중 하나는 모든 교육 및 문화 기관이 자율 관리되어야 하며, 학교 내 교사에게 높은 수준의 창의적 자율성이 부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32][73] 이는 자유로운 개인의 발달을 목표로 하는 전인적 교육은 이러한 원칙을 구현하는 학교 형태를 통해서만 성공할 수 있다는 믿음에 기반한다.[133] 대부분의 발도르프 학교는 교장이나 교감 대신 여러 그룹에 의해 운영된다. '교사 협의회'는 교육 문제에 대해 일반적으로 합의를 통해 결정하며, 학교에 일정 기간 이상 근무한 정규 교사들이 참여한다. 각 학교는 교사 협의회의 결정을 통해 고유한 정책과 운영 방식을 만들어갈 수 있다.[65] '이사회'는 학교 재정, 법률 문제, 전략 계획 수립 등 거버넌스 관련 사항을 결정한다.[134] 국가별(예: 북미 발도르프 학교 협회, 영국 및 아일랜드의 슈타이너 발도르프 학교 펠로우십) 및 국제적(예: 국제 발도르프 교육 협회, 슈타이너 발도르프 교육 유럽 평의회) 차원에서 발도르프 학교들을 조정하는 기구들이 존재하며, 이들은 '발도르프' 또는 '슈타이너 학교' 명칭 사용을 인증하고 학교 인증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135]

발도르프 학교는 종종 독특한 건축 양식을 특징으로 한다. 직각뿐만 아니라 다양한 각도로 만나는 벽을 사용하며, 벽은 주로 라주어(lazure) 기법을 이용해 미묘하고 부드러운 색상으로 칠해지고 질감이 있는 표면으로 마감된다.[97]

전반적으로 발도르프 교육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1990년대 이후 독일 교육계에서는 슈타이너 교육학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그 입장은 "열광적인 지지에서 파괴적인 비판에 이르기까지 매우 논란이 많다"고 평가되었다.[74] 오늘날 발도르프 학교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개혁 교육 모델 중 하나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지만,[57] 비판가들은 여전히 슈타이너 교육 이론의 비과학성이나 신비주의적 측면, 특정 세계관 주입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기도 한다.[74]

4. 1. 긍정적 평가

발도르프 교육에 대한 연구는 그 규모가 작고 국가별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2005년의 독립적인 문헌 종합 검토에서는 발도르프 교육이 학업 성취뿐만 아니라 "사람의 전인적인 성장에 중요한 창의적, 사회적 및 기타 능력"을 장려한다는 증거가 있다고 결론지었다.[53][93]

공립학교 학생들과 비교했을 때, 유럽의 발도르프 학교 학생들은 학습에 훨씬 더 열정적이며, 학교 생활을 더 재미있고 덜 지루하게 느낀다고 보고한다. 또한 학교 환경을 개인적인 학업 강점을 발견할 수 있는 쾌적하고 지지적인 곳으로 여기며,[187] 미래에 대해 더 긍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186] 유럽 발도르프 학교 학생들은 공립학교 학생들보다 두 배나 많은 수가 교사와의 좋은 관계를 맺고 있다고 보고하며, 두통, 복통, 수면 장애와 같은 신체적 불편함도 현저히 적게 겪는다고 보고한다.[187]

2007년 독일 연구에 따르면, 발도르프 학교 졸업생 중 평균 이상의 비율이 교사, 의사, 엔지니어, 인문학 학자 및 과학자가 되었다.[194] 발도르프 학생들의 예술적 능력을 연구한 결과, 그들은 토런스 창의적 사고력 검사에서 더 높은 평균 점수를 받았고,[188] 더 정확하고 상세하며 상상력이 풍부한 그림을 그렸으며,[189] 비교 그룹보다 더 풍부한 이미지를 개발할 수 있었다.[186]

교육 심리학 교수인 클리포드 메이스는 "발도르프 학생들은 발달에 적합하고, 미적으로 자극적이며, 정서적으로 지지적이며, 생태학적으로 민감한 순서와 속도로 배운다"고 평가했다.[191] 교육학 교수 티모시 레너드와 피터 윌리스는 발도르프 교육이 "어린이의 상상력을 길러 건전한 지적 생활을 구축할 수 있는 확고한 정서적 기반을 제공한다"고 말했다.[192] 교육학 교수 브루스 어마처는 슈타이너의 교육관이 공교육 개선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가치가 있으며, 이 접근법은 전인 교육이 우주의 근본적인 통일성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상기시키고, 커리큘럼이 기술관료적일 필요 없이 예술 기반이 될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고 보았다.[44] 캔버라 대학교 교육학과의 조교수인 토마스 닐슨은 발도르프 교육에서 사용되는 상상력이 풍부한 교수법(드라마, 탐구, 스토리텔링, 루틴, 예술, 토론 및 공감)이 영적-미적, 지적 및 신체적 발달을 효과적으로 자극하며, 이러한 방식을 주류 교육자들에게 권장한다고 밝혔다.[71][193]

독일 비텐에 있는 발도르프 교사 연수원
독일 비텐에 있는 발도르프 교사 연수원


PISA 연구의 국제 코디네이터인 안드레아스 슐라이허는 "세상이 사람들에게 요구하는 것과 발도르프 학교가 학생들에게 개발하는 것 사이의 높은 일치도"를 언급하며, 지식을 창의적이고 생산적으로 새로운 영역에 적용하는 능력을 높이 평가했다. 이는 단순한 시험 준비를 넘어선 "심층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194] 미션 힐 스쿨 교장이자 맥아더 재단 수혜자인 데보라 마이어는 발도르프 학교에 대해 몇 가지 사소한 비판점이 있을 수 있지만, "제가 아는 발도르프 학교 출신 어른들은 특별한 사람들입니다. 그 교육은 철저함, 신중함, 사려 깊음이라는 강력한 흔적을 남깁니다."라고 말했다.[195] 하버드 교육대학원 도시 교육감 프로그램 책임자이자 밀워키 공립학교 전 교육감이었던 로버트 피터킨은 발도르프 교육을 모든 아이들을 교육하는 데 적합한 기본 원칙을 가진 "치유 교육"으로 간주했다.[196]

발도르프 교사 교육 프로그램은 사회 정서적 발달을 "통합적이고 핵심적인 요소"로 포함하는데, 이는 다른 교사 연수에서는 드문 특징이다.[131] 2010년 연구에 따르면 발도르프 교사 연수 과정을 수료한 학생들은 공감 능력을 측정하는 세 가지 척도(관점 채택, 공감적 관심, 상상력)에서 일반 교사 연수 학생들보다 훨씬 높은 점수를 받았다.[131] 교육자 하이너 울리히는 발도르프 학교가 헌신, 개방성, 다른 인간, 자연, 무생물 세계에 대한 사랑을 성공적으로 키운다고 평가했다.[57] 비교 교육학 교수 헤르만 뢰어스는 발도르프 교육이 독창적인 교육적 아이디어를 구현하고 모범적인 조직 능력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198]

유네스코는 1997년 보고서에서 발도르프 교육을 21세기 교육의 바람직한 모습을 제시하는 교육 실천으로 권장하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게 했다.[249][235] 또한 많은 발도르프 학교가 유네스코 프로젝트 학교(유네스코 학교)로 지정되었다.[250] 발도르프 교육은 예술 활동을 통해 기억과 판타지가 인간의 생명 발전력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강조하며,[243] 자유롭고, 도덕적 책임을 지며,[53][91] 창의적인 존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92]

4. 2. 비판적 평가

발도르프 교육의 철학적 토대인 인지학은 아이들이 자유로운 인간이 되도록 교육하고, 이전 영적 존재로부터 이어받은 "펼쳐지는 영적 정체성"을 구현하도록 돕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는다.[94] 그러나 교육 연구자 마틴 애슐리(Martin Ashley)는 이러한 영적 배경에 대한 강조가 세속적인 국립 학교의 교사나 부모에게는 받아들이기 어려울 수 있고,[93] 세속적 관점을 가진 일부 사람들에게 문제가 되어 왔다고 지적한다.[95][93][96] 인지학은 교육과정 설계나 접근 방식의 기반이지만, 학교에서 명시적으로 가르치지는 않고, 연구에 따르면 학생들은 인지학에 대해 거의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3] 또한, 창시자 루돌프 슈타이너의 원래 의도를 따르는 것과 현대적인 교육 방식이나 기술을 받아들이는 것 사이에서 공동체 내부에 긴장이 발생하기도 한다.[93]

과학 교육 방식에 대한 비판도 제기된다. 발도르프 교육은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학생들의 흥미와 관찰 능력을 키우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방식이 기본적인 과학적 사실을 제대로 교육하지 못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93] 발도르프 학생들은 과학에 대한 동기는 높지만 학업 성취도는 보통 수준이라는 평가도 있다.[93] 미국 새크라멘토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의 연구는 발도르프 교육과정의 일부 내용이 유사과학적이거나 주술적 사고 경향을 보인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동물이 인간에게서 파생되었다거나, 인간의 영혼이 다양한 동물 형태로 나타난다는 생각, 지구가 "레무리아"나 "아틀란티스" 시기를 거쳐 진화했다는 주장 등은 주류 과학과 명백히 배치된다.[93] 이러한 내용은 단순한 사실 오류를 넘어, 논리적 근거가 부족한 사고방식의 결과라는 비판이 있다.[93] 또한, 발도르프 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실증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도 비판의 대상인데, 일부 연구자들은 발도르프 학교 연구가 자신의 학문적 경력에 위험이 될 것을 우려하여 연구를 주저하는 경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93] 스웨덴의 한 학부모는 1990년에 발도르프 학교가 구약성경의 역사적 정확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비판하는 책을 출간하기도 했다. 한편, 미국의 발도르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TIMSS) 중 자기장 이해 부분에서 공립학교 학생들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했지만, 연구자들은 발도르프의 과학 교육과정이 "다소 유행에 뒤처지고 오래되었으며, 의문스러운 과학적 자료를 포함한다"고 평가했다.[93] 영국 인문주의 협회는 영국의 일부 슈타이너 학교가 유사 과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과학 관련 GCSE(일반 교육 증명 시험)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고 비판했다.[284][285]

교사 양성 과정에 대한 문제 제기도 있었다. 2008년 스톡홀름 대학교는 발도르프 교사 양성 과정을 폐지하면서, 해당 과정이 충분한 과목 이론을 포함하지 않고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며, 심지어 "위험할 수 있는 과학적 부정확성"을 담고 있다고 밝혔다.

어린 학생들에게 컴퓨터와 같은 기술 노출을 늦추는 발도르프의 접근 방식은 일부 기술 분야 종사자 부모들에게 지지를 받기도 하지만,[93] 현대 교육 환경과의 괴리를 우려하는 시각도 존재한다.

외부 기관의 평가도 비판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2021년 프랑스 정부의 반(反)컬트 기구인 MIVILUDES는 인지학과 관련된 변칙적인 의료 행위 및 미성년자 관련 활동(발도르프 교육 포함)에 대해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있다고 보고했다.[185] 영국 교육부는 발도르프 학교와 공립학교가 서로 배울 점이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발도르프 학교가 관리 기술, 조직 및 행정 효율성, 교실 관리, 평가 및 기록 유지 등에서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53]

독일 교육학계에서는 발도르프 교육의 기반이 되는 인지학의 기독교 이해나 우주론, 경험적 실증 과학과의 차이점 등으로 인해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256] 슈타이너 교육의 "과학성" 문제는 여전히 논쟁거리로 남아 평가가 정해지지 않고 있다.[256] 일부에서는 슈타이너 교육의 이론적 배경인 인지학에 대한 논의를 피하고 실천적인 측면만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257][239]

보호자나 학생들 사이에서도 비판적인 의견이 나온다. 교육학자 마에하라 겐지는 자유로운 교육 방식이 학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하며, 정기적인 평가가 없어 학생 간 학력 편차가 크고 기능 습득이 개인의 의욕에 좌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281] 졸업생 중에는 수업 진도가 너무 느려 지루함을 느꼈거나, 학습 속도가 맞지 않았다는 의견도 있다.[269] 독일의 한 저널리스트는 자녀를 슈타이너 학교에 보낸 보호자의 경험을 인용하며, 해당 학교가 자유로운 교육과는 거리가 멀고 오히려 전체주의 사상에 가까웠으며 가정생활에까지 개입했다고 비판했다.[277][282] 일본에서는 슈타이너 교육의 '자유 교육' 이상을 이수한 학생들이 졸업 후 현실 사회에 적응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235]

미국에서는 공적 자금을 받는 차터 스쿨 형태의 발도르프 학교 설립과 관련하여 법적 분쟁이 발생하기도 했다. 1998년 반(反)슈타이너 학교 단체 PLANS는 발도르프 차터 스쿨이 인지학이라는 오컬트 사상에 기반한 종교 학교이므로 공적 자금 지원은 위헌이라고 소송을 제기했다.[238] 법원은 2005년 이 소송을 기각했고, 항소 후 재심리를 거쳐 인지학은 종교 교리가 아닌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학습 방법론이라고 결론 내렸다.[288]

교육학자 이케우치 고사쿠는 성공 사례 이면에 실패 사례도 존재하며, 실패 요인에 대한 분석이 부족하다는 점을 연구 과제로 지적했다.[238]

5. 사회적 참여와 국제적 연대

슈타이너의 모든 사람에게 영적인 핵심이 있다는 믿음은 발도르프 학교의 사회적 사명에 영향을 주었다.[159] 발도르프 학교는 시작부터 남녀공학이었으며 모든 사회 계층의 어린이들에게 개방되었다. 이는 슈타이너가 처음 개념을 정립했을 당시에는 급진적인 원칙으로 여겨졌다. 또한, 12년제 종합학교 형태로 설계되었고, 국가나 외부 기관이 아닌 교사들이 직접 학교를 운영하는 자율성을 가졌다.[160][161]

사회 쇄신과 변혁은 발도르프 학교의 중요한 목표로 남아 있으며,[162] 학생들의 사회적 책임감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60][163][164][165] 연구에 따르면, 발도르프 학교 학생들은 일반 학교 학생들보다 사회적, 도덕적 문제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74][53][166] 이는 학생들이 행동주의적 성향과 자신감을 보이며, 자신의 미래를 스스로 만들어갈 수 있다는 자긍심을 갖게 하는 데 기여한다.[167]

발도르프 학교는 구성원 간의 공유된 가치를 바탕으로 긴밀한 학습 공동체를 형성하며,[53] 참여자(학부모 포함) 모두가 자신의 길을 더 잘 인식하도록 돕는 변혁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53][81] 그러나 때로는 이러한 공동체성이 배타성을 띨 위험도 지적된다.[74] 일부 소규모 연구에서는 발도르프 학교 내 괴롭힘과 따돌림 수준이 낮으며,[53] 유럽의 발도르프 학생들은 다른 유형의 학교 학생들에 비해 외국인 혐오나 성 고정관념을 가질 확률이 현저히 낮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168] 평화 연구자인 베티 리어든(Betty Reardon)은 발도르프 학교를 평화와 관용의 철학을 실천하는 학교의 예로 들기도 했다.[170]

많은 사립 발도르프 학교들은 사회적 목표 추구와 높은 수업료로 인한 교육 접근성 제한 사이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학교들은 유사한 사립 학교보다 낮은 수업료를 책정하거나, 소득 수준에 따른 차등 수업료 제도를 도입하거나, 정부 지원을 모색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다양한 소득 계층의 학생들이 교육받을 기회를 넓히려 시도해 왔다.[93]

발도르프 학교는 다양한 환경에서 사회적으로 분열된 공동체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해왔다.


  • 아파르트헤이트 시절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발도르프 학교는 인종 분리 정책에도 불구하고 모든 인종의 아이들이 함께 공부했던 몇 안 되는 교육 기관 중 하나였다.[169] 케이프타운의 발도르프 교사 양성 기관인 노발리스 연구소는 유네스코 '관용의 해'에 남아공의 화해를 위해 노력하는 기관으로 언급되기도 했다.[170][171]
  • 서아프리카 최초의 발도르프 학교는 시에라리온 내전으로 고아가 된 아이들을 교육하기 위해 설립되었다.[172] 학교 건물은 학생을 포함한 지역 사회 구성원들이 함께 지은 지구선박(수동형 태양열 건물) 형태이다.[173]

아소시아상 코무니타리아 몬테 아줄의 10개 유치원 단지

  • 이스라엘의 하르두프 키부츠에 위치한 발도르프 학교는 유대인아랍인 교직원 및 학생들이 함께하며 주변 아랍 공동체와 활발히 교류한다.[174] 이곳에서는 아랍어 사용자를 위한 발도르프 교사 연수 과정도 운영한다.[175] 하이파 근처 힐프에는 2005년 아랍-유대인 발도르프 유치원('아인 부스탄')이 설립되었고,[176][177] 셰파-암르에서는 2003년부터 아랍계 다문화(드루즈교, 기독교, 이슬람교) 발도르프 학교가 운영 중이다.[178] 로드에서는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통해 이스라엘 내 아랍인과 유대인이 동등한 위치에서 함께 배우며, 아랍계 교육 개선과 아랍 여성의 새로운 직업 경로 개척을 목표로 한다.[179]
  • 브라질에서는 발도르프 교사 우테 크라머가 상파울루의 빈민가(파벨라) 주민 1,000명 이상에게 보육, 직업 훈련, 건강 관리 등 사회 서비스와 발도르프 교육을 제공하는 지역사회 봉사 단체 아소시아상 코무니타리아 몬테 아줄을 설립했다.
  • 네팔 카트만두 외곽의 타시 발도르프 학교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소외 계층 아이들을 주로 가르친다.[180] 1999년에 설립되어 네팔 현지 직원들이 운영하며, 카트만두 계곡 남서부에서는 한 재단이 소외되고 장애를 가진 성인들에게 생명역학 농업 농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하고 그 자녀들을 위한 발도르프 학교를 지원한다.[181]
  • 미국 캘리포니아주 유바 카운티의 토마스 E. 매튜스 커뮤니티 학교는 학습 장애가 있는 고위험 청소년 범죄자를 대상으로 하며 1990년대에 발도르프 교육 방식을 도입했다. 1999년 연구에 따르면, 이 학교 학생들은 학습 태도 개선,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 학업 성취도 증가를 보였다.[182][183] 특히 예술을 모든 교과 과정과 활동에 통합한 것이 학생들의 실패 경험 극복에 효과적이었으며, 읽기 및 수학 점수, 수업 참여도, 집중력, 개방성, 정서적 안정, 상호작용 예절 등에서 상당한 개선이 나타났다.[183]


2008년 기준으로 15개국 24개의 발도르프 학교가 유네스코 관련 학교 프로젝트 네트워크 회원으로 활동했다.[184] 발도르프 교육의 친구들은 전 세계, 특히 어려운 환경에 처한 발도르프 교육 운동을 지원하고 재정을 후원하며 자문을 제공하는 국제 단체이다. 유엔 유네스코는 1997년 보고서를 통해 발도르프 교육을 21세기 교육의 바람직한 모델 중 하나로 권장하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게 했고,[235] 많은 발도르프 학교들이 유네스코 학교로 지정되었다.[250]

6. 논쟁과 문제점

발도르프 교육은 교육적 기준과 슈타이너 이론 일부의 주술적이고 고전적인 성격에 대한 비판에 직면해 왔다.

슈타이너 학교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일부 국가에서는 기존 공교육 체제의 이념과 충돌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238] 특히 미국에서는 공적 자금을 지원받는 차터 스쿨 형태의 발도르프 학교(발도르프 차터 스쿨)가 다수 설립되었는데, 주로 남서부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2006년 기준 캘리포니아 10개교, 애리조나 3개교).[238] 이들 학교는 학력 성과 면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238] 그 기반이 되는 인간 지혜학(안트로포소피)의 성격을 둘러싼 논란이 있었다.

1998년, 반(反)슈타이너 학교 단체인 PLANS(People for Legal and Non-sectarian Schools)는 발도르프 차터 스쿨이 오컬트 사상에 기반한 종교적 성격을 띠므로 공적 자금을 지원하는 것은 위헌이라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다.[286][238] 이 소송은 특정 세계관을 가진 학교에 대한 공적 자금 지원의 정당성 및 미국 공교육의 핵심 원리인 '중립성' 원칙의 적용 방식을 둘러싼 논쟁을 촉발했다.[238]

법원은 2005년과 2010년 재심을 통해 PLANS의 주장을 기각하며, "인간 지혜학은 종교나 철학적 신념과 관계없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학습 방법"이며 "종교적 교리나 신념 체계라기보다는 방법론 또는 접근 방식의 한 종류"라고 판결했다.[287][288]

6. 1. 인종 차별 문제

루돌프 슈타이너의 저작과 발언 중 일부는 현대적 관점에서 인종차별적인 요소가 있다는 비판을 받으며, 이는 발도르프 교육의 주요 논란거리 중 하나이다.[45][139][140][141][290][292][291] 슈타이너는 한편으로는 세계 모든 민족의 핵심적인 영적 통일성을 강조하고 인종적 편견을 비판하며, 개인의 고유성이 인종, 민족, 국가, 종교 등 어떤 집단적 소속보다 우위에 있다고 주장했다.[224][225][226]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인종 간의 계층 구조를 상정하며 백인종을 가장 우월한 위치에 놓고, 지능을 금발이나 푸른 눈과 연관시키는 등 인종차별적인 견해를 드러내기도 했다.[45][227] 그의 환생에 대한 믿음은 이러한 인종관에 대한 해석을 복잡하게 만들며, 환생을 믿는 사람들은 그의 관점을 다르게 받아들일 수도 있다.[228] 학자들은 슈타이너의 방대한 저작(350권 이상) 내에 인종 및 민족 문제에 대한 모순과 불일치가 존재한다고 지적한다.[231] 일부 연구자들은 인지학에서 나타나는 인종차별을 파시즘의 물질적이고 악의적인 인종차별과는 다른, '영적이고 온정적인' 형태라고 분석하기도 한다.[232]

이러한 논란에 대응하여, 북미 발도르프 학교 협회(AWSNA)와 유럽 슈타이너 발도르프 교육 협의회(ECSWE) 등 주요 발도르프 교육 기관들은 공식 성명을 통해 "발도르프 학교 또는 교사 연수 기관에서 인종차별적이거나 차별적인 경향은 용납되지 않는다"고 밝히고, 슈타이너의 저작이나 발도르프 교육학이 인종차별적 또는 민족주의적 목적으로 오용되는 것을 명백히 거부한다고 선언했다.[221] 영국[222]과 독일[223]의 협회들도 비슷한 입장을 표명하며, 모든 형태의 편협함을 비난하고 학생들에게 타인에 대한 존중과 열린 마음을 가르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인종차별과 관련된 문제들이 보고되기도 했다. 2014년 뉴질랜드 카피티 코스트의 한 발도르프 학교는 인종차별 이론을 가르쳤다는 의혹에 대해 뉴질랜드 교육부 조사를 받았고, 조사 결과 커리큘럼 자체에는 인종차별적 요소가 없다고 결론 내려졌으나, 학교 운영 및 관리, 교육 방식의 개선과 학부모와의 소통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았다.[230] 2019년에는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의 한 학교가 "역사적, 철학적 진실이 아닌 것에 의해 우리의 이상이 훼손되지 않도록" 학교 이름에서 '루돌프 슈타이너'를 삭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기 시작했다.[229] 일부 교사들이 개인이 여러 인종을 거쳐 환생한다는 슈타이너의 견해를 표명했다는 보고도 있었으나, 영국 및 아일랜드 슈타이너 발도르프 학교 펠로우십의 수석 고문인 케빈 에이비슨은 이를 슈타이너 가르침에 대한 "완전하고 철저한 오해"라고 일축했다.[227]

유럽에서는 나치의 홀로코스트 기억 퇴색을 막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슈타이너 사상과 교육 방식이 재검토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그의 인종주의적 측면이 다시 부각되어 독일, 스위스, 영국 등지에서 발도르프 학교가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290][292][291] 루돌프 슈타이너의 인종차별 논란도 참고할 수 있다.

6. 2. 백신 접종 거부 문제

슈타이너 고유의 심신관(心身觀)과 병관(病觀)에 기초한 슈타이너 의학에서는 백신 접종을 권장하지 않는다.[292] 루돌프 슈타이너파상풍, 디프테리아, 백일해 백신이 발명되기 전에 첫 발도르프 학교를 세웠으나,[216][217] 이후 백신이 널리 보급되자 백신 접종이 "영적 발달을 저해"하고 "영적 삶에 대한 갈망"을 잃게 할 수 있다며 반대하는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슈타이너는 이러한 영향이 후대에도 이어질 것이라고 생각했다.[218]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학부모와 관계자 중 슈타이너의 사상에 영향을 받은 이들이 많은 발도르프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백신 접종률이 낮은 경향이 나타난다. 이 때문에 서구권에서는 발도르프 학교가 감염병, 특히 홍역 유행의 집단 발병(아웃브레이크) 진원지가 된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홍역 집단 발병 발생 빈도도 증가하는 추세이다.[292][294][295]

영어권 국가의 일부 발도르프 학교들은 학부모들의 백신 접종 거부 문제로 인해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다. 2011년 언론 보도에서는 발도르프 학교들이 홍역 백신 접종 사업에 비협조적이라는 이유로 위험 요인으로 지목되기도 했다. 2010년 영국 정부 보고서는 슈타이너 학교를 홍역 감염 위험 및 발병 기여와 관련하여 "고위험 집단" 및 "미접종 지역 사회"로 간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210]

미국에서는 비의료적 백신 접종 면제가 합법인 주에서 발도르프 학교 학생들의 높은 백신 면제율이 보고되었다(2015년).[204] 이는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권고하는 집단 면역 형성 기준인 95% 접종률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공중 보건에 대한 우려를 낳는다.[204][205][206][207][208][209] 2018년 11월에는 BBC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애쉬빌 발도르프 학교에서 수두가 집단 발병했다고 보도했다. 당시 학생 152명 중 110명이 수두 백신을 맞지 않았으며, 총 36명의 학생에게서 수두가 발병했다.[211] 이는 미국 예방접종 자문 위원회, 질병통제예방센터, 노스캐롤라이나 보건복지부 등이 12개월 이상 모든 건강한 어린이에게 수두 백신 접종을 권장하는 것과 대비된다.[212][213][214] 또한 《가디언》은 2017-18학년도 캘리포니아주의 일부 발도르프 학교에서 유치원생 백신 접종률이 매우 낮았으며, 한 학교는 접종률이 7%에 불과했다고 보도했다.[215]

2021년 독일에서는 일부 발도르프 학교가 코로나19 발생과 관련하여 COVID-19 확산 방지를 위한 공중 보건 조치를 통합하는 데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는 지적이 있었다.[220]

한편, 슈타이너가 창시한 인지학적 의학의 국제 센터와 국제 인지학적 의학 협회는 2019년 성명을 통해 "백신이 세계 보건에 기여하는 바를 완전히 이해하며,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 예방을 위한 중요한 조치로서 백신 접종을 확고히 지지한다"고 밝혔다.[215]

북미 발도르프 학교 협회(AWSNA) 역시 2019년 성명에서 다음과 같은 입장을 발표했다.[219]

: 북미 발도르프 학교 협회는 우리의 교육 목표가 아동 예방 접종을 회피하거나 거부하는 것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히 밝히고자 합니다. 어린이의 건강, 안전 및 복지가 우리의 최우선 관심사입니다.

:

: * 우리 협회의 모든 회원은 AWSNA의 회원 자격 및 인증 기준에 따라 독립적인 학교 정책 결정을 내릴 수 있는 학교 또는 기관입니다. 우리의 회원 자격 및 인증 기준은 학교가 국가, 주, 지방 및 지역 법률을 준수해야 함을 요구합니다. 예방 접종과 관련된 정책 결정은 학교마다 다를 수 있지만, 이러한 결정은 지역, 주, 지방 또는 연방 정부에서 정한 법적 요구 사항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 * 협회는 부모가 전염병 예방 접종 여부 결정과 관련하여 시민적 책임을 고려하도록 권장하지만, 궁극적으로 예방 접종 여부의 결정은 가족 주치의와 상담하여 부모가 내리는 결정입니다.

참조

[1] 서적 An Introduction to Steiner Education: The Waldorf School Sophia Books 2004
[2] 서적 Lehrerbildung in der Waldorfschule Juventa 2018
[3] 웹사이트 Statistics for Waldorf schools worldwide http://www.freunde-w[...] 2013-05-02
[4] 웹사이트 Freunde der Erziehungskunst Rudolf Steiners https://www.freunde-[...] 2021-02-10
[5] Webarchive A different class: the expansion of Steiner schools https://www.theguard[...] Guardian 2012-05-25
[6] 간행물 The Normalisation of Homeschooling in the USA 2003
[7] 웹사이트 Concerned parents speak up about racism, discrimination at Waldorf School of Philadelphia https://penncapital-[...] 2020-08-16
[8] 웹사이트 Steiner schools chief: what my time in prisons taught me about the UK's education mistakes https://www.theguard[...] 2020-06-23
[9] 웹사이트 Waldorf School in Princeton Must Pay $58,000 in Discrimination Suit: AG https://patch.com/ne[...] 2015-12-21
[10] 웹사이트 My Experience As a Waldorf Student https://quackwatch.o[...] 2007-02-14
[11] 뉴스 SN&R https://www.newsrevi[...] 2005-07-07
[12] 뉴스 Bastion of Anti-Vaccine Fervor: Progressive Waldorf Schools https://www.nytimes.[...] 2019-06-13
[13] 웹사이트 As anti-vaxx dispute rages, attention turns to California's Waldorf schools http://www.theguardi[...] 2019-05-28
[14] 논문 Anthroposophy: A Risk Factor for Noncompliance With Measles Immunization https://journals.lww[...] 2011-03
[15] 웹사이트 Waldorf Education Trademarks https://waldorfeduca[...] Association of Waldorf Schools of North America 2016-02-01
[16] 웹사이트 "'From Waldorf Tobacco to Waldorf Education' Emil Molt meets Rudolf Steiner" https://www.anthropo[...]
[17] 웹사이트 Bill Roache, Karma, Reincarnation and Steiner Schools. http://www.quackomet[...] 2013-03-19
[18] 웹사이트 Second Year http://www.bacwtt.or[...]
[19] 서적 Debating Yoga and Mindfulness in Public Schools: Reforming Secular Education Or Reestablishing Religion?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19
[20] 뉴스 My Waldorf-Student Son Believes in Gnomes—and That's Fine With Me https://www.theatlan[...] 2013-04-01
[21] 논문 Spiritual Values in Education: Lessons from Steiner? 1997-12
[22] 논문 Waldorf Education as Spiritual Education 2017-02-14
[23] 서적 Rudolf Steiner : a documentary biography Henry Goulden Ltd 1975
[24] 서적 Basiswissen Pädagogik. Reformpädagogische Schulkonzepte Band 6: Waldorf-Pädagogik Schneider Verlag Hohengehren
[25] 논문 An Introduction to Waldorf Education
[26] 논문 The Whole in Every Part: Steiner and Waldorf Schooling 1990-03-31
[27] 논문 The Anthroposophic Art of Ernesto Genoni, Goetheanum, 1924 https://orgprints.or[...] 2016
[28] 논문 Torquay: In the footsteps of Rudolf Steiner https://orgprints.or[...] 2018-03-15
[29] 웹사이트 Waldorf Schools' Expansion http://www.freunde-w[...] Friends of Waldorf education
[30] 서적 The Truth About Rudolf Hess Mainstream Publishing
[31] 서적 Phylogenetic Systematics: Haeckel to Hennig https://books.google[...] CRC Press
[32] 학위논문 Illusion of Coexistence: The Waldorf Schools in the Third Reich, 1933–1941 https://scholars.wlu[...] Wilfrid Laurier University 2009
[33] 논문 Uncommon Schooling: A Historical Look at Rudolf Steiner, Anthroposophy, and Waldorf Education
[34] 웹사이트 History of the Norwegian schools http://www.freunde-w[...]
[35] Webarchive Die Geschichte der Dresdner Waldorfschule http://www.waldorfsc[...]
[36] 웹사이트 AWSNA list of schools with dates of founding http://www.whywaldor[...]
[3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Toronto Waldorf School http://www.torontowa[...]
[38] 웹사이트 Waldorf Schools in Canada | Waldorf ca http://www.waldorf.c[...]
[39] 웹사이트 List of Steiner schools http://www.steinerwa[...] Steiner Waldorf Schools Foundation
[40] 뉴스 China Starts to Question Strict Schooling Methods https://ph.news.yaho[...] 2013-05-01
[41] 뉴스 Educating the Whole Child http://www.chinadail[...] 2013-05-01
[42] 웹사이트 HUMAN VALUES IN EDUCATION GA 310 IV. Three Epochs of Childhood https://rsarchive.or[...] Steiner Online Library 2022-08-21
[43] 서적 Rudolf Steiner : an introduction to his spiritual world-view : anthroposophy Temple Lodge 2001
[44] 논문 Uncommon Schooling: A Historical Look at Rudolf Steiner, Anthroposophy, and Waldorf Education 1995-Winter
[45] 뉴스 Why are Steiner schools so controversial? https://www.bbc.com/[...] BBC News 2018-06-20
[46] 서적 The Best Schools: How Human Development Research Should Inform Educational Practice https://books.google[...] ASCD 2012-11-29
[47] 웹사이트 Between Death and Rebirth: Lecture Seven https://wn.rsarchive[...] Rudolf Steiner Archive 2019-02-27
[48] 웹사이트 Karmic Relationships: Esoteric Studies – Volume VII (Lecture Two) https://wn.rsarchive[...] 2019-02-28
[49] 서적 The Education of the Child https://wn.rsarchive[...] SteinerBooks 2019-02-27
[50] 뉴스 Different Teaching Method Attracts Parents https://www.nytimes.[...] 2019-02-27
[51] 서적 Sun at midnight : the Rudolf Steiner movement and gnosis in the West James Clarke & Co 2009
[52] 문서 Jean Piaget and Rudolf Steiner: Stages of Child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for Pedagogy 1982
[53] 서적 Steiner Schools in England http://www.education[...] UK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
[54] 서적 Piaget's Theory of Intellectual Development
[55] 뉴스 Schooling the Imagination https://www.theatlan[...] Atlantic Monthly 1999-09
[56] 서적 Meeting the Child in Steiner Kindergartens: An Exploration of the beliefs, values and practices Routledge
[57] 서적 Rudolf Steiner https://archive.org/[...] Continuum International Pub. Group
[58] 서적 Theories and Approaches to Learning in the Early Years SAGE Publications 2013-04-29
[59] 웹사이트 Eighteen year rhythm – Anthroposophy https://anthroposoph[...] 2022-08-20
[60] 논문 Three Approaches from Europe: Waldorf, Montessori, and Reggio Emilia http://digitalcommon[...] 2007-01-19
[61] 서적 A Natural History of Place in Education https://archive.org/[...] Teachers College Press 2004
[62] 서적 Understanding the Steiner Waldorf Approach: Early Years Education in Practice Routledge 2012
[63] 문서 Beginnings & Beyond: Founda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64] 서적 Religious education
[65] 웹사이트 Waldorf History: Case Study of Institutional Memory http://eric.ed.gov/E[...]
[66] 서적 Qualitative Research Practice in Adult Education https://eric.ed.gov/[...] 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Centre for Research in Education Equity and Work 2021-10-29
[67] 논문 In Harmony with the Child: the Steiner teacher as a co-leader in a pedagogical community
[68] 서적 Levels in education practice M. E. Sharpe
[69] 서적 The child from five to ten https://archive.org/[...] Harper & Bros 1946
[70] 뉴스 Different teaching method attracts parent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0-03-26
[71] 서적 Rudolf Steiner's Pedagogy of Imagination: A Phenomenological Case Study Peter Lang Publisher
[72] 간행물 Three Approaches from Europe: Waldorf, Montessori and Reggio Emilia 2002
[73] 논문 Educating the whole child, "head, heart, and hands": Learning from the Waldorf experience
[74] 논문 Rudolf Steiner
[75] 논문 Waldorf education in an inner-city public school
[76] 서적 Exploring Education Studies Taylor and Francis
[77] 서적 Germany Gale
[78] 논문 Jean Piaget and Rudolf Steiner:stages of child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for pedagogy
[79] 논문 Steiner and the Humours: The Survival of Ancient Greek Science
[80] 서적 Rudolf Steiner Continuum
[81] 서적 Thinking, Feeling, and Willing: How Waldorf Schools Provide a Creative Pedagogy That Nurtures and Develops Imagination. In Leonard, Timothy and Willis, Peter, ''Pedagogies of the Imagination: Mythopoetic Curriculum in Educational Practic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3-01-10
[82] 서적 Science and pseudoscience in clinical psychology The Guilford Press 2015
[83] 뉴스 Humoural Theory: Inside the Strange Pseudoscience That Dominated Western Medicine for 2,000 Years https://www.discover[...] Discover Magazine 2022-08-20
[84] 서적 Neuroscience in Education: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2022-08-20
[85] 논문 Learning styles and pedagogy in post-16 learning: A systematic and critical review http://www.evidence.[...] 2022-08-22
[86] 논문 The Prevalence of Pseudoscientific Ideas and Neuromyths Among Sports Coaches 2018
[87] 서적 Hands, Hearts, and Heads: Childhood and Esotericism in American Waldorf Educ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2012-12-06
[88] 서적 Steiner Schools in England UK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 (DfES)
[89] 논문 Making Contact: An Exploration of Focused Atten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1993
[90] 논문 Learning to Think in Steiner-Waldorf Schools http://www.ecswe.org[...] 2013-04-29
[91] 웹사이트 The Waldorf Curriculum as a Framework for Moral Education: One Dimension of a Fourfold System http://eric.ed.gov/E[...] 2021-08-14
[92] 서적 Alternative approaches to education : a guide for parents and teachers https://archive.org/[...] RoutledgeFalmer
[93] 서적 Chapter 11: Alternative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Philosophies, Approaches, Visions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5-12-13
[94] 논문 Freedom in a holistic context
[95] 뉴스 Different teaching method attracts parent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96] 웹사이트 Religion or philosophy http://www.sfgate.co[...] SFGate 2000-10-30
[97] 서적 Mode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M. E. Sharpe
[98] 서적 Formative Assessment Improving Learning in Secondary Classrooms: Improving Assessment in Secondary Classrooms
[99] 서적 Waldorf Education: School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Xlibris Corporation
[100] 논문 Layers of experience: Forms of representation in a Waldorf school classroom
[101] 웹사이트 Waldorf Answers http://www.waldorfan[...]
[102] 뉴스 Steiner schools: learning – it is a wonder https://www.telegrap[...] 2013-05-20
[103] 서적 Introduction to Waldorf Education: Curriculum and Methods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04] 뉴스 Ithaca Waldorf School: An education based in music, movement and neuroscience http://www.ithaca.co[...] 2013-04-26
[105] 서적 Handbook of Psychology Vol. 7 Educational Psychology John Wiley & Sons
[106] 논문 Putting the culture back into agriculture: civic engagement and the celebration of local food
[107] 뉴스 For Forest Kindergarteners, Class is Back to Nature, Rain or Shine https://www.nytimes.[...] 2013-04-30
[108] 논문 Doing phenomenology in science education: a research review http://www.umb.no/st[...] 2013-10-27
[109] 서적 Exploration and Meaning Making in the Learning of Science Springer
[110] 논문 Waldorf Schools Teach Odd Science, Odd Evolution http://www.waldorfcr[...] 2018-11-30
[111] 논문 Explaining Waldorf students' high motivation but moderate achievement in science: is inquiry-based science education the key? 2021-12
[112] 웹사이트 Does Waldorf Offer a Viable Form of Science Education? A Research Monograph https://www.csus.edu[...] California State University Press 2018-11-29
[113] 서적 Rudolf Steiner: The Relevance of Waldorf Education Springer
[114] 서적 Handbook of New Religions and Cultural Production Brill 2024-01-01
[115] 논문 Doing phenomenology in science education: a research review 2008-09-01
[116] 뉴스 Stockholm University ends Steiner teacher training http://www.thelocal.[...] 2015-09-01
[117] 뉴스 Reading is a habit that we can't afford to lose http://www.heraldsco[...] The Herald 2007-12-02
[118] 서적 Supporting ICT in the Early Years https://books.google[...] McGraw-Hill International 2012-11-28
[119] 뉴스 The Waldorf Way: Silicon Valley school eschews technology http://dailynightly.[...] NBC News 2011-11-30
[120] 뉴스 Waldorf School Of The Peninsula In California Succeeds With No- And Low-Tech Education https://www.huffingt[...] Huffington Post 2014-07-08
[121] 뉴스 Garden City's Waldorf School takes 'no-tech' approach in lower grades http://www.newsday.c[...] Newsday 2014-03-22
[122] 뉴스 Silicon Valley school bucks high-tech trend http://www.cbsnews.c[...] CBS News 2014-07-14
[123] 뉴스 A Silicon Valley School That Doesn't Comput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1-10-22
[124] 논문 Rudolf Steiner's philosophy of freedom as a basis for spiritual education? 2011-02
[125] 서적 Anthroposophie in Deutschland Vandenhoeck & Ruprecht
[126] 논문 Educating the whole child, "head, heart, and hands": Learning from the Waldorf experience 1997-03-01
[127] 문서 Rudolf Steiner's Impulse in Education Columbia University Teachers College 2000
[128] 논문 Policy on School Diversity: Taking an Existential Turn in the Pursuit of Valued Learning?
[129] 논문 Validating a Steiner-Waldorf teacher education programme 2007-02
[130] 서적 Waldorf education Praeger
[131] 논문 "A comparison of Waldorf and non-Waldorf student-teachers' social-emotional competencies: can arts engagement explain differences?"
[132] 서적 Rudolf Steiner https://archive.org/[...] Continuum International Pub. Group
[133] 문서 Waldorfpädogogik Böhlau Verlag
[134] 웹사이트 ASWSNA effective practices https://web.archive.[...] 2013-02-10
[135] 웹사이트 WASC Accrediting commission for schools https://web.archive.[...] 2007-01-08
[136] 간행물 Regulating Publicly Funded Private Schools: A Literature Review on Equity and Effectiveness https://doi.org/10.1[...] OECD Education Working Papers No. 147 2021-08-14
[137] 논문 Apart from the Steiner School and Montessori Method, Homeschooling is the answer for families to the social crisis of schools
[138] 뉴스 Vaccine deniers: inside the dumb, dangerous new fad https://www.theverge[...] 2018-12-03
[139] 논문 The Establishment Clause and Sectarian Schools: A Final Installment? 1973
[140] 뉴스 Steiner schools have some questionable lessons for today's children https://www.independ[...] 2018-08-31
[141] 뉴스 Is This Grade School a 'Cult'? (And Do Parents Care?) https://www.theatlan[...] 2019-05-21
[142] 간행물 Waldorf Education in Public Schools: Educators adopt – and adapt – this developmental, arts-rich approach 2011-11
[143] 웹사이트 Find a School – Alliance for Public Waldorf Education http://www.alliancef[...] 2014-08-27
[144] 뉴스 Waldorf School Critics Wary of Religious Aspect https://www.chicagot[...] 2013-07-09
[145] 문서 The original trial ended in 30 minutes with the case being dismissed after the plaintiff failed to present an [[proffer|offer of proof (proffer)]] of evidence. See "Transcript of Court Trial" held 9/12/05 before Judge Frank C. Damrell Jr., PLANS, Inc v Sacramento City Unified School District and Twin Ridges Elementary School District, filed U.S. District Court Eastern District of California No. Civ. S 98–266. Transcript notes trial commenced at 1:30 p.m. and concluded 2:01 pm.
[146] 웹사이트 Damrell, Frank C., Minute Order, 27 November 2007. http://waldorfanswer[...] 2008-04-11
[147] 간행물 Denying and Defining Religion Under the First Amendment: Waldorf Education as a Lens for Advocating a Broad Definitional Approach https://digitalcommo[...]
[148] 뉴스 'Inadequate' Steiner school to be taken over by academy chain https://www.theguard[...] 2018-12-07
[149] 뉴스 Ofsted reveals why it had to close down Exeter Steiner Academy https://www.devonliv[...] 2018-12-07
[150] 뉴스 Ofsted inspections find three Steiner schools to be inadequate https://www.theguard[...] 2019-01-17
[151] 뉴스 Steiner schools should adopt modern reading methods https://theconversat[...] 2018-12-03
[152] 뉴스 Steiner schools have some questionable lessons for today's children https://www.independ[...] 2018-12-14
[153] 뉴스 Exclusive: Top Steiner school ordered to close by Government over child safety fears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18-11-30
[154] 뉴스 Frome Steiner school causes controversy https://www.bbc.co.u[...] 2012-11-28
[155] 웹사이트 Waldorf schools against discrimination http://www.steinerwa[...] 2012-11-29
[156] 웹사이트 Homeopathy? Sorry, we're just not swallowing it https://www.tes.com/[...] TES 2018-12-06
[157] 웹사이트 Canada https://www.freunde-[...] Friends of Waldorf Education 2016-01-17
[158] 간행물 The First Waldorf School in Russia: A Postcard from Moscow https://www.academia[...] 2017-12
[159] 서적 "Steiner Waldorf" in ''Encyclopedia of Primary Education''
[160] 서적 "Waldorf schools", ''Encyclopedia of American Education''
[161] 서적 "Waldorf schools", ''Encyclopedia of American Education'' Facts on File 2007
[162] 서적 "Waldorf education: Rudolf Steiner", in ''Encyclopedia of Educational Theory and Philosophy'' SAGE 2014
[163] 서적 "Gleichrichtung und Kontrast – Schulprogramme und Gesellschaftsprogramme", in Edding, Friedrich et al. (eds), ''Praktisches Lernen in der Hibernia-Pädagogik: eine Rudolf Steiner-Schule entwickelt eine neue Allgemeinbildung'' Klett 1985
[164] 간행물 Layers of experience: Forms of representation in a Waldorf school classroom 2000-07-01
[165] 간행물 Going Back to Kindergarten: Applying the Principles of Waldorf Education to Create Ethical Attorneys http://law.suffolk.e[...] 2021-08-14
[166] 간행물 Comparing beliefs and values related to civic and moral issues among students in Swedish mainstream and Steiner Waldorf schools
[167] 문서 "Prospective Youth Visions through Imaginative Education", ''Futures'' 1998
[168] 웹사이트 "Liebe Waldorfschüler" http://www.sueddeuts[...] Süddeutsche Zeitung 2015-04-02
[169] 뉴스 Waldorf Education: Four Successes and Four Failures https://www.educatio[...] 2022-08-22
[170] 서적 ''Tolerance: The Threshold of Peace.'' UNESCO 1994
[171] 웹사이트 "Education as an Opportunity to Break Out of the Poverty Trap" http://www.freunde-w[...] ''Freunde der Erziehungskunst Rudolf Steiners'' 2015-06-16
[172] 뉴스 Teacher from Rudolf Steiner School to help disadvantaged students from Sierra Leone http://www.watfordob[...] 2013-05-14
[173] 뉴스 Earthships taking off http://www.echonews.[...] 2013-05-14
[174] 웹사이트 Salaam Shalom Educational Foundation : Community Development http://www.sashedf.o[...] 2007-09-28
[175] 웹사이트 Salaam Shalom Educational Foundation : Arabic Waldorf Teaching Training http://www.sashedf.o[...] 2007-09-28
[176] 뉴스 When Ahmed met Avshalom http://israel21c.org[...] Israel21c 2006-05-28
[177] 뉴스 Peace in the Middle East? Educational group brings tolerance and conflict resolution to Arab and Jewish kids' classrooms http://www.jewishjou[...] 2009-12-03
[178] 웹사이트 Waldorf Worldwide: Learning for peace http://www.freunde-w[...] Freunde der Erziehungskunst Rudolf Steiners 2013-05-10
[179] 웹인용 Israeli Arabs and Jews work together to boost Arab education https://www.israel21[...] Israel 21c 2020-02-07
[180] 웹사이트 Tashi Waldorf School http://www.childreno[...] 2010-04-08
[181] 웹사이트 風俗といえば今の時代はデリヘルがよく利用されています http://krmecofoundat[...] 2013-02-10
[182] 문서 "Breaking Down the Barriers to Learning: The Power of the Arts" http://www.steinerco[...] Journal of Court, Community and Alternative Schools 2005-10-01
[183] 문서 Evaluation report: Thomas E. Mathews Community School Stanford University 1999
[184] 웹사이트 Friends of Waldorf Education http://ngo-db.unesco[...] UNESCO 2013-01-08
[185] 웹사이트 Rapport d'activité 2021 https://www.mivilude[...] 2023-04-28
[186] 논문 The evolution of futures in school education http://researchbank.[...] 2019-01-05
[187] 뉴스 Namen tanzen, fit in Mathe – Waldorf im Vorteil https://www.welt.de/[...] Die Welt 2013-12-14
[188] 웹사이트 The Comparative Status of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of Waldorf Education Students' http://www.eric.ed.g[...] 2008-02-28
[189] 논문 The effect of three different educational approaches on children's drawing ability: Steiner, Montessori and traditional
[190] 서적 Schools Where Children Matter: Exploring Educational Alternatives https://archive.org/[...] Foundation for Educational Renewal 2003
[191] 서적 Seven Curricular Landscapes: An Approach to the Holistic Curriculum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2] 서적 Pedagogies of the Imagination: Mythopoetic Curriculum in Educational Practice
[193] 문서 Rudolf Steiner's Pedagogy of Imagination: A Phenomenological Case Study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magination in Education
[194] 뉴스 Wissenschaftler loben Waldorfschulen Die Welt 2012-09-27
[195] 웹사이트 The Waldorf Way http://www.hearttoha[...] Boston Globe 2001-04-16
[196] 웹사이트 Boston Public Schools As Arts-Integrated Learning Organizations: Developing a High Standard of Culture for All http://education.jhu[...] Harva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1995-05-18
[197] 서적 Mind, Brain, and Education as a Framework for Curricular Reform https://csusm-dspace[...]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2013-03-26
[198] 서적 Reformpädagogik und innere Billdungsreform Beltz
[199] 서적 Cultures of Curriculu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12-06
[200] 서적 Cognition and curriculum reconsidered Teachers College Press
[201] 웹사이트 Boston Public Schools As Arts-Integrated Learning Organizations: Developing a High Standard of Culture for All http://education.jhu[...] 2014-05-30
[202] 논문 How Should Educational Policymakers Address Conflicting Interests within a Diverse Society?
[203] 서적 God Interrupte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204] 논문 Vaccination Coverage with Selected Vaccines and Exemption Rates Among Children in Kindergarten — United States, 2018–19 School Year https://www.cdc.gov/[...] 2020-10-21
[205] 웹사이트 State releases 'startling' data on unvaccinated children https://ctmirror.org[...] 2019-05-03
[206] 뉴스 See Vaccination Exemptions in Texas by School District http://www.texastrib[...] 2015-02-05
[207] 뉴스 Vermont schools report low vaccination rates http://www.burlingto[...] 2015-02-05
[208] 뉴스 Waldorf school in Belmont Heights reports low vaccination rate http://www.presstele[...] 2015-01-24
[209] 뉴스 Vaccine exemptions exceed 10% at dozens of Seattle-area schools http://blogs.seattle[...] 2015-02-04
[210] 간행물 HPA (Health Protection Agency) National Measles Guidelines Local & Regional Services https://www.gov.uk/g[...] 2010-10-28
[211] 뉴스 'Anti-vaxxers' in US chickenpox outbreak https://www.bbc.com/[...] BBC News 2018-11-19
[212] 간행물 Updated recommendations for use of VariZIG—United States, 2013. https://www.cdc.gov/[...] 2013-07-19
[213] 웹사이트 NC DPH, WCH: Immunization: Family: Vaccines: Varicella (Chickenpox) https://www.immunize[...] North Carolina DPH
[214] 웹사이트 Chickenpox (Varicella) Vaccination – CDC https://www.cdc.gov/[...] 2017-07-07
[215] 뉴스 As anti-vaxx dispute rages, attention turns to California's Waldorf schools https://www.theguard[...] 2019-05-28
[216] 웹사이트 CDC – Diphtheria PinkBook https://www.cdc.gov/[...]
[217] 웹사이트 History of Vaccines – Timeline https://www.historyo[...]
[218] 뉴스 Measles for the One Percent https://www.thecut.c[...] 2019-05-29
[219] 뉴스 USA Today Network https://www.lohud.co[...] 2019-03-12
[220] 트윗 What does Rudolf Steiner have to do with vaccination scepticism? 2021-11-21
[221] 웹사이트 AWSNA Statement of Equality https://www.clws.org[...] 2018-09-01
[222] 웹사이트 Steiner/Waldorf Schools Fellowship Press Release https://www.steinerw[...]
[223] 웹사이트 Stuttgarter Erklärung https://www.waldorfs[...]
[224] 서적 Rudolf Steiner Rowohlt 1992
[225] 서적 The Essential Steiner
[226] 웹사이트 Anthroposophy http://library.eb.co[...] 2021-08-14
[227] 뉴스 Steiner schools have some questionable lessons for today's children https://www.independ[...] 2016-11-08
[228] 학위논문 The Circle of Mind and Heart: Integrating Waldorf Education, Indigenous Epistemologies, and Critical Pedagogy https://repository.a[...] The University of Arizona 2016-03-23
[229] 뉴스 Rudolf Steiner school's name change dilemma https://www.stuff.co[...] 2019-09-21
[230] 뉴스 Steiner school cleared of racist teachings http://www.stuff.co.[...] 2014-07-25
[231] 간행물 Rudolf Steiner and the Jewish Question https://epublication[...]
[232] 서적 Rassismus: Von der frühen Bundesrepublik bis zur Gegenwart https://books.google[...] De Gruyter
[233] 문서 以下、便宜的に「シュタイナー教育」で統一する。
[234] 문서 西井 2013.
[235] 문서 遠藤 2001.
[236] 문서 パートリッジ 2009.
[237] 문서 現在ドイツにおけるフリースクールの位置付けは、公立学校に代わる「代替学校」とその他の「補完学校」の2種類に区分される。シュタイナー学校は代替学校の位置付けである。
[238] 문서 池内 2006 .
[239] 문서 大野 2008 .
[240] 문서 Harvtxt|子安|1975
[241] 문서 ドイツ語版ウィキペディアおよび英語版ウィキペディアにおいては、項目名として、その言語が用いられる地域においてもっとも一般的とされる呼称を用いている。英語版ウィキペディアの『Waldorf education』の記事においては、次の文章をもって『ヴァルドルフ教育(学校)』=『シュタイナー教育(学校)』であるとしている。なお、この文章の主語である『The educational approach』とは、『Waldorf Education』のことである。The educational approach is known in some countries as Steiner or Steiner-Waldorf education.ウィキペディア日本語版においても、これに倣い、日本語が用いられる地域においてもっとも一般的とされている『シュタイナー教育』『シュタイナー学校』の表記を用いた。
[242] 문서 小池陽子、鈴木久恵、高野恵三子、渡辺浩子 『卒業論文資料 シュタイナー教育について語る!!』 平成12年度 文教大学教育学部初等教育課程数学専修 卒業研究論文
[243] 문서 酒井 1992.
[244] 문서 有名なものに1910年に設立されたオーデンヴァルトシューレがある。ユネスコのモデル校であったが、2015年に閉鎖した。
[245] 문서 結城 2014.
[246] 서적 Anthroposophie in Deutschland Vandenhoeck und Ruprecht Verlag, Göttingen 2007
[247] 문서 遠藤 2001
[248] 문서 三島憲一 2002
[249] 문서
[250] Harvtxt 日本ホリスティック教育協会 2008
[251] Harvtxt 子安 1975
[252] 문서 パートリッジ 2009
[253] 문서
[254] 문서
[255] 문서
[256] 문서 衛藤 1997
[257] 문서 河野 2011
[258] 문서
[259] 문서 子安、1990
[260] 문서 子安、1990
[261] 문서 子安、1990
[262] 문서 子安、1990
[263] 문서 子安、1990
[264] 문서 子安、1990
[265] 문서
[266] 문서 遠藤 2010
[267] 웹사이트 シュタイナー教育(ヴァルドルフ教育) http://altjp.net/cla[...]
[268] Harvtxt シュタイナー 1985
[269] 문서 子安、1997
[270] Harvtxt ホフリヒター 2002
[271] Harvtxt 高橋 1995
[272] 웹사이트 Bund ヴァルドルフ学校リスト https://www.freunde-[...]
[273] 문서
[274] 웹사이트 日本シュタイナー幼児教育協会 https://jaswece.org/
[275] 문서 岩間 2009
[276] 문서 衛藤 1998
[277] 블로그 シュタイナー教育への批判 http://blog.chase-dr[...] 2005-12-08
[278] 서적 世界のシュタイナー学校はいま
[279] 블로그 「昨日は我が家の記念日」 http://kariyatetsu.c[...] 2008-05-21
[280] 웹사이트 「シュタイナー教育に批判的な意見や問題点まとめ」 http://mamasup.me/ar[...] 2015-10
[281] 웹사이트 ドイツの「自由」な学校と「学力問題」 http://mhrknj.web.fc[...] 前原健二@東京学芸大学
[282] 뉴스 シュタイナー教育という幻想(上) http://www.tkumagai.[...] 保険毎日新聞 2003-08-28
[283] 문서
[284] 문서
[285] 웹사이트 BHAによるシュタイナー教育関連レポート https://humanism.org[...]
[286] 문서
[287] 웹사이트 Text of order http://waldorfanswer[...] Damrell, Frank C., Minute Order 2007-12-17
[288] 법률 http://waldorfanswer[...] 2010-11-05
[289] 웹사이트 フリースクール等に関する検討会議(第1回) 議事要旨 平成27年1月30日(金曜日)16時~19時 http://www.mext.go.j[...] 文部科学省
[290] 문서 小杉 2000
[291] 웹사이트 ニコニコ生放送「本当は知らない"キリスト教"と"アメリカ"」(2015年9月18日放送)全文書き起こし(4) http://blogos.com/ar[...] LINE Corporation 2015-09-18
[292] 웹사이트 Why are Steiner schools so controversial? (なぜシュタイナー学校はこんなに議論を巻き起こしているのでしょうか?) http://www.bbc.com/n[...] BBC 2014-08-04
[293] 문서
[294] 웹사이트 EUおよびEEA/EFTA 加盟国での麻しん 最新流行情報 https://www.forth.go[...] 厚生労働省検疫所 2011-05-12
[295] 웹사이트 Vermont schools report low vaccination rates http://www.burlingto[...] burlingtonfreepress.com 2015-02-10
[296] 문서
[297] 문서 結城 2014
[298] 서적 아이들이 꿈꾸는 학교 양철북 2006
[299] 서적 발도르프 교육학 학지사 2004
[300] 그림
[301] 서적 발도르프 교육학 학지사 2004
[302] 서적 Educating Through Art-The Steiner School Approach Floris Book 1996
[303] 서적 발도르프학교에서 인지학은 무엇인가? 섬돌출판사 2010
[304] 서적 발도르프 교육의 이해 교육아카데미 2011
[305] 웹사이트 신지학 -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2013-04-25
[306] 서적 발도르프 교육학 학지사 2004
[307] 서적 발도르프 교육학 학지사 2004
[308] 서적 발도르프 교육의 이해 교육아카데미 2011
[309] 문서
[310] 문서
[311] 문서
[312] 문서
[313] 서적 발도르프 교육학 학지사 2004
[314] 서적 발도르프 교육의 이해 교육아카데미 2011
[31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3-04-28
[316] 문서
[317] 기타 EBS 독일의 발도르프 학교 DVD 1 EBS
[318] 문서 Monatsfeier in der freien Waldorfschule Trier, Germany
[319] 논문 공연예술로서의 오이리트미(Eurythmie) 계명대 교육대학원 2004
[320] 서적 발도르프 교육의 이해 교육아카데미 2011
[321] 서적 발도르프 교육학 학지사 2004
[322] 서적 아이들이 꿈꾸는 학교 양철북 2006
[323] 논문 초등 1·2학년 과정을 중심으로 본 우리나라 교육과 발도르프 교육의 비교·분석 창원대학교 2009
[324] 서적 발도르프 교육의 이해 교육아카데미 2011
[325] 문서
[326] 서적 발도르프 교육의 이해 교육아카데미 2011
[327] 서적 발도르프 교육학 아르케 2004
[328] 서적 발도르프 교육학 아르케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