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성성은 남성성과 여성성의 특징을 모두 가진 상태를 의미하며, 어원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다. 고대 신화와 종교에서 양성성은 중요한 개념으로 여겨졌으며, 메소포타미아, 고대 그리스, 일본 신화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나타난다. 심리학에서는 개인의 성 역할, 성 정체성, 성 표현과 관련하여 연구되며, 20세기 후반부터 심리적 측면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현대 사회에서는 젠더 다양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양성적인 스타일이 대중문화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K팝 아이돌 그룹의 양성적인 스타일이 젊은 세대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간성과 사회 - 제3의 성
제3의 성은 생물학적 성과 사회적 성별의 이분법을 넘어선 다양한 성 정체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세계 각지의 다양한 문화에서 역사적, 문화적 맥락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여러 국가에서 법적으로 인정하는 움직임이 있으나 한국 사회에서는 차별과 억압이 지속되고 있어 사회적 인식 개선과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한 과제이다. - 패션 미학 - 긱
긱은 원래 "바보"나 "괴짜"를 뜻하는 속어에서 유래하여 기괴한 묘기를 부리는 사람을 지칭했으나, 디지털 혁명 이후 특정 기술 분야의 높은 전문성을 가진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로 의미가 변화하며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 - 패션 미학 - 플래퍼
플래퍼는 1920년대 미국에서 자유분방한 생활 방식을 추구하며 파격적인 패션과 문화를 즐기던 젊은 여성들을 지칭하며, 여성의 사회적 지위 변화에 영향을 미쳤으나 대공황으로 쇠퇴했다. - 양성성 - 톰보이
톰보이는 전통적인 여성의 성 역할에서 벗어나 활동적이고 독립적인 성향을 보이는 여자아이 또는 여성을 지칭하는 용어로, 시대와 사회에 따라 그 의미와 개념이 변화해 왔으며, 현대에는 개인의 개성과 정체성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이해된다. - 양성성 - 카스트라토
카스트라토는 변성기 전 거세하여 여성 음역을 유지시킨 남성 가수로, 교회 내 여성 노래 금지와 18세기 이탈리아 오페라의 전성기를 거쳐 비윤리성 문제와 사회 변화로 쇠퇴하여 알레산드로 모레스키를 마지막으로 사라졌다.
양성성 | |
---|---|
정의 | |
설명 | 남성과 여성의 특징을 모두 갖는 것 |
관련 용어 | 인터섹스 (혼동 주의) 성분화 질환 (혼동 주의) 안드로지너스 (혼동 주의) |
성 정체성 | |
관련 개념 | 에이젠더 뉴트로이스 바이젠더 시스젠더 안드로진 젠더퀴어 논바이너리 트라이젠더 트랜스남성 트랜스여성 팬젠더 인터젠더 데미젠더 젠더플루이드 제노젠더 |
기타 관련 주제 | |
관련 주제 | 트랜스젠더 청소년 크로스드레싱 퀘스처닝 성전환증 성별 불쾌감 성전환 성전환증의 원인 젠더 변이 |
의학적 측면 | |
관련 치료 | 성전환 수술 여성화 남성화 성전환 (젠더) 성전환 치료 호르몬 치료 MTF FTM 얼굴 여성화 수술 얼굴 남성화 수술 트랜스젠더 임신 |
태도 및 사고방식 | |
관련 개념 | 남성애와 여성애 젠더 시스템 성별 이분법 젠더리즘 포스트젠더리즘 트랜스여성주의 트랜스포비아 여성주의와 성전환 TERF 트랜스젠더의 성 |
법적 요소 | |
관련 법규 | 법적 인정 차별 트랜스젠더 불평등 트랜스여성혐오 트랜스남성혐오 트랜스포비아 트랜스젠더 권리 트랜스젠더 권리 운동 비이분법 단체 목록 화장실 화장실법 혼성 화장실 폭력 피살자 트랜스 배싱 |
사회적 측면 | |
관련 주제 | 스포츠 트랜스젠더와 종교 트랜스젠더와 병역 |
관련 목록 | |
관련 목록 | 트랜스젠더 인물 목록 트랜스젠더 인권 단체 트랜스젠더 관련 주제 목록 |
관련 정보 | |
브리태니커 | 브리태니커 - 양성성 |
2. 어원
'안드로진'이라는 용어는 그리스어 'ἀνδρόγυνος|안드로귀노스grc'에서 유래했으며,[3] 이는 다시 'ἀνήρ|아네르el'(남성)와 'γυνή|귀네el'(여성)의 결합으로 만들어졌다.[3]
안드로진은 고대부터 전 세계 여러 문화권에서 발견되는 개념이다.
3. 역사
고대 그리스 신화의 헤르마프로디토스와 살마키스는 단일 불멸의 존재로 융합된 두 신으로, 수세기 동안 서구 문화에서 참고가 되었다. 플라톤의 『향연』에서는 인류가 세 가지 성별, 즉 남성-남성, 여성-여성, 남성-여성으로 시작되었다는 신화가 나오는데, 이는 양성성에 대한 초기 기록 중 하나이다.
알렉산드리아의 필로 같은 철학자와 오리게네스, 니사의 그레고리우스 같은 초기 기독교 지도자들은 후기 고대 시대 동안 인간의 원래의 완벽한 상태로서 양성성 개념을 계속 장려했다.[8] 일본 신화의 여신 아마테라스 오미카미는 중세 서적 『일휘귀본기』에서 양성 생식 신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3. 1. 고대 사회
양성성은 가장 초창기 역사부터 전 세계 문화에 걸쳐 증명되었다. 고대 수메르에서 양성적이고 간성인 남성은 이난나 숭배에 깊이 관여했다.[4] 갈라로 알려진 사제들은 이난나의 사원에서 일하며 비가와 애가를 불렀다.[4] 이들은 여성의 이름을 사용하고 전통적으로 여성에게만 사용되었던 ''에메-살'' 방언으로 말했으며, 남성과 성행위를 한 것으로 보인다.[5] 후기 메소포타미아 문화에서, ''쿠르가루''와 ''아시누''는 여신 이슈타르(이난나의 동셈어 동등물)의 종복이었으며, 여장(여성 의상)을 하고 이슈타르 사원에서 전쟁 춤을 추었다.[5]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헤르마프로디토스와 살마키스는 단일 불멸의 존재로 융합된 두 신이었다.[7] 양성성과 동성애는 플라톤의 『향연』에서 묘사된, 인류가 태양에서 내려온 남성-남성, 지구에서 내려온 여성-여성, 달에서 내려온 남성-여성의 세 가지 성별로 시작되었다는 신화에서도 볼 수 있다.[7] 이는 양성성에 대한 초기 기록 중 하나이며, 고전 그리스 텍스트에서 여성 동성애(레즈비언)가 언급된 유일한 경우이다.
일본 신화의 여신 아마테라스 오미카미는 중세 서적 『일휘귀본기』에서 양성 생식 신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플라톤의 『향연』에서 아리스토파네스는 옛날에는 남자와 여자 외에 "남녀(오메)"라고 불리는 양성성을 가진 사람이 있었는데, 이들은 손발이 각 4개, 얼굴과 성기도 각 2개씩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제우스에 의해 이들이 둘로 잘리면서 각각 남겨진 반신을 동경하며 결합하려 했고, 원래 남자였던 남자와 여자였던 여자가 서로의 반신을 찾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3. 2. 중세 및 근대
초기 기독교 지도자들은 인간의 원래 상태를 안드로진으로 보는 관점을 제시했다.[8] 중세 유럽에서는 안드로진 개념이 기독교 신학 논쟁과 연금술 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다마스쿠스의 요한과 요한 스코투스 에리게나와 같은 영향력 있는 신학자들은 초기 교부들이 제안한 타락 이전의 양성성을 계속 장려했고, 다른 성직자들은 현대의 자웅동체의 적절한 견해와 대우에 대해 설명하고 논쟁했다.[8]
서양 비전주의에서는 남성 원리와 여성 원리의 결합을 통해 연금술적 헤르메스주의의 이원론, 변형, 그리고 반대되는 것들의 초월적인 완벽성을 나타내는 "신성한 안드로진"을 창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9]
18세기 조지 왕조 시대 영국에서는 마카로니라는 부유한 젊은이들의 하위 문화가 안드로진적인 성 표현으로 주목받았다.[13] 이들의 큰 가발, 사치스러운 오트 쿠튀르 패션은 보수적인 세대들의 반발을 샀다. 1770년, 옥스퍼드 사전은 "실제로 남성도 여성도 아닌, 최근 우리 사이에 나타난 중성적인 종류의 동물이 있다. 그것은 마카로니라고 불린다"라고 선언했다.[14]
3. 3. 현대
20세기 서양 역사 대부분 동안, 사회는 성별에 따라 사람들의 복장을 제한해 왔다. 바지는 전통적으로 남성의 복장이었고, 여성에게는 금기시되었다.[39] 그러나 19세기에는 여성 스파이가 등장했고, 비방디에르들은 바지 위에 드레스를 입는 특정 유니폼을 착용했다. 당시 여성 운동가들도 바지를 입기로 결정했는데, 예를 들어 푸에르토리코에서 최초로 공개적으로 바지를 입은 여성인 여성 권리 운동가 루이사 카페티요가 있다.[40]
20세기, 제1차 세계 대전 무렵부터 전통적인 성 역할이 모호해지면서, 폴 푸아레와 코코 샤넬과 같은 패션 선구자들이 여성 패션에 바지를 도입했다. 이 시대 여성들의 "플래퍼 스타일"은 바지와 세련된 보브 컷을 포함했는데, 이는 여성에게 양성적인 모습을 선사했다.[41] 코코 샤넬은 스스로 바지 입기를 좋아했으며, 비치 파자마와 승마 복장과 같은 여성용 바지 디자인을 만들었다.[39] 1930년대에는 마를레네 디트리히와 같은 매력적인 여배우들이 바지를 입고 양성적인 스타일을 채택하려는 강한 열망으로 많은 사람들을 매료시키고 충격을 주었다. 마를레네 디트리히는 시사회에서 바지를 입은 최초의 여배우 중 한 명으로 기억된다.[42]
1960년대와 1970년대 동안, 여성 해방 운동은 이브 생 로랑과 같은 패션 디자이너들에게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다.[43] 이브 생 로랑은 르 스모킹 수트를 디자인하여 1966년에 선보였으며, 헬무트 뉴턴의 이 수트에 대한 성적으로 표현된 양성적인 사진들은 그것을 상징적이고 고전적인 것으로 만들었다.[44]
엘비스 프레슬리는 로큰롤에서 양성적인 스타일을 선보였다.[45] 그의 예쁜 얼굴과 아이 메이크업 사용은 종종 사람들에게 그가 다소 "여성적인 남자"라고 생각하게 만들었다.[46] 롤링 스톤스가 1969년 런던 하이드 파크에서 공연했을 때, 믹 재거는 마이클 피시가 디자인한 흰색 "남성용 드레스"를 입었다.[47] 마이클 피시는 런던에서 가장 유행을 선도하는 셔츠 제작자이자, 키퍼 타의 발명가였으며, 남성 패션의 공작 혁명의 주요 유행 창조자였다.[48] 믹 재거를 위해 그가 만든 작품은 스윙잉 60년대의 전형으로 여겨졌다.[49]
1972년, 데이비드 보위는 앨범 ''The Rise and Fall of Ziggy Stardust and Spiders from Mars''를 발표하면서 성적 모호성의 상징인 자신의 또 다른 자아 지기 스타더스트를 선보였다.[52] 글램 록의 또 다른 선구자인 마크 볼란은 1971년 BBC의 ''톱 오브 더 팝스''에서 글리터와 새틴을 입고 공연했는데, ''더 인디펜던트''는 그의 모습이 "10대 팬들에게 양성성에 대한 생각을 시작하도록 허용했다"고 언급했다.[53] 1973년 웨스트엔드 뮤지컬 ''로키 호러 쇼'' 역시 성적 유동성을 묘사했다.[54]
1980년대에도 요지 야마모토와 같은 아방가르드 패션 디자이너들의 부상이[55] 성별에 대한 사회적 구조에 도전했다. 그들은 패션에서 양성성을 되살려 성별 문제를 다루었다. 이는 그레이스 존스, 프린스, 애니 레녹스와 보이 조지와 같은 1980년대 팝 문화 아이콘들에서도 반영되었다.[50][56]
여성을 위한 파워 드레싱은 1980년대에 더욱 두드러지게 되었는데, 이는 이전에 남성만이 구조적이고 강력해 보이도록 하기 위해 하던 것이었다. 그러나 1980년대에 여성들이 남성과 동등한 역할을 가진 직업에 진출하면서 이러한 경향이 바뀌기 시작했다. 1984년 보그에 실린 캐슬린 베켓의 "남성복 현상" 기사에서 파워 드레싱의 개념은 여성이 이러한 직업에 진출하면서 옷장을 그에 따라 맞춰야 했고, 결국 여성에게 인기 있는 스타일로 파워 드레싱이 부상하게 되면서 탐구되었다.[58] 여성들은 패션을 통해 남성들이 외모의 육체적 매력보다는 정신적 역량의 매력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도록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영향은 패션계에서 영화계로 빠르게 확산되어 "워킹 걸"과 같은 영화들이 파워 드레싱 여성을 주요 주제로 다루게 되었다.
일본 디자이너들은 1980년대에 양성적인 패션을 대중화하기 시작했는데, 요지 야마모토와 가와쿠보 레이의 작품에서 볼 수 있으며, 이들은 뚜렷한 성 중립적 테마를 채택한 독특한 일본 스타일을 선보였다. 이 두 디자이너는 아방가르드의 일원이라고 생각하며 일본주의를 되살리고 있다.[59] 요지 야마모토는 성별 구분이 필요하지 않음을 표현하며 "나는 항상 누가 남성과 여성의 옷에 차이가 있어야 한다고 결정했는지 궁금하다"고 말했다[60]
또한 1980년대에 가수이자 패션 모델인 그레이스 존스는 1980년대에 성별을 거스르는 외모를 보여주어 대중을 놀라게 했다. 그녀의 양성적인 스타일은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었고, 현대 유명인들의 양성적인 스타일 아이콘이 되었다.[61]
21세기 초, 양성성은 대중 문화에서 더 큰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64] 패션 산업[65]과 팝 문화 모두 "양성적" 외모를 수용하고 심지어 대중화했으며, 현재의 여러 유명인들이 창의적인 트렌드세터로 칭송받고 있다.
2000년대 첫 10년 동안 메트로섹슈얼의 부상은 이 트렌드와 관련된 현상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1960년대부터 전통적인 성 고정관념에 도전하고 변화가 있었으며, 여기에는 히피 운동과 플라워 파워가 포함되었다.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같은 영화의 예술가들은 1990년대에 전통적인 남성성과는 거리가 먼 "마른" 모습을 선보였고, 그 결과 "레오 마니아"라는 유행이 일어났다.[66] 너바나의 커트 코베인, 앤드레 3000, 밴드 플라시보와 같은 음악 스타들은 1990년대와 2000년대 첫 10년 동안 의상과 메이크업을 사용하여 양성적이고 젠더퀴어적인 미학을 대중화했다.[67]
1990년대가 펼쳐지고 패션이 유니섹스 의류에 대한 친밀감을 갖게 되면서, 헬무트 랭, 조르지오 아르마니, 피에르 가르뎅을 포함하여 그러한 외모를 선호하는 디자이너들이 등장했다. 카탈로그의 남성들은 보석, 화장, 비주얼계, 그리고 디자이너의 구레나룻을 착용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스타일은 서양과 아시아 모두에서 21세기의 중요한 주류 트렌드가 되었다.[68] 일본인과 한국인 문화는 K팝, J팝,[69] 애니메이션과 만화,[70] 그리고 패션 산업[71]에서 양성적인 외모를 사회의 긍정적인 속성으로 특징지어왔다.
21세기는 또한 성 정체성에 대한 세계적인 대화를 보았고, 이는 패션에서 양성성의 존재를 더욱 확대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2010년대 중반, "논바이너리"라는 단어에 대한 온라인 검색이 급증했고, 젊은이들은 자신을 논바이너리 또는 젠더 비순응자로 보기 시작했다.[72] 그/그들을 사용하는 배우 라클란 왓슨은 "젠더는 끝났다"라는 문구가 적힌 티셔츠를 입고 인스타그램에 사진을 게시했는데, 이는 존 레논과 요코 오노의 "전쟁은 끝났다" 포스터를 패러디한 것이다.[73]
가수 빌리 아일리시도 젠더 역할에 대해 공개적으로 "낡았다"고 언급했다.[74] 2016년 음악 데뷔 이후, 빌리 아일리시는 전통적으로 남성적이고 여성적인 실루엣을 모두 착용했는데, 2021년 멧 갈라에서 마릴린 먼로에게 영감을 받은 오스카 드 라 렌타 가운을 입는가 하면, 2024년 치킨 샵 데이트에 출연하여 오버사이즈 티셔츠, 반다나, 뒤로 쓴 모자를 착용한 후 "헤이 마마스" 레즈비언이라고 불리기도 했다.[75][76]
4. 다른 정체성과의 구분
안드로진(양성성)은 바이젠더, 뉴트로이스, 간성과 구별되는 개념이다.
- 바이젠더: 바이젠더는 상황에 따라 젠더가 전환되지만, 안드로진은 항상 남성성과 여성성이 혼합된 젠더를 가진다.
- 뉴트로이스: 뉴트로이스는 자신을 남성도 여성도 아닌 제3의 성으로 정체화하지만, 안드로진은 남성과 여성이 혼합된 젠더로 여긴다.
- 인터섹스(간성): 인터섹스는 생물학적, 육체적 개념인 반면, 안드로진은 정신적, 심리적 개념이다.
역사적으로 '양성'이라는 단어는 남성과 여성의 성적 특징이 혼합된 사람에게 적용되었고, '반음양'이라는 용어와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했다.[25] 현대에는 혼합된 성적 특징을 가진 개인을 설명할 때 '간성'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26]
4. 1. 바이젠더
바이젠더는 두 가지 젠더가 각각 분리되어 있고 상황에 따라 완전한 전환이 일어난다. 그러나 안드로진의 경우, 남성성과 여성성이 섞인 형태의 양성적 젠더를 가지고 있다. 안드로진은 어떤 순간에도 자신을 남성이나 여성으로 생각하지 않고, 한결같이 자신을 양성이 섞인 젠더를 가진 사람으로 여기지만 바이젠더는 어떨 땐 완전한 남성의 의식을, 어떨 땐 완전한 여성의 의식을 가지고 있다.[27][28]4. 2. 뉴트로이스
뉴트로이스는 안드로진과 달리 자신이 남자도 여자도 아니라고 여기며, 중립적인 제3의 성으로 정체화하곤 한다. 그러나 안드로진은 자신의 젠더를 남성과 여성이 섞인 젠더로 여긴다는 점에서 다르다.[1]4. 3. 인터섹스
인터섹스는 선천적으로 타고난 신체의 성별이 남녀로 딱 떨어지지 않는 모든 경우이며, 안드로진은 자신의 젠더를 남녀가 섞여 있는 상태로 여긴다. 인터섹스가 생물학적이고 육체적인 개념인 반면 안드로진은 정신적이고 심리적인 개념이다. 인터섹스이면서 안드로진일 수도 있지만, 인터섹스이지만 안드로진이 아닌 사례, 안드로진이지만 인터섹스가 아닌 사례가 훨씬 더 많다. 현대 영어에서는 "간성"이라는 단어가 혼합되거나 모호한 성적 특징을 가진 개인을 더 정확하게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26]5. 심리학적 측면
심리학 연구에서, Bem 성 역할 목록과 개인 속성 설문지와 같이 성별을 특징짓기 위해 다양한 척도가 사용되어 왔다.[16]
남성적인 특성은 주체적이고 도구적인 것으로 분류되며, 자기 주장과 분석 기술과 관련이 있다. 여성적인 특성은 공동체적이고 표현적인 것으로 분류되며, 공감과 주관성과 관련이 있다.[17] 양성적인 개인은 일반적으로 주어진 성별과 관련된 행동을 넘어선 행동을 보인다.[18] 남성적 특성과 여성적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성적인 개인은 정서 조절, 의사소통 방식 및 상황 적응성과 관련하여 더 광범위한 심리적 역량에 접근할 수 있으며, 높은 수준의 창의성과 정신 건강과도 관련이 있다.[19][20]
개인 속성 설문지(PAQ)는 1970년대에 재닛 스펜스(Janet Spence), 로버트 헬름라이히(Robert Helmreich), 그리고 조이 스태프(Joy Stapp)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 테스트는 피험자들에게 남성성, 여성성, 그리고 남성-여성성과 관련된 세 가지 척도로 구성된 설문 조사를 완료하도록 요청했다. 이 척도들은 남성, 여성, 그리고 양성에 일반적으로 연관된 형용사 집합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설명어들은 학부생 집단에 의해 평가된 전형적인 특성에 근거하여 선택되었다. BSRI와 유사하게 PAQ는 양성적인 개인을 남성성과 여성성 모두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들로 분류했다. 그러나 스펜스와 헬름라이히는 양성성을 그 자체로 하나의 범주라기보다는 높은 수준의 남성성과 여성성을 나타내는 설명어로 간주했다.[16]
고대부터 다양한 개념에 사용되어 온 양성성은 20세기 후반부터 심리적 측면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정신과 의사인 카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 1875-1961)은 인간의 보편적 무의식 내에 원형(archetype)이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남성이 가진 여성의 영원한 이미지의 원형을 아니마, 여성이 가진 남성의 영원한 이미지의 원형을 아니무스라고 불렀다.
융파의 준 싱어는 『남녀 양성성』(1981)에서, 남녀 양성성은 인간의 심리에 고유한 원형이며, 마치 달걀의 노른자와 흰자가 껍질 속에 함께 갇혀 있는 상태와 같다고 말했다. 즉 남녀 양성성은 남성 안에 "여성스러움"이, 여성 안에 "남성스러움"이 존재하는 상태이며, 소위 융의 아니마와 아니무스가 모두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 남녀 양성성의 개념은 1970년대에 고정적인 남녀관에 대한 여성 해방 운동 등으로 주목받기 시작하여, 실증적인 성 역할 연구에서 다루어지게 되었다.
성별에 관계없이 남성에게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성격 특성을 지향하고 수용하며(남성성), 동시에 여성에게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성격 특성을 지향하고 수용하는(여성성) 상태를 가리킨다. 그리고 남녀 양성성을 가진 사람은 사물을 유연하게 생각하고, 행동의 폭이 넓으며, 상황에 따라 최적의 행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심리적으로도 건강하다고 여겨져 왔다.
6. 성 정체성
개인의 성 정체성은 자신의 성에 대한 개인적인 감각이며, 남성적 측면과 여성적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고 느끼는 경우 안드로지너스라고 설명할 수 있다. "안드로진"이라는 단어는 사회의 전형적인 남성 또는 여성 성 역할 중 하나에 정확히 들어맞지 않는 사람, 또는 반드시 반반은 아니더라도 남성과 여성의 혼합인 사람을 지칭할 수 있다. 많은 안드로지너스 개인은 정신적, 감정적으로 남성적, 여성적이라고 식별한다. 그들은 또한 "젠더 중립", "젠더퀴어" 또는 "논바이너리"라고 식별할 수 있다.[27] 안드로지너스인 사람은 남성적 또는 여성적인 것으로 보이는 행동과 작업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다. 그들은 남성과 여성의 미덕을 모두 포함하는 균형 잡힌 정체성을 가질 수 있으며, 사회적으로 또는 신체적으로 배정된 성별과 작업을 분리할 수 있다.[28] 안드로지너스로 정체화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사회 내에서 남성과 여성에게 특별히 문화적으로 구성된 특성이 무엇인지 무시하고, 오히려 상황적 환경 내에서 어떤 행동이 가장 효과적인지에 집중한다.[28]
일부 비서구 문화에서는 추가적인 안드로지너스 성 정체성을 인정하며, 이를 제3의 성이라고 부른다.
7. 성 표현
성 정체성 표현에서 남성적 특징과 여성적 특징이 혼합된 것을 중성적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범주는 성 역할의 사회적 구성에 따른 것으로, 옷차림, 행동, 소통 방식 등 다양한 표현을 포함한다. 어떤 문화권에서는 중성적인 성 표현이 긍정적으로 평가받기도 하지만, 다른 문화권에서는 성 역할 감시를 통해 제한되거나 억압되기도 한다. 중성적인 문화나 관계는 엄격한 성 역할이 없거나 성 역할 간 경계가 모호함을 의미한다.
''젠더퀴어''라는 단어는 중성적인 사람들이 자신을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되지만, ''젠더퀴어''와 ''중성''은 완전히 동일하거나 서로 바꿔 쓸 수 있는 용어는 아니다.[30] ''젠더퀴어''는 퀴어 문화와 연관되어 ''중성''에는 없는 사회 정치적 의미를 내포한다. 동성애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일부 중성적인 사람들은 ''젠더퀴어''라는 용어가 부정확하거나 부적절하며 불쾌하다고 느낄 수 있다. 어떤 사람들은 내적(심리적) 요인과 외적(시각적) 요인을 구분하기 위해 ''중성'' 대신 ''중성성''을 사용하기도 한다.[31]
중성성의 대안으로 '''성 역할 초월'''이 제시되기도 한다. 이는 개인의 역량을 남성성, 여성성, 중성성이 아닌 개인적 기준으로 개념화해야 한다는 관점이다.[32]
8. 상징 및 도상학
고대와 중세 시대에는 양성성을 가진 사람 또는 반음양자가 케듀시어스로 예술에 표현되었다. 케듀시어스는 테이레시아스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짝짓기하는 뱀을 때린 벌로 유노에 의해 여성으로 변신한 테이레시아스를 나타낸다. 케듀시어스는 나중에 헤르메스/머큐리가 들고 다녔으며, 수성의 천문 기호와 반음양자를 나타내는 식물학 기호의 기초가 되었다.[77] 이 기호는 현재 트랜스젠더를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중세 시대와 초기 근대에는 레비스가 양성성의 아이콘으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남성과 여성이 결합된 형상으로, 종종 태양과 달의 모티프를 담고 있었다. 또 다른 상징은 오늘날 태양 십자라고 불리는 것으로, 남성을 상징하는 십자 기호와 여성을 상징하는 원을 결합한 것이다.[77] 이 기호는 현재 지구의 천문 기호이다.[78]
9. 현대 한국 사회와 안드로진
대한민국에서는 최근 몇 년간 젠더 다양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2023년에는 트랜스젠더 여성 최초로 숙명여자대학교에 합격한 사례가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여전히 성 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혐오가 존재하며, 특히 보수적인 시각에서는 안드로진을 비롯한 다양한 젠더 정체성을 인정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2024년 현재, 대한민국 국회에는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지만, 여전히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정당들은 차별금지법 제정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지만, 국민의힘 등 보수 정당들은 이에 반대하거나 소극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트랜스젠더 군인 변희수의 사망 사건은 한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성 소수자 인권에 대한 논의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62][63]
K팝을 비롯한 대중문화에서는 양성적인 스타일을 선보이는 아이돌 그룹들이 인기를 얻고 있으며, 이는 젊은 세대의 젠더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드래곤은 종종 양성적인 외모로 언급되는 대한민국의 팝스타이다.[62][63]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Environment and Conservation (3 ed.)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2]
웹사이트
Androgyny {{!}} Gender Identity, Gender Expression & Non-Binar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5-04
[3]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androgynous''
http://www.etymonlin[...]
2013-07-13
[4]
서적
Sex and Eroticism in Mesopotam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5-26
[5]
서적
Islamic Homosexualities: Culture, History, and Literature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20-10-09
[6]
웹사이트
Mishnah Bikkurim 4:5
https://www.sefaria.[...]
2021-08-10
[7]
서적
The Symposium and The Phaedrus: Plato's erotic dialogues
State Univ. of New York Press
1993
[8]
간행물
"Sex Difference in Medieval Theology and Canon Law," ''Medieval Feminist Forum (University of Iowa)'' vol. 46 no. 1 (2010): 101–121
[9]
서적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Alchemy
Alpha Books
2008
[10]
서적
The Secret Doctrine of the Rosicrucians
Weiser Books
2012
[11]
웹사이트
Rosicrucian Prophecies
https://www.rose-cro[...]
2017-12-04
[12]
간행물
"Geomantic Mathematical (re)Creation: Magic Squares and Claude Bragdon's Theosophic Architecture". ''Nexus V: Architecture and Mathematics'': 79-92.
2004-06
[13]
학술지
Hair, Authenticity, and the Self-Made Macaroni
https://www.jstor.or[...]
2004
[14]
서적
The Origins of English Words: A Discursive Dictionary of Indo-European Roots
https://books.google[...]
JHU Press
2022-04-03
[15]
서적
Pretty Gentlemen: Macaroni Men and the Eighteenth-century Fashion World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22-04-13
[16]
서적
Psychological Androgyny
https://archive.org/[...]
Pergamon Press
[17]
서적
The Androgynous Manager
https://archive.org/[...]
AMACOM
[18]
웹사이트
Androgyny
https://www.britanni[...]
2019-11-04
[19]
학술지
Emotional Androgyny: A Preventive Factor of Psychosocial Risks at Work?
[20]
웹사이트
Blurred Lines, Androgyny and Creativity
https://blogs.scient[...]
2019-10-10
[21]
서적
A Topical Approach to Life-Span Development
The McGraw-Hill Companies
2008
[22]
웹사이트
Sandra Lipsitz Bem
http://faculty.webst[...]
2023-06-20
[23]
서적
Gender in Communication
SAGE Publications
[24]
간행물
Sex role group differences in specific, academic, and general self-efficacy. Journal of Psychology, 138, 149–159.
2004
[25]
웹사이트
Androgyny | psychology
https://www.britanni[...]
2019-04-18
[26]
웹사이트
What is intersex? | Intersex Society of North America
http://www.isna.org/[...]
2019-04-18
[27]
웹사이트
Advanced Trans* Terminology
https://wou.edu/wp/s[...]
2023-05-06
[28]
학술지
Desirable and Undesirable Androgyny: A Prescription for the Twenty-First Century
2004
[29]
서적
''New world coming: the 1920s and the making of modern America''
https://books.google[...]
Scribner
2003
[30]
웹사이트
Definition of Genderqueer
https://www.merriam-[...]
2019-04-18
[31]
웹사이트
Psychological Androgyny -- A Personal Take
http://androgyne.0ca[...]
2014-07-13
[32]
간행물
"The gender-role strain paradigm". In R. F. Levant & W. S. Pollack (Eds.), ''A new psychology of men''. New York: Basic Books.
1995
[33]
서적
Bodies that Matter: On the Discursive Limits of 'Sex'
https://archive.org/[...]
Routledge
2014-10-12
[34]
서적
Identity Flexibility During Adulthood
[35]
웹사이트
Taking the "Sex" out of Transsexual: Representations of Trans Identities in Popular Media
http://www.inter-dis[...]
Universität zu Köln
2017-02-06
[36]
논문
Transgender microaggressions in the context of friendship: Patterns of experience across friends'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2014
[37]
논문
Contemporary Religion and the Cisgendering of Reality
https://www.research[...]
2015
[38]
서적
Arguing about justice
Presses universitaires de Louvain
2011
[39]
서적
History of Twentieth Century Fashion
Quite Specific Media Group Ltd
2002
[40]
서적
Luisa Capetillo, Pioneer Puerto Rican Feminist: With the collaboration of students from the Graduate Program in Translation, The University of Puerto Rico, Río Piedras, Spring 1991
Peter Lang Publishing Inc.
2006-06-01
[41]
서적
A Social History of Late Ottoman Women: New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BRILL
2013-10-10
[42]
웹사이트
Harriet Fisher
https://www.barnebys[...]
2016-05-22
[43]
뉴스
The Seventies: The sex freakout
http://www.cnn.com/2[...]
2015-07-21
[44]
웹사이트
Androgyny and Feminism
https://sophmoet.wor[...]
2014-05-01
[45]
웹사이트
Elvis Never Gets Credit for One of His Greatest Gifts to Rock 'n Roll
http://observer.com/[...]
2016-01-08
[46]
서적
Lost Revolutions: The South in the 1950s
https://archive.org/[...]
Univ of North Carolina Press
2000-01-01
[47]
웹사이트
His or hers: Will androgynous fashion catch on?
http://www.bbc.com/c[...]
[48]
뉴스
Peacock revolution back with label that dressed Mick Jagger and David Bowie
https://www.theguard[...]
2016-03-13
[49]
뉴스
Mick Jagger's white dress cast him as a romantic hero
https://www.telegrap[...]
[50]
뉴스
Boy George, The Man
https://www.washingt[...]
1995-11-15
[51]
서적
Signed, Sealed, and Delivered: True Life Stories of Women in Pop
South End Press
1984
[52]
웹사이트
Androgyny in the fashion world
http://wsimag.com/fa[...]
2013-11-19
[53]
웹사이트
Box-set billed as the definitive guide to Seventies music genre has further ostracised its disgraced former star
https://www.independ[...]
2013-10-29
[54]
뉴스
We Live in the World 'Rocky Horror' Created
http://flavorwire.co[...]
2015-09-25
[55]
논문
Global Influences: Challenging Western Traditions
[56]
뉴스
Annie Lennox: the interview
https://www.theguard[...]
2010-10-10
[57]
서적
Global Glam and Popular Music: Style and Spectacle from the 1970s to the 2000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58]
논문
The Menswear Phenomenon.
[59]
논문
Global Influences: Challenging Western Traditions.
[60]
웹사이트
How Japanese designers pioneered gender-neutral dressing
https://www.independ[...]
2015-12-13
[61]
웹사이트
Androgynous Fashion Moments
http://www.highsnobi[...]
2015-05-14
[62]
뉴스
Move over, Psy! Here comes G-Dragon style
https://www.independ[...]
2014-08-17
[63]
뉴스
K-pop: a beginner's guide
https://www.theguard[...]
2014-03-03
[64]
웹사이트
Androgyny becoming global?
http://uniorb.com/RC[...]
uniorb.com
[65]
뉴스
Androgynous look back for spring
http://www.torontosu[...]
[66]
뉴스
The teenage fans from 'Titanic' days jump ship as Leonardo DiCaprio moves on
https://www.sfgate.c[...]
sfgate.com
2005-02-24
[67]
서적
Sex and Society, Vol 1
Paul Bernabeo
2010
[68]
뉴스
Androgynous look catches on
http://www.thehimala[...]
2010-09-13
[69]
웹사이트
Harajuku Girls Harajuku Clothes And Harajuku Gothic fashion Secrets
http://www.tokyo-top[...]
Tokyo Top Guide
[70]
웹사이트
Profile of Kagerou
http://www.jpopasia.[...]
jpopasia.com
[71]
뉴스
Japan Fashion Week in Tokyo 2005. A stitch in time?
http://search.japant[...]
The Japan Times
2010-12-17
[72]
웹사이트
Characteristics and Mental Health of Gender Nonconforming Adolescents in California
https://williamsinst[...]
2017-12
[73]
Instagram
Gender is Over
https://www.instagra[...]
2018-11-24
[74]
웹사이트
Who's Billie Eilish?
https://www.thefader[...]
[75]
웹사이트
What's Up With Billie Eilish's Style?
https://www.thecut.c[...]
[76]
웹사이트
What Is a “Hey Mamas” Lesbian and Why Are They All Over TikTok?
https://www.them.us/[...]
[77]
서적
The Secret Doctrines of the Rosicrucians
L.N. Fowler & Co.
1918
[78]
웹사이트
Solar System Symbols
https://solarsystem.[...]
2018-12-31
[79]
백과사전
ヘルマフロディトス
平凡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