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순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순군은 1444년 광평대군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세종의 손자이다. 세조 때 현록대부에 제수되었으나, 1470년 27세의 나이로 별세하였다. 그의 아버지는 세종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이며, 어머니는 신자수의 딸 영가부부인이다. 이름은 이부이며, 본관은 전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44년 출생 - 도나토 브라만테
    도나토 브라만테는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의 건축가, 화가, 디자이너로, 밀라노에서 활동하다 로마로 이주하여 교황 율리우스 2세의 후원을 받으며 산 피에트로 대성당 재건축 등 주요 건축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템피엣토와 산타 마리아 델라 파체 성당의 회랑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회화, 건축 저술, 소네트 작품 활동도 했다.
  • 1444년 출생 - 세라피욘 노브고로트 1세
  • 1470년 사망 - 에드워드 4세
    에드워드 4세는 장미 전쟁 중 요크 가문의 지도자로서 헨리 6세를 폐위하고 잉글랜드의 왕이 되었으나, 귀족 반발과 망명, 재정난, 권력 투쟁,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불안정한 통치를 보였으며 르네상스 문화를 후원했다.
  • 1470년 사망 - 진남군 (왕족)
    진남군 이종은 조선 정종의 서자로, 명선대부 진남정에 봉해진 후 진남군으로 진봉되었으며, 경서와 대의에 밝아 종학 취학을 면제받고 사옹원과 장원서의 제조를 역임하다 사망 후 이간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조선의 왕족 - 덕혜옹주
    덕혜옹주는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대한제국의 옹주로, 일본 유학 후 결혼 생활 중 조현병 증세를 보였으며 해방 후 귀국하여 창덕궁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여러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조선의 왕족 - 흥선대원군
    조선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은 안동 김씨 세도정치 종식 후 권력을 장악하여 개혁을 추진했으나, 쇄국정책과 독재적 통치로 비판받았고, 실각 후 재집권을 시도하다 톈진으로 압송, 명성황후 암살 의혹 등 격변기 조선의 대표적 인물로 긍정·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영순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래 이름영순군
이부 (李溥)
작위군(君), 현록대부(顯祿大夫)
출생일1444년 6월
출생지조선 한성부 광평대군 사저
사망일1470년 3월 28일 (27세)
사망원인병사
사망지조선 한성부 광평대군 가통 사저
거주지조선 한성부
국적조선
자녀슬하 3남
배우자김제군부인 전주 최씨
별칭아명은 수복(壽福), 자는 준지(俊之), 아호는 명신당(明新堂)
시호공소(恭昭)
종교유교(성리학)
가족 관계
아버지광평대군 이여
어머니영가부부인 평산 신씨
양조부풍안군 이효손
양조모풍안군부인 삭녕 신씨
친조부조선 세종대왕 이도
친조모소헌왕후 심씨
외조부신자수
양증조부무안대군 이방번
친증조부태종 이방원
친증조모원경왕후 민씨
큰할아버지양녕대군
큰할아버지효령대군
작은할아버지성녕대군
동복 큰아버지문종
동복 큰아버지세조
동복 큰아버지안평대군
동복 큰아버지임영대군
이복 작은아버지화의군
동복 작은아버지금성대군
동복 작은아버지평원대군
이복 작은아버지한남군
이복 작은아버지수춘군
동복 작은아버지영응대군
이복 작은아버지영풍군
사촌누나경혜공주
사촌 형의경세자
사촌 형단종
사촌 형귀성군
사촌 아우예종
5촌 조카월산대군
5촌 조카명숙공주
5촌 조카성종
5촌 조카인성대군
5촌 조카제안대군

2. 생애

광평대군과 영가부부인 신씨의 외동아들로 태어났다. 그러나, 태어난 지 6개월 만에 부친 광평대군이 세상을 떠났다.

세종의 손자로서 깊은 사랑을 받았으며 단종과도 가깝게 지냈다. 세조 때에는 왕실 최고위직인 현록대부에 제수되었으며, 1470년(성종 1년)에 27세로 별세하였다.

3. 가족 관계

이여(1425년 ~ 1444년)와 영가부부인 평산 신씨(신자수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김제군부인 전주 최씨(최도일의 딸)와 혼인하여 3남을 두었다.

관계이름본관생몰년비고
아버지이여전주1425년 ~ 1444년세종의 5남
어머니영가부부인 신씨평산 신씨미상신자수의 딸
배우자김제군부인 전주 최씨전주1441년 ~ 1493년최도일의 딸
장남남천군 쟁전주1458년 ~ 1519년며느리: 금릉군부인 전주 최씨(최희의 딸)
차남청안군 영전주1462년 ~ 1495년며느리: 장성현부인 교하 노씨(노공필의 딸)
3남회원군 쟁전주1464년 ~ 1493년며느리: 하동현부인 하동 정씨(정승조의 딸)
측실 며느리미상미상미상자녀: 해평 윤씨 윤변에게 출가한 서손녀


3. 1. 부모


  • 아버지 : 이여(1425년 ~ 1444년)
  • 어머니 : 영가부부인 평산 신씨 - 동지(同知) 증 좌의정(贈 左議政) 신자수(申自守)의 딸

3. 2. 배우자

정부인 김제군부인 전주 최씨 (1441 ~ 1493) - 창승(倉丞) 최도일(崔道一)의 딸

3. 3. 자녀

부인이름본관생몰년비고
정부인김제군부인전주 최씨1441년 ~ 1493년창승(倉丞) 최도일(崔道一)의 딸
측실이름 미상미상미상자녀: 해평 윤씨 윤변에게 출가한 서녀


  • 장남 : 남천군 쟁(1458년 ~ 1519년)
  • * 며느리 : 금릉군부인 전주 최씨 - 첨정(僉正) 최희(崔曦)의 딸
  • ** 손자 : 곤명군 이영(1471년 ~ 1504년 11월 21일)
  • ** 손자 : 문성부정 이상(1486년 ~ ?)
  • ** 손녀 : 이보현(1507년 ~ ?)
  • 차남 : 청안군 영(1462년 ~ 1495년 12월)
  • * 며느리 : 장성현부인 교하 노씨 - 영중추(領中樞) 노공필의 딸
  • ** 손자 : 공성부정 이연수(1484년 ~ ?)
  • ** 손자 : 임정부정 이수정(1485년 ~ ?)
  • ** 손자 : 정안부정 이천수(1487년 ~ ?)
  • ** 손자 : 태안부정 이억년
  • ** 손자 : 고양부정 이억손(1492년 ~ ?)
  • ** 손자 며느리 : 파평 윤씨 - 파원부원군 윤여필의 5녀
  • 3남 : 회원군 쟁(1464년 ~ 1493년 5월)
  • * 며느리 : 하동현부인 하동 정씨 - 하남군(河南君) 정승조의 딸
  • ** 손자 : 승평부정 이형(1479년 ~ ?)
  • ** 손자 며느리 : 거창 신씨 - 영의정 거창부원군 신승선의 딸
  • ** 손자 며느리 : 순흥 안씨 - 부사(府使) 안장(安璋)의 딸
  • ** 손자 : 가평부정 이징(1484년 ~ ?)
  • ** 손자 : 서성부정 이옹(1487년 ~ ?)
  • ** 손녀 : 청주 한씨 한수충(韓守忠)의 처

3. 3. 1. 서손녀

측실 소생으로, 해평 윤씨 해징부원군 윤변(1493 ~ 1549)에게 출가하였다.

4. 이력

이(李) 부(溥)는 전주(全州)를 본관으로 하며, 아명은 '''수복'''(壽福), 자는 준지(俊之), 호는 명신당(明新堂), 시호는 공소(恭昭)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