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여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여필은 1466년에 태어나 1555년에 사망한 조선 시대 인물이다.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 삼등공신에 책봉되었으며, 딸 장경왕후가 중종의 왕비가 되면서 파원부원군에 봉해졌다. 이후 관직 생활에서 대간과의 갈등을 겪었으며, 아들 윤임이 을사사화에 연루되면서 한때 유배되었다가 석방되었다. 명종 대에 작위가 복권되었다. 그는 장경왕후의 아버지이자 인종의 외할아버지이며, 문정왕후와 윤원형 형제와도 인척 관계에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국공신 - 김개 (조선 중기의 문신)
김개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연산군 시절 언관으로 활동하다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 안정에 기여했으며 사후 수산사에 제향되었다. - 정국공신 - 송질
송질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사마 양시 합격 후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정자, 사헌부지평, 황해도관찰사, 평안도관찰사 등을 역임하며 이름을 알렸고, 중종반정 이후 정국공신 3등에 책록, 여원군에 봉해졌으며, 함경도체찰사, 이조판서를 거쳐 우의정, 좌의정을 지낸 후 영의정에 이르렀고 대간의 탄핵으로 체직되었으며, 시호는 숙정이다. - 1466년 출생 - 호소카와 마사모토
호소카와 마사모토는 무로마치 막부 말기의 세키가와 가문 당주이자 관령으로, 명응의 정변을 통해 쇼군을 옹립하고 실권을 장악했으며, 기행적인 면모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능력으로 호소카와 가문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나, 후계자 문제로 인한 암살 사건으로 요절하여 가문이 쇠락하게 되었다. - 1466년 출생 - 아시카가 요시타네
아시카가 요시타네는 오닌의 난 중에 파란만장한 삶을 살며 쇼군에 올랐으나, 호소카와 가문과의 권력 투쟁 끝에 아와지 섬으로 퇴각하여 사망하며 무로마치 막부 쇠퇴의 요인이 된 무로마치 막부의 제10대 쇼군이다. - 1555년 사망 -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는 독일의 의사이자 광물학자, 야금학자, 인문주의자로, 광산 및 야금술에 관한 저서 『데 레 메탈리카』를 통해 "광물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광산학 발전에 기여하고 지질학과 광물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1555년 사망 - 이현보
이현보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시인으로, 연산군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치며 선정(善政)을 베풀었으며, 벼슬에서 물러난 후 자연을 벗 삼아 만년을 보내며 효성이 지극하고 문장에 뛰어난 많은 작품을 남겼다.
윤여필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윤여필 |
한자 | 尹汝弼 |
작위 | 조선 중종의 국구 |
칭호 | 坡原府院君 (파원부원군) |
본관 | 파평 윤씨 |
속성 | 윤보 둘째 아들 |
휘 | 윤여필 |
휘 한글 | 윤여필 |
휘 발음 | 윤여필 |
자 | 伯翊 (백익) |
시호 | 靖憲 (정헌) |
출생 | 1466년 |
출생지 | 한성부 |
사망 | 1555년 |
사망일 (음력) | 1555년 6월 19일 |
아버지 | 윤보 |
어머니 | 전주 이씨 (영천군의 딸) |
배우자 | 순천부부인 박씨 (박중선의 딸) |
자녀 | 장경왕후 윤임 |
관직 | 영돈녕부사 |
관품 | 대광보국숭록대부 |
가족 관계 | |
자녀 | 1남 6녀 |
2. 생애
윤여필은 1466년 한성부에서 윤사윤의 손자이자 윤보(尹甫)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효령대군의 손녀 전주 이씨이다. 큰아버지 윤사흔의 현손(玄孫)이 문정왕후와 윤원형으로, 그들과는 8촌 관계였다. 정실 부인 순천 박씨는 박중선의 딸이자 박원종의 여동생이며, 제안대군과 월산대군의 의형제이기도 하다.[2]
1506년(중종 1년)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삼등공신(靖國三等功臣)이 되었다.[4] 딸 장경왕후는 숙원으로 중종의 후궁이 되었다가 1507년(중종 2년) 왕비가 되었고,[5] 같은 해 윤여필은 파원부원군(坡原府院君)에 봉해졌다.[6]
오위도총부 도총관 등을 역임하며 관직 생활을 했으나, 대간으로부터 여러 차례 탄핵을 받았다. 1514년에는 중일습사(中日習射)에서 부장의 머리채를 잡은 일로 추고를 받았고,[18] 1518년에는 군기시 제조로서 직책에 부적격하다는 이유로 탄핵을 받았으나, 중종은 국구라는 이유로 윤허하지 않았다.[25]
1545년(명종 즉위년)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관직을 박탈당하고, 윤임의 시신 수습을 돕겠다는 요청이 거절당하며 장형 17대를 맞았다.[36] 이후 경기도 용인현으로 유배되었다가[39] 1551년(명종 6년) 장경왕후의 아버지라는 이유로 석방되었다.[40] 1555년(명종 10년) 사망하자 명종은 그의 작위를 복권하고 예장(禮葬)을 명하였다.[41]
2. 1. 출생과 가계
윤사윤의 손자이자 윤보(尹甫)의 아들로, 1466년 한성부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효령대군의 손녀 전주 이씨이다. 큰아버지 윤사흔의 현손(玄孫)이 문정왕후와 윤원형으로, 그들과는 8촌 관계였다. 정실 부인 순천 박씨는 박중선의 딸이자 박원종의 여동생이며, 제안대군과 월산대군의 의형제이기도 하다.[2]관계 | 이름 | 비고 |
---|---|---|
증조부 | 윤번 | |
조부 | 윤사윤 | |
아버지 | 윤보(尹甫) | |
어머니 | 전주 이씨 | 효령대군의 손녀 |
누나 | 파평 윤씨 | 창녕 성씨 성세원(成世源)에게 출가 |
남동생 | 윤여우(尹汝佑) | |
남동생 | 윤여해 | |
여동생 | 파평 윤씨 | 광산 김씨 김지(金祉)에게 출가 |
여동생 | 파평 윤씨 | 능성 구씨 구숭경(具崇璟)에게 출가 |
부인 | 순천부부인 순천 박씨 | 박중선의 딸, 박원종의 여동생 |
장남 | 윤임 | |
며느리 | 여주 이씨 | 이보(李俌)의 딸 |
며느리 | 현풍 곽씨 | 곽한(郭翰)의 딸 |
며느리(첩) | 김옥(金玉) | 양민 출신 |
며느리(첩) | 매향(梅香) | 기생 출신 |
며느리(첩) | 덕남(德南) | 노비 출신 |
장녀 | 파평 윤씨 | 덕풍군 이이(李恞, 월산대군의 서자)에게 출가 |
차녀 | 파평 윤씨 | 팔계군 이정(八溪君 李浄)에게 출가 |
3녀 | 윤천덕(尹千德) | 강릉 김씨 김혼(金渾)에게 출가 |
4녀 | 장경왕후 | 중종에게 출가 |
5녀 | 파평 윤씨 | 고양부정 이억손(高陽副正 李億孫)에게 출가 |
첩 | 미상 | |
6녀(서녀) | 이옥춘(李玉春) | 방웅(方雄)에게 출가 |
장인 | 박중선 | 사위: 월산대군, 제안대군, 윤여필 |
처형 | 승평부대부인 박씨 | |
동서이자 사돈 | 월산대군 이정 |
2. 2. 중종반정과 공신 책봉
1506년(중종 1년) 9월 18일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9월 24일 정국삼등공신(靖國三等功臣)이 되었다.[4] 윤여필의 딸 장경왕후는 중종반정에 참여한 공신들의 결의에 따라 후궁 후보에 올랐고, 숙원(淑媛)을 거쳐 1507년(중종 2년) 7월 26일 중종의 뜻에 따라 왕비가 되었다.[5] 같은 해 7월 28일 파원부원군(坡原府院君)에 봉해졌다.[6]2. 3. 관직 생활과 갈등
1506년 9월 18일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9월 24일 정국삼등공신(靖國三等功臣)이 되었다.[4] 장경왕후는 공신들의 결의에 따라 후궁 후보에 올랐고, 숙원으로서 중종의 후궁이 되었다가 1507년 7월 26일 중종의 뜻에 따라 왕비가 되었다.[5] 윤여필은 같은 해 7월 28일 파원부원군(坡原府院君)에 봉해졌다.[6] 같은 해 8월 20일에는 여관을 능욕한 한흔(韓恂)을 파면하도록 중종에게 건의하였다.[7] 9월 13일에는 둔녕부사가 되었고,[8] 10월 7일에는 정국공신을 증원할 것을 건의하였다.[9]1508년 8월 10일, 박안성(朴安性)은 나이가 많아 윤여필보다 높은 자리에 있을 수 없다고 상소하였다.[10] 대간은 종친, 은계도 찰방 이숙인(李叔仁) 등과 함께 강원도의 산을 유람한 윤여필을 추핵해야 한다고 상소하였으나 허락되지 않았다.[13] 1508년 7월 13일과 1513년 11월 24일에도 사헌부에서 다시 추고해야 한다고 상소하였으나 허락되지 않았다.[14][15]
1514년 오위도총부 도총관이 된 윤여필은, 같은 해 2월 2일 대간으로부터 중일습사(中日習射)에서 부장이 실패했을 때 부장의 머리채를 잡고 퇴장시킨 일로 廷臣으로서 있을 수 없는 행위라고 상소되어 중종이 추고를 허락하였다.[18] 2월 17일, 사헌부는 국구로서 불경건하며 요직에 있을 수 없으니 이동시켜야 한다고 상소하였으나 허락되지 않았다.[19] 2월 18일 오전 경연에서 대사간 손중돈, 사헌부지평 유관·이사균이 전날의 윤여필 건을 논하며 상소하였으나 허락되지 않았다.[20] 2월 23일 오전 경연에서 사헌부장령 권희맹, 사간원 정언 남세준·이사균이 다시 윤여필 건을 논하며 상소하였고, 영경연사 정광필도 윤여필 건을 논하였다. 정광필은 대간의 의견을 돕는 한편 윤여필을 옹호하기도 하였으나, 중종은 공무상 과실만으로 도총관에서 이동시킬 필요는 없다고 답하였다.[21] 그러나 다음 날인 2월 24일 중종은 이동을 명하였다.[22]
1515년 4월, 윤여필은 수륙회를 베풀었고, 소세양·황여헌도 비슷하게 복을 맞이하려 하였으나, 후일에 탄핵되었다.[24] 1518년 7월 7일, 군기시 제조였던 윤여필은 무지하여 직책에 부적격하다는 대간의 상소를 받았으나, 중종은 국구라는 이유로 허락하지 않았다.[25] 7월 10일, 7월 11일, 7월 14일에도 같은 내용의 상소가 있었으나 모두 허락되지 않았다.[26][27][28] 8월 8일, 정사룡은 전한의 두광국, 후한의 마원 등 외척의 정치 불개입 선례를 들어 윤여필 등도 이와 같이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29]
1520년 5월 8일, 윤여필은 병에 걸려 경원부사인 아들 윤임에게 급히 편지를 전달하고자 윤임의 직책을 이동시켰다.[30] 1528년 11월 29일, 중종이 제천정에 머물 때 이곳을 방문하였다.[31] 1534년 12월 10일, 중삭연에서 자신이 신하를 대표하여 술을 받는 것을 사양하는 내용의 상소가 있었다.[33] 1539년 12월 4일, 중종은 근래에 천재지변이나 사고가 많아 연회를 열 수 없었다며 윤여필 등에게 어린 말 한 필을 하사하였다.[34]
2. 4. 을사사화와 유배
1545년 9월 7일 파평부원군으로 개칭되었다.[35] 10월 10일 윤임의 시체가 강에 도착하자, 관에 넣는 것을 돕겠다고 요청했으나, 장형(杖刑) 17대를 맞았다.[36] 10월 16일 허자와 나세종이 윤여필의 관직 박탈을 상소하여 즉시 박탈되었다.[37] 1546년 9월 29일 변방으로 유배를 보내야 한다는 상소가 올라왔으나 허락되지 않았다.[38] 9월 30일부터 10월 4일까지 25번이나 상소가 올라왔고, 마침내 10월 4일 경기도 용인현으로 보내는 것이 결정되었다.[39] 이후에도 상소가 계속되었으나, 1551년 7월 4일 장경왕후의 아버지이기 때문에 석방되었다.[40] 1555년 7월 7일 사망하였다. 명종은 그의 작위를 복권하고 예장(禮葬)을 명하였다.[41]2. 5. 복권과 죽음
1545년 9월 7일 파평부원군으로 개칭되었다.[35] 10월 10일 윤임의 시체가 강에 도착하자, 관에 넣는 것을 돕겠다고 요청했으나, 장형 17대를 맞았다.[36] 10월 16일 허자와 나세종이 윤여필의 관직을 박탈해야 한다고 상소하였고, 즉시 박탈되었다.[37] 1546년 9월 29일 변방으로 유배 보내야 한다는 상소가 올라왔으나, 허락되지 않았다.[38] 9월 30일부터 10월 4일까지 25번이나 상소가 올라왔고, 마침내 10월 4일 경기도 용인현으로 가도록 명령하였다.[39] 이후에도 상소가 계속되었으나, 1551년 7월 4일 장경왕후의 아버지이기 때문에 석방되었다.[40] 1555년 7월 7일 사망하였다. 명종은 그의 작위를 복권하고 예장(禮葬)하도록 명령하였다.[41]3. 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증조부 | 윤번(尹璠) | 1384년 - 1448년 |
조부 | 윤사윤(尹士昀) | 1422년 - 1485년 |
부친 | 윤보(尹甫) | 1442년 - 1483년 |
모친 | 전주 이씨 | 효령대군의 손녀, 영천군 이정(永川君 李定)의 딸 |
배우자 | 순천부부인 순천 박씨 | 박중선의 딸 |
아들 | 윤임 | 1487년 - 1545년, 대윤파의 영수 |
딸 | 장경왕후 | 1491년 - 1516년, 중종의 제2계비 |
누나 | 파평 윤씨(1461 ~ ?) | 창녕 성씨 성세원(成世源)에게 출가 |
남동생 | 윤여우(尹汝佑) | |
남동생 | 윤여해(尹汝諧) | |
여동생 | 파평 윤씨(1482 ~ ?) | 광산 김씨 김지(金祉)에게 출가 |
여동생 | 능성 구씨 구숭경(具崇璟)에게 출가 | |
장남 | 윤임(尹任, 1487 ~ 1545) | |
며느리 | 여주 이씨(驪州 李氏, ? ~ 1528) | 이보(李俌)의 딸 |
손자 | 윤흥인(尹興仁, 1516 ~ ?) | |
손자 | 윤흥의(尹興義, 1519 ~ ?) | |
손자 | 윤흥례(尹興禮) | |
손녀 | 윤거물(尹巨勿, 1521 ~ ?) | |
손녀 | 윤정숙(尹貞淑, 1526 ~ ?) | |
며느리 | 현풍 곽씨(玄風 郭氏, 1517 ~ 1589) | 곽한(郭翰)의 딸 |
손자 | 윤흥지(尹興智, 1526 ~ ?) | |
손자 | 윤흥신(尹興信, 1540 ~ ?) | |
손자 | 윤흥충(尹興忠, 1545 ~ ?) | |
며느리(첩) | 김옥(金玉) | 양민 출신 |
서손자 | 윤흥효(尹興孝, 1538 ~ ?) | |
며느리(첩) | 매향(梅香) | 기생 출신 |
서손자 | 윤흥제(尹興悌, 1540 ~ ?) | |
며느리(첩) | 덕남(德南) | 노비 출신 |
서손녀 | 윤수환(尹守環, 1543 ~ ?) | |
장녀 | 파평 윤씨(坡平 尹氏, 1485 ~ ?) | |
사위 | 덕풍군 이이(李恞) | 월산대군의 서자 |
차녀 | 파평 윤씨 | |
사위 | 팔계군 이정(八溪君 李浄) | |
3녀 | 윤천덕(尹千德, 1488 ~ ?) | |
사위 | 강릉 김씨 김혼(金渾) | |
4녀 | 장경왕후 | |
사위 | 조선 11대 국왕 중종 | |
외손녀 | 효혜공주 | |
외손자 | 조선 12대 국왕 인종 | |
5녀 | 파평 윤씨 | |
사위 | 고양부정 이억손(高陽副正 李億孫) | |
첩 | 미상 | |
6녀(서녀) | 이옥춘(李玉春, 1518 ~ ?) | |
사위 | 방웅(方雄) | |
사돈 | 조선 9대 국왕 성종 | |
장인 | 박중선(朴仲善) | |
처형 | 승평부대부인 박씨 | |
동서이자 사돈 | 월산대군 이정 |
4. 기타
그는 문정왕후의 친정아버지 윤지임에게는 7촌 아저씨가 되고, 문정왕후와 윤원형 형제에게는 삼종조가 된다. 그런데 며느리 여흥이씨를 통해 이중으로 인척관계를 형성한다.
아들 윤임의 장인 이보(李俌)[42]의 다른 딸은 윤원개의 아내가 되었다.[43] 윤원개는 그의 8촌 형 윤지임의 아들이자, 윤원로, 윤원형 5형제의 맏형이자 문정왕후의 친정 오빠, 인종의 후궁 숙빈 윤씨의 백부였다.
그밖에 윤여필의 외손자이며 장경왕후의 아들인 인종의 후궁이, 문정왕후의 조카이며 윤지임의 손녀딸이 되므로 부계로는 친척이면서 이중, 삼중으로도 인척관계를 형성한다. 조선은 대전회통 등을 통해 8촌까지를 친척으로 간주했다.
참조
[1]
문서
국구
[2]
문서
[3]
웹사이트
『燕山君日記』巻第61
http://sillok.histor[...]
1506-01-13
[4]
웹사이트
『中宗実録』巻第1
http://sillok.histor[...]
1506-09-08
[5]
웹사이트
『中宗実録』巻第3
http://sillok.histor[...]
1507-06-19
[6]
웹사이트
『中宗実録』巻第3
http://sillok.histor[...]
1507-06-17
[7]
웹사이트
『中宗実録』巻第3
http://sillok.histor[...]
1507-07-12
[8]
웹사이트
『中宗実録』巻第3
http://sillok.histor[...]
1507-08-07
[9]
웹사이트
『中宗実録』巻第4
http://sillok.histor[...]
1507-09-02
[10]
웹사이트
『中宗実録』巻第6
http://sillok.histor[...]
1508-07-14
[11]
문서
대간
[12]
문서
은계도
[13]
웹사이트
『中宗実録』巻第16
http://sillok.histor[...]
1512-05-16
[14]
웹사이트
『中宗実録』巻第16
http://sillok.histor[...]
1512-06-01
[15]
웹사이트
『中宗実録』巻第19
http://sillok.histor[...]
1513-10-27
[16]
문서
중일습사
[17]
문서
[18]
웹사이트
『中宗実録』巻第19
http://sillok.histor[...]
1514-01-08
[19]
웹사이트
『中宗実録』巻第19
http://sillok.histor[...]
1514-01-23
[20]
웹사이트
『中宗実録』巻第19
http://sillok.histor[...]
1514-01-24
[21]
웹사이트
『中宗実録』巻第19
http://sillok.histor[...]
1514-01-29
[22]
웹사이트
『中宗実録』巻第19
http://sillok.histor[...]
1514-01-30
[23]
문서
[24]
웹사이트
『中宗実録』巻第22
http://sillok.histor[...]
1515-04-20
[25]
웹사이트
『中宗実録』巻第33
http://sillok.histor[...]
1518-05-30
[26]
웹사이트
『中宗実録』巻第33
http://sillok.histor[...]
1518-06-03
[27]
웹사이트
『中宗実録』巻第33
http://sillok.histor[...]
1518-06-04
[28]
웹사이트
『中宗実録』巻第33
http://sillok.histor[...]
1518-06-07
[29]
웹사이트
『中宗実録』巻第34
http://sillok.histor[...]
1518-07-02
[30]
웹사이트
『中宗実録』巻第39
http://sillok.histor[...]
1520-04-21
[31]
웹사이트
『中宗実録』巻第63
http://sillok.histor[...]
1528-10-18
[32]
문서
중삭연
[33]
웹사이트
『中宗実録』巻第78
http://sillok.histor[...]
1534-11-05
[34]
웹사이트
『中宗実録』巻第92
http://sillok.histor[...]
1539-10-24
[35]
웹사이트
『明宗実録』巻第1
http://sillok.histor[...]
1545-08-02
[36]
간행물
『明宗実録』巻第2
http://sillok.histor[...]
1545-09-05
[37]
간행물
『明宗実録』巻第2
http://sillok.histor[...]
1545-09-11
[38]
간행물
『明宗実録』巻第4
http://sillok.histor[...]
1546-09-05
[39]
간행물
『明宗実録』巻第4
http://sillok.histor[...]
1546-09-10
[40]
간행물
『明宗実録』巻第11
http://sillok.histor[...]
1551-06-01
[41]
간행물
『明宗実録』巻第18
http://sillok.histor[...]
1555-06-19
[42]
간행물
중종실록 52권, 중종 19년 10월 27일 무오 1번째기사
1524-10-27
[43]
간행물
중종실록 53권, 중종 20년 2월 9일 무술 1번째기사
1525-0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