옌볜 과학기술대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옌볜 과학기술대학은 1989년 설립 추진을 시작하여, 1992년 정식 개교한 중국의 사립대학이었다. 한국계 미국인 김진경 박사가 설립했으며, 연세대학교, 숭실대학교 등 한국의 여러 대학과 학술 교류 협정을 맺었다. 2018년 신입생 모집이 중단되었고, 2021년 30년의 토지 임대 계약 만료와 함께 폐교되었다. 이 대학은 생물화공학부, 재료기계자동화공학부 등 다양한 학부와 부속 기관을 운영했으며, 설립자 김진경 박사는 교육 철학을 바탕으로 공산주의 체제 하의 젊은이들을 교육하고자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1년 폐교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1910년 공립 진주실업학교로 개교한 경남과학기술대학교는 국립 진주산업대학교를 거쳐 교명 변경 후 농업 및 산업 분야 인재 양성에 기여했으나, 2021년 경상대학교와의 통합으로 경상국립대학교 칠암캠퍼스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 2021년 폐교 - 나까오사까조선초급학교
나카오사카조선초급학교는 1947년 오사카에 설립되어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21년 폐교된 조선학교이다. - 옌지시 - 옌지 차오양촨 국제공항
옌지 차오양촨 국제공항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옌지시에 위치하며, 1952년 군용 비행장으로 개항하여 여러 차례 확장 공사를 거쳐 국제선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 옌지시 - 옌볜 대학
옌볜 대학은 중국 지린성 옌지시에 위치한 종합 대학으로, 조선족 인재 양성의 중심 역할을 하며 동북아시아 연구의 허브이자 국제 교류를 활발히 하는 211공정 중점 대학이다.
옌볜 과학기술대학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교훈 | 진리, 평화, 사랑 |
설립일 | 1992년 |
유형 | 사립 |
총장 | 김진경 |
위치 | 지린 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옌지 시 |
학부생 | 약 1,800명 |
교수진 | 약 400명 (직원 포함) |
웹사이트 | www.yust.edu ifec.or.kr |
다른 이름 | 연과대 / YUST |
표기 | |
간체 | 延大科学技术学院 |
번체 | 延大科學技術學院 |
병음 | Yándà Kēxué Jìshù Xuéyuàn |
한국어 | 연변과학기술대학 |
한자 | 延大科學技術學院 |
로마자 표기 | Yeonbyeon Gwahak Gisul Daehak |
2. 역사
옌볜 과학기술대학은 조선족 교육과 지역 발전을 목표로 한국계 미국인 김진경 박사의 주도로 설립된 중국 최초의 중외(中外) 합작 대학이었다. 1988년 김진경 박사의 옌볜 방문을 계기로 설립이 추진되어, 1989년 옌지 시 정부와 합의하고 미국과 한국에 재단 및 후원회를 설립하며 기반을 마련했다. 지린성 및 중국 중앙 정부의 승인을 거쳐 1992년 '옌볜 과학기술대학'으로 교명을 정하고 부속 기관을 개교했으며, 1993년 본과와 전과 과정을 개설하며 정식으로 대학 운영을 시작했다.
개교 이후 국내외 여러 대학, 연구기관, 기업과 활발히 교류하며 과학기술 인재 양성과 동북아 발전에 기여하고자 했다. 1996년에는 잠시 연변대학과 통합되기도 했으나 2000년에 다시 분리되었다. 1998년에는 설립자 김진경 총장이 북한 방문 중 간첩 혐의로 억류되었다 석방되는 사건도 있었다.
2018년부터 신입생 모집을 중단했으며, 외국인 운영 교육기관에 대한 중국 정부 정책 변화 등의 영향 속에서 30년간의 토지 임대 계약 만료 후 옌지 시 정부가 계약을 연장하지 않아 2021년 6월 폐교되었다. 폐교 배경에는 민족 문제나 종교 활동에 대한 중국 당국의 고려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2. 1. 설립 배경

옌볜과학기술대학의 설립은 1988년 10월, 한국계 미국인인 김진경이 옌볜 지역을 방문하면서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그는 이 방문을 통해 대학 설립의 필요성을 느끼고 구상을 시작했다.
이후 1989년 8월, 대학 설립을 위한 추진위원회와 후원회가 조직되었다. 같은 해 10월, 옌지 시 정부와 김진경은 초기 교명인 '연변 조선족 과학기술 전문학교' 설립에 합의하고, 본부 건물과 학사동 건설을 위한 기공식을 가졌다.
1990년 1월에는 미국에 대학 운영을 위한 재단(연변과학기술대학 재단)이 설립되어 법적으로 등록되었다. 같은 해 3월에는 기존의 전문학교 설립 계획을 변경하여 4년제 기술대학으로 설립하기로 합의하고 이를 공증받았다.
설립 승인 절차는 1991년에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3월에는 지린성 인민정부 교육위원회로부터 학교 개설을 공식적으로 비준받았고, 4월에는 대한민국 외교부로부터 사단법인 형태의 연변과학기술대학 후원회 설립을 승인받았다. 이어 6월에는 중국 중앙정부인 국가교육위원회로부터 최종적으로 학교 설립 비준을 받았다.
1992년 2월에는 '중국 연변 조선족 과학기술 전문학교' 설립에 관한 최종 합동서가 체결되었으나, 같은 해 6월 중국 국가과학기술위원회와 '연변 중장기 국토 종합개발 계획'을 체결하는 등 발전을 거듭했다. 마침내 1992년 9월, 학교 이름을 '연변과학기술대학'으로 공식 변경하고, 부속 기관인 산업기술훈련학교를 개교했다. 이 시기에 본부동과 학사동 건물도 완공되었다.
1993년 9월 9일, 연변과학기술대학은 4년제 본과와 2년제 전과 과정을 정식으로 개교하며 본격적인 학사 운영을 시작했다.
2. 2. 설립 과정
옌볜 과학기술대학의 설립은 1988년 10월, 한국계 미국인 김진경 박사(초대 총장)가 연변을 방문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듬해인 1989년 8월, 대학 설립을 위한 추진위원회와 후원회가 조직되었다. 같은 해 10월, 김진경 박사는 옌지 시 정부와 '연변 조선족 과학기술 전문학교' 설립에 합의하고 본부동과 학사동 건설을 위한 기공식을 가졌다.
1990년 1월에는 미국에 '연변 조선족 기술대학 재단'(또는 중한기술대학 재단)이 설립되어 법적으로 등록되었다. 1990년 3월, 당초 3년제 기술 전문대학으로 계획되었던 학교는 옌지 시와 미국 측의 합의를 통해 4년제 기술대학으로 변경되었다.
학교 설립 승인 절차는 1991년부터 본격화되었다. 1991년 3월, 지린성 인민정부 교육위원회가 학교 설립을 비준하였고, 같은 해 4월에는 대한민국 외교부의 승인을 받아 사단법인 '연변과학기술대학 후원회'가 한국에서 설립되었다. 이어 1991년 6월(일부 자료에는 8월), 중국 국가교육위원회가 최종적으로 학교 설립을 비준했다(敎外美 [1991]239호).
1992년 6월, 대학은 중국 국가과학기술위원회와 '연변 중장기 국토 종합개발 계획'을 체결하며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할 기반을 마련했다. 같은 해 9월, 교명을 '연변과학기술대학'으로 공식 변경하고, 부속 기관인 산업기술훈련학교(산업 정보 훈련원, 건설 기술 훈련원, 기아 기술 훈련원)를 개교했다. 이때 대학 본부동과 학사동 건물이 완공되었다.
1993년 4월에는 대학 발전을 위한 추진위원회가 결성되었고, 7월에는 부속 산업기술훈련원의 첫 졸업생(200명)을 배출했다. 마침내 1993년 9월 9일, 옌볜 과학기술대학은 본과(4년제, 173명)와 전과(2년제, 86명) 과정을 정식으로 개교하며 본격적인 학사 운영을 시작했다. 이 시기에 식당동과 기숙사(숙사동) 공사도 완료되었다.
2. 3. 발전 및 교류

1992년 9월, 옌볜 과학기술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고 부속 산업기술훈련학교를 개교하였다. 이듬해인 1993년 9월에는 본과(4년제)와 전과(2년제) 과정을 정식으로 개설하며 본격적인 대학 교육을 시작했다.
개교 초기부터 대한민국 내 대학들과 활발한 교류를 추진했다. 1993년 10월 연세대학교와의 학술 교류 협정을 시작으로, 이후 숭실대학교(1994), 한양대학교(1994), 포항공과대학교(1995), KAIST(1996) 등 주요 대학들과 연이어 협정을 체결하며 학문적 교류의 폭을 넓혔다. 아래는 대한민국 대학들과의 주요 학술 교류 협정 체결 현황이다.
연도 | 협정 체결 대학 |
---|---|
1993 | 연세대학교 |
1994 | 숭실대학교, 한양대학교 |
1995 | 포항공과대학교, 인제대학교 |
1996 | KAIST, 한동대학교 |
1997 | 창신대학 |
1998 | 인천대학교 |
1999 |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한남대학교, 명지대학교, 전주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성결대학교, 광운대학교, 호서대학교 |
2000 | 남서울대학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경북과학대학, 제주교육대학교, 선린대학, 강릉대학교(현 강릉원주대학교), 충북대학교 |
2001 | 세종대학교, 경기대학교, 영동전문대학교(현 유원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부대학교, 경도대학, 고신대학교,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마산대학교, 경남대학교, 배재대학교 |
2002 | 세명대학교, 건국대학교, 창원기능대학(현 한국폴리텍VII대학 창원캠퍼스), 한림대학교, 고려대학교, 충주대학교(현 한국교통대학교), 숭의여자대학, 계명대학교, 동서대학교 |
2003 | 성서대학교, 동명정보대학교(현 동명대학교), 한밭대학교, 천안공업대학(현 공주대학교 공과대학) |
2004 | 한국항공대학교, 동아대학교, 서울대학교, 한라대학교 |
2005 | 한국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명지전문대학 |
2006 | 조선대학교, 전북대학교, 부경대학교, 단국대학교, 서강대학교 |
2007 | 공주대학교 |
2008 | 경북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관동대학교(현 가톨릭관동대학교) |
2009 | 강원대학교, 금오공과대학교, 우석대학교, 목포대학교, 국민대학교,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나사렛대학교 |
2010 | 창원대학교 |
대학뿐만 아니라 한국의 여러 연구기관 및 기업과도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1996), 포항산업과학연구원(1998), 한국농촌진흥청(1998), 한국전기통신공사(1999), 삼성전기(2000), 한국원자력연구소(2002), LG CNS(2007), 안철수연구소(2009), KT(2009) 등과의 협력을 통해 연구 및 산업 기술 분야에서도 교류를 이어갔다.
국제적으로도 미국, 중국, 독일, 일본, 러시아, 스위스, 몽골, 캄보디아, 가나, 우간다 등 여러 국가의 대학 및 기관과 교류 협정을 맺었다. 대표적으로 미국 리버티 대학교(1995), 중국과학기술대학(1995), 독일 베를린 공과전문대학(1996), 일본 오사카정보컴퓨터전문학교(1996) 등과 협력 관계를 맺으며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확장했다.
1996년 9월에는 연변대학과 통합되었으나, 2000년에 다시 분리되었다.
1998년에는 김진경 총장이 북한 방문 중 안기부 스파이 혐의로 체포되었다가 43일 만에 석방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북한 측은 김 총장이 혐의를 자백했으나 미국 국적 등을 고려해 관대하게 처분했다고 발표했다. 이 사건은 대학의 대북 관계 및 역할에 대한 국내외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2000년대에도 꾸준히 발전을 이어가며 다양한 학술 행사와 국제 교류를 지속했다. 그러나 2018년부터 신입생 모집을 중단했으며, 2019년에는 외국인의 학교 경영을 금지하는 중국 정부의 새로운 규정에 따라 2년 후 중국인 경영의 사립대학으로 전환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결국 2021년 6월 17일, 마지막 졸업식을 끝으로 폐교되었다. 30년간의 토지 대여 기간이 만료되었고, 옌지 시 정부가 계약을 연장하지 않은 것이 직접적인 원인이었다. 계약 연장이 불발된 명확한 이유는 공식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으나, 대학 관계자들은 중국 당국의 민족 통합 정책 강화 기조 속에서 조선족 정체성 및 기독교 관련 활동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2. 4. 폐교
2018년, 신입생 모집을 중단하였다. 2019년, 외국인의 학교 경영을 금지하는 중국 정부의 새로운 규정이 발표되었다. 이에 따라 2년 후 중국인이 경영하는 사립대학으로 전환될 예정이었으나, 이는 실현되지 못했다.2021년 6월 12일부터 13일까지 마지막 홈커밍데이가 열렸으며, 같은 해 6월 17일, 2017년에 입학한 학생들의 졸업식을 마지막으로 공식적으로 폐교되었다. 폐교의 직접적인 원인은 설립 당시 체결했던 30년간의 토지 임대 계약 기간이 만료되었고, 옌지시 정부가 계약 연장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계약이 연장되지 않은 명확한 이유는 공식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으나, 대학 관계자들은 민족 통합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와 대학 내 기독교 관련 활동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021년 7월, 중국 정부와의 계약 만료로 인해 옌볜 과학기술대학은 최종적으로 운영을 중단했다.
3. 학부
화학공정 및 공예
통신공정
국제경제 및 무역
독일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