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왕의 얼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왕의 얼굴》은 2014년에 방영된 KBS 2TV의 수목 드라마이다. 광해군을 중심으로, 선조와 김가희 사이의 삼각관계, 그리고 관상을 통해 운명이 결정되는 시대적 배경을 다룬다. 서인국, 이성재, 조윤희 등이 출연했으며, 표절 논란과 시청률, 수상 경력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미얀마, 인도네시아, 태국 등 해외에서도 방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선조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명불허전 (드라마)
    명불허전은 2017년 tvN에서 방영된 드라마로, 침을 든 조선 최고의 한의사 허임과 메스를 든 현대 의학 신봉자 외과의 최연경이 400년을 뛰어넘어 조선과 현대를 오가며 펼치는 메디활극이다.
  • 조선 선조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구가의 서
    구가의 서는 1570년대에서 1590년대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반인반수 최강치가 인간이 되기 위해 구가의 서를 찾아가는 과정을 그린 판타지 액션 멜로 드라마다.
  • 조선 광해군을 소재로 한 작품 - 왕의 여자
    왕의 여자는 2003년 SBS에서 방영된 조선 시대 배경의 드라마로, 궁녀 김개시와 광해군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김개시의 정치적 야망, 광해군 옹립 과정, 선조 시대 궁중 암투를 다루며, 박선영과 지성이 주연을 맡아 지성이 SBS 연기대상 드라마스페셜 부문 남자연기상을 수상했다.
  • 조선 광해군을 소재로 한 작품 - 회천문
    회천문은 조선 시대의 주요 역사적 사건들을 배경으로 광해군, 인조, 선조 등을 등장시켜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광해군의 개혁 정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드라마이다.
  • 이향희 시나리오 작품 - 신세대 보고 - 어른들은 몰라요
    신세대 보고 - 어른들은 몰라요는 KBS에서 1995년부터 1998년까지 방영된 청소년 드라마로, 성장기 청소년들의 세계를 어른들과 함께 고민하고 가정 교육 문화 정착에 기여하고자 기획되었으며, 1997년 한국방송대상 어린이청소년부문 우수작품상을 수상했다.
  • 이향희 시나리오 작품 - 쩐의 전쟁
    2007년 SBS에서 방영된 드라마 쩐의 전쟁은 돈 때문에 모든 것을 잃은 남자가 사채업에 뛰어들어 돈에 복수하려다 돈의 노예가 되는 과정을 그린 휴먼 드라마로, 황금만능주의와 한탕주의 세태를 비판하며 높은 시청률과 SBS 연기대상 다수 상을 수상했고, 2015년 일본에서 리메이크되었다.
왕의 얼굴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홍보 포스터
장르시대극
로맨스
정치
각본이향희
윤수정
연출윤성식
차영훈
출연서인국
조윤희
이성재
김규리
신성록
국가대한민국
언어한국어
시즌 수1
에피소드 수23
책임 프로듀서정해룡
프로듀서황인혁
박우람
촬영지대한민국
방송 시간수요일, 목요일 21:55 (KST)
제작사왕의 얼굴 문화산업전문유한회사
KBS 미디어
방송 채널한국방송공사
첫 방송2014년 11월 19일
마지막 방송2015년 2월 5일
관련 명칭
한국어왕의 얼굴
로마자 표기Wang-ui Eolgul
영어 제목The King's Face
제작 정보
기획황의경 (KBS 드라마본부)
제작왕의 얼굴 문화산업전문유한회사
KBS 미디어
조연출차영훈
음악오준성
촬영오재상
위창석
미술정홍극
기타 정보
시청 등급15세 이상 시청가
자막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고화질 방송 여부HD 제작 · 방송
관련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왕의 얼굴 홈페이지
시대적 배경
시대조선 선조 시대

2. 역사적 배경

광해군이 왕위에 오르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드라마 《왕의 얼굴》은 16세기 말 이씨 조선 선조 시대를 배경으로 하며, 판타지 요소를 더한 창작 시대극이다.

극 중에는 "관상가"라고 불리는, 사람의 얼굴 생김새(상)를 읽는 일종의 점쟁이가 등장한다. 관상가에 의해 왕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예언된 14대 조선 왕 선조는 예언을 믿지 않고 국정을 운영하지만, 잇따라 발생하는 재앙에 시달린다.

15대 왕이 될 광해군은 처음에는 재미로 관상에 관심을 가지지만, 많은 실패를 겪는다. 그러나 백성들의 생활고와 아버지 왕의 고난에 동정하며 스스로 복잡한 문제 해결에 힘쓰고, 점차 궁중 안팎의 다양한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면서 성장한다. 사람의 마음을 읽고 조종하는 힘을 익히며, 마침내 관상가의 진실에 다가간다.

작품은 로맨스적인 요소도 포함하지만 주축은 아니며, 주요 등장인물 대부분이 어떤 형태로든 무술을 연마하고 있어 유혈 사태가 벌어지는 격투 장면도 많다. 또한 정치적인 술책, 관상이라는 수수께끼의 기술을 이용하여 교묘하게 사람을 유도하고 속고 속이는 서스펜스적인 색채가 강하다.

이야기 속에는 기근이나 역병과 같은 자연 재해 외에도 타국과의 충돌이 나타난다.

드라마 전 에피소드 시작 부분에는 이야기가 허구라는 주의 문구가 표시되어 가상성을 강하게 암시하고 있다.

2. 1. 임진왜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 침략(임진왜란) 및 명나라, 후금과 같은 타국과의 충돌도 극 중에 나타나며, 각국 인물들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2. 2. 명나라와의 관계

이야기 속에는 명나라후금 등 타국과의 충돌도 있으며, 연출을 통해 각국 인물들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1]

2. 3. 후금(여진)과의 관계

努爾哈赤|누르하치중국어는 16세기 말 명나라의 혼란기에 새롭게 떠오른 세력인 후금을 건국하였다.[1] 이 시기 조선은 선조 시대였으며, 임진왜란을 겪는 등 대내외적으로 혼란한 상황이었다.[1]

3. 등장 인물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6]

배역배역 설명
서인국광해군
조윤희김가희 역
전민서어린 김가희 역
이성재선조 역
김규리귀인 김씨 역
신성록김도치 역
고원희인목왕후
임지은의인왕후
김희정폐서인 유씨 역
최승훈의안대군 역
박주형임해군
윤봉길임영신 역
조원희김두서 역
김현숙박씨 부인 역
안석환이산해
송민형유승 역
이청유자신 역
김방원강진열 역
지서윤홍숙용 역
원덕현신성군 역
서현석정원군 역
박준목어린 정원군 역
주진모정철
이병준김공량 역
민송아박 상궁 역
이순재백경 역
김명곤송 내관 역
이기영고산 역
최철호정여립
윤진호서용 역
이상인진영 역
임수현송월 역
박재민봉두 역
최강원오길 역
정문엽삼길 역
오은호오 상궁 역
고인범장수태 역
백재진무철 역
윤빛나경산 역
김열갑이 역
김서정연주 역



광해군후궁의 아들로 조선의 세자가 된 후 16년 동안 폐위와 살해 위협에 시달렸다. 그는 관상을 통해 권력을 얻고자 했으며, 선조와 갈등을 겪으며 정치와 사랑에서 경쟁자가 되었다.

3. 1. 주요 인물


  • 서인국 : 광해군 역 (아역 홍은택, 서동현)
  • : 조선의 15대 국왕, 선조의 아들, 는 혼(琿). 선조의 첫 번째 후궁이었던 공빈 김씨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임진왜란이라는 변수 속에서 얻은 세자 자리를 무려 16년간 지켜내고 견뎌낸 비운의 왕이었으며, 재위기간 내내 기득권 세력과 싸웠던 개혁군주였다.[6]
  • 이성재 : 선조 역 (아역 홍태의)
  • : 조선의 14대 국왕, 광해의 아버지, 휘는 연(昖).[6] 왕권 계승의 정통성에 대한 콤플렉스와 누군가 자신의 왕좌를 노리고 있다는 불안으로 광증에 시달리는 소심하고 예민한 성격의 애처로운 임금.
  • 조윤희 : 김가희 역 (아역 전민서)
  • : 선조의 승은상궁이자 광해의 첫사랑, 이름은 가희. 실제 이름은 김개시.[6] 조선시대라는 신분제사회에서 스스로 운명을 개척한 여성으로 광해와 선조의 사랑을 동시에 받았으며, 광해와는 평생을 서로 아끼고 그리워했다.
  • 신성록 : 김도치 역[6]
  • : 대동계의 일원. 백정의 자식으로 태어나 귀천 없는 대동한 세상을 이루겠다는 꿈을 꾸며, 정여립과 함께 대동계를 만들고 왕이 되어 보겠다는 욕망을 품는다.
  • 김규리 : 귀인 김씨[6]
  • : 후의 인빈, 선조의 두번째 후궁, 후일 정원군의 아들인 인조의 조모. 신성군과 정원군의 모후로 아들 신성을 보위에 올리기 위해 정치적 야심을 불태우는 여인으로 선조가 생애 가장 총애했던 후궁이다.

3. 2. 광해군의 주변 인물


: 선조의 첫번째 왕비이자 광해군의 양모이다. 외유내강형 성품으로 왕실의 안주인 역할을 해내지만 몸이 허약해 후사가 없었던 탓에 선조의 마음을 잡지 못하고 그림자처럼 살아간 비운의 여인이다.
: 이름은 정화. 광해의 부인. 임진왜란 때 광해가 세자로 책봉되자 세자빈에 봉해졌으나, 광해의 마음 속에 다른 누군가가 있음을 간파하고 배신감을 느끼며 경계하게 된다.
: 선조의 서장자이자 광해의 형, 이름은 진(珒)이다. 선조의 장자로 태어났으나 거칠고 난폭하여 세자가 되지 못했고, 용상을 향해 빗나간 포부를 품었던 호탕한 왕자이다.
: 광해의 호위무사 겸 내관. 광해의 유일한 최측근 충신이자, 광해에게 있어 속을 털어놓는 사가의 벗 같은 존재이다.
: 광해의 조력자이다.
: 임진왜란 때 광해에게 황해도 초토사로 임명되고, 연안 전투에서 승리하고 돌아온다.

3. 3. 선조의 주변 인물


: 대북의 수뇌. 신념보다는 정치적 상황에 따라 움직이며 선조의 마음을 간파하여 신성군을 세자로 책봉시키려고 하나, 속으로는 광해군을 왕재로 생각한다.
: 서인의 수뇌. 조선 중기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당대 최고의 풍류객이자 냉혹한 정치가, 왕 앞에서도 직언과 독설을 서슴지 않는 강직하고 불 같은 성격의 소유자.
: 이산해와 함께 동인을 이끄는 중요 대신.
: 광해군의 장인.
: 내금위장, 선조의 최측근 충신.
: 선조의 후궁.
: 선조의 두번째 왕비.

3. 4. 김가희의 주변 인물


  • 조원희 : 김두서 역 - 가희의 부친. 홍문관 부제학으로서 정여립이 유일하게 믿고 의지했던 벗이었으나 결국 정여립의 난으로 인해 집안이 멸문지화를 당한다.[6]
  • 김현숙 : 박씨 역 - 가희의 모친이자 김두서의 처.[6]

3. 5. 귀인 김씨의 주변 인물


  • 이병준 : 김공량 역 - 귀인 김씨의 오빠. 선조의 총애를 받는 누이 덕에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며 부정축재와 뇌물로 재산을 모아 백성들의 원성을 샀다.
  • 민송아 : 박상궁 역 - 귀인 김씨를 모시는 상궁.
  • 원덕현 : 신성군 역 - 선조와 인빈 김씨 사이의 넷째 아들. 휘는 후(珝).
  • 서현석 : 정원군 역 (아역 박준목) - 선조의 다섯째 서자이자 훗날 인조의 아버지로 추존된 왕 원종. 휘는 부(琈).

3. 6. 관상가


  • 이순재 : 백경 역 - 조선 최고의 관상가. 명종의 비인 인순왕후의 총애를 받았던 관상가로 선조의 상이 절대 왕이 되어서는 안되는 상이라고 직언한 죄로 목숨을 위협받고 조정에서 사라지는 비밀스러운 인물.[6]
  • 김명곤 : 송내관 역 - 선조의 책사이자 멘토, 광해군의 관상 스승. 선조의 뿌리 깊은 콤플렉스와 ‘용안비서’의 비밀을 알고 있는 유일한 인물.[6]
  • 이기영 : 윤선도 역 - 관상감 소속 종8품 관상학부교수로 선조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고 있는 관상가, 천부적인 재능을 가지고 있지만 그 재능을 자신의 욕망을 위해 사용한다.
  • 이기영 : 고산 역[6]

3. 7. 대동계

최철호정여립 역을 맡아 대동계의 수장을 연기했다. 그는 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없다는 신념으로 신분, 직업, 성별에 차별이 없는 대동계를 조직한다.[11] 윤진호는 서용 역, 이상인은 진영 역, 임수현은 송월 역, 박재민은 봉두 역, 최강원은 오길 역, 정문엽은 삼길 역을 연기했다.

3. 8. 일본

4. 제작 및 방영

2014년 8월, 영화 《관상》 제작사 주피터필름은 KBS를 상대로 저작권 침해 및 불공정 경쟁 행위 관련 가처분 신청을 법원에 제기했다. KBS는 《왕의 얼굴》이 《관상》과 다르다고 반박하며 제작을 강행했고, 법원은 KBS의 손을 들어주었다. 자세한 내용은 '표절 논란' 문단을 참고하라.

4. 1. 표절 논란

2014년 8월 25일, 영화 《관상》 제작사 주피터필름은 KBS를 상대로 저작권 침해 및 불공정 경쟁 행위 관련 가처분 신청을 법원에 제기하며, KBS가 허가 없이 제작한 리메이크작 방영을 금지해달라고 요청했다.[2] 주피터필름 측은 "원 소스 멀티 유즈" 조항을 포함, 《관상》 원작 시나리오에 대한 권리를 소유하고 있으며, 영화, 도서 시리즈, 왕좌를 둘러싼 정치적 싸움에 휘말린 관상가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TV 드라마 제작 목적이었다고 밝혔다. 영화 《관상》은 2013년 900만 관객을 동원했고, 등장인물들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담은 책 두 권이 출간되었다. 주피터필름은 2012년 KBS 미디어에 《관상》을 24부작 TV 드라마로 각색하는 것을 제안, 시나리오와 개요를 전달했고, 쩐의 전쟁 작가 이향희를 리메이크 작가로 언급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KBS 미디어와 주피터필름은 조건에 합의하지 못했고 협상은 결렬되었다. 주피터필름은 KBS 미디어가 계약 철회 후 아이디어를 가져가 자체 버전을 만들었으며, 심지어 제안했던 작가를 고용했다고 주장했다.[2]

KBS는 "'왕의 얼굴'은 인물, 시대, 배경, 플롯과 갈등 구조, 표현 방식 등에서 《관상》과 완전히 다르다"라고 반박했다.[3] 법원 판결 전까지 KBS는 제작을 강행하고 캐스팅 발표를 했다.[3] 2014년 11월 법원은 KBS의 손을 들어주며 표절이 아니라고 판결했다.[4]

5. 평가

2014 KBS 연기대상에서 신성록은 조연상을, 서인국은 남자 신인상을 받았다.[28][29]

연도시상식부문수상자결과
2014KBS 연기대상중편 드라마 부문 남자 우수 연기상서인국후보
중편 드라마 부문 여자 우수 연기상조윤희후보
조연상신성록수상
남자 신인상서인국수상


5. 1. 시청률

2014년
회차방송일TNmS 시청률[28]AGB 시청률[29]
대한민국(전국)서울(수도권)대한민국(전국)서울(수도권)
제1회11월 19일6.5%7.2%7.1%7.3%
제2회11월 20일5.5%5.9%6.1%5.8%
제3회11월 26일5.0%6.2%6.2%6.1%
제4회11월 27일5.5%5.9%6.2%6.3%
제5회12월 3일6.3%7.5%7.2%7.3%
제6회12월 4일5.8%6.5%6.9%6.4%
제7회12월 10일5.5%5.8%6.2%6.2%
제8회12월 11일5.7%6.0%7.7%7.3%
제9회12월 17일5.8%6.5%7.1%7.5%
제10회12월 18일5.9%7.0%6.9%6.9%
제11회12월 24일5.6%5.8%6.5%6.5%
제12회12월 25일5.8%6.0%7.3%7.1%
2015년
제13회1월 1일5.8%7.8%7.8%8.1%
제14회1월 7일6.1%6.6%7.3%7.5%
제15회1월 8일6.5%7.3%6.9%6.8%
제16회1월 14일6.5%7.1%7.0%7.4%
제17회1월 15일6.4%7.3%6.5%6.7%
제18회1월 21일7.1%8.9%8.2%8.8%
제19회1월 22일6.9%7.5%7.8%8.6%
제20회1월 28일7.7%7.9%7.6%8.3%
제21회1월 29일7.2%8.2%8.5%9.2%
제22회2월 4일7.3%8.6%8.1%9.1%
제23회2월 5일'''8.3%'''9.8%'''9.1%'''10.0%
평균 시청률6.3%7.1%7.2%7.4%






'''TNmS와 AGB에서 제공'''한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5. 2. 수상 경력

년도시상식부문수상자결과
2014KBS 연기대상중편 드라마 부문 남자 우수 연기상서인국후보
중편 드라마 부문 여자 우수 연기상조윤희후보
조연상신성록수상
남자 신인상서인국수상


6. 해외 방영

} 방송 (일본어 자막 포함). 7월 31일은 1화 방송.

|-

| TV 도쿄(テレビ東京)

| 2015년 11월 30일 - 2016년 1월 6일 (매주 월~금 08:15 - 09:11)

| 2개 국어 방송 (일본어 자막 포함)

|-

| TV 아이치(テレビ愛知)

| 2016년 1월 25일 - 2016년 2월 24일 (매주 월~금 09:00 - 10:00)

| 2개 국어 방송 (일본어 자막 포함)

|-

| rowspan="2" | TV 오사카(テレビ大阪)

| 2016년 1월 26일 - 2016년 2월 26일 (매주 월~금 11:59 - 13:00)

| 2개 국어 방송 (일본어 자막 포함)

|-

| 2021년 5월 20일 - 2021년 6월 21일 (매주 월~금 11:59 - 12:57)

| 재방송

|-

| rowspan="2" | TVQ 규슈 방송(TVQ九州放送)

| 2016년 2월 9일 - 2016년 3월 10일 (매주 월~금 08:00 - 09:00)

| 2개 국어 방송 (일본어 자막 포함)

|-

| 2019년 6월 19일 - 2019년 7월 22일 (매주 월~금 15:00 - 16:00)

| 재방송

|-

| TV 세토우치(テレビせとうち)

| 2016년 2월 29일 - 2016년 3월 30일 (매주 월~금 08:00 - 08:55)

| 2개 국어 방송 (일본어 자막 포함)

|-

| rowspan="2" | TV 홋카이도(テレビ北海道)

| 2016년 3월 22일 - 2016년 4월 21일 (매주 월~금 09:25 - 10:25)

| 2개 국어 방송 (일본어 자막 포함)

|-

| 2020년 4월 13일 - 2020년 5월 14일 (매주 월~금 09:30 - 10:25)

| 재방송

|-

| 신에츠 방송(信越放送)

| 2016년 4월 1일 - 2016년 5월 3일 (매주 월~금 13:55 - 14:50)

| 2개 국어 방송 (일본어 자막 포함)

|-

| rowspan="2" | BS 재팬(현: BS TV 도쿄)(BSテレビ東京|BSジャパン(現:BSテレ東))

| 2016년 4월 27일 - 2016년 5월 27일 (매주 월~금 10:57 - 12:00)

| 2개 국어 방송 (일본어 자막 포함)

|-

| 2023년 1월 13일 - (매주 월~금 10:55 - 12:00)

| 재방송

|-

| LaLa TV

| 2016년 5월 5일 - 2016년 6월 6일 (매주 월~금 08:30 - 09:45)

| LaLa TV|LaLa TV일본어 방송 (일본어 자막 포함)

|-

| rowspan="3" | 아시아 드라마틱 TV(アジアドラマチックTV)

| 2017년 2월 20일[16] - 3월 22일[17] (매주 월~금 12:00 - 13:10~25분경)

| 방송 (일본어 자막 포함)

|-

| 2017년 6월 10일[18] - 7월 9일[19] (매주 토요일 18:00 - 21:15경, 매주 일요일 16:00 - 21:15경)

| 재방송. 6월 10일은 1화만 20:00부터 21:15경까지 방송. 토요일은 2화 연속, 일요일은 3화 연속 방송 (일본어 자막 포함)

|-

| 2017년 6월 28일[20] - 8월 1일[21] (매주 월~금 03:30 - 04:45경)

| 재재방송

|-

| BS 닛폰(BS日本|BS日テレ)

| 2017년 9월 22일 - 2017년 10월 24일 (2017년 9월 22일부터 9월 29일까지 매주 월~금 10:00 - 10:55, 2017년 10월 2일부터 10월 24일까지 매주 월~금 12:00 - 13:00[22])

| 방송 (일본어 자막 포함)

|-

| KBS World

| 2017년 11월 18일 - 2018년 2월 4일 (매주 토·일요일 23:00 - 익일 00:10)

| 방송 (일본어 자막 포함)

|-

| UTY TV 야마나시(テレビ山梨|UTYテレビ山梨)

| 2018년 10월 10일 - 2018년 11월 9일 (매주 월~금 14:54 - 15:49)

|

|-

| rowspan="3" | 채널 은하(チャンネル銀河)

| 2019년 4월 3일 - 2019년 5월 3일 (매주 월~금 21:30 - 22:45)

| 방송 (일본어 자막 포함)

|-

| 2019년 7월 30일 - 2019년 8월 14일 (매주 월~금 14:30 - 17:00)

| 재방송, 2화 연속 방송

|-

| 2019년 10월 16일 - 2019년 11월 19일 (매주 월~금 05:00 - 06:15)

| 재방송

|-

| 선 TV(サンテレビ)

| 2019년 10월 29일 - 2019년 11월 28일 (매주 월~금 13:00 - 13:56)

| 2개 국어 방송 (일본어 자막 포함)

|-

| KBS 교토(京都放送|KBS京都)

| 2020년 4월 7일 - 2020년 6월 23일 (매주 화요일 21:00 - 21:55, 22:00 - 22:55)

| 2개 국어 방송 (일본어 자막 포함). 2화 연속 방송

|-

| rowspan="4" | TBS 채널 1(TBSチャンネル#TBSチャンネル1 最新ドラマ・音楽・映画|TBSチャンネル1)

| 2020년 4월 8일 - 2020년 4월 27일 (매주 월~금 20:30 - 22:50)

| 방송 (일본어 자막 포함). 2화 연속 방송

|-

| 2020년 5월 5일 - 2020년 5월 20일 (매주 월~금 03:30 - 05:50)

| 재방송. 2화 연속 방송

|-

| 2020년 7월 14일 - 2020년 7월 31일 (매주 월~금 03:30 - 05:50)

| 재방송. 2화 연속 방송

|-

| 2020년 9월 2일 - 2020년 9월 17일 (매주 월~금 03:30 - 05:50)

| 재방송. 2화 연속 방송

|-

| rowspan="2" | TBS 채널 2(TBSチャンネル#TBSチャンネル2 名作ドラマ・スポーツ・アニメ|TBSチャンネル2)

| 2020년 6월 17일 - 2020년 7월 2일 (매주 월~금 12:00 - 14:20)

| 재방송. 2화 연속 방송

|-

| 2020년 8월 7일 - 2020년 8월 25일 (매주 월~금 12:00 - 14:20)

| 재방송. 2화 연속 방송

|-

| rowspan="2" | BS-TBS

| 2020년 9월 7일 - 2020년 10월 14일 (매주 월~목 03:00 - 04:00)

| 2개 국어 방송 (일본어 자막 포함)

|-

| 2021년 6월 11일 - 2021년 7월 13일 (매주 월~금 07:00 - 07:54)

| 재방송

|-

| rowspan="2" | 지바 TV 방송(千葉テレビ放送|チバテレ)

| 2020년 10월 16일 - 2020년 11월 17일 (매주 월~금 09:30 - 10:25)

| 2개 국어 방송 (일본어 자막 포함)

|-

| 2023년 6월 27일 - 2023년 8월 17일 (매주 월~금 09:30 - 10:25)

| 재방송

|-

| 테레타마(テレビ埼玉|テレ玉)

| 2022년 2월 19일 - 2022년 8월 20일 (매주 토요일 12:05 - 13:00)

| 2개 국어 방송 (일본어 자막 포함)

|-

| rowspan="2" | 홈 드라마 채널(ホームドラマチャンネル)

| 2022년 8월 11일[23] - 10월 27일[24] (매주 목·금요일 15:20 - 16:30)

|

|-

| 2022년 8월 15일[25] - 10월 31일[26] (매주 월요일 21:00 - 23:30)

| 재방송. 2화 연속 방송

|}

참조

[1] 웹사이트 Jo picks period drama next http://koreajoongang[...] 2014-08-27
[2] 웹사이트 Producers Of ''The Face Reader'' File Lawsuit Against ''The King's Face'' Drama http://www.kdramasta[...] 2014-08-25
[3] 웹사이트 KBS full steam ahead with King's Face, casts Jo Yoon-hee to star http://www.dramabean[...] 2014-08-26
[4] 웹사이트 The stars of King's Face at production press conference http://www.dramabean[...] 2014-11-14
[5] 뉴스 「王の顔」2月5日、全23話で放送終了 http://news.kstyle.c[...] Kstyle 2015-01-29
[6] 웹사이트 VISUAL -映像- | PONY CANYON ポニーキャニオン - 王の顔 第1巻:DVD http://hp.ponycanyon[...]
[7] Twitter 大関英里 - Twitter https://twitter.com/[...]
[8] Twitter 下山田綾華 - Twitter https://twitter.com/[...]
[9] Twitter 内田岳志 - Twitter https://twitter.com/[...]
[10] Twitter 福沙奈恵 - Twitter https://twitter.com/[...]
[11] Twitter 増元拓也 - Twitter https://twitter.com/[...]
[12] 웹사이트 衛星劇場 番組表(2015年3月15日) https://www.eigeki.c[...] null null
[13] 웹사이트 衛星劇場 番組表(2015年5月31日) https://www.eigeki.c[...] null null
[14] 웹사이트 衛星劇場 番組表(2015年7月16日) https://www.eigeki.c[...] null null
[15] 웹사이트 衛星劇場 番組表(2015年7月31日) https://www.eigeki.c[...] null null
[16] 웹사이트 アジドラ(アジアドラマチックTV) (@AsiaDramaticTV)によるtweet https://twitter.com/[...] 2017-02-19
[17] 웹사이트 アジドラ(アジアドラマチックTV) (@AsiaDramaticTV)によるtweet https://twitter.com/[...] 2017-03-21
[18] 웹사이트 アジドラ(アジアドラマチックTV) (@AsiaDramaticTV)によるtweet https://twitter.com/[...] 2017-06-09
[19] 웹사이트 アジドラ(アジアドラマチックTV) (@AsiaDramaticTV)によるtweet https://twitter.com/[...] 2017-06-09
[20] 웹사이트 アジドラ(アジアドラマチックTV) (@AsiaDramaticTV)によるtweet https://twitter.com/[...] 2017-06-27
[21] 웹사이트 アジドラ(アジアドラマチックTV) (@AsiaDramaticTV)によるtweet https://twitter.com/[...] 2017-07-31
[22] 웹사이트 衛星ソ・イングク時代劇初挑戦「王の顔」第11-15話あらすじ:忍び寄る戦の影~漢陽奪還!予告動画-BS日テレ https://navicon.jp/n[...] navicon 2017-10-05
[23] 웹사이트 ホームドラマチャンネル 番組表(2022年8月11日) https://www.homedram[...] null null
[24] 웹사이트 ホームドラマチャンネル 番組表(2022年10月27日) https://www.homedram[...] null null
[25] 웹사이트 ホームドラマチャンネル 番組表(2022年8月15日) https://www.homedram[...] null null
[26] 웹사이트 ホームドラマチャンネル 番組表(2022年10月31日) https://www.homedram[...] null null
[27] 뉴스 KBS 퓨전사극 '왕의 얼굴' 한자릿수 시청률 종영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5-02-06
[28] 웹사이트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http://www.tnms.tv/r[...]
[29] 웹인용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http://www.agbnielse[...] 2014-10-2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해외 방영
국가채널방영일비고
미얀마MRTV-42015년
인도네시아RTV2016년 4월 23일
태국채널 32017년 1월 10일
일본
위성 극장(衛星劇場)2015년 3월 15일[12] - 5월 31일[13] (매주 일요일 23:00 - 익일 01:30)衛星劇場|위성 극장일본어 방송 (일본어 자막 포함). 2화 연속 방송, 5월 31일은 1화 방송.
2015년 7월 16일[14] - 7월 31일[15] (매주 월~금 05:00 - 07:30)재방송, {{lang|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