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륵은 6세기 대가야의 악사로, 가실왕의 명을 받아 중국의 쟁을 모방하여 가야금을 제작하고 12현금을 작곡했다. 신라 진흥왕에 의해 가야가 병합된 후 신라로 이주하여 가야금과 노래, 춤을 가르쳤으며, 가야금은 신라 궁중 음악으로 채택되어 발전했다. 우륵의 출생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제천, 고령, 충주 등 여러 지역에서 그와 관련된 유적과 설화가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륵 - 우륵박물관
우륵박물관은 가야금의 명인 우륵의 음악 세계를 기리는 박물관으로, 우륵의 생애와 가야금, 그리고 가야 문화를 전시하며, 우륵의 예술 정신을 계승하고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한다.
우륵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우륵 |
한글 | 우륵 |
한자 | 于勒 |
히라가나 | 우로쿠 |
가타카나 | 우루쿠 |
로마자 표기 | Ureuk |
인물 정보 | |
직업 | 악사 |
국적 | 대가야 |
악기 | 가야금 |
2. 생애
《삼국사기》에 따르면, 6세기 대가야의 가실왕의 명을 받아 중국의 쟁을 모방하여 가야금을 발명하고, 12현금을 작곡했다.
신라의 진흥왕에 의해 가야가 병합된 562년 무렵, 국원(충주)으로 이주하여 거문고, 노래, 춤을 가르쳤다고 한다. 이후 가야금은 궁정 음악에 채택되어 신라악 가운데 번성하여 많은 악곡을 낳았고, 일본 궁중에도 전래되었다. 충주에는 금휴포와 탄금대라는 지명이 남아 있다.
《삼국사기》에 가야금과 노래, 춤을 배웠는데, 우륵이 전수한 12곡을 음란한 음악이라며 5곡으로 줄여버렸다. 우륵은 이에 분노했지만, 음악을 들어보고 나서 "즐거우나 음란하지 않고 슬프면서도 비통하지 않다"고 평하며 그들이 바꾼 음악을 인정하였다.
한편 신라의 대신들은 진흥왕에게 "가야를 망친 망국의 음악 따위는 본받을 것이 못 됩니다."라고 가야악을 받아들이지 말 것을 간언하였지만, 진흥왕은 "가야왕이 음란해 망한 것이지 음악이 무슨 죄가 있는가. 성인(聖人)이 음악을 만드신 뜻은 사람의 감정에 호소해 법도를 따르게 하고자 한 것이다. 나라가 잘 다스려지고 못 다스려지고는 음악과 아무 상관없는 것이다."라며, 결국 우륵이 전수한 가야악이 신라의 궁중 음악으로 받아들여졌다고 한다.
2. 1. 가야에서의 활동
가실왕의 명을 받아 중국의 쟁을 모방하여 가야금을 만들고 12현금을 작곡했다. 562년 무렵 신라의 진흥왕에 의해 가야가 병합되자, 국원(충주)으로 이주하여 거문고, 노래, 춤을 가르쳤다. 이후 가야금은 궁정 음악에 채택되어 신라악 가운데 번성하여 많은 악곡을 낳았고, 일본 궁중에도 전래되었다. 충주에는 금휴포와 탄금대라는 지명이 남아 있다.2. 2. 신라에서의 활동
가실왕의 명을 받아 중국의 쟁을 모방하여 가야금을 발명하고, 12현금을 작곡했다.562년 무렵 신라의 진흥왕에 의해 가야가 병합되자 국원(충주)으로 이주하여 거문고, 노래, 춤을 가르쳤다. 이후 가야금은 궁정 음악에 채택되어 신라악 가운데 번성하여 많은 악곡을 낳았고, 일본 궁중에도 전래되었다. 충주에는 금휴포와 탄금대라는 지명이 남아 있다.
2. 3. 우륵의 출생지에 대한 논란
《삼국사기》에는 "악사 성열현 사람 우륵(樂師省熱縣人于勒)"이라고만 기록되어 있을 뿐, 우륵의 출생지에 대한 구체적인 지명은 명시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음상사학적(音相似學的)으로 해석하여 유사한 지명을 비정하고 있는 추세이다.3. 전설 및 유적
《대동지지》(大東地志) 및 《고령군지》(高靈郡誌)에는 고령읍 북쪽에 있는 금곡(琴曲)이 우륵이 공인(工人)을 인솔하여 가야금을 연습한 곳이라고 전하며, 정정곡(丁丁谷)이라고도 불렸다.[1] 《삼국사기》에 우륵의 연고지로 기록된 성열현은 지금의 제천시 청풍면으로 비정된다. 정약용의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는 충주의 탄금대(彈琴臺)와 사휴정(四休亭)을 우륵이 노닐던 곳으로 전하고 있다.
우륵의 고적 및 유물과 기념물 현황은 다음과 같다.
명칭 | 위치 | 내역 | 비고 |
---|---|---|---|
성열현(省熱縣) | 제천시 청풍면 | 우륵 탄생지 | 고읍지, 성열성(省熱城) |
우륵동(于勒洞) | 제천시 의림지 | 우륵 거주처 | 일부 도로 매립 |
악학궤범(樂學軌範) | 서울대 규장각 | 청풍체 하림조 | 가야금, 거문고, 향비파 조현법 악조시초 |
하림궁(河臨宮) | 제천시 금성면 | 우륵 하림조 연주 | 가궁터 옛 청풍토성 비정 |
청풍승평계 | 제천시 청풍면 | 율원조직명단 | 제천군지 자료 |
우륵dang(于勒堂) | 제천시 의림지 | 위패사당 | 와편발견 |
우륵정(于勒井) | 제천시 의림지 | 샘물 | 복원 |
우륵단(于勒壇) | 제천시 의림지 | 우륵 탄금처 | 동산현존 |
우륵대(于勒臺) | 제천시 의림지 | 우륵 탄금처 | 일명 연암(鷰巖) |
우륵정(于勒亭) | 제천시 의림지 | 우륵 선양 | 정자 2008년 |
우륵산(于勒山) | 제천시 의림지 | 우륵 소요처 | 일명 석봉(石峯) |
장금대(長琴垈) | 제천시 백운면 | 신라 3제자 전수 | 원서천변 |
파병암(破甁巖) | 제천시 봉양읍 | 우륵 탄금처 | 장평천 암반 |
금곡(琴谷) | 고령군 쾌빈리 | 우륵 창금작곡 | 일명 정정골 |
우륵기념탑 | 고령군 연조리 | 우륵 기념물 | 1977년 |
고령대가야국악당 | 고령군 지산리 | 우륵 업적계승 | 1988년 |
영정각(影幀閣) | 대가야읍 연조리 | 우륵영정 | 1996년 |
우륵박물관 | 고령군 쾌빈리 | 우륵 관련 자료 전시 | 2006년 |
낭성(娘城) | 충주시 | 우륵 신라 귀화 | 고읍지(古邑址) |
탄금대(彈琴臺) | 충주시 칠금동 | 우륵 탄금처 | 주변지명 금휴포(琴休浦)·칠금동(漆琴洞)·금곡리(琴谷里)·금뇌리(琴腦里)·청금리(廳琴里) |
탄금정(彈琴亭) | 충주시 칠금동 | 우륵 선양 | 정자 1976년 |
악성우륵선생추모비 | 충주시 칠금동 | 우륵추모비 | 1997년 |
우륵당 | 충주시 호암동 | 우륵 예술 계승 국악당 | 1997년 |
우륵 12곡 | 음성군 금왕읍 대소면 삼성면 | 12곡 작곡지 | 상·하가라제와 상·하가곡제는 상`하가라도 비정 |
12현 명사 | 김천시 남면 부상리 | 명사 현(絃) | 부상(扶桑) 누에고치 주산지 |
3. 1. 고령 지역
3. 2. 제천 지역
3. 3. 충주 지역
3. 4. 기타 지역
4. 우륵 관련 유물 및 기념물 현황
5. 우륵이 등장하는 작품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충북 충주시, 국립국악원 중부분원 유치 나선다…‘시민추진단’발대
영동·제천·충주 ‘중부권 국악원 유치’ 3파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