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계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계역은 1985년 8월 22일 수도권 전철 1호선 전철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으로, 3개의 출구가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인근에는 인덕대학교, 인덕공업고등학교 등이 위치해 있다. 2011년 폭우로 인한 산사태로 경원선 이설 공사 중 피해가 발생한 사고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노원구의 전철역 - 석계역
석계역은 서울특별시 성북구와 노원구 경계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6호선의 환승역으로, 1호선은 1985년, 6호선은 2000년에 개통되었으며, 주변에 대학교와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이용객 수가 많다. - 서울 노원구의 전철역 - 광운대역
광운대역은 서울 노원구 월계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춘선 환승역으로, 1939년 연촌역으로 개통, 1963년 성북역으로 변경, 2013년 광운대역으로 역명 변경과 함께 경춘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3면 5선의 지상역이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남영역
남영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상역으로, 1974년 개통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경부선과 경원선을 연결하는 중요한 환승 거점 역할을 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1985년 개업한 철도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1985년 개업한 철도역 - 신용산역
신용산역은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용산역 인근에 위치한 지하철역이다.
월계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월계 (인덕대학교) |
로마자 표기 | Wolgye (Induk Univ.) |
한자 표기 | 月溪驛 |
주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로53길 40 (월계2동 263-1)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개업일 | 1985년 7월 22일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2면 2선 |
노선 | 경원선 |
역 번호 | 118 |
관리역 | 광운대역 |
역 등급 | 3급 |
영업 거리 | 연천 기점 44.0km |
운전 간이역 여부 | 운전 간이역 |
승객 정보 | |
2012년 일평균 승차객 | 11,926명 |
인접 역 | |
1호선 (일반) | 녹천역 ← 월계역 → 광운대역 (인천 방면) |
1호선 (평일 3회) | 녹천역 ← 월계역 → 광운대역 (서동탄 방면) |
1호선 (평일 3회) | 녹천역 ← 월계역 → 광운대역 (의정부 방면) |
사진 정보 | |
![]() | |
![]() |
2. 역사
1985년 8월 22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전철역으로 영업 개시.
1996년 12월 1일 : 남부역사 증축.
2005년 12월 21일 : 동묘앞역 개업으로 1호선 역번호가 119에서 118로 변경.
2009년 12월 1일 :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
2013년 8월 3일 : 북부역사 폐쇄.
2014년 12월 13일 : 신 북부역사 준공.
2017년 9월 3일 : 동부간선도로 확장 사업에 따른 월계 ~ 녹천 구간 이설 완료.
2. 1. 개요
2. 2. 연표
1985년 8월 22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전철역으로 영업 개시.1996년 12월 1일 : 남부역사 증축.
2005년 12월 21일 : 동묘앞역 개업으로 1호선 역번호가 119에서 118로 변경.
2009년 12월 1일 :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
2013년 8월 3일 : 북부역사 폐쇄.
2014년 12월 13일 : 신 북부역사 준공.
2017년 9월 3일 : 동부간선도로 확장 사업에 따른 월계 ~ 녹천 구간 이설 완료.
3. 역 구조
월계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다. 출구는 3개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 1. 개요
3. 2. 승강장
월계역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번 승강장은 의정부, 양주, 동두천중앙, 동두천, 연천 방면으로 운행하는 열차가 사용하고, 2번 승강장은 광운대, 회기, 구로, 부천, 인천 방면으로 운행하는 열차가 사용한다.
4. 이용객 변동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colspan="4" rowspan="2" |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1호선 | 승차 | 15,408 | 9,653 | 9,745 | 9,825 | 7,790 | 7,276 | 7,075 | 7,195 | 7,028 | 6,859 | [6] | |||
하차 | 11,148 | 8,429 | 7,679 | 8,495 | 7,072 | 6,746 | 6,656 | 6,780 | 6,713 | 6,512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1호선 | 승차 | 6,742 | 6,514 | 6,126 | 5,887 | 5,900 | 6,113 | 6,081 | 6,067 | 6,383 | 6,896 | 5,065 | 5,447 | 7,326 | [6] |
하차 | 6,381 | 6,187 | 5,801 | 5,481 | 5,489 | 5,668 | 5,553 | 5,550 | 5,815 | 6,356 | 4,738 | 5,158 | 6,057 |
수도권 전철 1호선 월계역의 최근 일일 평균 승하차 인원 추이(단위: 명)는 다음과 같다.[4]
5. 역 주변
인덕대학교와 인덕공업고등학교가 근처에 있다. 월계중학교, 월계4동행정복지센터, 월계4동치안센터, 녹천중학교, 연지초등학교, 월계2동행정복지센터, 월계2동치안센터, 한국전력공사 노원변전소가 주변에 위치한다.
5. 1. 개요
5. 2. 시설
6. 사고
2011년 7월 폭우로 인해 월계역 주변 초안산에서 경원선 이설 공사 중 산사태가 발생했다. 이 산사태로 자동차 도로와 경원선 선로가 토사에 덮여 많은 피해가 발생했고, 한동안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
7. 인접한 역
wikitable
; 한국철도공사
: 1호선(경원선)
:: 급행
::: '''통과'''
:: 완행
::: 녹천역 (117) - '''월계역 (118)''' - 광운대역 (119)
참조
[1]
웹사이트
Monthly Number of Passengers between Subway Stations
http://www.ktdb.go.k[...]
Korea Transportation Database
2013-10-15
[2]
웹사이트
월계역
http://terms.naver.c[...]
Doosan Encyclopedia
2015-09-23
[3]
웹사이트
월계역
http://terms.naver.c[...]
KRIC
2015-09-23
[4]
웹사이트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http://info.korail.c[...]
[5]
웹사이트
코레일네트웍스 역무 위탁
[6]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1-0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단독] "가방 찾아줘" 지하철역서 흉기 꺼낸 40대 여성 검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