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묘앞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묘앞역은 서울 지하철 1호선과 6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이다. 1호선은 2005년, 6호선은 2000년에 개통되었으며, 2017년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 관할이 되었다. 1호선은 상대식 승강장,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구조이며, 두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주변 시설로는 동묘공원, 동대문시장 등이 있으며, 10개의 출구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종로구의 전철역 - 혜화역
혜화역은 서울 종로구 대학로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4호선 역으로, 1985년 개통 이후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며 대학로, 서울대학교병원, 성균관대학교 인근에 있어 유동 인구가 많고, 2018년 불법촬영 규탄 시위, 2023년 엘리베이터 훼손 논란이 있었다. - 서울 종로구의 전철역 - 종각역
종각역은 서울 종로2가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1974년 개통 이후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며, 주변에 보신각, 영풍문고 등 주요 시설과 역사적 장소가 있고, SC제일은행이 부역명으로 병기되어 있으며, 제야의 종 행사 때는 무정차 통과한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남영역
남영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상역으로, 1974년 개통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경부선과 경원선을 연결하는 중요한 환승 거점 역할을 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동묘앞역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동묘앞역 |
로마자 표기 | Dongmyoap-yeok |
한자 표기 | 東廟앞驛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숭인동 117 서울특별시 종로구 지봉로 지하 24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
노선 | 1호선 6호선 |
승강장 | 3 |
선로 | 4 |
구조 | 지하역 |
개업일 | 2005년 12월 21일 (1호선) 2000년 12월 15일 (6호선) |
역 번호 | 127 (1호선) 636 (6호선) |
1호선 정보 | |
영업 거리 | 서울역 기점 5.2 km |
기점 | 소요산 |
이전 역 | 신설동 |
다음 역 | 동대문 |
역간 거리 | 이전 역: 0.7 km 다음 역: 0.6 km |
6호선 정보 | |
영업 거리 | 응암 기점 25.3 km |
이전 역 | 신당 |
다음 역 | 창신 |
역간 거리 | 이전 역: 0.6 km 다음 역: 0.9 km |
인접 역 | |
1호선 | 신설동 (급행 포함) 동대문 (급행 포함) |
6호선 | 신당 창신 |
기타 정보 | |
승차 인원 (2015년) | 19,117명 |
승하차 인원 (2015년) | 38,719명 |
이미지 | |
![]() | |
![]() |
2. 역사
- 2000년 12월 15일: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 ~ 상월곡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출입구 4개)[1]
- 2001년 11월 16일: 수도권 전철 1호선 환승역 착공
- 2005년 12월 21일: 수도권 전철 1호선 역 신설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 1호선 출구 4개 개설, 6호선 8~9번 출구 개설 (출입구 10개)[1]
- 2017년 5월 31일: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가 통합되어, 1호선·6호선은 서울교통공사의 역이 됨.
당초 6호선 동묘앞역과 1호선 동대문역 사이에 환승 통로를 설치하려 했으나, 환승 통로 길이가 300m로 매우 길어져 계획이 취소되었다. 이후 2000년에 1호선에 신역을 설치하여 6호선 동묘앞역과 환승할 수 있도록 결정했다. [1]
2. 1. 1호선 동묘앞역 건설 배경 및 논란
1974년 8월 15일 1호선이 개통되었을 당시에는 동묘앞역이 없었다. 그러나 2기 지하철 계획이 수립되고 동묘 부근에 6호선 동묘앞역이 건설되면서 1호선과의 환승 문제가 거론되었다.[1]당초 계획은 6호선 동묘앞역과 1호선 동대문역 간의 환승 통로를 약 300m 길이로 연결하여 환승시키려는 것이었으나, 지나치게 길다는 이유로 무산되었다.[1] 그 대신 6호선 개통 직전인 2000년에 1호선 상에 역을 새로 만들어 6호선과 연계시키기로 결정하였다.[1] 1호선 동묘앞역은 2005년 12월 21일에 완공되어 영업을 시작하였다.[1]
이러한 결정은 서울교통공사의 사업에 대한 비판을 낳기도 했는데, 동묘앞역과 동대문역이 지나치게 가까이 붙어있기 때문이다.[1] 동대문역 3번 출구 기준으로 동대문역 8번 출구가 동묘앞역 8번 출구보다 멀 정도이다.[1]
3. 역 구조
동묘앞역은 1호선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6호선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두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구분 | 내용 | |
---|---|---|
지상 | 도로 | 출구 |
지하 1층 | 대합실 | 로비, 고객센터, 상점, 자동판매기, 현금자동입출금기 |
지하 2층 | 1호선 승강장 | 인천, 신창 또는 서동탄행 (남쪽), 소요산, 의정부 또는 광운대행 (북쪽) |
지하 3층 | 6호선 승강장 | 응암행 (서쪽), 신내행 (동쪽) |
1호선의 역 번호는 '''127'''번, 6호선의 역 번호는 '''636'''번이다.
3. 1. 1호선 승강장
1호선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풀스크린 타입)가 설치되어 있다. 상행 승강장은 동쪽에, 하행 승강장은 서쪽에 개찰구로 연결되는 계단이 있다. 6호선으로 환승하려면 상하행 승강장 모두 서쪽에 있는 계단을 내려가 환승 통로를 이용해야 한다. 승강장 번호는 없다.
1호선에는 이 역을 시종착으로 하는 열차가 있다. 이 열차는 신설동역과의 사이에 있는 단락선을 통해 2호선 성수지선으로 진입하여 군자차량사업소까지 회송된다.
3. 2. 6호선 승강장
서울 지하철 6호선 동묘앞역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서울 지하철 1호선으로 환승하려면 승강장 북쪽에 있는 계단을 통해 환승 통로를 이용해야 한다. 승강장 남쪽의 두 계단은 개찰구로 연결되고, 승강장 북쪽 끝 계단은 다른 개찰구로 연결된다. 승강장 번호는 없다.
4. 출구 정보
동묘앞역의 출구는 총 10개이다. 1~3번, 10번 출구는 1호선에 속하며, 4~9번 출구는 6호선에 해당한다. 처음에는 6호선 출구만 1~6번까지 있었고, 이 중 3번과 4번 출구는 완공되지 않은 상태였다. 2005년 12월 21일, 1호선 역이 개통되면서 출구 번호가 전면적으로 변경되었다. 기존 6호선의 1, 2, 5, 6번 출구는 각각 6, 7, 4, 5번으로 변경되었고, 미완공 상태였던 3번과 4번 출구는 8번과 9번으로 개통되었다. 동시에 1호선에는 1, 2, 3, 10번 출구가 새로 만들어졌다.
번호 | 출구 정보 |
---|---|
1 | 숭인공원, 성인파크 |
2 | 숭인2동행정복지센터, 서울전문학교 |
3 | 동묘공원, 동묘, 종로산업정보학교 |
4 | 동묘파출소, 종로산업정보학교, 창신초등학교 |
5 | 창신1동행정복지센터, 청계천 다산교 |
6 | 창신1치안센터, 동대문시장 |
7 | 동문시장 |
8 | 동대문 |
9 | 종로구민회관, 창신3동주민센터, 두산아파트 |
10 | 창신1동행정복지센터 |
5. 주변 시설
동묘앞역 주변에는 다양한 시설이 있다. 출구는 10개가 있으며, 1~3번, 10번 출구는 1호선, 4~9번 출구는 6호선 출구이다.
번호 | 시설 |
---|---|
1번 출구 | 숭인공원 |
2번 출구 | 숭인2동행정복지센터, 서울전문학교 |
3번 출구 | 동묘공원, 종로산업정보학교 |
4번 출구 | 동묘파출소, 종로산업정보학교 |
5번 출구 | 창신1동행정복지센터, 청계천 다산교 |
6번 출구 | 창신1치안센터, 동대문시장 |
7번 출구 | 동문시장 |
8번 출구 | 흥인지문 |
9번 출구 | 종로구민회관, 창신3동주민센터 |
10번 출구 | 창신1동행정복지센터 |
역 주변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6. 이용객 변동
서울 지하철 1호선의 2005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5년 12월 2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1일간, 서울 지하철 6호선의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0년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8][9]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1호선 | 승차 | 미개통 | 2,845 | 5,118 | 6,565 | 7,193 | 7,606 | [8] | ||||
하차 | 3,615 | 5,864 | 7,211 | 7,957 | 8,288 | |||||||
승하차 | 6,460 | 10,982 | 13,776 | 15,151 | 15,893 | |||||||
6호선 | 승차 | 3,094 | 5,113 | 6,326 | 6,021 | 6,141 | 6,504 | 8,673 | 8,744 | 9,234 | 9,285 | [9] |
하차 | 2,753 | 5,334 | 6,487 | 6,273 | 6,386 | 6,712 | 7,996 | 8,215 | 8,700 | 8,917 | ||
승하차 | 5,847 | 10,447 | 12,813 | 12,294 | 12,527 | 13,216 | 16,669 | 16,959 | 17,934 | 18,202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1호선 | 승차 | 7,790 | 8,292 | 8,576 | 9,013 | 9,693 | 9,802 | 10,169 | 10,374 | 10,609 | ||
하차 | 8,436 | 8,943 | 9,112 | 9,497 | 10,255 | 10,381 | 10,793 | 10,980 | 11,155 | |||
승하차 | 16,226 | 17,235 | 17,688 | 18,510 | 19,948 | 20,183 | 20,962 | 21,534 | 21,764 | |||
6호선 | 승차 | 9,610 | 9,862 | 9,599 | 9,479 | 9,656 | 9,314 | 9,209 | 9,153 | 9,465 | ||
하차 | 9,514 | 9,808 | 9,552 | 9,405 | 9,587 | 9,220 | 9,073 | 9,005 | 9,653 | |||
승하차 | 19,125 | 19,669 | 19,151 | 18,884 | 19,243 | 18,534 | 18,282 | 18,158 | 19,118 |
7. 인접한 역
서울 지하철 1호선 | ||
---|---|---|
신설동역 (126) | 연천, 광운대, 청량리 방면 | 동대문역 (128) |
서울 지하철 6호선 | ||
신당역 (635) | 응암 순환 방면 | 창신역 (637) |
참조
[1]
웹사이트
동묘앞역
http://terms.naver.c[...]
Doosan Encyclopedia
2015-09-25
[2]
웹아카이브
서울메트로 > 공사소개 > 운행현황 > 수송통계 자료실
https://web.archive.[...]
2016-03-04
[3]
웹사이트
서울도시철도공사 > 알림정보 > 자료실
http://smrt.co.kr/pr[...]
[4]
위키
서울메트로
[5]
위키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6]
텍스트
1호선 전동차 입고 경로 설명
[7]
텍스트
1호선 전동차 입고 설명 추가 정보
[8]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9]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