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대 철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유대 철학은 유대교의 종교적, 문화적, 윤리적 가치관을 탐구하는 철학적 사상의 전통을 의미한다. 고대 유대 철학은 성서와 탈무드의 가르침에 뿌리를 두며, 알렉산드리아의 필론과 같은 인물들을 통해 그리스 철학과 융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제2성전 붕괴 이후 랍비 유대교가 형성되면서 철학적 사색이 이어졌으며, 이슬람 세계와의 만남을 통해 유대 철학은 카라이파, 무타칼리민 등 다양한 사조의 영향을 받았다. 중세 시대에는 사아디아 가온, 마이모니데스, 솔로몬 이븐 가비롤, 예후다 할레비 등 주요 철학자들이 등장하여 합리주의, 신플라톤주의, 윤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대교 사상을 발전시켰다. 18세기에는 모세 멘델스존의 하스칼라(계몽주의) 운동이 시작되었고, 20세기와 21세기에는 실존주의, 합리주의, 홀로코스트 신학, 과정신학 등 다양한 흐름이 나타났다. 현대 유대 철학은 정통파, 보수파, 개혁파 등 다양한 유대교 종파와 실존주의, 합리주의, 카발라 등 다양한 사상적 경향을 포괄하며, 에마뉘엘 레비나스, 마르틴 부버, 헤르만 코헨 등 많은 철학자들이 유대교적 관점에서 철학적 사유를 전개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대 철학 - 신의 단순성
    신의 단순성은 기독교 신학에서 신의 속성이 신을 구성하는 부분이 아니라는 개념으로, 신은 단순하며 그의 속성과 동일하다는 의미를 가지지만, 그 개념의 유효성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 유대 문화 - 하스칼라
    하스칼라는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유럽 유대인 사회에서 일어난 계몽주의 운동으로, 유대인의 세속 지식 습득과 사회 통합을 장려하며 교육 개혁, 히브리어 문학 부흥, 전통적 유대교 관습 비판을 통해 근대 유대 사회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유대 문화 - 지성소
    지성소는 히브리어에서 유래된 가장 거룩한 장소를 의미하며, 고대 이스라엘 시대에는 성막과 성전에 존재했고, 대제사장만이 들어갈 수 있었으며, 기독교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하나님과의 관계가 회복된 것을 상징한다.
  • 유대인 및 유대교에 관한 - 탈무드
    탈무드는 유대교 구전 율법과 해석을 담은 경전으로, 미슈나와 게마라로 구성되어 유대 율법 해석의 기준이자 유대교 사상과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까지도 유대교 학문의 중심이다.
  • 유대인 및 유대교에 관한 - 홀로코스트
    홀로코스트는 원래 번제를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나, 20세기 중반 이후 나치 독일의 유대인 대량 학살을 지칭하는 용어로 굳어졌으며, 나치의 아리아인 우월주의에 기반하여 700만 명이 넘는 유대인과 기타 소수 민족이 조직적인 학살과 잔혹한 생체 실험으로 희생된 사건이다.
유대 철학
지도
주요 분야
영향순수 형제단
이븐 바자
이슬람교 철학
유대교 칼람
카발라
랍비 유대교
헬레니즘 시대하스몬
사두개파
바리사이파
보에투스파
헬레니즘 시대 인물알렉산드리아의 아리스토불루스
알렉산드리아의 필론
중세 시대
스페인 및 유럽하스다이 이븐 샤프루트
솔로몬 이븐 가비롤
아브라함 바르 히야
바흐야 이븐 파쿠다
유다 하레비
아브라함 이븐 다우드
요세프 이븐 차디크
아브라함 이븐 에즈라
마이모니데스
나크마니데스
사무엘 이븐 티본
요셉 벤 유다
솀토브 이븐 팔라케라
게르소니데스
나르본의 모세
이사악 벤 셰셰트
하스다이 크레스카스
요세프 알보
엘리아 델 메디고
유다 민츠
이사악 아바르바넬
유다 레온 아브라바넬
예멘나탄엘 알 파유미
만수르 이븐 술라이만 알 감마리
기타아이작 이스라엘리
사디아 가온
알 무카마스
히바트 알라 아불 바라카트
이븐 캄무나
입장마이모니데스주의자/반마이모니데스주의자
카발리스트
카라파
탈무드주의자
토사피스트
현대
입장정통파
세파르딤
하바드
하시딕
보수주의
개혁주의
실존주의
재건주의
홀로코스트
쇄신
신하시딕
무사르
람바미스트
인물프란시스코 산체스
우리엘 다 코스타
바뤼흐 스피노자
살로몬 마이몬
요세프 솔로몬 델메디고
헬름의 엘리야 바알 솀
엘리에제르 벤 엘리야 아슈케나지
츠비 아슈케나지
야곱 엠덴
사무엘 허쉬
리아디의 슈네우르 잘만
프시스카의 심차 부님
삼손 라파엘 허쉬
야곱 아벤다나
아이작 카르도소
다비드 니에토
아이작 오로비오 데 카스트로
모세 멘델스존
사무엘 데이비드 루자토
엘리야 베나모제그
모세 헤스
엘리에제르 베르코비츠
엘리야후 데슬러
무슈 쇼샤니
에마뉘엘 레비나스
마르틴 부버
게르숌 숄렘
아브라함 아이작 쿡
요셉 솔로베이치크
메나헴 멘델 슈네르손
주제
주제분노
선택된 민족
종말론
윤리
믿음

행복
거룩함
홀로코스트
메시아
소우주-대우주
의로움

2. 고대 유대 철학

유대 철학은 유대교 성립부터 유대인 해방까지, 랍비적 유대교 전통 안에서 새로운 사상을 받아들이려는 시도였다. 다시 말해, 유대인 특유의 학문 체계와 세계관에서 유대 사상과 꼭 맞지 않는 새로운 사상을 체계화하려는 시도였다. 슈테틀(유대인 공동체)에서 비종교적 교육을 받은 유대인들은 현대적 요구를 만나면서 끊임없이 새로운 사상을 받아들이고, 스스로 개발하기도 했다.

동유럽 유대인의 슈테틀 생활이 끝나면서 경건한 유대교 신자들의 사상에 대한 태도가 바뀌었다. 아랍 출신 유대인들도 마찬가지였다. 일부 공동체는 정당성 여부와 관계없이 비종교적 교육을 인정하지 않았다. 다른 공동체에서는 비유대교적 철학, 음악, 예술, 문학, 윤리를 배우는 것을 장려했지만, 보편적인 진실로 인정받지는 못했다.

탈무드 편집자들은 아브라함멜기세덱에게서 철학을 배웠다고 주장하며,[54] 이 때문에 《예치라(형성의 서)》의 저자를 아브라함으로 보기도 한다.[55] 시편은 “아브라함의 말을 통해 하나님의 지혜를 사랑하도록” 초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부 학자들은 유대교에 철학적 기반이 있다고 보기도 한다.

필론 (기원전 20년 - 기원50년)은 그리스 철학과 유대교를 유대 해석학과 스토아 철학을 통한 비유적 해석으로 융합하려 했다. 필론은 유대교 진리를 보호하고 변호하기 위해 철학을 활용했으며, 이 과정에서 철학은 진리에 이르는 수단이 되었다. 따라서 필론은 그리스 철학을 선별하여 아리스토텔레스의 세계 영원성, 불멸성 등 유대교와 맞지 않는 사상은 제외했다.

버나드 레벨 박사는 10세기 카라이파 저술을 소개하는 「카라이 할라카」 논문에서, 야코브 키르키사니가 필론을 인용한 것을 통해 카라이파 발전 과정에서 필론의 저술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설명한다. 필론의 저술은 중세 기독교 신학자들에게 중요하게 여겨졌는데, 그들은 중세 유럽에서 "유대교에는 신앙이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카라이파의 저술에 신뢰를 보였다. 하지만 이는 기술적인 측면에 대한 신뢰였고, (신앙적인 측면에서는) 허위라고 여겼다.

2. 1. 성서와 유대 철학

탈무드 학자들은 아브라함멜기세덱에게서 철학을 배웠다고 주장한다.[54] 이 때문에 《예치라(형성의 서)》의 저자를 아브라함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55] 탈무드는 아브라함이 세상을 “하나님의 빛과 함께하는 집”으로, 하나님의 계획 아래에 있으며 창조주와 감독자를 가지고 있다고 이해하게 된 경위를 서술하고 있다.[56] 많은 학자들이 멜기세덱이 아브라함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인정한다. 그러나 그 영향의 범위와 《예치라》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있다. 시편은 “아브라함의 말을 통해 하나님의 지혜를 사랑하도록” 초대하고 있다. 이 사실을 통해 일부 학자들은 유대교에 철학적 기반이 존재한다고 시사한다.

2. 2. 알렉산드리아의 필론

알렉산드리아의 필론


필론(기원전 20년 - 기원50년)은 그리스 철학과 유대교를 유대 해석학과 스토아 철학에 의한 비유적 해석을 통해 융합하고 조화시키려고 했다.[1] 필론은 유대교 진리를 보호하고 변호하기 위해 철학을 활용했다. 그는 이러한 진리들을 확고하고 확정된 것이라고 보았다. 이 과정에서 철학은 진리에 이르는 데 도움이 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필론은 그리스 철학을 선별했는데, 아리스토텔레스의 세계의 영원성, 불멸성 등 유대교와 일치하지 않는 사상은 배제했다.

버나드 레벨 박사는 10세기 카라이파의 저술을 소개하는 「카라이 할라카」에 관한 논문에서, 야코브 키르키사니가 필론을 인용한 것을 통해 카라이파의 발전 과정에서 필론의 저술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필론의 저술은 중세 기독교 신학자들에게 중요하게 여겨졌다. 그들은 중세 유럽에서 "유대교에는 신앙이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카라이파의 저술에 신뢰를 부여했다. 하지만 이는 기술적인 측면에 대한 신뢰였고, (신앙적인 측면에서는) 허위라고 여겼다.

3. 제2성전 붕괴 이후의 유대 철학

기원 70년 제2성전 붕괴는 유대 사회에 큰 혼란을 야기했다.[57] 디아스포라 유대인 지도자들은 파르티아의 도시 네헤르데아로 피신했다. 내전으로 유대인 사회는 분열되었고, 로마는 유대인 사회와 지도자들에게 대량 학살, 노예화, 예루살렘에서의 추방 등 잔혹한 타격을 가했다. 랍비 요하난 벤 자카이산헤드린야브네로 이전시켜 보존했다. 얼마 후 야브네의 종교 회의는 랍비 유대교를 보호하고, 정경을 편찬하며, 교리를 개정하는 데 대응했다.

무타칼리민의 바스라 사상을 차용한 카라이파는 유대교에 무아티질라 사상을 적용한 최초의 유대 그룹이었다. 이들은 탈무드와 랍비 전통을 거부하고 타나크를 재해석하여 기본적인 유대교 신앙 구조를 버렸다. 일부 학자들은 카라이파 형성의 주요 동기가 시아파 이슬람의 급속한 성장에 대한 반발이었다고 본다. 시아파 이슬람은 유대교를 일신교로 인정했지만, 랍비의 권위에 의존함으로써 유일신교에서 벗어났다고 주장했다. 카라이파는 아부 이사(시아파), 말리키(수니파), 유드가나이트(수피파) 추종자들과 같은 유대교 분파의 특정 측면을 수용했는데, 이들은 동부 이슬람 학문의 영향을 받았지만 과학을 고찰할 때는 아슈아리의 견해를 따랐다.

3. 1. 랍비 유대교의 성립과 초기 발전

기원70년 제2성전 붕괴는 유대인 사회에 큰 혼란을 야기했다.[57] 디아스포라 유대인 지도자들은 파르티아의 도시 네헤르데아로 피신했다. 내전은 유대인 사회를 분열시켰고, 로마는 유대인 사회와 지도자들에게 대량 학살, 노예화, 예루살렘에서의 추방 등 잔혹한 타격을 가했다. 랍비 요하난 벤 자카이산헤드린야브네로 이전시켜 보존했다. 얼마 후 야브네의 종교 회의는 랍비 유대교를 보호하고, 정경을 편찬하며, 교리를 개정하는 데 대응했다.

3. 2. 이슬람 세계와의 만남

이슬람의 중동과 북아프리카 전역 확산은 이전에 유대인이었던 모든 것을 무슬림으로 만들었다. 그리스 철학, 과학, 의학, 수학은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잔재를 통해 아랍어로 번역된 텍스트 덕분에 아랍 세계에 살고 있는 유대 학자들에 의해 흡수되었다. 이슬람으로 개종한 초기 유대인들은 고대 이스라엘의 경건한 사람들인 ''바누 이스라일''에 대한 이야기인 ''이스라일리야트''를 가져왔다. 수피즘의 초기 신비주의자 바스라의 하산은 수많은 ''이스라일리야트'' 전설을 이슬람 학문에 도입했는데, 이 이야기들은 수피즘의 경건함에 대한 이슬람 신비주의 사상을 대표하게 되었다.

푸엠베디타 학원의 하이 가온은 유대 학문과 연구(''하키라'')의 새로운 단계를 시작했다. 하이 가온은 비유대 연구를 통해 탈무드 학문을 증진시켰으며, 모세 이븐 에즈라는 그를 무타칼림이라고 불렀다. 하이는 카다리야와 무타질파 추종자들과 논쟁했고, 때로는 그들의 논쟁 방법을 채택하기도 했다. 하이 가온은 카이루완, 코르도바, 루세나의 탈무드 학원과의 서신 교류를 통해 자신의 발견을 그곳의 탈무드 학자들에게 전달했다.

순수 형제단의 가르침은 코르도바의 하디스 학자이자 연금술사인 마슬라마 알 쿠르투비(964년 사망)에 의해 서쪽으로 전파되었고, 이는 이슬람 스페인의 유대 철학자들에게 중심적인 중요성을 갖게 되었다. 순수 형제단이 강조하고 대부분의 스페인 유대 철학자들이 채택한 주제 중 하나는 미시-거시 우주 유추이다. 10세기부터 스페인은 유대인, 무슬림, 기독교인 사이의 철학적 탐구의 폭발을 반영하듯 철학적 학문의 중심지가 되었다.

발흐(아프가니스탄)의 유대인 공동체는 "유대인"과 "유대인이라고 불리는 사람들" 두 집단으로 나뉘었으며, 히위 알-발키(Hiwi al-Balkhi)는 후자에 속했다. 히위는 토라(Pentateuch)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시도한 최초의 "유대인" 철학자로 여겨진다. 일부 학자들은 히위를 유대교, 조로아스터교, 영지주의 기독교, 마니교 사상 사이에서 갈등하는 지적인 인물로 본다.

히위는 토라에 묘사된 기적들이 사람들이 이성적 능력을 사용하여 수행한 행위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홍해가 갈라진 것은 자연 현상이며, 모세의 위대함은 건널 시기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었던 능력에 있었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집트 마술사들이 모세의 "기적"들을 재현할 수 있었던 점을 강조하며, 그것들이 독특한 것이 아니었음을 증명했다고 주장했다. 학자들에 따르면, 히위의 가장 큰 잘못은 자신의 견해를 반영하도록 토라를 수정하고, 그 수정된 텍스트들을 어린이들에게까지 널리 유포한 것이었다. 그의 견해는 라바나이트(Rabbanite)와 카라이트(Karaite) 학자들의 견해와 모두 상반되었기 때문에 이단으로 선포되었다. 히위는 결점이 있었지만 최초의 비판적 성서 주석가로 볼 수도 있다. 히위의 열렬한 합리주의적 견해는 이븐 알-라완디(Ibn al-Rawandi)의 견해와 유사하다.

사아디아 가온은 히위의 주장을 반박하는 논문 전체를 운율적인 히브리어로 썼는데, 그중 두 조각이 카이로 게니자(Cairo Geniza)에서 보존되어 출판되었다. 히위의 비판은 아브라함 이븐 에즈라(Abraham ibn Ezra)의 토라 주석에도 언급되어 있다. 사아디아 가온은 히위를 극단적인 합리주의자이자 "물히둔(Mulhidun)" 즉, 무신론자/이탈자라고 비난했다. 아브라함 이븐 다우드(Abraham Ibn Daud)는 히위를 "토라를 부정하면서도 그것을 이용해 자신의 취향에 맞는 새로운 토라를 만들었다"는 이단으로 묘사했다.

아수리스탄 (현재 이라크), 바빌로니아라고도 불림: 고대 유대 학문의 중심지
푸엠베디타수라바그다드바스라


3. 2. 1. 카라이파

무타칼리민의 바스라 사상을 차용한 카라이파는 유대교에 무아티질라 사상을 적용한 최초의 유대 그룹이었다. 이들은 탈무드와 랍비 전통을 거부하고 타나크를 재해석했다. 이는 기본적인 유대교 신앙 구조를 버리는 것을 의미했다. 일부 학자들은 카라이파 형성의 주요 동기가 시아파 이슬람의 급속한 성장에 대한 반발이었다고 본다. 시아파 이슬람은 유대교를 일신교로 인정했지만, 랍비의 권위에 의존함으로써 유일신교에서 벗어났다고 주장했다. 카라이파는 아부 이사(시아파), 말리키(수니파), 유드가나이트(수피파) 추종자들과 같은 유대교 분파의 특정 측면을 수용했는데, 이들은 동부 이슬람 학문의 영향을 받았지만 과학을 고찰할 때는 아슈아리의 견해를 따랐다.

3. 2. 2. 철학적 종합의 시작

사아디야 가온(Saadia Gaon)은 개종자의 아들로, 솔로몬 이후 가장 위대한 초기 유대 철학자로 여겨진다.[16] 툴루니 왕조 시대 초기, 파티마 왕조가 이집트를 지배했는데, 툴루니 왕조 지도자들은 이스마일파 이맘들이었다. 그들의 영향은 이집트 유대 학원에 울려 퍼지며 사아디야의 작품에도 반영되었다. 사아디야의 『신앙과 견해(Emunoth ve-Deoth)』(원제: Kitab al-Amanat wal-l'tikadat, 신앙 조항과 교리의 책)는 933년 수라 학원에서 완성된 유대교 교리의 체계적인 제시와 철학적 토대를 마련한 최초의 저술이었다.[16]

사아디야가 915년 티베리아스로 가서 아부 알 카티르 야하 이븐 자카리야(Abū 'l-Kathīr Yaḥyā ibn Zakariyyāʾ)에게서 공부했다는 사실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그는 유대 신학자이자 성경 번역가였다.[16] 그는 어떤 유대 자료에도 언급되지 않으며, 안달루시아의 이단 척결자이자 논쟁가인 이븐 하즘(Ibn Hazm)이 그를 유대교 무타칼림(합리적 신학자)으로 언급한 것 외에는, 무슬림 역사가 알마수디(Al-Masudi, 사망 956년)의 『Kitāb al-Tanbīh』가 주요 정보 출처이다.[16] 알마수디는 성경의 아랍어 번역에 대한 간략한 조사에서 이스라엘 백성이 토라, 예언서, 시편 등 모두 24권이라고 하는 히브리어 책의 주석과 번역을 위해 그들이 매우 칭찬하는 여러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의존한다고 말하며, 거의 모두 그들을 직접 만났다고 언급한다. 그는 그들 중 한 사람으로 아부 알 카티르와 사아디야("사이드 이븐 야쿠브 알 파유미" Saʿīd ibn Yaʿqūb al-Fayyūmī)를 언급한다.[16] 사아디야는 학식 있는 서기관과 주석가들의 고향인 티베리아스로 배우러 갔고 아부 알 카티르 야하 이븐 자카리야 알 카티브 알 타바리야(Abū 'l-Kathīr Yaḥyā ibn Zakariyyāʾ al-Katib al-Tabariya)를 선택했다. 그러나 아부 알 카티르의 사상이 사아디야에게 미친 영향의 정도는 확립될 수 없다.[16]

아부 알 카티르의 직업도 불분명하다. 알마수디는 그를 카티브(kātib)라고 부르는데, 이는 서기관, 정부 관리, (성경) 서기, 마소라 학자, 책 필사가 등으로 다양하게 해석되어 왔다. 추가 정보가 없어 일부 학자들은 아부 알 카티르를 티베리아스 출신의 카라이파 유대인인 히브리어 문법가 아부 알리 유다 벤 알란(Abū ʿAlī Judah ben ʿAllān)과 동일시하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알마수디는 아부 알 카티르(그리고 그의 제자 사아디야)를 아쉬마스티(랍비파)로 묘사한다.[16]

"신앙 조항과 교리의 책"에서 사아디야는 유대교의 합리성을 선언하지만, 이성이 전통과 모순될 때에는 이성이 복종해야 한다는 단서를 덧붙인다. 교리는 이성보다 우선한다. 사아디야는 그의 저술을 구성할 때 아부 알리 알 주바이(Abu Ali al-Jubba'i)의 무타질라 학파의 규칙을 엄격히 따랐다.[17][18] 사아디야는 무타질라의 연구를 기반으로 유대 합리주의 신학의 토대를 마련하여 랍비 유대교를 랍비들의 신화적인 설명에서 지성의 이성적인 설명으로 전환시켰다. 사아디야는 이븐 알 라완디(Ibn al-Rawandi)의 무타질라 비판을 발전시켰다.[19]

4. 마이모니데스 이전의 유대 철학

다윗 이븐 메르완 알-무카마스는 중세 초기에 알려진 가장 오래된 유대교 철학 저술인 《창조의 책》 주석서를 쓴 인물로, 중세 유대 철학의 아버지로 여겨진다.[20] 그는 유대교에 칼람 방법론을 처음 도입하고, 저술에서 아리스토텔레스를 언급한 최초의 유대인이었다. 랍비 유대교로 개종한 그는(일부 주장과 달리 카라이 유대교 개종자가 아니었다) 의사이자 저명한 기독교 철학자였던 하나의 제자였다. 하나와의 긴밀한 관계와 이슬람과의 가족적 연관성은 알-무카마스에게 종교적 신념과 신학에 대한 독특한 관점을 주었다.

1898년 아브라함 하르카비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제국 도서관에서 다윗의 철학 저작인 "이시룬 마칼랏"(20장) 중 15장을 발견했다. 초기 칼람에 대한 가장 오래된 자료 중 하나인 이 저작은 인식론적 탐구로 시작하여 세계 창조와 창조주의 존재 증명으로 이어지고, 창조주의 유일성(신성한 속성 포함)을 논의하며, 신정론(인류와 계시)과 다른 종교들(대부분 손실됨)의 반박으로 끝맺는다.

사아디아 가온은 915년 팔레스타인으로 떠났는데, 알-마수디(탄비, 113)에 따르면 그는 아부 엘-카티르 야히야 이븐 자카리아 알-카티브 알-타바리(사망 932년) 밑에서 교육을 완성했다. 이븐 하즘은 자신의 저서 K. 알-피살랄 와 알-니할(iii, 171)에서 다우드 이븐 마르완 알-무카미스와 사아디야 가온을 유대인 무타칼리문 중 한 명으로 언급하기도 했다.[20]

알-무카미스는 유대교 특유의 문제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었고, 그의 저작 중 아랍어에서 히브리어로 번역된 부분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유대교 전통에서 대부분 잊혀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사아디아 가온과 같은 후대 유대 철학적 칼람 추종자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21]

필론 (기원전 20년 - 기원50년)은 그리스 철학과 유대교를 유대 해석학과 스토아 철학을 통한 비유적 해석으로 융합하고 조화시키려 했다. 필론은 유대교 진리를 보호하고 변호하기 위해 철학을 활용했다. 그는 이러한 진리들이 확고하고 확정된 것이라고 보았다. 이 과정에서 철학은 진리에 이르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필론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세계의 영원성, 불멸성 등 유대교와 일치하지 않는 사상을 배제하는 등 그리스 철학을 선별적으로 수용했다.

버나드 레벨 박사는 10세기 카라이파 저술을 소개하는 「카라이 할라카」에 관한 논문에서, 야코브 키르키사니가 필론을 인용한 것을 통해 카라이파의 발전 과정에서 필론의 저술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논한다. 필론의 저술은 중세 기독교 신학자들에게 중요하게 여겨졌는데, 그들은 중세 유럽에서 "유대교에는 신앙이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카라이파 저술에 신뢰를 부여했다. 그러나 이는 기술적인 측면에 대한 신뢰였고, 내용은 허위로 간주되었다.

4. 1. 히위 알 발키

히위 알 발키는 토라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시도한 최초의 유대 철학자로 여겨진다. 그는 토라에 묘사된 기적적인 행위들이 이성적 능력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사아디아 가온은 히위의 주장을 반박하는 논문을 썼다.[20]

4. 2. 사아디아 가온

사아디아 가온은 유대교 교리를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철학적 토대를 마련한 최초의 저술인 《신앙과 견해》를 저술했다.[20] 그는 유대교의 합리성을 옹호했지만, 이성이 전통과 모순될 때는 이성이 복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무타질라 학파의 영향을 받아 유대 합리주의 신학의 토대를 마련했다.[21] 915년, 사아디아 가온은 팔레스타인으로 떠났는데, 알-마수디(탄비, 113)에 따르면 그는 아부 엘-카티르 야히야 이븐 자카리아 알-카티브 알-타바리(사망 932년) 밑에서 교육을 완성했다.

4. 3. 다비드 이븐 메르완 알 무카마스

다윗 이븐 메르완 알-무카마스는 중세 초기에 알려진 가장 오래된 유대교 철학 저술인 《창조의 책》 주석서의 저자이며, 중세 유대 철학의 아버지로 여겨진다.[20] 그는 유대교에 칼람 방법론을 처음으로 도입하고 저술에서 아리스토텔레스를 언급한 최초의 유대인이었다. 랍비 유대교 개종자였던 그는(일부 주장과 달리 카라이 유대교 개종자가 아니었다) 의사이자 저명한 기독교 철학자였던 하나의 제자였다. 하나와의 긴밀한 관계와 이슬람과의 가족적 연관성은 알-무카마스에게 종교적 신념과 신학에 대한 독특한 관점을 제공했다.

1898년 아브라함 하르카비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제국 도서관에서 다윗의 철학 저작인 "이시룬 마칼랏"(20장) 중 15장을 발견했다. 초기 칼람에 대한 가장 오래된 자료 중 하나인 이 저작은 인식론적 탐구로 시작하여 세계 창조와 창조주의 존재 증명으로 이어지고, 창조주의 유일성(신성한 속성 포함)을 논의하며, 신정론(인류와 계시)과 다른 종교들(대부분 손실됨)의 반박으로 끝맺는다.

915년, 사아디야 가온은 팔레스타인으로 떠났는데, 알-마수디(탄비, 113)에 따르면 그는 아부 엘-카티르 야히야 이븐 자카리아 알-카티브 알-타바리(사망 320/932) 밑에서 교육을 완성했다. 후자는 이븐 하즘이 그의 K. 알-피살랄 와 알-니할, iii, 171에서 다우드 이븐 마르완 알-무카미스와 사아디야 자신과 함께 유대인 무타칼리문 중 한 명으로 언급하기도 했다.[20]

알-무카미스는 유대교 특유의 문제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었고 그의 저작 중 아랍어에서 히브리어로 번역된 부분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유대교 전통에서 대부분 잊혀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사아디야 가온과 같은 후대 유대 철학적 칼람 추종자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21]

4. 4. 사무엘 이븐 나그릴라

사무엘 이븐 나그릴라는 스페인 메리다 출신의 신동으로, 하녹 벤 모세의 제자였다.[22] 그는 루세나 예시바를 설립하여 이삭 이븐 기얏, 마이모니데스의 아버지인 마이몬 벤 요세프와 같은 뛰어난 학자들을 배출했다.

4. 5. 솔로몬 이븐 가비롤

솔로몬 이븐 가비롤은 유럽에서 신플라톤주의를 처음으로 가르친 인물 중 한 명이었다. 그의 철학은 동료 유대인들에게는 거의 무시되었지만, 중세 기독교 학자들에게는 큰 영향을 미쳤다.[21]

4. 6. 아브라함 바르 히야

아브라함 바르 히야는 과학 운동에 기여한 인물로, 그의 철학적 저술로는 《영혼의 명상》 등이 있다.

4. 7. 히바트 알라

히바트 알라(히브리어: נתןאל בן ישעיהhe)는 유대인 철학자이자 물리학자였으며, 말년에 이슬람으로 개종했다.[20] 그의 저서로는 《알무타바르》(Al-Mu'tabar), 《별이 밤에는 보이고 낮에는 보이지 않는 이유에 관하여》 등이 있다. 알-무카미스는 유대교 특유의 문제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었고 그의 저작 중 아랍어에서 히브리어로 번역된 부분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유대교 전통에서 대부분 잊혀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사아디야 가온과 같은 후대 유대 철학적 칼람 추종자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21]

4. 8. 나탄엘 알파유미

나탄엘 알파유미는 12세기 예멘의 신학자, 랍비, 철학자였다. 그는 유대교 버전의 이스마일리 시아파 교리를 담은 《부스탄 알 우쿨》(지혜의 정원)의 저자로 알려져 있다.[20]

4. 9. 바히야 이븐 파쿠다

바히야 이븐 파쿠다는 유대 윤리 체계의 첫 번째 저서인 《마음의 의무에 대한 안내》의 저자이다. 그는 수피즘과 유대 칼람에서 차용하여 신플라톤주의에 통합했다.[21]

4. 10. 예후다 할레비와 쿠자리

예후다 할레비는 이슬람, 기독교, 카라이파교에 맞서 랍비 유대교를 옹호했다. 그의 저서 《쿠자리》는 유대교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자세히 설명한다.

4. 11. 아브라함 이븐 다우드

아브라함 이븐 다우드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처음으로 소개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저서 《에무나 라마》는 마이모니데스에게 영향을 미쳤다.[21]

5. 마이모니데스

마이모니데스는 그의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적 저서인 ''이끌어주는 사람(The Guide for the Perplexed)''을 저술했다.[26] 그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과학을 토라의 가르침과 조화시키려고 노력했다. 어떤 면에서 그의 입장은 아베로에스의 입장과 유사했다. 마이모니데스는 아리스토텔레스가 가르친 것처럼 세계가 영원하지 않고 ''무에서의 창조(ex nihilo)''로 창조되었다고 주장함으로써 아리스토텔레스의 가르침에서 벗어났다.

마이모니데스의 저술은 즉시 카라이파, 도미니크 수도회 기독교인, 프로방스의 토사피스트들, 아슈케나즈 그리고 알 안달루스 출신 학자들로부터 공격을 받았고, 이는 마이모니데스 논쟁을 일으켰다.

마이모니데스 조각상 (화가의 묘사)


서유럽에서는 1232년 기독교 도미니크 수도회가 마이모니데스의 저술을 불태우면서 논쟁이 중단되었다. 티베리아스에 있는 마이모니데스의 묘소가 유대인들에 의해 훼손된 사건은 디아스포라 전역의 유대인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많은 반 마이모니데스주의자들이 자신의 주장을 철회하는 계기가 되었다.

마이모니데스 논쟁은 14세기 초에 다시 불붙었다. 당시 랍비 솔로몬 벤 아데레트는 아셀 벤 예히엘의 영향을 받아 "25세 미만의 공동체 구성원 중 그리스의 자연과학 및 형이상학 저술을 연구하는 자"에 대한 체렘(파문)을 선포했다.

6. 마이모니데스 이후의 중세 유대 철학



마이모니데스는 그의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적 저서인 ''이끌어주는 사람(The Guide for the Perplexed)''을 저술했다. 그는 스페인 코르도바에서 요셉 이븐 미가시의 제자인 아버지 마이몬 벤 요셉 랍비의 제자였다. 그의 가족이 스페인을 떠나 페즈로 갈 때, 마이모니데스는 페즈 아카데미에 입학하여 이삭 알파시의 제자인 예후다 하-코헨 이븐 수산 랍비 밑에서 공부했다. 마이모니데스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과학을 토라의 가르침과 조화시키려고 노력했다. 어떤 면에서 그의 입장은 아베로에스의 입장과 유사했다. 아비케나 아리스토텔레스주의에 대한 공격에 대한 반응으로, 마이모니데스는 신플라톤주의적 추가 없이 더 엄격한 아리스토텔레스주의를 받아들이고 옹호했다. 마이모니데스의 모든 철학적 활동에 영감을 준 원칙은 아브라함 이븐 다우드의 원칙과 동일했다. 즉, 하나님이 계시하신 진리와 과학과 철학에서 인간의 지성이 발견한 결과 사이에는 모순이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마이모니데스는 아리스토텔레스가 가르친 것처럼 세계가 영원하지 않고 ''무에서의 창조(ex nihilo)''로 창조되었다고 제안함으로써 아리스토텔레스의 가르침에서 벗어났다. "이끌어주는 사람(Guide for the Perplexed)"(1:17 & 2:11)에서 마이모니데스는 이스라엘이 유배 중에 메소라를 잃었고, 그것과 함께 "우리는 우리의 과학과 철학을 잃었고, 유대교, 기독교이슬람교 텍스트의 상호 작용과 지적 조사라는 맥락에서 알 안달루스에서야 되살아났습니다."라고 설명한다.

마이모니데스의 저술은 거의 즉시 카라이파, 도미니크 수도회 기독교인, 프로방스의 토사피스트들, 아슈케나즈 그리고 알 안달루스 출신 학자들로부터 공격을 받았다. 학자들은 마이모니데스가 "사람들이 그의 젊은 시절부터 그의 세대에는 그와 같은 자가 없다고 믿도록 익숙하게 만든 자"라고 바그다드가온인 사무엘 벤 알리를 비판하고 아카데미의 "금전적 요구"를 신랄하게 비판하면서 마이모니데스 논쟁을 일으켰다고 주장한다.[26] 사무엘 벤 알리는 바빌로니아에서 활동하며 마이모니데스와 그의 후원자들(북아프리카 출신 알-콘스탄티니 가문)의 저술을 훼손하려는 반 마이모니데스주의자였다. 마이모니데스 논쟁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예로, 동방에서 마이모니데스의 주요 반대자였던 사무엘 벤 알리는 다우드 이븐 호다야 알 다우디(모술의 엑실라르크)에 의해 파문당했다. 경쟁 예시바에서 마이모니데스의 처가의 입장을 고려할 때, 마이모니데스의 사무엘 벤 알리에 대한 공격이 전적으로 이타적인 것은 아니었을 수 있다.

서유럽에서는 1232년 기독교 도미니크 수도회가 마이모니데스의 저술을 불태우면서 논쟁이 중단되었다. 마이모니데스의 아들인 아브라함 벤 람밤은 동방에서 아버지의 신념을 위해 계속 싸웠다. 티베리아스에 있는 마이모니데스의 묘소가 유대인들에 의해 훼손된 것은 디아스포라 전역의 유대인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유대 문화의 구조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해 숙고하게 만들었다. 이는 많은 반 마이모니데스주의자들이 자신의 주장을 철회하고 기독교인들과의 협력이 자신들, 그들의 텍스트, 그리고 그들의 공동체에 무엇을 의미하는지 깨닫게 했다.

마이모니데스 논쟁은 14세기 초에 다시 불붙었다.[26] 당시 랍비 솔로몬 벤 아데레트는 아셀 벤 예히엘의 영향을 받아 "25세 미만의 공동체 구성원 중 그리스의 자연과학 및 형이상학 저술을 연구하는 자"에 대한 체렘(파문)을 선포했다.

현대 카발리스트, 토사피스트, 합리주의자들은 계속해서 자신의 입장과 유대 세계에서의 영향력을 지지하는 활발하고 때로는 신랄한 논쟁을 벌이고 있다. 이러한 논쟁의 중심에는 "갈팡질팡하는 자들을 위한 안내", "13개의 신앙 원칙", "미슈나 토라", 그리고 그의 아누심 주석이 있다.

세우타(Ceuta), 북아프리카 스페인


야곱 아나톨리는 마이모니데스 합리주의를 유대교 텍스트 연구에 적용한 선구자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6. 1. 요세프 벤 유다

יוסף בן יהודה אבן שמעון|요세프 벤 유다 이븐 시므온he세우타 출신의 마이모니데스의 제자였다. 그는 《창조》 문제에 관한 논문을 저술했다.

6. 2. 야곱 아나톨리

마이모니데스 합리주의를 유대교 텍스트 연구에 적용한 선구자로 널리 알려진 야곱 아나톨리는 마이모니데스의 번역가인 사무엘 이븐 티본의 사위였다. 이러한 가족 관계를 통해 아나톨리는 마이모니데스의 철학을 접하게 되었고, 이는 그에게 큰 계시가 되었다. 그는 훗날 자신의 지적이고 진정한 성경 이해가 이븐 티본을 통해 시작되었다고 언급하며, 이븐 티본을 자신을 가르치고 영감을 준 두 스승 중 한 명으로 자주 언급했다.[27]

아나톨리는 말마드(Malmad)를 저술하여 고전 유대교 주석가들뿐만 아니라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아베로에스, 불가타와 같은 기독교 제도들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을 보여주었다. 그는 독자들에게 고전 언어와 비유대인 학문 분야를 더 폭넓게 연구할 것을 반복적으로 촉구했다. 아나톨리는 모든 사람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만들어졌지만, 유대인들은 선택받았기 때문에 하나님에 대한 진정한 인식을 더욱 발전시켜야 할 특별한 의무를 지닌다고 보았다. 그는 "그리스인들은 지혜를, 로마인들은 권력을, 유대인들은 종교성을 추구했다"고 말했다.

6. 3. 힐렐 벤 사무엘

힐렐 벤 사무엘은 영혼 불멸성 문제를 체계적으로 다루려고 시도한 인물이다. 그는 마이모니데스의 철학 저작을 둘러싼 논쟁에서 주요한 역할을 했다.[26]

6. 4. 셈토브 이븐 팔라케라

셈토브 이븐 팔라케라(Shem-Tov ibn Falaquera)는 스페인 태생의 철학자로, 유대교 교리와 철학 사이의 조화를 추구했다. 그의 제자 중 한 명인 아를의 게르쇽 벤 솔로몬(Gerson ben Solomon of Arles)은 레비 벤 게르쇽의 아버지였다.

6. 5. 요셉 이븐 카스피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요셉 이븐 카스피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출력합니다.

6. 6. 게르소니데스

랍비 레비 벤 게르쇽은 《밀함못 하쉠》을 저술했다.[32] 그는 신이 인간 행위에 대한 완전한 예지력을 갖고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32]

6. 7. 모세 나르보니

주어진 원문 소스에는 모세 나르보니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 내용을 추가할 수 없다.

6. 8. 이삭 벤 세셰트 페르페트

주어진 원본 소스에 이삭 벤 세셰트 페르페트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6. 9. 하스다이 크레스카스

몬레알 출신의 요셉 알보는 하스다이 크레스카스의 제자였다. 그는 유대교의 기본 원리를 다룬 고전 작품인 ''세페르 하-이카림''("원리의 책")을 저술했다. 알보는 유대교 신앙의 기본 원리를 13가지에서 3가지로 압축했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 신의 존재에 대한 믿음
  • 계시에 대한 믿음
  • 불멸의 개념과 관련된 신의 정의에 대한 믿음


알보는 무에서의 창조가 신에 대한 믿음에 필수적이라는 가정을 거부한다. 알보는 마이모니데스의 13가지 신앙 원리와 크레스카스의 6가지 원리를 자유롭게 비판한다. 알보에 따르면, "메시아에 대한 믿음은 나무의 '가지'일 뿐이며, 줄기의 건전성에는 불필요하다" 즉, 유대교에 필수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알보에 따르면 모든 율법이 구속력을 갖는 것도 아니다. 모든 율례는 준수함으로써 행복을 가져다주는 힘을 가지고 있지만, 모든 율법을 준수해야 하거나 율법의 일부를 소홀히 함으로써 유대인이 신의 계약을 위반하거나 저주받는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그러나 현대 정통파 유대인들은 모든 유대인이 적용 가능한 모든 계명을 이행할 신성한 의무가 있다고 믿기 때문에 알보의 견해에 강력하게 반대한다.

6. 10. 시몬 벤 제마 두란

צמח|제마he 두란의 아들 라비 시몬 (라쉬바츠)은 알제리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르침은 주로 라비 게로나의 니심에게서 받았으며, 그의 주석서 《마겐 아보트》는 요셉 알보에게 영향을 준 중요한 저서이다. 그는 유대교에는 오직 세 가지 교리만 있다고 믿었다.[26]

6. 11. 요셉 알보

요셉 알보는 유대교의 기본 원리를 다룬 고전 작품인 《세페르 하-이카림》을 저술했다. 그는 유대교 신앙의 기본 원리를 세 가지로 압축했다.[26]

6. 12. 호테르 벤 솔로몬

주어진 텍스트에는 '호테르 벤 솔로몬'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주어진 텍스트만으로는 섹션 내용을 작성하거나 수정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출력합니다.

6. 13. 돈 이삭 아브라바넬

돈 이삭 아브라바넬은 정치가, 철학자, 성서 주석가이자 재정가였다. 그는 자신의 저서 《로시 아마나》에서 마이모니데스의 13개 원리를 주석하였다.[26]

6. 14. 레오네 에브레오

유다 레온 아브라바넬은 포르투갈의 의사이자 시인, 철학자였다. 그의 저서 《사랑의 대화》는 르네상스 시대 가장 중요한 철학 작품 중 하나였다.[26]

6. 15. 카발라 비판

아브라함 이븐 다우드의 ''세페르 하-카발라(Sefer Ha-Qabbalah)''는 "우리 전통의 책"을 의미하며, 어떠한 종류의 신비주의도 언급하지 않는다. 이 책은 두 바빌로니아 아카데미를 거쳐 게오님(Geonim), 그리고 스페인의 탈무드 예시바(Yeshivas)에 이르기까지 "학문과 연구의 우리 전통"을 기록하고 있다.[26] 탈무드 시대에는 유대교 내에 ''마아세 베레시트(Maaseh Bereshith)''(창조의 작업)과 ''마아세 메르카바(Maaseh Merkavah)''(전차의 작업)로 알려진 신비 전통이 있었으나, 마이모니데스는 이 텍스트들을 토라의 관점에서 해석된 아리스토텔레스의 물리학과 형이상학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했다.

13세기에 "카발라"로 알려지게 된 신비주의적-비전적인 체계가 등장했으나, 카발라와 관련된 많은 신념들은 오랫동안 철학자들에 의해 배척되어 왔다. 사아디아 가온은 그의 저서 ''에무노트 브데오트(Emunot v'Deot)''에서 길굴(gilgul)을 믿는 유대인들은 비유대적인 신념을 채택한 것이라고 가르쳤다. 마이모니데스는 특히 신에 대한 의인화된 시각을 이단으로 간주한 ''시우르 코마(Shi'ur Qomah)''을 포함하여 ''헤이칼롯(Heichalot)''의 많은 텍스트들을 배척했다.

13세기 나르보네의 메이르 벤 시몬(Meir ben Simon)은 초기 카발리스트들에 반대하는 서한(밀흐메트 미츠바(Milhhemet Mitzvah)에 포함됨)을 썼는데, ''세페르 바히르(Sefer Bahir)''를 특별히 지적하며, 그 저작권을 타나(Tanna)인 라비 네후냐 벤 하-카나(R. Nehhunya ben ha-Kanah)에게 돌리는 것을 거부하고 그 내용의 일부를 설명했다.

7. 르네상스 시대의 유대 철학과 철학자들

15세기와 16세기에 소아시아와 유럽의 일부 군주국들은 추방된 유대인 상인, 학자, 신학자들을 환영했다. 유대 철학의 중심지가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터키로 이동하면서 철학적 탐구는 계속되었다.

7. 1. 엘리아스 델 메디고

엘리아 델 메디고는 합리주의 철학자이자 학자들의 긴 계보를 가진 가문의 아버지이자 스승이었다. 그는 자신을 마이모니데스 유대교의 수호자로 묘사하며 유대 전통의 합리성을 강조했다.[26]

7. 2. 모세 알모시니노

משה אלמושנינו|모세 알모시니노he는 레비 이븐 하빕의 제자였다. 그는 토라의 다섯 권에 대한 주석서인 《예데 모셰》 등을 저술했다.

7. 3. 기타 르네상스 시대 유대 철학자

주어진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이전 응답과 동일)

8. 17세기 유대 철학

1492년 스페인 추방령 이후 유대 철학 연구는 지중해 분지, 북유럽, 서반구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합리주의의 중심지는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크레타, 시칠리아, 네덜란드로 이동했다. 이 시기는 기독교 종교 개혁 지도자들과 유대 학자들 간의 지적 교류로 특징지어진다.

17세기 대표적인 유대 철학자로는 요세프 슐로모 델메디고와 바뤼흐 스피노자가 있다. 델메디고는 의사이자 교사였으며, 스피노자는 그의 저술을 공부했다. 스피노자는 스피노자주의를 창시했으며, 랍비 유대교 전통을 깨고 헤렘을 받았다. 그의 작품에는 마이모니데스와 레오네 에브레오의 영향이 나타난다.[26] 랍비 야곱 엠덴은 그의 아버지 랍비 츠비 아슈케나지의 제자였다. 그는 사바타이 체비를 따르는 메시아적 카발라 신봉자들인 사바타이파의 저명한 반대자였다.[26]

아브라함 이븐 다우드의 ''세페르 하-카발라(Sefer Ha-Qabbalah)''는 "우리 전통의 책"을 의미하며, 어떠한 신비주의도 언급하지 않는다. 이 책은 두 바빌로니아 아카데미를 거쳐 게오님(Geonim), 그리고 스페인의 탈무드 예시바(Yeshivas)에 이르기까지 "학문과 연구의 우리 전통"을 기록하고 있다.[26] 탈무드 시대에는 유대교 내에 ''마아세 베레시트(Maaseh Bereshith)''(창조의 작업)과 ''마아세 메르카바(Maaseh Merkavah)''(전차의 작업)로 알려진 신비 전통이 있었다.[26] 마이모니데스는 이 텍스트들을 토라의 관점에서 해석된 아리스토텔레스의 물리학과 형이상학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한다.[26]

그러나 13세기에 "카발라"로 알려지게 된 신비주의적-비전적인 체계가 등장했다.[26] 카발라와 관련된 많은 신념들은 오랫동안 철학자들에 의해 배척되어 왔다.[26] 사아디아 가온(Saadia Gaon)은 그의 저서 ''에무노트 브데오트(Emunot v'Deot)''에서 길굴(gilgul)을 믿는 유대인들은 비유대적인 신념을 채택한 것이라고 가르쳤다.[26] 마이모니데스는 특히 신에 대한 의인화된 시각을 이단으로 간주한 ''시우르 코마(Shi'ur Qomah)''을 포함하여 ''헤이칼롯(Heichalot)''의 많은 텍스트들을 배척했다.[26]

13세기에 나르보네의 메이르 벤 시몬(Meir ben Simon)은 초기 카발리스트들에 반대하는 서한(밀흐메트 미츠바(Milhhemet Mitzvah)에 포함됨)을 썼는데, ''세페르 바히르(Sefer Bahir)''를 특별히 지적하며, 그 저작권을 타나(Tanna)인 라비 네후냐 벤 하-카나(R. Nehhunya ben ha-Kanah)에게 돌리는 것을 거부하고 그 내용의 일부를 설명했다.[26]

8. 1. 요세프 슐로모 델메디고

요세프 슐로모 델메디고는 의사이자 교사였으며, 스피노자는 그의 저술을 공부했다.

8. 2. 바뤼흐 스피노자

바뤼흐 스피노자는 스피노자주의를 창시했으며, 랍비 유대교 전통을 깨고 헤렘을 받았다. 그의 작품에는 마이모니데스와 레오네 에브레오의 영향이 나타난다.[26]

8. 3. 츠비 히르쉬 벤 야코브 아슈케나지

주어진 소스에는 츠비 히르쉬 벤 야코브 아슈케나지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섹션에 내용을 추가할 수 없다. 따라서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유지한다.

8. 4. 야곱 엠덴

랍비 야곱 엠덴은 그의 아버지 랍비 츠비 아슈케나지의 제자였다. 그는 사바타이 체비를 따르는 메시아적 카발라 신봉자들인 사바타이파의 저명한 반대자였다.[26]

8. 5. 기타 17세기 유대 철학자

주어진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8. 6. 카발라에 대한 철학적 비판

아브라함 이븐 다우드의 ''세페르 하-카발라(Sefer Ha-Qabbalah)''는 "우리 전통의 책"을 의미하며, 어떠한 신비주의도 언급하지 않는다. 이 책은 두 바빌로니아 아카데미를 거쳐 게오님(Geonim), 그리고 스페인의 탈무드 예시바(Yeshivas)에 이르기까지 "학문과 연구의 우리 전통"을 기록하고 있다.[26] 탈무드 시대에는 유대교 내에 ''마아세 베레시트(Maaseh Bereshith)''(창조의 작업)과 ''마아세 메르카바(Maaseh Merkavah)''(전차의 작업)로 알려진 신비 전통이 있었다.[26] 마이모니데스는 이 텍스트들을 토라의 관점에서 해석된 아리스토텔레스의 물리학과 형이상학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한다.[26]

그러나 13세기에 "카발라"로 알려지게 된 신비주의적-비전적인 체계가 등장했다.[26] 카발라와 관련된 많은 신념들은 오랫동안 철학자들에 의해 배척되어 왔다.[26] 사아디아 가온(Saadia Gaon)은 그의 저서 ''에무노트 브데오트(Emunot v'Deot)''에서 길굴(gilgul)을 믿는 유대인들은 비유대적인 신념을 채택한 것이라고 가르쳤다.[26] 마이모니데스는 특히 신에 대한 의인화된 시각을 이단으로 간주한 ''시우르 코마(Shi'ur Qomah)''을 포함하여 ''헤이칼롯(Heichalot)''의 많은 텍스트들을 배척했다.[26]

13세기에 나르보네의 메이르 벤 시몬(Meir ben Simon)은 초기 카발리스트들에 반대하는 서한(밀흐메트 미츠바(Milhhemet Mitzvah)에 포함됨)을 썼는데, ''세페르 바히르(Sefer Bahir)''를 특별히 지적하며, 그 저작권을 타나(Tanna)인 라비 네후냐 벤 하-카나(R. Nehhunya ben ha-Kanah)에게 돌리는 것을 거부하고 그 내용의 일부를 설명했다.[26]

9. 18세기와 19세기 유대 철학

18세기와 19세기 유대 철학은 유대교 성립부터 유대인 해방까지, 랍비적 유대교 전통 안에서 새로운 사상을 받아들이려는 지속적인 시도였다. 슈테틀(유대인 공동체) 생활에서 비종교적 교육을 받은 유대인들은 현대 사회와 교류하며 끊임없이 새로운 사상을 수용하고 발전시켰다.

동유럽 유대인의 슈테틀 생활이 종식되면서 경건한 유대교 신자들의 사상에 대한 태도가 변화하였다. 이는 아랍 출신 유대인들에게도 마찬가지였다. 일부 공동체는 비종교적 교육을 인정하지 않았지만, 다른 공동체에서는 비유대교적 철학, 음악, 예술, 문학, 윤리 등을 장려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이 보편적인 진리로 인정받지는 못했다.

모세 멘델스존은 하스칼라(유대 계몽)에 영향을 준 독일계 유대인 철학자로, 유대교의 새로운 시대를 연 인물로 평가받는다. 18세기 및 19세기에는 메나헴 멘델 레핀, 살로몬 마이몬, 나흐만 크로흐말, 카를 마르크스 등 다양한 유대 철학자들이 활동했다. 하스칼라에 대한 반발로 등장한 하레디 전통주의자들은 종교와 철학의 융합을 경계했다. 브레슬라브의 나흐만 랍비는 모든 철학을 거짓되고 이단적이라고 보았지만, 차바드의 슈네르 찰먼은 하시디즘을 통해 철학 학파부터 신비주의까지 토라 사상의 모든 부분을 통합할 수 있다고 보았다.[26]

9. 1. 18세기: 모세 멘델스존과 하스칼라

모세 멘델스존은 유대교에서 새로운 시대를 연 인물로 묘사된다. 그는 하스칼라(유대 계몽)에 영향을 준 독일계 유대인 철학자였다. 그의 가장 중요한 저서는 《예루살렘 또는 종교적 권력과 유대교에 관하여》이다.

9. 2. 18세기 및 19세기의 기타 유대 철학자

18세기 및 19세기에는 다양한 유대 철학자들이 활동했다.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메나헴 멘델 레핀
  • 살로몬 마이몬
  • 이삭 사타노프
  • 나프탈리 울만
  • 엘리야 베나모제
  • 헤르만 코헨
  • 모세 헤스
  • 삼손 라파엘 히르쉬
  • 사무엘 히르쉬
  • 나흐만 크로흐말
  • 사무엘 다비드 루차토
  • 카를 마르크스

9. 3. 전통주의자들의 철학에 대한 태도

하스칼라에 대한 반응으로 등장한 하레디 전통주의자들은 종교와 철학의 융합을 어렵게 여겼다. 브레슬라브의 나흐만 랍비는 모든 철학을 거짓되고 이단적이라고 보았다. 차바드의 슈네르 찰먼은 하시디즘을 통해 철학 학파부터 신비주의까지 토라 사상의 모든 부분을 통합할 수 있다고 보았다.[26]

10. 20세기와 21세기 유대 철학

20세기와 21세기 유대 철학은 유대교 성립부터 유대인 해방까지, 랍비적 유대교 전통 안에서 새로운 사상을 받아들이려는 지속적인 시도였다. 슈테틀 생활에서 비종교적 교육을 받은 유대인들은 현대 사회와 만나면서 끊임없이 새로운 사상을 수용하고, 또 스스로 개발했다.

동유럽 유대인의 슈테틀 생활의 종식과 아랍 출신 유대인들의 변화는 경건한 유대교 신자들의 사상에 대한 태도를 바꾸게 되었다. 일부 공동체는 비종교적 교육을 인정하지 않았지만, 다른 공동체에서는 비유대교적 철학, 음악, 예술, 문학, 윤리를 배우는 것을 장려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이 보편적인 진리로 인정되지는 않았다.

10. 1. 유대교 실존주의

초기 유대교 실존주의 철학자 중 한 명은 레프 셰스토프였다. 20세기 전반에 가장 영향력 있는 유대교 실존주의자 중 한 명은 프란츠 로젠츠바이크였다. 정통파 랍비 조셉 솔로베이치크와 보수파 랍비 닐 길먼, 엘리엇 N. 도르프 또한 실존주의자로 묘사되어 왔다. 프랑스 철학자이자 탈무드 주석가인 에마뉘엘 레비나스도 유대교 실존주의자로 묘사되어 왔다.

10. 2. 유대교 합리주의

마이모니데스는 그의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적 저서인 ''이끌어주는 사람(The Guide for the Perplexed)''을 저술했다.[26] 그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과학을 토라의 가르침과 조화시키려고 노력했다. 어떤 면에서 그의 입장은 아베로에스의 입장과 유사했다. 마이모니데스는 아리스토텔레스가 가르친 것처럼 세계가 영원하지 않고 ''무에서의 창조(ex nihilo)''로 창조되었다고 제안함으로써 아리스토텔레스의 가르침에서 벗어났다. "이끌어주는 사람(Guide for the Perplexed)"(1:17 & 2:11)에서 마이모니데스는 이스라엘이 유배 중에 메소라를 잃었고, 그것과 함께 "우리는 우리의 과학과 철학을 잃었고, 유대교, 기독교 및 이슬람교 텍스트의 상호 작용과 지적 조사라는 맥락에서 알 안달루스에서야 되살아났습니다."라고 설명한다.

마이모니데스의 저술은 거의 즉시 카라이파, 도미니크 수도회 기독교인, 프로방스의 토사피스트들, 아슈케나즈 그리고 알 안달루스 출신 학자들로부터 공격을 받았다. 학자들은 마이모니데스가 "사람들이 그의 젊은 시절부터 그의 세대에는 그와 같은 자가 없다고 믿도록 익숙하게 만든 자"라고 바그다드의 가온인 사무엘 벤 알리를 비판하고 아카데미의 "금전적 요구"를 신랄하게 비판하면서 마이모니데스 논쟁을 일으켰다고 주장한다.

서유럽에서는 1232년 기독교 도미니크 수도회가 마이모니데스의 저술을 불태우면서 논쟁이 중단되었다. 마이모니데스의 아들인 아브라함 벤 람밤은 동방에서 아버지의 신념을 위해 계속 싸웠다.

마이모니데스 논쟁은 14세기 초에 다시 불붙었다. 당시 랍비 솔로몬 벤 아데레트는 아셀 벤 예히엘의 영향을 받아 "25세 미만의 공동체 구성원 중 그리스의 자연과학 및 형이상학 저술을 연구하는 자"에 대한 체렘(파문)을 선포했다.

현대 카발리스트, 토사피스트, 합리주의자들은 계속해서 자신의 입장과 유대 세계에서의 영향력을 지지하는 활발하고 때로는 신랄한 논쟁을 벌이고 있다. 이러한 논쟁의 중심에는 "갈팡질팡하는 자들을 위한 안내", "13개의 신앙 원칙", "미슈나 토라", 그리고 그의 아누심 주석이 있다.

10. 3. 홀로코스트 신학

주어진 원문 소스는 홀로코스트 신학에 대한 내용을 직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10. 4. 재건주의 신학

모르데카이 카플란 랍비의 종교적 자연주의는 가장 논란이 많은 유대교 철학 형태 중 하나였다. 그는 존 듀이의 실용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하셈이 인격적이지 않으며, 하셈에 대한 모든 의인화된 묘사는 불완전한 은유라고 주장했다.[26]

10. 5. 과정신학

과정철학은 우주의 근본 요소가 경험의 사건이라고 제시하며, 모든 경험은 이전 경험의 영향을 받고 미래의 모든 경험에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찰스 하츠혼이 개발한 과정신학은 여러 유대교 신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26]

10. 6. 카발라와 철학

제공된 소스에는 "카발라와 철학" 섹션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내용이 없기 때문에, 해당 섹션에 대한 위키텍스트를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출력합니다.

이 문서는 카발라와 철학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지 않으므로, 제공된 소스에서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10. 7. 현대 유대 철학

현대 유대 철학은 다양한 사상가들에 의해 발전되어 왔다.

구분철학자
정통 유대교엘리에저 베르코비츠, 엘리야후 데슬러, 삼손 라파엘 히르쉬, 아브라함 이삭 쿠크, 예샤야후 라이보비츠, 메나헴 멘델 슈네어슨, 조셉 솔로베이치크
보수 유대교브래들리 샤비트 아르손, 엘리엇 N. 도르프, 닐 길먼, 아브라함 조슈아 헤셀, 앨런 미틀먼, 데이비드 노박
개혁 및 진보 유대교레이철 애들러, 레오 바이크, 유진 보로위츠, 에밀 파켄하임
기타테오도르 아도르노, 한나 아렌트, 발터 벤야민, 노엄 촘스키, 자크 데리다, 지그문트 프로이트, 에리히 프롬, 칼 마르크스, 토마스 내글, 마사 누스바움, 칼 포퍼, 힐러리 퍼트넘, 아연 랜드, 레오 슈트라우스,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참조

[1] 웹사이트 Philo Judæus http://www.jewishenc[...] JewishEncyclopedia.com 2012-10-22
[2] 서적 Christianity, Judaism and other Greco-Roman cults: studies for Morton Smith at sixty Brill
[3] 서적 Judaism as Philosophy
[4] 서적 Beginnings in Jewish Philosophy Behrman House
[5] 서적 Geonica
[6] 학술지 A Milestone in the History of Andalusī Bāṭinism: Maslama b. Qāsim al-Qurṭubī's Riḥla in the East
[7] 백과사전 Microcosm https://www.jewishen[...] Funk & Wagnalls
[8] 서적 A literary History of Persia
[9] 학술지 A Fragment from Hivi Al-Balkhi's Criticism of the Bible
[10] 서적 The Messiah in Isaiah 53: The Commentaries of Sa'adya Gaon, Salmon Ben Yeruham, and Yefet Ben Eli 52:13-53:12
[11] 학술지 Hiwi Al-Balkhi: A Comparative Study
[12] 서적 Hivi Ha-Balkhi Ha-Kofer Me-Horasan, Ketavim Sifriyyat Po'alim
[13] 서적 Sa'adya's Polemic against Hiwi Al-Balkhi: A Fragment Edited from a Genizah Ms, Texts and Studies of the Jewish Theological Seminary of America The Jewish Theological Seminary of America
[14] 웹사이트 Ḥīwī al-Balkhī http://referencework[...] Brillonline.com 2012-07-03
[15] 서적 Sa'adya Gaon: His Life and Works, Morris Loeb Series Jewish Publication Society of America
[16] 웹사이트 Abū 'l-Kathīr Yaḥyā ibn Zakariyyāʾ http://referencework[...] Brillonline.com 2012-10-22
[17] 서적 The Encyclopaedia of Islam, Vol. 2: C–G E. J. Brill
[18] 서적 Free will and predestination in early Islam
[19] 서적 Ibn al-Rawandi's Kitab Fahijat al-Mu'tazila: Analytical Study of Ibn al-Riwandi's Method in his Criticism of the Rational Foundation of Polemics in Islam Editions Oueidat
[20] 웹사이트 Saʿadyā Ben Yōsēf http://referencework[...] Brillonline.com 2012-10-22
[21] 웹사이트 Muqammiṣ, David Ibn Marwān al- http://referencework[...] Brillonline.com 2012-07-03
[22] 서적 Jews in Islamic countries in the Middle Ages
[23] 서적 A history of Jewish philosophy in the Middle Ages
[24] 웹사이트 Bahya Ben Joseph Ibn Paḳuda http://www.jewishenc[...] JewishEncyclopedia.com 2012-10-22
[25] 서적 Or Adonai
[26] 서적 On the Maimonidean Controversy in the East: the role of Abu 'l-Barakat al-Baghdadi
[27] 서적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a dictionary of arts, sciences ...
[28] 학술지 A short biographical article about Rabeinu Shem Tov Ben Yosef Falaquera
[29] 서적 Torah and Sophia: The Life and Thought of Shem Tov Ibn Falaquera
[30] 웹사이트 Jewish Virtual Library https://www.jewishvi[...]
[31] 서적 God, Torah, Israel: traditionalism without fundamentalism Hebrew Union College Press
[32] 서적 Responsa
[33] 웹사이트 Hasdai Cresca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1-05-18
[34] 서적 An Illustration of the Concept 'Philosophic Mysticism' from Fifteenth Century Yemen, and A Philosophical-Mystical Interpretation of a Shi'ur Qomah Text
[35] 서적 Isaac Abarbanel's stance toward tradition: defense, dissent, and dialogue
[36] 서적
[37] 웹사이트 Porto-Rafa (Rapaport), Moses ben Jehiel Ha-Kohen https://www.jewishvi[...] Jewishvirtuallibrary.org 2012-10-22
[38] 서적 Seder ha-Dorot
[39] 논문
[40] 서적 Blesséd Spinoza: a biography of the philosopher The Macmillan Company
[41] 웹사이트 Mendelssohn http://www.jewishenc[...] JewishEncyclopedia.com 2012-10-22
[42] 서적 https://books.google[...]
[43] 서적 The Jewish Enlightenment
[44] 웹사이트 Emmanuel Levinas http://www.myjewishl[...]
[45] 간행물 Jewish Rationalism Reemergent
[46] 논문 To Re-Cast Rationalism
[47] 웹사이트 The Jewish Theological Seminary http://www.jtsa.edu/[...] Jtsa.edu 2012-10-22
[48] 웹사이트 From Medievaland Modern Theories Of Revelation By Elliot N. Dorff http://www.adath-sha[...] Adath-shalom.ca 2012-10-22
[49] 서적 Tradition in the public square: a David Novak reader
[50] 웹사이트 Halakhic Latitudinarianism: David Hartman on the commanded life http://etd.lib.fsu.e[...] Etd.lib.fsu.edu 2012-10-22
[51] 웹사이트 Elu v'Elu: Two Schools of Halakha Face Off On Issues of Human Autonomy, Majority Rule and Divine Voice of Authority http://www.hartmanin[...]
[52] 서적 The Human and the Holy: The Spirituality of Abraham Joshua Heschel https://books.google[...] Fordham University Press
[53] 텍스트 Objective Knowledge
[54] 서적 The Melchizedek Tradition: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Sources to the Fifth Century ad and in the Epistle to the Hebrew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5] 서적 Sefer Yetzirah Red Wheel
[56] 서적 Bereishit Rabba
[57] 서적 Christianity, Judaism and other Greco-Roman cults: studies for Morton Smith at sixty Bri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