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일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일호는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정치인이다.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사 학위를,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서 경제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 국토교통부 장관, 기획재정부 장관, 경제부총리, 국무총리 직무대행 등을 역임했다. 제18, 19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박근혜 정부에서 경제 정책을 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국토교통부 장관 - 원희룡
원희룡은 서울대 법대 졸업 후 사법시험 수석 합격, 검사, 변호사를 거쳐 3선 국회의원과 제주특별자치도지사, 국토교통부 장관을 역임한 정치인이지만, 총선 낙선과 여러 논란을 겪었다. - 대한민국의 국토교통부 장관 - 노형욱 (공무원)
노형욱은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기획예산처, 국무조정실 등을 거쳐 국토교통부 장관을 역임하고, 현재 경제·국토교통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 광진구 출신 - 박사임
박사임은 이화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2003년 KBS 29기 공채 아나운서로 입사하여 뉴스 프로그램과 라디오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사랑의 가족', '가족오락관', '영화가 좋다' 등 다양한 TV 프로그램에서 활동한 대한민국의 KBS 아나운서이다. - 광진구 출신 - 박한별
박한별은 2002년 모델로 데뷔하여 배우 활동과 여성 패션 브랜드 사업을 병행하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전주 류씨 - 유기정
유기정은 삼화인쇄 회장, 국회의원,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한국 최초로 컬러 인쇄를 도입했고, 2010년에 노환으로 사망했다. - 전주 류씨 - 유원식 (군인)
유원식은 일제강점기 만주군 장교 출신으로 5·16 군사정변에 가담하여 국가재건최고회의 재정경제위원장을 역임했으며, 박정희의 권유로 군사정변에 참여하여 경제 개혁을 주도했으나 김종필과의 갈등으로 실각하고 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유일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유일호 |
한자 표기 | 柳一鎬 |
로마자 표기 | Yu Ilho |
출생일 | 1955년 3월 30일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정당 | 자유한국 |
학력 | 서울대학교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
직책 | |
역대 | 대행 |
직책 | 대한민국 국무총리 권한대행 |
임기 시작 | 2017년 5월 11일 |
임기 종료 | 2017년 5월 31일 |
대통령 | 문재인 |
이전 총리 | 황교안 |
다음 총리 | 이낙연 |
주요 직책 1 | |
직책 | 제3대 대한민국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국무총리 | 황교안 자신 (대행) 이낙연 |
임기 시작 | 2016년 1월 13일 |
임기 종료 | 2017년 6월 9일 |
이전 장관 | 최경환 |
다음 장관 | 김동연 |
의정 활동 | |
선거구 | 서울특별시송파구 을 선거구 |
당선 횟수 | 2회 |
국회의원 임기 시작 | 2008년 5월 30일 |
국회의원 임기 종료 | 2016년 5월 29일 |
소속 정당 변천사 | |
소속 정당 | 한나라당 새누리당 자유한국당 미래통합당 국민의힘 |
기타 정보 | |
부모 | 유치송(부), 안태영(모) |
배우자 | 함경호 |
자녀 | 1남 |
형제 | 1남 2녀 중 장남 |
종교 | 무종교 |
2. 학력
- 경복국민학교 졸업
- 중앙중학교 졸업
- 경기고등학교 졸업
- 1981년 서울대학교 경제학 학사
- 1984년 펜실베이니아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
- 1989년 펜실베이니아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박사
3. 경력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1987년부터 클리블랜드 주립대학교 객원교수를 지냈으며, 1989년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을 시작으로 한국조세연구원 부원장 및 원장,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등 경제 관련 연구 및 교육 기관에서 경력을 쌓았다.[5] 보수 정치인 유치송의 아들이며[4], 2008년 제18대 총선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송파구 을에 출마하여 당선되면서 정계에 입문했다.
이후 새누리당에서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 원내부대표, 대변인, 서울특별시당 위원장 등 주요 당직을 역임했다.[5] 박근혜 정부 출범 직전인 2012년 12월에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비서실장으로 임명되었고[7], 2015년 3월에는 제2대 국토교통부 장관으로 발탁되었다. 그러나 약 8개월 만인 2015년 11월, 제20대 총선 출마를 이유로 사퇴했다.
국토교통부 장관직 사퇴 후 얼마 지나지 않은 2016년 1월, 부총리 겸 제6대 기획재정부 장관으로 다시 임명되었다. 단기간 내 장관직 이동에 대해 당시 야당은 인물난에 따른 '회전문 인사', '재활용 인사'라는 비판을 제기했다.[8] 경제부총리 재임 중 한일 통화스와프 협정 재개를 추진했으나[9][10],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와 부산 일본 총영사관 앞 위안부 소녀상 설치 문제 등으로 인한 한일 관계 악화로 협상이 중단되자 "스와프 재개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입장으로 선회했다.[12] 또한 노동개혁 등 경제활성화 법안 통과를 추진했으나[13], 박근혜 정부 임기 내 가시적인 성과를 내지 못했다.[14]
2016년 12월 박근혜 대통령 탄핵 소추안 가결 이후 후임 장관 인선이 무산되면서[11] 장관직을 계속 수행했고, 2017년 5월 황교안 국무총리가 사퇴하자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 잠시 국무총리 권한대행을 맡기도 했다.[15] 이낙연 국무총리 취임 후 권한대행직에서 물러났고, 2017년 6월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직에서도 퇴임했다.
2020년 제21대 총선에서 미래통합당 후보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이후 국민의힘 내에서 선거대책위원회 직책 등을 맡으며 활동했으며[16][17], 기업 사외이사, 법무법인 고문, 건국대학교 석좌교수 등을 지냈다. 윤석열 정부 출범 후인 2024년 7월, 대통령 직속 규제개혁위원회 민간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3. 1. 경제 및 학계 경력
구분 | 소속/기관 | 직위/역할 |
---|---|---|
학계/연구 | 미국 클리블랜드주립대학교 | 초빙교수 |
학계/연구 | 한국개발연구원 | 연구위원 |
학계/연구 | 한국조세연구원 | 부원장 |
학계/연구 | 한국계량경제학회 | 평의원 |
학계/연구 | 한국조세연구원 | 원장 |
학계/연구 | 한국금융학회 | 이사 |
학계/연구 | 한국경제학회 | 이사 |
학계/연구 | 건국대학교 | 객원교수 |
학계/연구 |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 교수 |
학계/연구 | 중앙대학교 | 겸임교수 |
학계/연구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초빙교수 |
학계/연구 |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 석좌교수 |
정부/공공 |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 위원 |
정부/공공 | 조세개혁특별위원회 | 위원장 |
정부/공공 |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정책기획위원회 | 자문위원 |
정부/공공 | 제2대 국토교통부 장관 | 장관 |
정부/공공 | 부총리 겸 제6대 기획재정부 장관 | 부총리 겸 장관 |
정부/공공 | 국무총리 | 직무대행 |
정부/공공 | 국회 국민통합위원회 | 경제분과위원 |
정부/공공 | 대통령 직속 규제개혁위원회 | 민간위원장 |
기업/기타 | 법무법인(유한) 클라스 | 고문 |
기업/기타 | 삼성생명 |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내부거래위원회 위원장, 위험관리위원회 위원) |
기업/기타 | 효성 | 사외이사 (사외이사후보 추천위원회 위원, 감사위원회 위원) |
기업/기타 | 재단법인 백선엽장군기념재단 | 자문위원 겸 백선엽장군기념사업회 이사 |
기업/기타 | KBS강태원복지재단 | 이사장 |
기업/기타 | 안민정책포럼 | 이사장 |
기업/기타 | 케이정책플랫폼 | 자문위원 |
기업/기타 | 법무법인(유한) 클라스한결 | 고문 |
국회/정당 |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 위원 |
국회/정당 |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 위원 |
국회/정당 |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 위원 |
국회/정당 | 한나라당 정책위원회 | 수석부의장 |
국회/정당 | 새누리당 | 원내부대표 |
국회/정당 | 새누리당 서울특별시당 | 위원장 |
국회/정당 | 새누리당 | 대변인 |
국회/정당 | 미래통합당 송파구 을 21대 총선 선대위원장 | 선대위원장 |
국회/정당 | 국민의힘 최재형 제20대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 열린캠프 | 명예 공동선거대책위원장 |
국회/정당 | 국민의힘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총괄특보단 | 정책특보단장 |
국회/정당 | 국민의힘 제20대 대통령 선거 윤석열 대통령 후보 직속 총괄특보단 | 정책특보단장 |
국회/정당 | 김기현 이기는 캠프 선거대책위원회 | 위원장 |
국회/정당 | 국민의힘 4·10 총선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산하 민생경제특별위원회 | 위원장 |
3. 2. 정계 경력
2008년 4월 제18대 총선에 한나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송파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1년 5월부터는 한나라당의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을 맡았으며, 당명이 새누리당으로 변경된 후인 2012년에는 원내부대표를 역임했다. 2013년 5월에는 새누리당 대변인이 되었고, 2014년부터는 당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을 거쳐 서울특별시당 위원장에 취임했다.[5]박근혜 정부 시기인 2015년 3월 16일, 제2대 국토교통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제20대 총선 출마를 이유로 같은 해 11월 11일 장관직을 사퇴하고 당무에 복귀했다. 불과 2개월 후인 2016년 1월, 경제부총리 겸 제6대 기획재정부 장관으로 다시 임명되었다. 이러한 단기간 내 연이은 장관 임명에 대해 당시 야당은 "리사이클 인사", "회전문 인사"라며 비판적인 시각을 보였다.[8]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이후 황교안 권한대행 체제에서 국무총리 직무대행을 맡기도 했다.
2020년 4월 제21대 총선에서는 미래통합당 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낙선하였다. 이후 미래통합당 송파구 을 21대 총선 선대위원장을 맡았다. 2020년 10월 9일 국민의힘의 2021년 서울시장 및 부산시장 보궐선거 대책위원장으로 내정되었으나[16], 사흘 뒤인 10월 12일 내정이 철회되었다.[17]
이후 국민의힘 내에서 여러 직책을 맡으며 활동했다. 2021년 최재형 제20대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 캠프의 명예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을 지냈고, 윤석열 대통령 후보 직속 총괄특보단 정책특보단장을 역임했다. 2023년 김기현 당대표 후보 캠프의 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으며, 2024년 4·10 총선에서는 국민의힘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산하 민생경제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2024년 7월, 대통령 직속 규제개혁위원회 민간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구분 | 내용 |
---|---|
학계 및 연구 | 미국 클리블랜드 주립대학교 초빙교수 |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 | |
한국조세연구원 연구위원, 부원장, 원장 | |
한국계량경제학회 평의원 | |
한국금융학회 이사 | |
한국경제학회 이사 | |
건국대학교 객원교수, 부동산대학원 석좌교수 | |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교수 | |
중앙대학교 겸임교수 |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초빙교수 | |
정계 입문 및 국회 활동 | 제18대 국회의원 (서울특별시 송파구 을, 한나라당 → 새누리당) |
제19대 국회의원 (서울특별시 송파구 을, 새누리당) | |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 (제18대) | |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위원 (제18대, 제19대) | |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위원 (제19대) | |
한나라당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 (2011년 5월 ~ 2012년 2월) | |
새누리당 원내부대표 (2012년) | |
새누리당 대변인 (2013년 5월 ~ 2013년 12월) | |
새누리당 서울특별시당 위원장 (2014년 7월 ~ 2015년 3월) | |
조세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 | |
국회 국민통합위원회 경제분과위원 | |
정부 관료 | 제2대 국토교통부 장관 (2015년 3월 ~ 2015년 11월) |
부총리 겸 제6대 기획재정부 장관 (2016년 1월 ~ 2017년 6월) | |
국무총리 직무대행 (2017년 5월 11일 ~ 2017년 5월 31일) | |
대통령 직속 규제개혁위원회 민간위원장 (2024년 7월 ~ 현재) | |
기타 활동 및 당직 |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정책기획위원회 자문위원 | |
미래통합당 송파구 을 21대 총선 선대위원장 (2020년) | |
국민의힘 최재형 제20대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 열린캠프 명예 공동선거대책위원장 (2021년) | |
국민의힘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총괄특보단 정책특보단장 (2021년) | |
국민의힘 제20대 대통령 선거 윤석열 대통령 후보 직속 총괄특보단 정책특보단장 (2021년 ~ 2022년) | |
김기현 이기는 캠프 선거대책위원회 위원장 (2023년) | |
국민의힘 4·10 총선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산하 민생경제특별위원회 위원장 (2024년) | |
법무법인(유한) 클라스 고문, 법무법인(유한) 클라스한결 고문 | |
삼성생명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내부거래위원회 위원장, 위험관리위원회 위원) | |
효성 사외이사 (사외이사후보 추천위원회 위원, 감사위원회 위원) | |
재단법인 백선엽장군기념재단 자문위원 겸 백선엽장군기념사업회 이사 | |
KBS강태원복지재단 이사장 | |
안민정책포럼 이사장 | |
케이정책플랫폼 자문위원 |
3. 3. 정부 경력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 한국조세연구원 부원장 및 원장,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등을 거쳤다.2008년 4월 제18대 총선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송파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다. 국회에서는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등에서 활동했다. 새누리당에서는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 서울특별시당 위원장, 대변인 등 주요 당직을 맡았다.
2012년 12월 24일, 대통령 취임을 앞둔 박근혜 당선인은 유일호를 비서실장으로 임명했다.[7] 2015년 3월 16일에는 제2대 국토교통부 장관으로 임명되었으나, 약 8개월 만인 2015년 11월 11일 제20대 총선 출마를 이유로 장관직을 사퇴했다.
그러나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2016년 1월 13일, 부총리 겸 제6대 기획재정부 장관으로 다시 발탁되었다. 국토교통부 장관직을 사퇴한 지 불과 2개월 만의 일이었기에, 당시 야당은 박근혜 대통령의 이러한 인사를 두고 마땅한 인물을 찾지 못하고 기존 인물을 돌려쓰는 '회전문 인사', '재활용 인사'라고 비판했다.[8]
기획재정부 장관 재임 중에는 2015년 2월 종료되었던 한일 통화스와프 협정의 재개를 추진했다. 2016년 1월 인사청문회에서부터 한일 통화스와프 확대의 필요성을 언급했으며,[9] 같은 해 8월 27일 서울에서 열린 한일 재무장관 회의에서는 아소 다로 일본 재무대신과 스와프 재개를 위한 논의를 시작하기로 합의했다.[10] 하지만 이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불거지면서 박근혜 정부의 국정 운영 동력이 급격히 떨어졌고, 스와프 재개 협상 역시 지지부진해졌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여파로 2016년 11월 2일 박근혜 대통령은 임종룡 당시 금융위원장을 후임 기획재정부 장관으로 지명했으나, 국회의 반대로 인준을 받지 못했다.[11] 결국 12월 9일 국회에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되어 대통령 직무가 정지되고 황교안 국무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게 되면서, 유일호는 기획재정부 장관직을 계속 수행하게 되었다. 이후 부산 일본 총영사관 앞 위안부 소녀상 설치 문제로 한일 관계가 악화되자, 일본 정부는 스와프 재개 협상 중단을 통보했다. 이에 유일호 장관은 "우리나라 입장에서 (스와프 재개는) 바라는 바가 없고, 의존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히며 기존 태도를 변경했다.[12]
경제부총리로서 노동개혁을 추진하고 경제활성화 관련 법안 통과를 위해 노력했으나,[13] 박근혜 정부 임기 내에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14]
2017년 3월 10일 박근혜 대통령이 파면되었고, 5월 9일 실시된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 후보가 당선되었다. 문재인 대통령 취임 다음 날인 5월 11일 황교안 국무총리가 사퇴하자, 부총리인 유일호가 국무총리 권한대행을 맡게 되었다.[15] 2017년 5월 31일 이낙연 신임 국무총리가 취임하면서 권한대행직에서 물러났고, 같은 해 6월 8일 기획재정부 장관 및 경제부총리직에서도 퇴임했다.
문재인 정부 시기에는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초빙교수, 법무법인 고문 등으로 활동했으며, 윤석열 정부 출범 후 대통령 직속 규제개혁위원회 민간위원장으로 임명되어 공직에 복귀했다.
3. 4. 기타 경력
- 미국 클리블랜드주립대학교 초빙교수
-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
- 한국조세연구원 부원장
- 한국계량경제학회 평의원
-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 한국조세연구원 원장
- 한국금융학회 이사
- 한국경제학회 이사
- 건국대학교 객원교수
-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교수
- 조세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
-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정책기획위원회 자문위원
- 중앙대학교 겸임교수
-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위원
- 제2대 국토교통부 장관
-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
-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위원
- 한나라당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
- 새누리당 원내부대표
- 새누리당 서울특별시당 위원장
- 새누리당 대변인
- 부총리 겸 제6대 기획재정부 장관
- 국무총리 직무대행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초빙교수
- 미래통합당 송파구 을 21대 총선 선대위원장
- 법무법인(유한) 클라스 고문
- 국회 국민통합위원회 경제분과위원
- 국민의힘 최재형 제20대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 열린캠프 명예 공동선거대책위원장
-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석좌교수
- 케이정책플랫폼 자문위원
- 국민의힘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총괄특보단 정책특보단장
- 국민의힘 제20대 대통령 선거 윤석열 대통령 후보 직속 총괄특보단 정책특보단장
- 삼성생명 사외이사
- * 삼성생명 감사위원회 위원
- * 삼성생명 내부거래위원회 위원장
- * 삼성생명 위험관리위원회 위원
- 김기현 이기는 캠프 선거대책위원회 위원장
- 효성 사외이사
- * 효성 사외이사후보 추천위원회 위원
- * 효성 감사위원회 위원
- 재단법인 백선엽장군기념재단 자문위원 겸 백선엽장군기념사업회 이사
- KBS강태원복지재단 이사장
- 안민정책포럼 이사장
- 국민의힘 4·10 총선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산하 민생경제특별위원회 위원장
- 법무법인(유한) 클라스한결 고문
- 대통령 직속 규제개혁위원회 민간위원장
4. 가족 관계
5. 경제 정책 및 활동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 한국조세연구원 원장 등을 거치며 경제 전문가로서 경력을 쌓았다. 박근혜 정부에서 제2대 국토교통부 장관을 지냈고, 2016년 1월 부총리 겸 제6대 기획재정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부총리 재임 시절, 2015년 2월 중단되었던 한일 통화 스와프 협정 재개를 추진하고 노동 개혁 및 경제활성화 법안 통과를 위해 노력했다.[9][13] 그러나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와 대통령 탄핵 등 정치적 격변기를 거치며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10][12][14] 특히 한일 통화 스와프 협상은 부산 일본 총영사관 소녀상 설치 문제 등으로 한일 관계가 경색되면서 재개되지 못했다.[12]
2017년 3월 박근혜 대통령 파면 이후, 황교안 당시 국무총리가 5월 11일 사퇴함에 따라 이낙연 신임 국무총리가 취임하는 5월 31일까지 약 20일간 국무총리 직무대행을 수행했다.[15] 문재인 정부 출범 후인 2017년 6월,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직에서 물러났다.
퇴임 후에는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초빙교수,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석좌교수 등으로 활동했으며, 삼성생명, 효성 등 기업의 사외이사를 맡기도 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인 2022년 8월, 대통령 직속 규제개혁위원회 민간위원장으로 임명되어 활동하고 있다.
아래는 유일호의 주요 경제 관련 경력이다.
직책 | 소속 기관 |
---|---|
연구위원 | 한국개발연구원 |
부원장, 원장 | 한국조세연구원 |
제2대 장관 (2015년 3월 ~ 2015년 11월) | 국토교통부 |
부총리 겸 제6대 장관 (2016년 1월 ~ 2017년 6월) | 기획재정부 |
국무총리 직무대행 (2017년 5월 11일 ~ 2017년 5월 31일) | 국무총리실 |
민간위원장 (2022년 8월 ~ 현재) | 대통령 직속 규제개혁위원회 |
5. 1. 한일 통화 스와프 협상
2015년 2월 종료된 한일 통화 스와프 협정 재개를 목표로, 유일호는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취임 전부터 의지를 보였다. 2016년 1월 11일 취임에 필요한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한일 간 통화 스와프 확대 필요성을 언급했다.[9] 같은 해 8월 27일, 한국 측의 요청으로 서울에서 열린 한일 재무대화(재무장관 회의)에서 아소 다로 일본 재무대신 등과 만나 스와프 재개를 위한 논의를 시작하기로 합의했다.[10]그러나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 사태가 불거지면서 협상은 난관에 부딪혔다.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이 급락하고 정국이 혼란에 빠지면서 스와프 재개 논의는 사실상 중단되었다. 2016년 11월 2일 박근혜 대통령은 임종룡 당시 금융위원회 위원장을 후임 기획재정부 장관으로 지명했으나 국회 인준을 받지 못했고,[11] 12월 9일 국회에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되어 직무가 정지되었다. 이에 따라 황교안 당시 국무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게 되면서 유일호는 기획재정부 장관직을 계속 수행하게 되었다.
이후 부산 일본 총영사관 앞에 위안부 문제를 상징하는 소녀상이 설치되면서 한일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일본 정부는 이에 대한 항의 표시로 스와프 재개 협상 중단을 선언하는 등 강경한 조치를 취했다. 이에 대해 유일호는 "(통화 스와프 재개를) 바라는 바 없고, 의존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히며 일본 측의 압박에 선을 그었다.[12]
5. 2. 노동 개혁 및 경제 활성화 법안
경제부총리로서 노동 개혁에도 매달렸고, 경제활성화 법안 통과 등을 기대했으나[13] 결국 박근혜 정권 하에서는 통과시키지 못했다.[14]6. 논란
대표적인 친박(朴槿惠)계 정치인이다.[16]
6. 1. 연대보증 채무
1996년, 유일호는 친척의 부탁으로 부인과 함께 연대보증인이 되었다. 그러나 해당 친척의 사업이 실패하면서 거액의 빚을 떠안게 되었다. 이로 인해 2003년에는 보유하고 있던 아파트가 법원 경매로 넘어갔으며, 예금통장 역시 압류되는 등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었다.[18]6. 2. 박근혜 정부 인사 관련 비판
최순실의 국정농단 의혹이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박근혜 정부의 국정 운영 동력은 급격히 약화되었다.[10] 이러한 정치적 혼란 속에서 2016년 11월 2일, 박근혜 대통령은 임종룡 금융위원장을 후임 기획재정부 장관으로 지명하였으나, 국회의 동의를 얻지 못해 임명이 무산되었다.[11] 결국 같은 해 12월 9일, 국회에서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가결되어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되었고, 황교안 국무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는 과도 정부 체제가 수립되었다. 이 과정에서 유일호는 기획재정부 장관직을 계속 유지하게 되었다.[11] 이는 박근혜 정부 말기의 불안정한 국정 운영과 인사 시스템의 난맥상을 보여주는 사례로 지적된다.7.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연도 | 선거 종류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결과 |
---|---|---|---|---|---|---|---|---|
2008 | 총선 | 18대 | 국회의원 | 송파구 을 | 한나라당 | 39,089 (61.89%) | 1위 | 당선 (초선) |
2012 | 총선 | 19대 | 국회의원 | 송파구 을 | 새누리당 | 49,299 (49.94%) | 1위 | 당선 (재선) |
참조
[1]
웹사이트
694일만에 떠나는 황교안…10번째 장수총리
http://m.news.naver.[...]
2017-05-16
[2]
웹사이트
South Korea PM to retain Yoo Il-ho as finance minister: Yonhap
https://www.reuters.[...]
2016-12-12
[3]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13
[4]
뉴스
(부고) 유치송 前민주한국당 총재 별세
http://v.media.daum.[...]
서울新聞
2017-05-16
[5]
웹사이트
유일호
http://people.search[...]
NAVER人物検索
2015-05-21
[6]
웹사이트
(Who Is ?) 유일호 경제부총리
http://www.businessp[...]
2017-05-16
[7]
뉴스
速報:韓国次期大統領 秘書室長・報道官を任命
http://japanese.yonh[...]
2017-05-15
[8]
뉴스
<朴大統領12.21改閣>「検証」で経済副首相候補が複数回変わる
https://japanese.joi[...]
2017-05-15
[9]
뉴스
韓国経済副首相候補「日本との通貨スワップ再開など考慮」
http://japanese.yonh[...]
2017-05-15
[10]
뉴스
通貨スワップ議論で合意
http://app.yonhapnew[...]
2017-05-15
[11]
뉴스
麻生氏、「韓国、誰が政策を決定するのか分からない」
http://japanese.dong[...]
2017-05-16
[12]
뉴스
柳一鎬副総理「韓・日通貨スワップにしがみつく理由はない」
http://japan.mk.co.k[...]
2017-05-15
[13]
뉴스
柳一鎬経済副首相、「政府が仕事できるように手助けしてほしい」
http://japanese.dong[...]
2017-05-16
[14]
뉴스
経済停滞に外交、北朝鮮…前例なき「国難」の中、新政権スタート
https://www.sankei.c[...]
2017-05-16
[15]
뉴스
文大統領 黄首相の辞表を受理=韓国
http://japanese.yonh[...]
2017-05-15
[16]
웹사이트
국민의힘, 보궐선거대책위원장에 유일호 전 경제부총리 내정
https://imnews.imbc.[...]
2020-10-09
[17]
웹사이트
野 보궐선대위원장에 유일호 내정 철회…오후 재논의(종합)
https://www.newsis.c[...]
2020-10-12
[18]
웹사이트
'경제학 박사'도 걸려든 '보증 빚더미'…구제책은 없나
https://www.yna.co.k[...]
2016-01-13
[19]
헌정회
[20]
뉴스
검증과 파격의 이중주 … 박근혜 인사의 비밀
https://news.naver.c[...]
중앙일보
2013-01-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앞날 내다보는 삼성?…문재인 정부 고위직들 사외이사 영입
오세훈 "규제 풀어 경상성장률 5% 만들자"…오후에 MB 예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