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육아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아종은 대식세포가 조직화되어 뭉쳐진 집합체로, 병리학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육아종은 림프구, 호중구, 다핵 거대 세포 등 다양한 세포와 기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육아종 내 세포의 종류는 원인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기도 한다. 육아종은 결핵, 사르코이드증 등 감염성 및 비감염성 질환에서 나타나며, 괴사 포함 여부에 따라 건락화와 비건락화로 구분된다. 육아종은 이물질이나 감염원에 대한 방어 반응으로 형성되며, 면역 기능과 이물질의 성질에 따라 분해 또는 격리된다. 육아종은 "작은 알갱이"를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특정 염증성 질환은 육아종성 염증과 혈관염이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부병리학 - 위축
    위축은 정상적인 발달이나 질병으로 인해 신체 조직이나 기관의 크기가 감소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정상적인 발달, 노화, 질병, 약물 사용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 해부병리학 - 육종 (종양)
    육종은 골육종과 연조직 육종으로 분류되며, 뼈와 연부조직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방사선 노출, 유전적 요인 등이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며, 영상 검사, 생검을 통해 진단하고 수술,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등을 시행한다.
육아종
개요
유육종증 환자의 림프절에 발생한 육아종. 20배 확대.
유육종증 환자의 림프절에 발생한 육아종. 20배 확대.
분야병리학
육아종
설명만성 염증에 대한 반응으로 면역 세포가 응집된 것
추가 정보
관련 질병결핵
나병
히스토플라스마증
크론병
사르코이드증

2. 정의

병리학에서 육아종(granuloma)은 대식세포가 조직적으로 모여 이루어진 덩어리를 말한다.[1][5]

의학계에서는 '육아종'이라는 용어를 단순히 '작은 결절'이라는 의미로 넓게 사용하기도 한다. 작은 결절은 무해한 모반부터 악성 종양까지 다양한 조직을 의미할 수 있어, 이러한 용법은 비특이적이다. 예를 들어, 성대 육아종(접촉 육아종), 화농성 육아종, 기관 삽관 육아종 등은 실제로는 육아종이 아닌 육아 조직에 해당한다. '폐 유리질 육아종' 역시 폐에 켈로이드와 유사한 섬유화가 나타나는 병변으로, 육아종과는 다르다. 방사선과 의사들이 흉부 X선이나 CT 스캔에서 석회화된 결절을 보고 '육아종'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육아종이 종종 칼슘을 포함하지만 육안으로 관찰하기에는 너무 작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추정에 기반한 것이다. 따라서 '육아종'이라는 용어를 가장 정확하게 사용하려면, 병리학자가 수술로 제거된 조직을 특수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해야 한다.

육아종을 정의하는 핵심 세포는 대식세포(특히 조직구)이다. 이 대식세포들은 종종 서로 융합하여 여러 개의 핵을 가진 거대 세포(랑게르한스 거대 세포)를 형성하기도 한다.[6] 육아종 내의 대식세포는 '상피양 세포'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이 세포들이 상피 세포와 유사하게 보이기 때문이다. 상피양 대식세포는 일반 대식세포와 달리 길쭉한 핵(종종 슬리퍼나 신발 밑창 모양에 비유됨)을 가지며 핵의 크기도 더 크다. 세포질은 에오신 염색 시 더 분홍색을 띤다. 이러한 변화는 침입한 항원에 의해 대식세포가 활성화된 결과로 여겨진다.

육아종 정의의 또 다른 핵심 요소는 '조직화된'이라는 표현으로, 이는 세포들이 조밀하게 뭉쳐 공 모양의 구조를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이 구조 내의 대식세포는 매우 빽빽하게 모여 있어 개별 세포의 경계를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느슨하게 흩어져 있는 대식세포는 육아종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모든 육아종은 원인과 관계없이 다양한 추가 세포와 기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는 림프구, 호중구, 호산구, 다핵 거대 세포, 섬유아세포, 콜라겐(섬유증)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추가 세포들은 때때로 육아종의 원인을 추정하는 단서가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호산구가 많은 육아종은 콕시디오이데스증이나 알레르기성 기관지 진균 질환을 시사할 수 있으며, 호중구가 많은 육아종은 블라스토미세스증, 다발성 혈관염을 동반한 육아종증, 흡인성 폐렴, 고양이 할큄병 등을 의심하게 한다.

근본적인 원인 측면에서 육아종은 다른 유형의 염증과 구별된다. 육아종은 호중구호산구와 같은 초기 염증 반응 세포들이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항원에 대한 반응으로 형성된다. 육아종 형성을 유발하는 항원은 대부분 감염성 병원체나 체내 이물질이지만, 사르코이드증처럼 침입 항원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경우도 있다.

육아종은 감염성 질환과 비감염성 질환 모두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난다.[7][2] 육아종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성 질환에는 결핵, 나병, 히스토플라스마증, 크립토코쿠스증, 콕시디오이데스증, 블라스토미세스증, 고양이 할큄병 등이 포함된다. 비감염성 육아종성 질환의 예로는 사르코이드증, 크론병, 베릴륨증, 다발성 혈관염을 동반한 육아종증, 호산구성 육아종증을 동반한 다발성 혈관염, 폐 류마티스 결절, 음식물이나 기타 입자 물질의 폐 흡인 등이 있다.

2. 1. 건락화 vs 비건락화

육아종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괴사(necrosis)의 포함 여부이다. 괴사는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핵이 없는 무정형의 잔해 덩어리로 보이는 죽은 세포를 의미한다. 이와 관련된 용어로 건락화(caseation, 문자 그대로 '치즈로 변함')가 있는데, 이는 육안으로 보았을 때 치즈와 유사하게 보이는 괴사("건락성")의 한 형태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결핵 육아종의 특징이다.

육아종에서 괴사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것은 중요하다. 왜냐하면 괴사가 있는 육아종은 감염성 원인에 의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7] 물론 이 일반적인 규칙에는 몇 가지 예외가 있지만, 일상적인 진단 병리학에서는 유용하게 사용된다.

결핵 환자의 폐에서 발견된 중심 괴사가 있는 육아종. 육아종 주변부에 말굽 모양으로 배열된 많은 핵을 가진 랑게르한스형 거대 세포(Langhans giant cell)가 관찰된다. 랑게르한스형 거대 세포는 여러 유형의 육아종에서 보이며 결핵에만 특이적인 것은 아니다.

3. 육아종이 있는 질병

육아종은 감염성 질환과 비감염성 질환 모두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난다.[7][2] 육아종 형성을 유발하는 항원은 대부분 감염성 병원체 또는 신체 내 이물질이지만, 사르코이드증과 같이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감염성 육아종 질환으로는 결핵, 나병, 히스토플라스마증, 크립토코쿠스증, 콕시디오이데스증, 블라스토미세스증, 고양이 할큄병 등이 있다.[7][2] 비감염성 원인으로는 사르코이드증, 크론병, 베릴륨증, 다발성 혈관염을 동반한 육아종증, 호산구성 육아종증을 동반한 다발성 혈관염, 폐 류마티스 결절, 그리고 음식이나 다른 입자성 물질의 폐 흡인 등이 육아종을 유발할 수 있다.[7][2]

육아종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괴사의 유무이다. 괴사는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핵이 없는 죽은 세포 덩어리로 나타난다. 특히 건락 괴사는 육안으로 치즈처럼 보이는 괴사 형태로, 주로 결핵 육아종의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육아종에 괴사가 동반되는 경우 감염성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지며, 이는 질병 진단에 중요한 단서가 된다.[7]

3. 1. 감염성 질환

육아종은 다양한 감염증에 대한 면역계의 반응으로 형성될 수 있다.[7][2] 특히 호중구호산구와 같은 초기 염증 세포로 쉽게 제거되지 않는 병원체이물질에 대항하여 대식세포가 조직화되면서 만들어진다.[1][5] 이렇게 형성된 육아종은 병원체를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하더라도, 병원체를 감싸서 확산을 막는 "격리" 역할을 수행한다.[21] 숙주의 면역 상태와 병원체의 특성에 따라 육아종은 병원체를 효과적으로 통제하기도 한다.[21]

육아종을 유발하는 감염성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대표적으로 세균 감염(결핵, 나병, 고양이 할큄병, 장티푸스, 브루셀라증, 매독 등), 진균 감염(히스토플라스마증, 크립토코쿠스증, 콕시디오이데스증, 블라스토미세스증 등), 기생충 감염(주혈흡충증, 리슈만편모충증 등), 바이러스 감염(거대세포바이러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등) 등이 있다.[7][2][21]

감염성 육아종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괴사의 유무이다. 괴사는 죽은 세포들의 덩어리로,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 특히 결핵에서 흔히 보이는 건락 괴사는 육안으로 치즈처럼 보이는 괴사 형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괴사가 있는 육아종은 감염성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지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7]

주요 감염성 질환과 관련된 육아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결핵의 경우 결핵균에 의해 발생하며, 건락 괴사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8] 나병에서는 주로 피부신경에 육아종이 형성되며, 나병의 유형에 따라 육아종의 형태가 다르다. 마이코박테리움 마리넘 감염은 수족관 육아종을 유발할 수 있다.[11] 이 외에도 주혈흡충증, 히스토플라스마증, 크립토코쿠스증, 고양이 할큄병, 리스테리아증, 리슈만편모충증, 폐포자충 폐렴, 흡인성 폐렴 등 다양한 감염이 육아종을 유발할 수 있다.[7][10][14][15][16][17]

3. 1. 1. 결핵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은 결핵의 육아종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중심부에 괴사가 나타나는 건락성 육아종(치즈 육아종)인 경우가 많지만, 괴사가 없는 비괴사성 육아종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8] 말굽 모양으로 배열된 핵을 가진 다핵 거대 세포(랑게르한스 거대 세포)와 이물 거대 세포가 자주 나타나지만, 이것이 결핵에만 특이적인 것은 아니다.[9] 결핵의 확진은 미생물 배양으로 원인균을 직접 확인해야 한다.[10]

육아종은 결핵의 가장 특징적인 병변 중 하나이다. 초기 감염 후 완전히 치유되면 폐 및 폐문 림프절의 감염 부위에 흉터가 남는데, 이를 치유성 육아종이라고 한다. 완전히 치유되지 않고 잠복 감염 상태가 되면 염증 반응이 지속되어 육아종이 계속 성장한다. 이 육아종의 중심부는 괴사를 일으키며 염증 반응이 미치지 못하고, 결핵균이 다수 존재한다. 괴사 부위는 커티지 치즈처럼 보이기 때문에 건락 괴사라고 하며, 건락 괴사를 중심으로 갖는 육아종을 건락성 육아종이라고 한다. 진행성 감염에서는 건락성 육아종이 폐 전체로 확산될 수 있다.

감염 초기에는 비특이적 세포독성 T세포(CTL)만 활성화되지만, 감염이 길어지면 주요 조직 적합성 복합체(MHC) 클래스 I 항원 제시에 의한 특이적 CTL 활성화와 MHC 클래스 II 항원 제시에 의한 지연형 과민 반응형 T 세포(Th1 세포)가 모두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CTL은 감염된 대식세포를 죽여 육아종 중심의 괴사를 일으킨다. Th1 세포는 림포카인을 분비하여 대식세포를 더욱 활성화시키고, 결핵균을 탐식하고 분해하여 감염 확산을 막는다. 그러나 대식세포의 활성화가 약하면, 침투한 대식세포가 오히려 감염되어 결과적으로 육아종이 커지게 된다.

3. 1. 2. 나병

나병의 경우, 육아종은 주로 피부에서 발견되며 신경을 침범하는 경향이 있다. 육아종의 모양은 나병의 구체적인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나병은 마이코박테리움속에 의한 감염증으로 인해 육아종이 형성될 수 있는 질환 중 하나이다.[21] 나병의 임상 양상은 감염된 사람의 면역 반응 강도에 따라 결정된다. 세포성 면역에 의한 지연형 과민 반응이 강하게 나타나면 잠행 감염 형태인 T형(결핵양형)으로, 항체 생성이 주로 일어나면 진행성 감염 형태인 L형(나종형)으로 진행된다.

또한, 균의 수에 따라 소균형(Paucibacillary, PB형)과 다균형(Multibacillary, MB형)으로 나뉘는데, 소균형에서는 상피양 세포성 육아종이, 다균형에서는 조직구성 육아종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3. 1. 3. 수족관 육아종

마이코박테리움의 한 종류인 마이코박테리움 마리넘(Mycobacterium marinumla)은 "수족관 육아종"이라고 불리는 드문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11]

3. 1. 4. 기타 감염성 질환

간과 요로 정맥에 낳아진 일부 주혈흡충 알은 문맥을 통해 간으로 역류하여 간에 육아종을 형성할 수 있다.

대부분의 히스토플라스마증 형태(급성 히스토플라스마증, 히스토플라스모마, 만성 히스토플라스마증)에서는 육아종이 나타난다. 생검이나 미생물 배양을 통해 육아종 내에서 히스토플라스마(Histoplasma) 유기체를 확인하기도 한다.[7]

면역 체계가 정상인 사람에게 크립토코쿠스(Cryptococcus) 감염이 발생하면 육아종성 염증이 흔히 나타난다. 이 육아종은 괴사성이거나 비괴사성일 수 있으며, 현미경과 적절한 염색을 통해 육아종 내에서 병원체를 관찰할 수 있다.[10]

고양이 할큄병은 세균 바르토넬라 헨셀라(Bartonella henselae)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으로, 주로 이 세균에 감염된 새끼 고양이에게 긁혀서 전파된다. 이 질환의 육아종은 긁힌 부위에서 림프액을 받아들이는 림프절에서 발견되며, 특징적으로 고름을 형성하는 "화농성" 육아종으로 많은 수의 호중구를 포함한다. 병원체를 육아종 내에서 찾는 것은 일반적인 병리 검사 방법으로는 어렵다.

영아가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에 감염되면, 자궁 내 감염 후 육아종증 영아 패혈증이라는 치명적일 수 있는 파종성 육아종이 발생할 수 있다.

리슈만편모충증리슈만편모충 속 기생충에 의해 발생하고 모래파리의 흡혈로 전파되는 질병군이다. 피부(피부형)와 간(내장형)에서 육아종성 염증[14]을 일으킬 수 있으며, 연구에 따르면 효과적인 육아종 형성이 질병 치유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5]

폐에서 발생하는 폐포자충 감염은 일반적으로 육아종과 관련이 없지만, 드물게 육아종성 염증을 유발하는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진단은 폐 생검을 통해 육아종 내에서 폐포자충 효모를 발견함으로써 이루어진다.[16]

흡인성 폐렴은 구강 내 세균이 폐로 흡인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 육아종 형성은 드물다. 하지만 음식 입자나 약 조각 같은 다른 입자성 물질이 폐로 흡인되면 육아종이 형성될 수 있다. 식도, 위 또는 신경학적 문제로 인해 음식물을 흡인하는 경향이 있는 환자에게서 발생하기 쉽다. 신경 기능을 억제하는 약물 복용도 흡인을 유발할 수 있다. 이렇게 생긴 육아종은 대개 기도(세기관지) 주변에서 발견되며, 이물 반응성 다핵 거대 세포, 급성 염증 또는 조직화 폐렴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폐 생검에서 음식 입자가 발견되면 진단에 도움이 된다.[17]

3. 2. 비감염성 질환

육아종은 감염성 질환뿐만 아니라 다양한 비감염성 질환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7][2] 비감염성 원인으로 발생하는 육아종성 질환의 대표적인 예로는 사르코이드증, 크론병, 베릴륨증, 다발성 혈관염을 동반한 육아종증, 호산구성 육아종증을 동반한 다발성 혈관염, 폐 류마티스 결절, 음식 및 기타 입자 물질의 폐 흡인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종양, 특정 약물, 화학 물질 노출 등 다양한 비감염성 요인에 의해 육아종이 형성될 수 있다.[21] 각 질환에 따른 육아종의 특징과 임상 양상은 다양하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 관련 질환 섹션에서 설명한다.

3. 2. 1. 사르코이드증

사르코이드증은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질병으로, 여러 장기 및 신체 부위에 비괴사성("비건락성") 육아종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12] 가장 흔하게는 폐와 흉강 내 림프절에 발생한다. 그 외 흔하게 침범되는 부위로는 , 비장, 피부, 등이 있다. 사르코이드증의 육아종은 결핵 및 기타 감염성 육아종 질환의 육아종과 유사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르코이드증의 경우 육아종은 괴사를 포함하지 않으며 동심원상의 반흔 조직(섬유증)으로 둘러싸여 있다. 사르코이드 육아종은 종종 ''소행체'' 또는 ''샤우만 소체''라고 불리는 층판 구조를 포함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사르코이드증에 특이적인 것은 아니다.[10] 사르코이드 육아종은 합병증 없이 자연적으로 해결되거나 잔여 반흔으로 치유될 수 있다. 폐에서는 이러한 반흔이 호흡을 손상시키는 폐 섬유증을 유발할 수 있다. 심장에서는 부정맥, 심부전, 심지어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다.

3. 2. 2. 크론병

크론병은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염증성 질환으로, 창자나 복부의 다른 부위 벽에 심한 염증이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염증 부위에서 육아종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크론병 진단의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13]

3. 2. 3. 류마티스열

류마티스열은 동맥 주위의 결합 조직에 영향을 주는 전신 질환이다. 주로 A군 베타 용혈성 연쇄상구균에 의한 인두염을 치료하지 않았을 때 그 후에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항체의 교차 반응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추정된다.

3. 2. 4. 기타 비감염성 질환

생체 내에 감염원을 포함한 유해한 이물질이 들어왔을 때, 이에 대한 방어 반응으로 염증이 일어난다. 이물질의 유해성을 약화시키는 것이 최선이지만, 그것이 불가능할 경우 이물질을 "격리"하여 자극을 완화하려 한다. 이러한 "격리"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활동이 육아종 형성이다. 이물질을 분해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지, 아니면 "격리"할 수밖에 없는지는 숙주면역 기능과 이물질의 성질 간의 상호 관계에 달려 있다. 충분한 면역력이 있다면, 육아종은 세포 내에 감염되어 죽일 수 없는 병원체를 평생 무증상으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육아종성 반응은 이물질뿐만 아니라 종양 세포에 대해서도 유효한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다.

비감염성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주요 육아종 질환은 다음과 같다.

  • '''괴사성 육아종''':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게서 발생할 수 있으며, 주로 관절 주변 연조직에 덩어리(류마티스 결절) 또는 폐에서 나타난다.[10]
  • '''환상 육아종''': 피부 진피에서 육아종이 발견되는 피부 질환이지만, 진정한 의미의 육아종은 아니다. 병리학적 검사에서는 일반적으로 콜라겐의 중심 괴사성 생성 부위가 관찰되며, 주변 염증과 뮤신 침착이 동반된다.
  • '''이물 육아종''': 나무 조각, 금속 조각, 유리 조각 등과 같은 이물질이 신체의 연조직을 관통한 후 급성 염증과 육아종 형성이 뒤따를 때 발생한다.[18] 경우에 따라 유발 사건이 발생한 지 몇 년이 지난 후에도 이물질을 찾아 제거할 수 있다.[19]

나일론 봉합사에 대한 육아종 반응

  • '''소아 육아종성 구강 주위 피부염''': 원인이 알려지지 않은 드문 육아종성 피부 질환이다. 일시적이며, 주로 아프리카 계통의 어린이에게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비감염성 요인이 육아종을 유발할 수 있다.[21]

육아종의 비감염성 원인[21]
분류예시
종양호지킨 림프종, 림프종, 선암, 신세포 암종, 만성 골수성 백혈병
염증사르코이드증, 염증성 장 질환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혈관염 및 결합 조직병 (다발혈관염성 육아종증, 결절성 다발 동맥염, 거대 세포 동맥염, 류마티스 관절염, 알레르기성 혈관염 등), 과민성 폐장염, 통풍을 동반한 건선, 결절성 홍반
약물설폰아미드, 알로푸리놀, 페닐부타존, 페니토인, 이소니아지드, 페니실린, 메틸도파, 히드라라진, 프로카인아미드, 할로탄, 세팔로스포린, 프로카르바진, 디아제팜, 메토트렉세이트, 경구 피임약
화학 물질전분, 활석, Freund 완전 보조제, 베릴륨, 지르코늄, 알루미늄, 티타늄, 황산 바륨, 기름 (광유, 파라핀, 조영제), 탄소, 지질, 봉합사, 커버 유리
간 담도 질환원발성 담즙성 담관염, 특발성 간경변, 간염 (C형 급성 간염, 만성 활동성 간염, 알코올성 간염), 담관 주위염, 지방간, 지방 육아종


4. 혈관염과 관련된 과립종

특정 염증성 질환은 육아종성 염증과 혈관염(혈관의 염증)의 조합으로 특징지어진다. 육아종과 혈관염 모두 괴사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질환의 대표적인 예로는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육아종증과 호산구성 육아종증을 동반한 다발혈관염이 있다.

혈관염은 육아종 형성을 포함한 다양한 염증 반응을 일으킬 수 있지만, 그 자세한 원인은 불명확하다. 결절성 다발 동맥염처럼 육아종을 거의 형성하지 않는 경우[22]부터, 호산구성 다발 혈관염성 육아종증처럼 육아종 병변이 주된 특징이 되는 경우까지 다양하다. 호산구성 다발 혈관염성 육아종증은 괴사성 혈관염, 혈관벽 및 혈관 외 육아종성 병변, 호산구 증가와 조직 침윤, 기관지 천식 등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23] 이러한 다양한 병변은 단일 항원에 대해 면역 복합체 반응, 아나필락시스 반응, 육아종 형성 반응 등 여러 면역 반응이 동시에 일어나고 있음을 시사한다.[24]

5. 형성 기전

육아종은 호중구호산구와 같은 초기 염증 세포들이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어려운 항원에 대한 반응으로 형성된다. 이는 일반적인 염증 반응으로는 처리하기 힘든 대상에 대해 대식세포가 중심이 되어 방어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특수한 구조물이다.[7][2] 육아종 형성을 유발하는 항원은 주로 결핵균과 같은 감염성 병원체나 신체에 들어온 이물질이지만, 사르코이드증처럼 침입 항원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육아종 형성의 핵심 세포는 대식세포(특히 조직구)이다.[1][5] 대식세포가 탐식한 항원을 완전히 분해하지 못하면, "상피양 세포"라고 불리는 형태로 변형된다. 상피양 세포는 일반 대식세포보다 길쭉하고 큰 핵을 가지며, 상피 세포와 유사한 외형을 띤다. 이러한 변화는 항원에 의해 대식세포가 활성화된 결과로 여겨진다. 상피양 세포들은 종종 서로 융합하여 랑게르한스 거대 세포와 같은 다핵 거대 세포를 형성하기도 한다.[6] 육아종은 이러한 세포들이 무질서하게 흩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조밀하게 뭉쳐 공 모양의 "조직화된" 구조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며, 느슨하게 분산된 대식세포는 육아종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세포 수준에서 육아종 형성 과정을 보면, 조직에 침입한 이물질이나 감염원은 먼저 조직 대식세포단구 같은 탐식 세포에 의해 포식된다. 만약 감염원이 탐식 세포 내에서 증식하는 경우, 활성화된 T 세포가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에 의해 감염된 탐식 세포는 일산화 질소를 생성하여 병원체를 사멸시키려 한다. 또한, 탐식 세포가 감염원을 항원 제시하면, 이를 인식한 세포독성 T 세포(CTL)가 감염된 탐식 세포 자체를 파괴하기도 한다.

항원을 분해하지 못한 대식세포가 상피양 세포로 변형되고, T 세포에서 유래한 사이토카인(예: 인터루킨-4, 인터페론 감마)의 영향으로 이들 세포의 이동이 억제되면서 서로 융합하여 거대 세포를 형성한다. 이 과정에서 대식세포에서 유래한 인터루킨-1 등의 사이토카인은 섬유아세포를 자극하여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고, 결과적으로 육아종 주변에 섬유증이나 반흔 조직이 형성될 수 있다.

육아종은 감염원이 아닌, 분해되지 않는 다량의 이물질을 탐식한 경우에도 형성될 수 있다. 완성된 육아종은 대식세포, 상피양 세포, 다핵 거대 세포 외에도 림프구, 호중구, 호산구, 섬유아세포, 콜라겐 등 다양한 세포와 기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육아종 내에 포함된 추가 세포의 종류는 원인 질환을 추정하는 데 단서가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호산구가 많으면 콕시디오이데스증이나 알레르기성 기관지 진균 질환을, 호중구가 많으면 블라스토미세스증, 다발성 혈관염을 동반한 육아종증, 흡인성 폐렴, 고양이 할큄병 등을 의심해 볼 수 있다.

6. 어원

"육아종"이라는 용어는 '작은 알갱이'를 뜻하는 라틴어 grānulumlat과 종양이나 덩어리를 의미하는 접미사 "-oma"가 합쳐져 만들어졌다. 형용사인 '육아종성(granulomatous)'은 "육아종의 특징을 가진"이라는 뜻이다.

참조

[1] 서적 StatPearls https://pubmed.ncbi.[...] StatPearls Publishing 2020-04-05
[2] 논문 Incidence and nature of primary granulomatous inflammation in surgically removed material
[3] 논문 Suture granuloma
[4] 논문 Peritoneal foreign body granulomas to keratin in uterine adenocanthoma
[5] 논문 The granulomatous inflammatory response. A review
[6] 서적 Janeway's immunobiology. Garland Science 2008
[7] 논문 Causes of pulmonary granulomas: a retrospective study of 500 cases from seven countries 2012-01
[8] 논문 The Tuberculous Granuloma and Preexisting Immunity 2022-04-26
[9] 문서 dental decks part II Edited by Nour
[10] 논문 Granulomatous lung disease: an approach to the differential diagnosis https://doi.org/10.5[...]
[11] 논문 Aquarium granuloma: a diagnosis based on history
[12] 논문 Sarcoidosis
[13] 뉴스 Teen diagnoses her own disease in science class http://www.cnn.com/2[...] Cable News Network 2009-06-11
[14] 논문 Monocyte recruitment, antigen degradation and localization in cutaneous leishmaniasis. 1986-04
[15] 논문 Lessons from other diseases: granulomatous inflammation in leishmaniasis 2016-03-01
[16] 논문 Granulomatous reaction to Pneumocystis jirovecii. clinicopathologic review of 20 cases
[17] 논문 Pulmonary disease due to aspiration of food and other particulate matter: a clinicopathologic study of 59 cases diagnosed on biopsy or resection specimens
[18] 논문 Foreign Body Granuloma 2014-09
[19] 논문 Foreign Body Granuloma: A Diagnosis Not to Forget Hindawi Publishing Corporation
[20] 웹사이트 皮膚病理組織学用語ーにくげ http://jds.umin.jp/i[...] 日本皮膚病理組織学 2023-03-30
[21] 문서 Murray 1999
[22] 문서 三田村忠行 1999
[23] 문서 山木戸道郎 1999
[24] 문서 Sell, Stewart & Wisecarver, James L. 1996
[25] 웹사이트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
[26] 논문 Causes of pulmonary granulomas: a retrospective study of 500 cases from seven countries 2012-01
[27] 논문 Incidence and nature of primary granulomatous inflammation in surgically removed material
[28] 논문 Suture granuloma
[29] 논문 Peritoneal foreign body granulomas to keratin in uterine adenocanthom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